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276B1 - 디지털 고주파 기억장치를 이용한 재밍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고주파 기억장치를 이용한 재밍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276B1
KR101202276B1 KR1020120095616A KR20120095616A KR101202276B1 KR 101202276 B1 KR101202276 B1 KR 101202276B1 KR 1020120095616 A KR1020120095616 A KR 1020120095616A KR 20120095616 A KR20120095616 A KR 20120095616A KR 101202276 B1 KR101202276 B1 KR 101202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mming
signal
pulse
time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영
최혁재
이규송
류정호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20095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2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38Jamming means, e.g. producing false echo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74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76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pulse-type signals are transmitted
    • G01S13/78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pulse-type signals are transmitted discriminating between different kinds of targets, e.g. IFF-radar, i.e. identification of friend or fo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21Auxiliary means for detecting or identifying radar signals or the like, e.g. radar jamming sig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28Details of puls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밍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디지털 고주파 기억장치(DRFM: Digital Radio Frequency Memory)를 이용하여 속도 기만 재밍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상기된 본 발명에 의하면, 레이더 표적반사신호의 도플러 주파수 천이값을 변경하면서 시간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도플러주파수 천이된 재밍 펄스를 발생시킴으로써 도플러 레이더의 속도게이트를 기만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고주파 기억장치를 이용한 재밍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jamming signals using Digital Radio Frequency Memory}
본 발명은 재밍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디지털 고주파 기억장치(DRFM: Digital Radio Frequency Memory)를 이용하여 속도 기만 재밍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더 시스템은 지속파(Continuous Wave) 혹은 변조된 펄스 신호를 표적에 송신하고, 표적으로부터 반사된 신호에 기초해 표적까지의 거리 및 표적의 속도를 측정한다.
이러한 레이더 시스템에 대응하기 위하여 레이더 신호와 유사한 신호를 레이더 신호에 부가함으로써 목표물을 가장하여 레이더가 그릇된 표적을 취득하도록 하며 이러한 대응을 재밍이라고 한다.
현재 레이더 기술의 발전으로 동일 위상의 전자파를 검출하는 방식의 레이더가 주로 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레이더 시스템을 재밍하기 위한 핵심장치로 디지털 고주파 기억장치(이하 DRFM)가 있다. DRFM은 동일 위상 전파를 송/수신하는 적 레이더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저장하고 동일 위상으로 복원하여 재밍 신호를 송신하는 장비이다.
DRFM은 입력 고주파 신호를 고속 샘플링 및 AD 변환하여 위상을 추출한 후 디지털화하여 메모리에 저장한다. 저장된 디지털 신호를 고주파 신호가 필요한 시점에 DA 변환 후 시간지연이나 주파수 천이, 잡음 발생 등의 기법을 적용하여 재밍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DRFM을 이용한 레이더 시스템 재밍 기법으로는 거리 기만(Range Gate Pull Off, RGPO) 재밍, 속도 기만(Velocity Gate Pull Off, VGPO) 재밍, 잡음 재밍, 각도 재밍, 복합 재밍 기법 등이 있다.
