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1429B1 - 외부 장치 간에 송수신 되는 제어 신호에 동기화되어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외부 장치 간에 송수신 되는 제어 신호에 동기화되어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1429B1
KR101201429B1 KR1020110006964A KR20110006964A KR101201429B1 KR 101201429 B1 KR101201429 B1 KR 101201429B1 KR 1020110006964 A KR1020110006964 A KR 1020110006964A KR 20110006964 A KR20110006964 A KR 20110006964A KR 101201429 B1 KR101201429 B1 KR 101201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ideo
command
control
vide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6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5562A (ko
Inventor
김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영
Priority to KR1020110006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1429B1/ko
Publication of KR20120085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5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1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1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8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displaying animated or moving pictures synchronized with the music or audio par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장치 간에 송수신 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 명령으로 판독하고, 판독된 제어 명령에 따라서 필요한 이미지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부가적인 이미지 또는 영상을 더 생성할 수 있는, 외부 장치 간에 송수신 되는 제어 신호에 동기화되어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외부 장치 간에 송수신 되는 제어 신호에 동기화되어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다중 이용 업소의 업주에게는 노래 반주 장치 또는 DVD 재생 기기 등을 교체할 필요 없이 법적 제도적 변화에 대응할 수 있고, 광고 등을 통한 매출 증대 효과 등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외부 장치 간에 송수신 되는 제어 신호에 동기화되어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 장치{IMAGE GENERATION APPARATUS FOR PRODUCING IMAGE SYNCHRONIZED WITH CONTROLLING SIGNAL TRANMITTED BETWEEN EXTERNAL DEVICES}
본 발명은, 외부 장치 간에 송수신 되는 제어 신호에 동기화되어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외부 장치 간에 송수신 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 명령으로 판독하고, 판독된 제어 명령에 따라서 필요한 이미지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부가적인 이미지 또는 영상을 더 생성할 수 있는, 이미지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노래방이나 DVD 방 등과 같은 다수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업소의 경우에는 화재나 지진 등으로부터 다수의 사용자에게 대피 시설 또는 대피 안내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정부나 국회 등에서는 다수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업소의 환경이 변화하거나 사용자의 안전을 더욱더 보호하기 위해 법이나 제도를 수정 보완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업소에 서 수정 보완된 법 또는 제도를 준수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렇게 수정 보안 된 법 또는 제도의 내용은 다수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업소의 건축 시설물에 관련된 사항일 수도 있고, 혹은 노래방 또는 DVD 방 등에서 사용되는 예를 들어 노래 반주 장치 또는 DVD 재생 기기에서 특정 기능을, 예를 들어 노래 반주 장치나 DVD 재생 기기의 작동 시작시에 사용자가 비상상황에 이용할 대피 안내도의 표시 등을 요구할 수도 있다.
한편 노래방 또는 DVD 방 등에서 사용되는 노래 반주 장치 또는 DVD 재생 기기는 이러한 특정 기능을 수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예를 들어 단종된 기기이거나, 해당 기기 내에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는 방법이 없거나, 해당 기기 내에 특정 기능을 수용할 만큼의 메모리가 없는 경우 등) 업소의 업주는 해당 노래 반주 장치 또는 DVD 재생 기기를 해당 특정 기능이 포함된 다수의 새로운 노래 반주 장치 또는 DVD 재생 기기를 다시 구매하여야 하여 업소의 업주에게는 막대한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하고, 이러한 경제적인 손실은 법이나 제도의 변화에 따라 주기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노래방 또는 DVD 방을 운영하는 업소의 업주는 기존의 노래방 또는 DVD 방의 전통적인 영업 방식에 벗어나서 영업적으로 수입을 창출할 수 있는 새로운 영업 방식의 수익 창출 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특정 법이나 제도의 변화에 따라 주기적으로 노래 반주 장치나 DVD 재생 기기 등을 교체할 필요가 없도록 하고 또한 업소의 업주에게 더욱더 많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노래 반주 장치 또는 DVD 재생 기기 등과 연결된 코인기 또는 서치 라이트 등 사이에 송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판독하여, 판독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필요한 이미지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는, 이미지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래 반주 장치 또는 DVD 재생 기기 등에서 사용하는 외부 인터페이스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도 필요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이미지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래 반주 장치 또는 DVD 재생 기기에서 생성된 영상과는 별도의, 곡이나 DVD 정보 이미지, 홍보 영상, 및/또는 광고 영상 등을 생성할 수 있는, 이미지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외부 장치 간에 송수신 되는 제어 신호에 동기화되어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 장치는, 제 1 장치와 제 2 장치 간에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제어 신호를 모니터링 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제어 신호에 연결된 제 1 연결 단자와, 하나 이상의 제어 신호를 판독하고, 판독된 제어 명령에 따라 이미지 또는 영상의 생성을 결정하는 제어부와, 생성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비디오 신호로 인코딩하는 제 1 비디오 인코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외부 장치 간에 송수신 되는 제어 신호에 동기화되어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 장치는, 제 1 장치로부터 출력된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영상 입력 단자와, 영상 입력 단자로부터 수신된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와 제 1 비디오 인코더로부터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 중 하나의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비디오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판독된 제어 명령에 따라 이미지 또는 영상의 생성을 결정한 경우, 제 1 비디오 인코더부터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선택하도록 비디오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외부 장치 간에 송수신 되는 제어 신호에 동기화되어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 장치는, 비디오 스위치에서 선택된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 1 영상 출력 단자와, 이미지 또는 영상 및 제 1 장치에 관련된 부가 이미지 또는 부가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부가 이미지 또는 부가 영상을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로 생성하는 제 2 비디오 인코더와, 제 2 비디오 인코더에서 생성된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영상 출력 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장치 간에 송수신 되는 제어 신호에 동기화되어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 장치는, 법적 제도적인 환경 변화에 따라 노래 반주 장치 또는 DVD 재생 기기 등을 교체할 필요 없이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다중 이용 업소의 업주에게 교체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장치 간에 송수신 되는 제어 신호에 동기화되어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 장치는, 노래 반주 장치 또는 DVD 재생 기기 등과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다중 이용 업소의 업주에게 별도의 추가적인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장치 간에 송수신 되는 제어 신호에 동기화되어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 장치는, 다중 이용 업소의 사용자에게는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업주에게는 광고나 홍보 효과에 따른 매출 증대의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기존의 다수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업소에서 사용하는 주 단말기와 보조 장치 간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적인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2는 주 단말기와 보조 장치 간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본 발명인 이미지 생성 장치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이미지 생성 장치의 블록 구성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 1 비디오 인코더를 제어하기 위해 제어부에서 수행되는 예시적인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 2 비디오 인코더를 제어하기 위해 제어부에서 수행되는 예시적인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더욱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기존의 다수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업소에서 사용하는 주 단말기와 보조 장치 간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적인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1에 따르면 기존의 시스템 블록도에는 주 단말기(200), 주 단말기(200)를 제어하거나 주 단말기(20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보조 장치(300)를 포함하고 주 단말기(200)에서 출력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400)나 음악이나 음성 등을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생성 장치(600)를 더 포함한다.
