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1285B1 - 직류 방전 차단기 - Google Patents

직류 방전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1285B1
KR101201285B1 KR1020110047152A KR20110047152A KR101201285B1 KR 101201285 B1 KR101201285 B1 KR 101201285B1 KR 1020110047152 A KR1020110047152 A KR 1020110047152A KR 20110047152 A KR20110047152 A KR 20110047152A KR 101201285 B1 KR101201285 B1 KR 101201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switch
movable contact
input terminal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7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영
최원규
임봉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륙
Priority to KR1020110047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12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1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1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18Means for extinguishing or suppressing ar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34Stationary parts for restricting or subdividing the arc, e.g. barri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3Avoiding erroneous swi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32Anti-tamper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류 방전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직류 방전 차단기는 전원으로부터 부하로 직류 전압을 인가하는 제 1 및 제 2 스위치; 부하의 입력단 연결되는 저항; 저항과 직렬 연결되며 다른 일단이 부하의 다른 입력단과 연결되는 가변 커패시터; 및 저항과 부하의 입력단 사이에 형성되는 제 3 스위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직류 방전 차단기{DC DISCHARGABLE BREAKER}
본 발명은 직류 방전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위치의 동작시에 유도되는 아크 방전을 방지할 수 있는 직류 방전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차단기는 전기화재나 감전 사고의 예방을 위한 것으로, 배선용차단기(MCCB : Molded Case Circuit Breaker)와 누전차단기(ELB : Earth Leakage Breaker) 등이 있다. 그리고, 넓은 의미의 차단기는 전원에서 인가되는 전압을 부하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결국 차단기는 수동이나 자동으로 전원을 부하로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차단기에서 고전압의 전원을 스위칭하는 과정에서 아크 방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고전압의 전압이 흐르고 있는 상태에서 차단기가 턴-오프 될 때, 순간적으로 아크 방전이 발생하면서 아크 가스가 생성된다. 이로 인하여 회로의 오작동이 야기될 수 있으며, 차단기의 케이스 등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단기의 스위칭 과정에서 발생하는 아크 방전으로 인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직류 방전 차단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직류 방전 차단기는 전원으로부터 부하로 직류 전압을 인가하는 제 1 및 제 2 스위치; 부하의 입력단 연결되는 저항; 저항과 직렬 연결되며 다른 일단이 부하의 다른 입력단과 연결되는 가변 커패시터; 및 저항과 부하의 입력단 사이에 형성되는 제 3 스위치;를 구비한다.
이때 제 3 스위치의 출력단자는 제 1 스위치와 부하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노드와 연결되고, 커패시터는 제 3 스위치와 부하 사이의 제 2 노드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 3 스위치는 제 1 및 제 2 스위치의 턴-오프와 동시에 턴-온 됨으로써 부하, 저항 및 가변 커패시터를 연결하는 폐루프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직류 방전 차단기는 서로 직렬 연결된 저항 및 가변 커패시터; 직류 전원의 양 단자와 각각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입력단자; 제 1 및 제 2 입력단자와 대응되며, 부하의 양 단자와 각각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출력단자;저항과 연결되는 제 3 입력단자; 제 3 입력단자와 대응되며, 제 1 출력단자와 부하 사이의 제 1 노드와 연결되는 제 3 출력단자; 상/하부로 일정 반경 회전함으로써, 제 1 및 제 3 입력단자와 접촉하는 가동 접촉자; 가동 접촉자의 회전 이동을 위한 핸들; 제 1 및 제 2 입력단자에서 하부 방향으로 굴곡되어 신장됨으로써, 가동 접촉자의 하부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서 가동 접촉자와 접속하는 제 1 및 제 2 고정 접촉자; 및 제 3 입력단자에서 상부 방향으로 굴곡되어 신장됨으로써, 가동 접촉자의 상부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서 가동 접촉자와 접속하는 제 3 고정 접촉자;를 구비하고, 가변 커패시터의 일단은 제 2 출력단자와 부하 사이의 제 2 노드와 연결된다.
이때 제 1 내지 제 3 가동 접촉자는 핸들에 의해서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운동함으로써, 제 1 및 제 2 고정 접촉자와 가동 접촉자의 턴-온 될 때에 제 3 고정 접촉자는 가동 접촉자와 턴-오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직류 방전 차단기에 의하면 전원에서 부하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될 때에 발생하는 아크 방전을 아크 완충부를 통하여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직류 방전 차단기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직류 방전 차단기의 스위치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스위치부의 가동 접촉자 및 고정 접촉자의 배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가동 접촉자 및 고정 접촉자의 접속 및 차단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직류 방전 차단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직류 방전 차단기는 직류 전원(10)에서 전압을 인가받아 부하(20)로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부(100)와 스위치부(100)에서 발생하는 아크 전압을 방전시키기 위한 아크 완충부(200)를 구비한다.
