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8684B1 - 서바이벌 게임용 헬멧 - Google Patents

서바이벌 게임용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8684B1
KR101198684B1 KR1020120068696A KR20120068696A KR101198684B1 KR 101198684 B1 KR101198684 B1 KR 101198684B1 KR 1020120068696 A KR1020120068696 A KR 1020120068696A KR 20120068696 A KR20120068696 A KR 20120068696A KR 101198684 B1 KR101198684 B1 KR 101198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unit
flag
surviv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8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용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파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파워
Priority to KR1020120068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6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4Lighting devices, e.g. helmets with lamp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바이벌 게임용으로 사용자가 착용하는 헬멧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구동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10)와, 하단부가 상기 헬멧의 상부면 일측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깃발부(20)와, 상기 깃발부를 회동시키는 구동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깃발부(20)의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착용자의 전사여부 및 피탄여부를 표지함으로써, 상대 게이머가 즉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바이벌 게임용 헬멧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서바이벌 게임용 헬멧 {SURVIVAL GAME HELMET}
본 발명은 서바이벌 게임용 헬멧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바이벌 게임용으로 사용자가 착용하는 헬멧의 상부에 깃발부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깃발부의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게이머의 전사여부 및 피탄여부를 표지함으로써 상대 게이머가 즉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바이벌 게임용 헬멧에 관한 것이다.
서바이벌게임(survival game)은 유럽과 미국에서 모의전투로 시작하였고, 제2차 세계대전을 기념하여 전쟁터를 재현해보자는 참전 용사들의 제안으로 시작되었다. 더욱이 인간의 광적인 전쟁본능을 순화시킨다는 긍정론이 인정되면서 생명존중 또는 생존을 뜻하는 서바이벌게임이 파생되었다. 1970년 중반 이를 바탕으로 한 워(war)게임의 새로운 형태인 페인트 볼게임이 미국에서 시작되어 유럽은 물론 일본까지 유래되어 정착되었다. 이후 80년대 중반 일본에서는 가스를 이용한 비비탄과 플라스틱게임 총이 나왔고, 이후 90년부터는 배터리 방식의 전동 건이 출시되어 우리나라의 서바이벌게임의 기원이 되었다.
일반적으로 군용 M16을 본뜬 소총과 우지 기관총을 본뜬 공기총(air soft gun)이 주된 장비이며, 사용되는 탄알에 의해 페인트 볼 스포츠 또는 서바이벌게임으로 나누기도 한다. 1970년대 유행한 페인트 볼에서는 최소 지름 6mm부터 최대 5cm 크기의 모조탄을 사용하는데, 명중시 속의 물감이 터진다고 해서 페인트 볼이다. 특히 아시아권에서 유행하는 서바이벌게임에서는 5~6mm의 콩알만한 플라스틱 BB탄(ball bullet)이 주종이다. 국내에서는 1980년대 말 시뮬레이션 게임으로 첫 도입된 후 서바이벌로 정착했다. 경기방법은 두 팀으로 나눈 상대편의 깃발을 빼앗는 깃발전, 상대편이 전멸할 때까지 경기하는 섬멸전, 고지를 먼저 점령하는 고지전, 생포된 동료를 구출하는 포로 구출전 등의 시나리오게임 등이 있다.
또한, 근래에는 서바이벌 게임에서 렌즈를 통해 광탄, 즉 레이저광이나 적외선광을 발사하여 착신을 감지함으로써 피탄여부를 판별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이러한 서바이벌게임의 규칙은 통상적으로 적이 모두 전사하거나 상대편 깃발을 빼앗을 경우에 게임의 승패를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비비탄이 몸, 장비, 총기에 맞으면 전사하고, 다른 곳에 맞고 튄 유탄도 유효하다. 특히 눈에 맞을 경우에 다칠 염려가 있으므로 고글을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 피탄에 맞은 게이머는 전사라고 외치고 게임장을 빠져나오며 신속하게 다른 게이머들에게 방해되지 않도록 세이프 존으로 이동해야 한다.
