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5698B1 - 염색샴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염색샴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5698B1
KR101195698B1 KR1020090042635A KR20090042635A KR101195698B1 KR 101195698 B1 KR101195698 B1 KR 101195698B1 KR 1020090042635 A KR1020090042635 A KR 1020090042635A KR 20090042635 A KR20090042635 A KR 20090042635A KR 101195698 B1 KR101195698 B1 KR 101195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xtract
composition
hair dye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2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3422A (ko
Inventor
황철수
Original Assignee
황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철수 filed Critical 황철수
Priority to KR1020090042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698B1/ko
Publication of KR20100123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6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5Amino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발(頭髮)의 샴프시에 염색도 같이 할 수 있는 빠르고 간편한 염색 샴프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세정제와 제1,제2염모제 및 두피/모발 보호제를 첨가하여 조성한 염모제 조성물과, 상기와 동일의 두피/모발 보호제를 첨가하여 조성한 산화제 조성물로 각각 이루어지며, 두발의 샴프시 각각의 염모제 조성물과 산화제 조성물을 1:1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게 하여, 모든 사람들로 하여금 짧은 시간 내에 샴프와 동시에 염색을 같이 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갖게 한 것이다.
염색,샴프, 모발, 영양

Description

염색샴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Hair Dyeing shampoo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염색샴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산화제와 혼합 사용하는 염모제에 샴프 기능을 부가하여 염모 기능과 아울러 샴프 기능을 갖게 한 염색 샴프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발을 염색하는데 사용하는 염모제는 그 염색의 차이에 따라 영구, 반영구 및 일시 염모제로 나누어지고, 이중에서 영구 염모제는 식물성, 금속성 및 산화형 염모제로 구분되는데, 식물성 염모제는 인체에 유해성이 없는 반면 염색효과가 떨어지고 밝게 염색하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고, 금속성 염모제는 유독성 물질인 납 성분의 함유로 사용 금지 제품이며, 산화성 염모제는 인체에 무해하지 않으면서도 염색효과가 우수하고 밝은 색으로의 염색 또한 가능하여 현재 가장 많이 애용되고 있다. 산화형 염모제는 염모작용의 주 성분이 함유된 제1제인 염모제와, 염모제에 산화작용을 유발하여 염모력을 발현시키는 제2제인 산화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염모제는 모발에 도포 후, 그 모발에 대하여 새로운 색소를 만드는 시간(대략 10 ~30분)이 경과할 때 까지 기다린 후, 다시 샴푸 등의 세정액이나 트리트 먼트(Treatment)제를 사용하여 염모제의 세정과 아울러 모발에 영양을 공급하고 있기 때문에 초를 다투며 살아가는 바쁜 현대인들에게 있어서의 염색은 시간적으로 큰 부담을 주고 있음이 사실이며, 이러한 시간의 소요는 염색을 해야만 하는데도 불구하고 못하고 다니는 사람들이 있음이 현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제반 결점들을 해소하고, 산화형 염모제에 세정 기능을 추가하여 세발(洗髮)시에 염색이 구현될 수 있게 한 신속성, 누구라도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한 편리성 및 세발과 염색 두가지 기능 모두가 동시에 구현되게 하는 경제성 까지도 갖게 한 염색 샴프 조성물과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검은 콩의 첨가로 염모 기능과 아울러 모발 및 두피 보호 기능도 발휘하게 한 염색샴프 조성물과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의 염색 샴프 