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7979B1 -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우선순위 관리 - Google Patents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우선순위 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7979B1
KR101197979B1 KR1020107000891A KR20107000891A KR101197979B1 KR 101197979 B1 KR101197979 B1 KR 101197979B1 KR 1020107000891 A KR1020107000891 A KR 1020107000891A KR 20107000891 A KR20107000891 A KR 20107000891A KR 101197979 B1 KR101197979 B1 KR 101197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ocol data
data unit
subsequent
initial
initial protoc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0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1539A (ko
Inventor
셰일리쉬 매쉬와리
스리비댜 크리쉬나무르티
토마스 클링엔브룬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31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04W72/569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of the traffic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66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using signalling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단일 수신기는 상이한 소스들로부터 유래되는 한 시간에 다수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수집할 수 있다. 더 높은 우선순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이 프로세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데이터 유닛 부분들의 손실은 수신기에 대한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더 낮은 우선순위 데이터 유닛이 프로세싱되는 동안 더 높은 우선순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이 수신기로 전송할 수 있다 하더라도, 더 낮은 우선순위 유닛이 더 높은 우선순위 유닛의 프로세싱 이전에 완료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 사이에서의 혼란의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다.

Description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우선순위 관리{PROTOCOL DATA UNIT PRIORITY MANAGEMENT}
본 출원은 2007년 6월 15일자로 출원된 "HANDLING OF PARTIAL PDUS IN MAC-EHS TFC SELECTION"라는 제목의 미국 출원 제60/944,434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상기 출원의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통합된다.
하기의 설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의 통신에 관련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타입의 통신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폭넓게 전개된다. 통상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이용가능한 시스템 리소스들(예를 들어, 대역폭, 전송 전력, ...)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액세스 시스템들일 수 있다. 그러한 다중-액세스 시스템들의 실시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시스템들,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시스템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시스템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다중-액세스 통신 시스템들은 다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대한 통신을 동시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각각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순방향 링크 및 역방향 링크상의 전송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과 통신할 수 있다. 순방향 링크(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들로부터 단말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역방향 링크(또는 업링크)는 단말들로부터 기지국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추가로, 모바일 디바이스들과 기지국들 사이의 통신들은 단일-입력 단일-출력(SISO) 시스템들, 다중-입력 단일-출력(MISO) 시스템들, 또는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시스템들 등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MIMO 시스템들은 보통 데이터 송신을 위해 다수의(NT) 송신 안테나들 및 다수의(NR) 수신 안테나들을 이용한다. NT개의 송신 안테나들 및 NR개의 수신 안테나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MIMO 채널은 NS개의 독립 채널들로 분해될 수 있으며, 독립 채널들은 공간 채널로서 지칭될 수 있고, 여기서, NS ≤ {NT , NR}이다. NS개의 독립 채널들 각각은 차원(dimension)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송신 및 수신 안테나들에 의하여 생성된 추가적 차원들이 이용된다면, MIMO 시스템들은 개선된 성능(예를 들어, 증가된 스펙트럼 효율, 더 높은 처리량 및/또는 더 큰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MIMO 시스템들은 공통 물리적 매체를 통한 순방향 및 역방항 링크 통신을 분할하기 위한 다양한 듀플렉싱 기술들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 분할 듀플렉서(FDD) 시스템들은 순방향 링크 통신 및 역방향 링크 통신에 대한 개별적인 주파수 영역들을 이용할 수 있다. 추가로, 시분할 듀플렉서(TDD) 시스템들에서, 순방향 링크 통신 및 역방향 링크 통신은 공통 주파수 영역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들은 채널 정보와 관련된 제한된 피드백을 제공하거나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은 그러한 실시예들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간략화된 요약을 나타낸다. 이러한 요약은 고려되는 모든 실시예들의 광범위한 개요가 아니며, 임의의 또는 모든 실시예들의 범위를 제한하거나 모든 실시예들의 주요 또는 결정적 엘리먼트들을 확인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이것의 목적은 단지 추후에 개시될 더 상세한 설명에 대한 서문으로서 간략화된 형태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몇몇 개념들을 나타내는 것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그것의 대응하는 설명에 따라, 다양한 양상들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과 관련하여 개시된다. 방법은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전송의 시작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종료 부분의 수집까지 적어도 하나의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부정하는(deny)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전송의 시작을 식별하는 수립기(establisher)를 포함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와 관련된다. 장치는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종료 부분의 수집까지 적어도 하나의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부정하는 레귤레이터(regula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양상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전송의 시작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치는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종료 부분의 수집까지 적어도 하나의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부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전송의 시작을 식별하기 위한 명령, 및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종료 부분의 수집까지 적어도 하나의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부정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저장된 기계-실행가능 명령들을 포함하는 기계-판독가능 매체와 관련된다.
또 다른 양상은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전송의 시작을 식별하고,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종료 부분의 수집까지 적어도 하나의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부정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장치와 관련된다.
일 양상에 따라,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이 송신되는 것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송신이 완료될 때까지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송신을 억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이 송신되는 것을 식별하는 지정기, 및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송신이 완료될 때까지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송신을 억제하는 홀더(holder)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와 관련된다.
또 다른 양상은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이 송신되는 것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와 관련된다. 장치는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송신이 완료될 때까지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송신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이 송신되는 것을 식별하고,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송신이 완료될 때까지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송신을 억제하기 위한 저장된 기계-실행가능 명령들을 포함하는 기계-판독가능 매체와 관련된다.
추가의 양상에서,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이 송신되는 것을 식별하고,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송신이 완료될 때까지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송신을 억제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장치가 제공된다.
전술한 그리고 관련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완전히 개시된, 특히 청구항에서 지시된 특징들을 포함한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특정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원리들이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 중 몇몇만을 나타내며, 개시된 실시예들은 모든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동등물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우선순위를 변경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의 통신을 위한 전형적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상세한 송신기를 갖는 우선순위를 변경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의 통신을 위한 전형적인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상세한 송신기를 갖는 우선순위를 변경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의 통신을 위한 전형적인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상세한 수신기를 갖는 우선순위를 변경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의 통신을 위한 전형적인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상세한 수신기를 갖는 우선순위를 변경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의 통신을 위한 전형적인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패킷 통신의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다수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전형적인 방법의 도면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전송하기 위한 전형적인 방법의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우선순위 레벨들과 연관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의 프로세싱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모바일 디바이스의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과 함께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 환경의 도면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상이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의 프로세싱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의 통신의 레귤레이팅(regulating)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의 도면이다.
이제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설명되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엘리먼트들을 참조하는데 사용된다. 하기의 개시에서, 설명을 목적으로,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이 실시예들의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진술된다. 그러나, 그러한 실시예(들)는 이러한 특정 세부 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공지된 구조들 및 디바이스들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블럭도 형태로 보여진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의 용어는 컴퓨터 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를 지칭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컴포넌트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가능 파일,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도 있다. 실례로서, 컴퓨팅 디바이스상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디바이스 모두가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가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으며,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에 집중될 수도 있고/있거나 2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산될 수도 있다. 또한, 이들 컴포넌트들은 다양한 데이터 구조를 저장한 다양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부터 실행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예를 들어, 로컬 시스템, 분산 시스템의 및/또는 다른 컴포넌트와 및/또는 신호에 의해 다른 시스템들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의 데이터)을 갖는 신호에 따르는 것처럼 로컬 및/또는 원격 프로세스들에 의해 통신할 수 있다.
