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1951B1 - 히터 자켓 - Google Patents

히터 자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1951B1
KR101201951B1 KR1020120029494A KR20120029494A KR101201951B1 KR 101201951 B1 KR101201951 B1 KR 101201951B1 KR 1020120029494 A KR1020120029494 A KR 1020120029494A KR 20120029494 A KR20120029494 A KR 20120029494A KR 101201951 B1 KR101201951 B1 KR 101201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s
heater
hinge
cover
heater j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9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덕
Original Assignee
김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덕 filed Critical 김영덕
Priority to KR1020120029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19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1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1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8Apparatus for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하고 견고한 히터 자켓이 개시된다. 개시된 히터 자켓은, 서로 결합되어 원형을 이루는 제1 및 제2 하프 자켓(half jacket)과, 상기 제1 및 제2 하프 자켓이 파이프를 감싸도록 제1 및 제2 하프 자켓을 서로 결합시키는 연결 부재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하프 자켓은, 단면이 반원호(half circular arc)형인 제1, 2 외측 커버와, 상기 파이프 또는 튜브를 수용하도록 파여진 중앙 그루브(groove)를 구비하고, 상기 제1, 2 외측 커버와의 사이에 각각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2 외측 커버와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 2 외측 커버보다 열전도율이 높은 제1, 2 내측 커버와,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제1, 2 외측 커버와 각각 접하도록 형성된 제1, 2 단열재 및 상기 제1, 2 단열재 및 제1, 2 내측 커버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제1, 2 히터(heater)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2 외측 커버 일측단부 사이를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 결합부재와, 상기 제1, 2 외측 커버 타측단부 사이를 분리 가능하도록 밀착 결합시키는 분리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히터 자켓{Heater jacket}
본 발명은 히터 자켓에 관한 것으로,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하고 견고한 히터 자켓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액정 제조 공정이나 화학 제품 제조 공정에서 파이프나 튜브를 통해 수송되는 액체 또는 기체는 특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되지 못하면 고체화되어 파이프나 튜브를 폐쇄할 수도 있고, 이로 인해 제품 불량이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파이프나 튜브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파이프나 튜브를 감싸는 히터 자켓(heater jacket)이 사용된다.
종래의 히터 자켓에는 대표적으로 실리콘 러버(silicone rubber) 타입과 맨틀(mantle) 타입이 있다. 실리콘 러버 타입은 실리콘 러버로 파이프 또는 튜브의 외주변을 감싸는 것으로, 발열체를 이용하여 파이프 또는 튜브 주위를 섭씨 200도 이상으로 가열해야 하는 상황에는 실리콘 러버가 녹아(경화) 내릴 수 있어 적합하지 않다.
맨틀 타입은 발열체를 포함하는, 편평하고 유연한 발열 매트(mat)를 구비하며, 이 발열 매트로를 파이프 또는 튜브의 외주면을 감싸고 분리되지 않게 고정하여 설치한다. 그런데, 발열 매트는 인력에 의한 재봉질을 통해 제조되므로 생산성이 낮고, 인건비의 지속적 상승으로 인해 제조 비용이 높다.
