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6471B1 - 여과사 분리세척수거 장치 - Google Patents

여과사 분리세척수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6471B1
KR101196471B1 KR1020120050037A KR20120050037A KR101196471B1 KR 101196471 B1 KR101196471 B1 KR 101196471B1 KR 1020120050037 A KR1020120050037 A KR 1020120050037A KR 20120050037 A KR20120050037 A KR 20120050037A KR 101196471 B1 KR101196471 B1 KR 101196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sand
separation
yarn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0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선
Original Assignee
지엠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텍(주) filed Critical 지엠텍(주)
Priority to KR1020120050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64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1/0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outside the filter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23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B01D29/25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open-ended the arrival of the mixture to be filtered and the discharge of the concentrated mixture are situated on both opposite sides of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1/0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outside the filter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41/02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outside the filter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of loose filter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여과사 탱크 내부의 여과사를 뽑아내어 공급하는 인출기구; 상기 인출기구로부터 여과사를 도입하고 여과사를 회전시키며 전방으로 이송하는 스크류기구; 상기 스크류기구를 감싸며 여과사를 배출하는 여과홀이 형성되고, 여과홀은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전방으로 갈수록 배출되는 여과사의 입도가 커지도록 하는 필터기구; 및 상기 필터기구의 하방에 설치되며 필터기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분되는 분리공간을 형성하여 배출되는 여과사가 각각의 분리공간에 입도별로 구분되어 담아지도록 하는 분리기구;를 포함하는 여과사 분리세척수거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여과사 분리세척수거 장치 {APPARATUS FOR RECYCLING FILTERING SAND}
본 발명은 수처리장치나 폐수처리장 또는 정수장의 여과사 탱크 내부에 있는 여과사를 분리해내고 이를 세척하며 입도별로 여과사를 분리수거하고 동시에 오염된 물을 정화처리하거나 폐수처리하여 환경적으로 안정적인 여과사 분리세척수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처리장치나 폐수처리장 또는 정수장의 여과사 탱크 내부에 있는 여과사를 분리해내고 이를 세척하며 입도별로 여과사를 분리수거하고 동시에 오염된 물을 정화처리하거나 폐수처리할 수 있는 여과사 분리세척수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폐수의 정수 과정을 살펴보면 취수장에서 취수된 물은 침사지, 혼화지, 응집지, 침전지, 모래여과지 배수지를 거쳐 배수된다.
대부분의 부유물질이 침전지에서 제거되고 제거되지 않은 부유물은 모래여과지에서 제거되는데, 보통 급속여과지에서는 1~2일 동안 계속적으로 여과를 하면 불순물과 여과층이 막혀서 여과가 되지 않는다.
이때, 여과층의 표층세척과 역류세척으로 여과기능을 회복시키는데, 횟수가 누적되면 바닥층으로부터 굵은자갈, 가는 자갈, 굵은 모래, 가는 모래를 순차로 쌓은 층이 서로 혼합되어 층 구분이 희박하고 , 불순물이 심층부까지 섞어서 탁도와 색도를 떨어뜨려 정수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모래 여과지는 규사 함량이 높은 해사가 주로 사용되고, 여과사를 교체하는데는 양질의 골재가 대량으로 소비된다. 따라서 여과사 채취를 위한 자연환경이 파괴 됨과 동시에 멀리 해안지역에서 운송함으로써 물류비용 등으로 여과사 교체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이를 위해 종래에 다양한 방식의 여과사 재생장치들이 소개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여과사 재생장치들은 진공차량과 경사컨베어, 세척탱크, 수중진동펌프, 진동스크린 등 비교적 복잡한 공정과 고가의 장치가 사용되어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여과사 재생장치를 이동식으로 구성하여 한번의 공정으로 여과사를 입도별로 분리하며 세척까지 가능하도록 할 필요가 있었다.
그리고, 여과사를 분리하는 기구에 대한 동력원을 최소한도로 하고 폐수가 유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여과사 분리장치의 개발이 필요하였던 것이다.
