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6629B1 - 업링크 요청들 - Google Patents

업링크 요청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6629B1
KR101166629B1 KR1020107005566A KR20107005566A KR101166629B1 KR 101166629 B1 KR101166629 B1 KR 101166629B1 KR 1020107005566 A KR1020107005566 A KR 1020107005566A KR 20107005566 A KR20107005566 A KR 20107005566A KR 101166629 B1 KR101166629 B1 KR 101166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queue size
bit rates
high priority
communic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5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2536A (ko
Inventor
알렉산더 담자노빅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52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2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5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25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for supporting services specification, e.g. SLA
    • H04L47/2433Allocation of priorities to traffic ty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combination with information about buffer occupancy at either end or at transit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4Rate requirement of the data, e.g. scalable bandwidth, data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5Power headroom repor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2Negotiating communication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다수의 무선 베어러들의 비트 레이트들을 고려하는 업링크 요청들의 생성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이 제시된다. 특히, 사용자 장비에 의해 서비스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에 우선순위들이 할당된다. 부가적으로, 각각의 무선 베어러에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 및 최대 비트 레이트가 할당된다.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의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 및 최대 비트 레이트들은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 및 전체 큐 사이즈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큐 사이즈들은 액세스 포인트로 송신된 업링크 리소스 요청에 통합된다.

Description

업링크 요청들{UPLINK REQUESTS}
본 출원은 2007년 8월 4일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 UPLINK REQUEST MESSAGE"인 미국 임시특허출원 번호 제 60/955,845호에 우선권을 주장한다. 전술한 출원 전체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원에 통합된다.
다음의 기재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서 업링크 리소스 요청 포맷(uplink resource request format)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다양한 유형의 통신 콘텐트,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등을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되어 있다. 전형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이용가능한 시스템 리소스들(예를 들어, 대역폭, 송신 전력)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액세스 시스템들일 수 있다. 이러한 다중-액세스 시스템들의 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시스템들, 시 분할 다중 접속(TDMA)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시스템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시스템들, 및 이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시스템들은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 3GPP2, 3GPP 롱-텀 에벌루션(long-term evolution; LTE) 등과 같은 규격들에 부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다중-접속 통신 시스템들은 다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대한 통신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각각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순방향 링크 및 역방향 링크 상에서의 송신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과 통신할 수 있다. 순방향 링크(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들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역방향 링크(또는 업링크)는 모바일 디바이스들로부터 기지국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나아가, 모바일 디바이스들과 기지국들 사이의 통신들은 단일-입력 단일-출력(SISO) 시스템들, 다중-입력 단일-출력(MISO) 시스템들,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시스템들 등을 통해 구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피어-투-피어(peer-to-peer) 무선 네트워크 구성들에서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들과 통신(그리고/또는 기지국들이 다른 기지국들과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종종 커버리지 영역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을 사용한다. 일반적인 기지국은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및/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들을 위한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을 송신할 수 있고, 여기서 데이터 스트림은 액세스 단말에 독립적인 수신 관심이 있을 수 있는 데이터의 스트림일 수 있다. 이러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액세스 단말은 복합 스트림에 의해 이송되는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 하나를 초과하는 데이터 스트림, 또는 모든 데이터 스트림들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액세스 단말은 기지국 또는 또 다른 액세스 단말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MIMO 시스템들은 보통 데이터 송신을 위한 다수의(NT) 송신 안테나들 및 다수의(NR) 수신 안테나들을 이용한다. NT개의 송신 안테나들 및 NR개의 수신 안테나들에 의해 형성된 MIMO 채널은 공간 채널들이라고도 불릴 수 있는 NS개의 독립 채널들로 분해될 수 있고, 여기서 NS≤{NT, NR} 이다. 각각의 NS개의 독립 채널들은 차원(dimension)에 대응한다. 더욱이,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 및 수신 안테나들에 의해 생성된 부가적인 차원들(dimensionalities)이 이용되는 경우, MIMO 시스템들은 개선된 성능(예를 들면, 증가된 스펙트럼 효율, 더 많은 처리량 및/또는 더 나은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MIMO 시스템들은 공통의 물리적 매체를 통해 순방향 링크 통신 및 역방향 링크 통신을 분리하기 위하여 다양한 듀플렉싱 기법들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시스템들은 순방향 링크 통신 및 역방향 링크 통신들을 위한 이종의 주파수 영역들을 이용할 수 있다. 더욱이, 시 분할 듀플렉스(TDD) 시스템들에서, 순방향 링크 통신 및 역방향 링크 통신은 공통의 주파수 영역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 기술들은 채널 정보와 관련하여 제한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거나 어떠한 피드백도 제공할 수 없다.
다음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이러한 실시예들의 간략화된 요약을 제공한다. 본 요약은 모든 가능한 실시예들에 대한 포괄적인 개요는 아니며, 모든 실시예들의 핵심 또는 중요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거나, 임의의 또는 모든 실시예들의 범위를 서술하고자 할 의도도 아니다. 이것의 유일한 목적은 이후 제시되는 상세한 설명에 대한 도입부로서 간략화된 형태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몇몇 개념들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이들의 대응하는 개시내용에 따라, 다수의 무선 베어러(radio bearer)들의 비트 레이트(bit rate)들을 고려하는 업링크 요청들을 사용하는 것과 관련하여 다양한 양상들이 제시된다. 특히,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에 의해 서비스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에 우선순위들이 할당된다. 추가적으로, 각각의 무선 베어러에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prioritized bit rate) 및 최대 비트 레이트(maximum bit rate)가 할당된다.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의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 및 최대 비트 레이트들은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high priority queue size) 및 전체 큐 사이즈(total queue size)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큐 사이즈들은 액세스 포인트로 송신된 업링크 리소스 요청으로 통합된다.
관련된 양상들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레이트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서비스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에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 및 최대 비트 레이트들을 할당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또한,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의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방법은,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의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 및 최대 비트 레이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전체 큐 사이즈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 및 전체 큐 사이즈를 포함하는 업링크 리소스 요청을 송신하는 것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장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서비스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에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 및 최대 비트 레이트들을 할당하는 것,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의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를 결정하는 것,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의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 및 최대 비트 레이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전체 큐 사이즈를 결정하는 것, 및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 및 전체 큐 사이즈를 포함하는 업링크 리소스 요청을 송신하는 것과 관련된 명령들을 보유(retain)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는 또한, 메모리와 결합되어 메모리에 보유된 명령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레이트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장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서비스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에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 및 최대 비트 레이트들을 할당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의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의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 및 최대 비트 레이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전체 큐 사이즈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 및 전체 큐 사이즈를 포함하는 업링크 리소스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에 관한 것이고, 이것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사용자 장비에 의해 서비스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에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 및 최대 비트 레이트들을 할당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의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를 결정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의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 및 최대 비트 레이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전체 큐 사이즈를 결정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 및 전체 큐 사이즈를 포함하는 업링크 리소스 요청을 송신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서비스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에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 및 최대 비트 레이트들을 할당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의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를 결정하고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의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 및 최대 비트 레이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전체 큐 사이즈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프로세서는,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 및 전체 큐 사이즈를 포함하는 업링크 리소스 요청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들 및 이와 관련된 목적들의 성취를 위하여,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은 앞으로 상세하게 제시되는 특징들 및 청구항들에서 특정되는 특징들을 포함한다. 이후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몇몇 예시적인 양상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원리들이 채용될 수 있는 단지 몇 개의 다양한 방법들을 나타내며, 이곳에서 제시된 실시예들은 모든 이러한 양상들 및 이들의 등가물들을 포함하고자 하려는 의도이다.
도 1은 이곳에서 제시된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도시(illustration)이다.
도 2는 무선 통신 환경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통신 장치의 도시이다.
도 3은 리소스 요청들에 포함된 큐 사이즈들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PBR 및 MBR을 사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도시이다.
도 4는 업링크 리소스들을 요청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패킷 포맷(format)들의 도시이다.
도 5는 토큰 버킷 메커니즘(token bucket mechanism)을 묘사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의 도시이다.
도 6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요청들에서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 및 최대 비트 레이트를 고려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의 도시이다.
도 7은 베어러들의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 및 최대 비트 레이트를 고려하는 업링크 요청에 응답하여 리소스들을 스케줄링(scheduling)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의 도시이다.
