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5470B1 - 무대제어시스템 및 무대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무대제어시스템 및 무대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5470B1
KR101195470B1 KR1020100040819A KR20100040819A KR101195470B1 KR 101195470 B1 KR101195470 B1 KR 101195470B1 KR 1020100040819 A KR1020100040819 A KR 1020100040819A KR 20100040819 A KR20100040819 A KR 20100040819A KR 101195470 B1 KR101195470 B1 KR 101195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control
views
view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0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1290A (ko
Inventor
박창수
Original Assignee
파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0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470B1/ko
Publication of KR20110121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1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udio Device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대제어시스템 및 무대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무대의 막에 대한 제어설정을 입력받는 제 1 스테이지뷰; 상기 무대의 조명과 음향에 대한 제어설정을 입력받는 제 2 스테이지뷰; 상기 무대의 마이크에 대한 제어설정을 입력받는 제 3 스테이지뷰; 및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에 각각 입력된 제어설정 입력을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로부터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무대의 막, 조명, 음향 및 마이크에 대한 제어를 구동장치를 통해 수행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로부터 수신된 제어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구동장치, 및 상기 구동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로부터 구동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한 뒤,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에 대한 공유를 설정하며, 상기 제어설정정보에 따른 수행에 따라, 상기 스테이지뷰마스터가, 다수의 촬상장치로부터 상기 무대의 막, 조명, 음향 및 마이크에 대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한 뒤,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에 대한 공유를 설정하는 스테이지뷰마스터; 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스테이지뷰마스터에 접속하여, 상기 공유설정된 제어설정정보, 구동제어신호 및 영상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다수의 제어장치인 스테이지뷰를 복수로 구성하여 다수의 구동장치 중 일부의 동작이 일시 정지되거나 전원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도 관련 정보를 스테이지뷰에서 검색가능하도록 하여 문제점을 조기에 해결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공연관련 무대 구동장치의 표준화를 목표로 개발되었으며, 프로그램에 의해 무대 구동장치에 대한 자동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손쉽게 화면을 보고서 각 무대에 대한 제어 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대제어시스템 및 무대제어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ILLING STAGE}
본 발명은 무대 제어장치의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제어장치를 복수로 구성하여 다수의 구동장치 중 일부의 동작이 일시 정지되거나 전원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도 관련 정보를 스테이지뷰에서 검색가능하도록 하여 문제점을 조기에 해결하도록 하는 무대제어시스템 및 무대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대 제어장치는, 공연시설의 무대에 설치된 각종 조명이나 음향기기 및 이벤트 기기나 무대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부분이 많은 수의 스위치 장치를 나열 설치한 콘솔을 이용해 무대장치를 제어하고 있다.
현재 공연시설의 무대 제어에 필수적인 운영시스템이 콘솔에 수십여 개의 스위치를 나열한 수동방식 또는 공장 자동화용으로 판매되는 MMI 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한 자동구성으로 처리속도 및 운용상의 작동조건의 구성상 제약이 많이 따르며 설치업체의 선정에 따라서 각기 다른 형태로 제작 설치되는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많은 비용 부담에도 불구 하고 독일 등에서 제작된 제품을 수입설치하여 비용부담의 증가, 프로그램사용시 어려움이 항상 나타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무대 제어 장치는 특정 무대 공연장을 대상으로 이미 확정 및 고정되어 있는 수량의 무대 기기들을 맞춤식으로 배열하고, 공연시마다 공연장에 맞추어 프로그램된 기능에 따라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종래의 무대 제어장치가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891210호(발명의 명칭: 무대 기기 제어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무대 제어장치는,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제어장치, 제어장치와 연결되어 다축 제어 방식으로 제어하는 다축 제어모듈, 다축 제어모듈과 연결되어 전송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여 무대 기기를 구동시키는 인크리멘탈 엔코더(incremental encoder), 제어장치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을 다축 제어모듈에 전송하기 위한 스위칭 허브 등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무대 제어장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장치에서 이를 수신하고, 제어 데이터로 만들어 다축 제어모듈에 전송하게 되고, 다축 제어모듈에서는 수신한 제어 데이터에 따라 제어할 인크리멘탈 엔코더를 선택하고, 선택한 인크리멘탈 엔코더에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여 해당 무대 기기가 사용자의 요청에 부응하여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종래의 무대 제어장치는, 하나의 제어모듈이 복수의 무대 장치에 접속하고, 제어모듈에서 전송되는 제어 데이터를 분석하여 IP 어드레스 등을 통해 제어할 무대 장치를 선택하고, 이를 제어하는 방식이다.
