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861B1 - 유도전류형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유도전류형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3861B1
KR101193861B1 KR1020100073182A KR20100073182A KR101193861B1 KR 101193861 B1 KR101193861 B1 KR 101193861B1 KR 1020100073182 A KR1020100073182 A KR 1020100073182A KR 20100073182 A KR20100073182 A KR 20100073182A KR 101193861 B1 KR101193861 B1 KR 101193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unit
current type
type speed
inductive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3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1413A (ko
Inventor
박영국
백인철
이성철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3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861B1/ko
Publication of KR20120011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86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전류형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상압연기의 출구측에 배치되고 사상압연기에서 송출되는 스트립의 속도를 측정하는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와,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와, 사상압연기의 출구측에 배치되고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의 전측에 배치되며 스트립의 상부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스트립의 상부를 향해 유체를 분사하는 상분사부와, 사상압연기의 출구측에 배치되고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의 전측에 배치되며 스트립의 하부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스트립의 하부를 향해 유체를 분사하는 하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상압연기에서 송출되는 스트립의 속도를 유도전류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도전류형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SPEED OF STRIP USING INDUCED CURRENT}
본 발명은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상압연기에서 송출되는 스트립의 속도를 유도전류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유도전류형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강 제조는 용선을 생산하는 제선 공정, 용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 공정, 액체 상태의 철이 고체로 되는 연속주조 공정,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압연 공정은 연속주조 공정에서 생산된 슬래브, 블룸 등의 중간 소재를 회전하는 여러 개의 롤러 사이를 통과시켜 연속적인 힘을 가하여 늘리거나 얇게 만드는 과정을 말하며 크게 열간 압연과 냉간 압연으로 나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사상압연기에서 송출되는 스트립의 속도를 유도전류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유도전류형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도전류형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는: 사상압연기의 출구측에 배치되고, 상기 사상압연기에서 송출되는 스트립의 속도를 측정하는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 상기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 상기 사상압연기의 출구측에 배치되고, 상기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의 전측에 배치되며, 상기 스트립의 상부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스트립의 상부를 향해 유체를 분사하는 상분사부; 및 상기 사상압연기의 출구측에 배치되고, 상기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의 전측에 배치되며, 상기 스트립의 하부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스트립의 하부를 향해 유체를 분사하는 하분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는, 내측에 공간부가 구비되고, 외주면에 1차코일이 권선되는 자속발생부; 내측에 중공부가 구비되고, 외주면에 2차코일이 권선되며, 상기 자속발생부의 공간부에 배치되는 유도전류발생부; 상기 1차코일에 기준전류를 인가하는 기준전류인가부; 상기 유도전류발생부의 중공부를 관통하여 이동하는 상기 스트립에 의해 상기 2차코일에 유도되는 유도전류를 측정하는 유도전류측정부; 및 상기 유도전류측정부로부터 유도전류를 입력받아 상기 스트립의 속도를 연산하는 속도연산부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스트립이 상기 유도전류발생부의 중공부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상기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를 승하강시킨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를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는 제1구동부; 상기 제1구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제1회전기어부; 및 상기 제1회전기어부와 맞물리고, 상기 제1회전기어부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제1랙기어부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분사부는 상기 스트립의 두께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 이동 가능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분사부는, 상기 스트립의 상부를 향해 유체를 분사하는 상스프레이; 상기 상스프레이가 장착되는 연결대; 상기 연결대에 설치되는 제2구동부; 상기 제2구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제2회전기어부; 및 상기 제2회전기어부와 맞물리고, 상기 제2회전기어부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제2랙기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유도전류형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는: 상상압연기의 출구측에 배치되고, 상기 사상압연기에서 송출되는 스트립을 관통시켜 상기 스트립의 속도를 측정하는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 및 상기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를 지지하고, 상기 스트립이 상기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는, 내측에 공간부가 구비되고, 외주면에 1차코일이 권선되는 