조성물은, 청구항1 기재의 세정제 및 보조 염모제를 함유하는 염모제 조성물 100중량%와 그 염모제 조성물과는 별도 조성한 산화제 조성물 100중량%를 포함하여, 상기 염모제 조성물과 산화제 조성물의 혼합비율은 1:1로 혼합 조성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청구항 2기재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모제 조성물은 아미노페놀과 페닐린디아민 및 치오글리콜산으로 이루어진 제1염모제1.90 중량%, 코카마이도프로빌베타인10.1중량%, 점증제인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5.1중량%, pH 조절제인 모노에탄올아민 1.2중량%, 세정제인 소듐라우릴 설페이드액13.1중량%, 제2염모제인 검은콩 분말7.8중량%, 상백피추출물과 당근추출물과 당약추출물과 녹차추출물과 고삼추출물과 들국화추출물과 쑥추출물 및 알란토인으로 이루어진 두피 및 모발 보호제 60.80중량%로 조성되고, 상기 산화제 조성물은 과산화수소수 5~9중량%, pH 조절제인 인산 및 피로인산 나트륨 각각 0.1~0.2중량%, 당근추출물 30 ~45중량%와 녹차추출물0.1~0.4중량%와 고삼추출물3~4중량%와 들국화 추출물3~5중량%와 상백피 추출물37~58.7중량%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위한 본 발명의 염색 샴프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은 염모제 조성물의 원료들을 칭량하는 단계,
[염모제 조성물 아미노페놀과 페닐린디아민 및 치오글리콜산으로 이루어진 제1염모제1.90 중량%, 코카마이도프로빌베타인10.1중량%, 점증제인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5.1중량%, pH 조절제인 모노에탄올아민 1.2중량%, 세정제인 소듐라우릴 설페이드액13.1중량%, 제2염모제인 검은콩 분말7.8중량%, 상백피추출물과 당근추출물과 당약추출물과 녹차추출물과 고삼추출물과 들국화추출물과 쑥추출물 및 알란토인으로 이루어진 두피 및 모발 보호제 60.80중량%]
하기와 같은 산화제 조성물의 원료들을 칭량하는 단계,
[과산화수소수 5~9중량%, pH 조절제인 인산 및 피로인산 나트륨 각각 0.1~0.2중량%, 당근추출물 30 ~45중량%와 녹차추출물0.1~0.4중량%와 고삼추출물3~4중량%와 들국화 추출물3~5중량%와 상백피 추출물37~58.7중량]
상기와 같이 칭량된 염모제 조성물의 원료들과 산화제 조성물의 원료들을 기 준비된 각각의 교반 탱크내에 순차적으로 넣은 후, 적어도 10-3Torr의 고 진공하에서 67~ 85도 가온후 25 ~ 30분 동안 균질하게 혼합 교반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조성된 염모제 조성물과 산화제 조성물을 각각 25~30℃로 냉각후 95~110 메쉬의 눈금을 갖는 여과기로 여과하여 배출하는 단계, 배출된 각 조성물의 혼합비율을 1:1로 혼합할 수 있도록 각각의 튜브에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본 발명은, 산화형 염모제에 세정 기능을 추가하여 세발(洗髮)시에 염색도 구현될 수 있게 하여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한 효과가 있고, 또한 누구라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한 효과 및 세발과 염색 두가지 기능 모두를 동시에 구현되게 한 효과가 있다. 또한 식물성 원료인 검은 콩의 함유로 염모 기능과 아울러 모발 및 두피 보호 기능도 발휘하게 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예1: 콩분말>
선별,세정 및 건조와 같은 전처리 과정을 거친 검은콩을 분쇄기에 넣어 분쇄후 300mesh의 눈금(目)을 갖는 체(Screen)를 이용하여 300mesh 이하의 입도(粒度)를 갖는 콩 분말을 얻는다.
<참고예2: 상백피 추출물(Mulberry Root Extract)>
선별, 세정과 같은 전처리 과정을 거친 상백피 즉, 뽕나무 ,산 뽕나무 또는 그 밖의 동속식물(Moraceae)의 뿌리 껍질 1Kg을 정제수 100mL에 넣고 105℃에서 6시간 동안 가열 한후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성상(性狀)은 엷은 황갈색의 맑은 액이다.
<참고예3: 당근 추출물(Carrot Extract)>
선별, 세정과 같은 전처리 과정을 거친 당근을 압착하여 얻은 액으로서, 성상은 엷은 황색의 맑은 액이다.
<참고예4: 당약 추출물(Swertia Herb Extract)>
선별, 세정과 같은 전처리 과정을 자주 쓴풀의 개화기의 전초1kg을 정제수 100ml에 넣고 105℃에서 6시간 동안 가열 한후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성상(性狀)은 황갈색의 액이다.
<참고예5: 녹차 추출물(Green Tea Extract)>
선별, 세정 등의 전처리 과정을 거친 차나무의 잎(Theaceae) 1kg을 에탄올 및 부틸렌 글리콜 혼합액 100ml에 넣고 45℃에서 3시간 동안 추출 한후, 알콜 혼합액을 증류하고, 남은 추출물을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성상(性狀)은 황갈색으로 맑은 액이다.
