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9385B1 -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호 연결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호 연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9385B1
KR101199385B1 KR1020060101085A KR20060101085A KR101199385B1 KR 101199385 B1 KR101199385 B1 KR 101199385B1 KR 1020060101085 A KR1020060101085 A KR 1020060101085A KR 20060101085 A KR20060101085 A KR 20060101085A KR 101199385 B1 KR101199385 B1 KR 101199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1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4745A (ko
Inventor
류호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1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9385B1/ko
Priority to US11/873,958 priority patent/US8032186B2/en
Priority to DE102007049779.4A priority patent/DE102007049779B4/de
Publication of KR20080034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4745A/ko
Priority to US13/196,821 priority patent/US832097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9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9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3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the relative angle between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호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로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해 호가 수신됨에 따라, 호가 수신되었음을 표시함과 동시에 '통화'와 '보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되는 '통화'와 '보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키(key)를 구비하는 입력부; 및 상기 상부 본체가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하여 닫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통화'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수신한 호를 연결하도록, 상기 '보류'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호가 수신되었음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호 연결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도 호를 연결하거나 원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 표시부, 호 연결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호 연결 방법{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necting call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연결 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예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호를 연결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 1 실시예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호를 연결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 2 실시예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변경시의 화면을 나타낸 제 3 실시예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가 메뉴 선택/복귀시의 화면을 나타낸 제 4 실시예 도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호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호를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이 오픈(open)된 상태에서 통화 키가 입력된 경우와 단말이 닫힌 상태에서 단말이 오픈되는 경우 중에서 어느 하나가 발생하는 때에, 수신 호를 연결하게 된다.
즉,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어느 경우라도 수신 호를 연결하기 위하여서는 반드시 단말을 오픈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외부 단말로 호를 발신하기 위하여, 단말이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단말에 해당하는 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외부 단말로 호를 발신하게 된다.
즉,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어느 경우라도 호를 발신하기 위하여서는 반드시 단말을 오픈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말이 닫힌 상태에서도 수신 호를 연결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호 연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말이 닫힌 상태에서도 외부 단말로 호를 발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호연결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말이 닫 힌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표시하거나 선택받을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로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해 호가 수신됨에 따라, 호가 수신되었음을 표시함과 동시에 '통화'와 '보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되는 '통화'와 '보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키(key)를 구비하는 입력부 및 상기 상부 본체가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하여 닫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통화'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수신한 호를 연결하도록, 상기 '보류'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호가 수신되었음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로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소정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상부 본체가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하여 닫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입력부로부터 소정의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최근 통화 번호와 단축 번호 리스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연결 방법은, 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호를 수신함에 따라 호가 수신되었음을 표시함과 동시에 '통화'와 '보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되는 '통화'와 '보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와, 상기 선택 결과에 따라 상기 '통화'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수신한 호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결과에 따라 상기 '보류'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호가 수신되었음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연결 방법은, 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호를 수신함에 따라 '통화'와 '보류'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받기 위한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열린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에 통화 종료를 선택받기 위한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연결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이한 통화 관련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및 상기 진입된 통화 관련 모드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통화'를 선택받기 위한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에 대하여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통신부(110), 표시부(120), 입력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의 단말과 데이터 및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표시부(120)는, 단말의 상태 정보 및 저장된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동작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어부(140)는,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특히, 상기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표시부(120) 및 입력부(130)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상부 본체에 해당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하부 본체에 해당하는 본체로 구성되는 슬라이드형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상부 본체에 해당하는 상부 폴더와 상기 하부 본체에 해당하는 하부 폴더로 구성되는 폴더형 단말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에는 외부에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이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표시부(120)는, 상기 무선 통신부(110)에 의해 호가 수신됨에 따라,호가 수신되었음을 표시함과 동시에 '통화'와 '보류'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보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신한 호에 대하여, 화 면상으로 호 수신을 알리는 표시를 하고, 무음으로 상기 호 수신을 알리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호 수신에 대한 알람이 진동 또는 벨소리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라도, 상기 '보류'가 설정되면, 상기 호 수신에 대한 알람을 무음으로 설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상부 본체가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하여 닫힌 상태에 있다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20)는, 도 3의 3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하단 영역에 상기 '통화'와 '보류'를 표시한다.
