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8650B1 -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내에서의 순환미분말?순환골재?순환미사 원샷리사이클링장치 - Google Patents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내에서의 순환미분말?순환골재?순환미사 원샷리사이클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8650B1
KR101198650B1 KR20120088702A KR20120088702A KR101198650B1 KR 101198650 B1 KR101198650 B1 KR 101198650B1 KR 20120088702 A KR20120088702 A KR 20120088702A KR 20120088702 A KR20120088702 A KR 20120088702A KR 101198650 B1 KR101198650 B1 KR 101198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ting
fine powder
aggregate
circulating fine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88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주원
유명열
Original Assignee
놀뫼환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놀뫼환경(주) filed Critical 놀뫼환경(주)
Priority to KR20120088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6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B03B5/3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using heavy liquids or suspensions
    • B03B5/32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using heavy liquids or suspensions using centrifugal force
    • B03B5/34Applications of hydrocycl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14Construction of the underflow ducting; Apex constructions; Discharge arrangements ; discharge through sidewall provided with a few slits or perforations
    • B04C5/185Dust colle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ycl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 내의 순환미분말 생성장치가 구조가 복잡하고, 시설규모가 대규모임으로 시설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와 건조율 및 건조속도가 낮은 문제점과, 순환미분말이 공기 중으로 비산되어 주변환경을 오염시키고, 주변 기기에 순환미분말이 침투되어 잦은 고장의 요인과 양질의 순환미분말의 제공이 어려운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제1 이송컨베이어(100), 하이브리드형순환미분말포집기(200), 순환미분말저장탱크(300), 중력낙하형 사이클론부(400), 탈수스크린(500), 제2 이송컨베이어(600), 순환골재저장탱크(700), 순환미사분리용 사이클론부(800), 제3 이송컨베이어(900), 순환미사저장탱크(900a)로 구성됨으로서, 모든 공정을 밀폐화시켜 작업환경 주위로 비산되는 순환미분말을 최소화시켜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시킬 수 있고, 하나의 공정으로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 내에서 순환미분말, 순환골재, 순환미사를 원샷생산할 수 있으며, 이송 및 낙하에 의한 분리, 에어 및 충격에 의한 분리, 선별, 이송의 4가지 공정으로 이루어져 순환미분말 생성공정을 단축시켜 시설비용을 기존에 비해 60% 감축시킬 수 있고, 하이브리드형순환미분말포집기에서 에어분사의 힘과, 플레이트를 통한 자유낙하, 그리고, 에어분사캡의 회전 임팩트로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로부터 순환미분말을 분리시킨 후, 공기 중에 비산되는 순환미분말을 공기흡입시킴으로서, 양질의 순환미분말을 생산할 수 있는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내에서의 순환미분말?순환골재?순환미사 원샷리사이클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내에서의 순환미분말?순환골재?순환미사 원샷리사이클링장치{THE APPARATUS OF FORMING A RECYCLED FINE POWDER IN RECYCLED CONCRETE AGGREGATES}
본 발명은 하나의 공정으로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내에서 순환미분말, 순환골재, 순환미사를 원샷생산할 수 있는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내에서의 순환미분말?순환골재?순환미사 원샷리사이클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순환자원으로서, 일반적으로 활용성이 높은 부산물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사전 전처리에 대한 문제, 함수율의 문제 등으로 활용성이 매우 낮은 대표적인 부산물들은 폐석분과 폐석회, 석회석 미분말,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에 붙은 순환미분말 등이다.
특히, 지금까지의 폐콘크리트의 활용은 경제적 고려없이 대부분 대량소비가 가능한, 즉 소진에 대한 개념이 강하게 적용되어 대부분 단순 파쇄에 의해 도로공사용이나 뒷채움제와 같은 공간을 채우는 용도로 사용되어 왔다.
그 결과 파쇄과정에서 부산물로 발생하는 순환미분말도 자동적으로 폐기하는 것과 동일하게 되었다.