그러나 게임용으로 적용되는 페인트 볼은 게이머의 몸에 맞았을 때에 물감이 터지게 되므로 의복이나 장비를 세척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비비탄을 사용하여 게임을 하는 경우에는 비비탄을 맞았는지의 여부에 대한 시비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게임에서 생존자나 전사자에 대한 객관적인 데이터 관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게임에 대한 관리도 복잡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게이머는 상대방의 피탄여부를 즉시 시각적으로 판별할 수 없는 상황이 반복적으로 반생하여 상황에 맞는 전술을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 해지고 게임의 몰입감과 흥미를 저해하여 원활한 게임환경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서바이벌 게임에서 게이머에게 착용되는 헬멧에 있어서, 상기 헬멧(1)은 외부로부터 구동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10)와, 하단부가 상기 헬멧의 상부면 일측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깃발부(20)와, 상기 깃발부를 회동시키는 구동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깃발부(20)의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착용자의 전사여부 및 피탄여부를 표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바이벌 게임용 헬멧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게이머가 착용하는 특정의 보호장구에 피탄신호가 발생되면 깃발이 헬멧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대 게이머에게 즉각 시각적으로 피탄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서바이벌 게임용 헬멧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대 게이머가 피탄된 것을 다양한 방법으로 시각 및 청각을 통해 즉시 확인할 수 있는 서바이벌 게임용 헬멧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바이벌 게임에서 게이머에게 착용되는 헬멧에 있어서, 상기 헬멧(1)은 외부로부터 구동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10)와, 하단부가 상기 헬멧의 상부면 일측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착용자의 전사여부 및 피탄여부를 표지하는 깃발부(20)와, 상기 깃발부를 회동시키는 구동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30) 상기 헬멧의 상부면에 고정설치되며 일측방향으로 수용홈(32)이 구비되는 커버(31)와, 상기 커버의 내측에 고정되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3)와, 상기 전원부에서 공급된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34)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축착되어 깃발부(20)의 하부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수단(35)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수용홈(32)에 수용되있던 깃발부(20)가 회동되어 헬멧의 상부로 돌출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헬멧의 상부 일측에 연기발생 기재를 연막배출구(41)를 통해 외부로 방출하는 연막 발생부(4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헬멧의 상부 일측에 스피커를 통해 입력된 효과음을 출력하는 음향 발생부(50)와, 램프를 통해 점멸되는 발광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헬멧의 전방에 충격음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피탄감지부(71)와 상기 피탄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처리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신호송신부(72)가 구비된 고글(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헬멧의 상부 외주면에 레이저 또는 적외선의 착신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부(7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헬멧(1)은 외부로부터 구동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10)와, 하단부가 상기 헬멧의 상부면 일측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착용자의 전사여부 및 피탄여부를 표지하는 깃발부(20)와, 상기 깃발부를 회동시키는 구동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깃발부(20)의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게이머의 전사여부 및 피탄여부를 표지하는 방법으로 상대 게이머의 전사여부 및 피탄여부를 즉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헬멧의 상부 일측에 연기발생 기재를 연막배출구(41)를 통해 외부로 방출하는 연막 발생부(40)가 구비되고, 상기 헬멧의 상부 일측에 스피커를 통해 입력된 효과음을 출력하는 음향 발생부(50)와, 램프를 통해 점멸되는 발광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대 게이머의 상태를 다양한 경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상대 게이머가 장애물 뒤에 있어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상황에도 연막 및 음향을 통해 전사여부 및 피탄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비비탄을 사용하는 게임환경에서 게이머의 안전을 위해 착용하는 헬멧과 고글에 충격음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피탄감지부(71)와 상기 피탄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처리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신호송신부(72)가 구비되는 방법으로 게이머의 피탄을 판별할 수 있는 범위가 확대되어 실제 화기 사격과 유사한 게임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바이벌 게임용 헬멧의 전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바이벌 게임용 헬멧의 후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의 내부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깃발부의 회동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글의 내부를 부분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들을 나타낸 흐름도
일반적으로 사바이벌 게임에 참가하는 게이머는 게임 도중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모의화기에서 발사되는 발사체로부터 몸을 보호하고 탄착신호를 감지 및 송신할 수 있는 의복과 헬멧 등의 안전장비를 착용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바이벌 게임용으로 사용되는 헬멧(1)에 게이머의 전사여부 또는 피탄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로 하단부가 상기 헬멧의 상부면 일측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착용자의 전사여부 및 피탄여부를 표지하는 깃발부(20)가 구비되는 서바이벌 게임용 헬멧(100)을 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서바이벌게임용 헬멧(100)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바이벌 게임용 헬멧의 전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바이벌 게임용 헬멧의 후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의 내부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깃발부의 회동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글의 내부를 부분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들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서바이벌 게임에서 게이머에게 착용되는 헬멧에 있어서, 상기 헬멧(1)은 외부로부터 구동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10)와, 하단부가 상기 헬멧의 상부면 일측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착용자의 전사여부 및 피탄여부를 표지하는 깃발부(20)와, 상기 깃발부를 회동시키는 구동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헬멧(1)은 강화플라스틱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게이머의 머리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턱끈이 구비되며 및 내부에 충격흡수재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신호수신부(10)는 상기 헬멧의 일측에 장착되며, 게이머가 착용하는 의복에 장착되어 탄착신호를 감지하는 제어부로부터 피탄여부를 표지하기 위해 깃발부(2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신호를 송신받게되며 외부에 설치되는 제어부(A)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깃발부(20)는 하단부가 상기 헬멧의 상부면 일측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착용자의 전사여부 및 피탄여부를 표지한다.