<참고예6: 고삼 추출물(Sophroa Extract)>
선별, 세정 등의 전처리 과정을 거친 고삼(Leguminoase)의 뿌리 1kg을 에탄올 100ml에 넣고 45℃에서 3시간 동안 추출 한후, 알콜을 증류하고, 남은 추출물을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성상(性狀)은 황색~황갈색의 맑은 액이다.
<참고예7:들국화 추출물(Wild Chrysanthemum Extract)>
선별, 세정 등의 전처리 과정을 거친 산국(Chrysanthemum boreale Makino) 또는 동속식물(Compositae)의 전초 1kg을 에탄올 100ml에 넣고 45℃에서 3시간 동안 추출 한후, 알콜을 증류하고, 남은 추출물을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성상(性狀) 은 암갈색의 맑은 액이다.
<참고예8:쑥 추출물(Mugwort Extract)>
선별, 세정 및 건조 등의 전처리 과정을 거친 쑥 또는 참숙의 잎 1kg을 에탄올 100ml에 넣고 45℃에서 3시간 동안 추출 한후, 알콜을 증류하고, 남은 추출물을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성상(性狀)은 황색~ 갈색, 적갈색의 맑은 액이다.
<참고예9: 알란토인(Allantoin)>
선별, 세정 등의 전처리 과정을 거친 컴프리 잎 1kg을 에탄올 100ml에 넣고 45℃에서 3시간 동안 추출 한후, 알콜을 증류하고, 남은 추출물을 여과하여 건조하였다. 성상(性狀)은 무색~ 백색의 결정성 가루이다.
<제조예>
단계1: 염모제 조성물 원료의 칭량
하기 표1과 같이 염모제 조성물의 원료들을 칭량한다
염모제 조성물 원료
원료 명 함량(중량%)
아미노페놀 1.5
페닐린디아민 0.2
치오글리콜산 0.2
코카마이도프로빌베타인 10.1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5.1
모노에탄올아민 1.2
소듐라우릴 설페이드액 13.1
검은콩 7.8
상백피추출물 13.20
당근추출 17.0
당약추출물 8.1
녹차추출물 4.6
고삼추출물 4.4
들국화추출물 4.5
쑥추출물 3.6
알란토인 5.4
합계 100
상기 표1에서 코카마이도프로빌베타인은 기제로서 정전기 방지를 위하여 첨가하는 것이며,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의 첨가는 점증제로서, 모노에탄올아민 은 pH 조절제이고, 소듐라우릴 설페이드액은 계면활성제로서 세정제의 기능을 위하여 첨가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2염모제인 검은 콩의 첨가는 제1염모제의 보조 염모제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도록 함과 아울러 검은 콩에 함유된 고 단백질 성분인 '레구민' 및 '글리신'이 두피나 모발의 영양을 공급하여 두피및 모발의 보호 기능을 발휘한다.
또 상백피추출물과 당근추출물과 당약추출물과 녹차추출물과 고삼추출물과 들국화추출물과 쑥추출물 및 알란토인 또한 상기 검은콩과 같이 두피나 모발의 영양을 공급하여 염모제로 인한 두피의 트러블이나 모발이 손상되지 못하게 하는 보호 기능을 발휘한다.
상백피에 함유된 '페닐블라본'이 두피와 모발에 대한 항염 및 보습 기능을 하며, 당근 또한 '카로틴'이라고 하는 비타민이 풍부하여 두피와 모발에 비타민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당약은 추출물은 자주 쓴풀(Swertia Pseudo - Chinensis)의 추출물이며, 이 추출물의 성분에는 'Swertisin' 'gentisin glucoside'이 함유되어 있어 탈모 방지 및 피부보호 기능을 발휘한다.
녹차의 성분 중에는 항산화 작용을 하는 카테킨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노화 억제 기능을 한다. 즉, 잎에는 아연, 구리, 철, 망간, 불소 등이 미량의 원소와, 카페인, 폴리페놀, 비타민 P 등의 광물질과 약효 성분인 유기물이 풍부하게 들어있으며, 특히 레몬의 5배나 되는 비타민C의 함유로 두피 등과 같이 피부가 거칠어지는 것을 막고 조직에 탄력성을 주어 보습성을 유지하도록 하기 때문에 피부를 곱게해 주는 역할을 한다.