따라서, 순환자원의 경제적 가치가 높아지는 전세계적인 추세에 따라 지금까지의 도로공사용이나 뒷채움제와 같은 1차적 개념에서 벗어나 내외부 마감 재료의 기능성 혼화제로 활용 가능성을 검토, 적용할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폐콘크리트(이하, "폐콘"이라 함)내의 순환미분말을 추출하여 이것만을 별도로 생산할 수 있는 생산장치가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종래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 내의 순환미분말 생성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시설규모가 대규모임으로 시설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와 건조율 및 건조속도가 낮은 문제에 따라 회수율이 낮다는 문제점과 함께 흡입시 선별망 등에 고착되어 굳어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순환미분말이 공기 중으로 비산되어 주변환경을 오염시키고, 주변 기기에 순환미분말이 침투되어 잦은 고장의 요인이 되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554715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모든 공정을 밀폐화시켜 작업환경 주위로 비산되는 순환비분말을 최소화시켜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시킬 수 있고, 하나의 공정으로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 내에서 순환미분말, 순환골재, 순환미사를 원샷생산할 수 있으며, 이송 및 낙하에 의한 분리, 에어 및 충격에 의한 분리, 선별, 이송의 4가지 공정으로 이루어져 순환미분말 생성공정을 단축시켜 시설비용을 기존에 비해 60% 정도 감축시킬 수 있고, 하이브리드형순환미분말포집기에서 플레이트를 통한 자유낙하, 에어분사의 힘과, 그리고, 에어분사캡의 회전 임팩트로 폐콘크리트를 파쇄하여 생산한 골재내의 순환미분말을 분리시킨 후, 공기 중에 비산되는 순환미분말을 공기흡입시킴으로서, 양질의 순환미분말을 생산할 수 있는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내에서의 순환미분말?순환골재?순환미사 원샷리사이클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내에서의 순환미분말?순환골재?순환미사 원샷리사이클링장치는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 내의 순환미분말을 하이브리드형순환미분말포집기의 투입구쪽으로 이송시키는 제1 이송컨베이어(100)와,
길이방향을 따라 원통드럼형상으로 밀폐 형성되어, 투입된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 내의 순환미분말을 수용시킨 상태에서 플레이트를 통한 자유낙하, 에어분사의 힘과, 에어분사캡의 회전임팩트를 통해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 내에 포함되어 있는 순환미분말 및 부착되어 있는 순환미분말을 분리시킨 후, 공기 중에 비산되는 순환미분말을 공기흡입시키고, 순환미분말이 분리된 순환골재와 순환미사를 중력낙하형 사이크론부로 배출시키는 하이브리드형순환미분말포집기(200)와,
하이브리드형순환미분말포집기를 통해 포집된 순환미분말을 저장시키는 순환미분말저장탱크(300)와,
하이브리드형순환미분말포집기의 하단 일측에 위치되어, 순환골재와 순환미사에 물을 고압분사시켜 세척시킨 후, 중력에 의해 탈수스크린쪽으로 자유낙하시키는 중력낙하형 사이클론부(400)와,
중력낙하형 사이클론부 하단 일측에 위치되어, 밀폐분위기하에서 순환골재와 순환미사에 함유된 수분, 그리고, 순환미사를 하단의 집수조로 배출시켜 분리시키는 탈수스크린(500)과,
탈수스크린 측면 일측에 위치되어 탈수된 순환골재를 순환골재저장탱크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컨베이어(600)와,
제2 이송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순환골재를 저장시키는 순환골재저장탱크(700)와,
집수조와 연결되어, 집수조에 저장된 슬러지상태의 순환미사를 공급받아 선회류(旋回流)에 의해서 생기는 원심력을 이용해 순환미사와 폐수를 입도의 차에 의해 분리시키는 순환미사분리용 사이클론부(800)와,
순환미사분리용 사이클론부의 배출쪽에 위치되어 순환미사를 순환미사저장탱크로 이송시키는 제3 이송컨베이어(900)와,
제3 이송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순환미사를 저장시키는 순환미사저장탱크(900a)로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시킬 수 있고, 하나의 공정으로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 내에서 순환미분말, 순환골재, 순환미사를 원샷생산할 수 있어 대량생산이 용이하며, 이송 및 낙하에 의한 분리, 에어 및 충격에 의한 분리, 선별, 이송의 4가지 공정으로 이루어져 순환미분말 생성공정을 단축시켜 시설비용을 기존에 비해 60% 감축시킬 수 있으며, 기존에 비해 80% 향상된 양질의 순환미분말을 생산할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내에서의 순환미분말?순환골재?순환미사 원샷리사이클링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순환미분말포집기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콘내의 하이브리드형순환미분말 생성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분리기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집기본체 내부에 형성된 하이브리드형분리기가 구성을 도시한 내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집기본체 내부에 형성된 하이브리드형분리기가 구성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포집기본체 내부에 형성된 하이브리드형분리기와 "ㄱ"자 플라이트부의 동작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내에서의 순환미분말?순환골재?순환미사 원샷리사이클링장치의 전체 구동과정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먼저,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순환미사는 순환잔골재와 순환모래가 혼동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는 것으로, 0.15~2MM이하를 말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내에서의 순환미분말?순환골재?순환미사 원샷리사이클링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제1 이송컨베이어(100), 하이브리드형순환미분말포집기(200), 순환미분말저장탱크(300), 중력낙하형 사이클론부(400), 탈수스크린(500), 제2 이송컨베이어(600), 순환골재저장탱크(700), 순환미사분리용 사이클론부(800), 제3 이송컨베이어(900), 순환미사저장탱크(900a)로 구성된다.
