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9474B1 - 질의 및 응답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과 퀴즈게임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질의 및 응답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과 퀴즈게임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9474B1
KR101199474B1 KR1020090037654A KR20090037654A KR101199474B1 KR 101199474 B1 KR101199474 B1 KR 101199474B1 KR 1020090037654 A KR1020090037654 A KR 1020090037654A KR 20090037654 A KR20090037654 A KR 20090037654A KR 101199474 B1 KR101199474 B1 KR 101199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word
comment
comments
providing
ser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7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4338A (ko
Inventor
최정주
최우주
나현성
민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최우주
최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최우주, 최정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ublication of KR20090114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4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9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9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64Quiz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터넷상에서 제시된 질의에 대하여 다수의 참여자가 응답하고 평가함으로서 생성되는 정보성 컨텐츠를 게임처럼 즐길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하는 질의 및 응답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입자의 사용자단말로부터 키워드를 입력받아 상기 키워드 주제로 하는 웹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해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응답(이하, 댓글이라 한다) 및, 상기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을 입력받고, 상기 댓글에 대응하여 신뢰성을 판단하여 정보성 컨텐츠로서 제공하는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키워드를 중심으로 다수의 사용자에 의한 질의 및 응답과정을 거친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서 신뢰성이 확보된 정보성 컨텐츠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인터넷 커뮤니티, 웹 페이지, 키워드, 댓글, 컨텐츠

Description

질의 및 응답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과 퀴즈게임 제공방법{Method for providing question and answer community service and system thereof, method for providing quiz game}
본 발명은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터넷상에서 제시된 질의에 대하여 다수의 참여자가 응답하고 평가함으로서 생성되는 정보성 컨텐츠를 게임처럼 즐길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하는 질의 및 응답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기반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인터넷 사용자는 모든 분야에 있어 자신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의견을 표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터넷상에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모여서 자료나, 의견 등을 주고받을 수 있는 카페 등의 다양한 형태의 커뮤니티가 발달하여 오프라인에서 찾아내기 어려운 다양한 정보성 컨텐츠들을 용이하게 서치(Search)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인터넷 상에서 특정 컨텐츠를 찾고자 할 때, 소정 키워드(Keyword)를 검색 서비스에 입력하면, 검색 서비스는 카테고리별로 전문자료, 책, 웹 문서, 뉴스, 사전 서비스 등을 통한 상기 키워드에 대한 검색결과를 제공한다.
또한, 다수의 카페, 미니홈피, 블로그(blog) 등의 커뮤니티 중에서 상기 컨텐츠에 해당하는 주제를 가지는 커뮤니티에 대하여 검색하거나, 상기 커뮤니티에 게시된 컨텐츠 중에서 찾고자 하는 컨텐츠를 검색하는 과정을 통해 원하는 검색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는 커뮤니티에 개별적으로 접속하지 않아도 특정 커뮤니티에 게시된 소정의 정보성 컨텐츠를 용이하게 찾아 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는 인터넷상의 수많은 컨텐츠의 난립으로 양질의 정보를 얻기가 쉽지 않다. 즉, 검색된 컨텐츠는 불필요한 더미(dummy) 컨텐츠가 다수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커뮤니티의 특성상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들이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 등을 댓글 등의 형식으로 게시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댓글이 포함된 컨텐츠에는 정보성이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는데도 검색되어 제공되는 경우가 있다. 전술한 커뮤니티 이외에도 전문자료, 책, 웹 문서, 뉴스, 사전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도 불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사용자는 종래의 키워드 검색서비스로는 불필요한 더미 컨텐츠가 무수히 배열되어 있는 검색결과에서 원하는 정보성을 가지는 신뢰성 있는 컨텐츠를 찾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정 키워드에 대하여 정보를 원하는 사용자가 특정 키워드에 대한 웹 페이지를 구축하고, 중심으로 다수의 사용자에 의한 응답과정을 거쳐 컨텐츠의 신뢰성을 확보하여 보다 가치있는 정보성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사용자가 보다 즐겁게 컨텐츠를 활용 할 수 있도록 질의 및 응답과정을 게임형식으로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생산된 정보성 컨텐츠의 가치를 수익화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에 의한 인터넷 기반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방법으로서, (a) 사용자 단말로부터 키워드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댓글 및 상기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을 입력받는 단계; 및, (c) 상기 키워드,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는 정보성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a) 이후, (a1) 상기 키워드와 기 저장된 키워드와의 중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a2) 상기 키워드가 기 저장된 키워드와 중복되지 않을 경우, 상기 키워드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a) 이후, (a3) 상기 키워드의 금칙어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a4) 상기 키워드를 입력하는 가입자의 성향분석 및 판단 서비스의 신청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a5) 상기 키워드를 입력하는 가입자가 성향분석 및 판단 서비스를 신청했을 경우, 금칙어를 키워드로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칙어는 기업의 상호, 상품명, 또는 브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b) 이후, (b1) 상기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과, 기 저장된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과의 중복여부에 따라 상기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의 등록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b)는, (b2) 입력받은 상기 댓글과 기 저장된 댓글이 중복되면, 해당하는 댓글과 관련된 기 저장된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을 추출하여 리스트 형태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b1) 이후, (b3) 등록된 상기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에 다수의 가입자로부터 추천을 입력받는 단계; 및, (b4) 입력받은 상기 추천을 수치적으로 누적하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c)는, (c1) 입력된 다수의 댓글 중, 동일한 댓글을 추출하는 단계; (c2) 상기 동일한 댓글에 관련된 다수의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 명을 하나의 그룹으로 함께 표시하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는 성향분석 서비스 서버와 더 연결되고, 단계 (b4) 이후, (b5)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키워드에 대한 성향분석 및 판단 서비스를 요청받는 단계; (b6) 상기 성향분석 서비스 서버에 상기 키워드의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및, (b7) 상기 성향분석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키워드의 관련 데이터에 대응하여 성향분석 결과를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키워드의 관련 데이터는, 상기 키워드에 대한 댓글 및 