고삼의 성분에는 'matrine'이라고 하는 알카로이드가 약 2% 함유되어 있으며, 그외 아로마트린과 플라보노이드, 이소안하이드, 로이카린을 함유하고 있으며, 조직배양중 L-마키아닌과 소량의 프테로칼핀의 생성을 인정하고, 잎에는 루테오린-7-구루코시드와 종자에는 지방유 및 휘발성 알카로이드, 시스타신을 소량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성분의 함유로 살충작용이 뛰어나 여드름 치료에 우수한 효능과 아울러 피부에 윤기를 주는 기능이 있다.
들국화는 다년초로서 그 종류는 많다. 그 중 식용과 약용으로 쓰는 것은 감국(甘菊)으로써 줄기가 붉은색을 띠며, 맛이 달고 향기가 높다. 들국화라고 불리우는 종류를 보면 구절초, 개미취, 벌개미취, 쑥부쟁이, 까실쑥부쟁이,과꽃, 산국, 감국 등이 있다. 감국의 일반성분으로는 콜린, 스타키드린, 아데닌, 비타민 A, 비타민 B1 및 약 1.5%의 정유가 있다. 정유에는 보르네올, 크리산테논등이 들어 있다. 이러한 성분은 간장을 보하고 눈을 밝게하며 머리를 좋게하는데, 특히 피부를 아름답게 하고, 해독작용을 한다.
또 쑥의 성분에는 짙은 엽록소 성분과 치네올, 세스커텔펜 등의 정유성분, 비타민 A,B1,B2,C등과철분, 칼슘, 칼륨, 인과 같은 미네랄이 다량함유되어 있어, 피부건조 방지 기능과 아울러 항 알레르기 기능을 한다.
알라토인은 무색결정성의 분말로서, 세포의 활동을 직.간접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작용을하는데, 특히 피부가 트는 현상을 방지하고, 여드름이나 아토피에 항염증 작용을 하여 피부의 트러블을 없게 한다.
단계2: 산화제 조성물 원료의 칭량
하기 표2와 같이 산화제 조성물의 원료들을 칭량한다
산화제 조성물의 원료
원료명 함량(중량%)
과산화 수소 5.0~9.0
인산 0.1~0.2
피로인산 나트륨 0.1~0.2
당근추출물 30~45
녹차추출물 0.1~0.4
고삼추출물 3.0~4.0
들국화 추출물 3.0~5.0
상백피 추출물 37~58.7
합계 100
상기 표2에서 과산화수소수는 산화제의 주 원료이고, 모발속의 맬라닌 색소를 파괴하여 모발을 탈색시키고 동시에 염료와 반응을 일으켜서 새로운 색소를 만들어 내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첨가량이 5중량% 미만이면 위와 같은 과산화수소의 효능이 약화될 우려가 있고, 반대로 9중량%를 초과하면 상기 표2 기재의 같이 첨가되는 원료들의 효능을 저하시킬 우려가있다.
상기 인산 및 피로인산 나트륨은 과산화 수소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pH를 4.0부근하는 pH 조절제로서의 기능을 한다. 따라서 각 첨가량이 0.1중량% 미만이면 위와 같은 pH 조절제로서의 효능이 떨어질 우려가 있고, 반대로 각 0.2중량%를 초과하면 상기 표2 기재의 같이 첨가되는 원료들의 효능을 저하시킬 우려가있다.
그밖에 산화제에 첨가하는 당근추출물, 녹차출물, 고삼추출물, 들국화 추출물 및 상백피 추출물은 상기 표1 기재의 염모제 조성물과 같이 두피 및 모발보호를 위하여 첨가하는 것이며, 이들의 효능은 상기와 같다. 따라서 상기 표2 기재의 각 최대 함량을 초과하게 되면 상기 표2 기재의 같이 첨가되는 원료들의 효능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고, 반대로 각 최소 함량의 미만이 첨가되면 상기 표1에서 밝힌 원료들의 효능을 떨어지게 할 우려가 있다.
