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8226B1 - 에스테르 교환 유지 조성물의 건식 분별 방법 - Google Patents

에스테르 교환 유지 조성물의 건식 분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8226B1
KR101198226B1 KR1020100041205A KR20100041205A KR101198226B1 KR 101198226 B1 KR101198226 B1 KR 101198226B1 KR 1020100041205 A KR1020100041205 A KR 1020100041205A KR 20100041205 A KR20100041205 A KR 20100041205A KR 101198226 B1 KR101198226 B1 KR 101198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tty acid
fractionation
melting point
dry
o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1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1768A (ko
Inventor
김윤식
강지현
이윤정
김미정
이상범
박승원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1020100041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226B1/ko
Priority to EP10850296.4A priority patent/EP2561765A4/en
Priority to PCT/KR2010/002846 priority patent/WO2011132813A1/ko
Priority to SG2012078465A priority patent/SG184995A1/en
Priority to JP2013501171A priority patent/JP2013523910A/ja
Publication of KR20110121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1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3/00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3/04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by esterification of fats or fatty oils
    • C11C3/10Ester inter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3/00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3/04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by esterification of fats or fatty oils
    • C11C3/08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by esterification of fats or fatty oils with fatty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성 또는 동물성 유지와 지방산 유도체를 효소적 에스테르 교환 반응시켜 생성된 반응물을 건식 분별하는 방법에 있어서, 트리글리세라이드와 지방산 유도체가 포함된 상태에서 건식 분별 방법으로 고융점 유지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분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식 분별 방법은 에스테르 교환 반응물의 원료로 사용된 지방산 유도체를 상기 반응물로부터 분리시키는 전처리 공정을 하지 않고 건식 분별시킴으로써, 반응 중에 남아있는 지방산 유도체가 유지의 분별 정밀도를 높이고, 유지의 점성을 감소시키는 용매와 같은 역할을 하여 분별 수율이 크게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에스테르 교환 유지 조성물의 건식 분별 방법 {A dry fractionation of esterificated fat composition}
본 발명은 식물성 또는 동물성 유지와 지방산 유도체를 효소적 에스테르 교환 반응시켜 생성된 반응물을 건식 분별하는 방법에 있어서, 트리글리세라이드와 지방산 유도체가 포함된 상태에서 건식 분별 방법으로 고융점 유지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분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에스테르 교환 반응물에서 원료로 사용된 지방산 유도체가 포함된 상태로 유지 조성물을 건식 분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방산 유도체가 포함된 상태에서 분별하게 되면 용제 분별에서와 같이 분리 효율이 높고, 여과성이 양호한 결정을 얻게 되는 동시에 결정화액의 점도가 저하하여 보다 양호한 조건에서 결정화를 빠른 시간 내에 할 수 있어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원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등을 선택적으로 결정화하여 분리할 수 있어 수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유지의 분별 기술은 유지 내에 있는 서로 다른 융점을 가진 트리글리세라이드 혹은 지방산의 혼합물의 서로 다른 결정 특성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결정화시켜 고상부와 액상부로 나누어 분리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별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유지를 액상 혹은 용융 상태로 만든 후 원하는 분리 온도까지 냉각하여 핵 형성을 유도한다. 다음에 분리가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결정을 성장시킨다. 마지막으로 분리된 고상부와 액상부를 분리하는데, 이때 여과, 필터프레스, 원심분리 등의 방법을 사용한다.
일반적인 분별 방법으로는 건식 분별(dry fractionation)과 용제 분별(solvent fractionation)이 알려져 있으며, 분별공정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고상부와 액상부를 효과적으로 분리하는 부분이다. 용제 분별의 경우는 알코올, 헥산, 아세톤 등의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지방산 등의 융점 차이를 크게 하여 분리효율을 좋게 할 수 있다. 그러나, 공정에 있어 부피가 커지기 때문에 시설 투자 비용에 대한 부담과 유기 용매사용에 따른 안전에 대한 위험이 있는 단점이 있다.
