KR101202446B1 - 게임 시스템 및 그의 게임 방법 - Google Patents

게임 시스템 및 그의 게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446B1
KR101202446B1 KR1020120053469A KR20120053469A KR101202446B1 KR 101202446 B1 KR101202446 B1 KR 101202446B1 KR 1020120053469 A KR1020120053469 A KR 1020120053469A KR 20120053469 A KR20120053469 A KR 20120053469A KR 101202446 B1 KR101202446 B1 KR 101202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game
display device
game screen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화주
박정훈
Original Assignee
엠앤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앤서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앤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3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4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2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local area network [LAN]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6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on the game controller or outside a game boot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5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to players
    • A63F13/86Watching games played by other p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앱(App.)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구비된 임의의 이동 단말기가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여, 다자간 게임을 위한 공통 게임 정보를 생성하여 통신 연결된 대형 모니터에 제공하고, 상기 다자간 게임에 참여한 다른 이동 단말기에 표시된 고유 게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여, 다자간 게임을 실행/수행할 수 있는 게임 시스템 및 그의 게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시스템은,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며 미러링 기능을 포함하는 특정 라이브러리가 포함된 게임 앱을 포함하는 제1 이동 단말기와, 슬레이브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라이브러리가 포함된 게임 앱을 포함하는 제2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게임 시스템에 있어서, 설치된 상기 게임 앱이 실행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하나 이상의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단말기 자체에 표시할 게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자기 게임 화면과 상기 실행된 게임에 참가하는 모든 이동 단말기에 공통으로 제공할 공통 게임 화면과 상기 통신 연결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제공할 게임 정보를 각각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자기 게임 화면을 표시하며 상기 생성된 공통 게임 화면을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며 상기 생성된 게임 정보를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1 이동 단말기;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공통 게임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게임 정보를 근거로 단말기 자체에 표시할 제2 자기 게임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2 자기 게임 화면을 표시하는 제2 이동 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게임 시스템 및 그의 게임 방법{Game system and game method thereof}
본 명세서는 게임 시스템 및 그의 게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앱(App.)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구비된 임의의 이동 단말기가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여, 다자간 게임을 위한 공통 게임 정보를 생성하여 통신 연결된 대형 모니터에 제공하고, 상기 다자간 게임에 참여한 다른 이동 단말기에 표시된 고유 게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여, 다자간 게임을 실행/수행할 수 있는 게임 시스템 및 그의 게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는, 통화 기능(또는, 호(call) 기능) 및 콘텐츠(메시지, 파일 등 포함)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여, 그 수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는, 임의의 게임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게임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휴대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부착된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으로 인해, 효율적인 게임 시스템 환경을 구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는, 다자간(또는, 멀티 사용자) 게임을 실행하고자 할 경우, 게임 시스템을 구성하는 임의의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서버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제어 신호, 화면 구성 등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화면 구성을 작은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등, 상기 서버의 제어 하에 다자간 게임 수행이 가능하므로 상기 서버를 유지 및 관리하기 위한 비용이 발생하고 운영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특허 출원 번호 제10-2000-0055445호
본 명세서의 목적은, 다자간 게임을 실행하고자 할 경우,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복수의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중에서 임의의 이동 단말기가 전체 게임을 진행하는 서버(또는,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여, 별도의 서버 없이도 다자간 게임을 진행할 수 있는 게임 시스템 및 그의 게임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목적은,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되며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는 임의의 이동 단말기가 다자간 게임에 필요한 공통 게임 정보, 해당 게임에 참가한 개별 이동 단말기에만 제공되는 고유 게임 정보를 각각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공통 게임 정보를 통신 연결된 대형 표시 장치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생성된 고유 게임 정보를 통신 연결된 다른 이동 단말기를 통해 표시하여, 효율적이고 양질의 게임 시스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게임 시스템 및 그의 게임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시스템은,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며 미러링 기능을 포함하는 특정 라이브러리가 포함된 게임 앱을 포함하는 제1 이동 단말기와, 슬레이브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라이브러리가 포함된 게임 앱을 포함하는 제2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게임 시스템에 있어서, 설치된 상기 게임 앱이 실행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하나 이상의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단말기 자체에 표시할 게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자기 게임 화면과 상기 실행된 게임에 참가하는 모든 이동 단말기에 공통으로 제공할 공통 게임 화면과 상기 통신 연결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제공할 게임 정보를 각각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자기 게임 화면을 표시하며 상기 생성된 공통 게임 화면을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며 상기 생성된 게임 정보를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1 이동 단말기;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공통 게임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게임 정보를 근거로 단말기 자체에 표시할 제2 자기 게임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2 자기 게임 화면을 표시하는 제2 이동 단말기;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1 자기 게임 화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와, 상기 공통 게임 화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제공할 게임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각각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자기 게임 화면을 표시할 때, 상기 제1 자기 게임 화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상기 제1 자기 게임 화면과 동기화시켜 출력하며, 상기 생성된 공통 게임 화면 및 상기 공통 게임 화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며, 상기 생성된 게임 정보 및 상기 게임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임의의 기능이 선택될 때, 상기 실행된 게임 앱을 통해 상기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수행된 기능 결과 화면을 상기 게임 앱을 통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에 표시하며, 상기 선택된 기능을 근거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표시할 공통 게임 화면을 생성하여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생성된 공통 게임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임의의 다른 기능이 선택될 때, 상기 실행된 게임 앱을 통해 상기 선택된 다른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수행된 기능 결과 화면을 상기 게임 앱을 통해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표시하며, 상기 선택된 다른 기능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다른 기능에 대한 제어 정보를 근거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표시할 공통 게임 화면을 생성하고,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생성된 공통 게임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추가 