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6376B1 - 배관설비용 유체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배관설비용 유체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6376B1
KR100996376B1 KR1020100082333A KR20100082333A KR100996376B1 KR 100996376 B1 KR100996376 B1 KR 100996376B1 KR 1020100082333 A KR1020100082333 A KR 1020100082333A KR 20100082333 A KR20100082333 A KR 20100082333A KR 100996376 B1 KR100996376 B1 KR 100996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zinc
reaction member
spac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호
김종하
이영찬
Original Assignee
(주)아리에코
이인호
(주)에이치엠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리에코, 이인호, (주)에이치엠환경 filed Critical (주)아리에코
Priority to KR1020100082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63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376B1/ko
Priority to PCT/KR2011/004335 priority patent/WO2012026671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3/00Inhibiting corrosion of metals by anodic or cathodic protection
    • C23F13/02Inhibiting corrosion of metals by anodic or cathodic protection cathodic; Selection of conditions, parameters or procedures for cathodic protection, e.g. of electrical conditions
    • C23F13/06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of cathodic-protection apparatus
    • C23F13/08Electrodes specially adapted for inhibiting corrosion by cathodic protection; Manufacture thereof;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hereto
    • C23F13/1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for prevention or elimination of depos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76Galvanic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8Corrosion inhib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2Eliminating or preventing deposits, scale removal, scale preven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5/00Use of specific compounds during water treatment
    • C02F2305/10Photocataly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4Treatment of water in water supply networks, e.g. to prevent bacterial growth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2213/00Aspects of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s by anodic or cathodic protection
    • C23F2213/30Anodic or cathodic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object
    • C23F2213/32Pip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Catalyst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설비용 유체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아연반응부재에 하우징의 배출구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볼록부와,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의 입구에 상기 하우징의 반응공간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는 유체를 상기 볼록부방향으로 유도시키는 돌출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를 통과하는 물 등을 포함한 유체에 난류가 발생될 수 있게 됨은 물론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를 통과하는 물 등을 포함한 유체에 발생되는 난류를 통해 배관내에 녹이나 스케일이 발생되는 것을 보다 높은 효율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관설비용 유체처리장치{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PIPE}
본 발명은 아연반응부재에 하우징의 배출구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볼록부와,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의 입구에 상기 하우징의 반응공간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는 유체를 상기 볼록부방향으로 유도시키는 돌출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를 통과하는 물 등을 포함한 유체에 난류가 발생될 수 있게 됨은 물론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를 통과하는 물 등을 포함한 유체에 발생되는 난류를 통해 배관내에 녹이나 스케일이 발생되는 것을 보다 높은 효율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배관설비용 유체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을 흐르는 유체에 의한 부식의 제거와 방지, 스케일의 제거와 방지를 위한 방법은 물리적인 방법과 화학적인 방법으로 대별될 수 있다.
먼저, 물리적인 방법은 브러쉬 등의 기구나 고압의 물일 사용하여 배관 내벽에 형성된 부식이나 스케일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물리적인 방법은 부식 및 스케일을 제거한 이후 일정기간이 지나면 부식 및 스케일이 다시 생성됨으로, 주기적으로 부식 및 스케일을 제거하여야 한다.
따라서, 물리적인 방법은 부식 및 스케일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이 되지 못하며, 또한 부식 및 스케일을제거하기 위한 준설공사 및 터파기 공사가 필요하여 상대적으로 시공비용이 높아진다.
그리고, 화학적 방법은 청과제 등을 이용하여 부식 및 스케일을 제거하는 것으로써, 사용은 용이하지만 인체 및 환경에 미치는 나쁜 영향으로 인하여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아니다.
