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5692B1 - 상수배관의 파울링 억제장치 - Google Patents

상수배관의 파울링 억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5692B1
KR101195692B1 KR1020120059919A KR20120059919A KR101195692B1 KR 101195692 B1 KR101195692 B1 KR 101195692B1 KR 1020120059919 A KR1020120059919 A KR 1020120059919A KR 20120059919 A KR20120059919 A KR 20120059919A KR 101195692 B1 KR101195692 B1 KR 101195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upport member
reaction
reaction spac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찬
조재용
이인호
홍영표
박병재
김형준
박광호
김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주)아리에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주)아리에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Priority to KR1020120059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6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배관의 파울링 억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의 반응공간에 구비되는 반응부재의 지지부재의 단면형상이 원형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의 반응공간으로 유입된 물 등을 포함한 유체가 상기 지지부재에 부딪칠 시 발생되는 항력이 최소화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물 등을 포함한 유체의 유속이 저하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 및 배출구와 각각 연결된 상수배관내에 녹 및 스케일을 포함한 파울링이 발생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반응부재의 하부판에 구비되어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력부재를 통해 상기 하부판의 상부면에 물 등을 포함한 유체에 포함된 금속성분인 녹 및 스케일을 포함한 금속이물질이 보다 용이하게 적재될 수 있음은 물론 이물질배출관을 통해 일부 유체와 함께 녹 및 스케일을 포함한 금속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상수배관의 파울링 억제장치{FOULING SUPPRESSION DEVICES OF WATER PIPE}
본 발명은 하우징의 반응공간에 구비되는 반응부재의 지지부재의 단면형상이 원형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의 반응공간으로 유입된 물 등을 포함한 유체가 상기 지지부재에 부딪칠 시 발생되는 항력이 최소화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물 등을 포함한 유체의 유속이 저하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 및 배출구와 각각 연결된 상수배관내에 녹 및 스케일을 포함한 파울링이 발생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반응부재의 하부판에 구비되어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력부재를 통해 상기 하부판의 상부면에 물 등을 포함한 유체에 포함된 금속성분인 녹 및 스케일을 포함한 금속이물질이 보다 용이하게 적재될 수 있음은 물론 이물질배출관을 통해 일부 유체와 함께 녹 및 스케일을 포함한 금속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상수배관의 파울링 억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배관을 흐르는 유체에 의한 부식의 제거와 방지, 스케일의 제거와 방지를 위한 방법은 물리적인 방법과 화학적인 방법으로 대별될 수 있다.
먼저, 물리적인 방법은 브러쉬 등의 기구나 고압의 물을 사용하여 상수배관 내벽에 형성된 녹 및 스케일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물리적인 방법은 부식 및 스케일을 제거한 이후 일정기간이 지나면 녹 및 스케일이 다시 생성됨으로, 주기적으로 녹 및 스케일을 제거하여야 한다.
따라서, 물리적인 방법은 녹 및 스케일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이 되지 못하며, 또한 녹 및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한 준설공사 및 터파기 공사가 필요하여 상대적으로 시공비용이 높아진다.
