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1759A - 증발기 및 이를 갖춘 냉장고 - Google Patents

증발기 및 이를 갖춘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1759A
KR20070011759A KR1020050066301A KR20050066301A KR20070011759A KR 20070011759 A KR20070011759 A KR 20070011759A KR 1020050066301 A KR1020050066301 A KR 1020050066301A KR 20050066301 A KR20050066301 A KR 20050066301A KR 20070011759 A KR20070011759 A KR 20070011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cooling
evaporator
refrigerant
disposed
inner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6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주희
정하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6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1759A/ko
Priority to US11/369,910 priority patent/US20070017245A1/en
Priority to CNA2006100663310A priority patent/CN1900639A/zh
Publication of KR20070011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17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4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deep-frozen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1Walls with conduit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실의 온도분포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하는 증발기와 이러한 증발기를 갖춘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저장물이 저장되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과, 내상의 외측에 배치되어 내상으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를 포함한 것으로, 냉매의 유동방향 하류측에 마련되어 상대적으로 낮은 냉각능력을 갖는 냉매가 통과하는 측면냉각부의 길이가 냉매의 유동방향 상류측에 마련되어 상대적으로 높은 냉각능력을 갖는 냉매가 통과하는 측면냉각부의 길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냉매가 냉매 유동방향 하류측에 배치된 측면냉각부를 보다 긴 시간 동안 통과하며 내상을 냉각할 수 있게 되므로 냉매 유동방향 상류측 및 하류측에 각각 배치된 두 측면냉각부의 냉각능력이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되며, 그에 따라 저장실 내부의 온도분포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증발기 및 이를 갖춘 냉장고{EVAPO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증발기의 설치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증발기의 설치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우징 11: 내상
11a: 저장실 20: 서랍식 수납용기
30: 압축기 40: 응축기
50: 팽창장치 60: 증발기
61: 하면냉각부 62a: 제 1 측면냉각부
62b: 제 2 측면냉각부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의 양 측면이 균일하게 냉각되게 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저장물이 저장된 저장실을 저온으로 유지하여 각종 음식물의 신선도를 장시간 유지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이러한 냉장고 중에는 한국공개 10-2000-54515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김치 등의 저장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저장실이 전방측으로 개방되게 마련되며, 저장실에 서랍식 수납용기가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김치냉장고 등이 있다.
종래의 냉장고는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냉매가 냉각되며 응축되게 하는 응축기와, 냉매를 감압팽창시키기 위한 팽창장치와, 냉매가 열을 흡수하며 증발하게 하는 증발기 등의 냉동사이클 구성요소들을 포함하여, 증발기를 통과하는 냉매가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으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저장실 내부를 냉각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냉동사이클 구성요소들 중 증발기는 원형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저장실을 좌우 양 측면을 형성하는 내상의 양 측면에 밀착 설치되어 내상의 좌우 양 측면을 각각 냉각하는 제 1 측면냉각부와 제 2 측면냉각부를 포함하여, 냉매가 제 1 측면냉각부과 제 2 측면냉각부를 차례로 통과하며 내상의 좌우 양 측면을 차례로 냉각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제 1 측면냉각부와 제 2 측면냉각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대칭되게 형성되어 내상의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된다.