추가로, 다양한 실시예들이 모바일 디바이스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또한 시스템,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모바일(mobile), 원격국, 원격 단말, 액세스 단말,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장비(UE)로 지칭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셀룰러폰,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개인용 휴대 단말(PDA), 무선 접속 능력을 구비한 핸드헬드(handheld)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되는 다른 프로세싱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과 함께 다양한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기지국은 모바일 디바이스(들)와 통신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으며, 또한 액세스 포인트, 노드 B, 또는 몇몇 다른 용어로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제시된 다양한 양상들 또는 특징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하는 제조 물품(article of manufactur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조 물품"이라는 용어는 임의의 컴퓨터 판독가능 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캐리어, 또는 매체(media)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자기 저장 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들, 등), 광학 디스크(예를 들면, 컴팩트 디스크(CD), DVD, 등), 스마트 카드, 및 플래쉬 메모리 장치(예를 들면, 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 및/또는 다른 기계-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기계-판독가능한 매체"라는 용어는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보유, 및/또는 전달할 수 있는 무선 채널 및 다양한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제 도 1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00)이 설명된다. 시스템(100)은 다수의 안테나 그룹들을 포함할 수 있는 기지국(10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안테나 그룹은 안테나들(104 및 106)을 포함할 수 있고, 다른 그룹은 안테나들(108 및 1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부가적인 그룹은 안테나들(112 및 114)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안테나들이 각각의 안테나 그룹에 대하여 개시된다; 그러나, 더 많거나 더 적은 안테나들이 각각의 그룹에 대하여 이용될 수 있다. 기지국(102)은 송신기 체인 및 수신기 체인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각각의 체인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에 의하여 인지되는 바와 같이, 결국 신호 송신 및 수신과 연관되는 다수의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프로세서들, 변조기들, 멀티플렉서들, 복조기들, 디멀티플렉서들, 안테나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02)은 모바일 디바이스(116) 및 모바일 디바이스(122)와 같은 하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다; 그러나, 기지국(102)은 모바일 디바이스들(116 및 122)과 유사하게 실질적으로 임의의 개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들(116 및 122)은 예를 들어, 셀룰러 폰들, 스마트 폰들, 랩탑들, 핸드헬드 통신 디바이스들,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들, 위성 라디오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들, PDA들 및/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개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16)는 안테나들(112 및 114)과 통신하며, 여기서, 안테나들(112 및 114)은 순방향 링크(118)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16)로 정보를 송신하고, 역방향 링크(120)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16)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22)는 안테나들(104 및 106)과 통신하며, 여기서, 안테나들(104 및 106)은 순방향 링크(124)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22)로 정보를 송신하고, 역방향 링크(126)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22)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시스템에서, 예를 들어, 순방향 링크(118)는 역방향 링크(120)에 의하여 사용되는 것과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으며, 순방향 링크(124)는 역방향 링크(126)에 의하여 사용되는 것과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다. 추가로, 시분할 듀플렉스(TDD) 시스템에서, 순방향 링크(118) 및 역방향 링크(120)는 공통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으며, 순방향 링크(124) 및 역방향 링크(126)는 공통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다.
안테나들의 세트 및/또는 그들이 통신하도록 지정되는 영역은 기지국(102)의 섹터로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안테나들은 기지국(102)에 의하여 커버되는 영역들의 섹터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순방향 링크들(118 및 124)을 통한 통신에서, 기지국(102)의 송신 안테나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들(116 및 122)에 대한 순방향 링크들(118 및 124)의 신호-대-잡음비를 개선하기 위하여 빔형성(beamforming)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102)은 연관된 커버리지를 통해 랜덤하게 분산된 모바일 디바이스들(116 및 122)로 송신하기 위하여 빔형성을 이용하는 반면, 이웃 셀들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자신의 모든 모바일 디바이스들로 단일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기지국과 비교하여 간섭을 적게 받을 수 있다.
이제 도 2를 참조하여,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들을 통신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200)이 개시된다. 종래에는, 다수의 송신기들(예를 들어, 송신기(202))이 수신기(예를 들어, 수신기(204))로 PDU들을 송신한다. 때때로, PDU들은 이용가능한 대역폭에 대하여 너무 커서, PDU들은 보다 관리하기 쉬운 부분들로 분할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더 낮은 우선순위 PDU는 다수의 부분들(예를 들어, 공간적 PDU들)에서 수신기(204)로 전송할 수 있다. 더 높은 우선순위 PDU가 수신기로 전송한다면, 더 낮은 우선순위 PDU 전송은 중단될 수 있으며, 더 높은 우선순위 PDU 전송이 시작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시작 부분만이 다시 함께 PDU 부분들을 재구성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헤더 정보)를 포함한다. 그러나, PDU 부분들은 송신 동안에 분실될 수 있고, 수신기(204)는 혼란스러워지고 갑자기 PDU들을 혼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높은 우선순위 PDU의 시작 지시자 부분이 누락된다면, 수신기(204)는 새로운 시작이 통지되지 않고 더 높은 우선순위 PDU를 구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지시되지 않기 때문에, 수신기(204)는 후속하는 더 높은 우선순위 PDU 부분들을 더 낮은 우선순위 PDU에 있는 것처럼 프로세싱할 수 있다.
혼란의 방지를 돕기 위하여, 수신기(204)는 다른 PDU가 더 높은 우선순위의 것일지라도 프로세싱되고 있는 PDU가 다른 PDU가 프로세싱되도록 허용하기 이전에 완료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송신기(202)는 효율적인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송신되는 PDU들의 개수를 제한하고 PDU들을 우선순위화할 수 있다. 송신기(202)는 PDU를 송신할 수 있으며, 지정기(206)는 최초 PDU가 송신되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이것은 송신기(202)의 능동적 모니터링, 메시지의 수집 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송신기(202)는 또한 최초 PDU의 송신의 완료까지 후속 PDU의 송신을 억제하는 홀더(holder)(208)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208)는 다른 PDU들이 송신되는 것을 중단시키기 위하여 송신기(202)의 안테나를 레귤레이팅할 수 있다.
PDU는 수신기(204)로 전송될 수 있으며, 확인응답 메시지가 송신기(202)로 다시 송신될 수 있다. 수립기(establisher)(210)는 가까이 있는(at hand) 최초 PDU에 대한 전송의 시작을 식별할 수 있다. 최초 PDU의 전송으로, 레귤레이터(212)는 최초 PDU에 대한 종료 부분의 수집까지 적어도 하나의 후속 PDU의 전송을 부정할 수 있다. 전송의 부정은 PDU가 한번에 허용되지 않을 것, 임시 저장소에 후속 PDU를 배치할 것 등을 송신 유닛에게 지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종료 부분의 수집까지 적어도 하나의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부정하는 것은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헤더로부터를 제외하면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소유권이 추론될 수 없을 때 발생한다; 적절한 소유권 없이는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재구성하는 것은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다.
이제 도 3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상세한 송신기(202)를 갖는 PDU들의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300)이 개시된다. 공통적으로, PDU들을 포함하는 정보의 통신은 이용가능한 대역폭의 양에 의하여 제한된다. 따라서, 측정기(302)는 PDU의 통신에서 사용되는 통신 채널의 대역폭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밸런서(balancer)(303)는 최초 PDU의 크기가 결정된 대역폭보다 큰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PDU가 이용가능한 대역폭 내에 들어맞기에 충분히 작다면, 송신기(202)는 PDU를 전부 송신할 수 있다. 그러나, PDU가 채널에 대해 너무 커서, 분할기(306)가 최초 PDU를 적어도 2개의 부분들로 분할할 수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적어도 2개의 부분들은 대역폭 내에 들어맞을 수 있음? 분할은 논리적으로(예를 들어, 대역폭 내에 들어맞을 수 있는 연관된 그룹들로 쪼개짐), 수학적으로(예를 들어, 분할은 모든 X 개수의 바이트들마다 발생함), 및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발생할 수 있다.