건식 분별의 경우는 유지 자체의 융점에만 의존하여 결정화를 진행하여, 비교적 공정이 간단하고 비용이 낮고 친환경적이지만, 목적하는 유지 구성 성분의 품질의 순도가 낮거나, 고상부 결정 내에 액상유가 포함되어 있어 분리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고압 필터프레스를 사용하여 고상부에 함유되어 있는 액상 부분을 최대한 제거하려고 하지만, 어느 정도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건식 분별에 있어서 액상부와 고상부의 분리효율을 높이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3-306691과 일본 특허공개 2005-060523에서는 불안정한 결정을 대량으로 결정화시키고, 다시 오랜 시간을 거쳐서 안정한 결정으로 전이시켜 분리 효율을 높이고자 했으나, 충분한 시간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안정한 결정으로의 전이율이 낮아지는 한계가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2005-281462는 결정시간의 단축과 효율성 향상에 관한 방법을 개시하고 있지만, 씨드(seed)를 외부로부터 첨가하기 때문에 최종 제품에서는 씨드를 다른 방법에 의해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앞서 참고로 언급한 건식 분별 방법을 포함한 지금까지의 통상적인 분별 방법은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유지 조성물의 분별에 관한 것이다.
식물성 혹은 동물성 유지로부터 고순도의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얻기 위한 한 방법으로 효소적 에스테르 교환 반응이 사용되어 왔다. 이 효소적 에스테르 교환 반응은, 식물성 혹은 동물성 유지와 지방산 유도체를 혼합한 원료 유지를, 예를 들어1,3 선택적 리파아제 계열의 효소를 이용하여 에스테르 교환 반응시키는 것이다. 효소적 에스테르 교환 반응의 생성물은 트리글리세라이드와 고융점 유지, 및 미반응된 또는 잔존하는 지방산 유도체 등이다.
목적하는 고순도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수득하기 위해서는 반응 생성물 중 함유된 고융점 유지를 제거하여야 하는 데, 이를 위해서 종래 기술에서는 미반응되거나 잔존하는 지방산 유도체를 증류를 통해 먼저 제거하고 이후 분별 작업을 통해 고융점 유지를 제거하였다.
여기서 고융점 유지란 트리포화글리세라이드(트리글리세라이드를 이루는 지방산 3개가 모두 포화지방산인 것)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PPP, PPS, PSS, SSS 등과 같이 55℃ 이상의 융점을 갖는 트리포화글리세라이드가 이에 해당한다.
즉, 종래에는 효소적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통해 얻어진 생성물 중 원료로 사용된 지방산 유도체를 제거한 후 건식 분별 (dry fractionation)이나 용제 분별 (solvent fractionation)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분별하는 방식을 채택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분별 방법 중 건식 분별의 경우 분리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용제 분별의 경우에는 분리 효율은 양호하나 유기 용매에 사용에 따른 안전상 문제가 있다.