본 발명은 섭씨 200도 이상의 고온 발열 상황에서도 적용 가능하고, 생산성도 높은 히터 자켓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 비용도 낮고, 파이프 또는 튜브에 설치도 용이한 히터 자켓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히터 자켓은, 서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 하프 자켓(half jacket)과, 상기 제1 및 제2 하프 자켓이 파이프를 감싸도록 제1 및 제2 하프 자켓을 서로 결합시키는 연결 부재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하프 자켓은, 단면이 반원호(half circular arc)형인 제1, 2 외측 커버와, 상기 파이프 또는 튜브를 수용하도록 파여진 중앙 그루브(groove)를 구비하고, 상기 제1, 2 외측 커버와의 사이에 각각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2 외측 커버와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 2 외측 커버보다 열전도율이 높은 제1, 2 내측 커버와,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제1, 2 외측 커버와 각각 접하도록 형성된 제1, 2 단열재 및 상기 제1, 2 단열재 및 제1, 2 내측 커버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제1, 2 히터(heater)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2 외측 커버 일측단부 사이를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 결합부재와, 상기 제1, 2 외측 커버 타측단부 사이를 분리 가능하도록 밀착 결합시키는 분리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2 외측 커버의 일측부 외면에는 각각 제1, 2 외면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힌지 결합부재는, 상기 제1 외면 슬롯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제1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외면 슬롯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제2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1, 2 힌지 플레이트 사이를 힌지 결합하는 경첩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리 결합부재는, 상기 제1 외측 커버로부터 상기 2 외측 커버까지 거쳐서, 상기 1, 2 외측 커버 외면에 접착되도록 형성된 외피부와;
상기 외피부로부터 외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서, 적어도 상기 외피부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 및 외피부 사이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 대응되는 외피부의 서로 마주 보는 면에 배치된 벨크로 또는 버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2 외측 커버 각각의 일측부 외면에는 각각 제1, 2 외면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 결합부재는, 상기 제1 외면 슬롯과 제2 외면 슬롯이 밀착한 상태로 결합시키는 고정외피와, 상기 고정외피 외측의 상기 제1 외면 슬롯 및 제2 외면 슬롯에 걸쳐서 삽입된 것으로, 상기 고정외피 방향의 중앙면에는 슬릿이 형성되며, 탄성을 가지는 탄성 힌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분리 결합부재는, 상기 제1 외측 커버로부터, 상기 탄성힌지부재 및 상기 2 외측 커버까지 덮도록 형성된 외피부와, 상기 외피부로부터 외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서, 적어도 상기 외피부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연장부와와, 상기 연장부 및 외피부 사이를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2 내측 커버는 알루미늄 또는 구리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원으로부터 연장된 전력선 또는 인접한 히터 자켓의 전력선과 연결되는 제1 커넥터(connector)와, 다른 인접한 히터 자켓의 히터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다른 히터 자켓의 전력선과 연결되는 제2 커넥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히터 자켓은 본 발명은 섭씨 200도 이상의 고온 발열 상황에서도 적용 가능하며, 파이프에 설치 또는 분해하는 작업도 용이하다.
또한, 주요 부재인 외측 커버 및 내측 커버를 사출, 압축, 인발과 같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조할 수 있어 생산성도 높고 제조 비용도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 자켓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 자켓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히터 자켓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 자켓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변형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 자켓들이 연결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 자켓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 자켓을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 자켓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 자켓(10)은 제1 및 제2 하프 자켓(half jacket)(11, 12)과, 연결부재(70)를 포함한다.
제1 및 2 하프 자켓(11, 12)은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이들이 서로 결합하여 원형, 육각형, 팔각형 등의 원형 또는 다각형이 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서 상기 제1, 2 하프 자켓이 만나서 원형을 이루면, 상기 제1, 2 하프 자켓은 반원형일 수 있다.
상기 제1 하프 자켓(11)은 제1 외측 커버(14)와, 제1 내측 커버(28)와, 제1 단열재(42)와, 제1 히터(46)를 포함한다. 제2 하프 자켓(12)은 제2 외측 커버(20)와, 제2 내측 커버(35)와, 제2 단열재(44)와, 제2 히터(48)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외측 커버(14, 20)는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및 제2 내측 커버(28, 35)는 상기 제1 및 제2 외측 커버(14, 20)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2 외측 커버(14, 20)와의 사이에 각각 제1, 2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2 외측 커버(14, 20)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제1 및 제2 내측 커버(28, 35)의 중앙부에는 상기 파이프 또는 튜브를 수용하도록 파여진 중앙 그루브(groove)(G)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내부 공간에는 제1 단열재(42)와, 제1 히터(46)가 개재된다. 상기 제1 단열재(42)는 제1 히터(46)보다 바깥쪽에서, 상기 제1 외측 커버(14)와 접하도록 배치된다. 제1 히터(46)는 상기 제1 단열재(42)와 제1 내측 커버(28) 사이에 접하도록 개재된다.