방출기(emitter)(308)는 순차적으로 최초 PDU 부분들을 송신할 수 있으며, 지정기(206)는 송신을 식별할 수 있다. 인지시 홀더(208)는 최초 PDU 송신이 완료될 때까지 다른 PDU를 송신하지 않도록 송신기에 지시할 수 있다. 이것은 송신기(202)가 수신기(204)에 과도한 짐을 지우지 않아, 시스템(300)의 리소스들을 낭비하지 않도록 허용할 수 있다. 수신기(204)는 제1 부분을 수집하고, 수립기(210)의 사용을 통해 송신의 시작을 식별하며, 수집이 완료될 때까지 다른 PDU들을 부정하도록 레귤레이터(212)에 지시할 수 있다.
이제 도 4를 참조하여, 예시적인 상세한 송신기(202)를 갖는 PDU들의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400)이 개시된다. 최초 PDU가 송신될 때 다른 PDU들은 최초 PDU의 완료까지 송신되지 않기 때문에, 송신의 우선순위의 순서로 PDU들을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정렬기(402)는 우선순위의 함수로서 적어도 2개의 PDU들을 정렬할 수 있고, 최초 PDU는 후속 PDU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이다 - 따라서, PDU들은 우선순위 순서로 송신될 수 있다. 순서가 생성된 이후에 정렬기(402)는 새로운 PDU들이 전송될 것으로 결정됨에 따라 순서를 보정할 수 있다.
송신기(202)는 최초 PDU를 방출할 수 있으며, 홀더(208)는 다른 PDU 송신들을 억제할 수 있다. 팔로워(follower)(404)는 송신기(202)의 동작을 관찰할 수 있으며, 최초 PDU의 송신의 완료를 결정할 수 있다. 완료가 결정되면, 정렬기(402)에 의하여 생성된 순서상의 다른 PDU가 수신기(204)로 송신될 수 있다. 수신기(204)는 (후속 PDU들 뿐 아니라) 최초 PDU의 다양한 부분들을 획득하고, 수립기(210)의 사용을 통한 송신의 시작을 식별하며, 수집이 완료될 때까지 다른 PDU들을 부정하도록 레귤레이터(212)에 지시할 수 있다.
이제 도 5를 참조하여, 다수의 PDU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500)이 개시된다. 송신기(202)와 같은 다수의 송신기들은 수신기(204)에 PDU들을 방출할 수 있으며, 수신기(204)는 PDU들을 프로세싱하도록 시도한다. 수신기(204)를 보조하기 위하여, 송신기(202)는 송신되는 PDU의 개수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정기(206)는 최초 PDU가 전송되는 것을 결정할 수 있으며, 홀더(208)는 최초 PDU 송신이 끝날 때까지(예를 들어, 최종 부분 송신, 에러 식별 등) 다른 PDU들이 송신기(202)로부터 전송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수신기(204)는 새로운 PDU를 식별하고, 최초 PDU에 대한 전송의 시작을 식별하기 위하여 수립기(210)를 사용할 수 있다. 새로운 PDU의 전송이 시작되면, 레귤레이터(212)는 최초 PDU에 대한 종료 부분의 수집까지 적어도 하나의 후속 PDU의 전송을 부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후속 PDU는 최초 PDU보다 높은 우선순위 레벨이다.
최초 PDU에 대한 종료 부분을 인지하는 인증기(502)에 의하여 체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수의 PDU들을 수신기(204)가 프로세싱하도록 시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후속 PDU의 우선순위 레벨을 카테고리화하는 분류기(504)가 사용될 수 있다. 카테고리화에 기초하여, 선출기(506)는 최초 PDU에 대한 전송의 종료를 인지시 전송하기 위한 카테고리화된 후속 PDU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후속 PDU의 선택은 후속 PDU의 우선순위 레벨의 함수일 수 있다.
그러나, 선출기(506)에는 동일한 우선순위의 다수의 PDU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선출기(506)가 선택을 구성할 수 없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후속 PDU들의 그룹으로부터 최초 PDU에 대한 전송의 종료 이후에 전송하기 위한 후속 PDU를 정류시키는 리졸버(resolver)(508)가 사용될 수 있으며, 후속 PDU들의 그룹은 대략 동일한 우선순위 레벨들을 갖는다. 대략 동일한 우선순위 레벨들의 모호성을 정류시킨 이후에 선출기(506)는 적절한 선택을 할 수 있으며, 개시기(510)는 후속 PDU의 전송을 개시한다.
이제 도 6을 참조하여, PDU 통신을 레귤레이팅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600)이 개시된다. 송신기(202)는 수신기(204)에 적어도 하나의 PDU들을 송신하도록 시도할 수 있다. 공통적으로, PDU들은 낮은 혼잡성을 위하여 수신기(204)로 연속적 데이터 스트림으로서 전송된다. 지정기(206)는 PDU의 전송이 이루어질 때를 식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홀더(208)는 적절한 리소스들이 없을 때까지 다른 PDU들이 송신하지 않음을 보장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수신기(204)는 최초 PDU에 대한 전송의 시작을 식별하는 수립기(210)를 사용할 수 있다. 시작이 식별되면, 레귤레이터(212)는 최초 PDU에 대한 종료 부분의 수집까지 적어도 하나의 후속 PDU의 전송을 부정할 수 있다. 수신기는 최초 PDU의 종료 부분을 획득하지 못할 수 있다. 계속되는 대기 상태에 있는 것과 대조적으로, 설정 표준이 충족된 이후에 추정기(602)는 종료 부분이 손실되고 후속 PDU의 전송이 개시된다는 것을 가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가정(assumption)은 시간 분석, 인공 지능 기술들, 보조 통신(supplemental communication)(예를 들어, 송신기(202)는 최종 수신의 형태를 요청하나, PDU 종료 부분은 수집되지 않음), 또는 그들의 조합물에 기초한다.
인공 지능 기술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자동화된 양상들의 구현에 따라 데이터로부터 학습하여 추론하고/추론하거나 다수의 기억 유닛들에 걸쳐 동적으로 정보를 저장하는 것과 관련되는 결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방법들(예를 들어, HMM들(Hidden Markov Models) 및 관련된 프로토타입 종속 모델들, 예를 들어, 베이시안(Bayesian) 모델 스코어 또는 추정치를 사용하는 구조 연구에 의하여 생성되는 베이시안 네트워크들과 같은 더 일반적인 확률적 그래픽 모델들, 지지 벡터 머신(SVM)들과 같은 선형적 분류기들, "중성 네트워크" 방법들로서 지칭되는 방법들과 같은 비-선형적 분류기들, 퍼지 논리(fuzzy logic) 방법들, 및 데이터 혼합을 수행하는 다른 접근법들 등) 중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술들은 정리 증명기들 또는 더욱 체험적인 룰-기반 전문가 시스템들과 같은 논리적 관계들의 포착을 위한 방법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지능 기술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결정들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수신기(204)는 후속 PDU를 송신하는 디바이스와의 통신에 참여할 수 있으며, 참여된 통신은 후속 PDU의 상태에 대하여 디바이스에 통보한다.
이제 도 7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통신 스트림들(702, 704, 706)이 개시된다. 스트림(702)은 송신기 또는 다수의 송신기들(예를 들어, 도 2의 송신기(202))에 의하여 송신되는 것일 수 있다. 스트림의 부분들은 손실될 수 있고, 따라서, 스트림(704)은 수신기(예를 들어, 도 2의 수신기(204))에 의하여 수집되는 것일 수 있다. 스트림(702)은 낮은 우선순위 PDU의 종료 부분(EL)뿐 아니라 낮은 우선순위 PDU의 중간 부분(ML), 낮은 우선순위 PDU의 시작 부분(SL)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스트림(702)은 높은 우선순위 PDU의 종료 부분(EH)뿐 아니라 높은 우선순위 PDU의 중간 부분(MH), 높은 우선순위 PDU의 시작 부분(SH)을 포함할 수 있다.
