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8300B1 - 원통형 시편 홀더 - Google Patents

원통형 시편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8300B1
KR101198300B1 KR20100093376A KR20100093376A KR101198300B1 KR 101198300 B1 KR101198300 B1 KR 101198300B1 KR 20100093376 A KR20100093376 A KR 20100093376A KR 20100093376 A KR20100093376 A KR 20100093376A KR 101198300 B1 KR101198300 B1 KR 101198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men
cylindrical
coupled
case
specimen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93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1786A (ko
Inventor
손명환
심기덕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20100093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300B1/ko
Publication of KR20120031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1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30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ontainers, Films, And Cooling For Superconductive Devi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전도 특성 측정장치에 결합되는 시편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냉각기를 포함하는 1단냉각부와, 상기 1단냉각부 일측에 형성된 2단냉각부 및 상기 2단냉각부 일측에 형성되어 시편 홀더를 수용하는 시편냉각부와 같이 진공조가 세 부분으로 형성된 초전도 특성 측정장치에 결합되는 시편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초전도 전류리드로부터 전류가 들어오는 제1부쉬 샤프트와; 상면에 초전도 시편이 안착되는 시편블럭과; 상기 제1부쉬 샤프트와 시편블럭을 사이에 두고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1부쉬 샤프트로부터 들어온 전류가 시편을 거쳐 나가는 제2부쉬 샤프트와; 상기 제2부쉬 샤프트로부터 나온 전류를 통전시키고, 반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제2부쉬 샤프트, 시편블럭을 상측에 수용하며, 상기 2단냉각부에 결합되도록 일측에 결합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제2부쉬 샤프트로부터 나온 전류를 통전시키며, 반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상측에 결합되어 원통형을 형성하는 케이스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시편 홀더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시편 홀더의 구조를 개선하여 시편 홀더의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고, 시편의 교체가 편리하며, 시편 교체시에도 시편냉각부를 제외한 부분은 진공 및 냉각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시편의 초전도 특성 측정 시간을 단축시키고 에너지를 절감시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원통형 시편 홀더{cylinder type sample holder}
본 발명은 초전도 특성 측정장치에 결합되는 시편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시편 홀더와 그 외 부분의 진공조를 분리해 시편 홀더를 제외한 부분은 진공 및 냉각 상태를 유지하고 탈부착이 용이한 원통형 시편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온 초전도체를 이용한 초전도 시스템에 있어서 현재까지 가장 응용 가능성이 높은 재료로서 Bi-2223 등의 초전도 선재가 주목을 받고 있으며, 실제 많은 고온 초전도체는 초전도 코일의 형태로 제작되어 응용되고 있으며, 적용온도에 따라 그 성능도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초전도 선재에 대한 일정온도에서의 특성평가는 초전도 코일을 응용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며, 그 중 대표적인 것은 초전도 선재에 대한 임계전류(Ic)이며, 임계전류의 측정은 통상 코일의 양끝에서 일정전류(I)를 인가시킴과 동시에 가운데 부분에서 전압(V)을 측정하는 방식의 4단자법을 이용하여 특정온도에서 초전도 선재의 임계전류를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초전도 선재인 경우 일정온도 이하에서만 초전도현상이 나타나는 바, 초전도 현상이 나타나는 온도는 거의 극저온인 경우가 대부분이며, 상기 초전도 선재에 대한 임계전류 측정 역시 극저온에서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경우 통상 냉매로 액체질소(77.3 K)나 액체헬륨(4.2 K)을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액체헬륨인 경우에는 고가이며, 고진공, 극저온 용기가 필요하므로, 이러한 초전도 특성 평가를 위한 측정장치는 장치의 구조적인 개선, 진공 및 냉매 등의 효율적인 사용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의 이러한 초전도 특성 평가장치는 외부챔버와 내부챔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챔버 내부에 히터 및 온도 센서를 콜드헤드 등에 장착하여 다양한 온도에서의 초전도 특성의 측정을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특히, 콜드헤드를 1단냉각부와 2단냉각부로 분리형성시켜 초전도 선재 시편 및 초전도 선재 시편에 전류를 인가하는 초전도전류리드를 2중 냉각하여, 정밀하고 정확한 임계전류 등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여기에서, 콜드헤드와 결합된 시편 홀더는 특성 평가를 위한 초전도 시편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부분으로, 콜드헤드에 의해 냉기가 시편 홀더 및 초전도전류리드에 전달되어 초전도 시편 및 초전도전류리드를 극저온으로 유지시키고, 전류를 공급하게 되며, 내부챔버 및 외부챔버에 이들이 수용되어 진공 및 극저온을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초전도 특성 평가장치에 사용되는 시편 홀더는 전도냉각 시스템에서 진공 및 냉각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한번 실험 후 시편을 교체하고 다시 실험준비를 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된다.