상기 원샷리사이클링장치(1)는 지지프레임이 형성되어, 하이브리드형순환미분말포집기가 지상과 일정 높이로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지지한다. 여기서, 일정 높이는 일예로, 1m~10m로 설정된다.
먼저, 본 발명에 제1 이송컨베이어(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100)는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 내의 순환미분말을 하이브리드형순환미분말포집기의 투입구쪽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1 구동모터와 제1 종동모터, 그리고, 제1 컨베이어벨트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100)는 측면 일측에 지지프레임이 형성되어 제1 이송컨베이어의 상면과 양측면을 비닐로 밀폐시켜 외부로 비산먼지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사각박스형 비닐커버부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순환미분말포집기(2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하이브리드형순환미분말포집기(200)는 길이방향을 따라 원통드럼형상으로 밀폐 형성되어, 투입된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 내의 순환미분말을 수용시킨 상태에서 중력에 의한 낙하, 에어분사의 힘과, 에어분사캡의 회전임팩트를 통해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에 붙은 순환미분말을 분리시킨 후, 공기 중에 비산되는 순환미분말을 공기흡입시키고,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에서 분리된 순환골재와 순환미사를 중력낙하형형 사이크론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포집기본체(210), 제1 구동부(220), 제2 구동부(230), 하이브리드형분리기(240), 순환미분말포집부(250), 제1 배출부(26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포집기본체(2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포집기본체(2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원통드럼형상으로 형성되어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 내의 순환미분말을 수용하면서,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내부공간의 벽면 및 바닥면 둘레를 따라 미끄럼용 코팅제를 코팅시켜,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 내의 순환미분말이 벽면 및 바닥면에 접착되지 않고 후단부의 순환미분말포집부(250)으로 흡입력에 의해 포집되도록 한다.
상기 포집기본체는 수평기준선을 기준으로 후단방향으로 5°~20°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수평기준선을 기준으로 후단방향으로 5°~20°경사지게 형성되는 이유는 수평기준선을 기준으로 하단방향으로 5°이하로 경사지게 구성되면, 투입된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 내의 순환미분말을 충분히 제거할 수는 있지만, 처리량이 작아지는 문제점이 있는 반면, 수평기준선을 기준으로 하단방향으로 20°이상으로 경사지게 구성되면, 배출속도가 너무 빨라지면서 투입된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 내의 순환미분말을 충분히 제거하지 못함으로써 그 효과가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수평기준선을 기준으로 후단방향으로 5°~20°경사지게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집기본체(210)는 내부공간의 내부 표면을 따라 "ㄱ"자 형상으로 돌출형성되어 포집기본체 바닥에 쌓인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를 쓸어담으면서 회전되어 하이브리드형분리기의 에어분사캡쪽으로 낙하시켜 흩어뿌림시키는 "ㄱ"자 플라이트부(27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내부공간의 내부 표면을 따라 "ㄱ"자 플라이트부(270)가 복수개로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서, 포집기본체의 내부공간 바닥면에 쌓인 골재를 포집기본체의 회전방향을 따라 쓸어담아서 중력에 의해 하이브리드형분리기의 에어분사캡쪽으로 낙하시켜 흩어뿌려줄 수 있고, 이로 인해 내부공간에 많은 순환미분말을 비산시킬 수 있고,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 내의 순환미분말을 중력에 의한 낙하로 분리시킬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집기본체(210)는 후미 상단 일측에 형성된 순환미분말포집부와 연결되는 배출홈(211)이 구성되고, 후미 하단 일측에 형성된 제1 배출부와 연결되는 또 다른 배출홈(212)이 구성된다.