또한, 상기 제2 내부 공간에는 제2 단열재(44)와, 제2 히터(48)가 개재된다. 상기 제2 단열재(44)는 제2 히터(48)보다 바깥쪽에서, 상기 제2 외측 커버(20)와 접하도록 배치된다. 제2 히터(48)는 상기 제2 단열재와 제2 내측 커버 사이에 접하도록 개재된다.
상기 제1 및 제2 단열재(42, 44)는 예컨대, 화이버 글라스 니들 매트(fiber glass needle mat), 아라미드 부직포(aramid felt), 세라믹 벌크 화이버(ceramic bulk fiber)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들 소재로 이루어진 시트(sheet)를 상기 제1, 2 내부 공간에 채워 넣어 제1 및 제2 단열재(42, 44)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히터(46, 48)는 전력 공급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체를 구비한다. 발열체는 예컨대 스테인리스 스틸, 구리, 카본, 아라미드, 또는 화이바얀(fiber yarn)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열선일 수 있다. 두 장의 절연성 시트(sheet) 사이에 열선을 지그재그(zigzag)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선하여 제1, 2 히터(46, 48)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외측 커버(14)와 제1 내측 커버(28) 사이 및 제2 외측 커버(20)와 제2 내측 커버(35) 사이는 각각,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고정될 수 있다. 그 하나의 예로서 상기 제1 및 제2 외측 커버(14, 20)의 양 측에는 각각 한 쌍의 엣지가 형성되어 있고, 제1 및 제2 내측 커버(28, 35)의 양 측에는 각각 한 쌍의 측면 슬롯(slot) 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엣지가 대응되는 측면 슬롯에 삽입 결합된다.
반면, 상기 제1 외측 커버(14)와 제1 내측 커버(28) 사이 및 제2 외측 커버(20)와 제2 내측 커버(35) 사이는 각각 별도의 볼트 등의 고정부재(91)로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2 내측 커버에는 구멍(h)이 형성되고, 고정부재(91)의 끝단부가 상기 구멍을 관통하여서 제1, 2 외측 커버 및 제1, 2 내측 커버에 끼워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2 외측 커버(14, 20)는 각각 반원형상의 반원부(14a, 20a)와, 상기 반원부 끝단부로부터 파이프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서 상기 제1, 2 내측 커버(28, 35)와 만나는 절곡부(14b, 20b)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2 내측 커버(28, 35)는 중앙부(28a, 35a)로부터 반경 바깥쪽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절곡부와 접하도록 배치된 날개부(28b, 35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재(91)는 상기 절곡부와, 날개부 사이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2 외측 커버(14, 20) 및 제1, 2 내측 커버(28, 35)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단면 형상이 길이 방향을 따라 변화하지 않고 일정하다. 따라서, 사출 성형, 압출 성형, 또는 인발 가공과 같은 프레스 가공을 통해 생산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상기 외측 커버(14, 20) 및 내측 커버(28, 35)는 구리,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1 하프 자켓(11)은 그 길이 방향의 전면 및 후면을 폐쇄하는 제1 전면 캡(51) 및 제1 후면 캡(54)을 구비하고, 제2 하프 자켓(12)은 그 길이 방향의 전면 및 후면을 폐쇄하는 제2 전면 캡(58) 및 제2 후면 캡(62)을 구비할 수 있다.
볼트(bolt)(93)가 전면 캡(51, 58)과 후면 캡(54, 62)에 형성된 볼트 통공(52, 55, 59, 63)을 통해 외측 커버(14, 20)의 볼트 결합 홈에 결합됨으로써 전면 캡(51, 58)과 후면 캡(54, 62)이 외측 커버(14, 20)에 고정된다.
연결부재(70)는 상기 제1 및 제2 하프 자켓(11, 12)이 맞물려서 파이프를 감싸도록 제1 및 제2 하프 자켓(11, 12)을 서로 결합시킨다.
상기 연결부재(70)는 힌지 결합부재(71) 및 분리 결합부재(76)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 결합부재(71)는 상기 제1, 2 외측 커버(14, 20) 일측단부 사이를 힌지 결합시킨다.