한편, 이때, 상기 상부 본체가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하여 열린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에, 상기 표시부(120)는, 화면의 하단 영역에 '통화 종료'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30)는, 상기 '통화', '보류' 및 '통화 종료'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키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130)는, 도 3의 3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면상에 표시되는 상기 '통화'와 '보류' 각각의 아랫부분에 상기 '통화'와 '보류'를 선택하기 위한 키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3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통화 종료'를 선택하기 위한 키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부(130)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에, 상기 입력부(130)는, 상기 '통화', '보류' 또는 '통화 종료'가 표시된 영역에 대한 터칭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통화' 또는 '보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30)는, 상기 표시부(120)를 통하여 표시되는 복수의 데이터를 스크롤하기 위한 스크롤 키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통화'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수신한 호를 연결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한다. 또는,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보류'가 선택되는 경우에, 호가 수신되었음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보류'가 선택된 경우에, 호가 수신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상기 표시부(120)를 통하여 호 수신을 알리는 문구를 표시할 수 있으나, 호 수신을 알리는 진동이나 벨소리를 제공하지 않고 무음으로 알린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통화' 또는 '보류'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표시부(120)를 통하여 화면상에 '종료'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입력부(130)는, 상기 '종료'를 선택받기 위한 키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상기 '통화'가 선택된 후에 상기 '종료'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연결된 호를 종료시킨다. 또는, 상기 '보류'가 선택된 후에 상기 '종료'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호 수신을 알리는 표시를 중단하고, 상기 수신된 호에 대한 연결을 거절한다. 따라서, 상기 수신 호는, 연결되지 않고, 곧바로 거절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상부 본체가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하여 닫혀 있는 상태에서, 상기 표시부(120)는, 도 4의 4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하단 영역에 특정 기능을 입력받을 수 있음을 알리는 창(이하 '특정 기능 창')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특정 기능은, 단말이 닫힌 상태에서 호를 발신하기 위한 기능을 의미한다.
상기 입력부(130)는, 상기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키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상기 키는, 상기 특정 기능 창의 아랫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특정 기능에 할당된 키를 선택함에 따라, 상기 특정 기능이 동작 가능한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20) 및 상기 입력부(130)이 터치 스크린인 경우에, 상기 입력부(130)는, 상기 특정 기능 창의 소정 부분이 터칭됨에 따라, 상기 특정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특정 기능이 선택된 경우에, 도 4의 4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근 통화 번호가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120)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표시되는 최근 통화 번호는, 가장 최근에 통화한 전화 번호일 수 있고, 최근에 통화한 순서대로 일정 개의 전화 번호들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40)는, 도 4의 4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하단 영역에 '통화'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입력부(130)는, 상기 '통화'를 선택하기 위한 키를 구비한다.
또는,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특정 기능이 선택된 경우에, 도 4의 4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축 번호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120)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120)는, 상기 단축 번호 리스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축 번호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단축 번호에 설정된 전화 번호 및 사용자 이름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40)는, 도 4의 4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하단 영역에 '통화'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입력부(130)는, 상기 '통화'를 선택하기 위한 키를 구비한다.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최근 통화 번호로 호를 연결하거나, 상기 단축 번호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임의의 단축 번호에 설정된 전화 번호로 호를 연결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입력부(130)로부터 호 연결 신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부(110)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호 연결 신호는, 상기 '통화'를 선택하기 위한 키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눌러짐에 따라 발생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폐 여부에 따라, 서로 상이한 통화 관련 모드로 진입하고, 그에 따라 '통화'를 선택받기 위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상부 본체가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하여 열린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에, 상기 표시부(12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주소록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상기 주소록 정보는, 저장된 전화 번호 및 그에 상응하는 사용자 이름, 이메일 주소 등의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20)는, 상기 상부 본체가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하여 닫힌 상태인 경우에, 최근 통화 목록 또는 단축 번호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연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호를 수신한다(S210).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현재 닫힌 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한다(S220).