한편, 여과사의 분리시에는 이를 입도별로 분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여과사를 세척하여 재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뽑아낸 여과사를 세척하고 그 세척에 사용된 폐수를 안전하게 정화처리 또는 폐수처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에 대한 해결 역시 필요하였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수처리장치의 여과사 탱크 내부에 있는 여과사를 분리해내고 이를 세척하며 입도별로 여과사를 분리수거하고, 세척시 사용되는 물을 정화하거나 폐수처리하여 환경적인 영향을 최소한도로 하기 위한 여과사 분리세척수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여과사 분리세척수거 장치는, 여과사 탱크 내부의 여과사를 뽑아내어 공급하는 인출기구; 상기 인출기구로부터 여과사를 도입하고 여과사를 회전시키며 전방으로 이송하는 스크류기구; 상기 스크류기구를 감싸며 여과사를 배출하는 여과홀이 형성되고, 여과홀은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전방으로 갈수록 배출되는 여과사의 입도가 커지도록 하는 필터기구; 및 상기 필터기구의 하방에 설치되며 필터기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분되는 분리공간을 형성하여 배출되는 여과사가 각각의 분리공간에 입도별로 구분되어 담아지도록 하는 분리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인출기구는 저장조, 여과사 탱크 내부의 여과사를 뽑아내어 저장조로 공급하는 펌프 및 저장조의 내부 공기를 빨아내는 진공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기구는 회전축과 회전축을 두르는 스크류 형상의 이송날로 구성되고, 이송날은 전방으로 갈수록 그 반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기구는 이송날을 감싸는 원통형의 하우징 형상이며 내경이 이송날의 외경을 따라 점차 반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기구는 격벽으로 구분된 복수의 분리공간로 구성되고 각 분리공간의 하단에는 배출밸브가 마련되어 분리공간별로 입도가 다른 여과사가 저장되고 배출밸브를 통해 여과사가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분리기구의 하방에 마련되며 분리기구의 구분된 분리공간별로 대응되도록 여과사 수거백이 설치되고, 하단부에 수거백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배출하는 드레인구조가 마련된 수거백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거백하우징은 하단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경사진 하단면의 가장 낮은 측에 드레인을 위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기구의 배출측은 개방되어 입도가 가장 큰 여과사들이 분리기구의 마지막 분리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크류기구와 필터기구는 서로 고정되고, 필터기구의 하단에는 회전을 위한 회전롤이 필터기구와 접촉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회전롤은 필터기구의 하단부 양측에 필터기구의 길이발향을 따라 마련되어 필터기구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지지하도록 하고,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필터기구가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여과사 분리세척수거 장치에 따르면, 여과사를 세척함과 동시에 입도별로 분리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고 여과사의 재활용에 효과적이다.
또한, 여과사의 세척시 사용되는 세척수를 정화하거나 폐수처리하고, 미생물처리를 여과사 분리와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효율이 높고 환경적으로도 안정적이다.
또한, 여과사를 회전시키며 이송하는 방식이어서 입도별 분리에 효과적이고 여과사의 장입과 회전을 위한 기구적인 구성을 이격시킴으로써 장비의 설계가 용이하다.
또한, 여과사 필터기구는 간접적인 회전방식을 채택함으로써 필터기구의 분리 교체가 용이하고, 여과사에 포함된 폐수를 별도로 분리배출함으로써 환경적인 면에서도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사 분리세척수거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여과사 분리세척수거 장치의 스크류기구와 필터기구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여과사 분리세척수거 장치의 스크류기구와 필터기구를 나타낸 또 다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여과사 분리세척수거 장치의 수거백하우징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여과사 분리세척수거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사 분리세척수거 장치의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여과사 분리세척수거 장치는, 여과사 탱크(100) 내부의 여과사를 뽑아내어 공급하는 인출기구(200); 상기 인출기구(200)로부터 여과사를 도입하고 여과사를 회전시키며 전방으로 이송하는 스크류기구(300); 상기 스크류기구(300)를 감싸며 여과사를 배출하는 여과홀(H)이 형성되고, 여과홀(H)은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전방으로 갈수록 배출되는 여과사의 입도가 커지도록 하는 필터기구(400); 및 상기 필터기구(400)의 하방에 설치되며 필터기구(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분되는 분리공간(520)을 형성하여 배출되는 여과사가 각각의 분리공간(520)에 입도별로 구분되어 담아지도록 하는 분리기구(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여과사 분리세척수거 장치는 정수장, 수처리장치 및 폐수처리장 등의 여과사를 이용하여 물을 처리하는 모든 장소의 여과사를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상기 인출기구(200)는 저장조(220), 여과사 탱크(100) 내부의 여과사를 뽑아내어 저장조(220)로 공급하는 펌프(240) 및 저장조(220)의 내부 공기를 빨아내는 진공장치(26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기구(200)는 여과사 탱크(100)와 저장조(220)가 연결된다. 여과사 탱크(100)에는 물에 젖은 여과사들이 있고, 이를 워터펌프(240)를 통해 빨아들인다. 그리고 저장조(220)에는 빨아들인 여과사가 들어오며, 저장조(220)에는 다시 진공장치(260)로서 저장조의 공기를 빨아들이는 장비가 연결된다.