분리 결합부재(76)는 상기 제1, 2 외측 커버(14, 20) 타측단부 사이를 분리 가능하도록 밀착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서 제1, 2 외측 커버(14, 20)의 일측단부를 회전축으로 제1, 2 외측 커버(14, 20)의 타측단부가 벌어져서, 상기 제1, 2 내측 커버(28, 35)의 그루브에 파이프를 수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파이프가 상기 그루브에 끼워지면, 상기 제1, 2 외측 커버(14, 20)의 타측 단부를 닫은 후에, 분리 결합부재(76)로 상기 제1, 2 외측 커버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제1, 2 외측 커버(14, 20)의 일측단부 외면에는 각각 제1, 2 외면 슬롯(14s, 20s)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힌지 결합부재(71)는, 상기 제1 외면 슬롯에 삽입 및 고정 결합되는 제1 힌지 플레이트(72)와, 상기 제2 외면 슬롯에 삽입 및 고정 결합되는 제2 힌지 플레이트(73)와, 상기 제1, 2 힌지 플레이트 사이를 힌지 결합하는 경첩부재(74)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제1, 2 힌지 플레이트(72, 73)는 각각 상기 제1, 2 외면 슬롯(14s, 20s)의 내측면에 볼트(95) 결합 등을 통하여서 고정된다. 경첩부재(74)는 상기 제1, 2 힌지 플레이트(72, 73)가 서로 접히거나 열릴 수 있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1, 2 힌지 플레이트(72, 73)의 두께는 상기 제1, 2 외면 슬롯(14s, 20s)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서 전체적으로 히터 자켓의 단면이 원형으로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2 힌지 플레이트(72, 73)는 금속이거나, 테프론, PET 중합체 등의 다양한 재질이 적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 분리 결합부재(76)는 외피부(77)와, 연장부(78)와, 결합부(79)를 포함할 수 있다. 외피부(77)는 상기 제1 외측 커버(14) 및 제2 외측 커버(20) 상면에 고정 형성된다. 연장부(78)는 상기 외피부(77)로부터 외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2 외측 커버의 타측 단부를 가로질러서 상기 외피부(77)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상기 외피부는 상기 제1, 2 외측 커버(14, 20)와 접착되지는 않는다.
결합부(79)는 상기 연장부(78) 및 외피부(77) 사이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상기 결합부(79)는 상기 연장부(78) 및 상기 연장부(78)에 대응되는 외피부(77)의 서로 마주 보는 면에 배치된다. 상기 결합부(79)는 상기 연장부와 외피부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시킬 수 있는 부재로서, 서로 대응되는 벨크로이거나, 버튼이거나, 접착물질이거나, 단추 등일 수 있다.
상기 외피부(77) 및 연장부(78)는 테프론, 화이바글래스, 실리콘 등의 유연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외피부(77)의 시작단부가 제1 외측 커버 상면에 위치한다면, 상기 외피부(77)는 상기 제1 외측 커버(14) 및 제2 외측 커버(20)의 타측 단부까지 형성된다. 연장부(78)는 외피부(77)의 끝단부로부터 외주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제1 외측 커버(14) 의 상측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연장된다.
만약 제1, 2 외측 커버(14, 20)의 일측 단부 외면에 각각 제1, 2 외면 슬롯(14s, 20s)이 형성된다면, 상기 외피부(77)는 상기 제1, 2 외면 슬롯 상면에 놓여지게 되고, 상기 힌지 결합부재(71)가 상기 외피부(77)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볼트(95)가 제1, 2 힌지 플레이트(72, 73)와, 외피부(77)를 관통하여서 상기 제1, 2 외측 커버(14, 2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 외측 커버 및 제1 내측 커버 사이와, 제2 외측 커버 및 제2 내측 커버 사이의 내부 공간에 제1, 2 단열재 및 제1, 2 히터를 수납시킨 다음 상기 1, 2 외측 커버와, 제1, 2 내측 커버가 고정부재로 고정시켜서, 각각 제1, 2 하프 자켓이 제작되고, 상기 제1, 2 하프 자켓의 일측 단부 사이를 힌지 결합부재가 볼트 결합 등을 통하여서 결합시키며, 이와 더불어 상기 분리 결합부재가 제1, 2 하프 자켓의 타측 단부 사이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히터자켓은 접착제 사용 없이 전제 부품을 조립할 수 있게 됨으로써, 서로 접착이 쉽지 않은 부품끼리도 적용가능하며, 조립 시간도 단축된다.
