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5607B1 - 선박용 액세스 해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액세스 해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5607B1
KR101195607B1 KR1020100086181A KR20100086181A KR101195607B1 KR 101195607 B1 KR101195607 B1 KR 101195607B1 KR 1020100086181 A KR1020100086181 A KR 1020100086181A KR 20100086181 A KR20100086181 A KR 20100086181A KR 101195607 B1 KR101195607 B1 KR 101195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hatch
main body
access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6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3905A (ko
Inventor
윤지현
김용철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6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607B1/ko
Publication of KR20120023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3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63B19/14Hatch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2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63B19/24Hatch fastenings, e.g. cleats
    • B63B2019/245Loose or removable fastening member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hatch covers to coamings, sill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선박용 액세스 해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액세스 해치는, 상하가 개방된 기둥형상의 해치본체; 해치본체의 상부에, 해치본체의 상부를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해치커버; 및 상기 해치를 통한 사용자의 출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해치본체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출입을 안내하는 제1 위치와, 해치본체의 내부에 수용되어 보관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출입안내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용 액세스 해치{ACCESS HATCH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액세스 해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을 수송하는 선박은 화물창과 같은 선체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공간을 가지며, 이러한 내부 공간에 대응하여 갑판 위에는 상기 화물창으로의 사람의 출입이나 물품의 반입 또는 반출을 위한 해치(hatch)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해치는, 화물 탱크 내부에 수용되는 화물의 종류에 따라 그 형상이나 설치 위치 및 크기가 결정된다. 이러한 선박용 해치의 설치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항목으로는, 화물탱크 내부로 빗물이나 해수가 침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의 화물이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과, 사용자의 출입시 접근이 용이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상기와 같은 선박용 해치는 화물의 종류 및 형상이나 크기에 따라 여러가지 타입이 있으나, 특히 사용자의 출입시 접근이 용이하도록 화물탱크 상부에 설치되는 해치가 선박용 액세스 해치이다.
이러한 종래의 선박용 액세스 해치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선박용 액세스 해치(10)는, 선박의 갑판(1)에 설치되고 상하 개방된 사각기둥 형상을 가지는 해치본체(12)와, 상기 해치본체(12)의 상부를 밀폐하여 화물창 내부로 빗물이나 해수가 침입되는 것을 폐쇄하고, 필요시 사용자의 출입을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해치본체(12)의 상부에 힌지(13)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해치커버(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사용자가 화물창으로 들어가거나, 화물창으로부터 갑판(1)으로 나갈 때, 사용자의 출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해치본체(12)의 내부에는 상기 해치본체(12)의 내측 일면에 형성된 사다리(14)가 구비되어 있다.
사용자가 선박의 화물창 내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해치커버(11)를 들어올린다. 이 경우, 사용자가 상기 사다리(14)에 보다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해치본체(12)의 주변에 핸드그립(15)이 배치된다. 사용자는 상기 핸드그립(15)을 잡고서 상기 해치(10)의 내부공간(2)으로 진입하여 상기 사다리(14)를 타고 내려가게 된다. 상기 핸드그립(15)의 하단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미끄럼 방지부재(17)가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는 별도의 공간에 상기 핸드그립(15)을 보관하고 있다가, 사용이 필요할 때에 상기 핸드그립(15)을 상기 해치본체(12)의 주변에 배치시켜 사용하고, 미사용시에는 이를 철거하여 다시 보관한다. 물론, 상기 핸드그립(15)은 상기 해치본체(12)의 주변에 고정식으로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선박용 액세스 해치(10)는, 사용자의 출입을 위하여 별도의 핸드그립(15)을 마련해야 하므로, 이를 보관할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고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핸드그립(15)은 보관 공간을 차지하고, 해치본체(12)의 주변의 공간의 제약 등의 문제로 인해 여러가지 타입을 구상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해치(10)의 힌지(13)와 사다리(14)가 동일한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핸드그립(15)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의 출입을 안내하는 제1 위치와, 보관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출입안내기구;를 포함하는 선박용 액세스 해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용 액세스 해치로서, 상하가 개방된 기둥형상의 해치본체; 상기 해치본체의 상부에, 상기 해치본체의 상부를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해치커버; 및 상기 해치를 통한 사용자의 출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해치본체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출입을 안내하는 제1 위치와, 상기 해치본체의 내부에 수용되어 보관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출입안내기구;를 포함하는 선박용 액세스 해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입안내기구는, 상기 해치본체를 통하여 선박 내로 