스위치부(100)는 전원(10)을 부하(20)의 양 단과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스위치(110,120)와 아크 완충부(200)의 폐회로 구성을 위한 제 3 스위치(130)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스위치(110,120)는 각각 직류 전원(10)과 부하(20)를 연결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 1 및 제 2 스위치(110,120)의 턴-온 동작으로 직류 전원(10)에서 인가되는 전압을 부하(20)로 인가할 수 있다.
제 3 스위치(130)는 아크 완충부(200)와 부하(20) 간의 폐회로를 구성하기 위해서, 직렬로 연결된 아크 완충부(200)와 부하(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3 스위치(130)는 일단이 부하(20)와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아크 완충부(200)와 연결된다. 그리고 아크 완충부(200)는 제 3 스위치(130)와 연결되지 않은 다른 극과 연결됨으로써, 제 3 스위치(130)는 턴-온 시에 부하(20)와 아크 완충부(200) 간의 폐회로를 형성한다.
아크 완충부(200)는 전원(10)에서 부하(20)로 전압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과정에서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아크 전압을 댐핑(damping)시키기 위한 것으로, 저항(210)과 가변 커패시터(220)를 직렬로 연결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아크 완충부(200)는 스위치부(100)에서 발생하는 아크 전압을 댐핑(damping)시켜서 순간적인 고전압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직류 전압의 흐름을 개폐하기 위한 차단기의 동작 과정에서는 순간적으로 아크 전압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스위치의 동작에 의한 전류의 개폐과정에서 고전압이 순간적으로 흐르거나 차단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이러한 아크 전압은 고전압의 서지 전압과 함께 아크 가스를 발생시켜서 차단기의 동작과 케이스의 손상 및 안전상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아크 완충부(200)는 이처럼 스위치에서 발생하는 아크 전압으로 인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아크 완충부(20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회로의 제 1 및 2 스위치부(100)는 전원(10)에서 부하(20)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 스위치의 턴-온 동작에 따라서 전원(10)의 직류 전압이 부하(20)로 인가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스위치(110,120)에서는 순간적인 고전압이 흐름에 따라서 아크 전압이 유도된다. 마찬가지로, 제 1 및 제 2 스위치(110,120)가 차단될 경우에도 아크 전압이 발생한다.
제 1 및 제 2 스위치(110,120)가 턴-온 될 시에 유도되는 아크 전압은 부하(20)로 저장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직류 방전 차단기의 스위치부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직류 방전 차단기의 스위치부(100)는 케이스(105)와, 케이스(105) 내에 배치되는 제 1 내지 제 3 스위치(110,120,130) 및 각각의 스위치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핸들(150)을 구비한다.
케이스(105)는 제 1ㄴ 내지 제 3 스위치(110,120,130)들 및 스위치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핸들(150)을 탑재하는 것으로, 강도가 높은 절연성의 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스위치(110,120)는 전원(10)과 부하(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것이고, 제 3 스위치(130)는 부하(20)와 아크 완충부(200) 간의 폐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 1 내지 제 3 스위치(110,120,130)는 제 1 내지 제 3 입력단자(111,121,131) 및 제 1 내지 제 3 출력단자(114,124,134)와 제 1 내지 제3 입/출력 단자(111,121,131,124,134,154)를 연결하는 가동 접촉자(15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내지 제 3 입력단자(111,121,131)는 가동 접촉자(156)와 접속을 위한 제 1 내지 제 3 고정 접촉자(112,122,132)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스위치(110,120)의 제 1 및 제 2 입력단자(111,121)는 전원(10)으로부터 전압을 인가받는 것으로, 볼트 등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입력단자(111,121)는 전원(10)과 연결되는 전선 등이 제 1 및 제 2 고정 접촉자(112,122)에 물리도록 연결하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출력단자(114,124)는 부하(20)와 연결되며, 도전선(140)등을 이용하여 가동 접촉자(156)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제 3 스위치(130)를 구성하는 제 3 입력단자(131) 및 제 3 출력단자(134)는 부하(20)와 아크 완충부(200) 간의 폐회로를 구성하기 위해서 부하(20) 및 아크 완충부(20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 3 입력단자(131)는 아크 