한편, 상기 분리 결합부재(76)는 연장부 및 외피부 없이 결합부만으로도 구성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외측 커버 타측 단부쪽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외측 커버의 타단 단부쪽에 상기 후크가 걸려지도록 형성된 후크 대응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결합부가, 상기 제1 외측 커버 타측 단부쪽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형성된 고정 슬라이더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외측 커버의 타단 단부쪽에 상기 고정 슬라이더가 고정되도록 거는 슬라이드 대응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리 결합부재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 2 외측 커버를 분리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힌지 결합부재(170)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 힌지 결합부재(170)는 고정외피(172)와, 탄성 힌지부재(173)를 포함한다. 고정외피(172)는 상기 제1 외면 슬롯(14s) 및 제2 외면 슬롯(20s)에 걸쳐서, 상기 제1 외면 슬롯 및 제2 외면 슬롯에 접착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외피(172)는 테프론, 화이바글래스,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 힌지부재(173)는 상기 제1, 2 외면 슬롯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외피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탄성 지지부재(173)는 상기 고정외피 방향의 중앙면에는 슬릿(174)이 형성되며,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1, 2 외측 커버 사이가 열리게 되면, 상기 탄성 힌지부재의 슬릿(174)이 벌어지게 되며, 상기 탄성 힌지부재(173)의 탄성력은 상기 제1, 2 외측 커버가 서로 만나는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1, 2 외측 커버의 일측부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분리 결합부재의 외피부(77)는 상기 탄성 힌지부재(173)의 외부로 노출된 면을 막도록 배치된다. 즉, 외피부(77)는 상기 제1 외측 커버(14)로부터, 상기 탄성 힌지부재(173) 및 상기 2 외측 커버(20)까지 덮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탄성 힌지부재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으나, 파이프(5)와 제1 내측 커버(28) 사이에는 제1 내측 라이너가 개재되고, 파이프(5)와 제2 내측 커버(35) 사이에는 제2 내측 라이너가 개재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내측 라이너는 예컨대, 테프론™(Teflon™)과 같은 탄성있는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파이프(5) 외주면과 내측 커버(28, 35)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한편, 도시되진 않았으나 파이프(5)를 감싸도록 제1 및 제2 하프 자켓(11, 12)을 연결 부재(70)로 고정시킨 후, 외측 커버(14, 20)의 바깥을 시트(sheet) 형태의 싸개로 감쌀 수 있다. 상기 싸개는 히터(46, 48)의 발열로 외측 커버(14, 20)가 뜨거워질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화상을 예방할 수 있고, 제1 및 제2 하프 자켓(11, 12)을 더욱 견고하게 파이프(5)에 고정할 수 있다.
히터 자켓(10)은 제1 및 제2 히터(46, 48)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원(미도시)으로부터 연장된 전력선 또는 인접한 히터 자켓(100, 200)(도 1 참조)의 전력선과 연결되는 제1 커넥터(connector)(80)와, 다른 인접한 히터 자켓의 히터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다른 히터 자켓의 전력선과 연결되는 제2 커넥터(90)를 구비한다. 제1 커낵터(80)는 인접한 히터 자켓(100, 200)의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수형 단자(81)를 구비하고 히터(46, 48)에 연결되는 전력선(85)과 연결된다. 제2 커넥터(90)는 인접한 히터 자켓(100, 200)의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암형 단자(91)를 구비하고 히터(46, 48)에 연결되는 전력선(95)과 연결된다.