예를 들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폴더형 단말기인 경우에, 상기 판단 단계는, 상부 폴더가 하부 폴더에 대하여 닫혀져 있는 경우에 현재 닫힌 상태에 있다고 판단한다.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슬라이드형 단말기인 경우에, 상기 판단 단계는, 슬라이더가 본체에 대하여 닫혀져 있는 경우에 현재 닫힌 상태에 있다고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닫혀져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호가 수신되었음을 표시함과 동시에 '통화'와 '보류'를 화면상에 표시한다(S230).
예를 들어, 상기 표시 단계는, 도 3의 3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하단 영역에 상기 '통화'와 '보류'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통화'와 '보류'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다(S240).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통화'와 '보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기 위한 키를 구비한다.
상기 '통화'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수신한 호를 연결한다(S250).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종료'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여(S260), 선택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연결된 호를 유지하고(S270),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연결된 호를 종료한다.
또는, 상기 '보류'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호가 수신되었음을 표시한다(S280).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호가 수신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호 수신을 알리는 문구를 표시할 수 있으나, 호 수신을 알리는 진동이나 벨소리를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종료'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여(S290), 선택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호 수신을 알리는 표시를 유지하고(S280),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호 수신을 알리는 표시를 중단하고 상기 수신된 호에 대한 연결을 거절한다.
한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열린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에, '통화 종료'를 선택받기 위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통화 종료'가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호를 거절하거나, 상기 연결된 호를 종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슬라이드형 단말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폴더형 단말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호를 연결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호가 수신되면, 화면(312)상에 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문구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화면(312)의 하단에 '통화'(314)와 '보류'(316)를 표시한다(310).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통화'(314)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수신한 호를 연결하고, 화면(322)상에 호 연결에 따른 통화 시간을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화면(322)의 하단에 '종료'(324)를 표시한다(320). 이때, 상기 '종료'(324)가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연결된 호를 종료시킨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320 상태에서 슬라이더가 본체에 대하여 열리게 되면, 상기 연결된 호를 계속하여 유지하되, 화면(332)의 하단에 일반적인 입력창을 표시한다(330).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보류'(316)가 선택되는 경우에, 호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문구를 화면(342)상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화면(342)의 하단에 '종료'(344)키를 표시한다(340). 이때, 상기 '종료'(344)가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호 수신을 알리는 표시를 중단하고, 상기 수신된 호에 대한 연결을 거절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호를 연결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대기 화면(412) 상태에서, 상기 대기 화면(412)의 하단에 '기능'(414)을 표시한다(410). 여기에서, 상기 기능은, 단말이 닫힌 상태에서 호를 발신하기 위한 기능을 의미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기능'(414)이 선택된 경우에, 화면(422)상에 가장 최근에 통화한 전화 번호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화면(422) 하단에 '통화'(424)를 표시한다(420).
그리고, 상기 '통화'(424)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가장 최근에 통화한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단말로 호를 연결한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화면(432)상에 상기 호 연결에 따른 통화 시간을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화면(432)의 하단에 '종료'(434)를 표시한다(430).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기능'(414)이 선택된 경우에, 화면(442)상에 복수의 단축 번호로 구성된 단축 번호 리스트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화면(442)의 하단에 '통화'(444)를 표시한다(440).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복수의 단축 번호 중에서 '단축 번호 2'(446)가 선택되면, 상기 화면(442)의 소정 영역에서 상기 '단축 번호 2'(446)에 설정된 전화 번호 및 사용자 이름을 표시한다(440).
