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0442B1 - 도서용 마크 데이터 입력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도서용 마크 데이터 입력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0442B1
KR101200442B1 KR1020120009879A KR20120009879A KR101200442B1 KR 101200442 B1 KR101200442 B1 KR 101200442B1 KR 1020120009879 A KR1020120009879 A KR 1020120009879A KR 20120009879 A KR20120009879 A KR 20120009879A KR 101200442 B1 KR101200442 B1 KR 101200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
file
data
unit
for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원
최숙희
김선화
이의열
최정숙
Original Assignee
이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원 filed Critical 이정원
Priority to KR1020120009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04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5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 G06F15/0283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for data storage and retriev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1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 H04L41/082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the condition being updates or upgrades of network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총판에서 도서관에 도서를 납품할 경우 도서관의 도서관리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마크 데이터를 자동으로 입력해주어 도서관의 관리자가 납품받은 도서를 입고할 경우 별도로 마크 데이터를 입력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도서용 마크 데이터 입력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도서용 마크데이터 입력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도서관에 구비된 클라이언트 단말과 접속하고, 도서 주문이 의뢰되면 마크 파일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전송된 마크 파일을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수신한 마크 파일의 다운로드를 제어하고, 갱신된 마크 파일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수신한 마크 파일을 다운로드 하는 마크파일 다운로드부와; 수신한 마크 파일의 형식을 판단하는 마크 형식 판단부와; 판단한 마크 파일의 형식에 기초하여 상기 마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마크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마크 파일의 형식에 대응하는 마크 데이터를 추출하는 마크데이터 검색부; 및 추출한 마크 데이터를 상기 마크 파일에 매핑하여 상기 마크 파일을 갱신하는 마크데이터 매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서용 마크 데이터 입력시스템 및 그 방법{Input system for marc data using book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도서용 마크(MARC) 데이터 입력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총판에서 도서관에 도서를 납품할 경우 도서관의 도서관리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마크 데이터를 자동으로 입력해주어 도서관의 관리자가 납품받은 도서를 입고할 경우 별도로 마크 데이터를 입력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도서용 마크 데이터 입력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서 목록 시스템은 도서관 등에 소장된 도서들에 대한 목록을 유지 관리하는 데 이용되는 시스템으로서, 일반 도서 이용자들에게 도서 검색, 도서 열람, 도서 대출, 도서 반납 등과 같은 도서 이용의 편리성 등을 제공하며, 도서 관리자(예컨대, 사서 등)들에게는 도서 배치 관리, 도서 대출 관리, 도서 반납 관리 등과 같은 도서 관리의 편리성 및 신속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도서 목록 시스템에서는 도서 식별정보(도서 색인정보)로서, 도서명, 저자, 출판사, ISBN(국제표준도서번호), 발행연도, 권수, 단위 등과 같은 항목들을 갖는 데, 이러한 각 항목들에는 고유의 마크 데이터(마크 기호)가 설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마크 데이터는 도서 검색 등과 같은 도서 관리를 위해 필요로 하는 항목이다.
컴퓨터를 통해 목록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모든 데이터를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형식으로 변환시켜, 이를 정형화된 형식으로 배열해야 하는 데, 마크(MARC: Machine Readable Cataloging)는 이와 같이 컴퓨터가 목록 데이터를 식별하여 축적, 유통할 수 있도록 코드화한 일련의 메타데이터 표준 형식이다. 예컨대, 마크는 도서 식별정보(색인정보)를 태그 형식의 부호로 표시한 것으로서, 01은 도서명, 02는 저자, 03은 출판사와 같은 형식이 될 수 있으며, 01과 해당 항목에 기재되는 데이터를 합쳐 마크 데이터라고 한다.
마크는 도서관의 자동화된 목록 작성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메타데이터 형식 표준으로 도서관 간에 목록 레코드를 상호 교환하기 위해 미국 의회 도서관(Library of Congress, LC)이 개발하였다. 1965년 LC MARC Ⅰ이 발표되었고, 1968년에 LC MARC Ⅱ가 개발되어 각국의 목록 자동화 및 표준화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각국에서는 이를 모델로 국가 표준 형식을 제정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도 1980년부터 국립 중앙 도서관이 주관하여 한국 문헌 자동화 목록법(KORMARC) 단행본 형식의 개발에 착수한 이래 2000년까지 총 6종의 형식을 개발하여 KS로 제정하였다.