이는 시편 홀더가 한 진공조 내에서 냉동기 2단부에 고정이 되어 있어서 시편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웜업을 하고 진공을 깨고 진공조를 열어 시편을 교체해야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편 홀더와 그 외 부분의 진공조를 분리해 시편 홀더를 제외한 부분은 진공 및 냉각 상태를 유지하고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원통형 시편 홀더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냉각기를 포함하는 1단냉각부와, 상기 1단냉각부 일측에 형성된 2단냉각부 및 상기 2단냉각부 일측에 형성되어 시편 홀더를 수용하는 시편냉각부와 같이 진공조가 세 부분으로 형성된 초전도 특성 측정장치에 결합되는 시편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초전도 전류리드로부터 전류가 들어오는 제1부쉬 샤프트와; 상면에 초전도 시편이 안착되는 시편블럭과; 상기 제1부쉬 샤프트와 시편블럭을 사이에 두고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1부쉬 샤프트로부터 들어온 전류가 시편을 거쳐 나가는 제2부쉬 샤프트와; 상기 제2부쉬 샤프트로부터 나온 전류를 통전시키고, 반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제2부쉬 샤프트, 시편블럭을 상측에 수용하며, 상기 2단냉각부에 결합되도록 일측에 결합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제2부쉬 샤프트로부터 나온 전류를 통전시키며, 반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상측에 결합되어 원통형을 형성하는 케이스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시편 홀더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제2부쉬 샤프트 상측에 고정패드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시편블럭에 안착된 시편을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편블럭 및 고정패드는 절연을 위한 아노다이징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제2부쉬 샤프트 및 케이스와 케이스 커버는 냉각 및 통전을 위한 무산소동 또는 구리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결합구는 나사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 및 케이스 커버는, 각각 반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호 결합에 의해 내부가 빈 원통형을 이루게 되며, 상기 케이스의 일측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부쉬 샤프트의 일측이 돌출 수용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부쉬 샤프트 일측에는 초전도 전류리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원통형 접속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부쉬 샤프트 일측에는 상기 케이스 및 케이스 커버와 통전될 수 있도록 원형 접속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제2부쉬 샤프트 일측 단부에는 상기 시편블럭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시편블럭의 단부는 상기 결합홈에 대응 형성되어 상기 제1,제2부쉬 샤프트 사이에 상기 시편블럭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제2부쉬 샤프트 상측에는 상기 고정패드와의 결합을 위한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패드는 상기 수용홈에 대응형성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부쉬 샤프트 외주변에는 FRP링이 더 결합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편블럭 하측에는 히터를 형성하여 시편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제1,제2부쉬 샤프트 및 시편블럭 그리고 케이스는 스타이캐스트 에폭시로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시편 홀더가 수용되는 시편냉각부와 그 외 부분의 냉각부가 분리된 진공조로 형성된 초전도 특성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시편 홀더의 구조를 개선하여 시편 홀더의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고, 