또한, 상기 깃발부(20)는 깃대(21)와 깃발(22)로 구성되되 상기 깃발(22)은 서바이벌 게임이 진행되는 인원의 구성에 따라 청색 또는 붉은색으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깃대(21)의 하단부에는 가로방향으로 회동축(23)이 형성되어 상기 회동축(23)이 상기 헬멧의 상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된다.
한편, 상기 깃대(21)는 구경이 다른 복수개의 깃대가 내삽되어 설치되어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구비됨으로써 깃대(21)의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단의 깃대의 상단 및 하단부에 전극의 전환이 가능한 전자석을 구비하여 발생되는 인력과 척력을 이용하여 깃대를 인출 및 인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공지된 기술의 방법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구동부는(30) 상기 헬멧의 상부면에 고정설치되며 상부면에 일측방향으로 수용홈(32)이 구비되는 커버(31)와, 상기 커버의 내측에 고정되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3)와, 상기 전원부(33)에서 공급된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34)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축착되어 깃발부(20)의 하부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수단(35)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수용홈(32)에 수용되있던 깃발부(20)가 회동되어 헬멧의 상부로 돌출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버(31)는 상기 헬멧(1)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부면에 일측방향으로 수용홈(32)이 구비되고 저면이 상기 헬멧(1)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전원부(33)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건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모터(34)는 상기 전원부에서 공급된 전기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력 전달수단(35)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상기 깃대(21)의 하단부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된 회동축(23)에 전달하며, 바람직하기로는 커버(31)의 내부에서 고정되는 모터(34)의 위치에 따라 구동방향이 전환되는 기어로 구성된다.
따라서, 외부에 설치되는 제어부(A)에서 구동신호를 송신받은 신호수신부(10)는 전원부(33)의 전원을 모터(34)에 인가하게 되고, 회전력 전달수단(35)은 모터(34)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회동축(23)에 전달하여 상기 회동축(23)이 일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수용홈(32)을 통해 깃발부(20)가 회동하며 헬멧의 상부로 돌출됨으로써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깃발부(20)를 일측방향으로 회동하여 헬멧의 상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수용홈(32)을 통해 커버(31)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역방향으로 회동하기 위해 전원부(33)의 전원을 절체하고 역방향으로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모터(34)의 회전방향을 역방향으로 전환하는 절체부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헬멧의 상부 일측에 연기발생 기재를 연막배출구(41)를 통해 외부로 방출하는 연막발생부(4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막발생부(40)는 내부에서 발생된 연막이 헬멧(1)의 외부로 방출되는 연막배출구(4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연막 발생 방법으로는 공지된 기술인 연기발생 기재가 충진된 보관탱크로부터 주입밸브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어 연기발생 기재가 상압에서 승화점의 차이를 이용하여 순간 연기를 발생시키는 방법과 인체에 무해한 화학물질이 복수개로 분리 저장된 보관탱크로부터 각기 분사되어 혼합하며 서로 화학작용에 의해 연막이 발생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여러 상황에 맞도록 다양한 색상의 연막을 방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대 게이머가 장애물 뒤에 있어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상황에도 전사여부 및 피탄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헬멧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스피커를 통해 입력된 효과음을 출력하는 음향 발생부(5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음향발생부(50)는 미리 입력된 정보에 따라 전사여부 또는 피탄여부를 반복적으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발광부(60)는 헬멧의 상부 외측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램프를 통해 점멸되는 외부발광부(61)과 헬멧의 내측에 설치되어 게이머의 시야의 외측 주변에 설치되는 내부발광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반복적으로 램프가 점멸함으로써 전사여부 또는 피탄여부를 표지함으로써 헬멧을 착용한 게이머와 상대 게이머에게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막발생부(40)와 음향발생부(50) 및 발광부(60)를 구동하는 효과발생신호는 상기 신호수신부(10)를 통해 의복에 장착되는 제어부(A) 또는 외부 제어 컴퓨터로부터 입력되어 각 연막발생부(40)와 음향발생부(50) 및 발광부(60)에 송신되어 다양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 설치되는 제어부(A)는 피탄을 감지하고 헬멧을 착용한 게이머와 상대 게이머에게 피탄여부 및 전사여부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부(A)가 구동신호를 송출하여 구동부(30)를 구동함으로써 깃발부(20)를 회동하여 돌출되는 방법과, 연막발생신호를 송출하여 연막발생부(40)에서 상황에 맞는 색상의 연막을 발생시키는 방법과, 발광신호를 송출하되 외부발광부(61)를 통해 상대 게이머에게 표지하거나 내부발광부(62)를 통해 헬멧의 착용 게이머에게 표지하는 시각적인 효과를 발생하거나, 음향신호를 송출하여 음향발생부(50)로부터 효과음을 출력하는 청각적인 방법으로 표지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헬멧의 전방에는 충격음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피탄감지부(71)와 상기 피탄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처리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신호송신부(72)가 