이러한 재밍기법중 속도 기만 재밍 기법은 위협 레이더 표적 반사 신호의 도플러 주파수를 점차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켜 고출력으로 방사하여 레이더의 속도 게이트가 기만 재밍신호를 추적하도록 하여 추적을 차단시키는 기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속도 기만 재밍 기법에 의하면 효과적인 속도 기만 재밍을 구현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1.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07-0016394호 2.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12-0014436호 3.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10-0088491호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효과적인 속도 기만 재밍을 위하여 주파수 천이된 펄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재밍신호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효과적인 속도 기만 재밍을 위하여 주파수 천이된 펄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재밍신호 발생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디지털 고주파 기억장치(DRFM: Digital Radio Frequency Memory)를 이용한 재밍신호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재밍 신호 발생 장치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레이더 펄스 신호의 표적반사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재밍 데이터 파라미터를 할당하는 재밍데이터 할당부; 할당된 재밍 데이터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적용시간 테이블 정보를 생성하는 재밍데이터 생성부; 생성된 적용시간 테이블 정보를 이용하여 적용시간 마다 상기 재밍 데이터 파라미터의 값을 갱신하고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재밍 펄스 제어부; 생성된 인에이블 신호에 동기되어 갱신된 재밍 데이터 파라미터의 값에 대응하는 재밍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재밍 펄스 발생부; 및 생성된 재밍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재밍 펄스 신호인 상기 표적반사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DRFM(Digital Radio Frequency Memory);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재밍 데이터 파라미터는 재밍 주파수 천이값(Frequency Shift, FS), 재밍 펄스폭(pulse width, PW), 레이더 펄스 신호의 펄스 반복 주기(pulse repetition interval, PRI), 및 주파수천이 적용형태(Curve Type)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재밍 데이터 파라미터는 속도기만 재밍 기법을 이용하며, 주파수를 끄는 형태에 따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용시간 테이블 값의 갱신은 상기 재밍 펄스 제어부에서 시간 타이머에 의하여 카운트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재밍 주파수천이값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이산값들로 미리 정의되고, 상기 재밍 펄스 제어부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재밍 주파수천이값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용시간 테이블 정보는 상기 재밍 데이터 파라미터 및 적용시간의 형태가 S 커브, J 커브, 및 L커브 형태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S 커브 형태는 속도 가속구간에서 재밍 천이주파수가 시간적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속도 감속구간에서 느리게 증가하는 형태이며, 상기 J 커브 형태는 속도 가속 구간에서 재밍 천이주파수가 시간적으로 빠르게 증가하는 형태이며, 상기 L 커브 형태는 속도 가속없이 재밍 천이주파수가 일정하게 증가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재밍 펄스 제어부는 상기 재밍 파라미터를 적용할 시점을 참조할 수 있는 적용 시간을 카운트하여 각 단계별 참조할 수 있는 시간을 초과하면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교기는 상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이산값들 중 최대값 또는 최소값에 도달하였을 때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이산값의 최초값으로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재밍데이터 할당부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레이더 펄스 신호의 표적반사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재밍 데이터 파라미터를 할당하는 할당 단계; 재밍데이터 생성부가 할당된 재밍 데이터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적용시간 테이블 정보를 생성하는 적용 테이블 정보 생성 단계; 재밍 펄스 제어부가 생성된 적용시간 테이블 정보를 이용하여 적용시간 마다 상기 재밍 데이터 파라미터의 값을 갱신하고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갱신 단계; 재밍 펄스 발생부가 생성된 인에이블 신호에 동기되어 갱신된 재밍 데이터 파라미터의 값에 대응하는 재밍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재밍 제어 신호 생성 단계; 및 DRFM(Digital Radio Frequency Memory)가 생성된 재밍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재밍 펄스 신호인 상기 표적반사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송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고주파 기억장치를 이용한 재밍신호 발생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갱신 단계는, 상기 재밍 펄스 제어부의 비교기가 상기 재밍 파라미터를 적용할 시점을 참조할 수 있는 적용 시간을 카운트하여 각 단계별 참조할 수 있는 시간을 초과하면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된 본 발명에 의하면, 레이더 표적반사신호의 도플러 주파수 천이값을 변경하면서 시간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도플러주파수 천이된 재밍 펄스를 발생시킴으로써 도플러 레이더의 속도게이트를 기만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속도 기만 재밍신호 발생 장치(100)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재밍 데이터 생성부(120)에서 적용 시간 테이블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재밍 데이터 생성부(120)에서 적용 시간 테이블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재밍 데이터 생성부(120)에서 적용 시간 테이블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속도 기만 재밍 방법에 따른 실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속도 기만 재밍신호 발생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고주파 기억장치를 이용한 재밍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속도 기만 재밍신호 발생 장치(100)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속도 기만 재밍신호 발생 장치(100)는, 재밍데이터 할당부(110), 재밍데이터 생성부(120), 재밍 펄스 제어부(130), 재밍 펄스 발생부(1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들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재밍데이터 할당부(110)는 재밍 신호 생성을 위한 각종 재밍 데이터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상기 각종 재밍 데이터 파라미터로는 재밍 주파수 천이값(Frequency Shift, FS), 재밍 펄스폭(pulse width, PW), 레이더 펄스 신호의 펄스 반복 주기(pulse repetition interval, PRI), 주파수천이 적용형태(Curve Type) 등이 있다. 이에 관하여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해 후술하기로 한다.
재밍데이터 할당부(120)가 제공하는 재밍 주파수 천이값(Frequency Shift)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변경되는 값으로서, 예를 들어 레이더 펄스 반사신호의 도플러 주파수가 점차 증가되는 값일 수 있다.