따라서, 분리 효율이 우수하면서도 작업 시간의 단축이 가능하고 유기 용매의 사용이 필요 없는 새로운 분별 방식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건식 분별 방식에 비해서는 분리 효율이 우수하고, 종래 용제 분별 방식에 비해 시설 투자 비용에 대한 부담이 적어 저비용으로 분리가 가능하며, 나아가 유기 용매 사용에 따른 안전에 대한 위험이 없는 개선된 형태의 분별 방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효소적 에스테르 교환 반응 후 트리글리세라이드 조성물 중 함유된 고융점 유지, 특히 포화트리글리세라이드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분별 방법을 제공하는 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효소적 에스테르 교환 반응물로부터 지방산 유도체를 분리하지 않고 상기 반응물 전체를 건식 분별하는 방식을 채택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분별 방식은 트리글리세라이드 단독의 존재 하에서 분별하는 종래 분별 방법과 비교하여 분리 효율이 증대되고, 고융점 트리글리세라이드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효소적 에스테르 교환 반응물 중 남아있는 지방산 유도체를 제거하지 않고 분별을 함으로써 유지의 분리, 특히 고융점 유지 성분(트리포화글리세라이드)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목적하는 유지 조성물의 품질을 확보하며, 기존 방법에 비해 수율이 크게 개선된 경제적인 방법을 발명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별 방법은 유지 조성물을 합성하고 지방산 유도체를 제거한 후 분별하는 공정보다 더욱 간단하며, 일반 건식 분별 방식에 비해서는 분별 효율이 좋고, 분별 효율 개선을 위해 용제를 첨가하여 분별하는 용제 분별에 비해서는 용제를 첨가할 필요가 없으므로 설비 및 안전성 면에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의 분별 공정은 용제분별에 비해서 상승된 냉매 온도에서 분별할 수 있고, 건식분별에 비해서는 점도가 낮아 작업이 용이하여 공정 시간이 단축는 장점이 있다. 일반 건식 분별과 비교시 결정화가 효율이 좋아 수율이 높은 분별 공정을 실시할 수 있으며, 용매를 첨가하거나 회수하는 공정이 없어 제조 공정 상 저비용으로 하드버터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얻어진 고융점 유지의 제거 유지는 단독 사용 또는 다른 유지와의 혼합을 통해 초콜릿이나 코팅용 등의 하드버터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지는 고융점 유지 부분이 제거되어 있기 때문에 체온 부근의 융점을 가져 입안에서 잘 녹을 수 있는 물성을 가지게 되어 부가가치가 높은 유지로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효소적 에스테르 반응 전 PMF 와 스테아릭 에틸 에스테르의 혼합물의 HPLC 분석 결과이다.
도 2는 효소적 에스테르 반응 후 조성물의 트리글리세라이드 HPLC 분석 결과이다. 효소적 에스테르 반응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고융점 유지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별 전 후, 열에 의한 상 변화를 통해서 고융점 유지의 제거를 확인하는 DSC 곡선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식물성 또는 동물성 유지와 지방산 유도체를 효소적 에스테르 교환 반응시켜 생성된 반응물을 건식 분별하는 방법에 있어서, 트리글리세라이드와 지방산 유도체가 포함된 상태에서 건식 분별 방법으로 고융점 유지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분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원료 유지로는 팜유, 코코넛유, 카놀라유, 콩기름, 옥수수유, 해바라기유, 카카오버터, 일리페버터, 쉬아버터, 살버터, 코쿰버터 등의 식물성 유지 및 우지, 돈지 등 동물성 기름 어느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이 중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이들 원료 유지와 지방산 유도체를 에스테르 교환반응한 유지를 사용한다.
상기 식물성 유지의 구체적인 예로는 POP를 40~85중량% 함유한 팜유 기반의 식물성 유지 혹은 그의 분획분을 함유하는 유지, 하이 올레익 해바라기유 (high oleic sunflower oil), 시아지 (shea fat) 혹은 그 분획분을 함유하고 있는 유지, 또는 살지 (sal, Sherea robusta) 혹은 그 분획분을 함유하고 있는 유지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물성 유지는 POP 40~85 중량% 또는 POO 25~50 중량% 함유한 팜유 혹은 그 분획분을 함유하는 유지, SOO 30~60 중량% 함유한 이그조틱 팻 혹은 그 분획분을 함유하는 유지, 또는 OOO 65~90 중량% 함유한 해바라기 유지를 사용할 수 있다.