이러한 마크 데이터를 이용하는 도서 목록 시스템을 사용하는 도서관 등에서는 보유한 모든 도서에 대한 마크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보관하고 있어야 하며, 이러한 마크 데이터의 생성 작업은 통상적으로 도서를 관리하는 사서 등에 의해 수작업으로 행해지는 데, 통상적인 절차로서 도서 식별정보 입력, 검색, 마크 데이터 입력 등과 같은 일련의 절차들을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함으로써 필요로 하는 마크 데이터들을 획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된다.
예컨대, 도서관의 사서들은 신규 도서를 구입할 때마다 각 도서관의 규칙(유에스마크(USMARC), 코마크(KORMARC), KCR3, AACR, ISBD, KCR 등)에 따라 마크 데이터를 작성하였으며, 이것은 모든 사서들이 마크 데이터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요구하고, 모든 도서관에서 상기 마크 데이터를 작성함으로써 중복투자가 발생하였고, 또한, 마크 데이터의 입력 오류에 의한 데이터베이스의 신뢰상실 등의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그리고 마크 데이터의 입력에 장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도서의 배치가 지연되고, 이것은 때때로 도서 열람자들의 불평을 야기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 제안된 기술이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537058호(2005.12.09. 등록)(발명의 명칭: 마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마크데이터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종래 기술은 마크 데이터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 단말, 마크 데이터를 유지관리하는 마크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중앙서버 사이의 데이터 교환에 의한 온라인 마크 데이터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는 마크 데이터 환경 설정과 마크 데이터 획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중앙 서버와의 접속과 데이터 교환을 수행하고, 도서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클라이언트 식별정보와 함께 중앙서버에 전달하는 마크 애플리케이션이 내장되고, 상기 중앙서버와 마크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마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마크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마크 데이터 환경설정에 적합하도록 변환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서버 시스템의 상보적 작용에 의해 마크 데이터를 사용자가 이용하기 쉽고, 간편하고, 별도의 추가적 작업 없이 사용자 환경에 적합하도록 마크 데이터를 제공해주게 된다.
한편, 도서관에 도서를 납품하는 총판의 경우에도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인수하면, 각 도서에 대한 마크 관련 작업을 수행하고, 도서관으로부터 납품 의뢰가 발생하면 상기 수행한 마크 관련 작업을 기반으로 도서 목록 시스템에서 의뢰 도서 위치를 찾아 도서를 납품하게 된다.
도서를 납품받은 도서관의 사서는 상기와 같이 수작업으로 도서관 규칙에 따라 마크 데이터를 작성하고, 해당 도서를 정해진 위치에 입고하게 된다.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537058호(2005.12.09. 등록)(발명의 명칭: 마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마크데이터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도서관의 관리자(예컨대, 사서)가 이용할 수 있는 마크 데이터를 온라인 상에서 제공해줄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도서관 사서가 제공되는 마크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시 마크를 작성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다수의 도서관에서 사용하는 마크 형식이 상이할 경우, 각각의 마크 형식에 맞게 마크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해주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종래의 총판에서 각각의 도서관에 구비된 도서 목록 시스템에 의해 형성된 마크 파일을 자동으로 갱신해주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예컨대, 총판에서는 출판사로부터 공급받은 도서에 대한 마크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도서를 관리하는 것은 가능하나, 이렇게 생성한 마크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서관에서 의뢰된 주문 도서에 대한 마크 파일을 갱신해주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이로 인해 도서관에서는 총판으로부터 주문 의뢰한 도서를 납품받은 경우, 사서가 별도로 마크 작업을 수행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 및 총판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총판에서 도서관에 도서를 납품할 경우 도서관의 도서관리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마크 데이터를 자동으로 입력해주어 도서관의 관리자가 납품받은 도서를 입고할 경우 별도로 마크 데이터를 입력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도서용 마크 데이터 입력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총판에서 도서관으로부터 주문 도서가 의뢰될 경우, 해당 도서관의 마크 형식을 분석하여 마크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대응하는 마크 데이터를 추출하여 자동으로 도서관에 저장된 마크 파일을 갱신해줄 수 있도록 한 도서용 마크 데이터 입력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서용 마크 데이터 입력시스템"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데이터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마크 데이터를 마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마크 데이터 입력부와;