주 단말기(200)는 다수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업소에서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노래방에서 사용하는 노래 반주 장치이거나, DVD 방 등에서 사용되는 DVD 재생 기기 등일 수 있다. 주 단말기(200)는 사용자로부터 노래나 DVD를 재생하라는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에 따라 이미지나 영상 등의 비디오 신호 또는/및 오디오 신호 등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오디오 생성 장치(600)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주 단말기(200)는 하나 이상의 보조 장치(3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송출하거나 보조 장치(300)로부터 주 단말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보조 장치(300)는 주 단말기(200)와 유선 등으로 연결되어 주 단말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송신하거나 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지정된 동작을 수행한다. 보조 장치(300)는 코인 기기와 같이 주 단말기(200)의 기능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기기이거나, 주 단말기(200)의 제어에 따라 특정 조명을 On/Off 할 수 있도록 하는 사이키 조명 등일 수 있다.
보조 장치(300)와 주 단말기(200) 간의 연결은 유선으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신호 선들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신호 선들 내에는 하나 이상의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UART 나 RS232 등과 같은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제어 신호이거나 혹은 보조 장치(300)와 주 단말기(200) 간에 미리 약속된 포맷의 통신 포맷일 수 있다. 이러한 미리 약속된 포맷에는 기존의 제어 신호의 상태 변화 또는 현재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포맷일 수 있다.
이러한 기존의 시스템 블록도에서, 법적 또는 제도적 규제가 변화하는 경우에는 주 단말기(200)에서 이러한 규제의 변화에 대응하여 하나, 주 단말기(200)가 제조사에서 단종이 된 경우 등에 의해, 주 단말기(200) 내의 프로세서에서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가 불가능한 경우, 주 단말기(200) 내의 메모리가 이러한 규제 변화에 대응할 여분의 메모리 공간이 없는 경우에는 이러한 규제의 변화에 대응하기는 불가능할 것이다.
도 2는 기존 시스템 블록도인 도 1과는 대비되는, 주 단말기와 보조 장치 간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본 발명인 이미지 생성 장치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2의 이미지 생성 장치(100)를 포함하는 시스템 블록도에는 주 단말기(200), 보조 장치(300), 제 1 디스플레이 장치(400), 제 2 디스플레이 장치(500) 및 이미지 생성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오디오 생성 장치(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시스템 블록도는 본 발명인 이미지 생성 장치(100)가 사용되는 시스템 환경을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간략히 개략화 된 블록도로서 특정 블록은 추가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주 단말기(200)는, 다수가 이용하는 다중 업소에 이용하는 단말기로서, 노래방에서 사용하는 노래 반주 장치이거나 DVD 방에서 사용하는 DVD 재생 기기 등일 수 있다. 주 단말기(200)는 사용자나 다중 업소의 관리자로부터 버튼 등이나 원격 제어를 통해서 제어 지시를 수령하고, 이에 따라 주 단말기(200)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주 단말기(200)의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주 단말기(20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표시할 영상 신호인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오디오 생성 장치(600)에 출력할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주 단말기(200)는 주 단말기(200)에 연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보조 장치(300)에 제어 신호를 송출하거나 하나 이상의 보조 장치(3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주 단말기(200)를 제어한다.
보조 장치(300)는, 주 단말기(200)의 제어에 따라 보조 장치(300)가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주 단말기(200)에 현재 보조 장치(300)의 상태 변화 또는 사용자 등의 지시 등을 제어 신호로 출력한다. 보조 장치(300)는 예를 들어 주 단말기(2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금전의 입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코인 기기 일 수 있고, 혹은 주 단말기(200)에서 현재 주 단말기(200)가 위치한 특정 방의 조명의 On/Off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조명을 제어하는 사이키 조명일 수 있고, 이와 같이 주 단말기(200)의 제어에 따라 수행되는 장치 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보조 장치(30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입력 비디오 신호 단자를 통해 수신된 비디오 신호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하는 LCD, LED, 또는 PDP TV 등을 포함하는 장치이다. 제 1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표시되는 비디오 신호는 주 단말기(200)에서 출력된 비디오 신호를 포함하고, 이에 더해서 이미지 생성 장치(100)에서 생성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포함한다.
제 2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500)의 입력 비디오 신호 단자를 통해 수신된 비디오 신호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하는 LCD, LED, 또는 PDP TV 등을 포함하는 장치이다. 제 2 디스플레이 장치(500)에 표시되는 비디오 신호는 이미지 생성 장치(100)에서 생성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포함하고, 이러한 이미지 또는 영상에는 주 단말기(200)에 관련된 부가 이미지와 부가 영상을 포함한다.