자속발생부; 내측에 중공부가 구비되고, 외주면에 2차코일이 권선되며, 상기 자속발생부의 공간부에 배치되는 유도전류발생부; 상기 1차코일에 기준전류를 인가하는 기준전류인가부; 상기 유도전류발생부의 중공부를 관통하여 이동하는 상기 스트립에 의해 상기 2차코일에 유도되는 유도전류를 측정하는 유도전류측정부; 및 상기 유도전류측정부로부터 유도전류를 입력받아 상기 스트립의 속도를 연산하는 속도연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를 통해 사상압연기에서 송출되는 스트립의 속도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트립의 속도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설비의 오작동이나 스트립 파단 또는 스트립 겹침 등의 스트립 품질 불량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가 스트립과 비접촉 상태로 작동하므로 스트립과의 충돌에 의한 내구성의 저하를 차단할 수 있어 설비의 유지, 보수 측면에서 시간적, 물질적 비용 절감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승하강부에 의해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가 상하 이동되므로 스트립의 두께 변화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스트립의 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트립이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를 관통하기에 앞서 상분사부 및 하분사부에 의해 스트립 표면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제거되므로 스트립의 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전류형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전류형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에서 스트립이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를 관통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전류형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에서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전류형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에서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전류형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에서 유도전류와 스트립 속도 간의 비례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전류형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에서 두꺼운 스트립이 송출되는 경우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가 위치 조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전류형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에서 두꺼운 스트립이 송출되는 경우 상분사부가 위치 조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전류형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의 제어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도전류형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전류형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전류형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에서 스트립이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를 관통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전류형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에서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전류형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에서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전류형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에서 유도전류와 스트립 속도 간의 비례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전류형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에서 두꺼운 스트립이 송출되는 경우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가 위치 조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전류형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에서 두꺼운 스트립이 송출되는 경우 상분사부가 위치 조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전류형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의 제어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전류형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1)는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10), 승하강부(20), 상분사부(30), 하분사부(40), 제어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10)는 사상압연기(F)의 출구측에 배치되고, 사상압연기(F)에서 송출되는 스트립(S)의 속도를 측정한다.
도 3,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10)는 자속발생부(11), 유도전류발생부(12), 기준전류인가부(13), 유도전류측정부(14), 속도연산부(15)를 포함한다.
자속발생부(11)는 내측에 공간부가 구비되어 사각형의 도넛 형상으로 형성된다. 자속발생부(11)의 외주면에는 1차코일(11a)이 권선된다.
유도전류발생부(12)는 내측에 중공부가 구비되어 사각형의 도넛 형상으로 형성된다. 유도전류발생부(12)는 자속발생부(11)의 공간부에 배치되고, 외주면에는 2차코일(12a)이 권선된다. 사상압연기(F)에서 송출되는 스트립(S)은 이송롤러(R)에 의해 후공정으로 이송되는 동안 유도전류발생부(12)의 중공부를 관통한다.
자속발생부(11)는 1차코일(11a)에 기준전류가 인가되면 일정한 크기의 자속을 발생한다. 이때 유도전류발생부(12)의 중공부에 금속체, 본 실시예에서는 스트립(S),가 움직이게 되면 자속발생부(11)에 의해 발생되는 자속의 변화에 의해 2차코일(12a)에 유도전류가 발생된다. 이러한 자속의 변화량은 금속체의 이동 속도에 비례한다(도 5 참조).
자속의 변화에 의해서 도선에 전류가 생기는 현상을 유도전류라 하는데, 유도전류는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얻어진다.
Figure 112010049048617-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10049048617-pat00002
는 유도전류, n은 권선수,
Figure 112010049048617-pat00003
는 자속의 변화량,
Figure 112010049048617-pat00004
는 시간의 변화량으로, 유도전류는 코일의 권선수와 단위 시간당 자속의 변화량에 비례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10)는 단위 시간당 자속의 변화량에 비례하여 발생하는 유도전류의 크기를 측정함으로써 금속체의 속도를 역으로 산출하는 원리를 통해 사상압연기(F)에서 송출되는 스트립(S)의 속도를 측정한다.
