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8180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8180B1
KR101198180B1 KR1020050066303A KR20050066303A KR101198180B1 KR 101198180 B1 KR101198180 B1 KR 101198180B1 KR 1020050066303 A KR1020050066303 A KR 1020050066303A KR 20050066303 A KR20050066303 A KR 20050066303A KR 101198180 B1 KR101198180 B1 KR 101198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evaporative
evaporative refrigerant
refrigerant pip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6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1760A (ko
Inventor
정하진
김경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6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180B1/ko
Publication of KR20070011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1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1Walls with condui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4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B21D53/06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of metal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25D19/006Thermal coupling structure or inte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증발냉매관측으로부터의 냉매가 하부 증발냉매관의 출구측으로 역류하여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상하로 배치되어 저장물이 저장되는 저장실을 각각 형성하는 상부 내상 및 하부 내상과, 상부 내상 및 하부 내상의 외측에 각각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부 내상 및 하부 내상으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상부 증발냉매관 및 하부 증발냉매관을 포함한 것으로, 하부 증발냉매관에는 상부 증발냉매관으로부터의 냉매가 상기 하부 증발냉매관으로 역류하며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트랩부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트랩부를 통해 상부 증발냉매관 출구측에서 하부 증발냉매관의 출구측으로 냉매가 역류하여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하부 내상이 불필요하게 냉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증발냉매관 배치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우징 11: 상부 내상
12: 하부 내상 11a, 12a: 저장실
20: 서랍식 수납용기 30: 압축기
40: 응축기 50: 팽창장치
60: 증발냉매관 61: 상부 증발냉매관
62: 하부 증발냉매관 63: 트랩부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 증발냉매관측으로부터의 냉매가 하부 증발냉매관의 출구측으로 역류하여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저장물이 저장된 저장실을 저온으로 유지하여 각종 음식물의 신선도를 장시간 유지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냉장고 중에는 한국공개 10-2000-54515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김치 등의 저장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저장실이 전방측으로 개방되게 마련되며, 저장실에 서랍식 수납용기가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김치냉장고 등이 있다.
종래의 김치냉장고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 내에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이 구비되어 있으며,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냉매가 냉각되며 응축되게 하는 응축기와, 냉매를 감압팽창시키기 위한 팽창장치와, 냉매가 저장실을 열을 흡수하며 증발하게 하는 증발냉매관 등의 냉동사이클 구성요소들이 포함된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김치냉장고에는 저장실이 하우징의 상하부에 각각 마련되도록 하우징의 상부 및 하부에 상부 내상 및 하부 내상이 배치되고, 상부 내상 및 하부 내상을 각각 냉각하는 상부 증발냉매관 및 하부 증발냉매관을 포함한 김치냉장고가 있다.
이 때, 이러한 냉매를 압축기로 전달하는 상부 증발냉매관과 하부 증발냉매관의 출구측은 서로 연결되어 상부 증발냉매관 및 하부 증발냉매관을 통과한 냉매가 서로 합류된 후 압축기로 유입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냉장고에 있어서, 저장실이 충분히 냉각되어 압축기의 운전이 정지되면, 상부 증발냉매관에 잔류하던 냉매가 중력에 의하여 하측으로 유동하게 되는데,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상부 증발냉매관과 하부 증발냉매관의 출구측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부 증발냉매관에 잔류하던 냉매가 상부 증발냉매 관과 하부 증발냉매관의 연결부를 통해 하부 증발냉매관으로 역류하며 유입되어 하부 내상을 불필요하게 냉각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냉매가 상부 증발냉매관에서 하부 증발냉매관으로 역류하여 하부 내상을 불필요하게 냉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상하로 배치되어 저장물이 저장되는 저장실을 각각 형성하는 상부 내상 및 하부 내상과, 상기 상부 내상 및 하부 내상의 외측에 각각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상부 내상 및 상기 하부 내상으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상부 증발냉매관 및 하부 증발냉매관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증발냉매관에는 상기 상부 증발냉매관으로부터의 냉매가 상기 하부 증발냉매관으로 역류하며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트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증발냉매관 및 상기 하부 증발냉매관으로부터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하는 하나의 압축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축기에 냉매를 전달하는 상기 상부 증발냉매관 및 상기 하부 증발냉매관의 출구측은 상기 상부 증발냉매관 및 상기 하부 증발냉매관을 통과한 냉매가 서로 합류되어 상기 압축기로 전달될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되며, 상기 트랩부는 상기 상부 증발냉매관과 상기 하부 증발냉매관의 연결부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랩부는 상기 하부 증발냉매관의 일부가 U자 형상으로 밴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내에 설치되며 저장물이 저장되는 저장실(11a, 12a)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전방측으로 개방되어 있는 내상(11, 12)을 포함하며, 하우징(10)과 내상(11, 12) 사이의 공간은 단열을 위하여 발포수지로 채워져 있다.