SH 부분이 손실되면, 수신기는 어느 부분이 어느 PDU에 속하는지 혼란스러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림(704)은 SL-ML-ML-MH의 시퀀스를 보이며, 여기서 SH는 송신에서 손실된다. SH 부분 없이, 수신기는 시퀀스의 MH가 실제로 ML일 수 있다고 믿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양상들의 실행은 PDU 부분들을 함께 구성하는 스트림(706)을 초래할 수 있으며, 높은 우선순위 부분들은 낮은 우선순위 부분들의 완료까지 프로세싱되지 않는다(예를 들어, 스트림에 배치).
도 8-9를 참조하여, PDU 통신 구성과 관련되는 방법들이 개시된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방법들은 일련의 동작들로서 도시되고 설명되나, 방법들은 동작들의 순서로 제한되지 않으며,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라, 몇몇 동작들이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및/또는 다른 동작들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은 방법이 대안적으로 상태도와 같은, 일련의 상호관련된 상태들 또는 사건들로서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라, 방법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모든 동작들이 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제 도 8을 참조하여, 다수의 PDU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800)이 개시된다. 블럭(802)에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PDU 부분의 판독을 통해 공통적으로 수행되는, 최초 PDU에 대한 전송의 시작의 식별이 존재할 수 있다. 최초 PDU의 송신의 시작이 개시될 때, 사건(804)에서 최초 PDU에 대한 종료 부분의 수집까지 적어도 하나의 후속 PDU의 전송의 부정이 존재할 수 있다. 종료 부분의 수집은 종료 부분의 연속적 수신, 종료 유닛이 송신되나 수신되지 않는 가정의 습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후속 PDU는 최초 PDU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 레벨이다.
최초 PDU에 대한 종료 부분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체크(806)가 이루어질 수 있다. 종료 부분이 수신된다면, 동작(808)에서 최초 PDU에 대한 종료 부분의 인지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료가 인지되지 않으면, 종료 부분이 손실되었다는 것을 가정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다른 체크(810)가 이루어질 수 있다. PDU 부분이 손실될 수 있기 때문에, 종료가 수신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종료 부분이 손실되었다고 가정되고 체크(810)가 너무 많은 시간이 걸린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동작(812)에서 후속 PDU의 전송의 개시(예를 들어, 시간의 임계치가 경과한 이후에)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가정은 시간 분석, 인공 지능 기술들, 보조 통신, 또는 그들의 조합물에 기초할 수 있다. 너무 긴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면, 방법(800)은 종료가 발견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체크(806)로 리턴할 수 있다.
종료가 결정(예를 들어, 인지, 가정 등)되면, 공통적으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잠재적 PDU들을 랭크화하는 동작(814)에서 적어도 하나의 후속 PDU의 우선순위 레벨을 카테고리화하는 단계가 존재할 수 있다. PDU들은 매칭 우선순위를 가져, 동일한 우선순위 PDU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체크(816)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동일한 우선순위 PDU들이 존재한다면, 동작(818)에서 후속 PDU들의 그룹으로부터 최초 PDU에 대한 전송의 종료 이후에 전송할 후속 PDU를 정류시키는 단계가 존재할 수 있다; 후속 PDU들은 대략 동일한 우선순위 레벨들을 가질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대략 동일한 우선순위 레벨들을 갖는 PDU들이 존재한다면, 시간상 먼저 전송된 PDU들이 프로세싱하도록 지정될 수 있다.
기능적 순서로, 동작(820)에서 최초 PDU에 대한 전송 종료의 인지시 전송할 카테고리화된 후속 PDU를 선택하는 단계가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후속 PDU의 선택은 후속 PDU의 우선순위 레벨의 함수이다. 선택된 유닛이 로컬 저장부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후속 PDU를 송신하는 디바이스와의 통신에 참여하는 단계가 존재할 수 있다. 참여된 통신은 후속 PDU의 상태에 대하여 디바이스에 통보할 수 있으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개시한다. 블럭(822)은 전송의 개시뿐 아니라 통신에의 참여를 표시할 수 있다.
이제 도 9를 참조하여, 수신기상에서의 혼잡을 경감시키기 위한 PDU들의 송신을 제한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900)이 개시된다. 블럭(902)에서, 최초 PDU가 송신되는 것에 대하여 인지하는 단계가 존재할 수 있다. PDU가 송신된 이유, 송신된 PDU의 우선순위 레벨, 등과 같은 PDU와 관련된 메타데이터가 확인될 수 있다.
통신 채널이 분석될 수 있고, 분석에 기초하여 통신 채널에 대한 대역폭 크기의 결정이 동작(904)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최초 PDU의 크기가 결정된 대역폭보다 큰지(예를 들어, 더 큰, 크거나 같은, 등) 여부에 대해 결정하기 위하여 체크(906)가 수행될 수 있다. 크기가 결정된 대역폭보다 크다면, 적어도 2개 부분들로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분할하기 위한 동작(908)이 수행될 수 있고, 적어도 2개 부분들은 대역폭 내에 들어맞을 수 있다. 완전한 패킷 또는 분할된 패킷이 동작(910)에서 송신될 수 있다. 분할 이후 최초 PDU를 송신할 때, 순차적으로 송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최초 PDU를 송신하면서, 사건(912)에서 최초 PDU의 송신의 완료까지 후속 PDU의 송신을 억제하는 단계가 존재할 수 있다. 동작(914)을 통해 최초 PDU의 송신의 완료를 결정하는 것을 돕는 연속적인 체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송신이 완료되면, 사건(916)에서 우선순위의 함수로서 적어도 2개의 PDU들을 정렬하는 단계가 존재할 수 있으며, 최초 PDU는 후속 PDU보다 높은 우선순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따라, 이용되어야 하는 PDU 전송에 관한, 웨이크업 주기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 등 것과 관련된 추론(inference)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추론하다(infer)" 또는 "추론(inference)"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사건들 및/또는 데이터를 통해 포착되는 관찰들의 세트로부터 시스템, 환경, 및/또는 사용자의 상태에 대한 추리 또는 추론의 프로세서를 지칭한다. 추론은 특정 문맥 또는 동작을 식별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상태들에 대한 확률 분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추론은 확률적일 수 있다 - 즉, 데이터 및 사건들의 고려에 기초하여 해당 상태들에 대한 확률 분포의 계산. 추론은 또한 사건들 및/또는 데이터의 세트로부터 더 높은 레벨의 사건들을 구성(compose)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기술들을 지칭할 수 있다. 그러한 추론은 관찰된 이벤트들 및/또는 저장된 사건 데이터의 세트, 사건들이 임시적으로 아주 근접하게 상호관련되는지 여부, 및 사건들 및 데이터가 하나 또는 다수의 사건 및 데이터 소스들로부터 오는지 여부로부터의 새로운 사건들 또는 동작들의 구성을 초래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개시된 하나 이상의 방법들은 PDU의 프로세싱 및/또는 통신에 속하는 추론들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예시에 의하여, 의도된 애플리케이션, 원하는 전력 절약 등에 기초하여 웨이크업 주기 파라미터로서 다수의 물리적 프레임들을 선택하는 것과 관련되는 추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도식적인 것으로서, 그러한 추론들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방법들과 함께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다수의 추론들을 제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님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PDU의 프로세싱을 용이하게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예를 들어, 도 1의 모바일 디바이스(116 및/또는 122))의 도면이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수신 안테나(미도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대한 통상적인 동작들(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다운컨버팅 등)을 수행하며, 샘플들을 획득하기 위해 조정된 신호를 디지털화하는 수신기(1002)를 포함한다. 수신기(1002)는 예를 들어, MMSE 수신기일 수 있으며, 수신된 심볼들을 복조시켜, 채널 추정 등을 위해 프로세서(1006)로 제공할 수 있는 복조기(10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6)는 수신기(1002)에 의하여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고/분석하거나 송신기(1016)에 의한 송신을 위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세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또는 수신기(1002)에 의해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고, 송신기(1016)에 의한 송신을 위해 정보를 생성하며,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송신기(1016) 및 수신기(1002)는 도 2의 송신기(202) 및 도 2의 수신기(204)와 매칭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들은 또한 개별적이고 상이한 개체들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프로세서(1006)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송신될 데이터, 수신된 데이터, 이용가능한 채널들과 관련된 정보, 분석된 신호 및/또는 간섭 강도와 연관되는 데이터, 연관된 채널, 전력, 레이트 등과 관련되는 정보, 및 채널을 추정하고 채널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10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008)는 채널의 추정 및/또는 이용과 연관되는 알고리즘들 및/또는 프로토콜들(성능 기반, 용량 기반 등)을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라,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데이터 저장부(예를 들어, 메모리(1008))는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프로그램가능 ROM(PROM), 전기적 프로그램가능 ROM(EPROM), 전기적 소거가능 PROM(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 메모리로서 작용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RAM은 동기 RAM(SRAM), 동적 RAM(DRAM), 동기 DRAM(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SDRAM(DDR SDRAM), 인핸스드 SDRAM(ESDRAM), 싱크링크 DRAM(SLDRAM), 및 직접 램버스 RAM(DRRAM)와 같은 다수의 형태들로 이용가능하다. 