여기서 시간에 따른 주파수 증가는 연속적일 필요는 없고 특정 시간마다 불연속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최초의 주파수 천이값이 0이고 그 후 시간에 따라 증가된다면, 레이더 펄스 신호의 표적반사 신호와 동일한 도플러 주파수의 신호가 발생하였다가 점차 도플러 주파수가 증가하는 형태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레이더 신호보다 에너지가 큰 이러한 재밍 신호를 레이더 측에서 수신하게 되면 실제 표적의 속도보다 빠른 것처럼 오인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재밍 주파수 천이값(Frequency Shift)은 레이더 펄스 반사신호의 도플러 주파수가 점차 감소되는 값일 수 있다. 최초의 주파수 천이값이 0이고 그 후 시간에 따라 감소된다면, 레이더 펄스 신호의 표적반사 신호와 동일한 도플러 주파수의 신호가 발생하였다가 점차 도플러 주파수가 감소하는 형태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레이더 신호보다 에너지가 큰 이러한 재밍 신호를 레이더 측에서 수신하게 되면 실제 표적의 속도보다 느린 것처럼 오인하게 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재밍데이터 생성부(120)는 재밍데이터 할당부(110)로부터 입력받은 파라미터를 기초로 하여 레이더 펄스 신호의 표적반사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주파수 천이값 및 주파수천이값을 적용하기 위한 시간을 계산하여 주파수 천이값과 각 주파수 천이값에 해당하는 적용시간 테이블을 생성한다.
재밍데이터 생성부(120)가 생성하는 주파수 천이값 적용시간 테이블은 적용시간의 형태에 따라서 S커브, J커브, L커브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적용시간 테이블의 생성 과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며, 도 2 내지 도 4는 적용시간 형태에 따른 테이블 생성 과정을 나타낸다. 이에 대하여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해 후술하기로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재밍 펄스 제어부(130)는 재밍데이터 생성부(120)에서 생성한 주파수 천이에 대한 적용시간 테이블 값을 기초로 하여 현재 상기 주파수 천이를 적용할 시점을 참조할 수 있는 시간 테이블 값을 카운트하여 각 주파수천이 단계별 참조할 수 있는 시간을 초과하면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여 재밍 펄스 발생부의 주파수 천이값 증가를 위한 동기신호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재밍 펄스 발생부(140)는 재밍 펄스 제어부(130)로부터 주파수 천이값 증가를 위한 동기신호를 입력받았을 경우 재밍데이터 생성부로부터의 주파수천이값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 재밍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DRFM(150)은 동일 위상 전파를 송/수신하는 적 레이더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저장하고 동일 위상으로 복원하여 재밍 펄스 신호를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DRFM(150)은 입력 고주파 신호를 고속 샘플링 및 AD(Analog-Digital) 변환하여 위상을 추출한 후 디지털화하여 메모리에 저장한다. 저장된 디지털 신호를 고주파 신호가 필요한 시점에 DA(Digital-Analog) 변환 후 시간지연이나 주파수 천이, 잡음 발생 등의 기법을 적용하여 재밍 펄스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DRFM(150)의 구성에 대하여는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재밍 데이터 생성부(120)에서 적용 시간 테이블 정보(210)를 생성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부연하면, 도 2는 주파수천이 적용시간의 형태가 S커브인 테이블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S커브는 속도 가속구간에서 도플러주파수가 시간적으로 빠르게 증가하였다가 속도 감속구간에서 느리게 증가하는 형태이다.
또한, 도 2에서 그래프(200)는 S커브의 갱신 시간(t)과 주파수천이값(Freq Shift)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그래프(200)는 도플러주파수가 시간적으로 빠르게 증가하기를 바라는 가속도 값과, 시간적으로 느리게 증가하는 감속도 값에 따라 각각의 단계별 주파수 천이값(0, 1, 2, ... Max_FreqShift)의 적용 시간(t0, t1, t2, ... tmax)을 나타낸다. 적용시간을 구하는 수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2070040851-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12070040851-pat00002
는 가속시간(Acc Time)이고, a1은 가속도, a2는 감속도이며, C는 상수이고, f는 주파수이다.
Figure 112012070040851-pat00003
여기서,
Figure 112012070040851-pat00004
는 감속시간(Dec Time)이다.