도 8은 본 발명 개시내용의 일 양상에 따라 업링크 요청들을 사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의 도시이다.
도 9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트 레이트들을 고려하는 업링크 요청 포맷을 이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의 도시이다.
도 10은 이곳에서 제시된 다양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 환경의 도시이다.
도 11은 리소스 요청들에 포함된 큐 사이즈들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 및 최대 비트 레이트들을 사용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의 도시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제시되며, 유사한 도면부호들은 전체를 통해 유사한 요소들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설명 목적들을 위해, 다양한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는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이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들에서, 공지된 구조들 및 디바이스들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로 도시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은 컴퓨터-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중인 소프트웨어를 지칭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익서큐터블(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디바이스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은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고,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상에 로컬화될 수 있고/있거나, 2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그 내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을 갖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부터 실행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갖는 신호(예를 들면, 로컬 시스템, 분산 시스템에서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의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통해 다른 시스템들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처리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이 모바일 디바이스와 관련하여 본원에서 설명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시스템,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모바일, 원격국, 원격 단말, 액세스 단말,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장비(UE)로 지칭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셀룰러 전화,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무선 연결 능력을 구비한 핸드헬드(handheld)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되는 다른 처리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이 기지국과 관련하여 본원에서 제시된다. 기지국은 모바일 디바이스(들)와 통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고 액세스 포인트, 노드 B, 진화된 노드 B(eNode B 또는 eNB), 기지 송수신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또는 일부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또한, 이곳에서 제시된 다양한 양상들 또는 특징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기술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한 제조 물품(article of manufactur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디바이스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캐리어(carrier), 또는 매체(media)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들 등), 광학 디스크들(예를 들면, CD, DVD 등), 스마트 카드들, 및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예를 들면, 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제시되는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 및/또는 다른 기계-판독가능 매체를 나타낼 수 있다. 용어 "기계-판독가능 매체"는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보유, 및/또는 전달할 수 있는 무선 채널들 및 다양한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제시되는 기술들은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시 분할 다중 접속(TDMA),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단일 캐리어 주파수 도메인 다중화(SC-FDMA) 및 다른 시스템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이곳의 용어들 "시스템" 및 "네트워크"는 종종 서로 교환하여 사용될 수 있다. CDMA 시스템은 유니버셜 지상 무선 액세스(UTRA), CDMA2000 등과 같은 무선 기술들을 구현할 수 있다. UTRA는 와이드밴드-CDMA(W-CDMA) 및 CDMA의 다른 변형들을 포함한다. CDMA2000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포함한다. TDMA 시스템은 이동 통신용 범용 시스템(GSM)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시스템은 진화된 UTRA(E-UTRA), 울트라 모바일 브로드밴드(UMB),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플래시-OFDM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및 E-UTRA는 유니버셜 이동 통신 시스템(UMTS)의 일부이다. 3GPP 롱 텀 에벌루션(LTE)은 다운링크에서 OFDMA를 사용하고 업링크에서 SC-FDMA를 사용하는, E-UTRA를 사용하는 UMTS의 다음 릴리스이다. UTRA, E-UTRA, UMTS, LTE, 및 GSM은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라 명명된 조직의 문서들에 제시된다. CDMA2000 및 UMB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3GPP2)"라 명명된 조직의 문서들에 제시된다.
이제 도 1을 참조할 때,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이곳에서 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시된다. 시스템(100)은 다수의 안테나 그룹들을 포함할 수 있는 기지국(10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안테나 그룹은 안테나들(104 및 106)을 포함할 수 있고, 또 다른 그룹은 안테나들(108 및 1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그룹은 안테나들(112 및 114)을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안테나들은 각각의 안테나 그룹에 대하여 도시된다; 그러나, 각 그룹에 대하여 더 많거나 더 적은 안테나들이 이용될 수 있다. 기지국(102)은 송신기 체인 및 수신기 체인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이들 각각의 체인은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것처럼 차례로 신호 송신 및 수신과 연관된 다수의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프로세서들, 변조기들, 멀티플렉서(multiplexer)들, 복조기들,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들, 안테나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02)은 모바일 디바이스(116) 및 모바일 디바이스(122)와 같은 하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다; 그러나, 기지국(102)은 모바일 디바이스들(116 및 122)과 유사한 실질적으로 임의의 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다는 점이 인식되어야 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들(116 및 122)은 예를 들어, 셀룰러 폰들, 스마트 폰들, 랩탑들, 핸드헬드 통신 디바이스들,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들, 위성 라디오들,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들, PDA들, 및/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모바일 디바이스(116)는 안테나들(112 및 114)과 통신하며, 안테나들(112 및 114)은 순방향 링크(118)를 통해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116)로 송신하고 역방향 링크(120)를 통해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116)로부터 수신한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22)는 안테나들(104 및 106)과 통신하며, 안테나들(104 및 106)은 순방향 링크(124)를 통해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122)로 송신하고 역방향 링크(126)를 통해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122)로부터 수신한다.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시스템에서, 예를 들어, 순방향 링크(118)는 역방향 링크(120)에 의해 사용되는 것과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고, 순방향 링크(124)는 역방향 링크(126)에 의해 사용되는 것과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시분할 듀플렉스(TDD) 시스템에서, 순방향 링크(118)와 역방향 링크(120)는 공통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고, 순방향 링크(124)와 역방향 링크(126)는 공통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다.
안테나들의 각각의 그룹 및/또는 이들이 통신하도록 지정되는 영역은 기지국(102)의 섹터라고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그룹들은 기지국(102)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들의 섹터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순방향 링크들(118 및 124)을 통한 통신에서, 기지국(102)의 송신 안테나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들(116 및 122)에 대한 순방향 링크들(118 및 124)의 신호-대-잡음비를 개선하기 위하여 빔형성(beamforming)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것은 원하는 방향들로 신호들을 조향(steer)하기 위해 프리코더(precoder)를 이용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102)이 관련된 커버리지를 통해 무작위로 분산된 모바일 디바이스들(116 및 122)로 송신하기 위해 빔형성을 이용하는 동안, 이웃하는 셀들에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모든 모바일 디바이스들로 단일한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기지국과 비교하여 더 적은 간섭을 받을 수 있다. 더욱이 모바일 디바이스들(116 및 122)은, 하나의 예로서, 피어-투-피어 또는 애드혹(ad hoc) 기술을 이용하여 서로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 따르면, 시스템(100)은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더욱이, 시스템(100)은 FDD, TDD 등과 같이 통신 채널들(예를 들어, 순방향 링크, 역방향 링크 등)을 분할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임의의 유형의 듀플렉싱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더욱이 시스템(100)은 다중-베어러(multiple-bearer) 시스템일 수 있다. 베어러는 정의된 용량(capacity), 지연, 비트 에러 레이트 등의 정보 경로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들(116 및 122)은 각각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을 위해 서비스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들(116 및 122)은, 이러한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을 통해 업링크 리소스들을 관리 및/또는 공유하기 위해 업링크 레이트 제어 메커니즘들을 채용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들(116 및 122)은 무선 베어러들을 위해 서비스하고 업링크 레이트 제한들을 강제(enforce)하기 위해 토큰 버킷 메커니즘들을 채용할 수 있다.