메모리(1008)는 이러한 그리고 임의의 다른 적절한 타입의 메모리를 포함하도록 고안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002)는 수립기(1010) 및/또는 레귤레이터(1012)에 동작가능하게 추가로 연결될 수 있다. 수립기(1010)는 시작 부분의 인지를 통하는 것과 같이 최초 PDU에 대한 전송의 시작을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유닛들이 최초 PDU의 완료 이전에 PDU들의 송신을 시도하기 때문에, 레귤레이터(1012)는 최초 PDU에 대한 종료 부분의 수집까지 적어도 하나의 후속 PDU의 전송을 부정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기지국,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 등으로 신호(예를 들어, 베이스 CQI 및 차동(differential) CQI)를 송신하는 송신기(1016) 및 변조기(1014)를 더 포함한다. 프로세서(1006)와 개별적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인식기(1010) 및/또는 취합기(aggregator)(1012)는 다수의 프로세서들(미도시) 또는 프로세서(1006)의 일부일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도 11은 PDU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1100)의 도면이다. 시스템(1100)은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1106)을 통해 하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들(1104)로부터 신호(들)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1110), 및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1108)을 통해 하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들(1104)로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는 송신기(1122)를 갖는 기지국(1102)(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을 포함한다; 기지국(1102)은 도 1의 기지국(102)일 수 있다. 수신기(1110)는 수신 안테나들(1106)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복조시키는 복조기(1112)와 동작가능하게 연관될 수 있다. 복조된 심볼들은 도 10과 관련하여 상기 개시된 프로세서와 유사할 수 있는 프로세서(1114)에 위하여 분석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신호(예를 들어, 파일럿) 강도 및/또는 간섭 강도와 관련되는 정보, 모바일 디바이스(들)(1104)(또는 개별적인 기지국(미도시))로 송신될 데이터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들)(1104)(또는 개별적인 기지국(미도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및/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을 수행하는 것과 관련되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116)에 연결된다.
프로세서(1114)는 지정기(1118) 및/또는 홀더(1120)에 추가로 연결된다. 지정기(1118)는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이 공통적으로 시스템(1100)으로부터 송신되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홀더(1120)는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송신의 완료까지 후속 데이터 프로토콜 유닛의 송신을 억제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4)와 개별적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확인기(1118) 및/또는 구성기(1120)는 다수의 프로세서들(미도시) 또는 프로세서(1114)의 일부일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도 12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1200)을 보여준다. 무선 통신 시스템(1200)은 간략화를 위해 하나의 기지국(1210) 및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1250)를 도시한다. 그러나, 시스템(1200)은 둘 이상의 기지국 및/또는 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 기지국들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하기에 설명되는 예시적 기지국(1210) 및 모바일 디바이스(125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지국(1210)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250)는 그들 사이에서의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시스템들(도 1-7, 및 10-12), 및/또는 방법들(도 8-9)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기지국(1210)에서,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가 데이터 소스(1212)로부터 송신(TX) 데이터 프로세서(1214)로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은 개별 안테나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TX 데이터 프로세서(1214)는 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대하여 선택된 특정 코딩 방식에 기초하여 트래픽 데이터 스트림을 포맷팅, 코딩, 및 인터리빙(interleave)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코딩된 데이터는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기술들을 사용하여 파일럿 데이터와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파일럿 심볼들은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FDM), 시분할 멀티플렉싱(TDM), 또는 코드 분할 멀티플렉싱(CDM)될 수 있다. 파일럿 데이터는 통상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프로세싱되는 공지된 데이터 패턴이며, 채널 응답을 추정하기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250)에서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멀티플렉싱된 파일럿 및 코딩된 데이터는 변조 심볼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데이터 스트림에 대하여 선택된 특정 변조 방식(예를 들어, 바이너리 위상-시프트 키잉(BPSK: binary phase-shift keying), 쿼드러처 위상-시프트 키잉(QPSK: quadrature phase-shift keying), M-위상-시프트 키잉(M-PSK: M-phase-shift keying), M-쿼드러처 진폭 변조(M-QAM: 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등)에 기초하여 변조될 수 있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 코딩, 및 변조는 프로세서(1230)에 의하여 수행되거나 제공된 명령들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변조 심볼들은 TX MIMO 프로세서(1220)로 제공될 수 있으며, TX MIMO 프로세서(1220)는 변조 심볼들(예를 들어, OFDM에 대한)을 추가로 프로세싱할 수 있다. TX MIMO 프로세서(1220)는 그 후 NT개 송신기들(TMTR)(1222a 내지 1222t)로 NT개 변조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TX MIMO 프로세서(1220)는 데이터 스트림들의 심볼들로 그리고 심볼이 송신되고 있는 안테나로 빔형성 가중치(beamforming weight)들을 인가한다.
각각의 송신기(1222)는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개별 심볼 스트림을 수신하여 프로세싱하고, MIMO 채널을 통한 송신에 적합한 변조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아날로그 신호들을 추가로 조정(예를 들어, 증폭, 필터링 및 업컨버팅)한다. 추가로, 송신기들(TMTR)(1222a 내지 1222t)로부터의 NT개의 변조된 신호들은 각각 NT개 안테나들(1224a 내지 1224t)로부터 송신된다.
모바일 디바이스(1250)(예를 들어, 도 1의 모바일 디바이스(116 및/또는 122))에서, 송신된 변조 신호들은 NR개 안테나들(1252a 내지 1252r)에 의하여 수신되고, 각각의 안테나(1252)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각각의 수신기(RCVR)(1254a 내지 1254r)로 제공된다. 각각의 수신기(1254)는 개별적인 신호를 조정(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및 다운컨버팅)하고, 샘플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조정된 신호를 디지털화하며, 대응하는 "수신된" 심볼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하여 샘플들을 추가로 프로세싱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260)는 NT개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특정 수신기 프로세싱 기술에 기초하여 NR개의 수신기들(1254)로부터 NR개의 수신된 심볼 스트림들을 수신하여 프로세싱할 수 있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260)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복구하기 위하여 각각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을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할 수 있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260)에 의한 프로세싱은 기지국(1210)에서 TX MIMO 프로세서(1220)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1214)에 의하여 수행된 것과 상보적이다.