출입하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가능한 안내레일; 및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의 상기 안내레일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레일은, 기다란 봉 형상의 본체부; 상기 제2 위치에서 안내레일이 상기 안내가이드에 지지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축방향에 대해 법선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위치에서 안내레일이 상기 안내가이드에 지지되도록, 상기 제1 돌출부보다 하부에서 상기 본체부의 축방향에 대해 법선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판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가이드는, 상기 안내레일의 본체부의 직경보다는 크고, 상기 제1 돌출부는 관통이 불가능한 크기의 직경을 갖는 원형단면의 관통구, 및 상기 안내레일의 제2 돌출부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관통구와 연결된 홈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가이드는 상기 가이드본체를 상기 해치본체의 내부에 장착하기 위한 가이드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레일은, 상기 안내레일이 상기 안내가이드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안내레일의 본체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본체부의 축방향에 대해 법선방향으로 돌출하는 형상이고, 상기 안내레일의 상방으로의 이동시 상기 안내가이드의 가이드본체에 걸림으로써 상기 안내레일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레일의 상단에는 손잡이가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액세스 해치에 따르면, 액세스 해치의 형태와 종류 및 해치 주변의 공간의 제약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용이하게 해치 내부로 출입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사용자의 출입안내를 위한 기구의 보관을 위한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선박용 액세스 해치를 나타내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액세스 해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Ⅲ을 따라 바라본 제1 위치에서의 선박용 액세스 해치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제2 위치에서의 선박용 액세스 해치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액세스 해치에 사용되는 안내레일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안내레일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액세스 해치에 사용되는 안내가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안내가이드의 상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선Ⅷ-Ⅷ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액세스 해치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선Ⅲ을 따라 바라본 제1 위치에서의 선박용 액세스 해치의 개략도이며, 도 4는 제2 위치에서의 선박용 액세스 해치의 개략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액세스 해치에 사용되는 안내레일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안내레일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액세스 해치에 사용되는 안내가이드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안내가이드의 상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선Ⅷ-Ⅷ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도시된 선박용 액세스 해치(100)는, 해치본체(120), 해치커버(110) 및 출입안내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해치본체(120)는 선박의 갑판(1) 상에 설치되어, 갑판(1) 아래에 있는 화물창(미도시)으로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게 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해치본체(120)는 상하가 개방된 사각기둥의 형상을 취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통형 형상을 가질수도 있으며, 다른 형상을 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사용자가 화물창으로 들어가거나, 화물창으로부터 갑판(1)으로 나갈 때, 사용자의 출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해치본체(120)의 내부의 일측면에는 사다리(14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해치커버(110)는, 상기 해치본체(120)의 상부를 밀폐하여 화물창 내부로 빗물이나 해수가 침입되는 것을 폐쇄하고, 필요시 사용자의 출입을 허용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해치커버(110)는 상기 해치본체(120)의 상부에 힌지(130) 등과 같은 회동식 결합부재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출입안내기구는 사용자가 상기 해치(100)의 내부로의 출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상기 출입안내기구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출입을 안내하는 제1 위치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치본체(120)의 내부로 수용되어 보관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안내레일(160) 및 안내가이드(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안내레일(160)은 상기 해치본체(120)를 통하여 선박 내로 출입하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본체부(166), 제1 돌출부(164), 제2 돌출부(167) 및 이탈방지수단(168)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6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중공형의 기다란 봉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164)는, 상기 안내레일(160)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안내가이드(17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해치본체(120) 내부에 보관되도록 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돌출부(164)는 상기 본체부(166)의 축방향에 대해 법선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본체부(166)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판 형상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 제1 돌출부(164)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본체부(166)의 축방향에 대해 법선방향으로 돌출하는 하나 또는 그이상의 봉일 수도 있다. 상기 제1 돌출부(164)는 상기 본체부(166)의 상단에 용접등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제1 돌출부(164)의 직경은 후술하는 상기 안내가이드(170)에 마련된 관통구(178)의 직경보다는 크다.