도시에 따르면, 각각의 베어러는 연관된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PBR), 최대 비트 레이트(MBR) 및 보장된(guaranteed) 비트 레이트(GBR)를 가질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들(116 및 122)은 연관된 비트 레이트 값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무선 베어러들을 위해 서비스할 수 있다. 이러한 비트 레이트 값들은 또한 각각의 베어러에 대해 PBR 및 MBR을 고려하는 큐 사이즈들을 계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큐 사이즈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들(116 및 122)에 의해 기지국(102)로 송신되는 업링크 리소스 요청들에 포함될 수 있다. 기지국(102)은 각각의 업링크 요청들 및 포함된 큐 사이즈들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들(116 및 122)에 대한 업링크 리소스들을 스케줄링(scheduling)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할 때, 무선 통신 환경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통신 장치(200)가 도시된다. 통신 장치(200)는 기지국 또는 이의 일부,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이의 일부, 또는 무선 통신 환경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실질적으로 임의의 통신 장치일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통신 장치(200)는 요청하는 디바이스로 무선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장치(200)는, 각각의 무선 베어러에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PBR), 최대 비트 레이트(MBR) 및 보장된 비트 레이트(GBR)를 할당할 수 있는 무선 리소스 제어(202),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의 PBR들 및 MBR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큐 사이즈들을 계산할 수 있는 큐 사이즈 평가기(204), 및 계산된 큐 사이즈들을 포함하는 업링크 리소스 요청 패킷을 생성할 수 있는 요청 포맷터(request formatter; 206)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 따르면, 통신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을 위해 서비스할 수 있다. 베어러는 정의된 용량, 지연, 비트 에러 레이트 등을 포함하는 정보 경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어러는 논리 채널일 수 있다. 통신 장치(200)는 우선순위에 따라 하나 이상의 베어러들을 위해 서비스할 수 있다. 우선순위를 확정하기 위하여 무선 리소스 제어(RRC; 202)는, 통신 장치(200)에 의해 서비스되는 각각의 무선 베어러에 PBR, MBR, 및 GBR을 할당할 수 있다. RRC(202)는 UMTS WCDMA 프로토콜 스택의 일부이고 사용자 장비들(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들 또는 액세스 단말들)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예를 들어, 기지국들, 액세스 포인트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들 등) 간에 제어 평면(control plane)을 신호적으로 처리한다. RRC(202)는 접속 구축(establishment) 및 해제(release), 시스템 정보의 방송, 무선 베어러 구축, 재구성(reconfiguration) 및 해제, RRC 접속 이동성 프로시저(mobility procedure)들, 페이징 통지(paging notification) 및 해제, 외부 루프 전력 제어 등과 같은 기능들을 처리할 수 있다.
각각의 무선 베어러로 비트 레이트들이 할당된 상태에서, 통신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의 PBR들 및 MBR들을 고려하는 큐 사이즈를 결정할 수 있다. 큐 사이즈 평가기(204)는, 통신 장치(200)에 의해 서비스되는 무선 베어러들의 비트 레이트들(예를 들어, PBR 및 MBR)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적절한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 및 전체 큐 사이즈를 확정(ascertain)할 수 있다. 이러한 큐 사이즈 평가기(204)는 다음 식에 따라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QS(h))를 확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0015959600-pct00001
이러한 예에 따르면, QS(1)은 베어러 1(예를 들면, 최고 우선순위 베어러)의 전체 큐 사이즈를 나타내고, QS(2)는 베어러 2의 전체 큐 사이즈를 나타내며 QS(n)은 베어러 n의 전체 큐 사이즈를 나타내고, 여기서 n은 1 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TBD(예를 들어, 전체 버킷 깊이(total bucket depth)를 나타내는 함수 명칭)는 베어러의 비트 레이트(예를 들면, 우선순위화 또는 최대)에 기초하여 전체 버킷 깊이를 평가하는 함수이다. 따라서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 QS(h)는, PBR 토큰 버킷 깊이들에 의해 제한된 모든 베어러들의 전체 큐 사이즈들 및 MBR 토큰 버킷 깊이에 의해 제한된 최고 우선순위 베어러의 전체 큐 사이즈의 합에 대응한다. 따라서, QS(h)는 모든 베어러들을 통한 모든 고 우선순위 데이터(예를 들면,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 토큰 버킷에 보유된 베어러 큐에서의 데이터)의 총합이다. 추가적으로, 최고 우선순위 베어러(예를 들면, 베어러 1)의 잔류 데이터 또한 고려되고 이러한 총합에 더해진다.
큐 사이즈 평가기(204)가 위에서 기술된 예로 제한될 필요가 없다는 점이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큐 사이즈 평가기(204)는,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 QS(h)가 PBR 토큰 버킷 깊이에 의해 제한된 최고 우선순위 베어러의 전체 큐 사이즈가 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0015959600-pct00002
이러한 예에 따르면,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는 제 1 베어러의 고 우선순위 데이터의 양에 대응한다.
더욱이, 큐 사이즈 평가기(204)는 모든 베어러들을 통하여 고 우선순위 데이터를 총합할 수 있고, 베어러 1의 잔류 데이터를 고려할 수 없다.
Figure 112010015959600-pct00003
또 다른 예에 따르면,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는 다음 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0015959600-pct00004
이러한 예에서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는, 베어러의 PBR 버킷 깊이 및 MBR 버킷 깊이의 합에 의해서 제한된 최고 우선순위 무선 베어러(예를 들어, 베어러 1)의 전체 큐 사이즈이다.
큐 사이즈 평가기(204)는 또한 다음의 식에 따라 전체 큐 사이즈, QS(t)를 확정한다:
Figure 112010015959600-pct00005
이러한 예에 따르면, 전체 큐 사이즈, QS(t)는 모든 베어러들(예를 들어, 베어러들 1 내지 n; 여기서 n은 1 보다 크거나 같은 임의의 정수)을 통한 전체 큐 사이즈를 나타낸다. 모든 베어러들의 전체 큐 사이즈는 PBR 토큰 버킷 깊이 및 MBR 토큰 버킷 깊이에 의해 제한된다. 이러한 제한은 전체 큐 사이즈가 비트 레이트 제약(constraint)들을 넘어서는 것을 방지한다. 큐 사이즈 평가기(204)가 다른 메커니즘들을 채용할 수 있다는 점이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전체 큐 사이즈, QS(t)는 모든 큐 사이즈들의 단순한 합일 수 있고 기지국 또는 네트워크는 MBR 제약들을 부과할 수 있다.
더욱이 도 5에 관하여 이하에서 제시되는 것처럼, 큐 사이즈 평가기(204)는 통신 장치(200)가 토큰 버킷 메커니즘을 이용하지 않는 유사한 원리들을 채용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는, 최대 비트 레이트에 부합하는 최고 우선순위 흐름(flow)의 우선순위보다 높거나 같은 현재의 우선순위를 가진 데이터의 양에 대응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전체 큐 사이즈는 단순한 전체 큐 사이즈에 대응할 수도 있다.
요청 포맷터(206)는 큐 사이즈 평가기(204)에 의해 결정된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 및 전체 큐 사이즈를 포함하는 업링크 리소스 요청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통신 장치는 지연 기한(delay deadline) 및/또는 큐 사이즈들에 있어서의 변화들에 대한 업링크 요청을 배출할 수 있다. 몇몇의 상황들에 있어서, 네트워크(예를 들어, 기지국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등)는 요청들의 주파수를 제한한다. 그러나, 통신 장치(200)가 업링크 리소스들을 갖지 않은 경우(예를 들어, PDSCH 상에서 스케줄링된 경우), 통신 장치(200)는 전용 업링크 요청 채널 상에서 대역외(out of band) 요청들을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전용 채널은, 데이터가 스케줄링 되도록 긴급성(urgency)을 전달하는 하나의 비트 또는 두 개의 비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통신 장치(200)는, 무선 베어러들에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을 할당하는 것, 무선 베어러들에 최대 비트 레이트들을 할당하는 것,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들을 평가하는 것, 전체 큐 사이즈들을 결정하는 것, 요청들을 포맷하는 것 등에 관련된 명령들을 보유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여야 한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메모리는 레이트 제어를 강제하기 위해 토큰 버킷 메커니즘을 구현하는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 장치(200)는, 명령들(예를 들어, 메모리 내에 보유된 명령들, 이종 소스로부터 획득된 명령들)을 실행하는 것과 관련하여 이용될 수 있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리소스 요청들에 포함된 큐 사이즈들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PBR 및 MBR 값들을 사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300)이 도시된다. 이러한 시스템(300)은 액세스 단말(304)(및/또는 임의의 수의 이종 디바이스들(도시되지 않음))과 통신할 수 있는 액세스 포인트(302)를 포함한다. 이러한 액세스 포인트(302)는 순방향 링크 채널을 통해 액세스 단말(304)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 액세스 포인트(302)는 역방향 링크 채널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304)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더욱이, 시스템(300)은 MIMO 시스템, 또는 액세스 단말(304)이 다수의 무선 베어러들(예를 들면, 논리 채널들)을 위해 서비스하는 다중 베어러 시스템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시스템(300)은 OFDMA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3GPP, 3GPP2, 3GPP LTE 등)에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로서, 액세스 포인트(302)에서 이하 도시되고 제시된 컴포넌트들 및 기능들은 액세스 단말(304)에 존재할 수 있고, 역도 성립한다.