시편의 교체가 편리하며, 시편 교체시에도 시편냉각부를 제외한 부분은 진공 및 냉각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시편의 초전도 특성 측정 시간을 단축시키고 에너지를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 - 본 발명에 따른 시편 홀더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2 - 본 발명에 따른 시편 홀더에서 케이스 커버만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 본 발명에 따른 시편 홀더에 대한 사시도 및 전류의 방향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
도 4 - 본 발명에 따른 시편 홀더가 초전도 특성 측정장치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
본 발명은 초전도 특성 측정장치에 결합되는 시편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편 홀더가 수용되는 시편냉각부와 그 외 부분의 냉각부가 분리된 진공조로 형성된 초전도 특성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시편 홀더를 원통형으로 구조를 개선하여 시편 홀더의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고, 시편의 교체가 편리하며, 시편 교체시에도 시편냉각부를 제외한 부분은 진공 및 냉각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시편의 초전도 특성 측정 시간을 단축시키고 에너지를 절감시키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편 홀더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편 홀더에서 케이스 커버만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편 홀더에 대한 사시도 및 전류의 방향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편 홀더가 초전도 특성 측정장치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편 홀더는 제1부쉬 샤프트(100), 시편블럭(200), 제2부쉬 샤프트(300), 케이스(400) 및 케이스 커버(500)로 크게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400) 일측에 형성된 결합구에 의해 초전도 특성 측정장치의 2단냉각부(20)에 결합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초전도 특성 측정장치는 냉각기를 포함하는 1단냉각부(10)와, 상기 1단냉각부(10) 일측(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된 2단냉각부(20) 및 상기 2단냉각부(20) 일측(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되어 시편 홀더를 수용하는 시편냉각부(30)와 같이 진공조가 세 부분으로 나뉘어져 형성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편 홀더는 다른 냉각부와는 독립되어 시편냉각부(30)에 수용되며, 시편 홀더의 케이스(400) 단부는 상기 2단냉각부(20)와 연결된 블럭에 결합되어 2단냉각부(20)에서 전달된 냉기 및 전류를 초전도 전류리드를 통해 시편 홀더에 안착된 시편(40)에 전달시켜 초전도 특성 측정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한편, 초전도 전류리드는 상기 1단냉각부(10)에서부터 상기 2단냉각부(20)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1단냉각부(10)에만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시편 홀더의 케이스(400)가 2단냉각부(20)의 블럭에 결합되면 시편 홀더와 초전도 전류리드와 접속되어, 제1부쉬 샤프트(100)(+)로 전류가 인입되고, 시편(40) 및 제2부쉬 샤프트(300)를 거쳐 케이스(400) 및 케이스 커버(500)(-)를 지나 다시 초전도 전류리드의 전류인입부로 흐르게 된다.
먼저, 상기 제1부쉬 샤프트(100) 및 시편블럭(200), 그리고 제2부쉬 샤프트(3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제1부쉬 샤프트(100)는 초전도 전류리드로부터 전류가 들어오는 부분이고, 상기 시편블럭(200)은 상면에 시편(40)이 안착되도록 하는 부분이며, 제2부쉬 샤프트(300)는 상기 제1부쉬 샤프트(100)와 시편블럭(200)을 사이에 두고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1부쉬 샤프트(100)에서 들어온 전류가 시편블럭(200) 위의 시편(40)을 거쳐 나가는 부분이다.