원료 유지와 에스테르 교환 반응할 수 있는 지방산 유도체로는 지방산과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 알코올을 반응시켜 생성된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 지방산 에틸 에스테르, 지방산 프로필 에스테르 또는 지방산 부틸 에스테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지방산은 탄소수 4 내지 22의 지방산으로 자연계에 존재하는 동물 또는 식물 유래의 포화 또는 불포화된 지방산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인 지방산 유도체의 예로는, 팔미틱산 에틸 에스테르 (Palmitic acid ethyl ester), 스테아린산 에틸 에스테르 (stearic acid ethyl ester), 아라키돈산 에틸 에스테르 (Arachidonic acid ethyl ester), 베헤닌산 에틸 에스테르 (Behenic acid ethyl ester), 팔미틱산 메틸 에스테르 (Palmitic acid methyl ester), 스테아린산 메틸 에스테르 (stearic acid methyl ester), 아라키돈산 메틸 에스테르 (Arachidonic acid methyl ester), 베헤닌산 메틸 에스테르 (Behenic acid methyl ester), 바람직하게는,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 에틸 에스테르, 스테아린산 메틸 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지방산 유도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소적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있어서 식물성 또는 동물성 유지와 지방산 유도체의 중량비는 1:0.1 내지 1:3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효소 에스테르 교환반응은 예를 들어 sn-1,3 위치에 포화지방산, sn-2 위치에 불포화지방산을 포함하는 대칭형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sn-1,3 위치에 특이성을 가지는 효소를 이용하여 30 내지 60 ℃에서 1 내지 30 시간 반응시킬 수 있다.
sn-1,3 위치에 특이성을 지닌 효소는 리조푸스 델레마(Rhizopus delemar), 뮤코 미에헤이(Mucor miehei), 아스퍼질러스 미거(Aspergillus miger), 리조푸스 아르히주스(Rhizopus arrhizus), 리조푸스 니베우스(Rhizopus niveus), 뮤코 자바니쿠스(Mucor javanicus), 리조푸스 자베니쿠스(Rhizopus javenicus), 리조푸스 오리자에(Rhizopus oryzae), 써모마이세스 라누기노서스(Thermomyces lanuginosus) 등에서 분리한 효소, 바람직하게는, 뮤코 미에헤이(Mucor miehei) 또는 써모마이세스 라누기노서스(Thermomyces lanuginosus) 분리한 효소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sn-1,3 위치 특이성 효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효소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통해 얻어진 반응물 그대로를 건식 분별시키는 방식을 채택했으며 이 방법은 효소 에스테르 교환반응 후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상태 그대로인, 유지 내 지방산 유도체를 함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분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식 분별 방법은 반응 중에 남아있는 지방산 유도체가 유지의 분별 정밀도를 높이고, 유지의 점성을 감소시키는 용매와 같은 역할을 하여 분별 수율을 크게 향상시킨다는 지견에 기초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분별 공정은 용제분별에 비해서 상승된 냉매 온도에서 분별 할 수 있고, 건식분별에 비해서는 점도가 낮아 작업이 용이하여 공정 시간이 단축는 장점이 있다. 일반 건식 분별과 비교시 결정화가 효율이 좋아 수율이 높은 분별 공정을 실시할 수 있으며, 용매를 첨가하거나 회수하는 공정이 없어 제조 공정 상 저비용으로 하드버터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분별 방식은 지방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유지 용액을 25 내지 35 ℃ 에서 2 ~ 48 시간 동안 결정화가 이루어질 때까지 방치한다. 충분히 결정화된 분획을 감압 또는 필터 프레스 방식으로 필터하여 고융점 유지 부분과 액체 유지를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분별 과정은 1회 이상 반복 수행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분별 과정 1회를 통해 액상부의 고융점 유지의 함량이 2 중량% 이하인 유지를 생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별 방법에 의해 분리된 유지는 0.001 내지 30 mbar, 100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mbar, 150 내지 250℃에서 증류하여 지방산 유도체를 제거할 수 있다. 에스테르 교환 반응 및 분별 후 지방산 유도체를 제거하는 과정을 통해 고함량의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고융점이 제거된 하드버터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1 효소적 에스테르 교환반응
팜유 중융점 획분(PMF)과 스테아린산 에틸 에스테르 혼합물(1:1, wt/wt)을 Lipozyme TL IM(노보자임사)을 200g 충전한 직경 5cm의 칼럼에 유속 0.8~1.2kg/h로 통과시켜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행하였다. 유속에 따라서 반응물의 고융점 유지 조성의 차이가 있으며, 얻어진 에스테르 교환 반응물의 주요 성분과 고융점 함량은 표 1, 크로마토그램은 도 2에 나타내었다.