저장조(220)에서는 공기가 빨리면서 흡입압이 형성되고, 그 흡입압과 함께 워터펌프(240)에서 여과사를 빨아들여 저장하도록 하는 것이다. 저장조(220)에 어느 정도 여과사가 모이게 되면 저장조(220) 하부의 밸브(280)를 개방하여 아래로 여과사를 토출한다. 한편, 저장조(220) 하부에는 여과사와 물이 함께 저장되며 퍼지기구(620)가 마련되어 공기를 불어넣음으로써 여과사를 세척하는 세척조(600)를 설치하고, 세척조(600)에 밸브기구(640)를 설치하여 세척이 이루어진 후에 세척된 여과사를 스크류기구(300)로 공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세척조(600)에는 세척액이 함께 투입되어 여과사를 더욱 확실히 세척하는 방안도 가능하고, 이 경우 세척조(600) 내부의 폐수를 오버플로우 하거나 하단에서 스크린 망으로 폐수만을 별도 분리하여 폐수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토출된 여과사는 스크류기구(300)로 이송된다. 상기 스크류기구(300)는 회전축(320)과 회전축(320)을 두르는 스크류 형상의 이송날(340)로 구성되고, 이송날(340)은 전방으로 갈수록 그 반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기구(400)는 이송날(340)을 감싸는 원통형의 하우징 형상이며 내경이 이송날(340)의 외경을 따라 점차 반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여과사 분리세척수거 장치의 스크류기구와 필터기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여과사 분리세척수거 장치의 스크류기구와 필터기구를 나타낸 또 다른 도면이다.
스크류기구(300)와 필터기구(400)는 분리기구(500)에 내장되도록 할 수 있는데, 스크류기구(300)는 분리기구(500)의 외측에서 모터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지속적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스크류기구(300)는 회전축(320)과 그 회전축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스크류 형상의 이송날(340)로 구성된다. 스크류기구(300)의 회전축(320)은 분리기구를 관통하여 외부에서 동력을 전달받기 때문에 구동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간단한 실링을 통하여 분리기구 내부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정화처리시설에서의 분리기구 내부의 물은 미생물처리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 미생물처리 용액을 분리기구 내부에 투여하거나, UV 처리 내지 초음파 처리 등을 통하여 분리기구 내부의 물을 처리함으로써 폐수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 환경친화적인 장비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회전축(320)은 별도의 기구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회전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회전축(320)이 단순히 회전의 중심만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분리기구(500)를 관통하는 회전롤(570)을 설치하고, 그 회전롤(570)에 의해 스크류기구(300)와 필터기구(400)가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스크류기구(300)와 필터기구(400)는 서로 고정되고, 필터기구(400)의 하단에는 회전을 위한 회전롤(570)이 필터기구(400)와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필터기구(400)는 외부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롤(570)과 접촉된 상태로 마찰에 의해 회전되고 그에 고정된 내부의 스크류기구(300)도 회전되어 여과사를 전방으로 이송하게 되는 것이다.
스크류기구(300)는 제자리에서 회전하며 이송날(340)의 형성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여과사를 이송시키는데, 스크류기구(300)는 별도의 공급관을 통하여 저장조(220)로부터 여과사를 공급받는다.
따라서, 스크류기구(300)에 여과사를 공급하는 공급관과 필터기구(400)를 회전시키는 회전롤(570)이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여과사의 공급과 회전을 모두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회전롤(570)의 경우는 기어의 치합을 통해 필터기구(400)를 회전시키거나 고무 등의 마찰력을 통해 필터기구(400)를 회전시키는 것 모두 가능할 것이다.