이러한 부가 이미지 또는 부가 영상은 주 단말기(200)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주 단말기(200)가 노래 반주 장치인 경우에는 주 단말기(200)에 저장된 신곡 정보나, 장르별 인기곡 정보, 주 단말기(200)가 위치한 업소의 광고 또는 안내 정보, 주 단말기(200)에 저장된 콘텐츠를 선전하기 위한 광고 정보, 사용자를 위한 생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주 단말기(200)가 DVD 재생 기기인 경우에는 새로운 DVD 영화 안내 정보, 인기 DVD 영화 순위 정보, 장르별 인기 DVD 영화 순위 정보나 업소의 광고 또는 안내 정보나, 기타 특정 DVD 광고 정보나 생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생성 장치(600)는, 오디오 생성 장치(600)의 입력 오디오 신호 단자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가 청각적으로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예를 들어 오디오 앰프 등과 같은 장치이다. 오디오 생성 장치(600)로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는 이미지 생성 장치(100)에서 생성된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고 이에 더하여 주 단말기(20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포함한다. 이러한 오디오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이거나 혹은 디지털 포맷을 가진 신호일 수 있다.
이미지 생성 장치(100)는, 주 단말기(200)와 보조 장치(300) 간에 송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동기화 되어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비디오 신호로 생성하고 또한 이미지 생성 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주 단말기(200)에서 출력된 비디오 신호와 이미지 생성 장치(100)에서 생성된 비디오 신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제 1 디스플레이 장치(400)로 출력한다. 또한 이미지 생성 장치(100)는 이미지 생성 장치(100) 내에 저장된 부가 영상 또는 이미지를 비디오 신호로 인코딩하고 이를 제 2 디스플레이 장치(500)로 출력한다. 이미지 생성 장치(100)는 비록 비디오 신호에 관련하여 언급하고 있으나 오디오 신호 또한 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이미지 생성 장치(100)에서 생성한 오디오 신호 중에서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주 단말기(200)에서 출력된 비디오 신호와 이미지 생성 장치(100)에서 출력된 비디오 신호는 반드시 동일한 포맷일 필요는 없으며, 이러한 비디오 신호의 포맷으로는 아날로그 포맷과 디지털 포맷이 있을 수 있다. 아날로그 포맷으로서는 컴포지트(Composite) 신호, Y 신호와 C 신호가 분리된 S-Video 신호, R,G,B 신호가 분리된 신호일 수 있고, 디지털 포맷은 HDMI 포맷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2에서는 주 단말기(200)와 보조 장치(300) 간에 송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케이블을 분리된 형태 즉 주 단말기(200)와 이미지 생성 장치(100) 간에 하나의 케이블과 이미지 생성 장치(100)와 보조 장치(300) 간에 또 다른 하나의 케이블로 도시하였다. 이 외에도 세 개의 연결 단자를 가진 하나의 케이블로 구성할 수 있어, 예를 들어 세 개의 연결 단자 중 두 개의 연결 단자 각각을 주 단말기(200)와 보조 장치(300)에 연결하도록 구성하고 나머지 하나의 연결 단자를 주 단말기(200)와 보조 장치(300) 사이에 송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 이미지 생성 장치(100)에 연결하도록, 예를 들어 젠더(Gender) 타입으로 제어 신호를 버퍼링 또는 증폭하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미지 생성 장치(100)에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인 이미지 생성 장치의 블록 구성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이미지 생성 장치(100)는 제 1 연결 단자(101), 제 2 연결 단자(103), 영상 입력 단자(105), 동기 검출부(107), 제 1 비디오 인코더(109), 제 2 비디오 인코더(111), 비디오 스위치(113), 제 1 영상 출력 단자(115), 제 2 영상 출력 단자(117), 메모리(119), USB 포트(121) 및 제어부(123)를 포함하고, 이에 더하여 오디오 입력 단자(125), 오디오 인코더(127), 오디오 스위치(129), 오디오 신호레벨 조정부(131) 및 오디오 출력 단자(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일부의 블록은 생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언급한 블록들 중 일부는 하나의 하드웨어 블록에 통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3)와 제 1 비디오 인코더(109) 및/또는 제 2 비디오 인코더(111)는 하나의 통합된 프로세서 내에 구현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 1 연결 단자(101)는, 주 단말기(200)와 보조 장치(300) 간에 송수신 되는 제어 신호에 연결된다. 제 1 연결 단자(101)는 주 단말기(200)와 보조 장치(300)에서 사용하는 커넥터(예를 들어 4 Pin 커넥터)와 동일한 커넥터로 구성할 수 있다. 제 1 연결 단자(101)는 주 단말기(200)와 보조 장치(300) 간에 사용되는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케이블에 확장된 형태 예를 들어 젠더(Gender) 타입의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제어 신호를 모니터링할 수도 있고 혹은 주 단말기(200)와 보조 장치(300) 사이에서 이미지 생성 장치(100)가 각각 주 단말기(200)와 보조 장치(300)로 전달하도록 분리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제 2 연결 단자(103)는, 제 1 연결 단자(101)로부터 주 단말기(200)와 보조 장치(300) 간에 송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보조 장치(300)로 송수신하도록 제 1 연결 단자(101)의 제어 신호에 연결된다. 제 1 연결 단자(101)와 제 2 연결 단자(103) 사이에 송수신되는 제어 신호에는 제어 신호의 증폭을 위해 버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연결 단자(103)는 주 단말기(200)와 보조 장치(300)에서 사용하는 커넥터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고, 제 2 연결 단자(103)는 만약 제 1 연결 단자(101)를 통해 연결된 제어 신호가 젠더 타입의 케이블을 통해 수신된 경우에는 생략될 수 있다.
영상 입력 단자(105)는, 주 단말기(200)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신호의 타입에 따라 달리 구성할 수 있고, 표준 형태의 예를 들어 컴포지트(Composite) 신호, Y 신호와 C 신호가 분리된 S-Video 신호, R,G,B 신호가 분리된 신호 또는 HDMI 포맷의 케이블에 연결할 수 있는 연결 단자이다.