액세스 포인트(302)는 액세스 단말(304)로부터 업링크 리소스 요청들을 획득하는 수신기(305)를 포함한다. 액세스 포인트(302)는 또한, 이러한 요청에 따라 액세스 단말(304)로 리소스들을 스케줄링 또는 할당하는 스케줄러(308)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304)은, 액세스 단말(304)에 의해 서비스되는 각각의 무선 베어러로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PBR), 최대 비트 레이트(MBR) 및 보장된 비트 레이트(GBR)를 할당할 수 있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310)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304)은 또한,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의 PBR들 및 MBR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액세스 단말(304)에 대한 큐 사이즈들을 계산할 수 있는 큐 사이즈 평가기(312)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액세스 단말은 이러한 계산된 큐 사이즈들을 포함하는 업링크 리소스 요청 패킷을 생성할 수 있는 요청 포맷터(3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단말(304)은, 각각의 무선 베어러에 대하여 PBR 및 MBR을 강제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 사이에서 업링크 리소스들의 공유를 관리할 수 있는 레이트 제어 인포서(enforcer ; 316)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 따르면, 액세스 단말(304)은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을 위해 서비스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스 단말(304)은 우선순위에 따라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을 위해 서비스할 수 있다. 우선순위를 확정하기 위해, 무선 리소스 제어(RRC; 310)는 각각의 무선 베어러에 PBR, MBR 및 GBR을 할당할 수 있다. 큐 사이즈 평가기(312)는,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예를 들면, 고 우선순위 데이터의 양) 및 전체 큐 사이즈(예를 들면, 데이터의 양)를 결정하기 위해 각각의 무선 베어러에 할당된 PBR 및 MBR을 이용할 수 있다. 큐 사이즈 평가기(312)는,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 및 전체 큐 사이즈를 확정하기 위해, 도 2에 관하여 상기 제시된 메커니즘들 중 하나를 채용할 수 있다.
요청 포맷터(314)는, 큐 사이즈 평가기(312)에 의해 결정된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 및 전체 큐 사이즈를 포함하는 업링크 리소스 요청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304)은 지연 기한 및/또는 큐 사이즈들에 있어서의 변화들에 대한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몇몇 상황들에서, 액세스 포인트(302)는 요청들의 주파수를 제한한다. 그러나, 액세스 단말(304)이 업링크 리소스들을 갖지 않은 경우, 액세스 단말(304)은 전용 업링크 요청 채널 상에서 송신된 대역외 요청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전용 채널은, 데이터가 스케줄링 되도록 긴급성(urgency)을 전달하는 하나의 비트 또는 두 개의 비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요청 포맷터(314)는 이러한 요청을 생성하기 위해 다양한 패킷 포맷들을 이용할 수 있다.
잠시 도 4를 참조하면, 업링크 리소스들을 요청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패킷 포맷들(400)이 도시된다. 이러한 패킷 포맷들(400)은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HSUPA)에서 이용되는 요청 포맷들과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패킷 포맷들에 있어서의 큐 사이즈는, 위에서 기술된 것처럼 각각의 흐름(flow)의 PBR 및 MBR을 고려하기 위해서 계산된다. 패킷 포맷(402)은 매체 접근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헤더, 고 우선순위 데이터에 대한 큐 사이즈 및 모든 데이터에 대한 전체 큐 사이즈를 포함한다. MAC 헤더는 송신을 위해 준비된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해 패킷(402)을 프리픽싱(prefixing)하는 헤더이다. 고 우선순위 데이터에 대한 큐 사이즈 및 전체 큐 사이즈는 큐 사이즈 평가기(204 또는 312)에 의해 결정된 값들일 수 있다. 패킷 포맷(404)은 전력 헤드룸(power headroom), 최고 우선순위 채널 또는 베어러의 채널 식별자(identifier), 및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 및 전체 큐 사이즈를 포함한다. 전력 헤드룸은, 추가적인 송신 전력이 요구되는 경우에 예약된 송신 전력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송신들의 최대 개수가 고갈되기 전에 HARQ가 종료되도록, 액세스 포인트(예를 들면, 기지국, eNodeB 등) 스케줄러가 업링크 송신들을 위해 적절한 변조 방식 및 코딩 방식(MCS)을 할당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력 헤드룸이 요구된다. 채널 식별자는 최고 우선순위 논리 채널 또는 베어러의 아이덴티티(identity)에 관한 것이다. 패킷(406)은, 채널 식별자 대신에 지연 기한이 포함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패킷 포맷(404)과 유사하다. 이러한 포맷에서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는, 기한까지 최단 시간을 가진 데이터의 양을 나타내고 지연 기한은 기한까지 남아 있는 이러한 시간에 대응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액세스 단말(304)은 요청 포맷터(314)에 의해 생성된 업링크 요청을 액세스 포인트(302)로 송신할 수 있다. 수신기(306)는 송신된 업링크 요청을 획득할 수 있고 이것을 스케줄러(308)로 제공할 수 있다. 스케줄러(308)는, 업링크 요청에서 보고(report)된 큐 사이즈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액세스 단말(304)에 업링크 리소스들을 할당한다.
일단 리소스들이 획득되고 나면, 액세스 단말(304)은 무선 베어러들을 위해 서비스할 수 있다. 레이트 제어 인포서(316)는, 리소스들이 공유되고 비트 레이트 제약들(가령, PBR, MBR 등)이 준수(observe)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무선 베어러들의 우선순위를 매긴다. 레이트 제어 인포서(316)는, 베어러들의 PBR에 이르기까지 우선순위가 감소되는 순서로 무선 베어러들을 위해 서비스한다. 이와 같이 고 우선순위 데이터는, PBR이 초과되지 않는 한 최대량으로부터 최소량까지의 순서로 서비스된다. 그 후 스케줄러(308)에 의해 전달(convey)된 리소스 승인(grant)에 의해 할당된 잔여 리소스들에 대해 우선순위가 감소되는 순서로 무선 베어러들이 서비스된다. 레이트 제어 인포서(316)는, 베어러들의 MBR이 초과되지 않는 한 잔여 리소스들에 대하여 무선 베어러들을 위해 서비스한다. 몇몇 상황들에 있어서, 모든 무선 베어러들이 PBR들을 0으로 설정시킬 수 있다. 무선 베어러들은 엄격한 우선순위 순서로 서비스되고 레이트 제어 인포서(316)는 보다 높은 우선순위 데이터의 송신을 최대화한다. 추가적으로, 레이트 제어 인포서(316)는 동일한 우선순위를 가진 무선 베어러들을 위해서는 동등하게 서비스한다.