한편, 스크류기구의 이송날(340)은 전방으로 갈수록 그 반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필터기구(400)는 이송날(340)을 감싸는 원통형의 하우징 형상이며 내경이 이송날(340)의 외경을 따라 점차 반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입도가 작은 여과사를 먼저 분리해야 하기 때문에 초반에 많은 양의 여과사를 공급받아야 하고 분리과정을 거치면서 여과사의 양이 적어지기 때문에 전방으로 갈수록 스크류기구(300)와 필터기구(400)의 반경을 줄이는 것이고, 초반에 많은 반경을 가지고 여과사를 회전시킴으로써 입도가 작은 여과사가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필터기구(400)는 스크류기구(300)를 감싸며 여과사를 배출하는 여과홀(H)이 형성되고, 여과홀(H)은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전방으로 갈수록 배출되는 여과사의 입도가 커지도록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여과사의 입도가 4 단계로 구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분리기구는 필터기구(400)의 하방에 설치되며 필터기구(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분되는 분리공간(520)을 형성하여 배출되는 여과사가 각각의 분리공간(520)에 입도별로 구분되어 담아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분리기구(500)는 격벽(540)으로 구분된 복수의 분리공간(520)로 구성되고 각 분리공간(520)의 하단에는 배출밸브(530)가 마련되어 분리공간(520)별로 입도가 다른 여과사가 저장되고 배출밸브(530)를 통해 여과사가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분리공간(520)은 실시예로서 4개의 구간(522,524,526,528)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첫번째 구간(522)에 가장 미세한 여과사가 배출된다. 그리고 가장 마지막 구간(528)에서는 입자가 가장 큰 여과사만이 배출된다.
또한, 분리공간(520)에는 배출되는 여과사가 상호 섞이지 않도록 여과사의 입도에 따라 격벽(540)을 마련하는데, 이러한 격벽의 위치는 필터기구의 여과홀의 위치에 따라 대응되도록 한다(542,544,546). 즉, 필터기구의 여과홀(H)은 입도별로 3개의 구간으로 홀의 크기가 구분되도록 설계되며, 분리기구(500)는 그에 대응되도록 분리공간(520)과 분리격벽(540)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각각의 격벽(542,544,546)은 필터기구(4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위해 필터기구(400)가 격벽(540)을 관통하도록 하거나 격벽(540)의 상단이 필터기구(400)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분리공간(520)에는 여과사에 섞여 있는 물이 함께 저장되고, 그 물을 통해 여과사가 뭉치지 않고 회전되며 입도별로 배출되도록 도와준다. 그리고 분리공간(520)의 물은 한계선까지 차올랐을때 오버플로우 밸브(55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마지막 분리공간(528)은 물을 저장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필터기구(400)는 전방으로 다소 상승되도록 설치될 수 있고, 필터기구(400)의 단부는 물에 닿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기구(400)의 배출측은 개방되어 입도가 가장 큰 여과사들이 분리기구(500)의 마지막 분리공간(528)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 공간(528)에 놓인 필터기구(400)의 단부는 물에 담가져 있지 않고 남아있는 여과사를 그대로 배출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분리기구(500)의 하방에 마련되며 분리기구(500)의 구분된 분리공간(520)별로 대응되도록 여과사 수거백(720)이 설치되고, 하단부에 수거백(720)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배출하는 드레인구조가 마련된 수거백하우징(7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거백하우징(700)은 하단면(702)이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경사진 하단면(702)의 가장 낮은 측에 드레인을 위한 유로(704)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여과사 분리세척수거 장치의 수거백하우징(700)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수거백하우징(700)은 분리기구(500)의 하방에 놓여져 배출밸브(530)를 통해 빠져나오는 여과사를 각각의 수거백(720)을 통해 입도별로 수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다 채워진 수거백(720)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거백하우징(700)의 하단에는 롤러(740)가 설치되어 수거백(720)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수거백하우징(700)의 하단면(702)은 약간의 경사를 둠으로써 수거백(720)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모으고 모아진 물은 드레인을 위한 유로(704)를 통해 외부로 모아져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여과사 분리세척수거 장치에 따르면, 여과사를 세척함과 동시에 입도별로 분리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고 여과사의 재활용에 효과적이다.
또한, 여과사의 세척시 사용되는 세척수를 정화하거나 폐수처리하고, 미생물처리를 여과사 분리와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효율이 높고 환경적으로도 안정적이다.
또한, 여과사를 회전시키며 이송하는 방식이어서 입도별 분리에 효과적이고 여과사의 장입과 회전을 위한 기구적인 구성을 이격시킴으로써 장비의 설계가 용이하다.