그리고, 상기 '통화'(444)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단축 번호 2'(446)에 설정된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단말로 호를 연결한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화면(432)상에 상기 호 연결에 따른 통화 시간을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화면(432)의 하단에 '종료'(434)를 표시한다(430).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 태로 변경시의 화면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대기 화면(512) 상태에서, 상기 대기 화면(512)의 하단에 '기능'(514)을 표시한다(510).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기능'(514)이 선택된 경우에, 화면(522)상에 가장 최근에 통화한 전화 번호를 표시하고, 상기 화면(522)의 하단에 '통화'를 표시한다(520).
그리고, 상기 520 상태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열리는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화면(532)상에 상기 520 상태에서 표시되던 정보를 그대로 유지하여 표시하되, 상기 화면(532)의 하단에 일반적으로 호 연결시에 표시되는 키 영역을 표시한다(530). 따라서, 상기 520 상태에서 표시되던 '통화'는, 더 이상 표시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기능'(514)이 선택된 경우에, 화면(542)상에 복수의 단축 번호로 구성된 단축 번호 리스트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화면(542)의 하단에 '통화'를 표시한다(540).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복수의 단축 번호 중에서 '단축 번호 2'(546)가 선택되면, 상기 화면(542)의 소정 영역에서 상기 '단축 번호 2'(546)에 설정된 전화 번호 및 사용자 이름을 표시한다(540).
그리고, 상기 540 상태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열리는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화면(552)상에 상기 520 상태에서 표시되던 정보를 그대로 유지하여 표시하되, 상기 화면(552)의 하단에 일반적으로 호 연결시에 표시되는 키 영 역을 표시한다(550). 따라서, 상기 540 상태에서 표시되던 '통화'는, 더 이상 표시되지 않게 된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메뉴 선택/복귀시의 화면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대기 화면 상태에서, 화면의 하단에 '메뉴'를 표시한다(610). 그리고, 상기 표시된 '메뉴'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뉴를 구성하는 복수의 메뉴 항목을 표시한다(620).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에 구비된 '카메라' 키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610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왜냐하면, 본 발명에서 상기 '카메라' 키는, 일반적인 단말의 구성에서의 '지움/이전'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이다.
상기 표시된 복수의 메뉴 항목들 중에서 '멀티미디어'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멀티미디어에 해당하는 세부 메뉴 항목들을 표시한다(630).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카메라' 키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620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을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이 닫힌 상태에서 수신 호를 연결하거나 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이 닫힌 상태에서도 전화 번호를 검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검색된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외부 단말로 호를 발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이 닫힌 상태에서 단말 외부에 구비된 카메라 키를 이용하여, 단말 상태를 이전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Claims (17)

  1.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로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해 호가 수신됨에 따라, 호가 수신되었음을 표시함과 동시에 '통화'와 '보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되는 '통화'와 '보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키(key)를 구비하는 입력부; 및
    상기 상부 본체가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하여 닫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통화'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수신한 호를 연결하도록, 상기 '보류'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호가 수신되었음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폴더형(folder type) 단말기와 슬라이드형(slide type) 단말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되는 복수의 데이터를 스크롤(scroll)하기 위한 스크롤 키(scroll key)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와 '보류'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에, 호 종료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음을 알리는 '종료'를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로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소정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상부 본체가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하여 닫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입력부로부터 소정의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최근 통화 번호와 단축 번호 리스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호를 연결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호 연결 신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최근 통화 번호로 호를 연결하거나, 상기 단축 번호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임의의 단축 번호에 설정된 번호로 호를 연결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이동통신 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연결 방법에 있어서,
    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호를 수신함에 따라, 호가 수신되었음을 표시함과 동시에 '통화'와 '보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되는 '통화'와 '보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 결과에 따라, 상기 '통화'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수신한 호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결과에 따라, 상기 '보류'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호가 수신되었음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연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현재 닫힌 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연결 방법.