효소반응에 사용되는 PMF와 스테아린산 에틸 에스테르의 사용 비율은 중량비(%, w/w)로 1:0.1내지 1:3의 비율이었을 때, 효과적으로 초콜릿용 유지와 유사한 조성을 만들 수 있었다.
TAG 조성 (%) 팜유 중융점 획분(PMF) 반응물-1 반응물-2
POP 50.4 37.3 34.6
POS 9.1 33.6 37.7
SOS 0.7 9.7 11.4
PPP 1.0 2.0 1.1
PPS 0.2 3.2 2.2
PSS 0.1 1.6 1.1
SSS - 0.2 0.2
고융점 유지 1.3 7.0 4.6
고융점 유지 함량 (%) = PPP + PPS + PSS + SSS
1-2 트리글리세라이드 조성 분석
효소적 에스테르 교환 반응의 반응 전후에 있어서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조성 및 함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였다. 역상 고분해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 - 증기화광산란 검출기 시스템을 이용하여 유지의 트리글리세라이드 조성을 분석하였다. 시료 30㎕를 아세토나이트릴 : 디클로로메탄 (70:30, v/v) 의 용매 10㎖ 를 녹인 후 PTFE 실린지 필터(syringe filter, 25㎜, 0.2㎛)를 이용하여 여과시킨 후, 2㎜ 바이알에 넣은 후 시료를 20㎕ 주입하였다. 전개용매는 아세토나이트릴 (용매 A), 디클로로메탄(용매 B)을 사용하였으며, 유속은 0.72㎖/min 이었다. 용매의 기울기 용리(A:B, v/v) 진행과정은 25분간 70:30을 유지하였으며, 이후 기울기 용매 시스템을 사용하였으며, 분석조건은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기기명 애질런트(Agilent), 1200 HPLC Chemstation
칼럼 Altima HP C18 HL (3.0 x 150mm)
검출기 알텍(Alltech), ELSD(Evaporative Light Scattering Detector)
샘플 양 20㎕
용매 아세토나이트릴 : 디클로로메탄 기울기 용매 시스템 사용
검출기 gain 1
검출기 오븐온도 45℃
운반기체 N2 (1.5L/min)
효소적 에스테르 교환 반응 전과 반응 후의 트리글리세라이드 조성의 HPLC 분석 결과를 도 1 및 도 2에 도시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효소적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생성된 반응물-1 10kg을 55℃로 완전히 용해한 뒤에 급속히 28℃까지 냉각시킨 후, 28℃에서 8시간 결정 성장시킨 후 필터 프레스(7bar까지 가압)로 여과하였다. 여기서 얻은 액상부의 고융점 유지 조성의 합은 1.9(아래 표 5 참조) 중량%이었으며, 액상부의 수율 82 중량%를 얻었다. 이 때 고상부의 고융점 유지 조성의 합은 30.7 중량% 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효소적 에스테르 교환 반응 후 수득된 반응물-2를 실시예 2과 같은 조건으로 분별 과정을 수행하였다. 이 때 얻은 액상부의 고융점 유지 조성의 합은 1.9(아래 표 5 참조) 중량%이었으며, 액상부의 수율은 91.2 중량%이었다. 실시예 2와 비교할 때, 동일한 조건으로 분별한 경우라도 분별전의 고융점 함량에 따라서 액상부의 수율이 차이가 나는 것으로 이해된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수득된 효소적 에스테르 교환 반응물-1을 0.01mbar, 230℃에서 증류하여 스테아린산 에틸 에스테르를 제거하여 99% 함량의 트리글리세라이드 성분만을 얻었다. 이후, 실시예 2에서와 같이 55℃로 완전히 용해한 뒤에 급속히 28℃ 까지 냉각시킨 후, 28℃에서 8시간 결정성장시킨 후 필터프레스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여기서 얻은 액상부의 고융점 유지는 2.0중량%이었으며, 수율은 70.5 중량%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수득된 효소적 에스테르 교환 반응물-2를 0.01mbar, 230℃에서 증류하여 스테아린산 에틸 에스테르를 제거하여 99% 함량의 트리글리세라이드 성분만을 얻었다. 에틸 에스터를 제거후 융점 측정결과 40℃이었다. 이후, 실시예 2에서와 같이 55℃로 완전히 용해한 뒤에 급속히 28℃ 까지 냉각시킨 후, 28℃에서 8시간 결정성장 시킨 후 필터프레스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여기서 얻은 액상부의 고융점 유지는 1.9 중량%이었으며, 수율은 81.8 중량%였다.