또한, 여과사 필터기구는 간접적인 회전방식을 채택함으로써 필터기구의 분리 교체가 용이하고, 여과사에 포함된 폐수를 별도로 분리배출함으로써 환경적인 면에서도 유리하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여과사탱크 200 : 인출기구
300 : 스크류기구 400 : 필터기구
500 : 분리기구 700 : 수거백하우징

Claims (10)

  1. 여과사 탱크(100) 내부의 여과사를 물과 함께 뽑아내어 공급하는 인출기구(200);
    상기 인출기구(200)로부터 여과사를 물과 함께 도입하고 여과사를 회전시키며 전방으로 이송하는 스크류기구(300);
    상기 스크류기구(300)를 감싸며 여과사를 배출하는 여과홀(H)이 형성되고, 여과홀(H)은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전방으로 갈수록 배출되는 여과사의 입도가 커지도록 하며, 전방으로 갈수록 상승되게 설치된 필터기구(400); 및
    상기 필터기구(400)가 여과사와 함께 도입된 물에 잠겨지는 수조의 형태로써, 필터기구(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분되는 분리공간(520)을 형성하여 배출되는 여과사가 각각의 분리공간(520)에 입도별로 구분되어 담아지도록 하는 분리기구(500); 및
    상기 분리기구(500)의 하방에 마련되며 분리기구(500)의 구분된 분리공간(520)별로 대응되도록 여과사 수거백(720)이 설치되고, 하단부에 수거백(720)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배출하는 드레인구조가 마련된 수거백하우징(700);을 포함하는 여과사 분리세척수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출기구(200)는 저장조(220), 여과사 탱크(100) 내부의 여과사를 뽑아내어 저장조(220)로 공급하는 펌프(240) 및 저장조(220)의 내부 공기를 빨아내는 진공장치(2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사 분리세척수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기구(300)는 회전축(320)과 회전축(320)을 두르는 스크류 형상의 이송날(340)로 구성되고, 이송날(340)은 전방으로 갈수록 그 반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사 분리세척수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필터기구(400)는 이송날(340)을 감싸는 원통형의 하우징 형상이며 내경이 이송날(340)의 외경을 따라 점차 반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사 분리세척수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구(500)는 격벽(540)으로 구분된 복수의 분리공간(520)로 구성되고 각 분리공간(520)의 하단에는 배출밸브(530)가 마련되어 분리공간(520)별로 입도가 다른 여과사가 저장되고 배출밸브(530)를 통해 여과사가 하방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사 분리세척수거 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거백하우징(700)은 하단면(702)이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경사진 하단면(702)의 가장 낮은 측에 드레인을 위한 유로(70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사 분리세척수거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기구(400)의 배출측은 개방되어 입도가 가장 큰 여과사들이 분리기구(500)의 마지막 분리공간(528)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사 분리세척수거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기구(300)와 필터기구(400)는 서로 고정되고, 필터기구(400)의 하단에는 회전을 위한 회전롤(570)이 필터기구(400)와 접촉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사 분리세척수거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570)은 필터기구(400)의 하단부 양측에 필터기구(400)의 길이발향을 따라 마련되어 필터기구(400)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지지하도록 하고,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필터기구(400)가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사 분리세척수거 장치.
KR1020120050037A 2012-05-11 2012-05-11 여과사 분리세척수거 장치 KR101196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037A KR101196471B1 (ko) 2012-05-11 2012-05-11 여과사 분리세척수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037A KR101196471B1 (ko) 2012-05-11 2012-05-11 여과사 분리세척수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6471B1 true KR101196471B1 (ko) 2012-11-01

Family

ID=47563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037A KR101196471B1 (ko) 2012-05-11 2012-05-11 여과사 분리세척수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647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0141A (ko) * 2014-10-28 2016-05-11 지엠텍(주) 여과사 재생 시스템