상기 제1,제2부쉬 샤프트(100),(300)는 냉각 및 통전의 원활을 위해 무산소동(OFHC)이나 구리로 형성되며, 그 사이에 결합된 시편블럭(200) 및 고정패드(600)는 주변 구조물과의 절연을 위해 아노다이징 알루미늄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제1,제2부쉬 샤프트(100),(300) 일측 단부에는 상기 시편블럭(20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120),(320)이 형성되고, 상기 시편블럭(200)의 단부는 상기 결합홈(120),(320)에 대응형성되어 상기 제1,제2부쉬 샤프트(100),(300) 사이에 상기 시편블럭(200)이 결합되게 된다. 상기 결합홈(120),(320)에 시편블럭(200)이 꼭 맞게 결합되면 제1,제2부쉬 샤프트(100),(300)와 일체를 이룬다. 또한, 상기 시편블럭(200) 하측에는 히터를 형성하여 시편(4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온도에 따른 시편(40)의 특성 측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제2부쉬 샤프트(100),(300) 상측에 고정패드(600)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시편블럭(200)에 안착된 시편(40)을 고정시키도록 한다. 상기 제1,제2부쉬 샤프트(100),(300) 상측에는 상기 고정패드(600)와의 결합을 위한 수용홈(130),(33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패드(600)는 상기 수용홈(130),(330)에 대응형성되어 상기 수용홈(130),(330)에 고정패드(600)가 결합되게 된다. 상기 고정패드(600)는 상기 시편블럭(200) 위에 안착된 시편(40)의 양끝을 눌러줘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후술할 케이스 커버(500)에 형성된 나사공을 통해 무두볼트로 눌러 시편(40)을 시편블럭(200)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고정패드(600)가 상기 수용홈(130),(330)에 결합되면 상기 제1,제2부쉬 샤프트(100),(300)의 다른 부분과 일체를 이루게 되나, 시편블럭(200) 상측에 시편(40)이 안착되게 되면, 시편(40)의 두께에 따라 고정패드(600)가 상기 제1,제2부쉬 샤프트(100),(300)의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상측으로 그 만큼 돌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부쉬 샤프트(100) 일측에는 초전도 전류리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원통형 접속구(110)가 형성되게 되며, 이 원통형 접속구(110) 외주변으로 FRP링(140)이 더 결합형성되는데, 이는 후술할 케이스(400) 내부(원통형으로 형성된 부분)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절연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2부쉬 샤프트(300) 일측에는 상기 케이스(400) 및 케이스 커버(500)로 통전될 수 있도록 원형 접속구(310)가 형성되어, 상기 제1부쉬 샤프트(100)로부터 시편블럭(200)에 안착된 시편(40)을 거쳐 제2부쉬 샤프트(300)를 지나 케이스(400) 및 케이스 커버(500)로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제2부쉬 샤프트(100),(300)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하단쪽에 시편블럭(200)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120),(320)이 형성되고, 계단식으로 고정패드(600)가 결합되는 수용홈(130),(330)이 형성되어, 시편블럭(200) 및 고정패드(600)가 결합되면 상기 제1,제2부쉬 샤프트(100),(300)의 다른 부분과 연속적으로 일체감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130),(330)의 바깥쪽으로는, 각각 제1부쉬 샤프트(100)의 원통형 접속구(110)가 형성되어 케이스(400) 내부에 수용결합되게 되고, 제2부쉬 샤프트(300)의 원형 접속구(310)가 형성되어 케이스(400) 및 케이스 커버(500)로 통전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스(400) 및 케이스 커버(5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케이스(400)는 상기 제2부쉬 샤프트(300)로부터 나온 전류를 통전시키고, 반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제2부쉬 샤프트(100),(300), 시편블럭(200) 및 고정패드(600) 등을 상측에 수용하며, 상기 2단냉각부(20)에 결합되도록 일측에는 결합구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케이스(400)의 일측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부쉬 샤프트(100)의 원통형 접속구(110)를 절연 수용결합시키게 되며, 상기 제1부쉬 샤프트(100)의 원통형 접속구(110) 끝단은 상기 케이스(4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케이스(400)가 2단냉각부(20)의 블럭에 결합되면 제1부쉬 샤프트(100)의 원통형 접속구(110) 끝단은 초전도 전류리드의 전류인출부와 접속되게 된다. 상기 케이스(400)의 일측에는 상기 2단냉각부(20)의 블럭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구가 형성되는 바, 상기 결합구는 가공 및 적용이 편리한 나사탭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커버(500)는 상기 제2부쉬 샤프트(300)로부터 나온 전류를 통전시키며, 반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400) 상측에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원통형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케이스 커버(500)와 제1,제2부쉬 샤프트(100),(300) 사이는 볼트에 의해 결합되며, 제2부쉬 샤프트(300) 쪽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통전되는 경질의 볼트가 사용되고, 제1부쉬 샤프트(100) 쪽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하기 때문에 FRP 볼트 계열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제1,제2부쉬 샤프트(100),(300) 및 시편블럭(200) 그리고 케이스(400)는 스타이캐스트 에폭시로 고정시켜, 절연 및 냉각이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냉동기를 포함하여 초전도 전류리드 등 대부분의 초전도 특성 측정장치의 구성요소가 1단냉각부(10) 및 2단냉각부(20)에 포함되고, 2단냉각부(20)와 연결된 시편냉각부(30)에 