이런 종래의 무대 제어장치는, 동작이 하나의 제어모듈이 다수의 무대장치를 제어함으로써, 다수의 무대장치 중 일부의 동작이 일시 정지되거나 전원 오프 후 다시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현재 위치를 알 수 없어, 처음부터 다시 동작을 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무대 제어장치는, 전체적인 시스템의 구성이 복잡하고, 제작 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다수의 제어장치를 복수로 하여 다수의 구동장치 중 일부의 동작이 일시 정지되거나 전원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도 관련 정보를 제어장치에서 검색가능하도록 하여 문제점을 조기에 해결하고, 무대 제어장치에 있어서 구성이 단순하고, 제작원가를 감소시키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제어장치인 스테이지뷰를 복수로 구성하여 다수의 구동장치 중 일부의 동작이 일시 정지되거나 전원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도 관련 정보를 스테이지뷰에서 검색가능하도록 하여 문제점을 조기에 해결하도록 하는 무대제어시스템 및 무대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무대 제어장치에 대한 구성을 단순하도록 하고, 제작원가를 감소시키기 위한 무대제어시스템 및 무대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공연관련 무대 구동장치의 표준화를 목표로 개발되었으며, 프로그램에 의해 무대 구동장치에 대한 자동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손쉽게 화면을 보고서 각 무대에 대한 제어 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무대제어시스템 및 무대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대제어시스템은, 무대의 막에 대한 제어설정을 입력받는 제 1 스테이지뷰; 상기 무대의 조명과 음향에 대한 제어설정을 입력받는 제 2 스테이지뷰; 상기 무대의 마이크에 대한 제어설정을 입력받는 제 3 스테이지뷰; 및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에 각각 입력된 제어설정 입력을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로부터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무대의 막, 조명, 음향 및 마이크에 대한 제어를 구동장치를 통해 수행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로부터 수신된 제어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구동장치, 및 상기 구동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로부터 구동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한 뒤,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에 대한 공유를 설정하며, 상기 제어설정정보에 따른 수행에 따라, 상기 스테이지뷰마스터가, 다수의 촬상장치로부터 상기 무대의 막, 조명, 음향 및 마이크에 대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한 뒤,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에 대한 공유를 설정하는 스테이지뷰마스터; 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스테이지뷰마스터에 접속하여, 상기 공유설정된 제어설정정보, 구동제어신호 및 영상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대제어시스템은, 상기 스테이지뷰마스터가,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 각각에 의해 제어설정되는 상기 무대의 막, 조명, 음향 및 마이크에 대해 분류하여 카테고리별로 공유를 설정하며, 상기 구동제어신호에 대해서도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 각각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무대의 막, 조명, 음향 및 마이크에 대해 분류하여 카테고리별로 공유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대제어시스템은, 상기 스테이지뷰마스터가,
상기 촬영된 영상신호에 대해서도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 각각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무대의 막, 조명, 음향 및 마이크에 대하여 촬영된 영상신호로 분류하여 카테고리별로 공유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대제어방법은, 제 1 스테이지뷰가, 무대의 막에 대한 제어설정을 입력받는 제 1 단계; 제 2 스테이지뷰가, 상기 무대의 조명과 음향에 대한 제어설정을 입력받는 제 2 단계; 제 3 스테이지뷰가, 상기 무대의 마이크에 대한 제어설정을 입력받는 제 3 단계; 스테이지뷰마스터가,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에 각각 입력된 제어설정 입력을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로부터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무대의 막, 조명, 음향 및 마이크에 대한 제어를 구동장치를 통해 수행하는 제 4 단계; 상기 스테이지뷰마스터가,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로부터 수신된 제어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구동장치, 및 상기 구동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로부터 구동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한 뒤,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에 대한 공유를 설정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어설정정보에 따른 수행에 따라, 상기 스테이지뷰마스터가, 다수의 촬상장치로부터 상기 무대의 막, 조명, 음향 및 마이크에 대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한 뒤,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에 대한 공유를 설정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스테이지뷰마스터에 접속하여, 상기 공유설정된 제어설정정보, 구동제어신호 및 영상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검색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대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스테이지뷰마스터가,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 각각에 의해 제어설정되는 상기 무대의 막, 조명, 음향 및 마이크에 대해 분류하여 카테고리별로 공유를 설정하며, 상기 구동제어신호에 대해서도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 각각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무대의 막, 조명, 음향 및 마이크에 대해 분류하여 카테고리별로 공유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대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는, 상기 스테이지뷰마스터가, 상기 촬영된 영상신호에 대해서도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 각각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무대의 막, 조명, 음향 및 마이크에 대하여 촬영된 영상신호로 분류하여 카테고리별로 공유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대제어시스템 및 무대제어방법은 다수의 제어장치인 스테이지뷰를 복수로 구성하여 다수의 구동장치 중 일부의 동작이 일시 정지되거나 전원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도 관련 정보를 스테이지뷰에서 검색가능하도록 하여 문제점을 조기에 해결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대제어시스템 및 무대제어방법은, 무대 제어장치에 대한 구성을 단순하도록 하고, 제작원가를 감소시키기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대제어시스템 및 무대제어방법은, 공연관련 무대 구동장치의 표준화를 목표로 개발되었으며, 프로그램에 의해 무대 구동장치에 대한 자동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손쉽게 화면을 보고서 각 무대에 대한 제어 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대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스테이지뷰에 구현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대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대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스테이지뷰(100)에 구현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무대제어시스템은 스테이지뷰(100), 스테이지뷰마스터(200), 구동장치(300) 및 촬상장치(400)를 포함한다.