그런데, 증발기를 통과하는 냉매는 내상의 열을 흡수하며 증발하므로 증발기를 통과하는 냉매는 팽창장치측에 위치한 증발기의 입구측에서 압축기측에 위치한 증발기의 출구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냉각능력이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즉, 증발기 상류측을 통과하는 냉매가 하류측을 통과하는 냉매에 비하여 우수한 냉각능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 2 측면냉각부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측면냉각부를 통과하는 냉매가 제 2 측면냉각부를 통과하는 냉매에 비하여 우수한 냉각능력을 갖게 되므로, 제 1 측면냉각부에 의해 냉각되는 내상의 일 측면과 제 2 측면냉각부에 의해 냉각되는 내상의 타 측면이 서로 불균일하게 냉각되어 저장실 내부의 온도분포가 불균일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의 각 측면을 서로 균일하게 냉각하여 저장실 내부의 온도분포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는 하는 증발기와 이러한 증발기를 갖춘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저장물이 저장되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과, 상기 내상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상으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를 포함하며, 상기 증발기는 상기 내상을 형성하는 측면들 중 적어도 대칭되게 마련된 제 1 측면과 제 2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둘 이상의 측면냉각부를 포함하며, 상기 둘 이상의 측면냉각부들 중 냉매의 유동방향 하류측에 위치한 상기 측면냉각부의 길이는 냉매의 유동방향 상류측에 위치한 상기 측면냉각부의 길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상은 전방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저장실을 형성하며, 상기 증발기는 서로 대향하게 마련된 상기 내상의 좌우 양 측면 중 하나를 형성하는 제 1 측면에 배치된 제 1 측면냉각부와, 상기 제 1 측면냉각부의 냉매 유동방향 하류측에 마련되며 상기 내상의 좌우 양 측면 중 다른 하나를 형성하는 제 2 측면에 배치되는 제 2 측면냉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측면냉각부의 길이는 상기 제 1 측면냉각부의 길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측면냉각부는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열을 이루도록 밴딩되어 상기 제 1 측면과 상기 제 2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측면냉각부는 상기 제 1 측면냉각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열을 이루도록 밴딩되어 상기 제 1 측면과 상기 제 2 측면 중 다른 하나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실에는 상기 저장실에 진퇴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저장물이 수용되는 서랍식 수납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증발기는 상기 내상의 하면에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상의 하면으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하면냉각부를 더 포함하여, 냉매는 상기 제 하면냉각부와 상기 제 1 측면냉각부와 상기 제 2 측면냉각부를 차례로 관통하여 흐르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증발기는 상기 내상의 하면에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상의 하면으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하면냉각부를 더 포함하여, 냉매는 상기 제 1 측면냉각부와 상기 하면냉각부와 상기 제 2 측면냉각부를 차례로 관통하여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저장물이 저장되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과, 상기 내상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상으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를 포함하며, 상기 증발기는 상기 내상을 형성하는 측면들 중 적어도 두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둘 이상의 측면냉각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냉각부들 중 상기 증발기의 출구측에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위치한 측면냉각부의 길이는 상기 증발기의 입구측에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위치한 측면냉각부의 길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상은 전방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저장실을 형성하며, 상기 증발기는 서로 대향하게 마련된 상기 내상의 좌우 양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제 1 측면냉각부와, 상기 내상의 좌우 양 측면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측면냉각부로부터 냉매를 전달받는 제 2 측면냉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측면냉각부는 상기 제 1 측면냉각부에 비하여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측면을 포함하여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상으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상기 내상의 측면들 중 적어도 두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둘 이상의 측면냉각부를 포함하며, 상기 둘 이상의 측면냉각부들 중 냉매의 유동방향 하류측에 위치한 상기 측면냉각부의 길이는 냉매의 유동방향 상류측에 위치한 상기 측면냉각부의 길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내에 설치되며 저장물이 저장되는 저장실(11a)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전방측으로 개방되어 있는 내상(11)을 포함하며, 하우징(10)과 내상(11) 사이의 공간은 단열을 위하여 발포수지로 채워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0)의 상하부에 두 개의 저장실(11a)이 형성되도록 두 개의 내상(11)이 구비되어 