저장실(11a, 12a)에는 김치 등의 저장물이 수납되는 서랍식 수납용기(20)가 진퇴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서랍식 수납용기(20)는 저장실(11a, 12a)의 개방부를 덮어 폐쇄하는 덮개부(21)와, 덮개부(21)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측으로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저장물이 수용되는 수용부(22)를 각각 포함하며, 이러한 서랍식 수납용기(20)가 저장실(11a)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수용부(22)의 외부 양 측면에는 가이드레일(23)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0)의 상부 및 하부에 저장실(11a, 12a)이 각각 마련될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상부 및 하부에 내상(11, 12)이 각각 설치된다. 이 때, 하우징(10)의 상부에 배치된 내상(11)을 상부 내상(11)이라 하며 하우징(10)의 하측에 배치된 내상(12)을 하부 내상(12)이라 한다.
또한, 냉장고에는 각 저장실(11a, 12a) 내의 저장물을 저온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30)와, 압축기(30)에서 토출된 냉매가 냉각되며 응축되게 하는 응축기(40)와, 응축기(40)에서 전달된 냉매를 감압팽창시키는 모세관 등의 팽창장치(50)와, 팽창장치(50)로부터 냉매를 전달받아 냉매가 증발하며 내상(11, 12)들로부터 열을 흡수하게 하는 증발냉매관(60) 등의 냉동사이클 구성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 때, 내상(11)은 증발냉매관(60)를 통한 열의 흡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냉동사이클 구성요소들 중 증발냉매관(60)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 내상(11)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부 내상(11)을 냉각하는 상부 증발냉매관(61)과 하부 내상(12)의 외측에 배치되어 하부 내상(12)을 냉각하는 하부 증발냉매관(62)을 포함한다.
또한, 상부 내상(11) 및 하부 내상(12)이 하나의 압축기를 통해 냉각될 수 있도록, 팽창장치(50)측으로부터 냉매가 전달되는 상부 증발냉매관(61) 및 하부 증발냉매관(62)의 입구측은 하나의 냉매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있으며, 압축기(30)측으로 냉매를 전달하는 상부 증발냉매관(61) 및 하부 증발냉매관(62)의 출구측은 서로 연결되어 상부 증발냉매관(61) 및 하부 증발냉매관(62)을 각각 통과한 냉매가 상부 증발냉매관(61) 및 하부 증발냉매관(62)의 연결부(C)에서 서로 합류된 후 하나의 압축기(30)로 전달되어 압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상부 증발냉매관(61)과 하부 증발냉매관(62)의 출구측이 서로 연결되어 있을 경우, 압축기(30)의 운전이 정지될 경우 상부 증발냉매관(61)의 출구측에서 토출된 냉매가 상부 증발냉매관(61)과 하부 증발냉매관(62)의 연결 부(C)를 통해 하부 증발냉매관(62)의 출구측으로 역류하여 증발냉매관(6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하부 증발냉매관(62)의 출구측으로 상부 증발냉매관(61)을 통과한 냉매가 역류하여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트랩부(63)가 구비되어 있다. 트랩부(63)는 상부 증발냉매관(61)과 하부 증발냉매관(62)의 연결부(C)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하부 증발냉매관(62)의 출구측 부위의 일부가 U자 형상으로 밴딩되도록 형성되어 냉매의 역류를 막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동작을 살펴보면, 저장실(11a, 12a)들이 충분히 냉각되어 압축기(30) 운전이 정지되면, 상부 증발냉매관(61)에 잔류하던 냉매는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부 증발냉매관(61)과 하부 증발냉매관(62)의 연결부(C)를 통해 하부 증발냉매관(62)의 출구측으로 역류하며 유입된다.