상기 제2 돌출부(167)는, 상기 안내레일(160)이 하방으로 떨어지지 않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안내가이드(17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상기 제2 돌출부(167)는 상기 제1 돌출부(164) 보다 하부에서 상기 본체부(166)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돌출부(167)는 상기 본체부(166)의 축방향에 대해 법선방향으로 돌출하는 형상으로서, 상기 본체부(166)에 마련된 개구에 삽입된 후 용접을 하여 상기 본체부(166)에 고정시킨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돌출부(167)는 단면이 원형인 봉형상을 취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 등의 단면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안내레일(160)의 상단에는 고리형상의 손잡이(162)가 마련되어 있어,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상기 안내레일(160)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이탈방지수단(168)은 상기 안내레일(160)이 상기 안내가이드(17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탈방지수단(168)은 상기 안내레일(160)의 본체부(166)의 하단부에서 상기 본체부(166)의 축방향에 대해 법선방향으로 돌출하는 봉형상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 이탈방지수단(168)은 봉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본체부(166)의 축방향에 대해 법선방향으로 돌출하는 다른 형태를 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이탈방지수단(168)은 상기 본체부(166)의 하단부에 용접등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수단(168)은 상기 제2 돌출부(167)와는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탈방지수단(168)과 상기 제2 돌출부(167)가 상기 본체부(166)의 축선을 기준으로 서로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안내가이드(170)는, 상기 안내레일(160)이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에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동시에, 상기 안내레일(160)이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안내가이드(170)는 가이드본체(174)와 가이드장착부(172)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본체(174)는 상기 안내레일(160)이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내부에 형성된 관통구(178), 및 상기 관통구(178)와 연결된 홈부(17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본체(174)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을 가지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통 등의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본체(174)의 높이는 상기 이탈방지수단(168)과 상기 제2 돌출부(167) 사이의 간격과 비슷하거나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안내가이드(170)의 가이드본체(174)의 상단 및 하단은 각각, 상기 안내레일(160)의 상기 제2 돌출부(167) 및 상기 이탈방지수단(168)에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관통구(178)의 직경은 상기 안내레일(160)의 본체부(166)의 직경보다는 크고, 상기 제1 돌출부(164)가 관통할 수 없는 크기이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레일(160)의 제1 돌출부(164)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본체(174)의 상면에 지지되어 제2 위치에서 유지된 채로 상기 해치본체(120) 내에서 보관될 수 있다.
상기 홈부(176)는 상기 안내레일(160)의 제2 돌출부(167)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 상기 가이드본체(174)의 상하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부(176)를 통하여 상기 안내레일(160)의 제2 돌출부(167)가 슬라이딩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안내레일(160)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홈부(176)의 폭은 상기 제2 돌출부(167)의 폭과 비슷하거나 약간 크게 설정되어, 상기 제2 돌출부(167)가 용이하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해준다.