단계3 : 혼합 교반단계
상기 참고예에 의해서 얻어진 추출물에 의해서 상기 표1 및 표2와 같이 칭량된 염모제 조성물과 산화제 조성물의 각각의 원료들은, 기 준비된 각각의 교반 탱크내에 정제수와 같이 순차적으로 넣고, 적어도 10-3Torr의 고 진공하에서 67~85℃로 가온후, 25분 ~ 30분동안 균질하게 혼합 교반한다. 고 진공하에서 원료를 혼합하는 이유는 보다 균질하게 혼합하기 위함이다.
단계4: 여과 배출단계
상기 단계에서 조성된 염모제 조성물과 산화제 조성물을 각각 25~30℃로 냉각후 95~110 메쉬의 눈금을 갖는 여과기로 여과하여 배출한다. 이렇게 배출된 각각의 염모제와 산화제 혼합물은 기존의 샴프와 같은 점도를 갖는 액상 조성물을 이룬다.
단계5: 포장단계
배출된 각 조성물은 기 준비된 소정 단위의 용기(튜브혹은 플라스틱)에 각각 포장하여 밀봉되며, 사용시에는 각각의 염모제 조성물과 산화제 조성물의 혼합비율을 1:1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실시예>
상기 표1과 같이 칭량된 염모제 조성물 원료와, 상기 표2와 같이 칭량된 산화제 조성물 원료들을, 기 준비된 각각의 교반 탱크내에 순차적으로 넣은 후, 적어도 10-3Torr의 고 진공하에서 67 ~ 87℃로 가온후, 25~30분동안 균질하게 혼합 교반하고, 다시 25~30℃로 냉각후 110 메쉬의 눈금을 갖는 여과기로 여과하여 배출하며, 배출된 조성물은 점도를 갖는 액상 혼합물이며, 이렇게 배출된 염모제 조성물과 산화제 조성물의 혼합비율을 1:1로 혼합할 수 있도록 각각의 튜브에 포장된다.
<실험예1: 피부 자극 시험>
상기 실시예에 의거 제조된 본 발명의 염색 샴프를 '식품 의약품 안전청 고시 제2005-60호'에 의거 시험하였다. 그 결과치는 0.05로 나타난바, 비(非) 자극물질인 것으로 판명됨(실험용 쥐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의 조성물을 1:1의 비율로 조성하여 처치후 대략 24시간 이후에 홍반이 관찰되었으나, 일차 자극 지수가 0.05로 산출되어 비 자극성 물질인 것으로 판명됨).
<실험예2: 중금속 용출 시험>
상기 실시예1에서 수득된 조성물을 공인기관에 의뢰하여 중금속 용출시험을 한바, 인체에 유해한 납, 카드뮴, 망간, 수은 및 비소는 검출이 안됨.
<실험예3: 피부 자극 시험>
국내 거주하는 20~50대의 남성 30명과 여성 30명 각각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상기 실시예에 의거 제조된 본 발명의 염색 샴프 조성물을 사용하게 한 후, 두피에 나타난는 피부 트러블 및 모발 손상도를 조사한바, 남여 어디에서도 두피나 모발에 이상 징후는 발견할 수 없었다.
<실험예4 : 염색 시험>
상기 실시예에 의거 조성된 본 발명의 염색샴프와 기존 시중에서 판매하는 염모제(동성제약 염모제)와 LG 생활건강의 샴프(상품명: 엘라스틴)를 각각 구입하여 남녀 구별 없이 20~50대의 피 시험자 각 10명의 백모(白毛)에 사용하게 한 후, 염착성, 염색견뢰도 및 모발 컨디셔닝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였다.
조사방법은 기존의 상기 염모제와 산화제를 규정대로 혼합하여 피시험자들의 백모에 균등하게 도포하고 30분이 경과한후, 샴프로 세정하고 이어서 린스를 사용하여 행군 후 물기를 헤어드라이어로 건조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염색샴프 또한 염모제와 산화제를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미온수로 세정후, 상기와 동일하게 건조하였다. 이렇게 건조 한후 피시험자들의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았다.