네트워크를 통해 도서관에 구비된 클라이언트 단말과 접속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도서 주문이 의뢰되면 마크 파일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전송된 마크 파일을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마크 파일의 다운로드를 제어하고, 갱신된 마크 파일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계하여 수신한 마크 파일을 다운로드 하는 마크파일 다운로드부와;
상기 수신한 마크 파일의 형식을 판단하는 마크 형식 판단부와;
상기 마크 형식 판단부에서 판단한 마크 파일의 형식에 기초하여 상기 마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마크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마크 파일의 형식에 대응하는 마크 데이터를 추출하는 마크데이터 검색부와;
상기 마크 데이터 검색부에서 추출한 마크 데이터를 상기 마크 파일에 매핑하여 상기 마크 파일을 갱신하는 마크데이터 매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크데이터 매핑부에서 갱신한 마크 파일을 송수신부에 전달하여 송신을 제어하고,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제어부의 송신 제어에 대응하여 전달되는 마크 파일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크 형식 판단부는 수신한 마크 파일과 마크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유에스마크(USMARC), 코마크(KORMARC), KCR3, AACR, ISBD, KCR의 마크 파일을 비교하여 마크 파일의 형식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크데이터 매핑부는 상기 마크 형식 판단부에서 판단한 마크 파일의 형식을 기초로 상기 마크 데이터 검색부에서 추출한 마크 데이터를 상기 마크 파일에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크데이터 매핑부는,
상기 마크 형식 판단부에서 판단한 마크 파일의 형식을 인식하는 마크 형식 인식부와;
상기 마크 형식 인식부에서 인식한 마크 파일의 형식에 따라 마크 데이터 검색부에서 제공되는 마크 데이터로부터 마크 파일 형식에 대응하는 마크 데이터를 추출하는 마크 데이터 추출부와;
상기 마크 데이터 추출부에서 추출한 마크 데이터를 마크 파일에 결합하여 마크 파일을 갱신하는 마크 데이터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크 데이터 매핑부는,
상기 마크 파일의 갱신시 상기 마크 파일이 존재하는 도서 목록 번호까지의 마크 파일은 갱신하지 않고, 상기 도서 목록 번호 이후부터 이어지는 새로운 번호를 자동으로 부여하고, 상기 부여한 새로운 번호에 대응하게 마크 데이터를 결합하여 마크 파일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서용 마크 데이터 입력방법"은,
(a)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데이터 입력장치를 통해 마크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되는 마크 데이터를 마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b)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도서 주문이 발생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마크 파일을 요청하는 단계와;
(c)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마크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 단계와;
(d) 상기 마크 파일의 마크 형식을 판단하는 단계와;
(e) 상기 판단한 마크 파일의 형식에 기초하여 상기 마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마크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마크 파일의 형식에 대응하는 마크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와;
(f) 상기 추출한 마크 데이터를 상기 마크 파일에 매핑하여 상기 마크 파일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서용 마크 데이터 입력방법"은,
(g) 상기 (f)단계 후 갱신한 마크 파일을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해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d)단계의 마크 형식 판단은 수신한 마크 파일과 마크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유에스마크(USMARC), 코마크(KORMARC), KCR3, AACR, ISBD, KCR의 마크 파일을 비교하여 마크 파일의 형식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f)단계의 마크 파일 갱신은 판단한 마크 파일의 형식을 인식하고, 인식한 마크 파일의 형식에 따라 마크 데이터 검색부에서 제공되는 마크 데이터로부터 마크 파일 형식에 대응하는 마크 데이터를 추출하며, 추출한 마크 데이터를 마크 파일에 결합하여 마크 파일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총판에서 도서관에 도서를 납품할 경우 도서관의 