동기 검출부(107)는, 영상 입력 단자(105)를 통해 수신된 비디오 신호에서 동기 신호를 검출한다. 검출된 동기 신호에는 비디오 신호의 수직 동기화(Vertical Sync) 및/또는 수평 동기화(Horizontal Sync)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동기화 정보는 수신된 비디오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에는 아날로그 신호의 레벨 또는 그 레벨과 레벨의 특정 주기를 아날로그 신호의 알려진 포맷과 비교함으로써 검출할 수 있고, 디지털 신호인 경우에는 디지털 신호에 포함된 동기화 정보부터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제 1 비디오 인코더(109)는, 제어부(123)의 제어에 따라 제어부(123)에서 생성한 이미지 또는 영상을 비디오 신호로 인코딩한다. 제어부(123)에서 제 1 비디오 인코더(109)로 출력하는 이미지 또는 영상의 신호는 미리 약속된 포맷의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으로 제 1 비디오 인코더(109)에 제공할 수 있고, 이때 제어부(123)로부터 동기화 정보도 함께 수신할 수 있다. 혹은 동기 검출부(107)로부터 동기화 정보를 제 1 비디오 인코더(109)가 직접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 2 비디오 인코더(111)는, 제어부(123)의 제어에 따라 제어부(123)에서 생성한 부가 이미지 또는 영상 등을 수신하여 비디오 신호로 인코딩한다. 제어부(123)에서 제 2 비디오 인코더(111)로 출력하는 이미지 또는 영상의 신호는 미리 약속된 포맷의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예로서 YCbCr 신호를 출력하는 603E 포맷 등)으로 제 2 비디오 인코더(111)에 제공할 수 있고, 제어부(123)로부터 동기화 정보도 함께 수신할 수 있다.
비디오 스위치(113)는, 제 1 비디오 인코더(109)에서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 또는 영상 입력 단자(105)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신호 중 하나를 제어부(123)의 제어에 따라 선택하고 출력한다. 제어부(123)는 비디오 스위치(113)의 출력을 선택하기 위해 동기 검출부(107)에서 검출된 동기화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동기화 정보를 비디오 스위치(113)의 선택이 변경되는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어서, 제어부(123)가 이 수직 동기화 정보의 시점(예를 들어 수직 동기화 정보가 수신된 시작 시점 등)을 이용해서 비디오 스위치(113)에서 선택이 변경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변경되는 영상이 사용자가 시청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 중간에서 변경되어 사용자의 시청의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 1 영상 출력 단자(115)는, 비디오 스위치(113)에서 출력된 비디오 신호를 제 1 디스플레이 장치(400)로 출력한다. 제 1 영상 출력 단자(115)의 포맷은 영상 입력 단자(105)의 입력 포맷과 동일한 포맷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 2 영상 출력 단자(117)는, 제 2 비디오 인코더(111)에서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제 2 디스플레이 장치(500)로 출력한다.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의 포맷은 아날로그 신호의 포맷이거나 디지털 신호의 포맷일 수 있고, 제 1 영상 출력 단자(115)와는 다른 포맷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록 제 1 영상 출력 단자(115)가 아날로그 포맷으로 출력되는 경우에도 제 2 영상 출력 단자(117)는 디지털 포맷으로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메모리(119)는, 제 1 비디오 인코더(109)와 제 2 비디오 인코더(111)에서 인코딩할 이미지와 영상을 저장하고, 제어부(123)에서 사용할 필요한 프로그램 및 설정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메모리(119)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고 이에 더하여 휘발성 메모리와 하드 디스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9)에 저장되는 이미지 및/또는 영상에는 예를 들어 제 1 비디오 인코더(109)에서 사용할 이미지 또는 영상으로서, 본 발명이 사용되는 다중 업소에서 화재나 지진 등이 발생한 경우에 대피를 안내할 지도 등이 표시되는 피난 안내도 또는 영상을 포함하고, 특정 제조업체나 다중 업소를 위한 광고 이미지 또는 영상을 포함한다. 또한 제 2 비디오 인코더(111)에 사용할 이러한 부가 이미지 또는 부가 영상은 주 단말기(200)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주 단말기(200)가 노래 반주 장치인 경우에는 주 단말기(200)에 저장된 신곡 정보나, 장르별 인기곡 정보, 주 단말기(200)가 위치한 업소의 광고 또는 안내 정보, 주 단말기(200)에 저장된 콘텐츠를 선전하기 위한 광고 정보, 사용자를 위한 생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주 단말기(200)가 DVD 재생 기기인 경우에는 새로운 DVD 영화 안내 정보, 인기 DVD 영화 순위 정보, 장르별 인기 DVD 영화 순위 정보나 업소의 광고 또는 안내 정보나, 기타 특정 DVD 광고 정보나 생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9)는 제어부(123)에 의해 생성한 이미지 또는 영상을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프레임 버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미지 또는 영상들은 압축된 포맷으로 구성될 수 있다.
USB 포트(121)는, 제어부(123)에 연결되어 USB 포트(121)에 삽입된 USB 메모리로부터 이미지 또는 영상을 수신하고 제어부(123)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메모리(119)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USB 포트(121)에 삽입된 USB 메모리에는 제 1 비디오 인코더(109)에 사용할 이미지 또는 영상과 제 2 비디오 인코더(111)에 사용할 부가 이미지 또는 영상을 저장할 수 있고, USB 메모리와 제어부(123)는 미리 지정된 위치에 해당 이미지 또는 영상을 저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어, USB 메모리가 삽입된 경우에 제어부(123)가 USB 메모리의 삽입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USB 메모리의 약속된 위치(Directory)에서 특정 이미지 또는 영상을 추출하고 자동으로 저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오디오 입력 단자(125)는, 주 단말기(20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신호의 타입에 따라 달리 구성할 수 있고, 2 채널 또는 5+1 채널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이거나 디지털 포맷의 오디오 신호일 수 있다. 오디오 신호는 주 단말기(200)와 연결 케이블을 사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오디오 인코더(127)는, 제어부(123)의 제어에 따라, 제어부(123)에서 생성한 디지털 오디오 스트림을 오디오 신호로 인코딩한다.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이거나 디지털 신호일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23)에서 생성한 디지털 오디오 스트림은 제 1 비디오 인코더(109)의 입력으로 사용된 영상에 동기화되어 출력되는 오디오 스트림(예를 들어 동영상에 포함된 오디오 패킷)이거나 이미지를 설명하거나 이미지에 동기화되어 출력되는 오디오 스트림일 수 있다.