그리고, 배출홈은 띠 형상의 베어링회전레일(213) 표면에 회전베어링(214)이 형성되어, 배출홈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고정된 상태로 구성된다.
즉, 회전베어링이 배출홈과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제1 구동부를 통해 포집기본체가 회전되면, 회전베어링을 기준으로, 포집기본체가 통째로 회전된다.
이때 회전베어링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포집기본체의 배출홈이 순환미분말포집부와 맞닿게 되면, 순간 흡입력이 발생되어, 포집기본체 내부공간에 비산된 순환미분말이 흡입되어, 순환미분말 저장탱크로 전달된다.
그리고, 회전베어링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포집기본체의 배출홈이 제1 배출부와 맞닿게 되면, 중력과 상단부로부터 밀려오는 바닥면의 순환미분말이 제거된 골재가 제1 배출부를 통해 중력낙하형 사이클론부로 배출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제1 구동부(2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1 구동부(220)는 포집기본체 외부 일측에 위치되어, 포집기본체 전체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1 구동모터(221), 제1 구동스프로킷(222), 제1 체인(223), 제1 종동스프로킷(224)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구동모터(221)는 제1 구동스프로킷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2구동부의 회전속도보다 1.5배~3배의 느린 회전속도를 두면서 하이브리드형분리기의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설정된다.
상기 제1 구동스프로킷(222)은 제1 체인을 통해 제1 종동스프로킷으로 회전력을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체인(223)은 제1 구동스프로킷과 제2 종동스프로킷을 연결시키고, 제1 구동스프로킷의 회전력을 제1 종동스프로킷으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종동스프로킷(224)은 포집기본체 후단 테두리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제1 체인과 연결되면서, 제1 체인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포집기본체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제2 구동부(2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2 구동부(230)는 제1 구동부와 반대편에 위치되어, 제1구동부의 회전속도보다 1.5배~3배의 회전속도를 두면서 하이브리드형분리기의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2 구동모터(231)가 구성된다.
상기 제2 구동모터(231)는 제2 구동스프로킷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1구동부의 회전속도보다 1.5배~3배의 회전속도를 두면서 하이브리드형분리기의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설정된다.
여기서, 제2 구동모터가 제1구동부의 회전속도보다 1.5배~3배의 회전속도를 두면서 회전시키는 이유는 1.5배 이하의 경우에, 에어분사캡을 통한 회전 임팩트가 약해져서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 내의 순환미분말을 분리시킬 수가 없고, 3배 이상의 경우에 강한 회전에 의해 포집기본체 자체가 심하게 흔들리고, 구동모터에 과부하가 걸려 잦은 고장의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순환미분말을 분리하는 정도의 충격력을 벗어나 파쇄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구동모터가 제1구동부의 회전속도보다 1.5배~3배의 회전속도를 두면서 회전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분리기(2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하이브리드형분리기(240)는 포집기본체 내부의 회전축 둘레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회전축을 따라 회전되는 에어분사를 통해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에 붙은 순환미분말을 벽면쪽으로 분사시켜 벽면과 마찰시키고, 회전축을 따라 회전되는 회전블레이드를 통한 벽면과의 충돌로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로부터 순환미분말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기본체(241), 회전축(242), 에어노즐(243), 에어노즐캡(244)으로 구성된다.
상기 분리기본체(241)는 장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통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축(242)은 분리기본체의 중공홈에 삽입되어 제2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분리기본체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에어노즐(243)는 분리기본체의 표면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돌출형성되어, 회전되면서 벽면쪽으로 에어와 함께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에 부착되어 있거나 포함되어 있는 순환미분말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I"자 형상으로 돌출되어, 회전축을 따라 회전되면서 벽면쪽으로 에어와 함께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 내의 순환미분말을 벽면쪽으로 고속분사시킨다.
상기 에어노즐은 회전축의 내부공간을 따라 에어펌프로부터 유입된 에어가 공급된다.
상기 에어펌프는 회전축 일측에 구성된다.