Figure 112012070040851-pat00005
여기서,
Figure 112012070040851-pat00006
는 가속구간에서의 시간을 나타낸다.
Figure 112012070040851-pat00007
여기서,
Figure 112012070040851-pat00008
는 감속구간에서의 시간을 나타낸다.
도 2를 계속 참조하면, 이러한 그래프와 수식 1 내지 4를 토대로 계산된 주파수 천이값 갱신 시간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이블(210) 형태로 작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그래프(200)의 ta 시간(최대 가속시간)까지는 가속도 a1로 주파수천이값이 증가하고, 주파수천이 유지시간(t)이 점점 감소하여 주파수천이값이 점점 빠르게 증가한다.
ta 시간 이후부터 ta+td(최대 감속시간)까지는 감속도 a2로 주파수천이값이 증가하여 주파수천이 유지시간(t)이 점점 감소하여 주파수천이값이 점점 느리게 증가한다. 최대 감속시간까지 주파수천이값은 계속 증가하게 되어 레이더에서 바라볼 때 실제 표적의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효과를 주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재밍 데이터 생성부(120)에서 적용 시간 테이블 정보(310)를 생성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부연하면, 도 3은 주파수천이 적용시간의 형태가 J커브인 적용시간 테이블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J커브는 속도 가속구간에서 도플러주파수가 시간적으로 빠르게 증가하는 형태이다.
도 3에서 그래프(300)는 J커브의 갱신 시간과 주파수천이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그래프(300)는 도플러주파수가 시간적으로 빠르게 증가하기를 바라는 가속도 값에 따라 각각의 단계별 주파수 천이값(0, 1, 2, ... Max_FreqShift)의 적용 시간(t0, t1, t2, ... tmax)을 나타낸다. 적용시간을 구하는 수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2070040851-pat00009
여기서,
Figure 112012070040851-pat00010
는 가속시간(Acc Time)을 나타낸다.
Figure 112012070040851-pat00011
여기서,
Figure 112012070040851-pat00012
는 가속구간에서의 시간을 나타낸다.
도 3을 계속 참조하면, 이러한 그래프(300)와 수식 5 내지 6을 토대로 계산된 주파수 천이값 갱신 시간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이블 형태로 작성될 수 있다.
도 3의 그래프(300)에서 ta 시간(최대 가속시간)까지 가속도 a1로 주파수천이값이 증가하고, 주파수천이 유지시간이 점점 감소하여 주파수천이값이 점점 빠르게 증가한다.
최대 감속시간까지 주파수천이값은 계속 증가하게 되어 레이더에서 바라볼 때 실제 표적의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레이더를 향해 다가오는 효과를 주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재밍 데이터 생성부(120)에서 적용 시간 테이블 정보(410)를 생성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부연하면, 도 4는 주파수천이 적용시간의 형태가 L커브인 테이블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L커브는 속도 가속이 없이 도플러주파수가 시간적으로 일정하게 증가하는 형태이다.
도 4에서 그래프(400)는 L커브의 갱신 시간과 주파수천이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그래프(400)는 도플러주파수가 시간적으로 일정하게 증가하기를 바라는 속도 값에 따라 각각의 단계별 주파수 천이값(0, 1, 2, ... Max_FreqShift)의 적용 시간(t0, t1, t2, ... tmax)을 나타낸다. 적용시간을 구하는 수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2070040851-pat00013
여기서,
Figure 112012070040851-pat00014
는 가속시간(Acc Time)이다.
Figure 112012070040851-pat00015
여기서,
Figure 112012070040851-pat00016
는 가속구간에서의 시간을 나타낸다.
이러한 그래프(400)와 수식 7 내지 8을 토대로 계산된 주파수 천이값 갱신 시간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이블 형태로 작성될 수 있다.
도 4에서 그래프(400)의 ta 시간(최대 가속시간)까지는 속도 v로 주파수천이값이 증가하여 주파수천이 유지시간이 일정하게 증가한다. 최대 감속시간까지 주파수천이값은 계속 증가하게 되어 레이더에서 바라볼 때 실제 표적의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레이더를 향해 다가오는 효과를 주게 된다.