오디오 스위치(129)는, 오디오 인코더(127)에서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 또는 오디오 입력 단자(125)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 중 하나를 제어부(123)의 제어에 따라 선택하고 선택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오디오 스위치(129)를 제어하기 위한 오디오 선택 신호는 제어부(123)로부터 수신되며, 수신된 오디오 선택 신호는 비디오 스위치의 비디오 신호의 선택을 제어하기 위한 비디오 선택 신호와 동일한 신호이거나 혹은 별도의 신호일 수 있다.
오디오 신호레벨 조정부(131)는, 오디오 스위치(129)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신호의 출력 레벨을 제어부(123)의 제어에 따라 조절한다. 특히 오디오 스위치(129)의 출력인 오디오 신호가 오디오 선택 신호의 변경에 따라 변경될 때, 외부 오디오 생성 장치(600)에서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예를 들어 팝업(Popup) 노이즈 등)을 줄이기 위해, 제어부(123)는 오디오 스위치(129)의 오디오 선택 신호를 변경하기 전에 점진적으로 페이드 아웃(Fade Out)이 되도록 오디오 신호레벨 조정부(131)의 오디오 출력 레벨을 점진적으로 줄이고, 오디오 선택 신호를 변경한 후에는 점진적으로 페이드 인(Fade In)이 되도록 오디오 신호레벨 조정부(131)의 오디오 출력 레벨을 점진적으로 높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오디오 신호레벨 조정부(131)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단자(133)는, 오디오 신호레벨 조정부(131) 또는 오디오 스위치(129)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오디오 생성 장치(600)로 출력한다. 출력된 오디오 신호의 포맷은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이거나 디지털 오디오 신호일 수 있다.
제어부(123)는 이미지 생성 장치(100)의 전체 블록 혹은 전체 블록 중 일부를 제어한다. 제어부(123)는 제 1 연결 단자(101)를 통해 연결된 제어 신호를 제어 명령으로 해석한다. 해석된 제어 명령과 제어부(123)의 현재 상태를 판단하여 제 1 비디오 인코더(109)에서 인코딩할 이미지 또는 영상과 오디오 인코더(127)에 인코딩할 오디오 스트림을 메모리(119)에서 결정하고, 결정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제 1 비디오 인코더(109)에서 그리고 결정된 오디오 스트림을 오디오 인코더(127)에서 인코딩되도록 출력한다.
여기서 오디오 스트림은 압축된 포맷으로부터 디코딩하여 생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비디오 인코더에서 인코딩할 영상과 함께 압축된 오디오 정보로부터 디코딩하여 추출할 수 있다. 혹은 비디오 인코더에서 인코딩할 이미지와 함께 사용될 오디오 압축 파일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제어부(123)는 비디오 스위치(113)를 동기 검출부(107)로부터 수신된 동기화 정보에 동기화되어 영상 또는 이미지가 선택되도록 비디오 스위치(113)를 제어하고 이에 더하여 오디오 스위치(129)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오디오 스위치(129)의 제어와 함께 오디오 신호레벨 조정부(131)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레벨을 조절하도록 더 구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오디오 신호의 페이드 인과 페이드 아웃을 구현하여 오디오 신호가 변경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는 노이즈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3)는 제어 신호에 동기화되어 혹은 제어 신호와는 별도로 제 2 비디오 인코더(111)에 인코딩할 부가 이미지 또는 부가 영상을 메모리(119)에서 결정하고 결정된 부가 이미지 또는 부가 영상을 제 2 비디오 인코더(111)에서 인코딩되도록 출력한다. 제어부(123)에서 수행되는 구체적인 제어 흐름은 도 4와 도 5를 통해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제 1 비디오 인코더를 제어하기 위해 제어부에서 수행되는 예시적인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예시적인 흐름도는 제어부(123)에서 구동가능하고 메모리(119)에 저장되어 부팅시에 로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도 4에 따르면 예시적인 흐름도는 단계 S100에서 시작한다. 시작하는 시점은 전원이 이미지 생성 장치(100)에 공급이 시작되는 시점 혹은 다중 업소의 관리자에 의해서 시작하라는 지시를 수령한 시점(예를 들어 이미지 생성 장치(100)의 버튼 등을 이용해서)이 될 수 있다.