상기 에어노즐캡(244)은 에어노즐 일측에 커버형태로 씌워지도록 형성되어, 순환미분말로부터 에어노즐를 보호하고, 낙하되는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에 회전임팩트를 가해 순환미분말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정단면도 상태에서 봤을 때 제2 구동부의 회전방향에 맞게 "ㄱ"자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에어노즐캡이 제2 구동부의 회전방향에 맞게 "ㄱ"자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유는 회전임팩트시,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가 에어노즐에 직접 닿아 충격을 가하는 것을 방지하고,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에 의해 에어노즐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순환미분말포집부(25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순환미분말포집부(250)는 포집기본체의 후미 테두리 상단쪽에 돌출 형성되어, 포집기본체 내부공간상에 비산되는 순환미분말을 공기흡입시켜 순환미분말 저장탱크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덕트(251), 댐퍼(252)로 구성된다.
상기 공기덕트(251)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댐퍼로부터 전달된 공기흡입력으로 순환미분말을 공기흡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댐퍼(252)는 포집기본체의 후단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덕트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제1 배출부(26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1 배출부(260)는 순환미분말포집부와 반대쪽인 포집기본체의 후미 테두리 하단쪽에 형성되어, 순환미분말이 분리된 순환골재, 순환미사를 중력에 의해 중력낙하형형 사이클론부로 낙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사각홈, 원홈으로 형성되고, 중력낙하형형 사이클론부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 배출부는 중력낙하형 사이클론부로 바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회전베어링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포집기본체의 배출홈이 제1 배출부와 맞닿게 되면, 중력에 따른 자유낙하를 통해 중력낙하형 사이클론부로 배출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순환미분말저장탱크(3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순환미분말저장탱크(300)는 하이브리드형순환미분말포집기를 통해 포집된 순환미분말을 저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사각형상 또는 원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중력낙하형 사이클론부(4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중력낙하형 사이클론부(400)는 하이브리드형순환미분말포집기의 하단 일측에 위치되어, 순환미분말이 분리된 순환골재와 순환미사에 물을 고압분사시켜 세척시킨 후, 중력에 의해 탈수스크린쪽으로 자유낙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원통형 본체와, 살수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원통형 본체는 순환미분말이 분리된 순환골재와 순환미사을 수납시키고, 기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살수장치는 원통형 본체 내부에 위치되어, 순환미분말이 분리된 순환골재와 순환미사를 세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물저장탱크, 물공급펌프, 물공급파이프, 물분사노즐로 구성된다.
상기 물저장탱크는 원통형 본체의 외부 일측에 위치되어 물을 저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물공급펌프는 물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을 흡입하여 파이프로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물공급파이프는 물분사노즐로 물을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물분사노즐은 물을 분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탈수스크린(5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탈수스크린(500)는 중력낙하형 사이클론부 하단 일측에 위치되어, 순환골재에 함유된 수분, 그리고, 순환미사를 하단의 집수조로 배출시켜 제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진동추가 내설된 진동기로 이루어지고, 모터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이 전달로프를 통해 연결축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진동이 발생된다.
여기서, 상기 탈수선별기는 0.15~2mm의 메쉬망으로 이루어져 0.15~2mm 크기의 순환미사와 물을 진동에 의해 선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선별기는 하단 일측에 집수조가 구성된다.
상기 집수조 일측에 폐수흡입펌프와 폐수흡입파이프로 연결된 순환미사분리용사이클론부가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2 이송컨베이어(6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600)는 탈수스크린 측면 일측에 위치되어 탈수된 순환골재를 순환골재저장탱크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2 구동모터와 제2 종동모터, 그리고, 제2 컨베이어벨트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순환골재저장탱크(7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순환골재저장탱크(700)는 제2 이송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순환골재를 저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순환골재를 외부로 배출시킬 때 하단으로 낙하시켜 배출되도록 제1 하단열림 힌지부가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순환미사분리용 사이클론부(8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순환미사분리용 사이클론부(800)는 집수조와 연결되어, 집수조에 저장된 슬러지상태의 순환미사를 공급받아 선회류(旋回流)에 의해서 생기는 원심력을 이용해 순환미사와 폐수를 입도의 차에 의해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상광하협의 원통구조로 이루어지고, 원통부와 원추부로 구성된다.