완충부(200)와 연결되고, 제 3 출력단자(134)는 부하(20)와 제 1 출력단자(111) 사이의 제 1 노드(52)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서 제 3 스위치(130)가 턴-온 됨에 따라서 부하(20)와 아크 완충부(200)는 직렬로 연결되는 폐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고정 접촉자(112,122,132)와 접속을 위한 가동 접촉자(156)는 각각의 고정 접촉자에 대응하는 세 개의 바(Bar)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핸들(150)의 회전운동에 의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고정 접촉자와 접속하거나 차단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내지 제 3 스위치(110,120,130)의 고정 접촉자들과 가동 접촉자(156)의 구조 및 접속 형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제 1 내지 제 3 고정 접촉자들과 가동 접촉자의 배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제 1 내지 제 3 고정 접촉자들과 가동 접촉자의 접속 및 차단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스위치부는 제 1 내지 제 3 고정 접촉자(112,122,132)와 이에 대응하는 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가동 접촉자(156)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3 고정 접촉자(112,132)는 가동 접촉자(156)와의 접속을 위해서 입력단자와 결합된 부위에서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굴곡되어 신장된 형태를 갖는다. 도면에서와 같이 제 1 및 제 2 고정 접촉자(112,122)는 하부 방향으로 굴곡되어 신장되고, 제 3 고정 접촉자(132)는 상부 방향으로 굴곡되어 신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가동 접촉자(156)는 제 1 내지 제 3 고정 접촉자(112,122,132)와 접속을 위한 것으로, 제 1 내지 제 3 고정 접촉자(112,122,132)에 각각 대응되는 세 개의 가동 접촉자(156)를 포함할 수 있다.
가동 접촉자(156)는 제 1 및 제 2 고정 접촉자(112,122)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 3 고정 접촉자(132)의 하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고정 접촉자(112,122)와 제 3 고정 접촉자(132)는 가동 접촉자(156)의 수직 이동에 따라서 서로 접촉되거나 차단된다.
가동 접촉자(156)는 홀더(154)에 장착되어서 홀더(154)의 회전운동에 따라서 상/하로 수직 이동할 수 있다. 홀더(154)는 회전축(152)에 고정되어 결합되고, 회전축(152)은 핸들(154)의 이동에 따라서 일정 반경 회전할 수 있다. 즉, 핸들(150)의 조작에 의해서 회전축(152)과 홀더(154)는 일정 반경 회전하고, 이에 따라서 가동 접촉자(156)는 상/하로 수직 이동한다. 이로 인해서 가동 접촉자(156)는 상부와 하부 방향으로 수직 이동을 하며, 제 1 내지 제 3 고정 접촉자(112,122,132)들과 접속되거나 차단된다.
즉,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동 접촉자(156)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하측으로 굴곡되어 신장된 제 1 및 제 2 고정 접촉자(112,122)와 접속되고, 제 3 고정 접촉자(132)와는 차단된다. 이에 따라서, 제 1 및 제 2 스위치(110,120)가 턴-온 됨과 동시에 제 3 스위치(130)는 턴-오프된다.
그리고, 도 5에서와 같이, 가동 접촉자(156)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상측으로 굴곡되어 신장된 제 3 고정 접촉자(132)와 접속되고, 제 1 및 제 2 고정 접촉자(112,122)와는 차단된다. 이에 따라서, 제 3 스위치(130)가 턴-온 됨과 동시에 제 1 및 제 2 스위치(110,120)는 턴-오프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직류 방전 차단기는 직류 전원을 부하로 인가하는 제 1 및 제 2 스위치가 차단됨과 동시에 제 3 스위치가 턴-온 됨으로써, 아크 완충부가 폐회로를 구성한다. 이에 따라서 제 1 및 제 2 스위치에 발생하는 아크 방전이 아크 완충부를 통해서 방전되고 댐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으로 인해서 아크 방전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Claims (5)

  1. 전원으로부터 부하로 직류 전압을 인가하는 제 1 및 제 2 스위치;
    상기 부하의 입력단 연결되는 저항;
    상기 저항과 직렬 연결되며 다른 일단이 상기 부하의 다른 입력단과 연결되는 가변 커패시터; 및
    상기 저항과 상기 부하의 입력단 사이에 형성되는 제 3 스위치;를 구비하는 직류 방전 차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스위치의 출력단자는 상기 제 1 스위치와 상기 부하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노드와 연결되고,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제 3 스위치와 상기 부하 사이의 제 2 노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방전 차단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스위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의 턴-오프와 동시에 턴-온 됨으로써 상기 부하, 상기 저항 및 상기 가변 커패시터를 연결하는 폐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방전 차단기.