상기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을 작성한 다수의 가입자의 회원정보와, 상기 키워드와 관련된 설문조사 결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원정보는, 상기 가입자의 성별, 나이, 직업, 특기, 취미, 생활지역, 또는 관심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는 결재 서비스 서버와 더 연결되고, 상기 단계 (b7) 이후, (b8) 상기 결재 서비스 서버로 상기 성향분석 및 판단 서비스에 대한 과금사항을 통보하는 단계; 및, (b9) 상기 결재 서비스 서버가 과금처리 후, 과금처리된 결과를 상기 가입자의 회원정보에 반영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인터넷 기반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가입자의 사용자단말로부터 키워드를 입력받아, 상기 키워드에 대응 하는 응답(이하, 댓글이라 한다) 및, 상기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을 입력받고, 상기 댓글에 대응하여 신뢰성을 판단하여 정보성 컨텐츠로서 제공하는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는, 상기 키워드를 표시하는 영역; 상기 댓글과, 댓글 및 상기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을 입력받는 영역; 기 작성된 상기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을 표시하는 영역; 및, 상기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을 추천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는, 상기 가입자의 회원정보를 처리하는 회원관리모듈; 상기 키워드를 처리하는 키워드 관리모듈; 상기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을 처리하는 댓글 관리모듈; 상기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의 추천수를 수치적으로 누적하고 순위를 결정하는 평가처리모듈; 및, 상기 회원관리모듈, 키워드 관리모듈, 댓글 관리모듈, 평가처리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정보성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는, 상기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회원DB; 상기 키워드와,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을 저장하는 컨텐츠DB; 및, 상기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의 추천수와 순위 결정 결과를 저장하는 평가처리DB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는, 입력되는 상기 키워드와 상기 컨텐츠DB에 저장된 키워드를 비교하여 중복여부를 판단하고, 중복되지 않으면 상기 입력되는 키워드를 상기 컨텐츠DB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는, 입력받은 상기 댓글과 기 저장된 댓글이 중복되면, 해당하는 댓글과 관련된 기 저장된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을 추출하여 리스트 형태로 제공하는 리스트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는, 입력된 다수의 상기 댓글 중, 동일한 댓글을 추출하고, 상기 동일한 댓글에 관련된 다수의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을 하나의 그룹으로 함께 표시하도록 제공하는 그룹화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는, 상기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을 입력한 가입자의 회원정보 및 설문조사 결과에 따라 상기 키워드의 성향분석 및 판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성향분석 서비스 서버와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원정보는, 상기 가입자의 성별, 나이, 직업, 특기, 취미, 생활지역, 또는 관심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는, 상기 가입자의 성향분석 및 판단 서비스를 신청여부에 따라, 금칙어를 키워드로서 등록받을 수 있으며, 상기 금칙어는 기업의 상호, 상품명, 또는 브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성향분석 서비스 서버는, 상기 회원정보와 상기 평가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키워드에 대한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 및, 설문조사 결과를 작성한 다수의 가입자의 성향을 분석 및 판단하는 성향분석모듈; 및, 상기 다수의 가입자의 성향을 분석 및 판단결과를 저장하는 성향서비스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는, 상기 성향분석 및 판단 서비스를 제공받는 상기 가입자에게 과금을 실시하는 결재 서비스 서버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재 서비스 서버는, 상기 과금 및, 상기 성향분석 및 판단 서비스의 수행시 발생하는 비용을 처리하는 결재처리모듈; 및, 상기 결재처리모듈의 처리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결재서비스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퀴즈 게임 제공방법은, 키워드,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댓글 및, 상기 키워드와 댓글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는 정보성 컨텐츠를 이용한 퀴즈게임 제공방법으로서, (a) 저장된 정보성 컨텐츠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성 컨텐츠를 이용하여 퀴즈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 (b) 사용자 단말로부터 퀴즈게임제공 요청을 수신 및 처리하는 단계; 및, (c) 저장된 퀴즈정보에 대응하여 퀴즈게임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a)는,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의 컨텐츠 DB에 저장된 상기 정보성 컨텐츠 중, 기 설정된 유형정보에 따라 퀴즈정보의 예문생성이 가능한 만큼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데이터를 상기 유형정보에 따라 변환하여 하나이상의 퀴즈문제를 포함하는 상기 퀴즈정보를 생성하고, 문제출제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형정보는, 하나의 키워드에 대하여, 둘 이상의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을 예문으로 제시하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이 서로 동일한 예문을 선택하도록 하는 제1 유형정보; 선호도정보에 대하여, 둘 이상의 키워드를 예문으로 제시하고 상기 선호도정보에 해당하는 키워드를 선택하도록 하는 제2 유형정보; 하나의 키워드와 댓글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에 대하여, 둘 이상의 키워드 및 댓글을 예문으로 제시하고 해당 예문을 선택하도록 하는 제3 유형정보; 및, 이미지형태로 제공되는 키워드에 대하여 둘 이상의 댓글을 예문으로 제시하고 해당 예문을 선택하도록 하는 제4 유형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b)는, (b1) 로그인된 사용자 중, 퀴즈참여를 승인한 사용자를 표시하는 단계; (b2) 표시된 사용자 중, 일 사용자가 타 사용자에게 퀴즈참여를 제안하는 것을 인식하는 단계; (b3) 상기 타 사용자의 단말에 퀴즈참여에 대한 수락 또는 거절을 문의하는 단계; 및, (b4) 상기 타 사용자가 퀴즈참여의 제안을 수락하면 해당 사용자들을 퀴즈게임영역에 포워딩하고 상기 단계 (c)를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타 사용자가 퀴즈참여의 제안을 거절하면 상기 일 사용자의 단말에 거절사실을 알리고 상기 단계 (b1)를 재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c)는, (c1) 사용자 단말에 상기 퀴즈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c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퀴즈정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c3) 상기 퀴즈정보의 형식을 판단하는 단계; (c4) 단계 (c3)의 판단결과에 따라, 동일응답 또는 정답 수신시 해당 사용자의 매칭점수 또는 게임점수를 증가시키는 단계; (c5) 퀴즈제 한시간의 경과 유무에 따라, 상기 단계 (c1)를 재 수행하는 단계; 및, (c6) 퀴즈풀이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c6)는, 상기 매칭점수가 소정점수 이상일 경우, 해당 사용자들을 채팅영역으로 포워딩하는 단계; 및, 상기 매칭점수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c) 이후, 상기 퀴즈게임결과를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의 평가처리DB에 저장하여 평가처리모듈이 해당 키워드와 관련된 추천수에 반영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키워드를 중심으로 다수의 사용자에 의한 질의 및 응답과정을 통해 신뢰성이 확보된 정보성 컨텐츠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사용자가 게임형식의 질의 및 응답과정을 통해 일방적으로 지식이 요구되는 서비스에 비해 부담없는 참여를 유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즐겁게 컨텐츠를 활용하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키워드에 대하여 다수의 사용자의 성향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이익을 창출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질의 및 응답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사용자’는 질의 및 응답 서비스에 접 속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자를 의미한다.
또한, ‘가입자’는 사용자 중, 질의 및 응답 서비스에 회원등록 된 자를 의미한다.
또한, ‘키워드’는 가입자가 질의 및 응답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에서 서비스 받고자 하는 가입자의 주관에 의해 선택된 단어를 의미하며, 단어와 단어의 조합인 문장까지 포함하고, 또한 이미지, 음원,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시스템에서는 질의에 해당된다. 키워드는 사전에 정의된 단어 뿐만 아니라, 신생어를 포함한다.