하우징(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저장실(11a)에는 김치 등의 저장물이 수납되는 서랍식 수납용기(20)가 진퇴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서랍식 수납용기(20)는 저장실(11a)의 개방부를 덮어 폐쇄하는 덮개부(21)와, 덮개부(21)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측으로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저장물이 수용되는 수용부(22)를 각각 포함하며, 이러한 서랍식 수납용기(20)가 저장실(11a)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수용부(22)의 외부 양 측면에는 가이드레일(23)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냉장고에는 저장실(11a) 내의 저장물을 저온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 (30)와, 압축기(30)에서 토출된 냉매가 냉각되며 응축되게 하는 응축기(40)와, 응축기(40)에서 전달된 냉매를 감압팽창시키는 모세관 등의 팽창장치(50)와, 팽창장치(50)로부터 냉매를 전달받아 냉매가 증발하며 내상(11)으로부터 열을 흡수하게 하는 증발기(60) 등의 냉동사이클 구성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 때, 내상(11)은 증발기(60)를 통한 열의 흡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냉장고에 포함되어 있는 냉동사이클 구성요소들 중 증발기(60)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형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상(11)으로부터 열을 흡수할 수 있도록 내상(11)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내상(11)의 하면에 설치되어 내상(11)의 하면으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하면 냉각부(61)와, 서로 대항되게 배치되어 내상(11)의 좌우측을 형성하는 좌우 양 측면 외측에 각각 설치되어 내상(11)의 양 측면으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제 1 측면냉각부(62a) 및 제 2 측면냉각부(62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측면냉각부(62a)는 내상(11)의 좌측면을 형성하는 제 1 측면 외측에 배치되고 제 2 측면냉각부(62b)는 내상(11)의 우측면을 형성하는 제 2 측면 외측에 배치되며, 팽창장치측에서 전달된 냉매는 증발기(60)의 하면 냉각부(61)와, 제 1 측면냉각부(62a)와 제 2 측면냉각부(62b)를 차례로 통과하며 내상(11)의 하면과 제 1 측면과 제 2 면을 순차적으로 냉각한 후 압축기(30)로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측면냉각부(62a)는 팽창장치(50)로부터 냉매가 전달되는 증발 기(60)의 입구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제 2 측면냉각부(62b)는 냉매가 압축기(30)로 전달되는 증발기(60)의 토출측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 1 측면냉각부(62a)가 제 2 측면냉각부(62b)의 냉매 유동방향 상류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냉장고에 있어서 저장실(11a) 내부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분포를 갖도록 유지되는 것이 저장물을 장기간 보관하는데 유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내상(11)의 좌우 양 측면이 서로 균일하게 냉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 2 측면냉각부(62b)의 길이가 제 1 측면냉각부(62a)의 길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냉매가 제 1 측면냉각부(62a)를 통과하며 내상(11)의 제 1 측면을 냉각하는 시간보다 냉매가 제 2 측면냉각부(62b)를 통과하며 내상(11)의 제 2 측면을 냉각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게 걸리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측면냉각부(62a)는 상하방향으로 2열을 이루도록 밴딩되어 내상(11)의 제 1 측면 외측에 밀착되며, 제 2 측면냉각부(62b)는 상하방향으로 3열을 이루도록 밴딩되어 내상(11)의 제 2 측면 외측에 밀착되어, 3열로 이루어진 제 2 측면냉각부(62b)가 2열로 이루어진 제 1 측면냉각부(62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갖도록 되어 있다.
이는 증발기(60)를 따라 이동하는 냉매가 증발기(60)를 따라 유동하는 과정에서 내상(11)으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그 냉각능력이 점진적으로 저하된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냉매의 유동방향 상류측에 위치한 냉매가 냉매의 유동방향 하류측에 위치한 냉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우수한 냉각능력을 가지므로, 제 2 측면냉각부(62b)의 냉매 유동방향 상류측에 배치된 제 1 측면냉각부(62a)를 통과하는 냉매 가 제 2 측면냉각부(62b)를 통과하는 냉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우수한 냉각능력을 갖는다.
그러므로, 상기와 제시한 바와 같이 제 2 측면냉각부(62b)의 길이가 제 1 측면냉각부(62a)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하면, 제 1 측면냉각부(62a)를 통과하는 냉매는 우수한 냉각능력을 갖는 반면 제 1 측면냉각부(62a)를 통과하며 내상(11)의 제 1 측면을 냉각하는 시간은 상대적으로 짧으며, 제 2 측면냉각부(62b)를 통과하는 냉매는 상대적으로 낮은 냉각 능력을 갖는 반면 내상(11)의 제 2 측면을 냉각하는 시간은 상대적으로 길다. 이에 따라 제 1 측면냉각부(62a)와 제 2 측면냉각부(62b)는 서로 유사한 냉각능력이 갖게 되므로 내상(11)의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은 동일한 수준으로 냉각될 수 있어 저장실(11a) 내부의 온도분포는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측면냉각부(62a)가 2열을 이루도록 밴딩되며 제 2 측면냉각부(62b)가 3열을 이루도록 밴딩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의 열로 밴딩되어진 제 1 측면냉각부(62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열을 이루도록 제 2 측면냉각부(62b)를 밴딩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냉매가 하면냉각부(61)와 제 1 측면냉각부(62a)와 제 2 측면냉각부(62b)를 차례로 관통하여 흐르도록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냉매가 증발기(70)의 제 1 측면냉각부(72a)와 하면냉각부(71)와 제 2 측면냉각부(72b)를 차례로 관통하여 흐르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냉매의 유동방향 하류측에 마련되어 상대적으로 낮은 냉각능력을 갖는 냉매가 통과하는 측면냉각부의 길이가 냉매의 유동방향 상류측에 마련되어 상대적으로 높은 냉각능력을 갖는 냉매가 통과하는 측면냉각부의 길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냉매가 냉매 유동방향 하류측에 배치된 측면냉각부를 보다 긴 시간 동안 통과하며 내상을 냉각할 수 있게 되므로 냉매 유동방향 상류측 및 하류측에 각각 배치된 두 측면냉각부의 냉각능력이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되게 되며, 그에 따라 저장실 내부의 온도분포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9)