연결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구비된 하나 이상의 추가 연결 장치를 통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와 통신 연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시스템의 게임 방법은,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며 미러링 기능을 포함하는 특정 라이브러리가 포함된 게임 앱을 포함하는 제1 이동 단말기와, 슬레이브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라이브러리가 포함된 게임 앱을 포함하는 제2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게임 시스템의 게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게임 앱이 실행될 때,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에 인접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를 통해, 단말기 자체에 표시할 게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자기 게임 화면, 상기 실행된 게임에 참가하는 모든 이동 단말기에 공통으로 제공할 공통 게임 화면 및, 상기 통신 연결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제공할 게임 정보를 각각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게임 앱이 실행될 때,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인접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를 통해, 상기 생성된 제1 자기 게임 화면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에 표시하고, 상기 생성된 공통 게임 화면을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생성된 게임 정보를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공통 게임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게임 정보를 근거로 단말기 자체에 표시할 제2 자기 게임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2 자기 게임 화면을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 자기 게임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제1 자기 게임 화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와, 상기 공통 게임 화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제공할 게임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각각 생성하며, 상기 제1 자기 게임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를 통해, 상기 생성된 제1 자기 게임 화면을 표시할 때, 상기 제1 자기 게임 화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상기 제1 자기 게임 화면과 동기화시켜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임의의 기능이 선택될 때, 상기 실행된 게임 앱을 통해 상기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를 통해, 상기 수행된 기능 결과 화면을 상기 게임 앱을 통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를 통해, 상기 선택된 기능을 근거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표시할 공통 게임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를 통해,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생성된 공통 게임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공통 게임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임의의 다른 기능이 선택될 때, 상기 실행된 게임 앱을 통해 상기 선택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를 통해, 상기 수행된 기능 결과 화면을 상기 게임 앱을 통해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를 통해, 선택된 다른 기능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다른 기능에 대한 제어 정보를 근거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표시할 공통 게임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를 통해,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생성된 공통 게임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공통 게임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시스템 및 그의 게임 방법은, 다자간 게임을 실행하고자 할 경우,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복수의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중에서 임의의 이동 단말기가 전체 게임을 진행하는 서버(또는, 마스터)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별도의 서버 없이도 다자간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시스템 및 그의 게임 방법은,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되며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는 임의의 이동 단말기가 다자간 게임에 필요한 공통 게임 정보, 해당 게임에 참가한 개별 이동 단말기에만 제공되는 고유 게임 정보를 각각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공통 게임 정보를 통신 연결된 대형 표시 장치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생성된 고유 게임 정보를 통신 연결된 다른 이동 단말기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양질의 게임 시스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시스템의 통신 과정을 보인 신호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임 시스템(10)은, 제1 이동 단말기(100), 하나 이상의 제2 이동 단말기(200) 및, 임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게임 시스템(1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게임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게임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미러링 라이브러리(Application Mirroring Library : AML)를 포함하는(또는, 내장하는(embedded)) 게임 앱 또는 게임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하나의 통신망을 구성하여, 복수의 단말기 간의 게임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게임 앱/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애드 혹 네트워크(Ad-hoc network) 또는 이동 애드 혹 네트워크(Mobile Ad-hoc NETwork : MANET) 등과 같은 통신망을 구성하여, 복수의 단말기 간의 게임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텔레매틱스 단말기(Telematics Terminal),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 PDA), 와이브로 단말기(Wibro Terminal),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단말기(차량 내비게이션 장치)(Navigation Terminal)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순정 단말기(또는, 순정 폰) 또는 루팅 단말기(rooting terminal, 또는, 루팅 폰, 안드로이드 계열에 해당)(또는, 아이폰 계열의 경우, 탈옥(jail breaking) 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부(110), 저장부(120), 제어부(130), 표시부(140) 및, 음성 출력부(150)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제1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제1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제1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한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 W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 LTE),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 WMBS)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게임 앱 또는 게임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 인접한 단말을 검색한다. 여기서, 상기 게임 앱 또는 게임 응용 프로그램은, 카드(예를 들어, 포커, 훌라, 홀덤 등 포함), 바둑, 화투(또는, 고스톱), 장기, 체스, 마작, 골프, 탁구, 테트리스 등과 같은 다자간 게임 구성이 가능한 임의의 게임과 관련된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임의의 단말과의 애드 혹 네트워크 또는 이동 애드 혹 네트워크 등과 같은 통신망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다양한 정보/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저장부(12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 UI)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 GUI)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상기 저장부(12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하거나, 또는 상기 웹 스토리지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임의의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과, 상기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 등을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미러링 라이브러리(AML) 등 포함)를 포함하는 임의의 게임 앱 또는 게임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 인접한 단말을 검색한다. 