프로세서(1270)는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어느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이용할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추가로, 프로세서(1270)는 매트릭스 인덱스 부분 및 랭크 값 부분을 포함하는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공식화(formulate)할 수 있다.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다양한 타입의 통신 링크에 관한 정보 및/또는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을 포함할 수 있다.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또한 데이터 소스(1236)로부터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는 TX 데이터 프로세서(1238)에 의하여 프로세싱되고, 변조기(1280)에 의하여 변조되고, 송신기들(1254a 내지 1254r)에 의하여 조정되며, 다시 기지국(1210)으로 송신될 수 있다.
기지국(12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250)로부터 변조된 신호들이 안테나들(1224)에 의하여 수신되고, 수신기들(1222)에 의하여 조정되고, 복조기(1240)에 의하여 복조되고, 모바일 디바이스(1250)에 의하여 송신된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추출하기 위하여 RX 데이터 프로세서(1242)에 의하여 프로세싱된다. 추가로, 프로세서(1230)는 빔형성 가중치들을 결정하는데 어느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추출된 메시지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1230 및 1270)은 기지국(1210) 및 모바일 디바이스들(1250)에서 각각 동작을 지시(예를 들어, 제어, 조정, 관리 등)할 수 있다. 개별적인 프로세서들(1230 및 1270)은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232 및 1272)와 연관될 수 있다. 프로세서들(1230 및 1270)은 또한 각각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 대한 주파수 및 임펄스 응답 추정치들을 유도하기 위하여 계산들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하드웨어 구현에 대하여, 프로세싱 유닛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SPD)들, 프로그래밍 가능 로직 장치(PLD)들,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프로그램 코드,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로 구현될 때, 이들은 저장 컴포넌트와 같은 기계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코드 세그먼트는 프로시저, 함수, 서브프로그램, 프로그램, 루틴, 서브루틴, 모듈, 소프트웨어 패키지, 클래스, 또는 명령, 데이터 구조 또는 프로그램 명령문의 임의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코드 세그먼트는 정보, 데이터, 인수(argument)들, 파라미터들 또는 메모리 콘텐츠를 전달 및/또는 수신함으로써 다른 코드 세그먼트 또는 하드웨어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정보, 인수, 파라미터, 데이터 등은 메모리 공유, 메시지 전달, 토큰(token) 전달, 네트워크 송신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당한 수단을 통해 전달, 포워딩 또는 전송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술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능들 수행하는 모듈들(예를 들어, 프로시저들, 함수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들은 메모리 유닛들에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에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메모리 유닛은 본 기술분야에 공지되는 것과 같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여, PDU 수집의 관리를 유발하는 시스템(1300)이 개시된다. 예를 들어, 시스템(130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상주할 수 있다. 시스템(1300)은 기능 블럭들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표현되며, 이는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결합물(예를 들어, 펌웨어)에 의하여 구현되는 기능들을 나타내는 기능 블럭들일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시스템(1300)은 함께 작동할 수 있는 전기 컴포넌트들의 논리적 그룹핑(logical grouping)(130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논리적 그룹핑(1302)은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전송의 시작을 식별하기 위한 전기적 컴포넌트(130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논리적 그룹핑(1302)은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종료 부분의 수집까지 적어도 하나의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부정하기 위한 전기적 컴포넌트(1306)를 포함할 수 있다.
논리적 그룹핑(1302)은 또한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종료 부분을 인지하기 위한 컴포넌트,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개시하기 위한 컴포넌트, 적어도 하나의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우선순위 레벨을 카테고리화하기 위한 전기적 컴포넌트,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전송 종료의 인지시 전송할 카테고리화된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선택하기 위한 전기적 컴포넌트 -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선택은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우선순위 레벨의 함수임 - ,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으로부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전송의 종료 이후에 전송하기 위한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정류시키기(rectify) 위한 전기적 컴포넌트 -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은 대략 동일한 우선순위 레벨들을 가짐 - , 종료 부분이 손실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개시하기 위한 전기적 컴포넌트, 및/또는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송신하는 디바이스와의 통신에 참여하기 위한 전기적 컴포넌트 - 참여된 통신은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상태에 대하여 디바이스에 통보할 수 있음 -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1304)의 송신을 식별하기 위한 전기적 컴포넌트 및/또는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1306)에 대한 식별된 송신의 직접적 상호관련으로서, 독립적 엔티티들 등으로서 카운터를 증분시키기 위한 전기적 컴포넌트의 일부로서 통합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1300)은 전기적 컴포넌트들(1304 및 1306)과 연관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보유하는 메모리(1308)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8) 외부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나, 하나 이상의 전기적 컴포넌트들(1304 및 1306)이 메모리(1308) 내에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도 14를 참조하여, PDU 송신의 레귤레이팅을 유발하는 시스템(1400)이 개시된다. 예를 들어, 시스템(140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상주할 수 있다. 시스템(1400)은 기능 블럭들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표현되며, 이는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결합물(예를 들어, 펌웨어)에 의하여 구현되는 기능들을 나타내는 기능 블럭들일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시스템(1400)은 함께 작동할 수 있는 전기 컴포넌트들의 논리적 그룹핑(140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논리적 그룹핑(1402)은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이 송신되는 것을 식별하기 위한 전기적 컴포넌트(140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논리적 그룹핑(1402)은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송신의 완료까지 후속 데이터 프로토콜 유닛의 전송을 억제하기 위한 전기적 컴포넌트(1406)를 포함할 수 있다.
논리적 그룹핑(1402)은 통신 채널의 대역폭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전기적 컴포넌트,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크기가 결정된 대역폭보다 큰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전기적 컴포넌트,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대역폭 내에 맞춰질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부분들로 분할하기 위한 전기적 컴포넌트,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순차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전기적 컴포넌트, 적어도 2개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우선순위의 함수로서 정렬하기 위한 전기적 컴포넌트 -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보다 높은 우선순위임 - , 및/또는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송신 완료를 결정하기 위한 전기적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1404)을 인증하기 위한 전기적 컴포넌트, 및/또는 독립적 엔티티들 등으로서,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1406)의 성공적인 인증시 카운터를 리셋시키기 위하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1406)을 송신하는 모듈에 대한 노티스를 생성하기 위한 전기적 컴포넌트의 일부로서 통합될 수 있다. 메모리(1408) 외부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나, 하나 이상의 전기적 컴포넌트들(1404 및 1406)이 메모리(1408) 내에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상술한 것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예를 포함한다. 물론, 전술한 실시예들을 설명할 목적으로 성분들 또는 방법들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기술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당업자들은 각종 실시예의 많은 추가 조합 및 치환이 가능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진의 및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그러한 대안, 변형 및 개조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더욱이,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서 "포함한다(include)"라는 용어가 사용될 때, 이러한 용어는 "구성되는(comprising)"이 청구범위에서 과도적인 단어로 사용될 때 해석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되는"라는 용어를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70)

  1.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시작 부분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종료 부분이 수신되었다는 것을 결정할 때까지 적어도 하나의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부정하는(deny)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적어도 상기 시작 부분 및 상기 종료 부분으로 분할되며,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보다 높은 우선순위 레벨인,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상기 종료 부분을 인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우선순위 레벨을 카테고리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상기 종료 부분의 인지시 상기 카테고리화에 기초하여 전송할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선택은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우선순위 레벨의 함수인,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으로부터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상기 종료 부분 이후에 전송할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정류시키는(rectify)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은 동일한 우선순위 레벨들을 갖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상기 종료 부분이 수신되었다는 것을 결정할 때까지 적어도 하나의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부정하는 단계는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헤더로부터 외에는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소유권이 추론될 수 없을 때 발생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시간 분석, 인공 지능 기술들, 보조 통신(supplemental communication),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반하여,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상기 종료 부분이 손실됨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초기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송신하는 디바이스와의 통신에 참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참여된 통신은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상태에 대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통보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11. 무선 통신 장치로서,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시작 부분을 식별하는 수립기(establisher); 및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종료 부분이 수신되었다는 것을 결정할 때까지 적어도 하나의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부정하는 레귤레이터(regulator)
    를 포함하고,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적어도 상기 시작 부분 및 상기 종료 부분으로 분할되며,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보다 높은 우선순위 레벨인, 무선 통신 장치.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상기 종료 부분을 인지하는 인증기(authenticator)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초기화하는 개시기(starter)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우선순위 레벨을 카테고리화하는 분류기(classifier)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상기 종료 부분의 인지시 상기 카테고리화에 기초하여 전송할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선택하는 선출기(elector)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선택은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우선순위 레벨의 함수인, 무선 통신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으로부터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상기 종료 부분 이후에 전송할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정류시키는 리졸버(resolver)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은 동일한 우선순위 레벨들을 갖는, 무선 통신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는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헤더로부터 외에는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소유권이 추론될 수 없을 때,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상기 종료 부분이 수신되었다는 것을 결정할 때까지 적어도 하나의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부정하는, 무선 통신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는
    시간 분석, 인공 지능 기술들, 보조 통신(supplemental communication),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반하여,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상기 종료 부분이 손실됨을 추정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개시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시기는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초기화하는, 무선 통신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송신하는 디바이스와의 통신에 참여하는 교환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참여된 통신은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상태에 대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통보하는, 무선 통신 장치.