  1.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저장물이 저장되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과, 상기 내상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상으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를 포함하며,
    상기 증발기는 상기 내상을 형성하는 측면들 중 적어도 대칭되게 마련된 제 1 측면과 제 2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둘 이상의 측면냉각부를 포함하며,
    상기 둘 이상의 측면냉각부들 중 냉매의 유동방향 하류측에 위치한 상기 측면냉각부의 길이는 냉매의 유동방향 상류측에 위치한 상기 측면냉각부의 길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상은 전방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저장실을 형성하며,
    상기 증발기는 서로 대향하게 마련된 상기 내상의 좌우 양 측면 중 하나를 형성하는 제 1 측면에 배치된 제 1 측면냉각부와, 상기 제 1 측면냉각부의 냉매 유동방향 하류측에 마련되며 상기 내상의 좌우 양 측면 중 다른 하나를 형성하는 제 2 측면에 배치되는 제 2 측면냉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측면냉각부의 길이는 상기 제 1 측면냉각부의 길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면냉각부는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열을 이루도록 밴딩되어 상기 제 1 측면과 상기 제 2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측면냉각부는 상기 제 1 측면냉각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열을 이루도록 밴딩되어 상기 제 1 측면과 상기 제 2 측면 중 다른 하나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에는 상기 저장실에 진퇴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저장물이 수용되는 서랍식 수납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상기 내상의 하면에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상의 하면으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하면냉각부를 더 포함하여, 냉매는 상기 제 하면냉각부와 상기 제 1 측면냉각부와 상기 제 2 측면냉각부를 차례로 관통하여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상기 내상의 하면에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상의 하면으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하면냉각부를 더 포함하여, 냉매는 상기 제 1 측면냉각부와 상기 하면냉각부와 상기 제 2 측면냉각부를 차례로 관통하여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저장물이 저장되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과, 상기 내상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상으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를 포함하며,
    상기 증발기는 상기 내상을 형성하는 측면들 중 적어도 두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둘 이상의 측면냉각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냉각부들 중 상기 증발기의 출구측에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위치한 측면냉각부의 길이는 상기 증발기의 입구측에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위치한 측면냉각부의 길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내상은 전방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저장실을 형성하며,
    상기 증발기는 서로 대향하게 마련된 상기 내상의 좌우 양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제 1 측면냉각부와, 상기 내상의 좌우 양 측면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측면냉각부로부터 냉매를 전달받는 제 2 측면냉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측면냉각부는 상기 제 1 측면냉각부에 비하여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다수의 측면을 포함하여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상으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상기 내상의 측면들 중 적어도 두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둘 이상의 측면냉각부를 포함하며, 상기 둘 이상의 측면냉각부들 중 냉매의 유동방향 하류측에 위치한 상기 측면냉각부의 길이는 냉매의 유동방향 상류측에 위치한 상기 측면냉각부의 길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KR1020050066301A 2005-07-21 2005-07-21 증발기 및 이를 갖춘 냉장고 KR2007001175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301A KR20070011759A (ko) 2005-07-21 2005-07-21 증발기 및 이를 갖춘 냉장고
US11/369,910 US20070017245A1 (en) 2005-07-21 2006-03-08 Refrigerator
CNA2006100663310A CN1900639A (zh) 2005-07-21 2006-03-30 冰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301A KR20070011759A (ko) 2005-07-21 2005-07-21 증발기 및 이를 갖춘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759A true KR20070011759A (ko) 2007-01-25