이와 같이 물리적인 방법이나 화학적인 방법에 의한 유체처리 방법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배관설비에 장착되어 부식 및 스케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배관설비용 유체처리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나, 상기 배관설비용 유체처리장치는 배관의 부식 및 스케일의 발생방지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아연반응부재에 하우징의 배출구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볼록부와,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의 입구에 상기 하우징의 반응공간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는 유체를 상기 볼록부방향으로 유도시키는 돌출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를 통과하는 물 등을 포함한 유체에 난류가 발생될 수 있게 됨은 물론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를 통과하는 물 등을 포함한 유체에 발생되는 난류를 통해 배관내에 녹이나 스케일이 발생되는 것을 보다 높은 효율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배관설비용 유체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측에 각각 배관과 연결되는 유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반응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반응공간내에 배치되는 아연반응부재와; 상기 반응공간의 내주면과 상기 아연반응부재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아연반응부재를 상기 반응공간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아연반응부재에는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와 대향되는 부분에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볼록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의 입구에는 상기 반응공간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는 유체를 상기 볼록부 방향으로 유도시키는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설비용 유체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아연반응부재에는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와 대향되는 부분에 상기 유입구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의 입구에 복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의 입구에 환상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아연반응부재는 구형상, 에그(egg)형상, 상하부가 둥근 원기둥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의 반응공간은 상기 아연반응부재의 형상보다 일정비율 크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반응공간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이격링이 안착되는 환형의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은 평면상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이격링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아연반응부재의 하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아연반응부재의 볼록부가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를 향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아연반응부재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외주면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다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에는 토르말린과 이산화티타늄이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아연반응부재에 하우징의 배출구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볼록부와,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의 입구에 상기 하우징의 반응공간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는 유체를 상기 볼록부방향으로 유도시키는 돌출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를 통과하는 물 등을 포함한 유체에 난류가 발생될 수 있게 됨은 물론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를 통과하는 물 등을 포함한 유체에 발생되는 난류를 통해 배관내에 녹이나 스케일이 발생되는 것을 보다 높은 효율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아연반응부재에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부로 인해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를 지나 상기 하우징의 반응공간으로 물 등을 포함한 유체가 보다 더욱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의 입구에 등간격으로 복수형성되는 상기 돌출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반응공간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는 물 등을 포함한 유체를 상기 아연반응부재의 볼록부 방향으로 보다 더욱 용이하게 유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하우징의 입구에 환상으로 돌출형성되는 상기 돌출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반응공간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는 물 등을 포함한 유체를 상기 아연반응부재의 볼록부 방향으로 보다 더더욱 용이하게 유도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의 반응공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기 이격링이 안착되는 환형의 단차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의 반응공간에 상기 아연반응부재를 조립하는 과정 중에 상기 이격링이 어느 한방향으로 치우쳐 유동될 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하우징에 상기 아연반응부재를 보다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즉, 조립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이 평면상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특정장소에 보관 중인 상기 하우징이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어져 쓰러질 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이격링의 하나 이상의 고정홈에 상기 아연반응부재의 고정돌기가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아연반응부재의 볼록부가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를 항시 향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아연반응부재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토르말린과 이산화티타늄으로 인해 배관내에 녹이나 스케일이 발생되는 것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물 등을 포함한 유체를 보다 용이하게 살균 및 탈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배관설비용 유체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상하부가 둥근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아연반응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 - A선에 따른 하우징의 단면상태와,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의 입구에 돌출부가 복수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하우징의 배출구의 돌출부가 환상으로 돌출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고,
도 6은 구형상으로 이루어진 아연반응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에그형상으로 이루어진 아연반응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이격링에 하나 이상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아연반응부재에 고정돌기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아연반응부재의 내부에 구비된 수용공간에 토르말린과 이산화티타늄이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배관설비용 유체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상하부가 둥근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아연반응부재(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배관설비용 유체처리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양측에 각각 배관(미도시)과 연결되는 유입구(110) 및 배출구(130)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유입구(110) 및 상기 배출구(130)와 연통되는 반응공간(150)이 형성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반응공간(150)내에 배치되는 아연반응부재(30)와;