상기 원통부는 슬러지상태의 순환미사를 공급받아 원추부의 선회류 원심력을 통해 순환미사와 폐수를 입도의 차에 의해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슬러지상태의 순환미사는 측벽(側壁)에 접선방향으로 일정한 초속(初速)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내부에 와류(渦流)가 생겨 슬러지상태의 순환미사 속에 함유되어 있는 입도가 큰 순환미사는 원심력에 의해서 선회하면서 원통부 벽에 모이고, 하단부의 제3 이송컨베이어 쪽으로 배출된다.
또한, 슬러지상태의 순환미사 속에 함유되어 있는 미립분이 포함된 폐수는 원통부의 중심부에 모여서 상승선회와류를 형성한다.
이때의 상승선회와류는 원통부의 상단에서 형성된 폐수공급파이프를 통해 폐수처리장치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3 이송컨베이어(9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3 이송컨베이어(900)는 순환미사분리용 사이클론부의 배출쪽에 위치되어 순환미사를 순환미사저장탱크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3 구동모터와 제3 종동모터, 그리고, 제3 컨베이어벨트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순환미사저장탱크(900a)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순환미사저장탱크(900a)는 제3 이송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순환미사를 저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순환미사를 외부로 배출시킬 때 하단으로 낙하시켜 배출되도록 제2 하단열림 힌지부가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내에서의 순환미분말?순환골재?순환미사 원샷리사이클링장치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제1 이송컨베이어(100)에서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를 하이브리드형순환미분말포집기의 투입구쪽으로 이송시킨다.
이어서, 하이브리드형순환미분말포집기(200)에서 투입된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 를 수용시킨 상태에서 플라이트에 의한 낙하, 에어분사의 힘과, 에어분사캡의 회전임팩트를 통해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로부터 순환미분말을 분리시킨다.
이어서, 하이브리드형순환미분말포집기(200)의 순환미분말포집부(250)를 통해 포집기본체 내부공간상에 비산되는 순환미분말을 공기흡입시켜 순환미분말 저장탱크로 이송시킨다.
이어서, 순환미분말저장탱크(300)에서 하이브리드형순환미분말포집기를 통해 포집된 순환미분말을 저장시킨다.
이어서, 하이브리드형순환미분말포집기(200)의 제1 배출구를 통해 순환미분말이 분리 제거된 순환골재와 순환미사를 중력낙하형형 사이크론부로 배출시킨다.
이어서, 중력낙하형 사이클론부를 통해 순환미분말이 분리 제거된 순환골재와 순환미사에 물을 고압분사시켜 세척시킨 후, 중력에 의해 탈수스크린쪽으로 자유낙하시킨다.
이어서, 탈수스크린(500)을 통해 순환골재에 함유된 수분, 그리고 순환미사를 하단의 집수조로 배출시켜 제거시킨다.
이어서, 제2 이송컨베이어(600)에서 탈수된 순환골재를 순환골재저장탱크로 이송시킨다.
이어서, 순환골재저장탱크(700)를 통해 제2 이송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순환골재를 저장시킨다.
이어서, 순환미사분리용 사이클론부(800)에서 집수조와 연결되어, 집수조에 저장된 슬러지상태의 순환미사를 공급받아 선회류(旋回流)에 의해서 생기는 원심력을 이용해 순환미사와 미립분이 포함된 폐수를 입도의 차에 의해 분리시킨다.
이때 순환미사는 제3 이송컨베이어로 배출시키고, 폐수는 폐수처리장치로 배출시킨다.
이어서, 제3 이송컨베이어(900)에서 순환미사를 순환미사저장탱크로 이송시킨다.
끝으로, 순환미사저장탱크(900a)에서 제3 이송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순환미사를 저장시킨다.