여기서, 상기 임의의 게임 앱 또는 게임 응용 프로그램은, 임의의 서버(미도시)로부터 전송되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또는, 저장된)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검색된 단말을 포함하는 검색 목록 화면을 상기 표시부(140)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또는, 표시 장치)(300)와 하나 이상의 임의의 다른 이동 단말기(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모니터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에는, 상기 미러링 기능을 포함하는 라이브러리(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미러링 라이브러리(AML) 등 포함)를 포함하는 상기 임의의 게임 앱 또는 게임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뷰어 앱 또는 뷰어 응용 프로그램 등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검색 목록 화면에 포함된 단말 중에서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와의 애드 혹 네트워크 또는 이동 애드 혹 네트워크 등과 같은 유/무선 통신망(또는, 유/무선 네트워크)을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제1 제1 이동 단말기(100)가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가 슬레이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미러링 라이브러리(AML) 등 포함)를 포함하는 임의의 게임 앱 또는 게임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 인접한 임의의 단말(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과의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실행된 게임 앱을 통해 상기 실행된 게임에 참가하는 복수의 이동 단말기에 각각 표시할 게임 정보(또는, 게임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자기 게임 화면과,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에 표시하며 상기 실행된 게임에 참가하는 복수의 이동 단말기에 공통으로 제공할 배경 화면과 게임 정보 등을 포함하는 공통 게임 화면 등을 실시간으로 생성(또는,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에 각각 표시할 게임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자기 게임 화면을 생성하는 대신에,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서만 표시할 게임 정보를 포함하는 자기 게임 화면(또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의 자기 게임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실행된 게임에 참가하는 복수의 이동 단말기 중에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를 제외한 나머지 통신 연결된 하나 이상의 다른 임의의 이동 단말기(예를 들어,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 등 포함)에 각각 제공할 각각의 게임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자기 게임 화면, 공통 게임 화면 및, 게임 정보 등을 생성할 때, 상기 화면 구성과 관련된 음향 효과 등을 나타내는 음성 정보를 함께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하나 이상의 상기 임의의 이동 단말기(예를 들어,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 등 포함)의 통신 연결 요청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와 함께 구성된 애드 혹 네트워크 또는 이동 애드 혹 네트워크 등과 같은 통신망에 하나 이상의 상기 임의의 이동 단말기(예를 들어,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 등 포함)를 추가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구성된 애드 혹 네트워크 또는 이동 애드 혹 네트워크 등과 같은 통신망을 유지한 상태에서, 즉, 다자간 게임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실행된 게임 앱/응용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게임이 진행되면, 상기 생성한 자기 게임 화면(또는, 상기 생성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의 자기 게임 화면)을 상기 표시부(140)에 표시함과 동시에, 백그라운드 상태(background state)로 상기 생성된 공통 게임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에 전송하고,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생성된 게임 정보(또는, 상기 생성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의 자기 게임 화면)를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실행된 게임 앱/응용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게임이 진행되면, 상기 생성한 자기 게임 화면을 상기 표시부(140)에 표시하고 상기 생성한 자기 게임 화면에 대응하여 생성한 음성 정보를 상기 표시되는 자기 게임 화면과 동기화시켜 상기 음성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함과 동시에,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생성된 공통 게임 화면과 상기 공통 게임 화면에 대응하여 생성된 음성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에 전송하고,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생성된 게임 정보와 상기 게임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공통 게임 화면 또는 상기 게임 정보와,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 또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 전송할 때, 상기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공통 게임 화면 또는 상기 게임 정보는 상기 구성된 애드 혹 네트워크 또는 이동 애드 혹 네트워크 등과 같은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음성 정보는 추가로 설정된 다른 통신망(예를 들어, 블루투스, 와이 파이 등)을 통해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영상 정보(예를 들어, 상기 공통 게임 화면, 상기 게임 정보 등 포함)와 상기 음성 정보를 동일한 통신 방식(또는, 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도 있고 또는,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통해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다자간 게임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임의의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실행 중인 게임 앱/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수행된 기능 처리 결과 화면(또는, 상기 수행된 기능 수행 결과 화면)을 상기 표시부(140)에 표시하고,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서 선택된 기능에 대한 제어 정보를 근거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에 표시할 공통 게임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공통 게임 화면을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다자간 게임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통신 연결된 제2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임의의 기능에 대한 제어 정보를 근거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에 표시할 공통 게임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공통 게임 화면을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다자간 게임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 및/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서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임의의 기능에 대해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 각각에서 표시할 자기 게임 화면, 게임 정보, 공통 게임 화면 등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의 자기 게임 화면을 상기 표시부(140)에 표시하며, 상기 생성된 게임 정보, 임의의 이동 단말기의 자기 게임 화면, 공통 게임 화면 등을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에 각각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서 생성한 공통 게임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에 제공하는 대신에,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에서 표시할 배경 화면, 게임 정보 등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에 제공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에서 상기 제공된 배경 화면, 게임 정보 등을 근거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에서 표시할 상기 공통 게임 화면을 생성한 후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140)는,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메뉴 화면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다양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지도 데이터나 각종 정보 데이터 포함)와 아이콘, 리스트 메뉴, 콤보 박스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40)는, 터치 스크린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40)는,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게임 앱 또는 게임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콘텐츠(영상 정보 및/또는 음성 정보 등 포함)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4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3차원 디스플레이, 전자잉크 디스플레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출력부(150)는,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소정 신호 처리된 신호에 포함된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음성 출력부(150)는, 스피커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한 버튼 조작 또는 임의의 기능 선택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거나,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터치/스크롤하는 등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며,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조그 휠, 조그 스위치, 조그 셔틀(Jog Shuttle), 마우스(mouse),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터치 펜(Touch Pen) 등의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와 같이,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미러링 라이브러리(AML)를 포함하는(또는, 내장하는) 게임 앱 또는 게임 응용 프로그램 등을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스마트 폰, 휴대 단말기, 텔레매틱스 단말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와이브로 단말기, IPTV 단말기, AVN 단말기, PMP, 내비게이션 단말기(차량 내비게이션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순정 단말기(또는, 순정 폰) 또는 루팅 단말기(또는, 루팅 폰, 안드로이드 계열에 해당)(또는, 아이폰 계열의 경우, 탈옥 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 구성된 상기 통신부(110), 저장부(120), 제어부(130), 표시부(140) 및, 음성 출력부(150) 등의 구성 요소 모두 또는 일부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 설치된 상기 임의의 게임 앱 또는 게임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 인접한 단말을 검색한다. 