상기 반응공간(150)의 내주면과 상기 아연반응부재(30)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아연반응부재(30)를 상기 반응공간(150)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부도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이격링(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 아연반응부재(30) 및 상기 이격링(50)은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단,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아연반응부재(30)에는 상기 하우징(10)의 배출구(130)와 대향되는 부분에 상기 배출구(130)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볼록부(7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배출구(130)의 입구에는 상기 반응공간(150)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는 물 등을 포함한 유체를 상기 볼록부(70) 방향으로 유도시키는 돌출부(90)가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90)의 형상은 상기 하우징(10)의 배출구(130)의 입구에서 상기 아연반응부재(30)의 볼록부(70) 방향으로 갈수록 볼록하게 돌출형성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배출구(130)의 입구에서 상기 아연반응부재(30)의 볼록부(70) 방향으로 갈수록 첨예하게 돌출형성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아연반응부재(30)에는 상기 하우징(10)의 유입구(110)와 대향되는 부분에 상기 유입구(110)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연반응부재(30)에 상기 하우징(10)의 유입구(110)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상기 볼록부(60)로 인해 상기 하우징(10)의 유입구(110)를 지나 상기 하우징(10)의 반응공간(150)으로 물 등을 포함한 유체가 보다 더욱 원활하게 유입(도 2의 실선화살표 ① 참조.)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4는 도 2의 A - A선에 따른 하우징(10)의 단면상태와, 상기 하우징(10)의 배출구(130)의 입구에 돌출부(90)가 복수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90)는 상기 하우징(10)의 배출구(130)의 입구에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배출구(130)의 입구에 등간격으로 복수형성되는 상기 돌출부(90)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반응공간(150)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는 물 등을 포함한 유체를 상기 아연반응부재(30)의 볼록부(70)방향으로(도 2의 실선화살표 ② 참조.)보다 더욱 용이하게 유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5는 도 4의 하우징(10)의 배출구(130)의 돌출부(90)가 환상으로 돌출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90)는 상기 하우징(10)의 배출구(130)의 입구에 환상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입구에 환상으로 돌출형성되는 상기 돌출부(90)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반응공간(150)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는 물 등을 포함한 유체를 상기 아연반응부재(30)의 볼록부(70) 방향으로 보다 더더욱 용이하게 유도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6은 구형상으로 이루어진 아연반응부재(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에그형상으로 이루어진 아연반응부재(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3,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아연반응부재(30)는 구형상(도 6 참조), 에그(egg)형상(도 7 참조.), 상하부가 둥근 원기둥형상(도 3 참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반응공간(150)은 상기 아연반응부재(30)의 형상보다 일정비율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10)의 반응공간(150)의 내경크기가 상기 아연반응부재(32)의 내경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반응공간(15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이격링(50)이 안착되는 수평상태의 환형의 단차부(160)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반응공간(150)의 상부 내주면과 하부 내주면에는 상기 하우징(10)의 반응공간(150)의 상부 내주면 및 하부 내주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하우징(10)의 반응공간(150) 내측으로 돌출되는 단면형상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환형의 돌출부재(11, 13)가 형성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돌출부재(11, 13)의 양단부에는 상기 이격링(50)이 안착되는 수평상태의 상기 단차부(16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반응공간(15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기 이격링(50)이 안착되는 상기 환형의 단차부(160)가 형성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상기 하우징(10)의 반응공간(150)에 상기 아연반응부재(30)를 조립하는 과정 중에 상기 이격링(50)이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쳐 유동될 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하우징(10)에 상기 아연반응부재(30)를 보다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되는 즉, 조립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하부면은 평면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하부면이 평면상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자에 의해 특정장소에 보관 중인 상기 하우징(10)이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어져 쓰러질 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8은 이격링(50)에 하나 이상의 고정홈(80)이 형성되고, 아연반응부재(30)에 고정돌기(100)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반응공간(150)의 상부 내주면과 상기 아연반응부재(30)의 상단부 사이 및 상기 반응공간(150)의 하부 내주면과 상기 아연반응부재(30)의 하단부 사이에 게재되는 상기 이격링(50) 모두 또는,
상기 반응공간(150)의 하부 내주면과 상기 아연반응부재(30)의 하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하나의 상기 이격링(50)에는 단면형상이 삼각형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고정홈(8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연반응부재(30)의 상하부 외주면 모두 또는 상기 아연반응부재(30)의 하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아연반응부재(30)의 볼록부(70)가 상기 하우징(10)의 배출구(130)를 향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홈(80)에 삽입되는 단면형상이 삼각형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1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격링(50)의 하나 이상의 고정홈(80)에 상기 아연반응부재(30)의 고정돌기(100)가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아연반응부재(30)의 볼록부(70)가 상기 하우징(10)의 배출구(130)를 항시 향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9는 아연반응부재(30)의 내부에 구비된 수용공간(310)에 토르말린(311)과 이산화티타늄(313)이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아연반응부재(3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3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연반응부재(30)의 외주면에는 상기 수용공간(310)과 연통되는 원형형상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다공(3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공(330)을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반응공간(150)내로 유입된 물 등을 포함한 유체 중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310)내로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310)에는 토르말린(311)과 이산화티타늄(313)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310)에 수용된 상기 토르말린(311)은 열이나 압력을 가하면 전기가 발생되는 전기적의 일종으로써, 다양한 전기적 성질을 가진다.