도서관리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마크 데이터를 자동으로 입력해주어 도서관의 관리자가 납품받은 도서를 입고할 경우 별도로 마크 데이터를 입력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총판에서 도서관으로부터 주문 도서가 의뢰될 경우, 해당 도서관의 마크 형식을 분석하여 마크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대응하는 마크 데이터를 추출하여 자동으로 도서관에 저장된 마크 파일을 갱신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서용 마크 데이터 입력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마크데이터 매핑부의 실시 예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서용 마크 데이터 입력방법을 보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서용 마크 데이터 입력시스템의 구성도로서, 클라이언트 단말(100), 네트워크(200) 및 마크 데이터 입력시스템(300)으로 구성된다.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도서관, 학교 등에 구비된 도서 목록 관리 시스템으로서, 도서 목록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마크 데이터에 기반하여 비치되는 도서들의 정보를 관리하며, 도서 대여, 반납 등을 관리하게 된다. 도서관 등에 구비된 퍼스널컴퓨터라고 할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과 마크 데이터 입력시스템(300)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로서,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마크 데이터 입력시스템(300)은 상기 네트워크(200)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과 네트워크로 접속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저장된 마크 파일을 갱신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마크 데이터 입력시스템(300)은, 송수신부(301), 제어부(302), 마크 데이터베이스(DB)(303), 마크 데이터 입력부(304), 마크 파일 다운로드부(305), 마크 형식 판단부(306), 마크 데이터 검색부(307) 및 마크데이터 매핑부(308)를 포함한다.
송수신부(301)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도서관에 구비된 클라이언트 단말(100)과 접속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도서 주문이 의뢰되면 마크 파일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마크 파일을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마크 데이터베이스(303)는 도서에 대한 여러 형식의 마크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마크 데이터 입력부(30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데이터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마크 데이터를 상기 마크 데이터베이스(303)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302)는 상기 송수신부(301)를 통해 수신한 마크 파일의 다운로드를 제어하고, 갱신된 마크 파일의 전송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통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컴, 중앙처리장치 등과 같은 제어장치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크파일 다운로드부(305)는 상기 제어부(302)와 연계하여 수신한 마크 파일을 다운로드 하는 역할을 하며, 마크 형식 판단부(306)는 상기 수신한 마크 파일의 형식을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마크데이터 검색부(307)는 상기 마크 형식 판단부(306)에서 판단한 마크 파일의 형식에 기초하여 상기 마크 데이터베이스(303)로부터 마크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마크 파일의 형식에 대응하는 마크 데이터를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
마크데이터 매핑부(308)는 상기 마크 데이터 검색부(307)에서 추출한 마크 데이터를 상기 마크 파일에 매핑하여 상기 마크 파일을 갱신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도서용 마크 데이터 입력시스템은, 총판에 구비되고, 출판사 등으로부터 도서가 입고되면 관리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마크 데이터 입력부(304)가 해당 도서의 마크 데이터를 마크 데이터베이스(303)에 등록하게 된다. 이때 마크 데이터 입력부(304)는 키보드와 같은 데이터 입력장치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도서에 대한 마크 데이터는 도서 색인정보로서, 기존과 동일하게 도서명, 저자, 출판사, ISBN(국제표준도서번호), 발행연도, 권수, 단위 등과 같은 항목들에 설정되는 고유의 마크 데이터(마크 기호)를 마크 데이터베이스(303)에 등록하게 된다.
입고 도서에 대한 마크 데이터를 마크 데이터베이스(303)에 등록한 상태에서, 도서관에 구비된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도서 주문이 네트워크(200)를 통해 발생하면, 마크데이터 입력시스템(300)은 동작을 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저장된 마크 파일을 자동으로 갱신해주게 된다.
예컨대, 도서관의 사서가 클라이언트 단말(100)을 이용하여 네트워크(200)를 통해 마크데이터 입력시스템(300)과 접속하고, 접속이 이루어지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을 통해 도서 주문 파일을 마크데이터 입력시스템(300)에 전송한다.