실시예 4
시차주사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DSC)에 의한 물리적 성상 분석
시차주사열량계로 분별 전 및 후의 용융 프로파일(Melting Profile)을 측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고융점 유지 부분의 제거를 확인할 수 있었다. 당해 실험 조건은 아래 표 3에 나타내었으며, -60~80℃ 범위에서의 상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실시예 3의 분별 전후 상 변화를 도 3에 나타내었다.
DSC 기기명  TA Q20
실험 온도 -60 내지 80℃
냉각 속도 10℃/min (-80℃ 까지)
승온 속도 5℃/min (100℃까지)
샘플 양 15±5mg
실시예 5
융점 분석
분별과정을 거친 유지를 초콜릿용 유지로 사용했을때, 초콜릿 품질을 확인하는 방법 중의 하나는 입 속에서 얼마나 잘 녹는가를 확인하는 것이다. 입안에서의 구용성은 유지의 고융점 함량에 따른 융점과 관계가 있어서, 분별 공정 후 분자증류를 수행하여 지방산 유도체를 제거한 후에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융점을 EX-871 자동상승 융점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동상승 융점 측정기를 이용한 융점측정 분석 조건은 표 4에 나타내었다.
기기명 EX-871 자동상승 융점 측정기
승온온도 0.5℃/min
샘플 개수 8개
전처리 조건 -20℃, 1hr
검출기구 특수 광전 센서 검출방식
가열장치 특수 코일형 가열히타 400W
교반장치 가변속형 전동기
상기 융점 분석 결과를 검토한 결과, 실시예 3의 방법은 종래 행해지고 있는 비교예 1의 방법에 비해 액상부의 수율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분리 효율도 상당히 좋았다. 당해 결과는 지방산 유도체를 포함한 상태에서 유지를 분별시키는 본 방법이 여과성 및 선택성 면에서 개선되었음을 나타낸다. 자세한 유지 조성과 수율 및 융점 결과는 아래 표 5에 나타내었다.
TAG 조성 (%)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POP 36.6 35.1 37.5 38.8
POS 38.4 37.1 37.1 38.5
SOS 10.5 12.3 11.3 12.3
PPP 1.0 1.0 1.0 0.9
PPS 0.8 0.8 0.7 0.7
PSS 0.1 0.1 0.3 0.2
SSS - - 0.1 0.1
고융점 유지 1.9 1.9 2.0 1.9
융점(℃)** 31.5 31.8 31.8 32.0
수율(%) 82.0 91.2 71.5 81.8
이상의 실험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효소적 에스테르 교환 반응물에서 지방산 유도체를 포함한 상태에서 고융점 유지를 건식 분별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종래의 지방산 유도체를 제거한 후 건식 분별하는 방식에 비해 유지의 결정화, 순도 및 수율 면에서 개선된 특성을 갖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렇게 제조된 하드버터는 구융성이 좋은 초콜릿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Claims (6)

  1. 식물성 또는 동물성 유지와 지방산 유도체를 효소적 에스테르 교환 반응시켜 생성된 반응물을 건식 분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유도체가 포함된 상태에서 융점이 55℃ 이상인 유지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분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유도체는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 지방산 에틸 에스테르, 지방산 프로필 에스테르 또는 지방산 부틸 에스테르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이 탄소수 4 내지 22의 포화 또는 불포화된 동물 또는 식물 유래 지방산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또는 동물성 유지와 지방산 유도체의 중량비가 1:0.1 내지 1:3으로 포함된 상태인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융점이 55℃ 이상인 유지 제거 시 결정화 온도가 25 내지 35℃인, 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방법에 의해 분리된 액상부 중 융점이 55℃ 이상인 유지의 함량이 2 중량% 이하인, 방법.