유도전류발생부(12)는 내측에 중공부가 구비되므로 후공정으로 이송되는 스트립(S)은 유도전류발생부(12)를 관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트립(S)이 유도전류발생부(12)의 중공부를 관통하게 되면 자속발생부(11)에 의해 발생되는 자속의 변화에 의해 2차코일(12a)에 유도전류가 발생된다.
기준전류인가부(13)는 1차코일(11a)에 기준전류를 인가하고, 유도전류측정부(14)는 유도전류발생부(12)의 중공부로 스트립(S)이 관통함에 따라 2차코일(12a)에 유도되는 유도전류를 측정한다.
제어부(50)는 자속발생부(11)의 1차코일(11a)에 기준전류가 공급되도록 기준전류인가부(13)를 제어하고, 속도연산부(15)는 유도전류측정부(14)로부터 유도전류를 입력받아 스트립(S)의 속도를 연산한다. 여기서 유도전류는 시간에 따른 자속의 변화량에 비례하므로 도 5와 같이 유도전류의 크기를 통해 스트립(S)의 속도를 역으로 산출할 수 있다.
속도연산부(15)는 연산된 스트립(S)의 속도를 제어부(50)에 제공하고, 제어부(50)는 제공된 스트립(S)의 속도를 토대로 사상압연기(F)의 압연롤(미도시) 속도를 각각 제어하여 사상압연기(F)의 각 압연스탠드 사이에서 스트립 겹침 또는 스트립 파단 등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한다.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10)의 작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기준전류인가부(13)는 권선수 n을 갖는 1차코일(11a)에 일정한 기준전류를 공급하고, 자속발생부(11)는 1차코일(11a)에 기준전류가 공급되면 일정한 크기의 자속을 발생한다.
이때 스트립(S)이 유도전류발생부(12)의 중공부를 관통하면 1차코일(11a)에서 발생되는 자속에 변화가 생긴다. 즉, 시간에 따른 자속의 변화에 비례한 유도전류가 유도전류발생부(12)의 2차코일(12a)에 발생한다.
속도연산부(15)는 유도전류발생부(12)에서 발생되는 유도전류의 크기를 통해 스트립(S)의 속도를 역으로 산출하고, 이를 제어부(50)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10)는 스트립(S)과 접촉하지 않은 채로 스트립(S)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스트립(S)과의 접촉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내구성의 저하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로써 설비의 유지, 보수 측면에서 시간적, 물질적 비용 절감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10)에 의해 실시간으로 스트립(S)의 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이를 토대로 사상압연기(F)의 압연롤 속도를 제어할 수 있어 각 압연스탠드 사이에서의 스트립 겹침 또는 스트립 파단에 따른 스트립 불량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승하강부(20)는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10)를 승하강시킨다. 스트립(S)은 유도전류발생부(12)의 중공부를 관통하게 되는데,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10)를 통해 스트립(S)의 속도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서는 스트립(S)이 유도전류발생부(12)의 중공부의 정중앙을 관통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승하강부(20)는 스트립(S)의 두께에 변화가 있는 경우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10)의 높이를 조정하여 스트립(S)이 유도전류발생부(12)의 중공부의 정중앙을 관통하도록 한다.
도 2는 보통 두께의 스트립(S)이 관통되는 경우 스트립(S)과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10)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도 2에 비해 후판(厚板)인 스트립(S)이 관통되는 경우의 스트립(S)과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10)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즉, 유도전류발생부(12)의 중공부의 정중앙은 보통 두께의 스트립(S)이 관통되는 경우 h1에 위치하도록 이동되고, 후판인 스트립(S)이 관통되는 경우 h2에 위치하도록 이동된다.
스트립(S)이 유도전류발생부(12)의 중공부의 정중앙에 위치된 상태로 유도전류발생부(12)를 관통하도록 도 6에서는 승하강부(20)에 의해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10)가 상측으로 이동된다. 반대로 도 2에 비해 박판(薄板)인 스트립(S)이 관통되는 경우라면 승하강부(20)는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10)를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스트립(S) 하면의 높이는 스트립(S)이 이송롤러(R)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승하강부(20)는 지지대(21), 제1구동부(22), 제1회전기어부(23), 제1랙기어부(24)를 포함한다.