마크데이터 입력시스템(300)의 송수신부(301)는 도서 주문 파일을 수신하고, 제어부(302)는 상기 송수신부(301)에서 수신한 도서 주문 파일을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하게 된다. 이후 관리자가 마크데이터 입력부(304)를 통해 저장한 도서 주문 파일의 오픈을 요청하면 제어부(302)에서 메모리에 저장한 도서 주문 파일을 인출하고, 해당 프로그램으로 읽어들여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해주게 된다.
이로써 관리자는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요청된 주문 도서를 확인하게 되며, 마크데이터 입력부(304)를 통해 확인한 도서에 대한 마크데이터 검색을 요청하게 되고, 이러한 요청 명령에 따라 제어부(302)가 마크 데이터 검색부(307)를 제어하여, 해당 도서에 대한 마크 데이터를 마크 데이터베이스(303)로부터 추출하도록 한다.
한편, 도서 주문이 발생한 경우, 제어부(302)는 송수신부(301)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갱신할 마크 파일을 요청하게 된다. 여기서 마크 파일은 클라이언트 단말(100)에만 저장된 파일로서, 해당 도서관에 비치된 도서를 열람, 검색, 대여, 반환 시 도서 정보를 얻기 위한 파일로서, 통상 도서 목록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파일이라고 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마크데이터 입력시스템(300)의 요청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는 마크 파일을 인출하여 네트워크(200)를 통해 마크데이터 입력시스템(300)에 전송한다.
마크데이터 입력시스템(300)의 제어부(302)는 마크 파일 다운로드부(305)를 제어하여, 송수신부(301)를 통해 수신한 마크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마크 데이터베이스(303)에 임시 저장하도록 한다.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마크 파일이 마크 데이터베이스(303)에 저장되면, 마크 형식 판단부(306)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0)에서 전송된 마크 파일의 형식을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마크 파일의 형식은 도서관마다 상이할 수 있으며, 통상 유에스마크(USMARC), 코마크(KORMARC), KCR3, AACR, ISBD, KCR 등이 표준으로 주로 사용된다. 따라서 마크 형식 판단부(306)는 수신한 마크 파일로부터 형식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추출하고, 이렇게 추출한 정보와 마크 데이터베이스(303)에 기등록된 마크 파일의 형식을 비교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마크 파일의 형식을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마크 파일의 형식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로는 필드당 지시기호의 수, 서브필드의 수, 디렉토리에서 필드길이와 오프셋의 크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마크 파일의 형식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기등록된 마크 파일의 형식과 비교하여, 마크 파일의 형식을 판단하게 된다.
마크 파일의 형식이 판단되면 마크데이터 검색부(307)에서 검색한 해당 도서의 마크 데이터와 마크 형식 판단정보가 마크데이터 매핑부(308)에 전달되며, 마크데이터 매핑부(308)는 판단한 마크 파일의 형식을 기초로 상기 마크 데이터 검색부(307)에서 추출한 마크 데이터를 상기 마크 파일에 매핑하게 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마크데이터 매핑부(308)의 마크 형식 인식부(308a)는 상기 마크 형식 판단부(306)에서 판단한 마크 파일의 형식을 인식하고 마크데이터 추출부(308b)는 상기 마크 형식 인식부(308a)에서 인식한 마크 파일의 형식에 따라 마크 데이터 검색부(308)에서 제공되는 마크 데이터로부터 마크 파일 형식에 대응하는 마크 데이터를 추출하게 된다.