스테이지뷰(100)는 제 1 스테이지뷰(110), 제 2 스테이지뷰(130), 제 3 스테이지뷰(150) 및 제 4 스테이지뷰(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스테이지뷰(110)는 제 1 사용자에 의해 무대의 막에 대한 제어설정을 입력하기 위한 설정유닛이다.
제 2 스테이지뷰(130)는 제 2 사용자에 의해 무대의 조명과 음향에 대한 제어설정을 입력하기 위한 설정유닛이다.
제 3 스테이지뷰(150)는 제 3 사용자에 의해 무대의 마이크에 대한 제어설정을 입력하기 위한 설정유닛이다.
제 4 스테이지뷰(170)는 StageView WI 소프트웨어를 내장하며, 휴대용 스테이지뷰를 제공한0다. 따라서, 제 4 스테이지뷰(170)는 무선 네트워크모듈을 포함하며, 견고한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제 4 스테이지뷰(170)는 프로세서로(Processor) Intel Celeron M 1GHz가 구성되며, 시스템 메모리(System memory)로 512MB DDR RAM이 형성되며, 디스플레이(Display)는 SVGA (800 x 600) 262K Color TFT LCD with Low Reflective touch panel (standard)로 형성되며, 시스템 리커버리(System Recovery)로, FirstWare Recover Pro License from Phoenix for Factory and User Defined Recovery on HDD가 형성되며, 시스템 익스팬션(System Expansion)으로 1 Compact Flash Type II Slot (external access) 1 PC Card Slot Type II (external access)가 형성되며, 다른 입출력인터페이스(Other I/O)로, PS/2 Keyboard, VGA, Serial, LAN를 포함하며, 유에스비단자(USB)는 Two USB ports, support USB 2.0A를 형성한다.
한편, 제 1 내지 제 4 스테이지뷰(110, 130, 150, 170)는 후술할 스테이지뷰마스터(200)에 접속하여, 제어설정정보, 구동제어신호, 영상신호를 검색할 수 있다.
스테이지뷰마스터(200)는 메인 무대 장치 제어기로, 이더넷 기반통신을 수행하고, 구동장치(30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드라이브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스테이지뷰마스터(200)는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110, 130, 150)의 설정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시간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무대의 막, 조명, 음향 및 마이크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스테이지뷰마스터(200)가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110, 130, 150)로부터 제어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제어설정정보를 구동장치(300)로 전송하며, 전송에 따라 구동장치(300), 및 구동장치(300)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로부터 구동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한 뒤,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110, 130, 150)에 대한 공유를 설정한다. 이 경우, 스테이지뷰마스터(200)는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110, 130, 150) 각각에 의해 제어설정되는 무대의 막, 조명, 음향 및 마이크에 대해 분류하여 카테고리별로 공유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지뷰마스터(200)는 구동제어신호에 대해서도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110, 130, 150) 각각에 의해 제어되는 무대의 막, 조명, 음향 및 마이크에 대해 분류하여 카테고리별로 공유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에 대한 수행에 따라, 스테이지뷰마스터(200)는 다수의 촬상장치(400)로부터 촬영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한 뒤,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110, 130, 150)에 대한 공유를 설정한다.
또한, 스테이지뷰마스터(200)는 영상신호에 대해서도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110, 130, 150) 각각에 의해 제어되는 무대의 막, 조명, 음향 및 마이크에 대하여 촬영된 영상신호로 분류하여 카테고리별로 공유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스테이지뷰마스터(200)와 연결된 메인모니터(210)는 스테이지뷰마스터(200)로부터 제어설정정보, 구동제어신호 및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구동장치(300)는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110, 130, 150)로부터의 무대의 막, 무대의 조명과 음향, 무대의 마이크 등에 대한 제어설정을 스테이지뷰마스터(200)를 통해 수신한다.