그리고, 화학적 방법은 청과제 등을 이용하여 부식 및 스케일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사용은 용이하지만 인체 및 환경에 나쁜 영향으로 인하여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아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상수배관설비에 장착되어 녹 및 스케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배관설비용 유체처리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배관설비용 유체처리장치는 크게, 양측에 각각 배관과 연결되는 유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반응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반응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 및 배출구와 각각 연결된 배관내에 녹 및 스케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반응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하우징의 반응공간으로 유입된 물 등을 포함한 유체가 상기 반응부재에 부딪칠 시 발생되는 항력으로 인해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에서 배출구 방향으로의 유체의 흐름이 저하됨과 더불어 유체의 유속 또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하우징의 반응공간에 구비되는 반응부재의 지지부재의 단면형상이 원형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의 반응공간으로 유입된 물 등을 포함한 유체가 상기 지지부재에 부딪칠 시 발생되는 항력이 최소화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물 등을 포함한 유체의 유속이 저하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 및 배출구와 각각 연결된 상수배관내에 녹 및 스케일을 포함한 파울링이 발생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반응부재의 하부판에 구비되어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력부재를 통해 상기 하부판의 상부면에 물 등을 포함한 유체에 포함된 금속성분인 녹 및 스케일을 포함한 금속이물질이 보다 용이하게 적재될 수 있음은 물론 이물질배출관을 통해 일부 유체와 함께 녹 및 스케일을 포함한 금속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상수배관의 파울링 억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측에 각각 상수배관과 연결되는 유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반응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반응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반응공간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는 유체가 통과하는 반응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응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반응공간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하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반응공간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수직구비되고, 단면형상이 원형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배관의 파울링 억제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반응부재의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상기 지지부재가 관통하는 보조판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보조판은 상기 지지부재를 따라 상기 지지부재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보조판에 상기 지지부재가 관통하는 관통구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의 내주면에 상기 지지부재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밀착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보조판의 일측과 상기 보조판의 타측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외주면에 밀착고정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지지부재의 중심부에 상기 하우징의 반응공간과 연통되는 슬릿이 상기 지지부재의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반응부재의 하부판에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력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이물질배출관이 구비되고, 상기 이물질배출관에 상기 이물질배출관을 개폐하는 개폐밸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반응공간에 구비되는 반응부재의 지지부재의 단면형상이 원형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의 반응공간으로 유입된 물 등을 포함한 유체가 상기 지지부재에 부딪칠 시 발생되는 항력이 최소화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물 등을 포함한 유체의 유속이 저하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 및 배출구와 각각 연결된 상수배관내에 녹 및 스케일을 포함한 파울링이 발생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반응부재의 하부판에 구비되어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력부재를 통해 상기 하부판의 상부면에 물 등을 포함한 유체에 포함된 금속성분인 녹 및 스케일을 포함한 금속이물질이 보다 용이하게 적재될 수 있음은 물론 이물질배출관을 통해 일부 유체와 함께 녹 및 스케일을 포함한 금속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상수배관의 파울링 억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반응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밀착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고정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상부판의 하부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9는 반응부재의 내부에 토르말린과 이산화티타늄이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0은 유체의 흐름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지지부재 주변의 유체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지지부재에 슬릿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상수배관의 파울링 억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반응부재(2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상수배관의 파울링 억제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하우징(10)과 반응부재(2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하우징(10)의 양측 즉, 상기 하우징(10)의 일측과 상기 하우징(10)의 타측에는 각각 상수배관(미도시)과 연결되는 유입구(110) 및 배출구(130)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상기 유입구(110) 및 상기 배출구(130)와 연통되는 반응공간(150)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반응부재(20)는 상기 하우징(10)의 유입구(110) 및 배출구(130)와 각각 연결된 상수배관(미도시)내에 녹 및 스케일을 포함한 파울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의 반응공간(150)에 구비된다.
상기 유입구(110)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반응공간(150)으로 유입된 물 등을 포함한 유체는 상기 반응공간(150)의 내주면을 따라 흐름과 동시에 상기 반응부재(20)를 통과하여 상기 배출구(110)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된다.(도 10 참조.)
특히, 상기 반응부재(20)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부판(210), 하부판(220) 및 지지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라스틱 등을 포함한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상부판(210)은 상기 하우징(10)의 반응공간(150)의 상측에 수평구비된다.
플라스틱 등을 포함한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하부판(220)은 상기 상부판(210)의 하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반응공간(150)의 하측에 수평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230)는 상기 상부판(210)과 상기 하부판(220)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수직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230)는 단면형상이 원형형상으로 형성되는 아연재질의 지지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반응부재(20)의 내부에 후술할 토르말린(도 7의 271)과 이산화티타늄(도 7의 272)이 수용될 시 상기 반응부재(20)의 지지부재(230)가 상기 반응부재(20)의 외측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반응부재(20)의 상부판(210)과 하부판(220) 사이에 상기 지지부재(230)가 수직관통하는 환형의 보조판(240)이 수평구비될 수 있다.