예컨대, 마크 파일의 형식에 따라 마크 데이터의 배열이나 내용의 변경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러한 마크 파일의 형식을 인식함으로써 해당 형식에 맞는 마크 데이터의 추출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마크데이터 결합부(308c)는 상기 마크 데이터 추출부(308b)에서 추출한 마크 데이터를 마크 파일에 결합하여 마크 파일을 갱신하게 된다. 예컨대, 추출한 마크데이터를 마크 파일의 정해진 위치에 삽입하는 것으로서, 마크 파일을 갱신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마크 파일의 갱신시 상기 마크 파일이 존재하는 도서 목록 번호까지의 마크 파일은 갱신하지 않고, 상기 도서 목록 번호 이후부터 이어지는 새로운 번호를 자동으로 부여하고, 상기 부여한 새로운 번호에 대응하게 마크 데이터를 결합하여 마크 파일을 갱신하게 된다. 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마크 파일의 도서 목록이 1000번까지 등재되어 있고, 추가로 주문한 도서가 10권일 경우, 마크 파일의 갱신시 1001번부터 1010번까지 새로운 번호를 생성하고, 해당 번호에 대응하게 마크 데이터를 결합하여 마크 파일을 갱신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갱신된 마크 파일을 송수신부(301)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전송하게 되고,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수신한 마크 파일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 후, 검색만을 수행함으로써 새로 구입한 도서에 대한 마크 데이터의 생성과정을 생략하게 된다.
즉, 도서관은 구입할 도서에 대한 주문 파일과 마크 파일만을 총판의 마크데이터 입력시스템으로 전송하고, 마크데이터 입력시스템에서는 마크 파일의 형식만을 인식한 후 기존에 데이터베이스화된 마크 데이터로부터 해당 마크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마크 파일의 형식에 맞게 마크 데이터를 삽입하여 마크 파일을 갱신하고, 이를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해줌으로써, 도서관에서는 새로 구입한 도서에 대한 마크 데이터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총판에서는 이미 마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마크 데이터를 추출하여 단순히 마크 파일을 갱신해주기 때문에 총판에서 마크 파일 갱신을 위한 작업도 최소화로 가능하고, 부가적인 서비스(마크 데이터 생성)도 가능하므로, 총판의 도서 판매량 증대를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서용 마크 데이터 입력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a)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데이터 입력장치를 통해 마크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되는 마크 데이터를 마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S101 ~ S103)와; (b)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도서 주문이 발생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마크 파일을 요청하는 단계(S105 ~ S107)와; (c)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마크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 단계(S109)와; (d) 상기 마크 파일의 마크 형식을 판단하는 단계(S111)와; (e) 상기 판단한 마크 파일의 형식에 기초하여 상기 마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마크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마크 파일의 형식에 대응하는 마크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S113)와; (f) 상기 추출한 마크 데이터를 상기 마크 파일에 매핑하여 상기 마크 파일을 갱신하는 단계(S115)와; (g) 갱신한 마크 파일을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해주는 단계(S117)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도서용 마크 데이터 입력방법"은, 단계 S101 및 S103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데이터 입력장치(예컨대, 키보드)를 통해 마크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되는 마크 데이터를 마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된다.
이후 단계 S105에서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도서 주문이 발생하면 단계 S107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마크 파일을 요청하게 되고, 단계 S109에서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마크 파일을 다운로드 받게 된다.
다음으로, 단계 S111에서는 상기 다운로드 받은 마크 파일의 마크 형식을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마크 파일의 형식은 도서관마다 상이할 수 있으며, 통상 유에스마크(USMARC), 코마크(KORMARC), KCR3, AACR, ISBD, KCR 등이 표준으로 주로 사용된다. 따라서 수신한 마크 파일로부터 형식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추출하고, 이렇게 추출한 정보와 마크 데이터베이스에 기등록된 마크 파일의 형식을 비교하여,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전송된 마크 파일의 형식을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마크 파일의 형식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로는 필드당 지시기호의 수, 서브필드의 수, 디렉토리에서 필드길이와 오프셋의 크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마크 파일의 형식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기등록된 마크 파일의 형식과 비교하여, 마크 파일의 형식을 판단하게 된다.
다음으로, 단계 S113에서는 상기 마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마크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마크 파일의 형식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마크 데이터를 추출하게 된다.