또한, ‘댓글’은 가입자가 키워드를 재 정의한 단어 내지 문장을 의미하며, 시스템에서는 응답에 해당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질의 및 응답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질의 및 응답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은, 하나이상의 사용자 단말(110)에게 웹 페이지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120)를 포함하며, 성향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성향분석 서비스 서버(140)와, 서비스 이용에 의해 발생한 비용에 대한 과금절차를 수행하는 결재 서비스 서버(150)와 더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120)는 서비스를 연동하는 외부 시스템 서버(160)와 더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인터넷과 연결되어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120)로부 터 전송되는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를 탑재한 기기이다.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120)는,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전체 프로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121)과, 가입자의 회원정보를 관리 및 저장하는 회원관리모듈(122) 및, 회원DB(132)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키워드 및 댓글을 관리 및 저장하는 키워드 관리모듈(123), 댓글 관리모듈(124), 및 컨텐츠DB(133)과, 각 키워드에 대한 댓글의 추천수에 따라 댓글을 순위화하고 평가결과를 저장하는 평가처리모듈(125) 및 평가처리DB(135)와,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을 리스트 형태 및 그룹화하여 제공하기 위한 리스트 모듈(127) 및, 그룹화 모듈(128)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모듈(121)은 회원 관리모듈(122), 키워드 관리모듈(123), 댓글 관리모듈(124), 평가처리 모듈(125), 리스트 모듈(127) 및, 그룹화 모듈(128)을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웹 페이지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웹 페이지는 키워드를 설정한 가입자가 선택한 키워드를 주제로 하는 커뮤니티 또는 개인 홈페이지(homepage)의 형태를 가지며, 키워드를 설정한 가입자에 의한 키워드와 관련된 하나이상의 이미지(image), 음원(sound),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웹 페이지에는 키워드의 사전적 의미가 기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키워드를 설정한 가입자의 주관적 의미가 함께 기술되어도 좋다.
또한, 웹 페이지는 키워드에 대하여 가입자가 댓글과,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을 추가하거나 댓글과, 이들에 대하여 추천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제어모듈은 키워드관리모듈(123)과 댓글 관리모듈(124)을 연동하여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웹페이지의 형태는 이후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회원관리모듈(122)은 질의 및 응답 서비스의 이용하는 사용자들을 관리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모듈로서, 소정의 가입절차에 따라 사용자를 회원으로 등록하여 가입자로서 그 정보를 회원DB(132)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모듈(121)이 절차수행 중, 사용자의 회원등록 여부의 확인이 필요하거나, 회원DB(132)에 저장된 회원정보의 추가 및 갱신사항이 발생한 경우, 회원관리모듈(122)에 요청하여 전술한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키워드 관리모듈(123)은 가입자에 의해 키워드가 선택되면, 키워드 및, 키워드와 관련된 데이터를 컨텐츠 DB(133)에 저장하고, 제어모듈(121)이 절차수행 중, 키워드 및, 키워드와 관련된 데이터에 대한 요청이 있을 경우, 컨텐츠 DB(133)에 저장된 내용을 조회 및, 제공한다.
댓글 관리모듈(124)은 가입자에 의해 입력된 댓글,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 및, 댓글과 관련된 데이터를 컨텐츠 DB(133)에 저장하고, 제어모듈(121)이 절차수행 중, 댓글,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 및, 댓글과 관련된 데이터를 요청할 경우 컨텐츠 DB(133)에 저장된 내용을 조회 및, 제공한다.
평가 처리모듈(125)은 가입자에 의해 평가된 댓글,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을 순위화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댓글에 대한 다수의 가입자의 추천 요청을 처리하고, 댓글에 대하여 추천수에 따라 순위를 결정한다.
또한, 평가 처리모듈(125)은 이렇게 결정된 댓글의 추천수 및 순위를 평가처리DB(135)에 저장하고, 제어모듈(121)이 절차수행 중, 추천수 및 순위에 관련된 데이터를 요청할 경우 평가처리DB(135)에 저장된 내용을 조회 및 제공한다.
리스트 모듈(127)은 댓글 관련 설명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한 모듈로서, 가입자가 입력한 댓글이 컨텐츠 DB(133)에 저장되어 있는 댓글이 동일할 경우, 해당하는 댓글과 관련된 설명을 추출하여 리스트 형태로 제어모듈(121)에 제공한다.
그룹화 모듈(128)은 하나의 댓글에 관련된 다수의 설명을 보다 가시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모듈로서, 동일한 댓글에 대하여 다수의 키워드와 댓글 간에 연관성에 대한 설명을 입력받았을 경우, 이를 그룹단위로 처리하여 함께 표시하도록 제공한다.
성향분석 서비스 서버(140)는 특정 키워드에 대한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을 작성한 가입자의 회원정보와, 별도로 제공되는 설문정보에 대응하여, 키워드에 대한 성향을 판단하는 성향분석 모듈(141)과, 판단결과를 저장하는 성향분석DB(142)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입자의 회원정보는, 상기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을 작성한 가입자가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에 회원등록시 입력한 개인정보로서, 가입자의 성별, 나이, 직업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이외에도 키워드에 관련하여 현재 관심사 등을 파악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모든 데이터를 포함한다.
결재 서비스 서버(150)는 사용자의 서비스 형태에 따라 발생하는 과금에 대한 비용지불절차를 수행하는 결제 처리모듈(151)과, 결제절차의 수행에 있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 및 제공하는 결재 서비스 DB(152)를 포함한다.
외부 시스템(160)은 인터넷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포털(Portal)사이트로서,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와 연동을 통해 서비스의 적용범위를 확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시스템(160)은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키워드별 웹페이지에 포함된 키워드,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을 검색로봇을 통해 미리 수집하고, 이를 해당 인터넷 검색 서비스의 검색결과로서 제공하는 외부 키워드 관리부(161)와, 상기 수집된 결과를 저장하는 외부 키워드 DB(162)를 포함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질의 및 응답 커뮤니티 서비스의 제공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질의 및 응답 커뮤니티 서비스의 제공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질의 및 응답 커뮤니티 서비스의 제공방법은, 사용자단말(100)이 최초로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S200 내지 S201)와, 키워드를 등록하는 단계(S210 내지 S219)와, 키워드에 대한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S220)와,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을 입력받는 단계(S230 내지 S234)와,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의 평가결과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하는 단계(S24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단말(100)이 최초로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S200 내지 S201)는, 사용자가 사용자단말(100)의 웹 브라우저를 통해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을 시도하면(S200), 제어모듈(121)이 기 설정된 초기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S201)이다.
여기서, 상기 초기 웹 페이지는 회원가입 서비스와, 로그인 서비스와, 키워드 입력 및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사용자는 사용자단말(100)을 통해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게 된다.
특히, 초기 웹 페이지는 회원가입된 가입자 뿐만 아니라, 일반 사용자들에게 로그인 없이 제공되는 키워드 및 댓글 검색 서비스와, 그 밖에 특정 이벤트 제공 서비스를 포함한다.