구비된 고글(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글(70)은 게이머의 모의 화기에서 발사된 비비탄 등의 발사체로부터 게이머의 안면을 보호하기 위한 장비로서, 투명한 강화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탄감지부(71)는 고글의 내부와 헬멧의 내측에 복수개로 설치되되, 안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게이머의 뺨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피탄감지부(71)는 게이머의 모의 화기에서 발사된 비비탄 또는 페인트 탄 등이 헬멧(1)과 고글(70)의 외부에 탄착하게 되면 특유의 소리가 발생되게 되는데, 이때 발생되는 음파는 충격음감지센서를 통해 입력이 이루어지고, 입력된 음파는 전압값으로 변환되어 필터링과 증폭 과정을 거쳐 탄착의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상기 탄착의 여부는 실험에 의해 수집되고 분석된 탄착 감지음에 관한 데이터와 입력된 음파를 비교하여 수행되며 이러한 과정이 일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게임 도중 비비탄 또는 페인트탄의 발사체에 의한 탄착음이 아닌 게이머간의 음성대화 및 이동중에 발생하는 발자국 소리 및 장애물과의 충격음 등은 설정된 데이터에 의해 미리 설정된 특정 주파수 대역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제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비탄 또는 페인트탄 등의 발사체가 아닌 레이저 또는 적외선을 렌즈를 통해 조사하여 발사하는 광탄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부(73)를 헬멧의 외주면에 추가로 구비하여 비비탄 또는 페인트탄을 사용하는 모의화기뿐만 아니라 레이저 및 적외선을 발사하는 모의화기의 탄착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모의화기를 사용하는 서바이벌 게임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호송신부(72)는 상기 피탄감지부(71)와 감지센서부(73)에서 감지된 피탄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하여 게이머의 의복 등에 장착된 제어부(A)로 송신한다.
따라서, 비비탄 또는 페인트탄의 발사체를 사용하거나 레이저 또는 적외선광을 조사하는 광탄을 사용하는 다양한 게임환경에서도 게이머의 안전을 위해 착용하는 헬멧과 고글에 충격음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피탄감지부(71)와 광탄의 착신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부(73)가 구비되어 상기 피탄감지부(71)과 감지센서부(73)의 감지신호를 처리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신호송신부(72)가 구비되는 방법으로 게이머의 피탄을 판별할 수 있는 범위가 의복뿐만 아니라 헬멧과 고글에까지 확대되어 실제 화기 사격과 유사한 게임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헬멧(1)은 외부로부터 구동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10)와, 하단부가 상기 헬멧의 상부면 일측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착용자의 전사여부 및 피탄여부를 표지하는 깃발부(20)와, 상기 깃발부를 회동시키는 구동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깃발부(20)의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게이머의 전사여부 및 피탄여부를 표지하는 방법으로 상대 게이머의 전사여부 및 피탄여부를 즉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서바이벌 게임용 헬멧(100)에 관한 것으로,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서바이벌 게임용 헬멧
1: 헬멧 A: 제어부
10: 신호수신부 20: 깃발부
21: 깃대 22: 깃발
23: 회동축 30: 구동부
31: 커버 32: 수용홈
33: 전원부 34: 모터
35: 회전력 전달수단 40: 연막발생부
41: 연막배출구 50: 음향발생부
60: 발광부 61: 외부발광부
62: 내부발광부 70: 고글
71: 피탄감지부 72: 신호송신부
73: 감지센서부

Claims (6)

  1. 서바이벌 게임에서 게이머에게 착용되는 헬멧에 있어서,
    상기 헬멧(1)은
    외부로부터 구동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10);
    하단부가 상기 헬멧의 상부면 일측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착용자의 전사여부 및 피탄여부를 표지하는 깃발부(20);
    상기 깃발부를 회동시키는 구동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바이벌 게임용 헬멧.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30),
    상기 헬멧의 상부면에 고정설치되며 일측방향으로 수용홈(32)이 구비되는 커버(31);
    상기 커버의 내측에 고정되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3);
    상기 전원부에서 공급된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34);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축착되어 깃발부(20)의 하부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수단(35);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수용홈(32)에 수용되있던 깃발부(20)가 회동되어 헬멧의 상부로 돌출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바이벌 게임용 헬멧.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의 상부 일측에 연기발생 기재를 연막배출구(41)를 통해 외부로 방출하는 연막발생부(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바이벌 게임용 헬멧.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스피커를 통해 입력된 효과음을 출력하는 음향발생부(50)와, 램프를 통해 점멸되는 발광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바이벌 게임용 헬멧.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의 전방에 충격음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피탄감지부(71)와 상기 피탄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처리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신호송신부(72)가 구비된 고글(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바이벌 게임용 헬멧.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의 상부 외주면에 레이저 또는 적외선의 착신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부(7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바이벌 게임용 헬멧.