이후 단계 S115에서는 상기 추출한 마크 데이터를 상기 마크 파일에 매핑하여 상기 마크 파일을 갱신하게 된다. 즉, 추출한 마크 데이터를 마크 파일의 정해진 위치에 삽입하여 마크 파일을 갱신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단계 S117에서는 갱신한 마크 파일을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해주어, 클라이언트 단말에서는 별도의 마크 데이터를 생성하는 작업이 필요없이도 새로 구입한 도서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클라이언트 단말
200… 네트워크
300… 마크데이터 입력시스템
301… 송수신부
302… 제어부
303… 마크 데이터베이스
304… 마크데이터 검색부
305… 마크파일 다운로드부
306… 마크형식 판단부
307… 마크데이터 검색부
308… 마크데이터 매핑부

Claims (10)

  1.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데이터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마크 데이터를 마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마크 데이터 입력부와;
    네트워크를 통해 도서관에 구비된 클라이언트 단말과 접속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도서 주문이 의뢰되면 마크 파일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전송된 마크 파일을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마크 파일의 다운로드를 제어하고, 갱신된 마크 파일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계하여 수신한 마크 파일을 다운로드 하는 마크파일 다운로드부와;
    상기 수신한 마크 파일의 형식을 판단하는 마크 형식 판단부와;
    상기 마크 형식 판단부에서 판단한 마크 파일의 형식에 기초하여 상기 마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주문이 의뢰된 도서의 마크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마크 파일의 형식에 대응하는 마크 데이터를 추출하는 마크데이터 검색부; 및
    상기 마크 데이터 검색부에서 추출한 마크 데이터를 마크 파일의 특정 영역에 업데이트하여 마크 파일을 갱신하는 마크데이터 매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용 마크데이터 입력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크데이터 매핑부에서 갱신한 마크 파일을 송수신부에 전달하여 송신을 제어하고,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제어부의 송신 제어에 대응하여 전달되는 마크 파일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용 마크데이터 입력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크 형식 판단부는 수신한 마크 파일과 마크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유에스마크(USMARC), 코마크(KORMARC), KCR3, AACR, ISBD, KCR의 마크 파일을 비교하여 마크 파일의 형식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용 마크데이터 입력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크데이터 매핑부는 상기 마크 형식 판단부에서 판단한 마크 파일의 형식을 기초로 상기 마크 데이터 검색부에서 추출한 마크 데이터를 상기 마크 파일에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용 마크데이터 입력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크데이터 매핑부는,
    상기 마크 형식 판단부에서 판단한 마크 파일의 형식을 인식하는 마크 형식 인식부와;
    상기 마크 형식 인식부에서 인식한 마크 파일의 형식에 따라 마크 데이터 검색부에서 제공되는 마크 데이터로부터 마크 파일 형식에 대응하는 마크 데이터를 추출하는 마크 데이터 추출부와;
    상기 마크 데이터 추출부에서 추출한 마크 데이터를 마크 파일에 결합하여 마크 파일을 갱신하는 마크 데이터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용 마크데이터 입력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마크 데이터 매핑부는,
    상기 마크 파일의 갱신시 상기 마크 파일이 존재하는 도서 목록 번호까지의 마크 파일은 갱신하지 않고, 상기 도서 목록 번호 이후부터 이어지는 새로운 번호를 자동으로 부여하고, 상기 부여한 새로운 번호에 대응하게 마크 데이터를 결합하여 마크 파일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용 마크데이터 입력시스템.
  7. 도서용 마크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마크데이터 입력부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데이터 입력장치를 통해 마크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되는 마크 데이터를 마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b) 송수신부에서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도서 주문이 발생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마크 파일을 요청하는 단계와;
    (c) 마크파일 다운로드부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마크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 단계와;
    (d) 마크 형식 판단부에서 상기 마크 파일의 마크 형식을 판단하는 단계와;
    (e) 마크 데이터 검색부에서 상기 판단한 마크 파일의 형식에 기초하여 상기 마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주문이 의뢰된 도서의 마크 데이터를 검색하고, 마크 파일의 형식에 대응하는 마크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f) 마크데이터 매핑부에서 상기 추출한 마크 데이터를 마크 파일의 특정 영역에 업데이트하여 마크 파일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용 마크데이터 입력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g) 상기 (f)단계 후 갱신한 마크 파일을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해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용 마크데이터 입력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d)단계의 마크 형식 판단은 수신한 마크 파일과 마크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유에스마크(USMARC), 코마크(KORMARC), KCR3, AACR, ISBD, KCR의 마크 파일을 비교하여 마크 파일의 형식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용 마크데이터 입력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f)단계의 마크 파일 갱신은 판단한 마크 파일의 형식을 인식하고, 인식한 마크 파일의 형식에 따라 마크 데이터 검색부에서 제공되는 마크 데이터로부터 마크 파일 형식에 대응하는 마크 데이터를 추출하며, 추출한 마크 데이터를 마크 파일에 결합하여 마크 파일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용 마크데이터 입력방법.