제1 커넥터(80) 또는 제2 커넥터(90)에는 연결되는 상대편 커넥터와의 임의적인 분리를 방지하는 분리 방지 수단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제1 커넥터(80)에는 후크(hook)(83)가 마련되고 상기 제1 커넥터(80)에 연결되는 인접한 히터 자켓의 제2 커넥터(90)에는 후크 체결 돌기(93)가 마련된다. 수형 단자(81)를 암형 단자(91) 내부로 밀어 넣으면 후크(83)가 후크 체결 돌기(93)를 지나쳐 걸리게 됨으로써, 후크 손잡이(84)를 눌러 후크(83)를 후크 체결 돌기(93)로부터 의도적으로 이격시키지 않는 한 제1 커넥터(80)가 인접한 히터 자켓의 제2 커넥터(90)와 분리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히터(46, 48)간에는 연결케이블(9)이 개재되어서, 이들 제1 및 제2 히터(46, 48) 사이의 히터 전원을 연결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서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가 제1 및 제2 하프 자켓 각각에 설치될 필요가 없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2 외측 커버 내면에는 각각 상기 연결 케이블 삽입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 자켓들이 연결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파이프(5)의 구간들 중에서 직선으로 연장된 구간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히터 자켓(10)을 이용하여 감쌀 수 있고, 절곡된 구간은 L자형 히터 자켓(200)으로 감쌀 수 있으며, 분기(分岐)된 구간은 T자형 히터 자켓(100)으로 감쌀 수 있다. 그리고, 인접한 히터 자켓(10, 100, 200)은 제1 커넥터(80)와 제2 커넥터(90)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히터(46, 48)(도 3 참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히터 자켓 11, 12: 제1, 제2 하프 자켓
14, 20: 제1, 제2 외측 커버 28, 35: 제1, 제2 내측 커버
42, 44: 제1, 제2 단열재 46, 48: 제1, 제2 히터
51, 54, 58, 62: 캡 65, 66: 제1, 제2 내측 라이너
70: 연결 부재 80, 90: 제1, 제2 커넥터

Claims (8)

  1. 삭제
  2. 서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 하프 자켓(half jacket)과, 상기 제1 및 제2 하프 자켓이 파이프를 감싸도록 제1 및 제2 하프 자켓을 서로 결합시키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하프 자켓은;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고, 일측부 외면에 각각 제1, 2 외면 슬롯이 형성되며, 프레스 가공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제1, 2 외측 커버;
    상기 제1, 2 외측 커버에 끼워져서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파이프를 수용하도록 파여진 중앙 그루브(groove)를 구비하고, 상기 제1, 2 외측 커버와의 사이에 각각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2 외측 커버보다 열전도율이 높으며, 프레스 가공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제1, 2 내측 커버;
    상기 내부 공간에 수납되는 것으로, 상기 제1, 2 외측 커버와 각각 접하도록 형성된 제1, 2 단열재 및 상기 제1, 2 단열재 및 제1, 2 내측 커버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제1, 2 히터(heater);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2 외측 커버 일측단부 사이를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 결합부재; 및
    상기 제1, 2 외측 커버 타측단부 사이를 분리 가능하도록 밀착 결합시키는 분리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결합부재는:
    상기 제1 외면 슬롯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제1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외면 슬롯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제2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1, 2 힌지 플레이트 사이를 힌지 결합하는 경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자켓.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결합부재는:
    상기 1, 2 외측 커버 외면에 고정 형성된 외피부와;
    상기 외피부로부터 외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서, 적어도 상기 외피부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 및 외피부 사이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자켓.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 대응되는 외피부의 서로 마주 보는 면에 배치된 밸크로 또는 버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자켓.
  5. 삭제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내측 커버는 알루미늄 또는 구리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자켓.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원으로부터 연장된 전력선 또는 인접한 히터 자켓의 전력선과 연결되는 제1 커넥터(connector)와, 다른 인접한 히터 자켓의 히터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다른 히터 자켓의 전력선과 연결되는 제2 커넥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자켓.