한편, 상기 안내레일(160)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안내레일(160)의 제2 돌출부(167)가 상기 가이드본체(174)의 상면에 지지되므로써, 상기 안내레일(160)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장착부(172)는 상기 가이드본체(174)를 상기 해치본체(120)의 내부의 일측면에 장착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본체(174)는 상기 가이드장착부(172)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볼트에 의해 체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본체(174)가 고정된 상기 가이드장착부(172)는 상기 해치본체(120)의 내부의 일측면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거나, 볼트에 의해 체결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액세스 해치(100)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선박용 액세스 해치(100)를 통하여 사용자가 출입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최초로, 사용자는 해치커버(110)를 연다. 이후에, 사용자는 상기 안내레일(160)을 위로 잡아올린다. 이때, 상기 안내레일(160)의 제2 돌출부(167)는 상기 가이드본체(174)의 홈부(176)를 통하여 안내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레일(160)의 본체부(166) 하단에 마련된 봉형상의 이탈방지수단(168)이 상기 제2 돌출부(167)와는 상기 본체부(166)의 축방향에 대하여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2 돌출부(167)가 상기 홈부(176)를 통하여 안내되더라도, 상기 안내레일(160)의 이탈방지수단(168)은 상기 가이드본체(174)의 하단에 걸리게 되므로, 상기 안내레일(160)은 상기 가이드본체(174)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이후, 상기 제2 돌출부(167)가 상기 가이드본체(174)의 상면에 해당하는 높이에 이르는 제1 위치까지 상기 안내레일(160)을 위로 올리면, 사용자는 상기 안내레일(160)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2 돌출부(167)가 상기 가이드본체(174)의 상면에 안착되게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2 돌출부(167)가 상기 홈부(176)로 빠지지 않고 상기 가이드본체(174)의 상면에 지지되므로, 상기 안내레일(160)은 제1 위치로 유지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한 쌍으로 마련된 안내레일(160)을 잡고서 상기 해치본체(120)의 내로 진입하여 사다리(140)를 타고서 내려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선박용 액세스 해치(100)를 사용한 후에, 상기 출입안내기구를 보관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2 돌출부(167)가 상기 가이드본체(174)에 형성된 홈부(176)를 통하여 안내될 수 있도록, 사용자는 상기 가이드본체(174)의 상면에 지지된 상기 안내레일(160)을 회전시킨다. 상기 제2 돌출부(167)가 상기 홈부(176)에 삽입되면, 상기 안내레일(160)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안내레일(160)은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안내레일(160)의 본체부(166)의 상단에 마련된 제1 돌출부(164)가 상기 가이드본체(174)의 상면에 지지되는 높이인 제2 위치까지, 상기 안내레일(160)은 하강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본체(174)에 지지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선박용 액세스 해치 110: 해치커버
120: 해치본체 130: 힌지
140: 사다리 160: 안내레일
162: 손잡이 164: 제1 돌출부
166: 본체부 167: 제2 돌출부
168: 이탈방지수단 170: 안내가이드
172: 가이드장착부 174: 가이드본체
176: 홈부 178: 관통구

Claims (9)

  1. 선박용 액세스 해치로서,
    상하가 개방된 기둥형상의 해치본체;
    상기 해치본체의 상부에, 상기 해치본체의 상부를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해치커버; 및
    상기 해치를 통한 사용자의 출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해치본체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출입을 안내하는 제1 위치와, 상기 해치본체의 내부에 수용되어 보관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출입안내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출입안내기구는,
    상기 해치본체를 통하여 선박 내로 출입하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가능한 안내레일; 및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의 상기 안내레일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액세스 해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레일은,
    기다란 봉 형상의 본체부;
    상기 제2 위치에서 안내레일이 상기 안내가이드에 지지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축방향에 대해 법선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위치에서 안내레일이 상기 안내가이드에 지지되도록, 상기 제1 돌출부보다 하부에서 상기 본체부의 축방향에 대해 법선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액세스 해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액세스 해치.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안내가이드는,
    상기 안내레일의 본체부의 직경보다는 크고, 상기 제1 돌출부는 관통이 불가능한 크기의 직경을 갖는 원형단면의 관통구, 및 상기 안내레일의 제2 돌출부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관통구와 연결된 홈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액세스 해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안내가이드는 상기 가이드본체를 상기 해치본체의 내부에 장착하기 위한 가이드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액세스 해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안내레일은, 상기 안내레일이 상기 안내가이드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액세스 해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안내레일의 본체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본체부의 축방향에 대해 법선방향으로 돌출하는 형상이고, 상기 안내레일의 상방으로의 이동시 상기 안내가이드의 가이드본체에 걸림으로써 상기 안내레일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액세스 해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레일의 상단에는 손잡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액세스 해치.