또한, 회원가입 서비스는 사용자의 최소 회원가입시, 회원정보의 입력을 요구하며, 입력하도록 요구되는 회원정보로는 성별, 나이, 직업, 특기, 취미, 생활지역, 관심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회원정보는 서비스 이용시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을 입력하고자하는 가입자에게는 필수입력사항으로 요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키워드를 등록하는 단계(S210 내지 S219)는, 먼저 초기 웹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가 키워드 입력 서비스를 선택하면(S210), 제어모듈(121)은 이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가입여부를 판단하기 위해(S211), 회원관리모듈(122)로 사용자 정보를 조회 하고(S212a), 가입자이면 다음 절차를 진행하며, 가입자가 아니면 사용자단말(100)로 가입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212b).
이때, 가입자는 서비스 이용 형태에 따라 성향분석 서비스를 신청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제어모듈(121)은 사용자단말(100)을 통해 키워드의 카테고리 정보를 입력받는다(S213). 여기서 카테고리는 키워드 분류의 기준이 되는 것으로, 가입자의 자의에 의해 결정되어진다.
카테고리가 선택되면, 제어모듈(121)은 사용자단말(100)을 통해 키워드를 입력받는다(S214).
여기서, 키워드는 하나의 단어일 수 있으며, 단어와 단어의 조합일 수도 있다. 이때, 단어와 단어의 조합일 경우에는 단어간에 빈칸도 하나의 단어로 취급한다. 또한, 키워드는 텍스트 입력이 아닌 이미지, 음원,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업로드를 통해 입력 받을 수 있다.
이후, 제어모듈(121)은 입력되는 키워드의 중복여부와, 키워드가 금칙어인지를 판단한다(S215). 키워드는 중복될 수 없으며, 또한 키워드는 가입자의 회원등록형태에 따라 특정 단어가 제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업의 상호, 상품명, 브랜드(Brand)등은 금칙어로서 일반 가입자는 등록할 수 없으며, 성향분석 서비스를 신청한 가입자만이 등록 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적인 금칙어로서 욕설, 비속어 등을 등록할 수 없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어모듈(121)은 키워드 관리모듈(124)로 기 저장된 키워드를 조 회하여(S216), 입력되는 키워드의 중복 및 금칙어 여부를 확인하고, 이에 해당할 경우 입력된 키워드를 폐기하고 재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무분별한 단어등록을 방지하기 위하여 키워드를 설정한 가입자는 이전에 기 설정된 키워드의 개수에 따라 키워드의 설정에 제약을 받을 수 있다. 즉, 하나의 가입자가 소정개 이상의 키워드를 설정하였다면, 그 이상의 키워드 설정은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가입자가 부여 받을 수 있는 키워드는 20개이다.
입력된 키워드의 중복 및 개수 제한에 문제가 없고, 금칙어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제어모듈(121)은 키워드 관리모듈(124)로 상기 입력된 키워드의 저장을 요청한다(S217).
또한, 제어모듈(121)은 웹 페이지를 통해 제공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더 입력받을 수 있다(S218). 일예로서, 가입자는 키워드의 정보성 컨텐츠로서의 기능을 강조하기 위해 키워드의 사전적 의미를 입력하거나, 웹 페이지의 동적효과를 보다 강조하기 위해, 하나이상의 이미지(image), 음원(sound), 동영상을 업로드 할 수 있으며, 이미지는 BMP, GIF, JPG, SWF 등의 포맷일 수 있고, 음원은 WAV, MID, MP3 등의 포맷일 수 있다. 또한, 동영상은 DAT, MPEG1, MPEG4, H.264등의 포맷일 수 있다. 이를 위해, 키워드 관리모듈(124)은 별도로 구비되어 전술한 다양한 포맷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스토리지 수단과 더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모듈(121)은 키워드 관리모듈(124)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S219).
이후, 제어모듈(121)은 가입자에 의해 입력된 키워드를 포함하는 키워드의 웹 페이지를 생성하여 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하는 단계(S220)를 수행한다.
여기서, 키워드의 웹 페이지는 가입자의 응답을 요구하는 영역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 'X'는 '□' "라는 네모게임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 좋다.
즉, 키워드의 웹 페이지는 키워드의 질의에 대한 응답으로서 'X'를 요구하는 게임형식을 가지게 되고, '□'는 댓글에 대응하게 된다.
이때, S220 단계에서 해당 키워드에 대하여 설문조사 서비스를 신청되어 있는 경우에는 설문조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을 입력받는 단계(S230 내지 S234)는, 키워드의 질의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제시하는 단계로서, 먼저, 제어모듈(121)은 사용자단말(100)을 통해 키워드에 대한 질의를 포함하는 키워드의 웹 페이지를 제공하고, 로그인한 가입자의 사용자단말(100)로부터 상기 키워드에 대한 응답으로서 댓글을 입력받고, 또한 댓글을 제시한 이유인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한다(S230). 이때, S220 단계에서 전술한 설문조사정보가 제공된 경우에는 이에 대한 응답을 입력받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에 대하여 중복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는, 동일인이 아닌 가입자가 입력하는 댓글 또는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이 중복될 경우, 선정된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에 대한 출처혼동으로 인한 분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중복입력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모듈(121)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입력된 댓글을 리스트 모듈(도 1의 127)에 제공하고, 리스트 모듈(도 1의 127)은 기 저장된 댓글 중, 입력되는 댓글과 동일한 댓글에 관련된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을 컨텐츠 DB(133)으로부터 추출하여 리스트 형태로 제어모듈(121)에 제공함으로서, 사용자가 연관성에 대한 설명 입력시에 참조하도록 할 수 있다.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을 입력받은 제어모듈(121)은 댓글 관리모듈(125)로 입력된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의 저장을 요청한다(S231). 이때, 설문조사정보에 대한 응답이 있는 경우에는 함께 저장 요청할 수 있다.
이후, 제어모듈(121)은 사용자단말(100)로부터 입력된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에 대한 추천을 받는다(S232).