이때,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 설치된 상기 임의의 게임 앱 또는 게임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가 위치한 지역(또는, 영역)에서 임의의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예를 들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이 생성한(또는, 구성한) 임의의 애드 혹 네트워크 또는 이동 애드 혹 네트워크 등과 같은 통신망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또는, 검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검색된 단말을 포함하는 검색 목록 화면을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 표시되는 상기 검색 목록 화면에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3차원 디스플레이, 전자잉크 디스플레이, 모니터 등을 포함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또는, 표시 장치)(300)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가 위치한 지역에 형성된 상기 애드 혹 네트워크 또는 이동 애드 혹 네트워크 등과 같은 통신망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포함하는 검색 목록 화면을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표시되는 검색 목록 화면 중에서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검색된 애드 혹 네트워크 또는 이동 애드 혹 네트워크 등과 같은 통신망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중에서 상기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가 구성한 상기 애드 혹 네트워크 또는 이동 애드 혹 네트워크 등과 같은 통신망 내에 포함되도록(또는, 구성되도록)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슬레이브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구성된 애드 혹 네트워크 또는 이동 애드 혹 네트워크 등과 같은 통신망을 유지한 상태에서, 즉, 다자간 게임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의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서 실행된 게임 앱/응용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게임이 진행되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게임 정보 또는 상기 게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의 자기 게임 화면을 수신한다. 이때,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게임 정보 또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의 자기 게임 화면과 함께 전송되는 상기 게임 정보와 관련된 음성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수신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의 자기 게임 화면을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수신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의 자기 게임 화면을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 표시할 때, 상기 수신된 음성 정보를 상기 표시되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의 자기 게임 화면과 동기화시켜 함께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수신된 게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 표시할 자기 게임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의 자기 게임 화면을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생성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의 자기 게임 화면을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 표시할 때, 상기 수신된 음성 정보를 상기 표시되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의 자기 게임 화면과 동기화시켜 함께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의 사용자 선택(또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임의의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서 실행된 게임 앱/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기능 수행에 따른 기능 처리 결과 화면(또는, 기능 수행 결과 화면)을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 표시함과 함께,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한 제어 정보를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실행된 임의의 게임 앱/응용 프로그램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임의의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실행된 게임 앱/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해당 기능을 수행하여 결과 화면을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 표시하고, 또한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하여, 다자간 게임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마스터(또는, 임의의 게임 서버)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기능에 대한 제어 정보를 근거로 상기 다자간 게임에 참여한 모든 단말기들에 공통으로 제공할 공통 게임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공통 게임 화면을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에 제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를 통해 상기 생성된 공통 게임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다자간 게임에 참여하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가 복수로 구성된 경우에도 상기 기재된 제2 이동 단말기(200)의 기능을 각각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다자간 게임에 참여한 복수의 이동 단말기(100, 200)에 공통으로 제공할 게임 화면(또는, 공통 게임 화면)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공통 게임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상기 공통 게임 화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함께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음성 정보를 상기 표시되는 공통 게임 화면과 동기화시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더미 단말기(dummy terminal)일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임의의 콘텐츠(예를 들어, 상기 공통 게임 화면, 음성 정보 등 포함)를 출력하기 위한 뷰어 기능을 포함하는 뷰어 앱(viewer app.) 또는 뷰어 프로그램(viewer program)을 포함하는 더미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상기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배경 화면, 게임 정보, 상기 게임 정보와 관련된 음성 정보 등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3차원 디스플레이, 전자잉크 디스플레이, 모니터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상기 수신된 배경 화면, 게임 정보 등을 근거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에 표시할 공통 게임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공통 게임 화면 및 상기 생성된 공통 게임 화면과 동기화된 상기 수신된 음성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에 출력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에는, 게임 앱/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상기 다자간 게임에 참여한 복수의 이동 단말기(100, 200)에서 각각 수행되는 기능에 따라,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서 생성된 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에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공통 게임 화면 및/또는 상기 공통 게임 화면과 관련된 음성 정보 등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공통 게임 화면 및/또는 상기 공통 게임 화면과 관련된 음성 정보 등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추가 연결 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구비된 추가 연결 장치를 통해 상기 다자간 게임 환경을 구성하는 상기 이동 단말기들(100, 200)과 각각 유/무선 통신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상기 임의의 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미러링 라이브러리(AML))를 포함하는 상기 게임 앱/응용 프로그램 또는, 뷰어 앱/응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한 후, 상기 다운로드한 해당 게임 앱/응용 프로그램 또는, 뷰어 앱/응용 프로그램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에 각각 설치한다. 이때, 상기 서버는, 임의의 콘텐츠, 게임 앱/응용 프로그램, 상기 게임 앱/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버전 정보, 뷰어 앱/응용 프로그램, 상기 뷰어 앱/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버전 정보 등을 저장 및 관리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해당 게임 앱/응용 프로그램 또는 해당 뷰어 앱/응용 프로그램의 버전이 업데이트된 경우, 상기 해당 게임 앱/응용 프로그램 또는 해당 뷰어 앱/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임의의 단말기(예를 들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 등 포함)에 업데이트된 해당 게임 앱/응용 프로그램 또는 해당 뷰어 앱/응용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다자간 게임을 실행하고자 할 경우,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복수의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중에서 임의의 이동 단말기가 전체 게임을 진행하는 서버(또는,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여, 별도의 서버 없이도 다자간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되며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는 임의의 이동 단말기가 다자간 게임에 필요한 공통 게임 정보, 해당 게임에 참가한 개별 이동 단말기에만 제공되는 고유 게임 정보를 각각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공통 게임 정보를 통신 연결된 대형 표시 장치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생성된 고유 게임 정보를 통신 연결된 다른 이동 단말기를 통해 표시하여, 효율적이고 양질의 게임 시스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따른 게임 시스템의 게임 방법을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시스템의 통신 과정을 보인 신호 흐름도이다.
