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9067B1 - 차량의 워셔액 레벨 게이지 - Google Patents

차량의 워셔액 레벨 게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9067B1
KR101199067B1 KR1020100073411A KR20100073411A KR101199067B1 KR 101199067 B1 KR101199067 B1 KR 101199067B1 KR 1020100073411 A KR1020100073411 A KR 1020100073411A KR 20100073411 A KR20100073411 A KR 20100073411A KR 101199067 B1 KR101199067 B1 KR 101199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funnel
tube
air passage
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3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1543A (ko
Inventor
정기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3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9067B1/ko
Publication of KR20120011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9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9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0Arrangement of reservoi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dip members, e.g. dip-sti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워셔액 레벨 게이지에 관한 것으로서,워셔 리저버의 퍼넬(funnel)에 조립되는 캡과; 일단이 상기 캡의 저면에 고정되며, 상단 부분에 공기 통과공이 형성된 투명 재질의 튜브와; 상기 튜브에 마련되며, 상기 캡이 상기 퍼넬에 조립된 경우에는 상기 공기 통과공을 개방하고, 상기 캡이 상기 퍼넬로부터 분리된 경우에는 상기 공기 통과공을 폐쇄하여 상기 튜브 내에 작용하는 압력을 유지시키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워셔액의 잔량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워셔액 레벨 게이지{WASHER LIQUID LEVEL GAG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워셔액 레벨 게이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워셔액의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차량의 워셔액 레벨 게이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워셔액 레벨 게이지는 워셔 리저버의 내부에 남아있는 워셔액의 양을 확인하기 위한 도구이다.
종래 워셔액 레벨 게이지(10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셔 리저버의 퍼넬(funnel)의 입구를 개폐하는 캡(110)과, 일단이 캡(110)의 저면에 고정되며 하단 영역에 복수개의 홀(120a)이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게이지 몸체(120)로 구성된다.
게이지 몸체(120)는 플라스틱 재질로 막대 모양으로 이루어져 퍼넬의 내부로 인입된다. 이에, 게이지 몸체(120)의 어느 위치의 홀(120a)까지 워셔액이 묻어 있느냐에 따라 워셔 리저버의 내부에 남아있는 워셔액의 잔량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홀(120a)의 크기는 대략 6mm * 1.6mm 의 사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워셔액 레벨 게이지(101)에 있어서는, 홀(120a)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워셔액이 어느 홀까지 묻어 있는 것인지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퍼넬의 경사가 큰 워셔 리저버인 경우에는 상기 워셔액 레벨 게이지(101)를 이용하여 워셔액의 잔량을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워셔액 레벨 센서를 이용하곤 하였는데, 이와 같이 워셔액 레벨 센서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워셔액의 잔량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의 워셔액 레벨 게이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차량의 워셔액 레벨 게이지에 따라, 워셔 리저버의 퍼넬(funnel)에 조립되는 캡과; 일단이 상기 캡의 저면에 고정되며, 상단 부분에 공기 통과공이 형성된 투명 재질의 튜브와; 상기 튜브에 마련되며, 상기 캡이 상기 퍼넬에 조립된 경우에는 상기 공기 통과공을 개방하고, 상기 캡이 상기 퍼넬로부터 분리된 경우에는 상기 공기 통과공을 폐쇄하여 상기 튜브 내에 작용하는 압력을 유지시키는 밸브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밸브는 상기 튜브에 끼워져 상기 캡의 내측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캡의 내측면에 마련된 탄성부에 의해 상기 공기 통과공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탄성부는 스프링, 고무, 공기가 채워진 부재 중 어느 하나인 것이 좋다.
상기 튜브는 상기 퍼넬의 경사에 무관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워셔액의 잔량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의 워셔액 레벨 게이지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차량의 워셔액 레벨 게이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워셔액 레벨 게이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캡이 퍼넬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캡이 퍼넬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워셔액 레벨 게이지(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셔 리저버의 퍼넬(funnel, 5, 도 3 참조)에 조립되는 캡(10)과, 일단이 캡(10)의 저면에 고정된 투명 재질의 튜브(20)로 구성된다.
튜브(20)는 워셔 리버저 내의 워셔액이 유출입 가능하도록 내부가 빈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로 유입된 워셔액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제작된다.
이 때, 튜브(20)의 상단 부분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통과공(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공기 통과공(21)은 튜브(20)에 끼워진 밸브(30)에 의해 개폐된다.
밸브(30)는 도 3과 같이 캡(10)이 상기 퍼넬(5)에 조립된 경우에는 공기 통과공(21)을 개방하고, 도 4와 같이 캡(10)이 퍼넬(5)로부터 분리된 경우에는 공기 통과공(21)을 폐쇄하여 튜브(20) 내에 작용하는 압력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때, 밸브(30)는 튜브(20)에 끼워져 캡(10)의 내측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캡(10)의 내측면에 마련된 탄성부(40)에 의해 공기 통과공(21)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는다.
여기서, 탄성부(40)는 "O" 링과 같은 고무로 이루어져 캡(10)의 내측면에 끼워져 있으나, 스프링 또는 공기가 채워진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워셔액 레벨 게이지(1)의 밸브(30)가 상하 이동되는 원리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캡(10)이 워셔 리저버의 퍼넬(5)에 조립된 상태는 도 3과 같다. 이 경우에는, 밸브(30)가 퍼넬(5)의 상단부와 캡(10)의 내측면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공기 통과공(21)을 개방하는 위치에 있다. 이 때, 탄성부(40)는 캡(10)과 밸브(30)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캡(10)이 퍼넬(5)에 조립된 경우에는 튜브(20)의 내부와 워셔 리저버 내부에 작용하는 압력은 대기압으로서 동일하므로 동일한 높이를 유지한다.
그 후, 사용자가 캡(10)을 워셔 리저버의 퍼넬(5)로부터 분리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40)의 복원력에 의해 밸브(30)가 아래 방향으로 가압되고, 그 결과 밸브(30)가 공기 통과공(21)을 폐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캡(10)이 퍼넬(5)로부터 분리된 경우, 공기 통과공(21)이 폐쇄되지 않으면 공기 통과공(21)을 통해 튜브(2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워셔액을 튜브(20) 밖으로 밀어내기 때문에 워셔 리저버의 내부에 남아있는 잔량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는데, 본 발명과 같이 밸브(30)가 공기 통과공(21)을 폐쇄하여 튜브(20)의 내부로의 공기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튜브(20) 내에 작용하는 압력이 유지되므로 워셔액의 잔량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워셔액 레벨 게이지(1)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튜브(20)가 퍼넬(5)의 경사도에 따라 유연하게 삽입될 수 있으므로, 워셔액 레벨 센서를 장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1 : 워셔액 레벨 게이지 10 : 캡
20 : 튜브 21 : 공기 통과공
30 : 밸브 40 : 탄성부