위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주파수천이값 적용시간 테이블은 주파수 천이값이 마이너스로 감소하는 경우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도플러 주파수가 마이너스로 감소하게 될 경우 레이더에서 바라볼 때 실제 표적의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효과를 주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속도 기만 재밍(VGPO) 방법에 따른 실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fo는 실제 레이더 신호(500)의 주파수이고 fd는 레이더 표적반사신호(510)의 도플러 주파수이다. 여기서, fd는 다음식과 같다.
Figure 112012070040851-pat00017
따라서, 도 5는 레이더를 향해 속도
Figure 112012070040851-pat00018
로 접근하는 경우 레이더에 수신되는 주파수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도 5를 참조하면, 아무런 재밍 신호를 가하지 않을 경우 레이더는 fo+fd 주파수를 이용하여 목표물을 인지하게 되는데 속도 기만 재밍 기법에 따라 재밍 신호(520)를 가할 경우, 실제표적반사 신호(510)의 도플러주파수보다 △f1, △f2, △f3만큼 증가된 값(여기서, 이들 크기는 △f1 < △f2 < △f3이다)을 수신하게 되며 레이더를 향해 증가된 도플러주파수만큼 빠르게 접근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속도 기만 재밍신호 발생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속도 기만 재밍신호 발생 방법은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속도 기만 재밍신호 발생장치(도 1의 100)에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속도 기만 재밍신호 발생 장치(10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속도 기만 재밍신호 발생 방법에도 적용된다.
도 6을 참조하면, S610 단계에서 속도 기만 재밍신호 발생 장치(100)는 레이더 펄스 신호를 포착한다. 레이더 펄스 신호는 수신되는 신호의 포락선을 검출하여 레이더 펄스 신호를 포착할 수 있다.
S620 단계에서 속도 기만 재밍신호 발생 장치(100)는 원하는 재밍을 가하기 위한 재밍 제어 변수(또는, 재밍 데이터 파라미터라고도 명칭되며 이하에서는 재밍 데이터 파라미터로 기술한다)를 설정하게 되고 이러한 재밍 데이터 파라미터로서는 재밍 주파수 천이값(Frequency Shift), 재밍 펄스폭(pulse width, PW), 레이더 펄스 신호의 펄스 반복 주기(pulse repetition interval, PRI), 주파수천이 적용형태(Curve Type) 등을 들 수 있다.
S630 단계에서 재밍데이터 생성부(120)는 설정된 재밍 데이터 파라미터(도 6에서는 이해를 위해 주파수 천이값들을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를 기초로 하여 원하는 주파수천이 적용 형태에 따른 적용시간 테이블 정보(도 2 내지 도 4의 210,310,410)를 생성하게 된다. 물론, 도 6에서는 적용시간 테이블 정보가 주파수 천이 갱신 시간 테이블을 나타낸다.
S640 단계, S650 단계에서 속도 기만 재밍신호 발생 장치(100)는 병렬적으로 현재 설정된 도플러 주파수 값을 가지는 재밍 펄스를 발생시킨다.
S660 단계에서 속도 기만 재밍신호 발생 장치(100)는 주파수천이 갱신 시간이 도달하였는지 판단한다. 주파수천이 갱신 시간이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S640, S650 단계로 돌아가서 레이더 펄스 신호의 다음 펄스에 대하여 S640 또는 S650 단계를 반복한다.
속도 기만 재밍신호 발생 장치(100)는 주파수 천이 갱신 시간이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S670 단계로 진행하여 주파수 천이값을 갱신하고 S640, S650 단계로 돌아가서 레이더 펄스 신호의 다음 펄스에 대하여 S640 또는 S650 단계를 반복한다. 따라서 반복되는 S640, S650 단계에서는 증가 또는 감소된 주파수천이값에 따라서 재밍 펄스가 발생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속도 기만 재밍신호 발생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의 각각의 유닛들에 커플링된 버스(미도시), 상기 버스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명령, 수신된 메시지 또는 생성된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버스에 결합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명령들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속도 기만(Velocity Gate Pull Off, VGPO) 재밍 기법을 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거리 기만(Range Gate Pull Off, RGPO) 재밍, 잡음 재밍, 각도 재밍, 복합 재밍 기법 등에도 응용을 통해 적용될 수 있다.