먼저,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또는, 저장된) 임의의 게임 앱 또는 게임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 인접한 단말을 검색한다. 여기서, 상기 임의의 게임 앱 또는 게임 응용 프로그램은, 임의의 서버(미도시)로부터 전송되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또는, 저장된)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임 앱 또는 게임 응용 프로그램은, 미러링 기능을 포함하는 라이브러리(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미러링 라이브러리(AML) 등 포함)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스마트 폰, 휴대 단말기, 텔레매틱스 단말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와이브로 단말기, IPTV 단말기, AVN 단말기, PMP, 내비게이션 단말기(차량 내비게이션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포커 게임 앱이 실행될 때,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지역(또는, 영역)에 인접한 단말을 검색한다(SP310).
이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검색된 단말을 포함하는 검색 목록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3차원 디스플레이, 전자잉크 디스플레이, 모니터 등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또는, 표시 장치)(300)와 임의의 다른 이동 단말기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 포함)에는, 상기 임의의 게임 앱 또는 게임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뷰어 앱 또는 뷰어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뷰어 앱 또는 뷰어 응용 프로그램은, 미러링 기능을 포함하는 라이브러리(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미러링 라이브러리(AML) 등 포함)를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검색된 LC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차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모니터 등을 포함하는 검색 목록 화면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 표시한다(SP320).
이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표시되는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와의 애드 혹 네트워크(Ad-hoc network) 또는 이동 애드 혹 네트워크(Mobile Ad-hoc NETwork : MANET) 등과 같은 통신망을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가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가 슬레이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표시되는 LC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차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모니터 등을 포함하는 검색 목록 화면 중에서 상기 LC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LC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 간에 이동 애드 혹 네트워크를 구성한다(SP330).
이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실행된 게임 앱을 통한 게임 진행을 위해 필요한 복수의 화면 및 하나 이상의 게임 정보(또는, 게임 데이터)를 생성(또는, 구성)한다.
즉,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실행된 게임에 참가하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 자체에 표시할 게임 정보(또는, 상기 실행된 게임에 참가하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만 제공되는 게임 정보)를 포함하는 자기 게임 화면(또는, 제1 게임 화면)과, 상기 실행된 게임에 참가하는 모든 이동 단말기에 공통으로 제공할 배경 화면과 게임 정보 등을 포함하는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에 표시할 공통 게임 화면과, 통신 연결된 하나 이상의 임의의 단말기에 각각 제공할 하나 이상의 게임 정보를 생성한다.
일 예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실행된 포커 게임 앱을 통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서 표시할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와 관련된 게임 정보(예를 들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 분배되는 하트 2, 스페이드 9, 하트 8 등을 포함하는 3장의 카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자기 게임 화면과, 상기 선택된 LC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공통으로 표시할 배경 화면과 게임 정보 등을 포함하는 공통 게임 화면과, 통신 연결된 하나의 단말기에 제공할 게임 정보(예를 들어, 스페이드 3, 다이아몬드 A, 다이아몬드 4 등을 포함하는 3장의 카드에 대한 정보)를 각각 생성한다(SP340).
이후, 임의의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 설치된 상기 임의의 게임 앱 또는 게임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 인접한 단말을 검색한다. 여기서, 상기 임의의 게임 앱 또는 게임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서버(미도시)로부터 전송되어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 설치된(또는, 저장된)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임 앱 또는 게임 응용 프로그램은, 미러링 기능을 포함하는 라이브러리(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미러링 라이브러리(AML) 등 포함)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스마트 폰, 휴대 단말기, 텔레매틱스 단말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와이브로 단말기, IPTV 단말기, AVN 단말기, PMP, 내비게이션 단말기(차량 내비게이션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상기 포커 게임 앱이 실행될 때,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가 위치한 지역(또는, 영역)에 인접한 단말을 검색한다.
또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 설치된 상기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가 위치한 지역(또는, 영역)에 구성된 임의의 애드 혹 네트워크 또는 이동 애드 혹 네트워크 등과 같은 통신망을 검색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포커 게임 앱이 실행될 때,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가 위치한 지역(또는, 영역)에 구성된 상기 이동 애드 혹 네트워크를 검색한다(SP350).
이후,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검색된 단말을 포함하는 검색 목록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3차원 디스플레이, 전자잉크 디스플레이, 모니터 등을 포함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또는, 표시 장치)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 등을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검색된 LC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차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모니터,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 등을 포함하는 검색 목록 화면을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검색된 애드 혹 네트워크 또는 이동 애드 혹 네트워크 등과 같은 통신망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포함하는 검색 목록 화면을 표시한다.
일 예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검색된 이동 애드 혹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와 상기 LC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검색 목록 화면을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 표시한다(SP360).
이후,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표시되는 검색 목록 화면 중에서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검색된 애드 혹 네트워크 또는 이동 애드 혹 네트워크 등과 같은 통신망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중에서 상기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가 구성한 상기 애드 혹 네트워크 또는 이동 애드 혹 네트워크 등과 같은 통신망 내에 포함되도록(또는, 구성되도록)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SP370).