단계 S101에서 제 1 연결 단자(101)를 통해 연결된 제어 신호를 모니터링 하여 제어 명령을 추출한다. 한편 제어 신호는 다양한 형식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RS232 타입 또는 UART 타입의 TX, RX로 구성되어 지정된 보드 레이트(baud rate)에 따라 7bit 또는 8 bit의 data를 송수신하는 형식을 취할 수도 있고, 이와는 별도로 각 제어 신호가 하나의 명령 예를 리셋 신호와 이와는 별도의 제어 신호를 구비하여 각 제어 신호의 현재의 상태 값('1' 또는 '0') 또는 변화 값('1'--> '0'으로, '0'에서 '1'로)이 특정 제어 명령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방식의 조합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 명령과 제어 형식은 제어 신호를 사용하기 위한 주 단말기(200)와 보조 장치(300)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단말기(200)가 노래 반주 장치이고, 보조 장치(300)가 코인 기기인 경우에는, 노래 반주 장치가 전원 인가에 의해 부팅을 시작하여 보조 장치(300)인 코인 기기의 초기화를 시작하라는 초기화 명령, 보조 장치(300)의 동작을 중지하라는 종료 명령, 부팅 후에 혹은 주기적으로 노래 반주 장치로부터 코인 기기로 질의하는 코인 기기의 ID 질의 명령, 그리고 이러한 코인 기기의 ID 질의 명령에 응답하여 코인 기기에서 노래 반주 장치로 전송되는 ID 전송 명령, 코인 기기에서 노래 반주 장치로 현재 유효한 코인인 입력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코인 수신 명령을 포함하고, 이에 추가하여 노래 반주 장치가 하나의 곡을 완료한 후에 코인을 하나 감소하라는 코인 다운 명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미지 생성 장치(100)가 모니터링할 주 단말기(200)와 보조 장치(300) 간의 제어 신호와 제어 명령의 종류와 형식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제어 명령은 하나의 제어 신호에 각각 할당할 수도 있고 혹은 각각의 제어 명령이 하나의 UART 라인(TX 또는 RX) 또는 RS232 라인의 8 bit 또는 7 bit의 순차적으로 송수신되는 시리얼 데이터 내에 인코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생성 장치(100)는 하나의 보조 장치(300)에서 사용하는 제어 신호뿐 아니라, 다른 보조 장치(300)에서 사용하는 제어 신호를 동시에 모니터링하고 이들의 조합으로 이미지 등을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하나 이상의 보조 장치(300)에 대한 제어 신호와 제어 명령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어 명령 맵핑 테이블과 각 제어 명령에 사용할 이미지를 메모리(119)에 별도로 저장하도록 구성하거나 혹은 소프트웨어 모듈 내에서 이를 수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S102 단계에서 추출된 제어 명령이 제 1 명령인지를 결정한다. 제 1 명령은 예를 들어 리셋 신호 또는 초기화를 요구하는 초기화 명령, 또는 종료 명령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제 1 명령인 경우에는 S103 단계로 전이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른 명령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S108 단계로 전이한다.
S103 단계에서 제어부(123)는 메모리(119)에 저장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로딩하고 로딩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제 1 비디오 인코더(109)에 출력하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해 이미지 또는 영상이 압축되어 있는 경우 이 압축을 풀고 압축이 풀린 이미지 또는 영상을 메모리(119)의 프레임 버퍼에 저장하고 프레임 버퍼를 제 1 비디오 인코더(109)가 수신할 수 있는 포맷으로 예를 들어 비디오 스트림 형식으로 출력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제 1 비디오 인코더(109)는 수신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비디오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또는 영상은 다중 업소에서 대피시 필요한 피난 안내도 등일 수 있다.
S104 단계에서 제어부(123)는 동기 검출부(107)로부터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고 동기화 정보를 검출한 경우, 예를 들어 수직 동기화 정보의 시작을 검출한 경우에 S105 단계로 전이한다. 한편 S104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S105 단계에서 제어부(123)는 비디오 스위치(113)의 비디오 신호의 선택을 제 1 비디오 인코더(109)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가 선택되도록 스위칭한다.
그리고 S106 단계에서 제어부(123)는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제 1 비디오 인코더(109)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가 제 1 디스플레이 장치(400)에서 표시되도록 기다린다. 이러한 미리 지정된 시간은 제 1 비디오 인코더(109)에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가 영상인 경우에는 해당 영상의 재생 시간이거나 혹은 소프트웨어 모듈에 미리 결정되거나 메모리(119)에 저장된 시간일 수 있다.
지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S107 단계에서 제어부(123)는 영상 입력 단자(105)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신호가 출력하도록 비디오 신호를 선택한다. 그리고 이 단계에서도 물론 동기 검출부(107)로부터 수신된 수직 동기화 정보의 시작을 검출한 경우에 비디오 신호의 선택을 변경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S101 단계로 전이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S102 단계에서 제 1 명령이 아닌 경우에는 S108 단계에서 제 2 명령인지를 결정한다. 제 2 명령에는 예를 들어 ID 질의 명령, ID 전송 명령, 코인 수신 명령, 코인 다운 명령 중 하나 일 수 있다. 이러한 명령은 주 단말기(200)에서 지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 주 단말기(200)와 보조 장치(300) 간에 1회 이상 송수신될 수 있는 제어 명령이다. 만약 제 2 명령인 경우에는 S109로 전이하고, 만약 제 2 명령이 아닌 경우에는 S108과 S109와 같은 형식의 다른 단계(미도시)로 전이한다.
S109 단계에서 제어부(123)는 제 2 명령이 S100 단계 이후에 처음으로 인가된 제 2 명령인지를 결정한다. 만약 최초의 명령인 경우에는 S104 단계로 전이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101 단계로 전이하여 다른 명령을 수신한다.
이상의 도 4에서는 제 1 비디오 인코더를 제어하기 위해 제어부에서 수행되는 예시적인 흐름도를 도시하였다. 이에 더하여 도 4의 도면은 오디오 인코더(127)를 제어하기 위해서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S103 단계에서 이미지 또는 영상 뿐 아니라 이미지 또는 영상에 관련된 오디오 신호가 인코딩되도록 오디오 스트림을 오디오 인코더(127)로 출력하고, S105 단계에서 오디오 스위치(129)의 출력을 오디오 인코더(127)에서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선택하도록 변경하고, 단계 S107에서는 다시 오디오 스위치(129)의 출력을 오디오 입력 단자(125)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선택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S105 단계와 S107 단계 각각의 전후에 오디오 신호의 페이드 인과 페이드 아웃이 구현되도록, 오디오 신호레벨 조정부(131)의 출력 레벨을 제어부(123)가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제 2 비디오 인코더를 제어하기 위해 제어부에서 수행되는 예시적인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예시적인 흐름도는 제어부(123)에서 구동가능하고 메모리(119)에 저장되어 부팅시에 로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제어부(123)는 도 5에 따른 예시적인 흐름도와는 달리 제어 신호에 동기화되지 않고 별도의 제어부(123)에서 독립적으로 이미지나 영상을 생성하여 제 2 비디오 인코더(111)로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5에 따른 예시적인 흐름도는 단계 S200에서 시작한다. 시작하는 시점은 전원이 이미지 생성 장치(100)에 공급이 시작되는 시점 혹은 다중 업소의 관리자에 의해서 시작하라는 지시를 수령한 시점(예를 들어 이미지 생성 장치(100)의 버튼 등을 이용해서)이 될 수 있다.