이를 위해, 제어모듈(121)은 다수의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과, 이를 추천할 수 있는 수단을 키워드의 웹 페이지의 일 영역에 포함하여 사용자단말(100)에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추천할 수 있는 수단은 아이콘 형태의 추천버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제어모듈(121)은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의 추천 결과를 평가 처리모듈(125)로 전송하고(S233), 평가 처리모듈(125)은 해당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의 추천수를 수치적으로 누적하고 순위를 결정하여 그 결과를 제어모듈(121)에 전송한다(S234).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의 평가결과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하는 단계(S240)는, 제어모듈(121)이 상기 평가처리모듈(127)로부터 전송되는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을 순위에 맞게 소트(Sort)하여 키워드의 웹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하는 단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키워드에 대하여 입력된 댓글에 다수의 가입자로부터 추천을 입력받고, 이를 통해 시스템이 특정 키워드에 대한 총 추천수를 계산하여 추천수에 근거하여 웹 페이지에 표시하는 것은, 서비스에 대해 다수의 사용자에게 관심 및 가입을 유인하는 요인이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추천수가 많은 댓글을 우선순위로 웹 페이지에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동일한 댓글에 관련된 다수의 키워드와 댓글 간에 연관성에 대한 설명을 입력받을 수 있으므로, 전술한 단계(S240)는, 제어모듈(121)이 그룹화 모듈(도1 의 128)에 요청하여, 입력된 다수의 댓글 중 동일한 댓글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동일한 댓글에 관련된 다수의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을 하나의 그룹으로 함께 표시하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웹 페이지에서 동일한 댓글에 대하여 하나의 댓글에 다수의 키워드와 댓글 간에 연관성에 대한 설명이 그룹화되어 함께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단계에 의하여,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도1 의 120)는 사용자에게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커뮤니티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질의 및 응답 커 뮤니티 서비스 시스템의 성향분석 서비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성향분석 서비스는 유로 서비스로서, 가입자 중, 성향분석 서비스를 신청한 가입자에게만 제공되는 서비스이다. 이는, 가입자가 선정한 특수한 단어 내지 표현, 예를 들면 기업의 상호, 상품명, 브랜드(brand), 광고카피, 또는 상품이미지, 로고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image)에 대하여 공모하거나, 다수의 선호도 내지 신뢰도를 파악하고자 할 때 이용될 수 있는 서비스이다.
또한, 성향분석 서비스의 다른 형태로서, 키워드 입력시 키워드에 관련된 설문조사 결과가 더 고려될 수 있다.
즉, 성향분석 서비스는, 가입자가 전술한 특수한 단어 내지 표현을 키워드로 등록하고, 다른 다수의 가입자로부터 키워드에 관련된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을 공모하거나, 설문조사를 제공할 수 있으며, 서비스 운영자는 키워드를 등록한 가입자에게 이러한 서비스를 유료로 제공함으로서 수익을 창출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질의 및 응답 커뮤니티 서비스의성향분석 서비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질의 및 응답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의 성향분석 서비스 제공방법은,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S300, S301)와, 성향분석 서비스를 진행하는 단계(S310 내지 S321)와, 제공된 서비스에 대하여 과금하는 단계(S330 내지 S332)를 포함한다.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S300, S301)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질의 및 응 답 서비스 서버(120)가 특정 키워드와, 특정 키워드에 대한 성향분석을 요청하는 단계이다(S300).
이후,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120)는 회원정보DB에 저장된 회원정보를 통해 사용자단말(100)의 가입자의 회원등록형태를 판단한다(S302).
성향분석 서비스를 진행하는 단계(S310 내지 S321)는, S302단계에서 가입자가 성향분석 서비스를 신청했다고 판단된 경우,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120)가 회원관련 정보를 성향분석 서비스서버(140)로 제공하는 단계(S310)와,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120)가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과 관련된 정보 및 설문조사결과를 성향분석 서비스서버(140)로 제공하는 단계(S311)를 포함한다.
이후, 성향분석 서비스서버(140)는 제공받은 회원관련 정보와,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과 관련된 정보와, 설문조사 결과에 근거하여 키워드에 대한 성향을 분석 및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20).
여기서, 성향분석 및 판단과정에는 특정 키워드에 대하여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을 입력하거나, 댓글을 추천한 가입자가 회원등록시 입력한 회원정보를 통해 추천한 가입자의 성별, 나이, 직업, 특기, 취미, 생활지역, 관심분야 등에 관한 데이터가 참조된다. 또한, 설문조사의 경우 설문조사 결과가 참조된다. 즉, 성향분석 서비스 서버(140)는 전술한 다수의 회원정보와 설문조사 결과에 근거하여 다수의 가입자에 대하여 특정 키워드 및 댓글에 관한 선호도 내지 신뢰도를 파악하고, 이를 종합하여 성향분석을 수행한다.
이후, 성향분석 서비스 서버(140)는 전술한 과정을 거쳐 분석 및 판단된 성향분석결과를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120)를 통해 사용자단말(100)로 통보한다(S321).
이때, 상기 성향분석결과는 도표 등의 형태로 수치화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키워드를 포함한 광고 배너의 형태로 제공 될 수도 있다.
제공된 서비스에 대하여 과금하는 단계(S330 내지 S332)는, 질의 및 응답 서비스서버(120)가 성향분석결과를 제공받은 가입자에게 과금을 요청하는 단계(S330)와, 결재서비스 서버(150)가 과금처리 한 후,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120)에게 과금 처리된 결과를 가입자의 회원정보에 반영 요청하는 단계(S340)를 포함한다.
이러한 과금에 대한 결재를 처리하기 위해, 가입자가 기 구매한 사이버머니가 사용될 수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S340단계 이후,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120)가 과금결과를 사용자단말(100)에게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질의 및 응답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의 외부 시스템과 연동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와 외부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한 서비스 제공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이 외부 시스템(150)으로 키워드, 댓글,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을 검색요청한다(S400).
이때, 외부 시스템(150)은 요청된 키워드, 댓글,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 에 대한 설명이 검색로봇에 의해 기 검색되어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없거나 업데이트(update)가 필요한 새로운 추가사항이 있으면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120)로 요청한다(S410).
또한,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120)는 외부시스템(150)으로부터 검색요청에 대응하여 해당 키워드,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S420).
외부시스템(150)은 자신이 제공하는 서비스와 함께 제공될 수 있도록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제공받은 해당 키워드,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에 대응하는 표시수단을 생성한다(S430).
이후, 외부시스템(150)은 자신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검색결과와 상기 표시수단을 함께 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한다(S44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의 및 응답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질의 및 응답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 중, 사용자단말에서 표시되는 키워드의 웹 페이지는, 가입자가 ‘일상 > 느낌’ 카테고리에 선택한‘사랑’키워드(500)를 표시하는 영역(500)과, 키워드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키워드 표시하는 영역(510)을 포함한다.