Claims (4)

  1. 워셔 리저버의 퍼넬(funnel)에 조립되는 캡과;
    일단이 상기 캡의 저면에 고정되며, 상단 부분에 공기 통과공이 형성된 투명 재질의 튜브와;
    상기 튜브에 끼워져 상기 캡의 내측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캡의 내측면에 마련된 탄성부에 의해 상기 공기 통과공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아, 상기 캡이 상기 퍼넬에 조립된 경우에는 상기 공기 통과공을 개방하고, 상기 캡이 상기 퍼넬로부터 분리된 경우에는 상기 공기 통과공을 폐쇄하여 상기 튜브 내에 작용하는 압력을 유지시키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워셔액 레벨 게이지.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스프링, 고무, 공기가 채워진 부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워셔액 레벨 게이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상기 퍼넬의 경사에 무관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워셔액 레벨 게이지.
KR1020100073411A 2010-07-29 2010-07-29 차량의 워셔액 레벨 게이지 KR101199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411A KR101199067B1 (ko) 2010-07-29 2010-07-29 차량의 워셔액 레벨 게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411A KR101199067B1 (ko) 2010-07-29 2010-07-29 차량의 워셔액 레벨 게이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543A KR20120011543A (ko) 2012-02-08
KR101199067B1 true KR101199067B1 (ko) 2012-11-07

Family

ID=45835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3411A KR101199067B1 (ko) 2010-07-29 2010-07-29 차량의 워셔액 레벨 게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90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1109A (ko) 2016-12-19 2018-06-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워셔액 수위 감지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4419A (en) 1995-04-28 1996-08-13 Westinghouse Air Brake Company Dipstick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4419A (en) 1995-04-28 1996-08-13 Westinghouse Air Brake Company Dipstick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1109A (ko) 2016-12-19 2018-06-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워셔액 수위 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543A (ko) 201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0933B2 (en) Vacuum apparatus
CN103284451B (zh) 饮料用容器
WO2007142851A3 (en) Passive dispensing device
TWM449886U (zh) 充氣逆止閥及具有充氣逆止閥的精密元件收納裝置
KR101532842B1 (ko) 정압 부항 장치
JP2011240686A5 (ko)
KR101199067B1 (ko) 차량의 워셔액 레벨 게이지
WO2007062205A3 (en) Hand-held spray device
KR200463135Y1 (ko) 스포이드형 용기
US9339830B2 (en) Lid with ventilation system
CN203581655U (zh) 一种可加注液体的容器
JP4562138B2 (ja) 密閉容器用栓体、密閉容器並びに注入器具
CN202226186U (zh) 一种吸水瓶
KR102072172B1 (ko) 파우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용기
GB2342578A (en) Venting a waterbed
US9205440B2 (en) Dispenser for sucking back contents
KR101323067B1 (ko) 재충전 화장품 충전 시스템
DE60320648D1 (de) Wasserspender mit Lufteinlassventil
CA2546724A1 (en) Bung for an aspiration assembly
JP5771460B2 (ja) スプレー容器
KR200369051Y1 (ko) 이동 스톱퍼를 갖춘 액체용기의 펌핑장치
KR101950583B1 (ko) 진공납골함
US9573752B2 (en) Liquid container apparatus
KR20080037196A (ko) 튜브형 화장품용기용 체크밸브의 구조
JP5775755B2 (ja) スプレー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