100: 속도 기만 재밍신호 발생 장치
110: 재밍데이터 할당부
120: 재밍데이터 생성부
130: 재밍펄스 제어부
140: 재밍 펄스 생성부
150: DRFM(Digital Radio Frequency Memory)

Claims (15)

  1. 시간의 경과에 따라 레이더 펄스 신호의 표적반사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재밍 데이터 파라미터를 할당하는 재밍데이터 할당부;
    할당된 재밍 데이터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적용시간 테이블 정보를 생성하는 재밍데이터 생성부;
    생성된 적용시간 테이블 정보를 이용하여 적용시간 마다 상기 재밍 데이터 파라미터의 값을 갱신하고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재밍 펄스 제어부;
    생성된 인에이블 신호에 동기되어 갱신된 재밍 데이터 파라미터의 값에 대응하는 재밍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재밍 펄스 발생부; 및
    생성된 재밍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재밍 펄스 신호인 상기 표적반사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DRFM(Digital Radio Frequency Memory);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고주파 기억장치를 이용한 재밍신호 발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밍 데이터 파라미터는 재밍 주파수 천이값(Frequency Shift, FS), 재밍 펄스폭(pulse width, PW), 레이더 펄스 신호의 펄스 반복 주기(pulse repetition interval, PRI), 및 주파수천이 적용형태(Curve Type)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고주파 기억장치를 이용한 재밍신호 발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밍 데이터 파라미터는 속도 기만 재밍 기법을 이용하며, 주파수를 끄는 형태에 따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고주파 기억장치를 이용한 재밍신호 발생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시간 테이블 값의 갱신은 상기 재밍 펄스 제어부에서 시간 타이머에 의하여 카운트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고주파 기억장치를 이용한 재밍신호 발생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밍 주파수천이값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이산값들로 미리 정의되고, 상기 재밍 펄스 제어부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재밍 주파수천이값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고주파 기억장치를 이용한 재밍신호 발생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시간 테이블 정보는 상기 재밍 데이터 파라미터 및 적용시간의 형태가 S 커브, J 커브, 및 L커브 형태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S 커브 형태는 속도 가속구간에서 재밍 천이주파수가 시간적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속도 감속구간에서 느리게 증가하는 형태이며, 상기 J 커브 형태는 속도 가속 구간에서 재밍 천이주파수가 시간적으로 빠르게 증가하는 형태이며, 상기 L 커브 형태는 속도 가속없이재밍 천이주파수가 일정하게 증가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고주파 기억장치를 이용한 재밍신호 발생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밍 펄스 제어부는 상기 재밍 파라미터를 적용할 시점을 참조할 수 있는 적용 시간을 카운트하여 각 단계별 참조할 수 있는 시간을 초과하면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고주파 기억장치를 이용한 재밍신호 발생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는 상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이산값들 중 최대값 또는 최소값에 도달하였을 때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이산값의 최초값으로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고주파 기억장치를 이용한 재밍신호 발생 장치.
  9. 재밍데이터 할당부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레이더 펄스 신호의 표적반사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재밍 데이터 파라미터를 할당하는 할당 단계;
    재밍데이터 생성부가 할당된 재밍 데이터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적용시간 테이블 정보를 생성하는 적용 테이블 정보 생성 단계;
    재밍 펄스 제어부가 생성된 적용시간 테이블 정보를 이용하여 적용시간 마다 상기 재밍 데이터 파라미터의 값을 갱신하고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갱신 단계;
    재밍 펄스 발생부가 생성된 인에이블 신호에 동기되어 갱신된 재밍 데이터 파라미터의 값에 대응하는 재밍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재밍 제어 신호 생성 단계; 및
    DRFM(Digital Radio Frequency Memory)가 생성된 재밍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재밍 펄스 신호인 상기 표적반사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송출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고주파 기억장치를 이용한 재밍신호 발생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밍 데이터 파라미터는 재밍 주파수 천이값(Frequency Shift, FS), 재밍 펄스폭(pulse width, PW), 레이더 펄스 신호의 펄스 반복 주기(pulse repetition interval, PRI), 및 주파수천이 적용형태(Curve Type)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고주파 기억장치를 이용한 재밍신호 발생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밍 데이터 파라미터는 속도 기만 재밍 기법을 이용하며, 주파수를 끄는 형태에 따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고주파 기억장치를 이용한 재밍신호 발생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시간 테이블 값의 갱신은 상기 재밍 펄스 제어부에서 시간 타이머에 의하여 카운트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고주파 기억장치를 이용한 재밍신호 발생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밍 주파수천이값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이산값들로 미리 정의되고, 상기 재밍 펄스 제어부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재밍 주파수천이값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고주파 기억장치를 이용한 재밍신호 발생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시간 테이블 정보는 상기 재밍 데이터 파라미터 및 적용시간의 형태가 S 커브, J 커브, 및 L커브 형태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S 커브 형태는 속도 가속구간에서 재밍 천이주파수가 시간적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속도 감속구간에서 느리게 증가하는 형태이며, 상기 J 커브 형태는 속도 가속 구간에서 재밍 천이주파수가 시간적으로 빠르게 증가하는 형태이며, 상기 L 커브 형태는 속도 가속없이재밍 천이주파수가 일정하게 증가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고주파 기억장치를 이용한 재밍신호 발생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단계는, 상기 재밍 펄스 제어부의 비교기가 상기 재밍 파라미터를 적용할 시점을 참조할 수 있는 적용 시간을 카운트하여 각 단계별 참조할 수 있는 시간을 초과하면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고주파 기억장치를 이용한 재밍신호 발생 방법.