이는 토르말린(311) 광석의 결정 구조 자체가 끊임없이 전기를 띠는 특성을 가지는 데, 이는 광석의 결정 양단에 플러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이 자연적이며 영구적으로 유지하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때 토르말린(311) 원석이 가지는 전기적 성질은 영구적으로 0.06mA의 미약전류를 발생하고, 히드록실 음이온(682 ion/cc)을 발생하며, 또한 원적외선(파장 4~14μ)을 방사한다.
이러한, 토르말린(311) 원석은 원석의 형태보다 330배의 표면적을 가지도록 마카로니 형태로 가공한다.
그외에도, 토르말린(311)은 물분자를 음이온화하고 약알칼리화 하며, 물을 활성화하는 작용이 있고, 음이온의 계면활성 효과가 있으며, 탈취효과를 가진다.
상기한 토르말린(311)은 0.06mA의 미약전류를 발생함으로써, 이 미약전류로 인해 상기 아연반응부재(30)로부터 아연이온이 방출하게 하며, 이에 따라 상기 아연반응부재(30)와 하우징(10) 사이에서 전자 및 이온의 이동이 발생하게 한다.
상기 반응공간(150)의 내부로 물 등을 포함한 유체가 유입되면, 알루미늄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아연반응부재(30) 사이의 전위차에 의한 전류에 의하여 전자의 흐름이 발생되는데,
전자는 부식의 원인이 되는 물속의 산소 이온과 먼저 반응하여 철 이온이 더 이상 산소와 반응하지 않도록 하여 부식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한다.
또한, 상기 토르말린(311)으로부터 발생되는 0.06mA의 미약전류는 상기 아연반응부재(30)로부터 아연이온이 방출되게 하며, 이 아연이온은 배관(미도시)에 형성된 부식(Fe2O3)과 반응하여 그 부식을 마그네타이트(FE3O4)로 변화시키고, 이에 따라 더 이상 부식이 진행되지 않게 한다.
또한, 상기 아연반응부재(30)에서 방출된 이온과 전자는 스케일의 생성 및 방지에도 작용하게 된다.
즉, 상기 이격링(50)에 의하여 상기 아연반응부재(30)와 상기 반응공간(150)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은 물 등을 포함한 유체의 유속을 현저하게 떨어뜨리는 정체 공간이 된다.
이러한 정체 공간은 상기 아연반응부재(30)로부터 방출된 아연 이온이 스케일 원인물질과 충분한 반응을 할 수 있도록 반응시간을 제공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스케일의 주된 원인이 되는 원인물질로는, 칼슘(Ca2 +), 마그네슘((Mg2 +), 나트륨(Na2 +), 중탈산((HCO-3), 황산(SO2-1), 염소(Cl-), 실리카(SiO2), 철(Fe)등이 있으며, 이들 원인물질들은 배관(미도시)내벽에 미세한 침상구조를 이루며 스케일이 된다.
이러한 스케일을 이루는 원인물질들은 아연이온과 이온결합하여 침상구조가 구상구조로 변환되는데, 물 등을 포함한 유체가 상기 아연반응부재(30)와 반응공간(150) 내주면에 형성된 정체공간에서 충분히 정체되어 침상구조가 구상구조로 변할 수 있는 시간이 확보된다.
즉, 스케일의 원인물질이 침상구조에서 구상구조로 변환되어, 스케일의 원인물질의 결합력이 약화되고 이에 따라 스케일의 조직이 허물어져 무른 조직이 되고, 이러한 무른 조직은 배관(미도시)을 흐르는 물 등을 포함한 유체의 유속에 의해 제거되는 것이다.