레이트 제어 인포서(316)는 토큰 버킷 메커니즘을 채용할 수 있다. 잠시 도 5를 참조하면, 토큰 버킷 메커니즘을 묘사하는 예시적인 시스템(500)이 도시된다. 이러한 시스템(500)은 1 내지 N으로 순위가 정해진 다수의 무선 베어러들을 도시하고, 여기서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임의의 정수이다. 1 순위 베어러는 최고 우선순위 무선 베어러를 나타낸다. 3개의 베어러들이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개시내용의 양상들과 관련하여 1 보다 크거나 같은 임의의 수의 베어러들이 이용될 수 있다는 점이 인식되어야 한다. 각각의 무선 베어러는 PBR 토큰 버킷 및 MBR 토큰 버킷을 가진다. PBR 토큰 버킷은 고 우선순위 데이터를 포함하고 MBR 토큰 버킷은 잔여 데이터를 포함한다. 토큰 버킷들의 전체 용량은, 무선 리소스 제어에 의해 할당된대로 PBR 및 MBR에 따라 제한된다. 각각의 토큰 버킷은, 버킷에서 토큰들 또는 데이터의 양에 대응하는 연관된 버킷 깊이를 가진다.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면, 액세스 단말 또는 사용자 장비)가 데이터를 송신할 때,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가능한 경우, PBR 토큰 버킷들로부터 토큰들 또는 데이터를 맨 먼저 소비한다. PBR 토큰 버킷들에서 토큰들이 사용가능하지 않은 경우,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MBR 토큰 버킷들로부터 토큰들을 소비한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다수의 무선 베어러들의 PBR 및 MBR을 고려하는 큐 사이즈들을 포함하는 업링크 요청들의 생성에 관한 방법들이 도시된다. 설명의 단순화를 위한 목적으로 이러한 방법들이 일련의 행위들로 도시되고 제시되었지만,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라 몇몇의 행위들이 상이한 순서로 발생할 수 있고/있거나 이곳에서 도시, 제시된 것과는 다른 행위들과 동시에 발생할 수 있는 것처럼, 이러한 방법들은 행위들의 순서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이 인식,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방법이 상태 다이어그램(state diagram)에서와 같이 일련의 상호관련된 상태들 또는 이벤트들로 대안적으로 표시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 인식할 것이다. 더욱이,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모든 도시된 행위들이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요청들에서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 및 최대 비트 레이트의 고려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600)이 도시된다. 참조 번호(602)에서,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 및 최대 비트 레이트들이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에 할당된다. 도시에 따르면, 무선 베어러는 정의된 용량, 지연, 비트 에러 레이트 등을 포함하는 정보 경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어러는 논리 채널일 수 있다. 참조 번호(604)에서,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는 모든 무선 베어러들의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에 기초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라 이러한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는 모든 무선 베어러들의 전체 큐 사이즈들의 총합에 대응하고, 여기에서 특정 베어러의 전체 큐 사이즈는 이러한 특정 베어러의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 토큰 버킷 깊이로 제한된다. 참조 번호(606)에서, 전체 큐 사이즈가 결정된다. 일 예에 따르면, 전체 큐 사이즈는 모든 베어러들의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 및 최대 비트 레이트들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전체 큐 사이즈는 모든 무선 베어러들의 전체 큐 사이즈들의 총합에 대응할 수 있고, 여기에서 특정 베어러의 전체 큐 사이즈는 이러한 특정 베어러의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 토큰 버킷 깊이 및 특정 베어러의 최대 비트 레이트 토큰 버킷 깊이의 합으로 제한된다. 참조 번호(608)에서, 업링크 리소스 요청이 송신된다. 이러한 업링크 리소스 요청은 모든 무선 베어러들의 비트 레이트들에 대하여 결정된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 및 전체 큐 사이즈를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베어러들의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 및 최대 비트 레이트를 고려하는 업링크 요청에 응답하여 리소스들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700)이 도시된다. 참조 번호(702)에서, 업링크 리소스 요청이 액세스 단말로부터 수신된다. 이러한 업링크 리소스 요청은 모든 무선 베어러들의 비트 레이트들에 대하여 결정된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 및 전체 큐 사이즈를 포함한다. 참조 번호(704)에서, 업링크 리소스들은 업링크 요청에 포함된 큐 사이즈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액세스 단말로 스케줄링된다. 참조 번호(706)에서, 액세스 단말로 스케줄링된 리소스들을 특정하는 할당 정보가 단말로 송신된다.
이곳에서 제시된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따라서, 베어러들에 우선순위들을 할당하는 것 및/또는 베어러들에 비트 레이트들을 할당하는 것과 관련하여 추론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이 인식될 것이다. 이곳에서 사용될 때, "추론하다" 또는 "추론"이라는 용어는, 이벤트들 및/또는 데이터를 통해 획득된 관측들의 집합으로부터 시스템, 환경, 및/또는 사용자의 상태들을 추론하는 과정 또는 이에 대해 추리(reasoning)하는 과정을 일반적으로 지칭한다. 추론은 예를 들어, 특정 전후관계(context) 또는 행위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거나, 상태들에 대한 확률 분포를 생성할 수 있다. 추론은 개연론적일 수 있다 ― 즉, 데이터 및 이벤트들의 고려에 기초한 관심 있는 상태들에 대한 확률 분포의 계산일 수 있다. 추론은 또한 이벤트들 및/또는 데이터의 집합으로부터 더 높은 레벨의 이벤트들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이러한 추론은, 이벤트들이 시간적으로 아주 근접하게 상관되어 있든 아니든, 그리고 이벤트들 및 데이터가 하나 또는 여러 이벤트 및 데이터 소스들로부터 오든지 간에, 관측된 이벤트들 및/또는 저장된 이벤트 데이터의 집합으로부터의 새로운 이벤트들 또는 행위들의 구성으로 귀결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 개시내용의 일 양상에 따라 업링크 요청들을 사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800)의 도시이다. 모바일 디바이스(800)는 수신기(802)를 포함하고, 이러한 수신기는 예를 들어 수신 안테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대하여 전형적인 행위들(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다운컨버팅(downconverting) 등)을 수행하며 샘플들을 획득하기 위해 컨디셔닝된 신호를 디지타이징(digitizing)한다. 수신기(802)는, 수신된 심볼들을 복조할 수 있고 채널 추정(estimation)을 위해 이러한 심볼들을 프로세서(806)로 제공할 수 있는 복조기(8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06)는, 수신기(802)에 의해 수신된 정보의 분석 및/또는 송신기(816)에 의한 송신을 위한 정보의 생성에 전용화된 프로세서, 모바일 디바이스(80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또는 수신기(802)에 의해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고 송신기(816)에 의한 송신을 위한 정보를 생성할 뿐만 아니라 모바일 디바이스(80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800)는 메모리(808)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메모리는 프로세서(806)와 동작가능하게 결합되어, 송신될 데이터, 수신된 데이터, 사용가능한 채널들과 관련된 정보, 분석된 신호 및/또는 간섭 강도와 연관된 데이터, 할당된 채널과 관련된 정보, 전력, 레이트, 또는 이와 유사한 것들, 및 채널을 추정(estimate)하고 채널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808)는 채널의 추정 및/또는 채널의 이용(예를 들어, 성능 기반, 용량 기반 등)과 연관된 프로토콜들 및/또는 알고리즘들을 추가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메모리(808)는, 모바일 디바이스(800)에 의해 서비스되는 하나 이상의 베어러들과 관련된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 최대 비트 레이트들, 큐 사이즈들 등을 보유할 수 있다.
본원에 제시된 데이터 저장소(가령, 메모리(808))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중 하나일 수 있거나,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이 인식될 것이다. 제한이 아닌 예시의 방식으로, 비휘발성 메모리는 리드 온리 메모리(ROM), 프로그래머블 ROM (PROM), 전기적 프로그래머블 ROM (EPROM), 전기적 소거가능 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 메모리로써 동작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시의 방식으로, RAM은 동기 RAM (SRAM), 다이나믹 RAM (DRAM), 동기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SDRAM (DDR SDRAM), 인핸스드 SDRAM (ESDRAM), 싱크링크 DRAM (SLDRAM), 및 디렉트 램버스 RAM (DRRAM)과 같은 많은 형태로 이용가능하다. 본 발명 시스템들 및 방법들의 메모리(808)는, 이들 및 임의의 다른 적절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도록 의도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806)는, 모바일 디바이스(800)에 대하여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 및 전체 큐 사이즈를 결정하는 큐 사이즈 평가기(810)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큐 사이즈 평가기(810)는, 무선 리소스 제어 프로토콜들에 의해 각각의 무선 베어러에 할당된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 및 최대 비트 레이트들에 기초하여 큐 사이즈들을 확정한다. 큐 사이즈 평가기(810)는, 예를 들어 위에서 제시된 것처럼, 큐 사이즈들을 결정하는 다수의 메커니즘들 중 하나를 채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806)는, 큐 사이즈 평가기(810)에 의해 결정된 큐 사이즈들을 포함하는 업링크 요청 패킷들을 생성하는 요청 포맷터(812)에 더 결합될 수 있다. 생성된 패킷은 액세스 포인트 또는 기지국으로 송신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800)는, 신호들을 변조하는 변조기(814), 및 예를 들어 기지국,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 등에 신호들을 송신하는 송신기(816)를 더 포함한다. 프로세서(806)로부터 분리된 것처럼 도시되었지만, 큐 사이즈 평가기(810), 요청 포맷터(812), 복조기(804), 및/또는 변조기(814)는 프로세서(806)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들(도시되지 않음)의 일부일 수 있다는 점이 인식되어야 한다.