이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의 각각의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실행된 게임 앱에 대응하는 게임이 진행되면, 상기 생성한 자기 게임 화면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 표시하며,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생성한 공통 게임 화면을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에 전송하며,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생성한 상기 통신 연결된 임의의 단말기에 제공할 게임 정보를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일 예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의 각각의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실행된 포커 게임 앱의 시작/준비 버튼(미도시) 등이 선택(또는, 클릭)될 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생성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와 관련된 게임 정보(예를 들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 분배되는 하트 2, 스페이드 9, 하트 8 등을 포함하는 3장의 카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자기 게임 화면(410)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 표시하며,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생성한 상기 배경 화면과 게임 정보 등을 포함하는 등을 포함하는 공통 게임 화면을 상기 선택된 LC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며,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생성한 게임 정보(예를 들어, 스페이드 3, 다이아몬드 A, 다이아몬드 4 등을 포함하는 3장의 카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 전송한다(SP380).
이후,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각각 전송되는 공통 게임 화면과 게임 정보를 각각 수신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상기 수신된 공통 게임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에 표시한다.
일 예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탕 화면(511), 게임 정보(512)(예를 들어, 각 플레이어에게 3장의 카드가 분배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 등 포함) 등을 포함하는 상기 수신된 공통 게임 화면(510)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수신된 게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의 자기 게임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의 자기 게임 화면을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 표시한다.
일 예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수신된 게임 정보(예를 들어, 스페이드 3, 다이아몬드 A, 다이아몬드 4 등을 포함하는 3장의 카드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 표시할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의 자기 게임 화면을 생성하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생성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의 자기 게임 화면(610)을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 표시한다(SP390).
이후,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의 사용자 선택(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임의의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한 제어 정보를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하고,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서 실행된 게임 앱을 통해 상기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기능 수행에 따른 기능 처리 결과 화면(또는, 기능 수행 결과 화면)을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 표시한다.
일 예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도 6에 도시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 표시되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의 자기 게임 화면(예를 들어, 스페이드 3, 다이아몬드 A, 다이아몬드 4 등을 포함하는 3장의 카드에 대한 정보 포함) 중에서, 상기 다이아몬드 A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다이아몬드 A 카드를 오픈 카드로 설정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하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서 실행된 포커 게임 앱을 통해 상기 선택된 다이아몬드 A 카드가 오픈된 상태임을 나타내도록 화면(710)을 구성하여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 표시한다(SP400).
이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한 제어 정보를 근거로, 마스터(또는, 게임 진행 서버)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에 표시될 공통 게임 화면을 생성한다.
일 예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선택된 다이아몬드 A 카드를 오픈 카드로 설정하는 제어 정보를 근거로, 상기 LC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에 표시될 공통 게임 화면(예를 들어,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의 오픈 카드가 상기 다이아몬드 A 카드임을 나타내는 화면 구성 포함)을 생성한다(SP410).
이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서 선택된 기능에 대한 제어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서 생성된 공통 게임 화면(또는, 추가 공통 게임 화면)을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에 전송한다(SP420).
이후,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에서 선택된 기능에 대한 제어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서 생성된 공통 게임 화면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상기 수신된 공통 게임 화면(또는, 추가 공통 게임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에 표시한다.
일 예로, 상기 선택된 LC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의 오픈 카드가 상기 다이아몬드 A 카드임을 나타내는 화면 구성을 포함하는 공통 게임 화면(810)을 표시한다(SP430).
이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선택(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다른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서 실행된 게임 앱을 통해 상기 선택된 다른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기능 수행에 따른 기능 처리 결과 화면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된 다른 기능에 대한 제어 정보를 근거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에 표시될 공통 게임 화면을 생성한다.
일 예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도 4에 도시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의 자기 게임 화면(예를 들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 분배되는 하트 2, 스페이드 9, 하트 8 등을 포함하는 3장의 카드에 대한 정보 포함) 중에서, 상기 하트 8이 선택되면, 상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서 실행된 포커 게임 앱을 통해 상기 선택된 하트 8 카드가 오픈된 상태임을 나타내도록 자기 게임 화면(910)을 구성하여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된 하트 8 카드를 오픈 카드로 설정하는 제어 정보를 근거로 상기 LC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표시될 공통 게임 화면(예를 들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의 오픈 카드가 상기 하트 8 카드임을 나타내는 화면 구성 등 포함)을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공통 게임 화면은, 앞선 단계에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의 오픈 카드가 다이아몬드 A 카드임을 나타내는 정보도 함께 포함할 수 있다(SP440).
이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서 선택된 다른 기능에 대한 제어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서 생성된 공통 게임 화면을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에 전송한다(SP450).
이후,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서 선택된 기능에 대한 제어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에서 생성된 공통 게임 화면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상기 수신된 공통 게임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에 표시한다.
일 예로, 상기 선택된 LC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의 오픈 카드가 상기 하트 8 카드임을 나타내는 화면 구성과 앞선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의 오픈 카드가 상기 다이아몬드 A 카드임을 나타내는 화면 구성 등을 포함하는 공통 게임 화면(1010)을 표시한다(SP460).