  9. 이동통신 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연결 방법에 있어서,
    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호를 수신함에 따라, '통화'와 '보류'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받기 위 한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열린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에, 통화 종료를 선택받기 위한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연결 방법.
  10.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로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호를 발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부를 통해 호 연결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상부 본체가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하여 닫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상부 본체가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하여 닫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표시부를 통해 최근 통화 번호 및 단축 번호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최근 통화 번호 또는 상기 단축 번호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임의의 단축 번호에 설정된 번호로 호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발신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호가 수신되면, 상기 호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통화 아이템 및 보류 아이템을 표시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및
    상기 통화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수신된 호를 연결하고, 상기 보류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계속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아이템 또는 상기 보류 아이템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종료' 아이템을 더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삭제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보류 아이템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호에 대한 추가적인 지시 정보를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보류 아이템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진동이나 벨소리를 출력하지 않고 상기 지시 정보가 계속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060101085A 2006-10-17 2006-10-17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호 연결 방법 KR101199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085A KR101199385B1 (ko) 2006-10-17 2006-10-17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호 연결 방법
US11/873,958 US8032186B2 (en) 2006-10-17 2007-10-17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connecting call thereof
DE102007049779.4A DE102007049779B4 (de) 2006-10-17 2007-10-17 Mobiles Kommunikationsendgerät und Rufverbindungsverfahren für ein solches
US13/196,821 US8320972B2 (en) 2006-10-17 2011-08-0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connecting call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085A KR101199385B1 (ko) 2006-10-17 2006-10-17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호 연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4745A KR20080034745A (ko) 2008-04-22
KR101199385B1 true KR101199385B1 (ko) 2012-11-09

Family

ID=39574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1085A KR101199385B1 (ko) 2006-10-17 2006-10-17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호 연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93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9343A (ko) 2008-04-15 2009-10-20 삼성전기주식회사 월 마운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2713A (ja) 2003-04-16 2004-03-04 Helios:Kk 通信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着信情報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50124396A1 (en) 2003-12-08 2005-06-09 Kyocera Wireless Corp.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enhanced feature s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2713A (ja) 2003-04-16 2004-03-04 Helios:Kk 通信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着信情報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50124396A1 (en) 2003-12-08 2005-06-09 Kyocera Wireless Corp.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enhanced feature s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4745A (ko) 2008-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2260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2132622B1 (en) Transparent layer application
KR100771944B1 (ko) 휴대 전화기용 전자 메일 취급 방법 및 이 취급 방법을이용하는 휴대 전화기
US7984381B2 (en) User interface
US7761806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749018B1 (ko) 모바일 전화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US20050020316A1 (en) Event list menu for accessing menu items in a hierarchical menu
US20050143137A1 (en) Terminal apparatus
US7215975B1 (en) Portable device
KR100732059B1 (ko) 이동단말기의 이벤트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US20090303185A1 (en)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an improved operating mode
US20070281759A1 (en) Processing a repl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6279664A (ja) 携帯情報端末
KR101156352B1 (ko) 휴대 전자 기기
KR10073537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빠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KR10119938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호 연결 방법
KR100657497B1 (ko) 대기화면에서의 데이터 표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KR100486516B1 (ko) 휴대폰의 대기화면 설정방법
KR100688175B1 (ko) 메시지 히스토리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설정및 동작방법
KR101224641B1 (ko) 인물정보 관리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인물정보표시방법
JP4884500B2 (ja) 携帯情報端末
KR100686164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위한 문자메시지 디스플레이 방법
US6459912B1 (en) Menu system for a radiotransmission apparatus
KR100617549B1 (ko) 인디케이터 설정 정보 표시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50042308A (ko) 슬라이드의 이동에 따른 메뉴 스크롤 방법 및 이를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