  21. 무선 통신 장치로서,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시작 부분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종료 부분이 수신되었다는 것을 결정할 때까지 적어도 하나의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부정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적어도 상기 시작 부분 및 상기 종료 부분으로 분할되며,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보다 높은 우선순위 레벨인, 무선 통신 장치.
  22. 삭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상기 종료 부분을 인지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초기화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우선순위 레벨을 카테고리화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상기 종료 부분의 인지시 상기 카테고리화에 기초하여 전송할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선택은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우선순위 레벨의 함수인, 무선 통신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으로부터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상기 종료 부분 이후에 전송할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정류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은 동일한 우선순위 레벨들을 갖는, 무선 통신 장치.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상기 종료 부분이 수신되었다는 것을 결정할 때까지 적어도 하나의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부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헤더로부터 외에는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소유권이 추론될 수 없을 때 동작하는, 무선 통신 장치.
  29. 제21항에 있어서,
    시간 분석, 인공 지능 기술들, 보조 통신,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반하여,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상기 종료 부분이 손실됨을 추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초기화하기 위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30.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송신하는 디바이스와의 통신에 참여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참여된 통신은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상태에 대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통보하는, 무선 통신 장치.
  31. 저장된 기계-실행가능 명령들을 포함하는 기계-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시작 부분을 식별하기 위한 명령들; 및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종료 부분이 수신되었다는 것을 결정할 때까지 적어도 하나의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부정하기 위한 명령들
    을 포함하고,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적어도 상기 시작 부분 및 상기 종료 부분으로 분할되며,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보다 높은 우선순위 레벨인, 기계-판독가능 매체.
  32. 삭제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상기 종료 부분을 인지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기계-판독가능 매체.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초기화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기계-판독가능 매체.
  35. 제3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우선순위 레벨을 카테고리화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기계-판독가능 매체.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상기 종료 부분의 인지시 상기 카테고리화에 기초하여 전송할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선택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선택은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우선순위 레벨의 함수인, 기계-판독가능 매체.
  37. 제36항에 있어서,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으로부터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상기 종료 부분 이후에 전송할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정류시키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은 동일한 우선순위 레벨들을 갖는, 기계-판독가능 매체.
  38.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상기 종료 부분이 수신되었다는 것을 결정할 때까지 적어도 하나의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전송의 부정은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헤더로부터 외에는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소유권이 추론될 수 없을 때 발생하는, 기계-판독가능 매체.
  39. 제31항에 있어서,
    시간 분석, 인공 지능 기술들, 보조 통신,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반하여,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상기 종료 부분이 손실됨을 추정하고;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초기화
    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기계-판독가능 매체.
  40.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송신하는 디바이스와의 통신에 참여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참여된 통신은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상태에 대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통보하는, 기계-판독가능 매체.
  41.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시작 부분을 식별하며; 그리고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종료 부분이 수신되었다는 것을 결정할 때까지 적어도 하나의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부정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적어도 상기 시작 부분 및 상기 종료 부분으로 분할되며,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보다 높은 우선순위 레벨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장치.
  42. 삭제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상기 종료 부분을 인지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초기화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장치.
  45. 제4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우선순위 레벨을 카테고리화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장치.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상기 종료 부분의 인지시 상기 카테고리화에 기초하여 전송할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선택은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우선순위 레벨의 함수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장치.
  47. 제46항에 있어서,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으로부터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상기 종료 부분 이후에 전송할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정류시키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은 동일한 우선순위 레벨들을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장치.
  48.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상기 종료 부분이 수신되었다는 것을 결정할 때까지 적어도 하나의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전송의 부정은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헤더로부터 외에는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소유권이 추론될 수 없을 때 발생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장치.
  49.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시간 분석, 인공 지능 기술들, 보조 통신,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반하여,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상기 종료 부분이 손실됨을 추정하고,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초기화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장치.
  50.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송신하는 디바이스와의 통신에 참여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참여된 통신은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상태에 대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통보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장치.
  51.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시작 부분이 송신되는 것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종료 부분이 수신되었다는 것을 결정할 때까지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송신을 억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적어도 상기 시작 부분 및 상기 종료 부분으로 분할되며,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보다 높은 우선순위 레벨인,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52. 제51항에 있어서,
    통신 채널의 대역폭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크기가 상기 결정된 대역폭보다 큰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적어도 2개의 부분들로 분할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2개의 부분들은 상기 대역폭 내에 맞춰질 수 있음 ? ; 및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순차적으로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53. 제51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우선순위의 함수로서 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54.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송신 완료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55. 무선 통신 장치로서,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시작 부분이 송신되는 것을 식별하는 지정기; 및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종료 부분이 수신되었다는 것을 결정할 때까지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송신을 억제하는 홀더(holder)
    를 포함하고,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적어도 상기 시작 부분 및 상기 종료 부분으로 분할되며,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보다 높은 우선순위 레벨인, 무선 통신 장치.
  56. 제55항에 있어서,
    통신 채널의 대역폭 크기를 결정하는 측정기;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크기가 상기 결정된 대역폭보다 큰지 여부를 결정하는 밸런서(balancer);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적어도 2개의 부분들로 분할하는 분할기 ? 상기 적어도 2개의 부분들은 상기 대역폭 내에 맞춰질 수 있음 ? ; 및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부분들을 순차적으로 송신하는 방출기(emitter)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57. 제55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우선순위의 함수로서 정렬하는 정렬기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58.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송신 완료를 결정하는 팔로워(follower)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59. 무선 통신 장치로서,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시작 부분이 송신되는 것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종료 부분이 수신되었다는 것을 결정할 때까지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송신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적어도 상기 시작 부분 및 상기 종료 부분으로 분할되며,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보다 높은 우선순위 레벨인, 무선 통신 장치.