이와 같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마스터(또는, 임의의 게임 진행 서버)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게임 진행에 따른 각각의 화면 및/또는 고유 게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각각의 화면 및/또는 게임 정보를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 등에 각각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 간의 게임 진행에 따른 게임 진행 기능을 수행하며, 게임 진행을 위한 고유 게임 정보의 경우에는 해당 이동 단말기(100 또는 200)에서만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가 애드 혹 네트워크 또는 이동 애드 혹 네트워크 등과 같은 유/무선 통신망을 구성하는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가 슬레이브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이동 단말기(100, 200)가 구성한 상기 애드 혹 네트워크 또는 이동 애드 혹 네트워크 등과 같은 통신망 상에서, 상기 마스터 기능과 상기 슬레이브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는 가변적일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게임의 경우, 딜러가 되는 이동 단말기가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와 같은 화면 구성이나 게임 정보 등을 생성하고, 딜러가 아닌 이동 단말기가 슬레이브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마스터 기능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게임 정보를 근거로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자간 게임을 실행하고자 할 경우,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복수의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중에서 임의의 이동 단말기가 전체 게임을 진행하는 서버(또는,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여, 별도의 서버 없이도 다자간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러링 기능이 포함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앱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되며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는 임의의 이동 단말기가 다자간 게임에 필요한 공통 게임 정보, 해당 게임에 참가한 개별 이동 단말기에만 제공되는 고유 게임 정보를 각각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공통 게임 정보를 통신 연결된 대형 표시 장치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생성된 고유 게임 정보를 통신 연결된 다른 이동 단말기를 통해 표시하여, 효율적이고 양질의 게임 시스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게임 시스템 100: 제1 이동 단말기
200: 제2 이동 단말기 30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0: 통신부 120: 저장부
130: 제어부 140: 표시부
150: 음성 출력부

Claims (10)

  1. 삭제
  2.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며 미러링 기능을 포함하는 특정 라이브러리가 포함된 게임 앱을 포함하는 제1 이동 단말기와, 슬레이브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라이브러리가 포함된 게임 앱을 포함하는 제2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게임 시스템에 있어서,
    설치된 상기 게임 앱이 실행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하나 이상의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단말기 자체에 표시할 게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자기 게임 화면과 상기 실행된 게임에 참가하는 모든 이동 단말기에 공통으로 제공할 공통 게임 화면과 상기 통신 연결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제공할 게임 정보를 각각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자기 게임 화면을 표시하며 상기 생성된 공통 게임 화면을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며 상기 생성된 게임 정보를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1 이동 단말기;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공통 게임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게임 정보를 근거로 단말기 자체에 표시할 제2 자기 게임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2 자기 게임 화면을 표시하는 제2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1 자기 게임 화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와, 상기 공통 게임 화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제공할 게임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각각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자기 게임 화면을 표시할 때, 상기 제1 자기 게임 화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상기 제1 자기 게임 화면과 동기화시켜 출력하며, 상기 생성된 공통 게임 화면 및 상기 공통 게임 화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며, 상기 생성된 게임 정보 및 상기 게임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시스템.
  3.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며 미러링 기능을 포함하는 특정 라이브러리가 포함된 게임 앱을 포함하는 제1 이동 단말기와, 슬레이브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라이브러리가 포함된 게임 앱을 포함하는 제2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게임 시스템에 있어서,
    설치된 상기 게임 앱이 실행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하나 이상의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단말기 자체에 표시할 게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자기 게임 화면과 상기 실행된 게임에 참가하는 모든 이동 단말기에 공통으로 제공할 공통 게임 화면과 상기 통신 연결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제공할 게임 정보를 각각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자기 게임 화면을 표시하며 상기 생성된 공통 게임 화면을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며 상기 생성된 게임 정보를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1 이동 단말기;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공통 게임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게임 정보를 근거로 단말기 자체에 표시할 제2 자기 게임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2 자기 게임 화면을 표시하는 제2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임의의 기능이 선택될 때, 상기 실행된 게임 앱을 통해 상기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수행된 기능 결과 화면을 상기 게임 앱을 통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에 표시하며, 상기 선택된 기능을 근거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표시할 공통 게임 화면을 생성하여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생성된 공통 게임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시스템.
  4.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며 미러링 기능을 포함하는 특정 라이브러리가 포함된 게임 앱을 포함하는 제1 이동 단말기와, 슬레이브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라이브러리가 포함된 게임 앱을 포함하는 제2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게임 시스템에 있어서,
    설치된 상기 게임 앱이 실행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하나 이상의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단말기 자체에 표시할 게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자기 게임 화면과 상기 실행된 게임에 참가하는 모든 이동 단말기에 공통으로 제공할 공통 게임 화면과 상기 통신 연결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제공할 게임 정보를 각각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자기 게임 화면을 표시하며 상기 생성된 공통 게임 화면을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며 상기 생성된 게임 정보를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1 이동 단말기;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공통 게임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게임 정보를 근거로 단말기 자체에 표시할 제2 자기 게임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2 자기 게임 화면을 표시하는 제2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임의의 다른 기능이 선택될 때, 상기 실행된 게임 앱을 통해 상기 선택된 다른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수행된 기능 결과 화면을 상기 게임 앱을 통해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표시하며, 상기 선택된 다른 기능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다른 기능에 대한 제어 정보를 근거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표시할 공통 게임 화면을 생성하고,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생성된 공통 게임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시스템.
  6.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며 미러링 기능을 포함하는 특정 라이브러리가 포함된 게임 앱을 포함하는 제1 이동 단말기와, 슬레이브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라이브러리가 포함된 게임 앱을 포함하는 제2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게임 시스템에 있어서,
    설치된 상기 게임 앱이 실행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하나 이상의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단말기 자체에 표시할 게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자기 게임 화면과 상기 실행된 게임에 참가하는 모든 이동 단말기에 공통으로 제공할 공통 게임 화면과 상기 통신 연결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제공할 게임 정보를 각각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자기 게임 화면을 표시하며 상기 생성된 공통 게임 화면을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며 상기 생성된 게임 정보를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1 이동 단말기;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공통 게임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게임 정보를 근거로 단말기 자체에 표시할 제2 자기 게임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2 자기 게임 화면을 표시하는 제2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추가 연결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구비된 하나 이상의 추가 연결 장치를 통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와 통신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시스템.