KR1020120029494A 2012-03-22 2012-03-22 히터 자켓 KR101201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494A KR101201951B1 (ko) 2012-03-22 2012-03-22 히터 자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494A KR101201951B1 (ko) 2012-03-22 2012-03-22 히터 자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1951B1 true KR101201951B1 (ko) 2012-11-19

Family

ID=47564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9494A KR101201951B1 (ko) 2012-03-22 2012-03-22 히터 자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195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618B1 (ko) 2013-01-09 2014-10-06 (주)썬패치테크노 가스관의 히팅 및 보온용 히팅 자켓
KR101575181B1 (ko) 2015-07-27 2015-12-21 김환남 자켓 히터
KR101603950B1 (ko) * 2014-11-27 2016-03-16 (주) 한양티엠에스 단추 또는 밴드형 히팅자켓
KR101828958B1 (ko) * 2016-07-28 2018-02-13 주식회사 비엠티 옥외 배관용 히팅재킷
KR101874591B1 (ko) * 2017-06-30 2018-07-04 주식회사 비엠티 옥외 배관용 히팅재킷 운영시스템
KR102038775B1 (ko) * 2018-08-28 2019-10-30 주식회사 케이씨 히터자켓 자동 착탈장치
KR102069373B1 (ko) * 2019-06-25 2020-01-22 김영덕 유체 라인 히팅 자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218B1 (ko) * 2009-06-17 2010-03-08 (주)화인 단열 히트 재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218B1 (ko) * 2009-06-17 2010-03-08 (주)화인 단열 히트 재킷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618B1 (ko) 2013-01-09 2014-10-06 (주)썬패치테크노 가스관의 히팅 및 보온용 히팅 자켓
KR101603950B1 (ko) * 2014-11-27 2016-03-16 (주) 한양티엠에스 단추 또는 밴드형 히팅자켓
KR101575181B1 (ko) 2015-07-27 2015-12-21 김환남 자켓 히터
KR101828958B1 (ko) * 2016-07-28 2018-02-13 주식회사 비엠티 옥외 배관용 히팅재킷
KR101874591B1 (ko) * 2017-06-30 2018-07-04 주식회사 비엠티 옥외 배관용 히팅재킷 운영시스템
KR102038775B1 (ko) * 2018-08-28 2019-10-30 주식회사 케이씨 히터자켓 자동 착탈장치
KR102069373B1 (ko) * 2019-06-25 2020-01-22 김영덕 유체 라인 히팅 자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1951B1 (ko) 히터 자켓
CN101283213B (zh) 用于加热导管系统的伴热组件
CN101513117B (zh) 模块化加热器系统
EP3705803B1 (en) Ptc heater
KR101360878B1 (ko) 모듈방식 히터 시스템
WO2017018778A1 (ko) 자켓 히터
US20230417450A1 (en) Ptc heater
RU2012122597A (ru) Узлы оберточной кабельной муфты и способы их изготовления и использования
JP3897361B2 (ja) シール装置
WO2010128692A1 (ko) 가열장치
CA2399669A1 (en) Apparatus for fusing wrap piece to plastic coated pipe
CN104582938A (zh) 用于将可热收缩壳体施加到预绝缘的管道接头上的设备
CN112673536B (zh) 安装热收缩盖的方法、安装套件及安装系统
KR101326218B1 (ko) 히터 자켓
AU2006200817B2 (en) Metal sheathed heater and thermostat assembly and method of use
WO2015093896A1 (ko) 탄소섬유 발열제품의 탄소섬유 발열체와 전원선 결속구조
JP2016184542A (ja) ワイヤハーネス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方法
KR20210134415A (ko) 로우 프로파일 히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1724414B1 (ko) 난방용 온수관
KR100824338B1 (ko) 성형기용 단열커버
JP6977230B2 (ja) 配管加熱装置
KR101293292B1 (ko) 파이프형 단열재 성형방법 및 파이프형 단열재를 구비한 히터 자켓 제조방법
JP3152782U (ja) 配管用加熱ヒータ
EP2966334B1 (en) Heated flow line for a fluid-feeding system in a motor vehicle
CN215815283U (zh) 一种具有高耐折弯性能的电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