Family

ID=37656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6301A KR20070011759A (ko) 2005-07-21 2005-07-21 증발기 및 이를 갖춘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70017245A1 (ko)
KR (1) KR20070011759A (ko)
CN (1) CN19006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072B1 (ko) * 2010-08-06 2013-10-1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서랍식 저장고의 증발관 구조 및 서랍식 저장고의 냉매순환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48059A1 (en) * 2009-08-27 2011-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Kimchi refrigerator
US9003820B2 (en) 2010-04-20 2015-04-14 Prince Castle LLC Point-of-use holding cabinet
US8607587B2 (en) * 2010-05-19 2013-12-17 Prince Castle LLC Refrigerated point-of-use holding cabinet
US20140138072A1 (en) * 2012-04-27 2014-05-22 Andrew Luketic Cold track for refrigeration piping
CN104613804B (zh) * 2014-12-15 2017-03-0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弯折管件及具有该弯折管件的半导体制冷冰箱
US10455983B2 (en) * 2015-09-10 2019-10-29 Prince Castle LLC Modular food holding system
US10271689B2 (en) * 2015-09-10 2019-04-30 Prince Castle LLC Modular food holding system
US9962038B2 (en) 2015-09-10 2018-05-08 Prince Castle LLC Modular food holding system
US10154757B2 (en) * 2015-09-10 2018-12-18 Prince Castle LLC Modular food holding system
US9901213B2 (en) 2015-09-10 2018-02-27 Prince Castle LLC Modular food holding system
US9980322B1 (en) 2016-04-19 2018-05-22 Prince Castle LLC Multi-zone food holding bin
USD809326S1 (en) 2016-04-19 2018-02-06 Prince Castle LLC Food holding bin
US9976750B1 (en) 2016-04-20 2018-05-22 Prince Castle LLC Multi-zone food holding bin
US11185191B2 (en) 2016-05-20 2021-11-30 Marmon Foodservice Technologies, Inc. Modular food holding system
CN108895755A (zh) * 2018-05-30 2018-11-27 海信容声(广东)冷柜有限公司 一种冷柜内胆结构及冷柜
CN115479427B (zh) * 2021-06-16 2023-08-15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17009A (en) * 1971-04-26 1973-02-20 Gen Motors Corp Refrigeration evaporator assembly
US4535600A (en) * 1984-04-16 1985-08-20 General Electric Company Temperature control for a cycle defrost refrigerator incorporating a roll-bonded evaporator
US4984435A (en) * 1989-02-16 1991-01-15 Dairei Co. Ltd. Brine refrigerating apparatus
IT1263813B (it) * 1993-01-25 1996-09-03 Scambiatore di calore,particolarmente per l'impiego come evaporatore a ripiani in armadi frigoriferi o congelatori e procedimento per la sua realizzazione
JP2000356455A (ja) * 1999-06-17 2000-12-26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機器及び冷蔵庫
DE19957719A1 (de) * 1999-11-30 2001-05-31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Kältegerät
US6253568B1 (en) * 1999-12-23 2001-07-03 David A. Peffley Refrigerator with enhanced freeze compartment access
ITMI20031021A1 (it) * 2003-05-21 2004-11-22 Whirlpool Co Frigorifero con evaporatore a dimensioni variabili.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072B1 (ko) * 2010-08-06 2013-10-1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서랍식 저장고의 증발관 구조 및 서랍식 저장고의 냉매순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00639A (zh) 2007-01-24
US20070017245A1 (en) 200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11759A (ko) 증발기 및 이를 갖춘 냉장고
KR102270628B1 (ko) 냉장고
KR102290827B1 (ko) 냉장고
RU2373464C2 (ru) Противоинеевая испарительная трубка холодильника с выдвижными ящиками
US11002474B2 (en) Refrigerator
KR101835336B1 (ko) 냉장고
EP2397799B1 (en) Refrigerator
US20210239382A1 (en) Refrigerator
JP5847198B2 (ja) 冷蔵庫
JP2014048030A (ja) 冷却庫
JP5964702B2 (ja) 冷却庫
KR100664490B1 (ko) 냉장고
JP2007064596A (ja) 冷蔵庫
KR100614315B1 (ko) 냉장고
KR20180062097A (ko) 냉장고
KR101198180B1 (ko) 냉장고
JP4375220B2 (ja) 冷蔵庫
JP7300592B2 (ja) 冷蔵庫
JP4701909B2 (ja) 冷蔵庫
JP2007064590A (ja) 冷蔵庫
KR100469781B1 (ko) 도어 증발관이 설치된 김치저장고
JP2005140359A (ja) 冷蔵庫
JP7126040B2 (ja) 冷蔵庫
JP2010038483A (ja) 冷蔵庫
EP2397797A1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