이 때, 상부 증발냉매관(61)과 하부 증발냉매관(62)의 연결부(C)의 인접부에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된 트랩부(63)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연결부(C)를 통해 상부 증발냉매관(61)으로부터 역류하여 유입된 냉매는 트랩부(63)에 모이게 되는데, 이와 같이 트랩부(63)에 모인 냉매가 트랩부(63)를 통과하여 상부 증발냉매관(61)을 따라 역류하기 위해서는 중력을 거슬러 이동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일단 트랩부(63)에 모인 냉매는 중력의 영향에 의해 트랩부(63)로부터 이탈하지 못하게 되므로, 냉매가 하부 증발냉매관(62)을 따라 역류하는 것은 방지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하부 증발냉매 관의 출구측에 트랩부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상부 증발냉매관 출구측에서 하부 증발냉매관의 출구측으로 냉매가 역류하여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하부 내상이 불필요하게 냉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3)

  1.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상하로 배치되어 저장물이 저장되는 저장실을 각각 형성하는 상부 내상 및 하부 내상과, 상기 상부 내상 및 하부 내상의 외측에 각각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상부 내상 및 상기 하부 내상으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상부 증발냉매관 및 하부 증발냉매관과, 상기 상부 증발냉매관 및 상기 하부 증발냉매관으로부터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하는 하나의 압축기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증발냉매관 및 상기 하부 증발냉매관을 통과한 냉매는 상기 상부 증발냉매관 및 상기 하부 증발냉매관의 출구측에 마련된 연결부에서 서로 합류되어 상기 압축기로 전달되며, 상기 하부 증발냉매관에는 상기 상부 증발냉매관으로부터 상기 하부 증발냉매관으로 냉매가 역류하며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에 인접하게 트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부는 상기 하부 증발냉매관의 일부가 U자 형상으로 밴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50066303A 2005-07-21 2005-07-21 냉장고 KR101198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303A KR101198180B1 (ko) 2005-07-21 2005-07-21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303A KR101198180B1 (ko) 2005-07-21 2005-07-21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760A KR20070011760A (ko) 2007-01-25
KR101198180B1 true KR101198180B1 (ko) 2012-11-12

Family

ID=38012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6303A KR101198180B1 (ko) 2005-07-21 2005-07-21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81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074B1 (ko) * 2012-01-30 2014-01-07 (주) 에타 압축기의 폐열을 이용한 무소음 응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760A (ko) 200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1832B1 (ko) 냉장고
KR20070011759A (ko) 증발기 및 이를 갖춘 냉장고
US8099975B2 (en) Icemaker for a refrigerator
KR20060081922A (ko) 냉장고
JP5450462B2 (ja) 冷蔵庫
CN102997558B (zh) 冰箱
JP2014048030A (ja) 冷却庫
JP6872689B2 (ja) 冷蔵庫
KR101198180B1 (ko) 냉장고
JP5964702B2 (ja) 冷却庫
JP2007064596A (ja) 冷蔵庫
KR20170034997A (ko) 냉장고
KR100664490B1 (ko) 냉장고
JP5985942B2 (ja) 冷却庫
JP5068340B2 (ja) 冷凍冷蔵庫
JP2009068737A (ja) 冷蔵庫
JP2009222257A (ja) 製氷装置付冷蔵庫
WO2006041246A1 (en) Refrigerator
JP7300592B2 (ja) 冷蔵庫
JP3879621B2 (ja) 冷凍冷蔵庫
CN107300292A (zh) 冰箱
JP7417407B2 (ja) 冷蔵庫
JP4701909B2 (ja) 冷蔵庫
KR100412416B1 (ko) 김치저장고의 서랍식 저장실 증발관 설치구조
JP7126040B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