KR1020120068696A 2012-06-26 2012-06-26 서바이벌 게임용 헬멧 KR101198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696A KR101198684B1 (ko) 2012-06-26 2012-06-26 서바이벌 게임용 헬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696A KR101198684B1 (ko) 2012-06-26 2012-06-26 서바이벌 게임용 헬멧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8684B1 true KR101198684B1 (ko) 2012-11-06

Family

ID=47564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8696A KR101198684B1 (ko) 2012-06-26 2012-06-26 서바이벌 게임용 헬멧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868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353B1 (ko) * 2015-05-22 2016-01-11 전상보 안전 헬멧
KR102071850B1 (ko) 2019-07-18 2020-01-31 고려화공 주식회사 전장상황 묘사를 위한 군사훈련용 인조혈액 배출장치
KR102122289B1 (ko) 2020-01-22 2020-06-26 고려화공 주식회사 전장상황 묘사를 위한 군사훈련용 인조혈액주머니 키트
JP2021180801A (ja) * 2020-05-20 2021-11-25 諒 三宅 フェンシング用のマス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0743A (ja) 2003-10-03 2005-04-28 Nobuhiro Takahashi 被弾検出装備、サバイバルゲームの運営を支援する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0743A (ja) 2003-10-03 2005-04-28 Nobuhiro Takahashi 被弾検出装備、サバイバルゲームの運営を支援する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353B1 (ko) * 2015-05-22 2016-01-11 전상보 안전 헬멧
KR102071850B1 (ko) 2019-07-18 2020-01-31 고려화공 주식회사 전장상황 묘사를 위한 군사훈련용 인조혈액 배출장치
KR102122289B1 (ko) 2020-01-22 2020-06-26 고려화공 주식회사 전장상황 묘사를 위한 군사훈련용 인조혈액주머니 키트
JP2021180801A (ja) * 2020-05-20 2021-11-25 諒 三宅 フェンシング用のマス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84698A1 (en) An interactive laser tag system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US8312814B2 (en) Simulated hand grenade having a multiple integrated laser engagement system
US20070297117A1 (en) Laser engagement stun system
KR101198684B1 (ko) 서바이벌 게임용 헬멧
US20190126135A1 (en) Interactive laser tag system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WO20081478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projectile play
US202400095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person Live Action Gaming
KR101593153B1 (ko) 모의 총기용 적외선 발사유닛
KR200396707Y1 (ko) 레이저총을 이용한 모의전투용 진동장치
JP2009509116A (ja) 液体弾丸発射及び検出装置及びその組合わせ
US20150265917A1 (en) Game apparatus
US11813537B2 (en) Smart target co-witnessing hit attribution system and method
CN108731540A (zh) 一种随动对抗射击训练系统和方法
KR20070063199A (ko) 서바이벌 게임과 이에 적합한 서바이벌 게임 장구
CN111569403A (zh) 一种用于真人竞技的cs游戏系统
KR200372377Y1 (ko) 서바이벌 게임용 완구세트
KR101151853B1 (ko) 서바이벌 게임용 구조물
KR102178929B1 (ko) 모의 총기 시스템
KR101592501B1 (ko) 비비탄용 사격 시스템
RU940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ведения игр, имитирующих стрелковый бой
KR0116619Y1 (ko) 레이져 써바이블 게임 시스템의 총과 자켓
KR200180922Y1 (ko) 레이저를 이용한 사격조준 연습장치
CN213159334U (zh) 射击对战设备
US11986739B2 (en) Smart target co-witnessing hit attribution system and method
WO2024015238A1 (en) Smart target co-witnessing hit attribution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