KR1020100086181A 2010-09-02 2010-09-02 선박용 액세스 해치 KR101195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181A KR101195607B1 (ko) 2010-09-02 2010-09-02 선박용 액세스 해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181A KR101195607B1 (ko) 2010-09-02 2010-09-02 선박용 액세스 해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3905A KR20120023905A (ko) 2012-03-14
KR101195607B1 true KR101195607B1 (ko) 2012-10-29

Family

ID=46131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6181A KR101195607B1 (ko) 2010-09-02 2010-09-02 선박용 액세스 해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56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32544A (zh) * 2013-09-25 2014-06-04 韩国模具股份有限公司 船舶用舱盖装置
CN107685832A (zh) * 2017-09-11 2018-02-13 无锡宝宏船舶机械有限公司 带安全锁绳牵引使用的船用入孔盖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361B1 (ko) * 2014-07-14 2016-07-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스퍼드캔 및 그 제작공법
KR102596113B1 (ko) * 2019-11-07 2023-10-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치 어셈블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6589A (ja) * 1982-02-10 1983-08-13 Nippon Kokan Kk <Nkk> 船艙内昇降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6589A (ja) * 1982-02-10 1983-08-13 Nippon Kokan Kk <Nkk> 船艙内昇降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32544A (zh) * 2013-09-25 2014-06-04 韩国模具股份有限公司 船舶用舱盖装置
CN103832544B (zh) * 2013-09-25 2015-04-01 韩国模具股份有限公司 船舶用舱盖装置
CN107685832A (zh) * 2017-09-11 2018-02-13 无锡宝宏船舶机械有限公司 带安全锁绳牵引使用的船用入孔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3905A (ko) 201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5607B1 (ko) 선박용 액세스 해치
EP2994377B1 (en) Watercraft with translationally shifting stern platform
US8584395B2 (en) Decoy duck apparatus
KR101784044B1 (ko) 선박의 비상 탈출용 줄사다리함
CN205044917U (zh) 艉滑道式工作艇收放装置
US20130300135A1 (en) Locking device for a damping apparatus for a moon pool
US20140026804A1 (en) Boat canopy
KR101177850B1 (ko) 컨테이너 화물창의 해치 커버
US7779773B2 (en) Device for holding water bottle or other object in watercraft or other mobile conveyance
US3753416A (en) Rat guard
KR101750805B1 (ko) 접안용 펜더
KR101531592B1 (ko) 헬리데크 격납부를 갖는 선박
KR20130057642A (ko) 갑판 사다리 적재함을 구비한 선박
US20230192245A1 (en) Retractable boat hammock
KR20140131406A (ko) 해상구조물의 구명정 진수 장치 및 진수 방법
KR101613216B1 (ko)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의 앵커링 시스템
KR101562140B1 (ko) 출렁임 완화장치가 결합된 수상구조물용 플로트
KR101616331B1 (ko) 선박 객실 비상탈출장치
KR101763074B1 (ko) 선박의 줄사다리 비상 탈출 시스템
CN211597987U (zh) 一种安全系数高的游船码头用围栏
KR20160002998U (ko) 텔레스코픽 벨 마우스 장치
CN218104606U (zh) 一种可收纳鱼盘架
KR101379019B1 (ko) 도선사용 승하선 장치
JP6809817B2 (ja) マンホール開口部のカバー部材
KR102197285B1 (ko) 구명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