또한, 키워드의 웹 페이지는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의 입력을 위한 댓글 입력 영역(520)을 포함하고 있으며, 댓글 입력 영역(520)은 로그인을 위한 이름, 패스워드 입력영역과, “X는 ‘□’이다.”는 형태로 질의되 는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 입력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키워드 웹 페이지의 입력된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과, 댓글에 대한 추천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530)을 포함하고 있으며, 입력된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은 추천수에 의해 순위화되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추천을 표시하기 위한 수단은 추천 입력을 받기 위해 화살표 모양의 아이콘을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의 및 응답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이 외부시스템과 연동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시스템은 사용자단말로부터 자신이 제공하는 서비스 웹 페이지에서 키워드인‘사랑’이 입력되면, 외부 시스템의 검색결과와, 키워드,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는 표시수단을 함께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외부 시스템은 자체적으로 키워드의 신뢰성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일예로서 슬라이드 바로서 제어되는 “신뢰도 지수”를 더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질의 및 응답 커뮤니티 서비스를 수행함으로서 축적된 정보성 컨텐츠를 활용하여 퀴즈게임 서비스를 더욱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퀴즈게임은 하나의 주제에 대하여 키워드,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 중, 임의의 하나를 지 문으로 제시한 뒤 이와 관련된 예문을 선택하는 4지선다형 퀴즈게임일 수 있다. 또한, 퀴즈게임의 형식은 2지선다형 또는 주관식 문제가 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형태의 실시예에 따른 질의 및 응답 커뮤니티 서비스를 이용한 퀴즈게임 제공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퀴즈게임 제공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퀴즈게임 제공장치(200)는 키워드,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는 정보성 컨텐츠를 제공하는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의 퀴즈게임 제공장치로서, 퀴즈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는 문제출제모듈(210)과, 퀴즈의 유형을 정의하는 유형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는 문제유형관리모듈(220)과, 해당 사용자의 게임점수를 관리하는 게임점수관리모듈(230)과, 해당 사용자간의 매칭점수를 관리하는 매칭점수관리모듈(240)과, 회원간의 순위를 평가하는 결과처리모듈(250) 및, 각 모듈들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문제출제DB(260), 게임점수DB(270) 및 매칭점수DB(280)를 포함한다.
여기서, 퀴즈게임 제공장치(200)은 도시한 것처럼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에 내장되거나, 또는 별도의 외부 서버로서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와 연결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문제출제모듈(210)은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120)에 저장된 정보성 컨텐츠를 추출하여 유형정보에 따라 퀴즈정보를 생성 및 문제출제DB(260)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퀴즈게임 요청시 퀴즈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 다. 전술한 정보성 컨텐츠는 회원들의 서비스 수행에 의해 점차 축적되며, 이는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120)의 컨텐츠DB(133)에 저장된다. 문제출제모듈(210)은 소정주기로 컨텐츠DB(133)를 검색하여 정보성 컨텐츠가 문제를 생성할 수 있을 만큼 축적되었는지 판단하고, 기 설정된 유형에 따라 퀴즈문제를 포함하는 퀴즈정보를 생성하여 문제출제DB(260)에 저장한다.
문제유형관리 모듈(220)은 퀴즈의 유형을 정의하는 유형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퀴즈의 유형은 서비스 제공자의 의도에 따라 소정개의 문답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서비스 설정자는 문제유형관리 모듈(220)은 유형정보를 생성하여 퀴즈문제를 구성한다. 유형정보는 퀴즈문제를 구성하기 위한 하나이상의 형태를 포함한다.
전술한 퀴즈문제 유형의 제안되는 실시예로서, 도 8은 하나의 키워드에 대하여 둘 이상의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을 예문으로 제시하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이 서로 동일한 예문을 선택하도록 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선호도정보에 대하여, 둘 이상의 키워드를 예문으로 제시하고 상기 선호도정보에 해당하는 키워드를 선택하도록 하는 다른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하나의 키워드와 댓글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에 대하여, 둘 이상의 키워드 및 댓글을 예문으로 제시하고 해당 예문을 선택하도록 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이미지형태로 제공되는 키워드에 대하여 둘 이상의 댓글을 예문으로 제시하고 해당 예문을 선택하도록 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게임점수 관리모듈(230)은 퀴즈정보에 대한 사용자 단말의 응답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게임점수를 관리 및 게임점수DB(270)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이러한 게임점수 관리모듈(230)은 게임진행 중, 선택된 정답수에 따라 득점을 계산하고, 게임이 끝나면 각 사용자가 득점한 점수를 사용자별로 게임점수DB(270)에 저장한다.
매칭점수 관리모듈(240)은 퀴즈정보에 대한 사용자 단말의 응답에 따라, 해당 사용자간의 매칭점수를 관리 및 매칭점수DB(280)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이러한 매칭점수 관리모듈(240)은 둘 이상의 사용자가 서로 동일한 예문을 선택하였을 경우에 매칭점수를 증가시키고, 게임이 끝나면 해당 사용자간에 득획득한 점수를 매칭점수DB(280)에 저장한다.
결과처리모듈(250)은 퀴즈게임 종료시, 퀴즈게임 진행으로 획득한 게임점수 및 매칭점수에 대응하여 회원간의 순위를 평가하고, 상기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의 평가처리DB(135)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또한, 결과처리모듈(250)은 각 사용자 단말에 퀴즈게임 결과를 표시하며, 특히 매칭점수가 소정점수 이상이 획득되었을 경우 해당 사용자들을 채팅영역에 포워딩한다. 전술한 평가처리DB(135)에 저장된 게임점수 및 매칭점수는 전술한 댓글의 추천수 등에 반영될 수 있다.
전술한 기술적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퀴즈게임 제공장치는 사용자 단말에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에 축적된 정보성 컨텐츠를 더욱 제공하며,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퀴즈게임 제공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 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7에 도시한 구성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퀴즈게임 제공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퀴즈게임 제공방법은, 키워드,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는 정보성 컨텐츠를 이용한 퀴즈게임 제공방법으로서, 저장된 정보성 컨텐츠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성 컨텐츠를 이용하여 퀴즈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S520)와, 사용자 단말로부터 퀴즈게임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530)와, 저장된 퀴즈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S570)를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저장된 정보성 컨텐츠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성 컨텐츠를 이용하여 퀴즈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S520)는, 문제출제모듈(210)이 소정주기에 따라 컨텐츠DB(133)를 검색하여 정보성 컨텐츠를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퀴즈정보를 생성한 후, 문제출제DB(210)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퀴즈정보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S520 단계에서 컨텐츠DB(133)에 적절한 양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어야 하며, 이를 판단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또한, 문제유형관리모듈(220)이 제공하는 유형정보가 고려되어야 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의 도 13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로부터 퀴즈게임제공 요청을 수신 및 처리하는 단계(S530)는, 제어모듈(121)을 통해 문제출제모듈(210)이 사용자 단말로부터 퀴즈게임제공에 대한 요청을 수신 및 처리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퀴즈게임 제공방법에서는 둘 이상의 사용자가 함께 퀴즈게임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S530 단계에서는 일 사용자가 타 사용자에게 퀴즈게임을 함께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4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저장된 퀴즈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S570)는, 문제출제모듈(210)이 각 사용자 단말에 퀴즈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퀴즈정보는 하나의 지문에 대하여 복수개의 예문 중 적절한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퀴즈게임형태로 제공된다. 또한, 이러한 S570 단계는 기 설정된 제한시간동안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단계에 따라, 본 발명의 퀴즈게임 제공방법은 회원들에게 축적된 키워드,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과 관련된 퀴즈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전술한 S520 단계에 포함되는 퀴즈게임 제공장치가 퀴즈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퀴즈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기 위해서는, 먼저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의 컨텐츠 DB에 저장된 상기 정보성 컨텐츠 중, 기 설정된 유형정보에 따라 퀴즈정보의 예문생성이 가능한 만큼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S522)가 수행된다. 컨텐츠DB(133)에는 다수의 회원들이 입력한 키워드,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이 정보성 컨텐츠로서 저장된다. 문제출제모듈(210)은 검색을 통해 정보성 컨텐츠 중, 퀴즈생성이 가능한 정도로 데이터가 저 장된 정보성 컨텐츠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출제하고자 하는 퀴즈의 형태가 하나의 키워드와 댓글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에 대하여 둘 이상의 키워드 및 댓글을 예문으로 제시하고 해당 예문을 선택하도록 하는 4지선다의 형태일 경우,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 댓글 및 키워드와 댓글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과, 이와 관련없는 세개의 키워드와 댓글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이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정보성 컨텐츠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출제하고자 하는 퀴즈의 형태를 고려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문제유형관리모듈(220)은 관리자에 의해 기 설정된 유형정보를 문제출제모듈(210)에 제공한다.