S201 단계에서 제어부(123)는 제 1 연결 단자(101)를 통해 연결된 제어 신호를 모니터링 하여 제어 명령을 추출한다. 만약 제어 명령을 추출하지 못한 경우에는 S210 단계로 전이하고, 제어 명령을 추출한 경우에는 S202 단계로 전이한다. S201 단계는 제어 명령이 인가된 것을 발견한 경우 혹은 제어 명령이 아직 인가되지 않은 경우에는 주기적으로(예를 들어 10 초 단위로) 수행할 수 있다.
S202 단계에서 제어부(123)는 추출된 제어 명령이 제 1 명령인지를 결정한다. 제 1 명령은 예를 들어 초기화 명령이나 종료 명령 등일 수 있다. 만약 제 1 명령인 경우에는 S203 단계로 전이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른 명령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S206 단계로 전이한다.
S203 단계에서 제 1 명령에 사용할 제 1 이미지 또는 영상이 현재 제 2 비디오 인코더(111)에서 인코딩 중인지를 확인한다. 이러한 제 1 이미지 또는 영상은 메모리(119)에 저장된 부가 이미지 또는 영상에 포함된 하나의 영상으로서 예를 들어 다중 업소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환영의 표시를 나타낼 수 있는 이미지 또는 영상, 다음에 다시 방문할 수 있도록 하는 업소의 광고 영상 등일 수 있다. 만약 현재 제 1 이미지 또는 영상을 인코딩 중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S201 단계로 전이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204 단계로 전이한다.
S204 단계에서 제어부(123)는 제 1 이미지 또는 영상을 메모리(119)에서 로딩하고 로딩된 이미지 또는 영상이 압축된 경우 압축을 풀어 메모리(119)의 프레임 버퍼에 저장하고, 저장된 프레임 버퍼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제 2 비디오 인코더(111)로 출력한다.
도 5의 흐름도에서 생략될 수 있는 S205 단계에서 제어부(123)는 현재 제 1 이미지 또는 영상의 출력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완료된 경우에는 S201 단계로,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205 단계로 다시 전이한다.
만약 제 1 명령이 아닌 경우에는 S206 단계에서 제 2 명령인지를 결정한다. 제 2 명령은 예를 들어 ID 질의 명령, ID 전송 명령, 코인 수신 명령, 코인 다운 명령 중 하나 일 수 있다. 만약 제 2 명령이 아닌 경우에는 제 3 또는 제 4 명령인지를 확인하고 해당하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S206 단계 내지 S209 단계를 별도로 더 수행하도록(미도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S07 단계에서 제어부(123)는 현재 제 2 이미지 또는 영상이 제 2 비디오 인코더(111)로 이미 출력 중인지를 결정한다. 만약 이미 출력 중인 경우에는 S201 단계로 전이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208 단계로 전이한다. 제 2 이미지 또는 영상은 제 2 명령에 관련된 이미지 또는 영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단말기(200)에서 재생 또는 합성되는 영화나 음악과 관련된 광고 영상 또는 이미지(예를 들어 신곡과 관련된 광고 영상이나 영화와 관련된 광고 영상 등)일 수 있다.
S208 단계에서 제어부(123)는 제 2 이미지 또는 영상을 메모리(119)에서 로딩하고 로딩된 이미지 또는 영상이 압축된 경우 압축을 풀어 메모리(119)의 프레임 버퍼에 저장하고, 저장된 프레임 버퍼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제 2 비디오 인코더(111)로 출력한다.
그리고 도 5의 흐름도에서 생략될 수 있는 S209 단계에서 제어부(123)는 현재 제 2 이미지 또는 영상의 출력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완료된 경우에는 S201 단계로,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209 단계로 다시 전이한다.
또한 S210 단계에서 제어부(123)는 제어 명령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앞서 살펴본 제 1 이미지 또는 영상 및 제 2 이미지 또는 영상이 출력 중인지를 결정한다. 만약 출력 중인 경우에는 S201 단계로 전이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211 단계로 전이한다. S210 단계는 S205 및 S209 단계가 생략된 경우에는 수행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생략될 수도 있다.
S211 단계에서 현재 제 3 이미지 또는 영상이 제 2 비디오 인코더(111)로 출력 중인지를 결정한다. 이미 출력 중인 경우에는 S201 단계로 전이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212 단계로 전이한다. 제 3 이미지 또는 영상은 제 1 및 제 2의 이미지 또는 영상과는 다른 이미지 또는 영상으로서 외부의 제어 명령에 동기화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영상 또는 이미지 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업소의 광고 영상이나 이용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생활 정보나 혹은 업소에 물질적인 도움을 주는 제조사 등의 광고 영상일 수 있다.
S212 단계에서 제 3 이미지 또는 영상을 생성하여 제 2 비디오 인코더(111)로 출력하고, S201 단계로 전이한다.