  7. 삭제
  8.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며 미러링 기능을 포함하는 특정 라이브러리가 포함된 게임 앱을 포함하는 제1 이동 단말기와, 슬레이브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라이브러리가 포함된 게임 앱을 포함하는 제2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게임 시스템의 게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게임 앱이 실행될 때,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에 인접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를 통해, 단말기 자체에 표시할 게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자기 게임 화면, 상기 실행된 게임에 참가하는 모든 이동 단말기에 공통으로 제공할 공통 게임 화면 및, 상기 통신 연결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제공할 게임 정보를 각각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게임 앱이 실행될 때,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인접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를 통해, 상기 생성된 제1 자기 게임 화면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에 표시하고, 상기 생성된 공통 게임 화면을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생성된 게임 정보를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공통 게임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게임 정보를 근거로 단말기 자체에 표시할 제2 자기 게임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2 자기 게임 화면을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자기 게임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제1 자기 게임 화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와, 상기 공통 게임 화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제공할 게임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각각 생성하며,
    상기 제1 자기 게임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를 통해, 상기 생성된 제1 자기 게임 화면을 표시할 때, 상기 제1 자기 게임 화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상기 제1 자기 게임 화면과 동기화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시스템의 게임 방법.
  9.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며 미러링 기능을 포함하는 특정 라이브러리가 포함된 게임 앱을 포함하는 제1 이동 단말기와, 슬레이브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라이브러리가 포함된 게임 앱을 포함하는 제2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게임 시스템의 게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게임 앱이 실행될 때,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에 인접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를 통해, 단말기 자체에 표시할 게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자기 게임 화면, 상기 실행된 게임에 참가하는 모든 이동 단말기에 공통으로 제공할 공통 게임 화면 및, 상기 통신 연결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제공할 게임 정보를 각각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게임 앱이 실행될 때,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인접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를 통해, 상기 생성된 제1 자기 게임 화면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에 표시하고, 상기 생성된 공통 게임 화면을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생성된 게임 정보를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공통 게임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게임 정보를 근거로 단말기 자체에 표시할 제2 자기 게임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2 자기 게임 화면을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임의의 기능이 선택될 때, 상기 실행된 게임 앱을 통해 상기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를 통해, 상기 수행된 기능 결과 화면을 상기 게임 앱을 통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를 통해, 상기 선택된 기능을 근거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표시할 공통 게임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를 통해,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생성된 공통 게임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공통 게임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시스템의 게임 방법.
  10.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며 미러링 기능을 포함하는 특정 라이브러리가 포함된 게임 앱을 포함하는 제1 이동 단말기와, 슬레이브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라이브러리가 포함된 게임 앱을 포함하는 제2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게임 시스템의 게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게임 앱이 실행될 때,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에 인접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를 통해, 단말기 자체에 표시할 게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자기 게임 화면, 상기 실행된 게임에 참가하는 모든 이동 단말기에 공통으로 제공할 공통 게임 화면 및, 상기 통신 연결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제공할 게임 정보를 각각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게임 앱이 실행될 때,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인접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를 통해, 상기 생성된 제1 자기 게임 화면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에 표시하고, 상기 생성된 공통 게임 화면을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생성된 게임 정보를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공통 게임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게임 정보를 근거로 단말기 자체에 표시할 제2 자기 게임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2 자기 게임 화면을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임의의 다른 기능이 선택될 때, 상기 실행된 게임 앱을 통해 상기 선택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를 통해, 상기 수행된 기능 결과 화면을 상기 게임 앱을 통해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를 통해, 선택된 다른 기능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다른 기능에 대한 제어 정보를 근거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표시할 공통 게임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를 통해,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생성된 공통 게임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공통 게임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시스템의 게임 방법.
KR1020120053469A 2012-05-21 2012-05-21 게임 시스템 및 그의 게임 방법 KR101202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469A KR101202446B1 (ko) 2012-05-21 2012-05-21 게임 시스템 및 그의 게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469A KR101202446B1 (ko) 2012-05-21 2012-05-21 게임 시스템 및 그의 게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2446B1 true KR101202446B1 (ko) 2012-11-16

Family

ID=47564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469A KR101202446B1 (ko) 2012-05-21 2012-05-21 게임 시스템 및 그의 게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44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0014A (ja) 2005-06-21 2007-01-11 Kaneka Corp ポリエステル中dnaの定量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0014A (ja) 2005-06-21 2007-01-11 Kaneka Corp ポリエステル中dnaの定量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7789B2 (e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in portable terminal
WO2018126885A1 (zh) 一种游戏数据处理的方法
CN103414630B (zh) 网络互动方法和相关装置及通信系统
EP252342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Data Between Different Network Devices
EP273513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ata entry content to a remote environment
US8719001B1 (en) Remote configuration of widgets
WO2015172704A1 (en) To-be-shared interface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CN105447124B (zh) 虚拟物品分享方法和装置
CN103298529A (zh) 用于管理视频游戏中的用户输入的装置和方法
US9561434B2 (en) Ranking list display method in game system, and system for executing the method
WO2016188252A1 (zh) 参考内容展示的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
US9965733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updating user data based on a completion status of a combination of business task and conversation task
CN103473010B (zh) 一种辅助绘画的方法和装置
JP6591801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2539732B1 (ko) 단말 제어 시스템 및 단말 제어 방법
KR102330576B1 (ko) 노래방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202446B1 (ko) 게임 시스템 및 그의 게임 방법
US20130205253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pleting schedule information,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KR101188684B1 (ko) 콘텐츠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94704A (ko) 단말기를 이용한 게임데이터 표시 방법 및 시스템
KR20130101801A (ko) 콘텐츠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JP6702922B2 (ja) 制御プログラム、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
JP6955423B2 (ja) プログラム、ゲーム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ゲームシステム
CN114100122A (zh) 一种场景位面的显示方法、相关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US10293250B2 (en) Game device, game system,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