시편 홀더가 포함되어 시편(40)의 교체시에 시편냉각부(30)만 진공을 해제시키고 웜업하여 오픈시킬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의 낭비를 줄이고 시스템의 재냉각이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시편 홀더의 케이스(400) 일측에 나사탭과 같은 결합구를 형성하여 2단냉각부(20)에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여 신속한 특성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편 홀더는 전체가 길이 방향으로 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마그네트의 상온 보아 중심에 위치가 가능하여 자장에 따른 시편의 특성 측정도 가능한 형태로서, 상온보아의 직경이 작은 경우에도 최소 38mm 이상이면 측정이 가능하게 되어 다양한 조건에서의 초전도 특성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10 : 1단냉각부 20 : 2단냉각부
30 : 시편냉각부 40 : 시편
100 : 제1부쉬 샤프트 110 : 원통형 접속구
120 : 결합홈 130 : 수용홈
140 : FRP링 200 : 시편블럭
300 : 제2부쉬 샤프트 310 : 원형 접속구
320 : 결합홈 330 : 수용홈
400 : 케이스 410 : 결합구
500 : 케이스 커버 600 : 고정패드

Claims (13)

  1. 냉각기를 포함하는 1단냉각부(10)와, 상기 1단냉각부(10) 일측에 형성된 2단냉각부(20) 및 상기 2단냉각부(20) 일측에 형성되어 시편 홀더를 수용하는 시편냉각부(30)와 같이 진공조가 세 부분으로 형성된 초전도 특성 측정장치에 결합되는 시편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초전도 전류리드로부터 전류가 들어오는 제1부쉬 샤프트(100)와;
    상면에 시편(40)이 안착되는 시편블럭(200)과;
    상기 제1부쉬 샤프트(100)와 시편블럭(200)을 사이에 두고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1부쉬 샤프트(100)로부터 들어온 전류가 시편(40)을 거쳐 나가는 제2부쉬 샤프트(300)와;
    상기 제2부쉬 샤프트(300)로부터 나온 전류를 통전시키고, 반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제2부쉬 샤프트(100),(300), 시편블럭(200)을 상측에 수용하며, 상기 2단냉각부(20)에 결합되도록 일측에 결합구가 형성된 케이스(400)와;
    상기 제2부쉬 샤프트(300)로부터 나온 전류를 통전시키며, 반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400) 상측에 결합되어 원통형을 형성하는 케이스 커버(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시편 홀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부쉬 샤프트(100),(300) 상측에 고정패드(600)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시편블럭(200)에 안착된 시편(40)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시편 홀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블럭(200) 및 고정패드(600)는 절연을 위한 아노다이징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시편 홀더.
  4. 제 1항에 있어서, 제1,제2부쉬 샤프트(100),(300) 및 케이스(400)와 케이스 커버(500)는 냉각 및 통전을 위한 무산소동 또는 구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시편 홀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400)에 형성된 결합구는 나사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시편 홀더.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400) 및 케이스 커버(500)는,
    각각 반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호 결합에 의해 내부가 빈 원통형을 이루게 되며, 상기 케이스(400)의 일측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부쉬 샤프트(100)의 일측이 돌출 수용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시편 홀더.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쉬 샤프트(100) 일측에는 초전도 전류리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원통형 접속구(1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시편 홀더.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쉬 샤프트(300) 일측에는 상기 케이스(400) 및 케이스 커버(500)로 통전될 수 있도록 원형 접속구(3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시편 홀더.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부쉬 샤프트(100),(300) 일측 단부에는 상기 시편블럭(20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120),(320)이 형성되고, 상기 시편블럭(200)의 단부는 상기 결합홈(120),(320)에 접촉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제2부쉬 샤프트(100),(300) 사이에 상기 시편블럭(20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시편 홀더.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부쉬 샤프트(100),(300) 상측에는 상기 고정패드(600)와의 결합을 위한 수용홈(130),(33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패드(600)는 상기 수용홈(130),(330)에 접촉되게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시편 홀더.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쉬 샤프트(100) 외주변에는 FRP링(140)이 더 결합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시편 홀더.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블럭(200) 하측에는 히터를 형성하여 시편(4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시편 홀더.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부쉬 샤프트(100),(300) 및 시편블럭(200) 그리고 케이스(400)는 스타이캐스트 에폭시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시편 홀더.