상기한 부식방지 및 스케일 제거과정의 일예를 화학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a) 부식방지 : Zn = Zn2 ++ 2e-
Fe2O3(녹) + 1/2e-= Fe3O4 (마그네타이트)
Fe3O4 + 5/2 e-(아연전자) = Fe+(안정된 철)
즉, 녹은 전자와 결합하여 더 이상 부식되지 않는 마그네타이트로 변환되어 부식의 발생을 방지하고, 최종적으로 다시 안정된 철(Fe+)로 환원되어 기존의 녹을 제거하게 된다.
(b) 스케일 제거 : CaCO3(스케일) + CO2 + H2O = Ca(HCO3)2 (중탄산칼슘)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배관설비용 유체처리장치에 따르면, 상이한 전위를 가지는 상기 아연반응부재(30)와 하우징(10)을 채용하고, 또한 상기 아연반응부재(30) 내부에 전기적 성질을 가지는 토르말린(311)을 내장하여, 결국 외부에서의 전원공급없이 상기 반응공간(150)에서 전자와 아연이온의 흐름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전자는 부식을 방지하고, 아연이온은 스케일의 원인물질의 결정구조를 변화하여 결정의 성장을 방해함과 동시에 기존에 형성된 스케일의 조직을 무르게 하여 스케일의 제거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의 유체처리장치는 배관설비의 수명연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 상기 토르말린(311)에서 방출되는 음이온과 원적외선은 물 등을 포함한 유체에 포함된 유분의 유화, 침투, 분산, 가용화작용, 환원작용, 청균, 항균, 제균 작용을 가능케한다.
상기 수용공간(310)에 수용된 상기 이산화티타늄(313)은 물 등을 포함한 유체에 함유된 오폐물과 환원 또는 산화반응을 하여 각종 병균과 악취의 살균 및 탈취를 도와주는 광촉매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써, 이는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아연반응부재(30)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수용공간(310)에 수용되는 상기 토르말린(311)과 이산화티타늄(313)으로 인해 배관(미도시)내에 녹이나 스케일이 발생되는 것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물 등을 포함한 유체를 보다 용이하게 살균 및 탈취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아연반응부재(30)에 상기 하우징(10)의 배출구(130)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볼록부(70)와, 상기 하우징(10)의 배출구(130)의 입구에 상기 하우징(10)의 반응공간(150)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는 물 등을 포함한 유체를 상기 볼록부(70) 방향으로 유도시키는 상기 돌출부(90)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의 배출구(130)를 통과하는 물 등을 포함한 유체에 난류가 발생(도 2의 실선화살표 ③참조.)될 수 있게 됨은 물론 상기 하우징(10)의 배출구(130)를 통과하는 물 등을 포함한 유체에 발생되는 난류를 통해 배관(미도시)내에 녹이나 스케일이 발생되는 것을 보다 높은 효율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10; 하우징, 11, 13; 돌출부재,
110; 유입구, 130; 배출구,
150; 반응공간, 160; 단차부,
30; 아연반응부재, 310; 수용공간,
311; 토르말린, 313; 이산화티타늄,
330; 다공, 50;이격링,
60, 70; 볼록부, 80; 고정홈,
90; 돌출부, 100; 고정돌기.

Claims (8)

  1. 양측에 각각 배관과 연결되는 유입구(110) 및 배출구(130)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유입구(110) 및 상기 배출구(130)와 연통되는 반응공간(150)이 형성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반응공간(150)내에 배치되는 아연반응부재(30)와;
    상기 반응공간(150)의 내주면과 상기 아연반응부재(30)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아연반응부재(30)를 상기 반응공간(150)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링(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아연반응부재(30)에는 상기 하우징(10)의 배출구(130)와 대향되는 부분에 상기 배출구(130)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볼록부(70)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0)의 배출구(130)의 입구에는 상기 반응공간(150)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는 유체를 상기 볼록부(70) 방향으로 유도시키는 돌출부(9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설비용 유체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연반응부재(30)에는 상기 하우징(10)의 유입구(110)와 대향되는 부분에 상기 유입구(110)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부(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설비용 유체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90)는 상기 하우징(10)의 배출구(130)의 입구에 복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설비용 유체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90)는 상기 하우징(10)의 배출구(130)의 입구에 환상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설비용 유체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연반응부재(30)는 구형상, 에그(egg)형상, 상하부가 둥근 원기둥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10)의 반응공간(150)은 상기 아연반응부재(30)의 형상보다 일정비율 크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의 반응공간(15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이격링(50)이 안착되는 환형의 단차부(16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설비용 유체처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하부면은 평면상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설비용 유체처리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링(50)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홈(80)이 형성되고,
    상기 아연반응부재(30)의 하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아연반응부재(30)의 볼록부(70)가 상기 하우징(10)의 배출구(130)를 향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홈(80)에 삽입되는 고정돌기(1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설비용 유체처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연반응부재(30)는 내부에 수용공간(310)이 구비되고, 외주면에 상기 수용공간(310)과 연통되는 다공(33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310)에는 토르말린(311)과 이산화티타늄(313)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설비용 유체처리장치.