구분 본 발명 대조군
염착성 58 58
염색견뢰도
상기 표 3에서 확인되는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샴프와 동시에 모발의 염색을 하면서도 모발에 대한 염착성은 기존의 염모제와 거의 같아서 염색견뢰도 또한 양호( ○)하게 나타남을 알수 있었다. 오히려 본 발명에 대한 피 시험자들은 염색시간을 기다리는 일이 없이 그대로 샴프와 동시에 끝나는 것에 대하여 기존의 염색방법에 비하여 큰 만족감을 얻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본 발명에 첨가된 모발 및 두피 보호제 로하여금 기존의 컨디셔닝제를 사용하여 린스를 하는 것과 큰 차이가 없다고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상기에서 염착성은 염색한 모발과 미처리 모발과의 색차(ΔE)를 분광광도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색차가 클수록 모발 염색제의 염착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 것이고, 염색견뢰도는 염착된 모발을 땀 성분과 유사한 산성 용액에 담가 일정 시간이 경과후 그 변색정도를 관찰 한것이다.

Claims (3)

  1. 세정제 및 보조 염모제를 함유하는 염모제 조성물 100중량%와 그 염모제 조성물과는 별도 조성한 산화제 조성물 100중량%를 포함하여, 상기 염모제 조성물과 산화제 조성물의 혼합비율은 1:1로 혼합 조성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염모제 조성물은 아미노페놀과 페닐린디아민 및 치오글리콜산으로 이루어진 제1염모제1.90 중량%, 코카마이도프로빌베타인10.1중량%, 점증제인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5.1중량%, pH 조절제인 모노에탄올아민 1.2중량%, 세정제인 소듐라우릴 설페이드액13.1중량%, 보조의 제2염모제인 검은콩 분말7.8중량%, 상백피추출물과 당근추출물과 당약추출물과 녹차추출물과 고삼추출물과 들국화추출물과 쑥추출물 및 알란토인으로 이루어진 두피 및 모발 보호제 60.80중량%로 조성되고,
    상기 산화제 조성물은 과산화수소수 5~9중량%, pH 조절제인 인산 및 피로인산 나트륨 각각 0.1~0.2중량%, 당근추출물 30 ~45중량%와 녹차추출물0.1~0.4중량%와 고삼추출물3~4중량%와 들국화 추출물3~5중량%와 상백피 추출물37~58.7중량%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샴프 조성물.
  2. 삭제
  3. 하기와 같은 염모제 조성물의 원료들을 칭량하는 단계;
    [염모제 조성물 아미노페놀과 페닐린디아민 및 치오글리콜산으로 이루어진 제1염모제1.90 중량%, 코카마이도프로빌베타인10.1중량%, 점증제인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5.1중량%, pH 조절제인 모노에탄올아민 1.2중량%, 세정제인 소듐라우릴 설페이드액13.1중량%, 제2염모제인 검은콩 분말7.8중량%, 상백피추출물과 당근추출물과 당약추출물과 녹차추출물과 고삼추출물과 들국화추출물과 쑥추출물 및 알란토인으로 이루어진 두피 및 모발 보호제 60.80중량%]
    하기와 같은 산화제 조성물의 원료들을 칭량하는 단계;
    [과산화수소수 5~9중량%, pH 조절제인 인산 및 피로인산 나트륨 각각 0.1~0.2중량%, 당근추출물 30~45중량%와 녹차추출물0.1~0.4중량%와 고삼추출물3~4중량%와 들국화 추출물3~5중량%와 상백피 추출물37~58.7중량%]
    상기와 같이 칭량된 염모제 조성물의 원료들과 산화제 조성물의 원료들을 기 준비된 각각의 교반 탱크 내에 순차적으로 넣은 후, 적어도 10-3Torr의 고 진공하에서 67~ 85도 가온후 25 ~ 30분 동안 균질하게 혼합 교반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조성된 염모제 조성물과 산화제 조성물을 각각 25~30℃로 냉각후 95~110 메쉬의 눈금을 갖는 여과기로 여과하여 배출하는 단계 ; 및
    배출된 각 조성물의 혼합비율은 1:1로 혼합할 수 있도록 각각의 튜브에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색샴프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90042635A 2009-05-15 2009-05-15 염색샴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95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635A KR101195698B1 (ko) 2009-05-15 2009-05-15 염색샴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635A KR101195698B1 (ko) 2009-05-15 2009-05-15 염색샴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422A KR20100123422A (ko) 2010-11-24
KR101195698B1 true KR101195698B1 (ko) 2012-10-29

Family

ID=43408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2635A KR101195698B1 (ko) 2009-05-15 2009-05-15 염색샴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569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1521A (ko) * 2018-06-14 2019-12-24 용 빈 김 산화제, 영양제, 염색약을 혼합하는 방법
KR20190142627A (ko) * 2018-06-18 2019-12-27 용 빈 김 염색약에 산화제와 영양제를 혼합하는 방법
KR102148800B1 (ko) 2020-05-04 2020-08-27 이창원 탈모 예방 유황 샴푸 제조방법