KR20100093376A 2010-09-27 2010-09-27 원통형 시편 홀더 KR101198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93376A KR101198300B1 (ko) 2010-09-27 2010-09-27 원통형 시편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93376A KR101198300B1 (ko) 2010-09-27 2010-09-27 원통형 시편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1786A KR20120031786A (ko) 2012-04-04
KR101198300B1 true KR101198300B1 (ko) 2012-11-07

Family

ID=46135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93376A KR101198300B1 (ko) 2010-09-27 2010-09-27 원통형 시편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83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993B1 (ko) * 2016-08-08 2017-01-11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극저온 냉동기를 이용한 시편의 열물성 측정 장치 및 방법
CN112924909A (zh) * 2021-01-14 2021-06-08 西部超导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超导线材临界电流性能并联测试杆及其制备方法、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0856B2 (ja) 1993-02-23 2001-06-25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超電導臨界電流測定装置
KR100570631B1 (ko) 2004-07-19 2006-04-12 한국전기연구원 온도가변식 초전도코일 특성 측정장치
JP2007298506A (ja) 2006-04-06 2007-11-15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試料冷却装置
KR100911885B1 (ko) 2007-08-23 2009-08-11 한국전기연구원 초전도 특성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0856B2 (ja) 1993-02-23 2001-06-25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超電導臨界電流測定装置
KR100570631B1 (ko) 2004-07-19 2006-04-12 한국전기연구원 온도가변식 초전도코일 특성 측정장치
JP2007298506A (ja) 2006-04-06 2007-11-15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試料冷却装置
KR100911885B1 (ko) 2007-08-23 2009-08-11 한국전기연구원 초전도 특성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1786A (ko) 201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84967B (zh) 具有传热装置的低损耗持续电流开关
US9458969B2 (en) Cryostat with PTR cooling and two stage sample holder thermalization
JP4960539B2 (ja) ゼロ・ボイルオフ冷凍剤冷却式再凝縮形超伝導磁石集成体
CN105987923A (zh) 用于软x射线磁圆二色的低温样品操纵台
JP4431793B2 (ja) クライオスタット
US7667476B2 (en) Measuring module for rapid measurement of electrical, electronic and mechanical components at cryogenic temperatures and measuring device having such a module
KR101198300B1 (ko) 원통형 시편 홀더
CN111398050B (zh) 一种基于传导冷却的超导线性能测量装置
CN217605529U (zh) 一种具有温度梯度环境的拉伸装置
US4600802A (en) Cryogenic current lead and method
WO2010032171A1 (en) Neck deicer for liquid helium recondensor of magnetic resonance system
KR101574940B1 (ko) 초전도 자석을 냉각하기 위한 폐쇄형 냉한제 냉각 시스템 및 방법
JP4571063B2 (ja) 高温超電導電流リード基礎特性試験装置
WO2002006803A1 (en) Cooling system for thermal analysis
JP4759551B2 (ja) 流れ冷却磁石システム
EP3384212B1 (en) Cryogenic cooling system with temperature-dependent thermal shunt
KR100570631B1 (ko) 온도가변식 초전도코일 특성 측정장치
JP4808474B2 (ja) 高温超電導電流リード基礎特性試験装置
Bi et al. Development of 16 kA HTS current leads for 40 T hybrid magnet application
CN110146830B (zh) 低温磁热效应测量仪用均温导热装置及控温方法
JP3075377U (ja) エネルギー分散型x線検出器
JP5160283B2 (ja) 評価用試料の通電特性試験装置
Stautner et al. A new cooling technology for the cooling of HTS magnets
Wiegers et al. Compact PrNi5 nuclear demagnetization cryostat
Demikhov et al. 8 T cryogen free magnet with variable temperature sp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