도 9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트 레이트들을 고려하는 업링크 요청 포맷을 이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900)의 도시이다. 이러한 시스템(900)은,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906)을 통해 하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들(904)로부터 신호(들)를 수신하는 수신기(910), 및 송신 안테나(908)를 통해 하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들(904)로 송신하는 송신기(922)를 갖는 기지국(902)를 포함한다. 수신기(910)는 수신 안테나들(906)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정보를 복조하는 복조기(912)와 동작가능하게 연관된다. 복조된 심볼들은 도 8에 관하여 위에서 제시된 프로세서와 유사할 수 있는 프로세서(914)에 의해 분석되고, 이러한 프로세서는 신호(가령, 파일럿) 강도 및/또는 간섭 강도의 추정과 관련된 정보, 모바일 디바이스(들)(904)(또는 이종 기지국(도시되지 않음))로 송신될 데이터 또는 이러한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및/또는 이곳에서 제시된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의 수행과 관련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916)와 결합된다.
프로세서(914)는, 수신기(910)에 의해 수신된 정보의 분석 및/또는 송신기(922)에 의한 송신을 위한 정보의 생성에 전용화된 프로세서, 기지국(902)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또는 수신기(910)에 의해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고 송신기(922)에 의한 송신을 위한 정보를 생성할 뿐만 아니라 기지국(902)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기지국(902)은 메모리(916)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메모리는 프로세서(914)와 동작가능하게 결합되어, 송신될 데이터, 수신된 데이터, 사용가능한 채널들과 관련된 정보, 분석된 신호 및/또는 간섭 강도와 연관된 데이터, 할당된 채널과 관련된 정보, 전력, 레이트, 또는 이와 유사한 것들, 및 채널을 추정하고 채널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916)는 채널의 추정 및/또는 채널의 이용(예를 들어, 성능 기반, 용량 기반 등)과 연관된 프로토콜들 및/또는 알고리즘들을 추가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본원에 제시된 메모리(916)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중 하나일 수 있거나,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모두를 포함할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제한이 아닌 예시의 방식으로, 비휘발성 메모리는 리드 온리 메모리(ROM), 프로그래머블 ROM (PROM), 전기적 프로그래머블 ROM (EPROM), 전기적 소거가능 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 메모리로써 동작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시의 방식으로, RAM은 동기 RAM (SRAM), 다이나믹 RAM (DRAM), 동기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SDRAM (DDR SDRAM), 인핸스드 SDRAM (ESDRAM), 싱크링크 DRAM (SLDRAM), 및 디렉트 램버스 RAM (DRRAM)과 같은 많은 형태로 이용가능하다. 본 발명 시스템들 및 방법들의 메모리(916)는, 이들 및 임의의 다른 적절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도록 의도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914)는 스케줄러(918)에 더 결합된다. 이러한 스케줄러(918)는, 업링크 요청들에서 보고된 큐 사이즈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들(904)로 업링크 리소스들을 할당한다. 나아가, 프로세서(914)로부터 분리된 것처럼 도시되었지만, 스케줄러, 복조기(912), 및/또는 변조기(920)는 프로세서(914)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들(도시되지 않음)의 일부일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도 10은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1000)을 도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0)은, 간략화를 위해, 하나의 기지국(1010) 및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1050)를 도시한다. 그러나, 시스템(1000)은 둘 이상의 기지국 및/또는 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부가적인 기지국들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이하에서 기술되는 예시적인 기지국(1010) 및 모바일 디바이스(105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추가적으로, 기지국(1010)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50)는 이들 사이의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본원에 기술된 시스템들(도 1 내지 도 3 및 도 8 내지 도 9), 예들(도 4 및 도 5) 및/또는 방법들(도 6 내지 도 7)을 이용할 수 있다.
기지국(1010)에서,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가 데이터 소스(1012)로부터 송신(TX) 데이터 프로세서(1014)로 제공된다. 일례에 따르면,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은 개별적인 안테나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TX 데이터 프로세서(1014)는, 코드화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대하여 선택된 특정 코딩 방식에 기초하여, 트래픽 데이터 스트림을 포맷팅, 코딩, 및 인터리빙(interleaving)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하여 코드화된 데이터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기술들을 이용하여 파일럿 데이터와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파일럿 심볼들은 주파수 분할 다중(FDM), 시분할 다중(TDM), 또는 코드 분할 다중(CDM)일 수 있다. 파일럿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처리되는 공지된 데이터 패턴이며 채널 응답을 평가하기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50)에서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코드화된 데이터 및 멀티플렉싱된 파일럿은 변조 심볼들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 변조 방식(가령, BPSK(binary phase-shift keying), QPSK(quadrature phase-shift keying), M-PSK(M-phase-shift keying), M-QAM(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등)에 기초하여 변조(가령, 심볼 맵핑)될 수 있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 코딩, 및 변조는 프로세서(1030)에 의해 수행되거나 제공되는 명령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변조 심볼들은 TX MIMO 프로세서(1020)에 제공될 수 있고, 이러한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OFDM를 위해) 변조 심볼들을 추가로 처리할 수 있다. TX MIMO 프로세서(1020)는 그 후 N T 변조 심볼 스트림들을 N T 송신기들(TMTR; 1022a 내지 1022t)로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TX MIMO 프로세서(1020)는 빔형성 웨이트(beamforming weight)들을 데이터 스트림들의 심볼들에 그리고 심볼을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로 적용한다.
각각의 송신기(1022)는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각각의 심볼 스트림을 수신 및 처리하고, MIMO 채널을 통해 송신에 적합한 변조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아날로그 신호들을 추가로 컨디셔닝(가령, 증폭, 필터링 및 업컨버팅(upconverting))한다. 또한, 송신기들(1022a 내지 1022t)로부터의 N T 변조된 신호들은 각각 N T 안테나들(1024a 내지 1024t)로부터 송신된다.
모바일 디바이스(1050)에서, 송신되고 변조된 신호들이 N R 안테나들(1052a 내지 1052r)에 의해 수신되고 각각의 안테나(1052)로부터의 수신된 신호는 각각의 수신기(RCVR; 1054a 내지 1054r)에 제공된다. 각각의 수신기(1054)는 각각의 신호를 컨디셔닝(가령, 필터링, 증폭 및 다운컨버팅)하고, 샘플들을 제공하기 위해 컨디셔닝된 신호를 디지타이징하고, 대응하는 "수신된" 심볼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하여 샘플들을 더 처리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060)는 N T "검출된"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특정 수신기 처리 기술에 기초하여 N R 수신기들(1054)로부터의 N R 수신된 심볼 스트림들을 수신 및 처리할 수 있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060)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회복하기 위하여 각각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을 복조, 디인터리빙(deinterleave), 및 디코딩할 수 있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060)에 의한 처리는 기지국(1010)에 있는 TX MIMO 프로세서(1020)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1014)에 의해 수행되는 것에 상보적이다.
프로세서(1070)는, 어느 프리코딩 매트릭스(precoding matrix)를 전술한 것처럼 이용할 것인지를 주기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70)는 매트릭스 인덱스 부분과 랭크 값 부분을 포함하는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형성할 수 있다.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통신 링크 및/또는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에 관한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TX 데이터 프로세서(1038)에 의해 처리될 수 있고, 상기 TX 데이터 프로세서(1038)는 또한 변조기(1080)에 의해 변조되고, 송신기들(1054a 내지 1054r)에 의해 컨디셔닝되어, 기지국(1010)으로 다시 송신되는, 데이터 소스(1036)로부터의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도 수신한다.
기지국(10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50)로부터의 변조된 신호들이 안테나들(1024)에 의해 수신되고, 수신기들(1022)에 의해 컨디셔닝되고, 복조기(1040)에 의해 복조되고, RX 데이터 프로세서(1042)에 의해 처리되어 모바일 디바이스(1050)에 의해 송신된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추출한다. 또한, 프로세서(1030)는 상기 추출된 메시지를 처리하여, 빔형성 웨이트들을 결정하기 위해 어느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이용할지 결정한다.