한편, 환형의 상기 보조판(240)이 상기 유입구(110) 및 상기 배출구(130)와 수평으로 일직선을 이룬 상태로 상기 하우징(10)의 반응공간(150)의 중심부에 구비될 경우,
상기 하우징(10)의 유입구(110)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반응공간(150)으로 유입된 물 등을 포함한 유체가 환형의 상기 보조판(240)에 부딪쳐 발생되는 항력에 의해 물 등을 포함한 유체의 흐름이 저하됨과 더불어 유체의 유속 또한 저하될 우려가 다분함으로,
바람직하게는, 환형의 상기 보조판(240)이 상기 유입구(110) 및 상기 배출구(130)와 수평으로 일직선을 이루지 않도록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형의 상기 보조판(240)이 상기 유입구(110)의 상측 내주면 및 상기 배출구(130)의 상측 내주면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반응공간(150)의 상측에 수평구비되거나,
환형의 상기 보조판(240)이 상기 유입구(110) 및 상기 배출구(130)와 수평으로 일직선을 이루지 않도록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형의 상기 보조판(240)이 상기 유입구(110)의 하측 내주면 및 상기 배출구(130)의 하측 내주면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반응공간(150)의 하측에 수평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환형의 상기 보조판(240)은 상기 지지부재(230)를 따라 상기 지지부재(230)의 상하방향으로 작업자에 의해 이동하여 위치조절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예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형의 상기 보조판(240)에는 상기 지지부재(230)가 수직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241)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밀착부재(28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상기 관통구(2341)의 내주면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3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고무재질의 오링 등을 포함한 밀착부재(280)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고정부재(29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른예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형의 상기 보조판(240)의 일측과 환형의 상기 보조판(240)의 타측에 각각 수평으로 나사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230)의 외주면에 밀착고정되는 고정볼트 등을 포함한 고정부재(29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상부판(210)의 하부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반응부재(20)의 분해조립의 용이성을 위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판(210)의 하부면 가장자리와 상기 하부판(220)의 상부면 가장자리에는 각각 홈(250)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250)은 상기 상부판(210)의 하부면 가장자리에 상기 상부판(21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250)은 상기 하부판(220)의 하부면 가장자리에 상기 하부판(22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250)내에는 상기 지지부재(230)의 상측과 상기 지지부재(230)의 하측이 각각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될 수 있다.
도 9는 반응부재(20)의 내부에 토르말린(271)과 이산화티타늄(272)이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반응부재(20)의 내부 즉, 지지부재(23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판(210)과 상기 하부판(220) 사이에는 상수배관(미도시)에 녹 및 스케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토르말린(271)과;
물 등을 포함한 유체에 함유된 오폐물과 환원 또는 산화반응을 하여 각종 병균과 악취의 살균 및 탈취를 도와주는 광촉매로 널리 사용되는 이산화티타늄(272);이 각각 수용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토르말린(271)과 이산화티타늄(272)은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에 해당됨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0은 유체의 흐름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지지부재(230) 주변의 유체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입구(110)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반응공간(150)으로 유입된 물 등을 포함한 유체는 상기 반응공간(150)의 내주면을 따라 흐름과 동시에 상기 반응부재(20)를 통과하여 상기 배출구(110)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특히 상기 지지부재(230)의 단면형상이 원형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봉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하우징(10)의 반응공간(150)으로 유입된 물 등을 포함한 유체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30)의 외주면을 타고 자연스럽게 지나갈 수 있기 때문에 물 등을 포함한 유체가 상기 지지부재(230)에 부딪칠 시 발생되는 항력이 최소화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물 등을 포함한 유체의 유속이 저하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지지부재(230)에 슬릿(231)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2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30)의 중심부에 상기 하우징(10)의 반응공간(150)과 연통되는 슬릿(231)이 상기 지지부재(230)의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반응공간(150)으로 유입된 물 등을 포함한 유체 중 일부는 상기 지지부재(230)의 슬릿(231)을 통과할 수 있다.