KR1020120095616A 2012-08-30 2012-08-30 디지털 고주파 기억장치를 이용한 재밍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 KR101202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616A KR101202276B1 (ko) 2012-08-30 2012-08-30 디지털 고주파 기억장치를 이용한 재밍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616A KR101202276B1 (ko) 2012-08-30 2012-08-30 디지털 고주파 기억장치를 이용한 재밍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2276B1 true KR101202276B1 (ko) 2012-11-16

Family

ID=47564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616A KR101202276B1 (ko) 2012-08-30 2012-08-30 디지털 고주파 기억장치를 이용한 재밍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276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646B1 (ko) * 2013-12-03 2015-03-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 재머 환경에서의 doa 추정 장치 및 방법
KR101534662B1 (ko) * 2013-11-19 2015-07-07 국방과학연구소 위성항법 복합 재밍신호 발생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105388464A (zh) * 2015-12-22 2016-03-09 河海大学 一种对抗数字射频存储转发干扰的多雷达干扰抑制方法
KR20180119422A (ko) * 2017-04-25 2018-11-02 국방과학연구소 펄스 추적 장치
CN109444830A (zh) * 2018-07-25 2019-03-08 长沙理工大学 对多载波相位编码雷达信号的间歇采样转发干扰
KR20190084672A (ko) * 2018-01-09 2019-07-17 국방과학연구소 교란 신호에 대한 보호 시스템, 장치 및 방법
RU2718698C1 (ru) * 2019-09-16 2020-04-1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ё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ая академия воздушно-космической обороны имени Маршала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Г.К. Жукова" Министерства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пособ функционирования импульсно-доплеровской бортовой радиолокационной станции с распознаванием постановщиков помех типа DRFM при обнаружении группы самолётов
RU2724116C1 (ru) * 2019-12-30 2020-06-22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ё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ая академия воздушно-космической обороны имени Маршала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Г.К. Жукова" Министерства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пособ функционирования импульсно-доплеровской бортовой радиолокационной станции истребителя при воздействии по основному лепестку диаграммы направленности антенны помехи типа DRFM
CN112904290A (zh) * 2021-01-26 2021-06-04 西安电子科技大学 一种雷达智能认知抗干扰策略的生成方法
KR20210079897A (ko) * 2019-12-20 2021-06-30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레이더 기만 장치의 hils 시스템 및 시뮬레이션 방법
KR20230055250A (ko) * 2021-10-18 2023-04-2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재밍 대상신호의 유효 여부를 고려한 재밍 신호 발생장치 및 그를 위한 방법
CN116520262A (zh) * 2023-06-25 2023-08-01 成都华兴汇明科技有限公司 基于矢量信号源的雷达干扰信号生成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095B1 (ko) 2009-11-23 2011-07-15 국방과학연구소 재밍 신호의 간섭 제거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그리고 재밍 신호의 간섭 제거 장치를 이용한 재밍 신호 발생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095B1 (ko) 2009-11-23 2011-07-15 국방과학연구소 재밍 신호의 간섭 제거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그리고 재밍 신호의 간섭 제거 장치를 이용한 재밍 신호 발생 시스템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662B1 (ko) * 2013-11-19 2015-07-07 국방과학연구소 위성항법 복합 재밍신호 발생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498646B1 (ko) * 2013-12-03 2015-03-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 재머 환경에서의 doa 추정 장치 및 방법
CN105388464A (zh) * 2015-12-22 2016-03-09 河海大学 一种对抗数字射频存储转发干扰的多雷达干扰抑制方法
KR20180119422A (ko) * 2017-04-25 2018-11-02 국방과학연구소 펄스 추적 장치
KR102019875B1 (ko) 2017-04-25 2019-09-09 국방과학연구소 펄스 추적 장치