KR1020100082333A 2010-08-25 2010-08-25 배관설비용 유체처리장치 KR100996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333A KR100996376B1 (ko) 2010-08-25 2010-08-25 배관설비용 유체처리장치
PCT/KR2011/004335 WO2012026671A2 (ko) 2010-08-25 2011-06-14 배관설비용 유체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333A KR100996376B1 (ko) 2010-08-25 2010-08-25 배관설비용 유체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6376B1 true KR100996376B1 (ko) 2010-11-24

Family

ID=43410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333A KR100996376B1 (ko) 2010-08-25 2010-08-25 배관설비용 유체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96376B1 (ko)
WO (1) WO2012026671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5692B1 (ko) 2012-06-04 2012-10-30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상수배관의 파울링 억제장치
KR101275780B1 (ko) * 2010-12-30 2013-06-14 (주)이지스 반응관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302B1 (ko) 2009-02-12 2009-06-02 (주)월엔텍 배관설비용 유체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26490A1 (de) * 2003-06-10 2005-01-05 Marc Flettner Wasserbehandlungsvorrichtung
KR100689343B1 (ko) * 2005-07-06 2007-03-09 엄장우 스케일 방지를 위한 배관조립체 및 그 사용방법
KR100714237B1 (ko) * 2005-09-21 2007-05-04 주식회사 네가트론 엘씨알 순환 여과 유니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302B1 (ko) 2009-02-12 2009-06-02 (주)월엔텍 배관설비용 유체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780B1 (ko) * 2010-12-30 2013-06-14 (주)이지스 반응관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KR101195692B1 (ko) 2012-06-04 2012-10-30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상수배관의 파울링 억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26671A2 (ko) 2012-03-01
WO2012026671A3 (ko) 201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0302B1 (ko) 배관설비용 유체처리장치
KR101302413B1 (ko) 약액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KR101823948B1 (ko) 유수 정화 장치
KR101222813B1 (ko) 복합 정수필터
KR102084828B1 (ko) 다양한 구조의 메디아를 이용한 광촉매 정화장치
GB2437279A (en) Water filter
KR100996376B1 (ko) 배관설비용 유체처리장치
KR102306268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질 안정화용 수처리 장치
JP2009214041A (ja) 浄化装置及び浄化槽
US20050218084A1 (en) Enhanced photocatalytic system
KR102026185B1 (ko) 미세기포에 의한 수처리효율을 향상시킨 플라즈마 수처리장치
JP2007054691A (ja) 放水用器具
KR101398018B1 (ko) 세탁기용 자화미세기포 생성장치
KR100901794B1 (ko) 수 처리장치
KR20180067990A (ko) 자외선 살균 공조기
KR102243221B1 (ko) 교체형 기능 모듈을 갖는 멀티 기능성 샤워기
JP4273105B2 (ja) 流体用照射装置
KR20000034849A (ko) 고전압 방전을 이용한 이온화가스 발생장치
KR20190028971A (ko) 이온 수처리기
KR101368638B1 (ko) 수저장장치용 이온 수처리기
KR101660428B1 (ko) 광산화반응장치
KR20050012935A (ko) 비데용 살균장치
KR200339409Y1 (ko) 광촉매를 이용한 냉각수 살균장치
KR100384586B1 (ko) 광촉매를 이용한 정화 장치
KR20160118101A (ko) 가정용 수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