전술한 조건에 부합되는 데이터가 검색된 경우에는 이하의 S526 단계를 수행하고, 검색되지 않은 경우에는 S522 단계를 재 수행한다.
이후, 검색된 데이터를 상기 유형정보에 따라 변환하여 상기 퀴즈정보를 생성하고, 문제출제DB에 저장하는 단계(S526)가 수행된다.
전술한 단계에 따라, 본 발명의 퀴즈게임 제공장치는 퀴즈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게 된다.
이하, 도 14를 참조하여 전술한 S530 단계에 포함되는 퀴즈게임 제공장치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퀴즈게임제공 요청을 수신 및 처리하는 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로부터 퀴즈게임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먼저 퀴즈게임 제공장치(200)가 로그인된 사용자 중, 퀴즈참여를 승인한 사용자를 사용자 단말(110) 표시하는 단계(531)를 수행한다. 퀴즈게임은 참여를 승인하 지 않는 사용자에게는 제공되지 않으며, 사용자는 시스템 접속시에 퀴즈게임 참여여부를 미리 설정하여야 한다.
이후, 퀴즈게임 제공장치(200)가 표시된 사용자 중, 일 사용자가 타 사용자에게 퀴즈참여를 제안하는 것을 인식하는 단계(S532)가 수행된다. 일 사용자는 표시된 타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으며, 퀴즈게임 제공장치(200)는 이를 인식하여 타 사용자의 의견을 문의한다.
상기 타 사용자의 단말에 퀴즈참여에 대한 수락 또는 거절을 문의하는 단계(S535)는 퀴즈게임 제공장치(200)가 S532 단계에서 선택된 타 사용자에게 퀴즈참여에 대한 수락 또는 거절을 문의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퀴즈게임 제공장치(200)는 타 사용자 단말에 의견을 알려줄 수 있는 팝업 창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도 15은 이와 관련된 바람직한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다시 도 14에서, 상기 타 사용자가 퀴즈참여의 제안을 수락하면, 퀴즈게임 제공장치(200)는 해당 사용자들을 퀴즈게임영역에 포워딩한다(S537). 또한, 타 사용자가 퀴즈참여의 제안을 거절하면, 퀴즈게임 제공장치(200)는 일 사용자의 단말에 거절사실을 알리고 S531 단계를 재수행한다(S528).
전술한 단계에 따라, 본 발명의 퀴즈게임 제공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퀴즈게임제공 요청을 수신 및 처리하게 된다.
이하, 도 16를 참조하여 퀴즈게임 제공 이후의 절차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퀴즈게임 제공 이후의 처리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퀴즈게임 제공 이후의 처리절차는, 사용자 단말에 상기 퀴즈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581)와, 사용자 단말로부터 퀴즈정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S582)와, 퀴즈정보의 형식을 판단하는 단계(S583)와, 수신한 응답을 판단하는 단계(S584, S586)와, 판단결과에 따라 유형별로 사용자의 점수를 증가(S585, S587) 또는 S581단계를 재 수행하는 단계와, 퀴즈게임 시간종료를 판단하는 단계(S588)와, 퀴즈풀이결과를 제공하는 단계(S589)를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에 상기 퀴즈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581)는, 문제출제모듈(210)이 퀴즈게임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 단말(110)에 문제를 표시하는 단계이다.
사용자 단말로부터 퀴즈정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S582)는, 문제출제모듈(210)이 퀴즈게임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문제에 대한 응답을 전송받는 단계이다.
퀴즈정보의 형식을 판단하는 단계(S583)는, 문제출제모듈(210)이 출제된 문제의 형식을 판단하는 단계이다. 제공되는 문제는 크게 매칭형과 풀이형으로 구분된다. 매칭형이란, 둘 이상의 사용자가 동일한 문제에 대하여 동일한 예문 선택시 점수를 획득하는 형식의 문제이다. 또한, 풀이형이란, 각 사용자의 정답 선택시 점수를 획득하는 형식의 문제이다.
수신한 응답을 판단하는 단계(S584, S586)는, 둘 이상의 사용자가 동일한 예문을 선택하였는지 또는, 각 사용자가 정답을 선택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이다. 동일한 예문 또는 정답을 선택하였을 경우, 문제출제모듈(210)은 이하의 S585 또는 S587 단계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S588 단계를 수행한다.
판단결과에 따라 유형별로 사용자의 점수를 증가(S585, S587)하는 단계는, S584 또는 S586 단계의 판단결과에 따라 매칭점수관리모듈(240) 또는 게임점수관리모듈(230)이 매칭점수 또는 게임점수를 증가시키고, 매칭점수DB 또는 게임점수DB(280, 270)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퀴즈게임 시간종료를 판단하는 단계(S588)는 문제출제모듈(210)이 기 설정된 게임진행제한시간이 남아있는지 종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이다. 시간이 남아 있다고 판단되면 다음 문제에 대한 S581 단계를 수행하고, 시간이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면 S589 단계를 수행한다.