이로서, 상기 하우징(10)의 반응공간(150)으로 유입된 물 등을 포함한 유체가 보다 더욱 자연스럽게 상기 지지부재(230)를 지나갈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반응부재(20)의 하부판(220) 내부 하측에는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 등을 포함한 자력부재(260)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력부재(260)가 발생시키는 자력에 의해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판(220)의 상부면에 물 등을 포함한 유체에 포함된 금속성분인 녹 및 스케일을 포함한 금속이물질(5)이 보다 용이하게 적재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하우징(10)의 타측 하부에는 상기 하우징(10)의 배출구(130)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하우징(10)의 반응공간(150)과 연통되는 이물질배출관(30)이 연결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배출관(30)에는 상기 이물질배출관(30)을 개폐하는 개폐밸브(310)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하우징(10)의 하측에는 작업자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하측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투시창이 구비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투시창을 통해 상기 하부판(220)의 상부면에 금속성분인 녹 및 스케일을 포함한 금속이물질(5)이 적재된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 상기 개폐밸브를 조작하여 상기 이물질배출관(30)을 개방할 수 있다.
상기 하부판(220)의 상부면에 적재된 녹 및 스케일을 포함한 금속이물질(5)은 물 등을 포함한 유체의 일부와 함께 상기 이물질배출관(30)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다른예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하부판(220)에는 상기 하부판(220)의 상부면에 적재된 녹 및 스케일을 포함한 금속이물질(5)을 감지하는 공지된 감지부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개폐밸브(310)는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이물질배출관(30)을 자동개폐하는 전자식 솔레노이드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감지부가 상기 하부판(220)의 상부면에 적재된 녹 및 스케일을 포함한 금속이물질(5)을 감지하게 되면, 전자식 솔레노이드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개폐밸브(310)는 상기 이물질배출관(30)을 개방하게 된다.
상기 하부판(220)의 상부면에 녹 및 스케일을 포함한 금속이물질(5)이 적재되지 않아 상기 감지부가 녹 및 스케일을 포함한 금속이물질(5)을 감지하지 못하게 되면, 전자식 솔레노이드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개폐밸브(310)는 상기 이물질배출관(30)을 폐쇄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10)의 반응공간(150)에 구비되는 상기 반응부재(20)의 지지부재(230)의 단면형상이 원형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10)의 반응공간(150)으로 유입된 물 등을 포함한 유체가 상기 지지부재(230)에 부딪칠 시 발생되는 항력이 최소화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물 등을 포함한 유체의 유속이 저하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하우징(10)의 유입구(110) 및 배출구(130)와 각각 연결된 상수배관(미도시)내에 녹 및 스케일을 포함한 파울링이 발생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반응부재(20)의 하부판(220)에 구비되어 자력을 발생시키는 상기 자력부재(260)를 통해 상기 하부판(220)의 상부면에 물 등을 포함한 유체에 포함된 금속성분인 녹 및 스케일을 포함한 금속이물질(5)이 보다 용이하게 적재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이물질배출관(30)을 통해 일부 유체와 함께 녹 및 스케일을 포함한 금속이물질(5)을 보다 용이하게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하우징, 20; 반응부재,
210; 상부판, 220; 하부판,
230; 지지부재.