촬상장치(400)는 다수개로 형성되며, 무대의 막, 무대의 조명과 음향, 무대의 마이크 등에 설치되며,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110, 130, 150)에 의해 설정된 제어에 따라 무대의 막, 무대의 조명과 음향, 마이크 등에 대한 제어설정이 수행되면, 다수의 촬영된 영상신호를 스테이지뷰마스터(200)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대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사용자가 제 1 스테이지뷰(110)를 통해 무대의 막에 대한 제어설정을 입력한다(S1).
제 2 사용자가 제 2 스테이지뷰(130)를 통해 무대의 조명과 음향에 대한 제어설정을 입력한다(S3).
제 3 사용자가 제 3 스테이지뷰(150)를 통해 무대의 마이크에 대한 제어설정을 입력한다(S5).
스테이지뷰마스터(200)는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110, 130, 150)의 단계(S1 내지 S5)의 설정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시간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무대의 막, 조명, 음향 및 마이크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S7).
스테이지뷰마스터(200)가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110, 130, 150)로부터 단계(S1 내지 S5)의 제어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구동장치(300), 및 구동장치(300)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로부터 구동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한 뒤,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110, 130, 150)에 대한 공유를 설정한다(S9).
이 경우, 스테이지뷰마스터(200)는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110, 130, 150) 각각에 의해 제어설정되는 무대의 막, 조명, 음향 및 마이크에 대해 분류하여 카테고리별로 공유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지뷰마스터(200)는 구동제어신호에 대해서도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110, 130, 150) 각각에 의해 제어되는 무대의 막, 조명, 음향 및 마이크에 대해 분류하여 카테고리별로 공유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단계(S7)의 제어에 대한 수행에 따라, 스테이지뷰마스터(200)는 다수의 촬상장치(400)로부터 촬영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한 뒤,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110, 130, 150)에 대한 공유를 설정한다(S11).
또한, 스테이지뷰마스터(200)는 영상신호에 대해서도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110, 130, 150) 각각에 의해 제어되는 무대의 막, 조명, 음향 및 마이크에 대하여 촬영된 영상신호로 분류하여 카테고리별로 공유를 설정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110, 130, 150)는 스테이지뷰마스터(200)에 접속하여, 제어설정정보, 구동제어신호, 영상신호를 검색할 수 있다(S13).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스테이지뷰 110: 제 1 스테이지뷰
130: 제 2 스테이지뷰 130: 제 3 스테이지뷰
200: 스테이지뷰마스터 300: 구동장치
400: 촬상장치

Claims (6)

  1. 무대의 막에 대한 제어설정을 입력받는 제 1 스테이지뷰;
    상기 무대의 조명과 음향에 대한 제어설정을 입력받는 제 2 스테이지뷰;
    상기 무대의 마이크에 대한 제어설정을 입력받는 제 3 스테이지뷰; 및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에 각각 입력된 제어설정 입력을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로부터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무대의 막, 조명, 음향 및 마이크에 대한 제어를 구동장치를 통해 수행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로부터 수신된 제어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구동장치, 및 상기 구동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로부터 구동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한 뒤,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에 대한 공유를 설정하며,
    상기 제어설정정보에 따른 수행에 따라, 다수의 촬상장치로부터 상기 무대의 막, 조명, 음향 및 마이크에 대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한 뒤,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에 대한 공유를 설정하는 스테이지뷰마스터; 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스테이지뷰마스터에 접속하여, 상기 공유설정된 제어설정정보, 구동제어신호 및 영상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제어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뷰마스터가,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 각각에 의해 제어설정되는 상기 무대의 막, 조명, 음향 및 마이크에 대해 분류하여 카테고리별로 공유를 설정하며, 상기 구동제어신호에 대해서도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 각각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무대의 막, 조명, 음향 및 마이크에 대해 분류하여 카테고리별로 공유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제어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뷰마스터가,
    상기 촬영된 영상신호에 대해서도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 각각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무대의 막, 조명, 음향 및 마이크에 대하여 촬영된 영상신호로 분류하여 카테고리별로 공유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제어시스템.