KR102575737B1 (ko) 2022-08-12 2023-09-07 주식회사 신도피앤지 이온결합에 의해 착색효과를 향상시킨 모발 염색 및 세정용 조성물의 사용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09904A1 (en) * 2011-12-28 2013-07-03 KPSS-Kao Professional Salon Services GmbH Oxidative dyeing composition
KR102233117B1 (ko) * 2019-10-16 2021-03-2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까실쑥부쟁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육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9788B1 (ko) 2005-07-13 2006-04-10 광덕물산주식회사 상심자, 상엽 또는 상백피를 포함하는 염모제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9788B1 (ko) 2005-07-13 2006-04-10 광덕물산주식회사 상심자, 상엽 또는 상백피를 포함하는 염모제용 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1521A (ko) * 2018-06-14 2019-12-24 용 빈 김 산화제, 영양제, 염색약을 혼합하는 방법
KR102062455B1 (ko) * 2018-06-14 2020-01-03 용 빈 김 산화제, 영양제, 염색약을 혼합하는 방법
KR20190142627A (ko) * 2018-06-18 2019-12-27 용 빈 김 염색약에 산화제와 영양제를 혼합하는 방법
KR102062457B1 (ko) * 2018-06-18 2020-02-11 용 빈 김 염색약에 산화제와 영양제를 혼합하는 방법
KR102148800B1 (ko) 2020-05-04 2020-08-27 이창원 탈모 예방 유황 샴푸 제조방법
KR102575737B1 (ko) 2022-08-12 2023-09-07 주식회사 신도피앤지 이온결합에 의해 착색효과를 향상시킨 모발 염색 및 세정용 조성물의 사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422A (ko) 201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5698B1 (ko) 염색샴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72898B1 (ko)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용 조성물
KR101073678B1 (ko) 한약재를 이용한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30352B1 (ko) 화장료용 항산화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350568B (zh) 一种具有抗蓝光、抗氧化、美白、舒缓作用的组合物以及抗光老化精华及其制备方法
KR20190028996A (ko) 여주, 감나무잎 및 비단풀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36966B1 (ko) 천연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며, 염색시간이 빠른 비산화형 염모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50585B1 (ko) 플로로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모 방지 및 흑모 촉진용 조성물 및 제품
KR101415992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모근 강화 및 두피 상태 개선용조성물
KR100569788B1 (ko) 상심자, 상엽 또는 상백피를 포함하는 염모제용 조성물
KR101583595B1 (ko)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2394707B1 (ko)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56059B1 (ko) 자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92414B1 (ko) 무화과나무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CN106309258A (zh) 具有淡化老人斑功效的护肤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622555B1 (ko) 탈모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537293B1 (ko) 포제 처리된 감국 또는 진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060066150A (ko) 상심자, 상엽 또는 상백피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염모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54148B1 (ko) 새싹보리 유래 기능성 성분의 추출 방법 및 이에 의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 조성물
KR102439454B1 (ko) 검정콩의 종피 추출물 및 캐모마일을 포함하는 천연 염모제 제조 방법
KR102366234B1 (ko) 데스모디움 스컥스(Desmodium sequax Wall) 유래의 피부 주름 개선효과를 보이는 용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KR101458877B1 (ko) 오배자, 함초 및 감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KR102664798B1 (ko) 아로니아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모공개선 및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50660B1 (ko) 소목, 황백, 치자 및 황련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02631A (ko) 솔잎 추출액을 포함한 모발의 생장 촉진용 샴푸 조성물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