프로세서들(1030 및 1070)은 각각, 기지국(1010) 및 모바일 디바이스(1050)에서의 동작을 지시(가령, 제어, 조정, 관리 등)할 수 있다. 각각의 프로세서들(1030 및 1070)은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032 및 1072)와 연관될 수 있다. 프로세서들(1030 및 1070)은 또한 각각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 대한 주파수 및 임펄스 응답 평가들을 유도하기 위하여 계산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원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하드웨어 구현을 위하여, 처리 유닛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들(ASICs),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DSPs), 디지털 신호 처리 디바이스들(DSPDs),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들(PLDs),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들(FPGAs),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본원에 기재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또는 마이크로코드, 프로그램 코드 또는 코드 세그먼트(code segment)들로 구현될 때, 이들은 저장 컴포넌트와 같은 기계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코드 세그먼트는 프로시져, 함수, 서브프로그램, 프로그램, 루틴, 서브루틴, 모듈, 소프트웨어 패키지, 클래스, 또는 명령들, 데이터 구조들, 또는 프로그램문(program statement)들의 임의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코드 세그먼트는 정보, 데이터, 인수(argument)들, 파라미터들, 또는 메모리 콘텐츠를 전달(passing) 및/또는 수신함으로써 또 다른 코드 세그먼트 또는 하드웨어 회로에 결합될 수 있다. 정보, 인수들, 파라미터들, 데이터 등은 메모리 공유, 메시지 전달(passing), 토큰 전달, 네트워크 송신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이용하여 전달, 포워딩, 또는 송신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을 위해서, 본원에 기재된 기술들이 본원에 기재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들(가령, 프로시져들, 함수들 등)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들은 메모리 유닛들에 저장되고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부에서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될 수 있고, 후자의 경우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대로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리소스 요청들에 포함된 큐 사이즈들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 값들 및 최대 비트 레이트 값들의 이용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1100)이 도시된다. 예를 들어, 시스템(1100)은 기지국, 모바일 디바이스 등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주할 수 있다. 시스템(1100)은 기능적 블록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낼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하고, 이러한 기능적 블록들은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예를 들어 펌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들을 나타내는 기능적 블록들일 수 있다. 시스템(1100)은, 함께 동작할 수 있는 전기적 컴포넌트들의 논리적 그룹핑(logical grouping; 110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논리적 그룹핑(1102)은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에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 및 최대 비트 레이트들을 할당하기 위한 전기적 컴포넌트(1104)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논리적 그룹핑(1102)은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의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를 결정하기 위한 전기적 컴포넌트(1106)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논리적 그룹핑(1102)은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의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 및 최대 비트 레이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전체 큐 사이즈를 결정하기 위한 전기적 컴포넌트(1108)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논리적 그룹핑(1102)은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 및 전체 큐 사이즈를 포함하는 업링크 리소스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전기적 컴포넌트(1110)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시스템(1100)은 전기적 컴포넌트들(1104, 1106, 1108 및 1110)과 연관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보유하는 메모리(1112)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12)의 외부에 있는 것처럼 도시되었지만, 전기적 컴포넌트들(1104, 1106, 1108 및 1110) 중 하나 이상은 메모리(1112) 내에 존재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위에서 기재된 것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을 포함한다. 물론, 전술한 실시예들을 기재하는 목적을 위해 컴포넌트들 또는 방법들의 모든 도출가능한 조합을 기재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지만, 당업자라면 다양한 실시예들의 많은 추가적인 조합 및 순열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기재된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과 범위 내에 드는 모든 이러한 변경(alteration)들, 수정(modification)들, 및 변화(variation)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용어 "포함한다(include)"가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한도에서, 이러한 용어는 "포함한다(comprising)"가 청구항에서 전이구로서 사용될 때 해석되는 것처럼 용어 "포함한다(comprising)"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인 것이 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33)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레이트 제어(uplink rate control)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에 의해 서비스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radio bearer)들에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prioritized bit rate)들 및 최대 비트 레이트(maximum bit rate)들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의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high priority queue size)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의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 및 최대 비트 레이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전체 큐 사이즈(total queue size)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 및 상기 전체 큐 사이즈를 포함하는 업링크 리소스 요청(resource request)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레이트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 각각에 우선순위들을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레이트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들은 고 우선순위 데이터의 양에 기초하여 할당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레이트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를 결정하는 단계는 최고 우선순위 베어러의 최대 비트 레이트에 더 기초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레이트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는 최고 우선순위 베어러의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레이트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를 결정하는 단계는 모든 베어러들에 걸쳐 전체 큐 사이즈들을 합산함으로써 이뤄지고, 상기 전체 큐 사이즈들은 각각의 베어러의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 버킷 깊이(bucket depth)들에 의해 제한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레이트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큐 사이즈를 결정하는 단계는 모든 베어러들에 걸쳐 전체 큐 사이즈들을 합산함으로써 이뤄지고, 상기 전체 큐 사이즈들은 각각의 베어러의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 버킷 깊이들 및 최대 비트 레이트 버킷 깊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레이트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리소스 요청의 포맷(format)은 적어도 MAC 헤더(MAC header), 상기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 및 상기 전체 큐 사이즈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레이트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리소스 요청의 포맷은 적어도 전력 헤드룸 필드(power headroom field), 최고 우선순위 채널의 채널 식별자(channel identifier), 상기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 및 상기 전체 큐 사이즈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레이트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리소스 요청의 포맷은 적어도 전력 헤드룸 필드, 지연 기한(delay deadline), 상기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 및 상기 전체 큐 사이즈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레이트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 및 최대 비트 레이트들을 강제(enforce)하기 위해 토큰 버킷 메커니즘(token bucket mechanism)을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레이트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12. 무선 통신 장치로서,
    사용자 장비에 의해 서비스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에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 및 최대 비트 레이트들을 할당하는 것,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의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를 결정하는 것,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의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 및 최대 비트 레이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전체 큐 사이즈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 및 상기 전체 큐 사이즈를 포함하는 업링크 리소스 요청을 송신하는 것과 관련된 명령들을 보유(retain)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고, 상기 메모리에 보유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 각각에 우선순위들을 할당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보유하는,
    무선 통신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모든 베어러들에 걸쳐 전체 큐 사이즈들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보유하고, 상기 전체 큐 사이즈들은 각각의 베어러의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 버킷 깊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무선 통신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모든 베어러들에 걸쳐 전체 큐 사이즈들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전체 큐 사이즈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보유하고, 상기 전체 큐 사이즈들은 각각의 베어러의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 버킷 깊이들 및 최대 비트 레이트 버킷 깊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무선 통신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 및 최대 비트 레이트들을 강제하기 위해 토큰 버킷 메커니즘을 이용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보유하는,
    무선 통신 장치.
  1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레이트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사용자 장비에 의해 서비스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에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 및 최대 비트 레이트들을 할당하기 위한 수단;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의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의 상기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 및 최대 비트 레이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전체 큐 사이즈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 및 상기 전체 큐 사이즈를 포함하는 업링크 리소스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레이트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 각각에 우선순위들을 할당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레이트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들은 고 우선순위 데이터의 양에 기초하여 할당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레이트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무선 통신 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최고 우선순위 베어러의 최대 비트 레이트를 더 고려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레이트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무선 통신 장치.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는 최고 우선순위 베어러의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레이트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무선 통신 장치.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모든 베어러들에 걸쳐 전체 큐 사이즈들을 합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체 큐 사이즈들은 각각의 베어러의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 버킷 깊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레이트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무선 통신 장치.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큐 사이즈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모든 베어러들에 걸쳐 전체 큐 사이즈들을 합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체 큐 사이즈들은 각각의 베어러의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 버킷 깊이들 및 최대 비트 레이트 버킷 깊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레이트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무선 통신 장치.
  24.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리소스 요청의 포맷은 적어도 MAC 헤더, 상기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 및 상기 전체 큐 사이즈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레이트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무선 통신 장치.
  25.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리소스 요청의 포맷은 적어도 전력 헤드룸 필드, 최고 우선순위 채널의 채널 식별자, 상기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 및 상기 전체 큐 사이즈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레이트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무선 통신 장치.
  26.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리소스 요청의 포맷은 적어도 전력 헤드룸 필드, 지연 기한, 상기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 및 상기 전체 큐 사이즈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레이트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무선 통신 장치.
  27. 제 17 항에 있어서,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 및 최대 비트 레이트들을 강제하기 위해 토큰 버킷 메커니즘을 이용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레이트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무선 통신 장치.