Claims (8)

  1. 양측에 각각 상수배관과 연결되는 유입구(110) 및 배출구(130)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유입구(110) 및 상기 배출구(130)와 연통되는 반응공간(150)이 형성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반응공간(150)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0)의 반응공간(150)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는 유체가 통과하는 반응부재(20);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응부재(20)는 상기 하우징(10)의 반응공간(150)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부판(210)과; 상기 상부판(210)의 하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반응공간(150)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판(220)과; 상기 상부판(210)과 상기 하부판(220)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수직구비되고, 단면형상이 원형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반응부재(20)의 하부판(220)에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력부재(2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배관의 파울링 억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부재(20)의 상부판(210)과 하부판(220) 사이에 상기 지지부재(230)가 관통하는 보조판(24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배관의 파울링 억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판(240)은 상기 지지부재(230)를 따라 상기 지지부재(23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배관의 파울링 억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판(240)에 상기 지지부재(230)가 관통하는 관통구(241)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241)의 내주면에 상기 지지부재(23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밀착부재(2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배관의 파울링 억제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판(240)의 일측과 상기 보조판(240)의 타측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230)의 외주면에 밀착고정되는 고정부재(29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배관의 파울링 억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30)의 중심부에 상기 하우징(10)의 반응공간(150)과 연통되는 슬릿(231)이 상기 지지부재(230)의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배관의 파울링 억제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하측에 이물질배출관(30)이 구비되고,
    상기 이물질배출관(30)에 상기 이물질배출관(30)을 개폐하는 개폐밸브(31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배관의 파울링 억제장치.
  8. 삭제
KR1020120059919A 2012-06-04 2012-06-04 상수배관의 파울링 억제장치 KR101195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919A KR101195692B1 (ko) 2012-06-04 2012-06-04 상수배관의 파울링 억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919A KR101195692B1 (ko) 2012-06-04 2012-06-04 상수배관의 파울링 억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5692B1 true KR101195692B1 (ko) 2012-10-30

Family

ID=47288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919A KR101195692B1 (ko) 2012-06-04 2012-06-04 상수배관의 파울링 억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56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303B1 (ko) * 2004-04-28 2005-04-28 케이에프이 주식회사 상수도용 스트레이너 장치
KR100880401B1 (ko) 2008-03-21 2009-01-3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스트레이너의 클리닝장치 및 클리닝방법
KR200446760Y1 (ko) 2009-04-29 2009-11-25 김소일 상수도스트레이너
KR100996376B1 (ko) 2010-08-25 2010-11-24 (주)아리에코 배관설비용 유체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303B1 (ko) * 2004-04-28 2005-04-28 케이에프이 주식회사 상수도용 스트레이너 장치
KR100880401B1 (ko) 2008-03-21 2009-01-3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스트레이너의 클리닝장치 및 클리닝방법
KR200446760Y1 (ko) 2009-04-29 2009-11-25 김소일 상수도스트레이너
KR100996376B1 (ko) 2010-08-25 2010-11-24 (주)아리에코 배관설비용 유체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8565B2 (en) Fluid treatment and disposal system and methods of use
KR101239260B1 (ko) 자동 역세척이 가능한 케미컬 여과필터장치
KR100902540B1 (ko) 제수밸브
JP5990423B2 (ja) 浄化槽排水処理システム
KR101195692B1 (ko) 상수배관의 파울링 억제장치
US20100215553A1 (en) UV Disinfection System
KR101532275B1 (ko) 슬러지 배출 저류조
CN204285735U (zh) 一种数据中心精密空调加湿自流供水装置
KR101469829B1 (ko) 역류방지 및 소음감쇄 기능을 가진 수도계량기
JP2015075248A (ja) 加湿機の漏水防止装置
JP2014238001A (ja) 床ドレンファンネル
KR102326266B1 (ko) 침전식 용수여과장치
CN102114363A (zh) 智能吸污系统
NL2013577B1 (en) Assembly of a sewer and a sewer blockage detection system.
KR102011712B1 (ko) 절수형 자동 수전
US20140251460A1 (en) Wastewater Overflow Prevention System
CN106807678A (zh) 一种透明度装置
JP6371082B2 (ja) 圧送排水装置
JP6449130B2 (ja) 浸漬型検出器の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JPH11201785A (ja) 水道メータ
CN205099343U (zh) 一种泵液体的装置
KR101579557B1 (ko) 산소 용해장치
KR20190080468A (ko) 배수구용 자동 잠금 시스템
GB2537188A (en) Improved shower pump drainage system
CN208022816U (zh) 一种环境污水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