KR102151641B1 (ko) * 2018-01-09 2020-09-03 국방과학연구소 교란 신호에 대한 보호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190084672A (ko) * 2018-01-09 2019-07-17 국방과학연구소 교란 신호에 대한 보호 시스템, 장치 및 방법
CN109444830A (zh) * 2018-07-25 2019-03-08 长沙理工大学 对多载波相位编码雷达信号的间歇采样转发干扰
RU2718698C1 (ru) * 2019-09-16 2020-04-1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ё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ая академия воздушно-космической обороны имени Маршала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Г.К. Жукова" Министерства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пособ функционирования импульсно-доплеровской бортовой радиолокационной станции с распознаванием постановщиков помех типа DRFM при обнаружении группы самолётов
KR102295191B1 (ko) * 2019-12-20 2021-08-30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레이더 기만 장치의 hils 시스템 및 시뮬레이션 방법
KR20210079897A (ko) * 2019-12-20 2021-06-30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레이더 기만 장치의 hils 시스템 및 시뮬레이션 방법
RU2724116C1 (ru) * 2019-12-30 2020-06-22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ё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ая академия воздушно-космической обороны имени Маршала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Г.К. Жукова" Министерства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пособ функционирования импульсно-доплеровской бортовой радиолокационной станции истребителя при воздействии по основному лепестку диаграммы направленности антенны помехи типа DRFM
CN112904290A (zh) * 2021-01-26 2021-06-04 西安电子科技大学 一种雷达智能认知抗干扰策略的生成方法
CN112904290B (zh) * 2021-01-26 2023-12-26 西安电子科技大学 一种雷达智能认知抗干扰策略的生成方法
KR20230055250A (ko) * 2021-10-18 2023-04-2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재밍 대상신호의 유효 여부를 고려한 재밍 신호 발생장치 및 그를 위한 방법
KR102628750B1 (ko) * 2021-10-18 2024-01-23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재밍 대상신호의 유효 여부를 고려한 재밍 신호 발생장치 및 그를 위한 방법
CN116520262A (zh) * 2023-06-25 2023-08-01 成都华兴汇明科技有限公司 基于矢量信号源的雷达干扰信号生成方法及系统
CN116520262B (zh) * 2023-06-25 2023-10-17 成都华兴汇明科技有限公司 基于矢量信号源的雷达干扰信号生成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2276B1 (ko) 디지털 고주파 기억장치를 이용한 재밍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
CN107430189B (zh) 使用调频连续波雷达的手势辨识
EP3572828B1 (en) Combined radar and communications system using common signal waveform
EP3440477B1 (en) Universal coherent technique generator
US9581682B2 (en) 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 radar device, and object detection method using continuous wave thereof
JP4392409B2 (ja) レーダ装置
AU2013237191B2 (en) Detection techniques
US7460058B2 (en) Radar
EP2006709B1 (en) Object detection
US97150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voiding DC bias in a homodyne receiver
KR101135982B1 (ko) 주파수 변조 연속파 레이다에서 간섭 제거를 위한 시스템 간 동기화 방법
JP2013213761A (ja) レーダ装置、車載レーダ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210181328A1 (en) Sensing method and sensing device
EP124811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Target Signal and Obstacle Detection System
JP5554384B2 (ja) Fmcwレーダ装置およびfmcwレーダ用信号処理方法
WO2020218925A1 (en) Processing of radar signals for fmcw radar
JP2007033287A (ja) パルス波レーダー装置
Sun et al. Optimization of diverse PCFM waveforms and joint mismatched filters
Hyun et al. FPGA based signal processing module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FMCW vehicle radar systems
JP2019100956A (ja) レーダ装置
JP2018115930A (ja) レーダ装置および物標検出方法
JP6861906B2 (ja) レーダ装置及び信号処理方法
JPH085732A (ja) レーダ装置
JP5150113B2 (ja) レーダ装置
JP2005241264A (ja) レー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