KR101728897B1 (ko) * 2016-04-27 2017-04-24 지엠텍(주) 여과사 재생 시스템
KR101744792B1 (ko) * 2016-07-26 2017-06-08 현대건설 주식회사 순환 유동층 보일러 시스템
KR101807572B1 (ko) 2015-06-23 2017-12-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기능성 입자를 이용한 미세조류 회수장치
KR101898249B1 (ko) * 2018-02-26 2018-09-13 오충미 하폐수처리장치
CN110899614A (zh) * 2019-11-14 2020-03-24 安徽省繁昌县皖南阀门铸造有限公司 一种废砂回收再用装置
CN113062391A (zh) * 2021-04-07 2021-07-02 西华大学 一种水利水电工程大坝用清淤装置及处理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6927B1 (ko) 1999-05-04 2001-04-16 조대형 폐레미콘 골재 선별기
JP4319747B2 (ja) 1999-11-26 2009-08-26 三菱化工機株式会社 リンス機能付きデカンタ型遠心分離機
KR100939228B1 (ko) 2009-07-13 2010-01-27 정시영 이중관 여과망을 이용한 친환경 여과지 재생, 충진공법과 그 장치
KR100984863B1 (ko) 2010-06-24 2010-10-01 주식회사 무진하이테크 여과재 세척 및 선별장치와 이를 이용한 여과재 재생 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6927B1 (ko) 1999-05-04 2001-04-16 조대형 폐레미콘 골재 선별기
JP4319747B2 (ja) 1999-11-26 2009-08-26 三菱化工機株式会社 リンス機能付きデカンタ型遠心分離機
KR100939228B1 (ko) 2009-07-13 2010-01-27 정시영 이중관 여과망을 이용한 친환경 여과지 재생, 충진공법과 그 장치
KR100984863B1 (ko) 2010-06-24 2010-10-01 주식회사 무진하이테크 여과재 세척 및 선별장치와 이를 이용한 여과재 재생 공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0141A (ko) * 2014-10-28 2016-05-11 지엠텍(주) 여과사 재생 시스템
KR101687380B1 (ko) * 2014-10-28 2016-12-19 지엠텍(주) 여과사 재생 시스템
KR101807572B1 (ko) 2015-06-23 2017-12-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기능성 입자를 이용한 미세조류 회수장치
KR101728897B1 (ko) * 2016-04-27 2017-04-24 지엠텍(주) 여과사 재생 시스템
KR101744792B1 (ko) * 2016-07-26 2017-06-08 현대건설 주식회사 순환 유동층 보일러 시스템
KR101898249B1 (ko) * 2018-02-26 2018-09-13 오충미 하폐수처리장치
CN110899614A (zh) * 2019-11-14 2020-03-24 安徽省繁昌县皖南阀门铸造有限公司 一种废砂回收再用装置
CN110899614B (zh) * 2019-11-14 2021-03-30 安徽省繁昌县皖南阀门铸造有限公司 一种废砂回收再用装置
CN113062391A (zh) * 2021-04-07 2021-07-02 西华大学 一种水利水电工程大坝用清淤装置及处理系统
CN113062391B (zh) * 2021-04-07 2023-06-09 西华大学 一种水利水电工程大坝用清淤装置及处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471B1 (ko) 여과사 분리세척수거 장치
KR101244211B1 (ko) 하수 및 오폐수용 협잡물 처리기
KR102199644B1 (ko) 유동상 필터층에서의 압밀 및 이완 기술을 구성한 비점오염원처리시스템
WO2008035551A1 (fr) Dispositif de nettoyage de liquide de refroidissement pour machine-outil
JPS6331278B2 (ko)
KR100518805B1 (ko)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 종합처리기
KR101943483B1 (ko) 준설토 처리장치
KR20160004499A (ko) 수질 정화용 드럼스크린장치
KR100922231B1 (ko) 협잡물 처리기의 유분 제거장치
KR102246268B1 (ko) 기포사이즈가 상이한 다단수중 미세기포 발생장치와 산화성 가스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KR100894646B1 (ko) 자동연속여과장치 부착형 용존공기 가압부상조
JP2003334533A (ja) 土壌洗浄方法及び土壌洗浄装置並びに吸水送気兼用装置
KR101301717B1 (ko) 초기 우수의 연속 세척 기능을 갖는 여과시스템
JP4136877B2 (ja) 浮島型水質浄化処理装置
JP5094151B2 (ja) 固液分離装置
CN201049282Y (zh) 带式絮凝超滤机
KR101251568B1 (ko) 환경친화적인 준설슬러지 탈수처리공법 및 그 장치
JP4382397B2 (ja) 土砂洗浄装置及び土砂洗浄方法
KR101431325B1 (ko) 폐수 정화처리장치
KR100986634B1 (ko) 오폐수 전처리장치
KR101796774B1 (ko) 잡배수 및 빗물 처리시스템
KR200413336Y1 (ko) 개량형 오폐수처리장치
KR101106842B1 (ko) 물의 정화장치
FI129836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kiintoaineksen ja veden erottamiseksi toisistaan
KR20150129422A (ko) 저장수 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