KR1020120009879A 2012-01-31 2012-01-31 도서용 마크 데이터 입력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00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879A KR101200442B1 (ko) 2012-01-31 2012-01-31 도서용 마크 데이터 입력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879A KR101200442B1 (ko) 2012-01-31 2012-01-31 도서용 마크 데이터 입력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0442B1 true KR101200442B1 (ko) 2012-12-24

Family

ID=47906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879A KR101200442B1 (ko) 2012-01-31 2012-01-31 도서용 마크 데이터 입력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04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8212A (ko) * 2013-07-10 2015-01-22 조문환 구매요청도서 마크 데이터 구축방법
CN111144069A (zh) * 2019-12-30 2020-05-12 北大方正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表格的目录排版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23172079A1 (ko) * 2022-03-11 2023-09-14 주식회사 리버트리 컨텐츠 기반의 스마트 도서관 운영 플랫폼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058B1 (ko) 2005-09-13 2005-12-16 주식회사 이지막 마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마크데이터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723650B1 (ko) 2005-09-13 2007-05-31 주식회사 이지막 마크 데이터의 요청을 위한 도서식별정보의 효율적 입력과이것에 의한 마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확보하는 방법 및이를 위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058B1 (ko) 2005-09-13 2005-12-16 주식회사 이지막 마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마크데이터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723650B1 (ko) 2005-09-13 2007-05-31 주식회사 이지막 마크 데이터의 요청을 위한 도서식별정보의 효율적 입력과이것에 의한 마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확보하는 방법 및이를 위한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8212A (ko) * 2013-07-10 2015-01-22 조문환 구매요청도서 마크 데이터 구축방법
KR101589705B1 (ko) 2013-07-10 2016-01-29 조문환 구매요청도서 마크 데이터 구축방법
CN111144069A (zh) * 2019-12-30 2020-05-12 北大方正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表格的目录排版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23172079A1 (ko) * 2022-03-11 2023-09-14 주식회사 리버트리 컨텐츠 기반의 스마트 도서관 운영 플랫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98066B (zh) 检测编辑之间的关系并且对编辑的子集有所行动的系统和方法
US200400834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pre-populated forms
CN103516591A (zh) 即时通信平台中企业通讯录的实现方法和装置
US11546326B2 (en) Card-personalization system
KR101200442B1 (ko) 도서용 마크 데이터 입력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2176507A1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プログラム、情報表示プログラム、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を記憶する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EP2680174A1 (en) A method, a server, a system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pying data from a source server to a target server
KR100537058B1 (ko) 마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마크데이터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8036927A (ja) 遺言書管理システム、遺言書管理装置、遺言書管理方法
CN111754206A (zh) 一种政务服务事项颗粒化梳理方法
CN107451280A (zh) 数据打通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3918609A (zh) 试卷创建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3723926A (zh) 结合rpa和ai的银行流水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200394229A1 (en) Document retrieval apparatus and document retrieval method
CN102460417A (zh) 域状态、作用和种类
TW202026922A (zh) 圖面管理系統、圖面管理方法
JP2008026951A (ja) データ管理システム、データ管理方法及び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
CN112685389B (zh) 数据管理方法、数据管理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5757995A (zh) 无特征数据标签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05913071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系统、信息处理方法
US10204165B2 (en) Network-based gathering of background information
JP2009099007A (ja) サービスサーバ、更新情報管理サーバ、サービスシステム、サービスプログラム及び更新情報管理プログラム
CN108132940A (zh) 一种应用程序数据提取方法及装置
JPWO2021079718A5 (ja) 管理サーバ、管理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528724A (zh) 一种基于用户行为特征的彩票合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