1 : 하이브리드형순환미분말 생성장치 100 : 제1 이송컨베이어
200 : 하이브리드형순환미분말포집기 300 : 지지프레임
400 : 사이클론부 500 : 탈수스크린
600 : 제2 이송컨베이어 700 : 순환미분말저장탱크
800 : 순환미사분리용 사이클론부 900 : 제3 이송컨베이어
900a : 순환미사저장탱크

Claims (5)

  1.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 내의 순환미분말을 하이브리드형순환미분말포집기의 투입구쪽으로 이송시키는 제1 이송컨베이어(100)와,
    길이방향을 따라 원통드럼형상으로 밀폐 형성되어, 투입된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 내의 순환미분말을 수용시킨 상태에서 플레이트를 통한 자유낙하, 에어분사의 힘과, 에어분사캡의 회전임팩트를 통해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 내에 포함되어 있는 순환미분말 및 부착되어 있는 순환미분말을 분리시킨 후, 공기 중에 비산되는 순환미분말을 공기흡입시키고, 순환미분말이 분리된 순환골재와 순환미사를 중력낙하형 사이크론부로 배출시키는 하이브리드형순환미분말포집기(200)와,
    하이브리드형순환미분말포집기를 통해 포집된 순환미분말을 저장시키는 순환미분말저장탱크(300)와,
    하이브리드형순환미분말포집기의 하단 일측에 위치되어, 순환골재와 순환미사에 물을 고압분사시켜 세척시킨 후, 중력에 의해 탈수스크린쪽으로 자유낙하시키는 중력낙하형 사이클론부(400)와,
    중력낙하형 사이클론부 하단 일측에 위치되어, 밀폐분위기하에서 순환골재와 순환미사에 함유된 수분, 그리고, 순환미사를 하단의 집수조로 배출시켜 분리시키는 탈수스크린(500)과,
    탈수스크린 측면 일측에 위치되어 탈수된 순환골재를 순환골재저장탱크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컨베이어(600)와,
    제2 이송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순환골재를 저장시키는 순환골재저장탱크(700)와,
    집수조와 연결되어, 집수조에 저장된 슬러지상태의 순환미사를 공급받아 선회류(旋回流)에 의해서 생기는 원심력을 이용해 순환미사와 폐수를 입도의 차에 의해 분리시키는 순환미사분리용 사이클론부(800)와,
    순환미사분리용 사이클론부의 배출쪽에 위치되어 순환미사를 순환미사저장탱크로 이송시키는 제3 이송컨베이어(900)와,
    제3 이송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순환미사를 저장시키는 순환미사저장탱크(900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내에서의 순환미분말?순환골재?순환미사 원샷리사이클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형순환미분말포집기(200)는
    길이방향을 따라 원통드럼형상으로 형성되어 골재를 수용하면서, 밀폐시키는 포집기본체(210)와,
    포집기본체 외부 일측에 위치되어, 포집기본체 전체를 회전시키는 제1 구동부(220)와,
    제1 구동부와 반대편에 위치되어, 제1구동부의 회전속도보다 1.5배~3배의 회전속도로 하이브리드형분리기의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2 구동부(230)와,
    포집기본체 내부의 회전축 둘레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회전축을 따라 회전되는 에어분사를 통해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에 포함되어 있는 순환미분말을 벽면쪽으로 분사시켜 분리시키고, 회전축을 따라 회전되는 에어분사캡의 회전임팩트로 순환미분말을 재차 분리시키는 하이브리드형분리기(240)와,
    포집기본체의 후미 테두리 상단쪽에 돌출 형성되어, 포집기본체 내부공간상에 비산되는 순환미분말을 공기흡입시켜 순환미분말 저장탱크로 이송시키는 순환미분말포집부(250)와,
    순환미분말포집부와 반대쪽인 포집기본체의 후미 테두리 하단쪽에 형성되어, 중력에 의해 순환골재, 순환미사를 중력낙하형형 사이클론부로 낙하시키는 제1 배출부(26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내에서의 순환미분말?순환골재?순환미사 원샷리사이클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기본체(210)는
    수평기준선을 기준으로 후단방향으로 5°~20°(θ)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내에서의 순환미분말?순환골재?순환미사 원샷리사이클링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형분리기(240)는
    장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통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지지하는 분리기본체(241)와,
    분리기본체의 중공홈에 삽입되어 제2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분리기본체를 회전시키는 회전축(242)과,
    분리기본체의 표면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돌출형성되어, 회전되면서 벽면쪽으로 에어와 함께 순환미분말을 포집기본체의 내부 벽면쪽으로 고속분사시켜 분리시키는 에어노즐(243)와,
    에어노즐 일측에 커버형태로 씌워지도록 형성되어, 수용된 골재로부터 에어노즐을 보호하고, 낙하되는 골재에 회전임팩트를 가해 순환미분말을 분리시키는 에어노즐캡(244)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내에서의 순환미분말?순환골재?순환미사 원샷리사이클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형순환미분말포집기(200)는
    내부 표면을 따라 "ㄱ"자 형상으로 돌출형성되어 포집기본체 바닥에 쌓인 골재를 쓸어담으면서 회전되어 하이브리드형분리기의 회전블레이드쪽으로 흩어뿌림시키는 "ㄱ"자 플라이트부(27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내에서의 순환미분말?순환골재?순환미사 원샷리사이클링장치.