  4. 제 1 스테이지뷰가, 무대의 막에 대한 제어설정을 입력받는 제 1 단계;
    제 2 스테이지뷰가, 상기 무대의 조명과 음향에 대한 제어설정을 입력받는 제 2 단계;
    제 3 스테이지뷰가, 상기 무대의 마이크에 대한 제어설정을 입력받는 제 3 단계;
    스테이지뷰마스터가,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에 각각 입력된 제어설정 입력을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로부터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무대의 막, 조명, 음향 및 마이크에 대한 제어를 구동장치를 통해 수행하는 제 4 단계;
    상기 스테이지뷰마스터가,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로부터 수신된 제어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구동장치, 및 상기 구동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로부터 구동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한 뒤,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에 대한 공유를 설정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어설정정보에 따른 수행에 따라, 상기 스테이지뷰마스터가, 다수의 촬상장치로부터 상기 무대의 막, 조명, 음향 및 마이크에 대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한 뒤,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에 대한 공유를 설정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스테이지뷰마스터에 접속하여, 상기 공유설정된 제어설정정보, 구동제어신호 및 영상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검색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제어방법.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는,
    상기 스테이지뷰마스터가, 상기 촬영된 영상신호에 대해서도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테이지뷰 각각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무대의 막, 조명, 음향 및 마이크에 대하여 촬영된 영상신호로 분류하여 카테고리별로 공유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제어방법.
KR1020100040819A 2010-04-30 2010-04-30 무대제어시스템 및 무대제어방법 KR101195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819A KR101195470B1 (ko) 2010-04-30 2010-04-30 무대제어시스템 및 무대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819A KR101195470B1 (ko) 2010-04-30 2010-04-30 무대제어시스템 및 무대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290A KR20110121290A (ko) 2011-11-07
KR101195470B1 true KR101195470B1 (ko) 2012-10-30

Family

ID=45392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819A KR101195470B1 (ko) 2010-04-30 2010-04-30 무대제어시스템 및 무대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54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673B1 (ko) 2020-09-03 2021-04-22 심은용 대규모 불꽃 공연 가상 연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117B1 (ko) 2014-03-26 2016-06-30 모젼스랩(주) 객체 인덱싱을 통한 공연 시설물 컨트롤 장치 및 방법
WO2016153164A1 (ko) * 2015-03-26 2016-09-29 주식회사 한일티앤씨 무대 시설물의 이상 감지 및 이를 이용한 고장 예측 시스템과,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677B1 (ko) 2006-03-31 2006-09-20 윤종철 공연시설의 무대 기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891210B1 (ko) 2008-09-23 2009-04-02 제이엠스테이지(주) 무대 기기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677B1 (ko) 2006-03-31 2006-09-20 윤종철 공연시설의 무대 기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891210B1 (ko) 2008-09-23 2009-04-02 제이엠스테이지(주) 무대 기기 제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673B1 (ko) 2020-09-03 2021-04-22 심은용 대규모 불꽃 공연 가상 연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290A (ko) 2011-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4831B2 (en) Control device, display device, firmware updating method, and firmware updating program
RU2550746C2 (ru) Программируемый мультимедиа контроллер с гибким доступом пользователя и общей конфигурацией устройств
KR100438724B1 (ko)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동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및 그 운용 방법
CN104094256A (zh) 在具有写入过滤器的客户端设备上部署驱动或者应用
CN104094225A (zh) 创建或安装用于具有多个硬件平台中的一个的目标装置的磁盘映像
US20140250189A1 (en) Terminal provided with networking module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data using the same
US10742441B2 (en) Unifi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WO2016188317A1 (zh) 一种投影设备的控制方法、投影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195470B1 (ko) 무대제어시스템 및 무대제어방법
EP2494776B1 (en) Display system for meeting room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849009A1 (en) Control system configuration within an operational environment
KR100601684B1 (ko) 외부 저장장치, 화상획득장치, 및 드라이버를 구동하는방법 및 시스템
US9921728B2 (en)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KR20050108853A (ko)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장치
KR100953952B1 (ko) 강의실 환경 통합 제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253199B1 (ko) 무대장치의 컨트롤러 고장시 무대장치의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JP2005001864A (ja) エレベータの監視装置
KR100797030B1 (ko) 제어버튼에 매크로기능을 링크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리모컨
JP2002186061A (ja) リモコンシステム
CN102109992A (zh) 程序使用系统、程序使用方法及程序
JP2005150878A (ja) 携帯型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
CN214476329U (zh) 应用于激光显示设备的激光投影主机和激光显示设备
CN214476326U (zh) 应用于激光显示设备的激光投影主机和激光显示设备
US10485079B1 (en) Centralized controller interface,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devices in a lighting control system
US20230093495A1 (en) Maintenance Method and Configuration Method for Luminaire Assembl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