  4. 서로 직렬 연결된 저항 및 가변 커패시터;
    직류 전원의 양 단자와 각각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입력단자;
    상기 제 1 및 제 2 입력단자와 대응되며, 부하의 양 단자와 각각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출력단자;
    상기 저항과 연결되는 제 3 입력단자;
    상기 제 3 입력단자와 대응되며, 상기 제 1 출력단자와 상기 부하 사이의 제 1 노드와 연결되는 제 3 출력단자;
    상/하부로 일정 반경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3 입력단자와 접촉하는 가동 접촉자;
    상기 가동 접촉자의 회전 이동을 위한 핸들;
    상기 제 1 및 제 2 입력단자에서 하부 방향으로 굴곡되어 신장됨으로써, 상기 가동 접촉자의 하부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가동 접촉자와 접속하는 제 1 및 제 2 고정 접촉자; 및
    상기 제 3 입력단자에서 상부 방향으로 굴곡되어 신장됨으로써, 상기 가동 접촉자의 상부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가동 접촉자와 접속하는 제 3 고정 접촉자;를 구비하고,
    상기 가변 커패시터의 일단은 상기 제 2 출력단자와 상기 부하 사이의 제 2 노드와 연결되는 직류 방전 차단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가동 접촉자는 핸들에 의해서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운동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접촉자와 상기 가동 접촉자의 턴-온 될 때에 상기 제 3 고정 접촉자는 상기 가동 접촉자와 턴-오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방전 차단기.

KR1020110047152A 2011-05-19 2011-05-19 직류 방전 차단기 KR101201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152A KR101201285B1 (ko) 2011-05-19 2011-05-19 직류 방전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152A KR101201285B1 (ko) 2011-05-19 2011-05-19 직류 방전 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1285B1 true KR101201285B1 (ko) 2012-11-14

Family

ID=47564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152A KR101201285B1 (ko) 2011-05-19 2011-05-19 직류 방전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12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72877A (zh) * 2013-02-06 2014-08-06 雅达电子国际有限公司 直流电力系统中的断路开关
KR102267007B1 (ko) * 2019-12-27 2021-06-18 인텍전기전자 주식회사 직류스위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7702A (ja) 2000-02-01 2001-08-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イッチング装置
JP2009158295A (ja) 2007-12-26 2009-07-1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直流電源用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7702A (ja) 2000-02-01 2001-08-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イッチング装置
JP2009158295A (ja) 2007-12-26 2009-07-1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直流電源用スイッ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72877A (zh) * 2013-02-06 2014-08-06 雅达电子国际有限公司 直流电力系统中的断路开关
CN103972877B (zh) * 2013-02-06 2018-02-16 雅达电子国际有限公司 直流电力系统中的断路开关
KR102267007B1 (ko) * 2019-12-27 2021-06-18 인텍전기전자 주식회사 직류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77059B1 (en) Hybrid dc circuit breaking device
US9947496B2 (en) Circuit breaker with hybrid switch
KR101521545B1 (ko) 고압 직류 전류 차단 장치 및 방법
EP3091626B1 (en) High-voltage dc circuit breaker
CN104137211B (zh) 具有缓冲电路的高压直流混合电路断路器
EP3116006B1 (en) Capacitive coupling-type arc-extinguishing circuit and device
KR101652937B1 (ko) Dc 차단기
US11120955B2 (en) Low-voltage circuit breaker device with multiple-breaking switch
KR20200028455A (ko) 직류 소호 회로 및 장치
JP6952790B2 (ja) 特にdcシステムにおける過電圧保護のための切断および切り替え装置
JP2012248445A (ja) 開閉器
US20190206640A1 (en) Circuit breaker
KR101201285B1 (ko) 직류 방전 차단기
EP3329506B1 (en) Electrical assembly
KR102305558B1 (ko) 고온동작 정지 기능을 갖는 분전반 및 전동기 제어반
JP2005295796A (ja) 組み込まれた電力スイッチを有する発電機
JP6223803B2 (ja) 直流遮断装置
EP3248202B1 (en) Improved high voltage circuit breaker
KR101640144B1 (ko) 저전압 방지 기능이 내장된 전자 접촉기
CN203325764U (zh) 一种多功能无弧开关
US11955954B2 (en) Semiconductor circuit breaker
CN104054224A (zh) 低压、中压、或高压开关装置
KR101640145B1 (ko) 순간정전 방지 및 저전압 방지 기능이 내장된 전자 접촉기
CN104143455A (zh) 一种多功能无弧开关及实现无弧闭合与断开的措施
Faida et al. An alternating voltage stabiliz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