KR20120088702A 2012-08-14 2012-08-14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내에서의 순환미분말?순환골재?순환미사 원샷리사이클링장치 KR101198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88702A KR101198650B1 (ko) 2012-08-14 2012-08-14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내에서의 순환미분말?순환골재?순환미사 원샷리사이클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88702A KR101198650B1 (ko) 2012-08-14 2012-08-14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내에서의 순환미분말?순환골재?순환미사 원샷리사이클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8650B1 true KR101198650B1 (ko) 2012-11-07

Family

ID=47564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88702A KR101198650B1 (ko) 2012-08-14 2012-08-14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내에서의 순환미분말?순환골재?순환미사 원샷리사이클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86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913B1 (ko) * 2013-12-16 2014-04-01 이재송 폐콘크리트로부터 모래를 재생하는 폐콘크리트 리사이클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685120B1 (ko) * 2016-03-21 2016-12-19 삼흥산업개발 (주) 건설 폐토사 내 이물질 선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235B1 (ko) 2004-07-13 2005-01-31 우진환경개발 주식회사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재생골재의 생산장치 및 생산방법
KR100533737B1 (ko) 2005-03-28 2005-12-05 오광기업(주) 건설폐기물로부터 사이클론을 이용한 이물질 제거 장치
KR100799353B1 (ko) 2007-07-25 2008-02-04 (주)모악환경산업 파쇄된 폐콘크리트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여 순환골재를생산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235B1 (ko) 2004-07-13 2005-01-31 우진환경개발 주식회사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재생골재의 생산장치 및 생산방법
KR100533737B1 (ko) 2005-03-28 2005-12-05 오광기업(주) 건설폐기물로부터 사이클론을 이용한 이물질 제거 장치
KR100799353B1 (ko) 2007-07-25 2008-02-04 (주)모악환경산업 파쇄된 폐콘크리트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여 순환골재를생산하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913B1 (ko) * 2013-12-16 2014-04-01 이재송 폐콘크리트로부터 모래를 재생하는 폐콘크리트 리사이클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685120B1 (ko) * 2016-03-21 2016-12-19 삼흥산업개발 (주) 건설 폐토사 내 이물질 선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247314U (zh) 碳化硅微粉分级设备
KR101479187B1 (ko) 흡입원심배출장치를 구비한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
CN107497580A (zh) 一种砂石生产线
CN107213739A (zh) 一种新型煤矿高效复合式湿式除尘器
KR101729262B1 (ko) 쐐기 봉 스크린을 활용한 협잡물처리기
CN203695592U (zh) 建筑垃圾处理系统
CN106914336A (zh) 细砂回收一体机及细砂回收处理工艺
KR101346354B1 (ko) 매립토사의 이물질 선별시스템
KR101198650B1 (ko)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골재내에서의 순환미분말?순환골재?순환미사 원샷리사이클링장치
KR101785001B1 (ko)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
CN208990977U (zh) 一种建筑垃圾破碎回收装置
CN109158162A (zh) 一种用于土壤修复的石块筛分机及其筛分方法
CN201950028U (zh) 原料除杂进仓系统
KR100890617B1 (ko) 폐코팅종이 처리장치
CN218748794U (zh) 一种具有清洗功能的塑料打碎机
JP2011111342A (ja) 磨鉱装置及び再生骨材の生産方法
KR100940761B1 (ko) 골재 세척용 드럼형 세척장치
KR20170116876A (ko) 재생 잔골재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CN206763115U (zh) 细砂回收一体机
CN215823905U (zh) 一种餐厨垃圾和/或厨余垃圾破碎分选设备
CN105344472A (zh) 一种振动给料式垃圾磁选预处理系统
KR20190029152A (ko) 건식 자갈세척장치
KR20150001928A (ko) 폐전선의 구리 분리장치
CN209520045U (zh) 砂粉分离机
CN202942955U (zh) 低扬尘化砂石生产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