KR1020100041205A 2010-04-22 2010-05-03 에스테르 교환 유지 조성물의 건식 분별 방법 KR101198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205A KR101198226B1 (ko) 2010-05-03 2010-05-03 에스테르 교환 유지 조성물의 건식 분별 방법
EP10850296.4A EP2561765A4 (en) 2010-04-22 2010-05-04 Dry fractionation method for a transesterified oil and fat composition
PCT/KR2010/002846 WO2011132813A1 (ko) 2010-04-22 2010-05-04 에스테르 교환 유지 조성물의 건식 분별 방법
SG2012078465A SG184995A1 (en) 2010-04-22 2010-05-04 Dry fractionation method for a transesterified oil and fat composition
JP2013501171A JP2013523910A (ja) 2010-04-22 2010-05-04 エステル交換油脂組成物の乾式分別方法(Dryfractionationmethodforatransesterifiedoilandfat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205A KR101198226B1 (ko) 2010-05-03 2010-05-03 에스테르 교환 유지 조성물의 건식 분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768A KR20110121768A (ko) 2011-11-09
KR101198226B1 true KR101198226B1 (ko) 2012-11-07

Family

ID=45392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1205A KR101198226B1 (ko) 2010-04-22 2010-05-03 에스테르 교환 유지 조성물의 건식 분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82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409B1 (ko) * 2018-12-18 2020-11-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저소화성 유지 조성물 및 아실 마이그레이션 반응을 사용한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8392A (ja) 2000-09-14 2002-03-27 Fuji Oil Co Ltd 油脂類のエステル交換方法
WO2005028601A1 (ja) 2003-09-17 2005-03-31 Fuji Oil Company, Limited 油脂の乾式分別方法
WO2005063952A1 (ja) 2003-12-26 2005-07-14 Fuji Oil Company, Limited 油脂の乾式分別法
JP2009045033A (ja) 2007-08-22 2009-03-05 Kaneka Corp 食用油脂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8392A (ja) 2000-09-14 2002-03-27 Fuji Oil Co Ltd 油脂類のエステル交換方法
WO2005028601A1 (ja) 2003-09-17 2005-03-31 Fuji Oil Company, Limited 油脂の乾式分別方法
WO2005063952A1 (ja) 2003-12-26 2005-07-14 Fuji Oil Company, Limited 油脂の乾式分別法
JP2009045033A (ja) 2007-08-22 2009-03-05 Kaneka Corp 食用油脂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768A (ko) 201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63530B2 (ja) ココアバターと類似のハードバターの製造方法
US8968815B2 (en) Method for producing fats and oils
JP4930660B2 (ja) 液状油脂とその製造法
KR101259916B1 (ko) 내열성 및 구용성이 좋은 코코아버터 대체 유지 및 이를 함유하는 초콜릿 조성물
KR20100051265A (ko) 효소적 에스테르 교환 반응으로 제조된 코코아 버터 대용 유지 및 그 제조방법
EP3139770B1 (en) Fatty acid composition,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use thereof
US20120196000A1 (en) Production method for trisaturated fatty acid glyceride containing oil composition
KR101152316B1 (ko) 효소적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통한 초콜릿 및 제과용 유지 제조 방법
US20120009321A1 (en) Method for producing fats and oils
EP2892987B1 (en) Process for separation of a processed vegetable fat
KR101198226B1 (ko) 에스테르 교환 유지 조성물의 건식 분별 방법
KR101198074B1 (ko) 초콜릿 및 제과용 유지 조성물
KR101075559B1 (ko) 하드버터의 제조방법
KR101170432B1 (ko) 코코아버터 품질 개선용 유지 조성물
WO2011132813A1 (ko) 에스테르 교환 유지 조성물의 건식 분별 방법
JP2014162859A (ja) 油脂の乾式分別方法
NZ724761B2 (en) Fatty acid composition and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