이상의 도 5는 제 2 비디오 인코더를 제어하기 위해 제어부에서 수행되는 예시적인 흐름도를 도시하였다. 이와는 별도로 제 2 비디오 인코더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와 동기화되는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별도의 오디오 인코더를 이미지 생성 장치가 더 구비하여, 도 5와 동일한 흐름도에 따라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이미지 생성 장치 101 : 제 1 연결 단자
103 : 제 2 연결 단자 105 : 영상 입력 단자
107 : 동기 검출부 109 : 제 1 비디오 인코더
111 : 제 2 비디오 인코더 113 : 비디오 스위치
115 : 제 1 영상 출력 단자 117 : 제 2 영상 출력 단자
119 : 메모리 121 : USB 포트
123 : 제어부 125 : 오디오 입력 단자
127 : 오디오 인코더 129 : 오디오 스위치
131 : 오디오 신호레벨 조정부 133 : 오디오 출력 단자
200 : 주 단말기 300 : 보조 장치
400 :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500 : 제 2 디스플레이 장치
600 : 오디오 생성 장치

Claims (7)

  1. 외부 장치 간에 송수신 되는 제어 신호에 동기화되어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 장치로서,
    제 1 장치와 제 2 장치 간에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제어 신호를 모니터링 하기 위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신호에 연결된 제 1 연결 단자;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신호를 판독하고, 판독된 제어 명령이 상기 제 1 장치와 상기 제 2 장치 사이에서 제 1 장치 또는 제 2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 포맷으로 된 약속된 복수의 제어 명령 중 지정된 제어 명령인 경우에, 이미지 또는 영상의 생성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비디오 신호로 인코딩하는 제 1 비디오 인코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정된 제어 명령의 판독에 응답하여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 1 비디오 인코더로부터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가 제 1 장치로부터 출력된 비디오 신호를 대체하도록 제어하는,
    이미지 생성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생성 장치는, 제 1 장치로부터 출력된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영상 입력 단자; 및 상기 영상 입력 단자로부터 수신된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와 상기 제 1 비디오 인코더로부터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 중 하나의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비디오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정된 제어 명령의 판독에 따라 상기 이미지 또는 영상의 생성을 결정한 경우, 상기 제 1 비디오 인코더부터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상기 지정된 시간 동안 선택하도록 상기 비디오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생성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디오 인코더는 상기 영상 입력 단자로부터 수신된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의 수직 동기화(Vertical Sync) 또는 수평 동기화(Horizontal Sync)를 포함하는 동기화 정보에 동기화되도록 상기 이미지 또는 영상을 비디오 신호로 인코딩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비디오 인코더로부터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상기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비디오 스위치에서 선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생성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치는 노래를 선곡하여 재생할 수 있는 노래 반주 장치이고, 상기 제 2 장치는 상기 노래 반주 장치에서의 곡의 재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코인 기기이며, 상기 이미지 또는 영상은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노래방 사용자의 대피를 안내할 피난 안내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생성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어 명령은 상기 노래 반주 장치에서 상기 코인 기기로의 ID 질의 명령, 상기 코인 기기로부터 상기 노래 반주 장치로의 ID 전송 명령, 상기 노래 반주 장치에서 상기 코인 기기로의 초기화 명령, 상기 노래 반주 장치에서 상기 코인 기기로 동작을 중지하라는 종료 명령, 및 상기 코인 기기로부터 상기 노래 반주 장치로의 코인 수신 명령 중 두 개 이상의 제어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독된 제어 명령이, 상기 노래 반주 장치에서 상기 코인 기기로의 ID 질의 명령, 상기 코인 기기로부터 상기 노래 반주 장치로의 ID 전송 명령, 상기 노래 반주 장치에서 상기 코인 기기로의 초기화 명령, 상기 노래 반주 장치에서 상기 코인 기기로 동작을 중지하라는 종료 명령 및 상기 코인 기기로부터 상기 노래 반주 장치로 코인 수신 명령 중 하나인 경우에, 상기 피난 안내도를 이미지 또는 영상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생성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생성 장치는, 상기 비디오 스위치에서 선택된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 1 영상 출력 단자; 상기 이미지 또는 영상 및 상기 제 1 장치에 관련된 부가 이미지 또는 부가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부가 이미지 또는 상기 부가 영상을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로 생성하는 제 2 비디오 인코더; 및 상기 제 2 비디오 인코더에서 생성된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영상 출력 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생성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생성 장치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이미지 또는 영상, 및 상기 부가 이미지 또는 상기 부가 영상을 변경할 수 있는 USB 포트(port)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판독된 제어 명령에 따라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부가 이미지 또는 부가 영상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제 2 비디오 인코더에서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로 생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생성 장치.
KR1020110006964A 2011-01-24 2011-01-24 외부 장치 간에 송수신 되는 제어 신호에 동기화되어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 장치 KR101201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964A KR101201429B1 (ko) 2011-01-24 2011-01-24 외부 장치 간에 송수신 되는 제어 신호에 동기화되어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964A KR101201429B1 (ko) 2011-01-24 2011-01-24 외부 장치 간에 송수신 되는 제어 신호에 동기화되어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562A KR20120085562A (ko) 2012-08-01
KR101201429B1 true KR101201429B1 (ko) 2012-11-14

Family

ID=46871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6964A KR101201429B1 (ko) 2011-01-24 2011-01-24 외부 장치 간에 송수신 되는 제어 신호에 동기화되어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14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9051A (ja) * 1998-09-24 2000-04-07 Yamaha Corp カラオケ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9051A (ja) * 1998-09-24 2000-04-07 Yamaha Corp カラオ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562A (ko) 2012-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835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 user interface via a secondary device
JP4834187B1 (ja) 再生装置、表示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システム、認識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2183413B1 (ko) 콘텐트 표현 방법 및 시스템
EP2610857A1 (en) Display apparatus, upgrading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70088812A1 (en) Media control system
US9723366B2 (en)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supplemental content to a video player
KR20150030507A (ko) 오디오 처리 장치, 오디오 처리 방법, 초기화 모드 설정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090036408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의 edid 정보 제공 방법
JP5943050B2 (ja) 音楽再生装置、及び、音楽再生プログラム
KR101978305B1 (ko)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09004422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Startup Control Method
CN101325676A (zh) 一种音视频解码装置
CN102484745A (zh) 用于对接多媒体信号的系统和方法
CN112528051B (zh) 一种演唱作品的发布方法、显示设备及服务器
US20180167577A1 (en) Display apparatus presenting status of external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GB2404051A (en) Multimedia player which displays user specified information at a specified time during a suspended mode.
KR101201429B1 (ko) 외부 장치 간에 송수신 되는 제어 신호에 동기화되어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 장치
US20070159555A1 (en) Video displaying device
US9667748B2 (en) Clien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150208121A1 (en)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a/v output
KR200444883Y1 (ko)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표시 시스템
CN112802440B (zh) 一种显示设备及声音低延迟处理方法
KR102139331B1 (ko) 영상 콘텐츠 재생을 위한 장치, 서버 및 방법
KR20180072310A (ko)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892971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gmenting video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