퀴즈풀이결과를 제공하는 단계(S589)는, 퀴즈게임제공을 최종적으로 정리 및 종료하는 단계이다. 문제출제모듈(210)은 각 사용자가 획득한 총 게임점수 및 매칭점수를 각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 여기서, 문제출제모듈(210)은 매칭점수를 소정점수 이상으로 획득한 사용자들을 채팅영역으로 포워딩한다. 도 17은 이러한 채팅영역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 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질의 및 응답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질의 및 응답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질의 및 응답 커뮤니티 서비스의 성향분석 서비스 제공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와 외부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한 서비스 제공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의 및 응답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의 및 응답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이 외부시스템과 연동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퀴즈게임 제공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퀴즈게임의 퀴즈문제 유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퀴즈게임 제공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퀴즈게임 제공방법에서 퀴즈정보 생 성 및 저장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퀴즈게임 제공방법에서 퀴즈게임제공 요청을 수신 및 처리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타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팝업 창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퀴즈게임 제공 이후의 처리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매칭점수를 소정점수이상 획득한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채팅영역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사용자 단말 120 :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
121 : 제어모듈 122 : 회원관리모듈
123 : 키워드 관리모듈 124 : 댓글관리모듈
125: 평가처리모듈 127 : 리스트모듈
128 : 그룹화모듈 132 : 회원DB
133 : 컨텐츠DB 135 : 평가처리DB
140 : 성향분석 서비스 서버 141 : 성향분석모듈
142 : 성향분석DB 150 : 결재서비스 서버
151 : 결재처리모듈 152 : 결재서비스DB
160 : 외부시스템 161 : 외부키워드관리모듈
162 : 외부키워드DB

Claims (32)

  1.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에 의한 인터넷 기반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방법으로서,
    (a)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키워드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댓글들을 입력받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댓글들 각각과 상기 키워드 상호 간의 연관성을 나타내는 설명들을 입력받는 단계;
    (c) 상기 키워드, 상기 댓글들 및 상기 설명들을 성향분석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성향분석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키워드에 대한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성향분석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상기 키워드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키워드, 상기 댓글들, 상기 설명들 및 상기 수신된 성향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성향분석 결과는 상기 성향분석 서비스 서버에 의하여, 상기 전송된 키워드, 상기 댓글들 및 상기 설명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 및 응답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인터넷 기반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키워드를 입력받아,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댓글 들을 입력받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댓글들 각각과 상기 키워드 상호간의 연관성을 나타내는 설명들을 입력받고, 상기 키워드, 상기 댓글들 및 상기 설명들을 성향분석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성향분석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키워드에 대한 상기 복수의 가입자 단말의 성향분석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다른 하나의 단말로부터 상기 키워드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키워드, 상기 댓글들, 상기 설명들 및 상기 수신된 성향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 및 응답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는,
    상기 키워드를 표시하는 영역;
    상기 댓글과 상기 설명을 입력 받는 영역;
    기 작성된 상기 댓글들과 상기 설명들을 표시하는 영역; 및,
    상기 댓글들 및 상기 설명들을 추천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 및 응답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는,
    상기 가입자의 회원정보를 처리하는 회원관리모듈;
    상기 키워드를 처리하는 키워드 관리모듈;
    상기 댓글들 및 상기 설명들을 처리하는 댓글 관리모듈;
    상기 댓글들 및 상기 설명들의 추천수를 수치적으로 누적하고 순위를 결정하는 평가처리모듈; 및,
    상기 회원관리모듈, 키워드 관리모듈, 댓글 관리모듈, 평가처리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정보성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 및 응답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
  16. 삭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는,
    상기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회원DB;
    상기 키워드와 상기 댓글들 및 상기 설명들을 저장하는 컨텐츠DB; 및,
    상기 댓글들 및 상기 설명들의 추천수와 순위 결정 결과를 저장하는 평가처리DB를 더 포함하고,
    입력되는 상기 키워드와 상기 컨텐츠DB에 저장된 키워드를 비교하여 중복여부를 판단하고, 중복되지 않으면 상기 입력되는 키워드를 상기 컨텐츠DB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 및 응답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는,
    입력받은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댓글에 기초한 기 저장된 설명들을 추출하여 리스트 형태로 저장하고, 입력받은 상기 댓글들과 기 저장된 댓글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댓글이 중복되면, 상기 리스트를 제어모듈로 제공하는 리스트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 및 응답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는,
    입력된 다수의 상기 댓글 중, 동일한 댓글을 추출하고, 상기 동일한 댓글에 기초한 관련된 다수의 상기 설명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함께 표시하도록 제공하는 그룹화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 및 응답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
  20. 삭제
  21. 삭제
  2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및 응답 서비스 서버는,
    상기 댓글들 및 상기 설명들을 입력한 가입자의 회원정보 및 설문조사 결과에 따라 상기 키워드의 성향분석 및 판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성향분석 서비스 서버와 더 연결되고,
    상기 가입자의 성향분석 및 판단 서비스를 신청여부에 따라, 금칙어를 키워드로서 등록받을 수 있으며, 상기 금칙어는 기업의 상호, 상품명, 또는 브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 및 응답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KR1020090037654A 2008-04-29 2009-04-29 질의 및 응답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과 퀴즈게임 제공방법 KR1011994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39819 2008-04-29
KR1020080039819 2008-04-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338A KR20090114338A (ko) 2009-11-03
KR101199474B1 true KR101199474B1 (ko) 2012-11-09

Family

ID=41555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7654A KR101199474B1 (ko) 2008-04-29 2009-04-29 질의 및 응답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과 퀴즈게임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94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0905B1 (ko) 2022-09-22 2023-07-28 양홍위 스포츠 커뮤니티 관련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05248A1 (en) * 2015-01-30 2018-01-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oduct, operating system and topic based
CN110929122B (zh) * 2018-09-20 2024-02-06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和用于数据处理的装置
KR102549695B1 (ko) * 2021-04-13 2023-06-29 가톨릭관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밸런스 게임을 이용한 선호도 분석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0905B1 (ko) 2022-09-22 2023-07-28 양홍위 스포츠 커뮤니티 관련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338A (ko) 2009-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8053B2 (en)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1625753B2 (en) Implicitly associating metadata using user behavior
Bozdag Bias in algorithmic filtering and personalization
Mostafa Mining and mapping halal food consumers: A geo-located Twitter opinion polarity analysis
Kwok et al. Spreading social media messages on Facebook: An analysis of restaurant business-to-consumer communications
US9283476B2 (en) Information collection during game play
US20100250370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targeting of advertising
US20110225019A1 (en) Search, analysis and categorization
US20050096997A1 (en) Targeting shoppers in an online shopping environment
US200802946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on of a user profile
JP2009545076A (ja) 情報検索システムにおけるポッドキャスティング及びビデオトレーニングの為の方法、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込可能ストレージ
US20140108143A1 (en) Social content distribution network
WO2007073697A1 (fr) Procede et systeme internet a question-reponse interactif utilisateur
CN101730902A (zh) 数字内容贡献的货币化
CN110321469A (zh) 在电子文档的文本中嵌入媒体内容项
KR102322668B1 (ko)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창작활동 활성화를 위한 다중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Babor et al. How to choose a journal: Scientific and practical considerations
KR101199474B1 (ko) 질의 및 응답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과 퀴즈게임 제공방법
JP7041639B2 (ja) 選択装置、選択方法および選択プログラム
CN104641314A (zh) 计算机化的互联网搜索系统和方法
Gröndahl Public knowledge of digital cookies: Exploring the design of cookie consent forms
KR102397009B1 (ko) 소셜 미디어 활동 분석을 통한 관계형성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Van Remoortere et al. The influence of mass media on the popularity of politicians
Urrutia et al. Editors versus audiences facing news: Is this discrepancy also repeated on social news networks?
Guo et al. Influence of personalised advertising copy on consumer engagement: A field experiment approa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