  60. 제59항에 있어서,
    통신 채널의 대역폭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크기가 상기 결정된 대역폭보다 큰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적어도 2개의 부분들로 분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적어도 2개의 부분들은 상기 대역폭 내에 맞춰질 수 있음 ? ; 및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순차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61. 제59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우선순위의 함수로서 정렬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62.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송신 완료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63. 저장된 기계-실행가능 명령들을 포함하는 기계-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시작 부분이 송신되는 것을 식별하기 위한 명령들; 및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종료 부분이 수신되었다는 것을 결정할 때까지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송신을 억제하기 위한 명령들
    을 포함하고,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적어도 상기 시작 부분 및 상기 종료 부분으로 분할되며,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보다 높은 우선순위 레벨인, 기계-판독가능 매체.
  64. 제63항에 있어서,
    통신 채널의 대역폭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크기가 상기 결정된 대역폭보다 큰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적어도 2개의 부분들로 분할하기 위한 명령들 ? 상기 적어도 2개의 부분들은 상기 대역폭 내에 맞춰질 수 있음 ? ; 및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순차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명령들
    을 포함하는, 기계-판독가능 매체.
  65. 제63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우선순위의 함수로서 정렬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기계-판독가능 매체.
  66.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송신 완료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기계-판독가능 매체.
  67.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시작 부분이 송신되는 것을 식별하며; 그리고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종료 부분이 수신되었다는 것을 결정할 때까지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송신을 억제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적어도 상기 시작 부분 및 상기 종료 부분으로 분할되며, 상기 후속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보다 높은 우선순위 레벨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장치.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통신 채널의 대역폭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크기가 상기 결정된 대역폭보다 큰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적어도 2개의 부분들로 분할하며 ? 상기 적어도 2개의 부분들은 상기 대역폭 내에 맞춰질 수 있음 ? ; 그리고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순차적으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장치.
  69.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적어도 2개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우선순위의 함수로서 정렬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장치.
  70.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초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송신 완료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장치.
KR1020107000891A 2007-06-15 2008-06-14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우선순위 관리 KR1011979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4443407P 2007-06-15 2007-06-15
US60/944,434 2007-06-15
US12/121,529 2008-05-15
US12/121,529 US8208378B2 (en) 2007-06-15 2008-05-15 Protocol data unit priority management
PCT/US2008/067042 WO2008157448A2 (en) 2007-06-15 2008-06-14 Protocol data unit priority manag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539A KR20100031539A (ko) 2010-03-22
KR101197979B1 true KR101197979B1 (ko) 2012-11-05

Family

ID=40132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0891A KR101197979B1 (ko) 2007-06-15 2008-06-14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우선순위 관리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2) US8208378B2 (ko)
EP (1) EP2174439B1 (ko)
JP (1) JP5096570B2 (ko)
KR (1) KR101197979B1 (ko)
CN (1) CN101682487B (ko)
AU (1) AU2008265969B2 (ko)
BR (1) BRPI0812727A2 (ko)
CA (1) CA2687723C (ko)
HK (1) HK1141914A1 (ko)
IL (1) IL202433A (ko)
MX (1) MX2009013659A (ko)
MY (1) MY152588A (ko)
RU (1) RU2464719C2 (ko)
TW (1) TWI410100B (ko)
UA (1) UA95372C2 (ko)
WO (1) WO200815744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08378B2 (en) * 2007-06-15 2012-06-26 Qualcomm Incorporated Protocol data unit priority management
CN105391486B (zh) * 2014-08-29 2018-11-20 深圳航天科技创新研究院 一种星载数据的通信方法和装置
US10334610B2 (en) 2015-04-09 2019-06-25 Lg Electronics Inc. Method, carried out by user equipment, for transmitting priority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user equipment utilizing the method
US20180199229A1 (en) * 2015-07-26 2018-07-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n priority for d2d link with relay 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18906A2 (en) * 2005-07-27 2007-02-1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scheduling urgent data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3128A (en) * 1990-12-21 1997-03-18 Intel Corporation Programmable multi-processor interrupt controller system with a processor integrated local interrupt controller
DE4433617C2 (de) * 1994-09-21 1997-04-24 Kostal Leopold Gmbh & Co Kg Elektrisches Steckverbindungsteil
US5768169A (en) 1995-10-02 1998-06-16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processing of numeric applications in the presence of subnormal numbers in a computer system
US6400699B1 (en) 2000-09-12 2002-06-04 Iospan Wireless, Inc. Transmission scheduler for a multiple antenna wireless cellular network
US6973094B1 (en) * 2000-09-29 2005-12-06 Broadcom Corporation Packet-switched multiple-access network system with distributed fair priority queuing
EP1209862A1 (en) 2000-11-22 2002-05-29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of linking two schedulers of a multi-layer network and a network comprising a transceiver having linking functionality for two schedulers
FI112138B (fi) * 2001-02-09 2003-10-31 Nokia Corp Kehittynyt menetelmä ja järjestely tiedon siirtämiseksi pakettiradiopalvelussa
JP4187940B2 (ja) 2001-03-06 2008-11-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パケット伝送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パケット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送受信装置
US7386000B2 (en) 2001-04-17 2008-06-10 Nokia Corporation Packet mode speech communication
US20030079023A1 (en) * 2001-10-19 2003-04-24 Thorarinn Stefansson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JP4110964B2 (ja) * 2002-12-25 2008-07-02 日本電気株式会社 伝送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転送方法
SE0302685D0 (sv) 2003-10-07 2003-10-07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and arrangement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JP4886689B2 (ja) * 2005-07-15 2012-02-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パケット送信装置
JP4188368B2 (ja) * 2005-09-28 2008-11-26 韓國電子通信研究院 イーサネット受動光加入者網(EPON)においてQoS保障のための帯域割当装置及び方法
US8208378B2 (en) * 2007-06-15 2012-06-26 Qualcomm Incorporated Protocol data unit priority manage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18906A2 (en) * 2005-07-27 2007-02-1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scheduling urgent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464719C2 (ru) 2012-10-20
KR20100031539A (ko) 2010-03-22
JP2010530191A (ja) 2010-09-02
RU2010101057A (ru) 2011-07-20
CN101682487A (zh) 2010-03-24
US20120207096A1 (en) 2012-08-16
AU2008265969A1 (en) 2008-12-24
IL202433A0 (en) 2010-06-30
MX2009013659A (es) 2010-01-27
CA2687723A1 (en) 2008-12-24
IL202433A (en) 2014-04-30
CA2687723C (en) 2014-09-30
JP5096570B2 (ja) 2012-12-12
CN101682487B (zh) 2013-10-02
HK1141914A1 (en) 2010-11-19
US20080310387A1 (en) 2008-12-18
UA95372C2 (ru) 2011-07-25
AU2008265969B2 (en) 2011-10-20
TWI410100B (zh) 2013-09-21
EP2174439A2 (en) 2010-04-14
EP2174439B1 (en) 2017-11-01
US8619577B2 (en) 2013-12-31
WO2008157448A3 (en) 2009-02-12
WO2008157448A2 (en) 2008-12-24
BRPI0812727A2 (pt) 2014-12-23
US8208378B2 (en) 2012-06-26
MY152588A (en) 2014-10-31
TW200917757A (en) 200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2645B1 (ko)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복원
EP2229800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release resources
RU2484592C2 (ru) Обработка запросов опрашивания от одноранговых узлов управления линией радиосвязи
US8553712B2 (en) Carrier mana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ssigned a set of two or more carriers by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1166629B1 (ko) 업링크 요청들
EP2250765B1 (en) Variable abort timer
KR101197979B1 (ko)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우선순위 관리
CN111416687A (zh) 一种被用于信道感知的通信设备中的方法和装置
US8537742B2 (en) Reverse-link quality-of-service information in data packet hea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