  28.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사용자 장비에 의해 서비스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에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 및 최대 비트 레이트들을 할당하게 하기 위한 코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의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를 결정하게 하기 위한 코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의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 및 최대 비트 레이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전체 큐 사이즈를 결정하게 하기 위한 코드; 및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 및 상기 전체 큐 사이즈를 포함하는 업링크 리소스 요청을 송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
    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 각각에 우선순위들을 할당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를 결정하게 하기 위한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모든 베어러들에 걸쳐 전체 큐 사이즈들을 합산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체 큐 사이즈들은 각각의 베어러의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 버킷 깊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3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전체 큐 사이즈를 결정하게 하기 위한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모든 베어러들에 걸쳐 전체 큐 사이즈들을 합산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체 큐 사이즈들은 각각의 베어러의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 버킷 깊이들 및 최대 비트 레이트 버킷 깊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32.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 및 최대 비트 레이트들을 강제하기 위해 토큰 버킷 메커니즘을 이용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3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로서,
    사용자 장비에 의해 서비스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에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 및 최대 비트 레이트들을 할당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의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를 결정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 베어러들의 우선순위화 비트 레이트들 및 최대 비트 레이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전체 큐 사이즈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고 우선순위 큐 사이즈 및 상기 전체 큐 사이즈를 포함하는 업링크 리소스 요청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
KR1020107005566A 2007-08-14 2008-08-13 업링크 요청들 KR1011666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5584507P 2007-08-14 2007-08-14
US60/955,845 2007-08-14
US12/186,708 US8670394B2 (en) 2007-08-14 2008-08-06 Uplink requests
US12/186,708 2008-08-06
PCT/US2008/073070 WO2009023743A2 (en) 2007-08-14 2008-08-13 Uplink reques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2536A KR20100052536A (ko) 2010-05-19
KR101166629B1 true KR101166629B1 (ko) 2012-07-18

Family

ID=40260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5566A KR101166629B1 (ko) 2007-08-14 2008-08-13 업링크 요청들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670394B2 (ko)
EP (1) EP2189036A2 (ko)
JP (1) JP4971502B2 (ko)
KR (1) KR101166629B1 (ko)
CN (1) CN101785355A (ko)
BR (1) BRPI0814947A2 (ko)
CA (1) CA2694728A1 (ko)
RU (1) RU2446636C2 (ko)
TW (1) TWI384790B (ko)
WO (1) WO200902374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8317A (ko) 2007-03-14 2014-04-23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롱텀 에볼루션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고갈 회피 지원 방법 및 장치
GB2452698B (en) * 2007-08-20 2010-02-24 Ipwireles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igna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064382B2 (en) * 2007-09-28 2011-11-22 Wireless Technology Solution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schedu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244265B2 (en) * 2007-11-28 2012-08-14 Motorola Mobility Llc Techniques for aligning application output and uplink resource allo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P2292063A1 (en) 2008-05-30 2011-03-09 Nokia Siemens Networks Oy Allocating resources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1722810B1 (ko) 2008-12-03 2017-04-05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캐리어 집적에 대한 업링크 파워 헤드룸 보고
US8565170B2 (en) * 2009-01-14 2013-10-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data transmission on multiple carriers
WO2010091425A2 (en) 2009-02-09 2010-08-1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uplink power control for a wireless transmitter/receiver unit utilizing multiple carriers
US8289852B2 (en) * 2009-02-18 2012-10-16 Clearwire Ip Holdings Llc Setting token bucket parameters for scheduling of air-interface resources
EP2244517A1 (en) * 2009-04-24 2010-10-27 HTC Corporation Method for allocating uplink resources to logical channe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EP2484164B1 (en) 2009-10-01 2014-07-1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Power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
SG183791A1 (en) * 2010-04-09 2012-10-30 Nokia Siemens Networks Oy Signalling report transmission in carrier aggregation
KR102130417B1 (ko) 2011-09-30 2020-07-08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무선 통신의 다중점 송신
US8792439B2 (en) * 2011-10-05 2014-07-29 Alcatel Lucent Method and system for rate adaptive allocation of resources
CN102427598A (zh) * 2011-12-29 2012-04-25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通信中限制承载服务的方法和装置
CN105191445B (zh) 2013-04-03 2018-11-27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一种干扰测量方法、装置及基站
CN104349391B (zh) 2013-07-30 2019-02-12 华为终端(东莞)有限公司 一种WiFi工作站点的调度处理方法和装置
CN103796229B (zh) 2013-09-16 2017-09-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会话链路控制方法及装置
US9363814B2 (en) 2014-02-25 2016-06-07 Alcatel Lucent Rate al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ation of adaptive wireless video streaming
US10225795B2 (en) * 2015-04-07 2019-03-0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Resource-sensitive token-based access point selection
US10425193B2 (en) 2015-12-23 2019-09-24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requirement signaling and rate setting
CN108476513B (zh) * 2016-01-19 2022-01-07 苹果公司 用于提供5g上行链路请求的设备和方法
US10172032B2 (en) * 2017-01-20 2019-01-01 Hughes Network Systems, Llc Admission control of 4G/LTE conversational sessions by cellular backhaul satellite network
EP3824664A4 (en) * 2018-09-26 2022-03-23 Nokia Technologies Oy PRIORITY HANDLING IN A QUALITY OF SERVICE FLOW MOVE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47416A1 (en) 2003-08-26 2005-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assignment of uplink packet transmissi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S20070058548A1 (en) 2003-04-18 2007-03-15 France Telecom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data packet traffic at the input of a network, and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 and network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4950A (en) * 1997-04-08 1999-06-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verse link rate scheduling
US5923650A (en) * 1997-04-08 1999-07-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verse link rate scheduling
US6578082B1 (en) 1999-08-02 2003-06-10 Nortel Networks Limited Distributed flow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GPRS networks based on leaky buckets
JP3512787B2 (ja) 2000-06-28 2004-03-31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逆方向データ伝送方法及び装置
KR100810350B1 (ko) * 2002-01-07 2008-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다양한 채널상태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2005079647A (ja) * 2003-08-28 2005-03-24 Toshiba Corp 通信制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DE602004011032T2 (de) * 2004-06-15 2008-04-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Auf Priorität basierte Behandlung von Datenübertragungen
CN105357145B (zh) * 2006-02-03 2019-12-27 诺基亚公司 从用户设备向无线网络提供基于阈值的缓冲器状态报告
GB0606367D0 (en) * 2006-03-30 2006-05-10 Vodafone Plc Telecommunications networks
JP5057444B2 (ja) * 2006-07-28 2012-10-24 イノヴァティヴ ソニック リミテッ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スケジューリング情報を設定する方法及び装置
US7826358B2 (en) * 2006-12-29 2010-11-02 Ellacoya Networks, Inc. Hierarchical virtual queuing
EP1986455A1 (en) * 2007-04-27 2008-10-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munication of scheduling related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668170B2 (en) * 2007-05-02 2010-02-23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Adaptive packet transmission with explicit deadline adjust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58548A1 (en) 2003-04-18 2007-03-15 France Telecom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data packet traffic at the input of a network, and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 and network equipment
US20050047416A1 (en) 2003-08-26 2005-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assignment of uplink packet transmissi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537504A (ja) 2010-12-02
CN101785355A (zh) 2010-07-21
US20090046642A1 (en) 2009-02-19
WO2009023743A3 (en) 2009-03-12
RU2446636C2 (ru) 2012-03-27
TW200917711A (en) 2009-04-16
KR20100052536A (ko) 2010-05-19
US8670394B2 (en) 2014-03-11
BRPI0814947A2 (pt) 2015-02-03
CA2694728A1 (en) 2009-02-19
RU2010109374A (ru) 2011-09-20
TWI384790B (zh) 2013-02-01
JP4971502B2 (ja) 2012-07-11
EP2189036A2 (en) 2010-05-26
WO2009023743A2 (en) 2009-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6629B1 (ko) 업링크 요청들
US118322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control channel structure in shortened transmission time interv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WI752016B (zh) 邏輯通道的資源請求及上鏈傳輸許可的裝置及方法
RU2728541C1 (ru) Улучшенная поддержка качества обслуживания для передач v2x
US9516547B2 (en) Medium access control header format
CN106575994B (zh) 无线接入节点及其方法、无线终端及其方法
CN111436079A (zh) 用于无线通信中的侧链路资源分配模式配置的方法及设备
US8699487B2 (en) Uplink delay budget feedback
JP7385044B2 (ja) Nrにおけるマルチキャストのためのハイブリッド自動再送要求(harq)機構
JP2022031883A (ja) データ送信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110419253B (zh) 无线通信系统中设置和控制用于直接装置到装置通信的载波的方法及其装置
WO2017074437A1 (en) Procedures for reporting buffer status
CN110447262B (zh) 用于发送分组数据单元的装置和方法
EP3506692B1 (en) Demodulation of a subset of available link assignment blo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