지지대(21)는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10)를 하측에서 지지한다. 다른 실시예로 지지대(21)는 하측이 아닌 측부에서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10)를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구동부(22)는 지지대(21)에 설치되어 제1회전기어부(23)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생성한다. 제1구동부(22)는 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며, 제1회전기어부(23)와 연결되어 생성된 동력을 제1회전기어부(23)에 공급한다. 제1구동부(22)의 작동은 제어부(50)의 의해 제어된다.
제1회전기어부(23)는 제1구동부(22)와 연결되어 제1구동부(22)에서 생성된 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회전기어부(23)는 피니언기어로 예시된다.
제1랙기어부(24)는 제1회전기어부(23)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제1회전기어부(23)의 회전에 따른 제1회전기어부(23)의 승하강을 안내한다. 이를 위해 제1랙기어부(24)에는 제1회전기어부(23)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가이드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제1랙기어부(24)는 베이스부(B)에 고정된다. 이러한 베이스부(B)는 바닥면일 수 있고, 승하강부(20)의 작동 시 제1랙기어부(24)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기타 받침판일 수 있다. 기타 받침판의 일 예로는 이송롤러(R)를 지지하는 롤러테이블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회전기어부(23)와 연결되는 제1구동부(22)가 지지대(21)에 설치되고, 제1랙기어부(24)가 베이스부(B)에 고정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1회전기어부(23)와 연결되는 제1구동부(22)가 베이스부(B)에 고정되고, 제1랙기어부(24)가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10)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등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10)의 승하강을 위한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분사부(30)는 스트립(S)의 상부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스트립(S)의 상부를 향해 유체를 분사한다. 상분사부(30)는 사상압연기(F)의 출구측에 배치되고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10)의 전측에 배치된다.
이로써 스트립(S)이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10)에 이르기 전에 스트립(S)의 표면에 있는 물과 같은 이물질은 고압으로 분사되는 유체에 의해 제거되므로,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10)는 이물질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스트립(S)의 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분사부(30)는 스트립(S)의 두께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 이동 가능하게 외부장치(C)에 설치된다. 따라서 스트립(S)의 두께에 변화가 있는 경우 이에 맞춰 상분사부(30)는 상측으로 또는 하측으로 이동되므로, 상분사부(30)와 스트립(S)의 상부 표면은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상분사부(30)는 상스프레이(31), 연결대(32), 제2구동부(33), 제2회전기어부(34), 제2랙기어부(35)를 포함한다.
상스프레이(31)는 외부의 유체 공급원과 연결되어 이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스트립(S)의 상부 표면을 향해 분사한다. 상스프레이(31)는 노즐(미도시)을 구비한다. 연결대(32)의 하부에는 상스프레이(31)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제2구동부(33)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유체는 공기이다.
제2구동부(33)는 연결대(32)에 설치되어 제2회전기어부(34)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생성한다. 제2구동부(33)는 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며, 제2회전기어부(34)와 연결되어 생성된 동력을 제2회전기어부(34)에 공급한다. 상스프레이(31) 및 제2구동부(33)의 작동은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된다.
제2회전기어부(34)는 제2구동부(33)와 연결되어 제2구동부(33)에서 생성된 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회전기어부(34)는 피니언기어로 예시된다.
제2랙기어부(35)는 제2회전기어부(34)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제2회전기어부(34)의 회전에 따른 제2회전기어부(34)의 승하강을 안내한다. 이를 위해 제2랙기어부(35)에는 제2회전기어부(34)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가이드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제2랙기어부(35)는 외부장치(C)에 고정된다. 이러한 외부장치(C)는 상분사부(30)의 상하 이동 시 제2랙기어부(35)의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제2랙기어부(35)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치로써, 일 예로 이송롤러(R)를 지지하는 롤러테이블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회전기어부(34)와 연결되는 제2구동부(33)가 연결대(32)에 설치되고 제2랙기어부(35)가 외부장치(C)에 고정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2회전기어부(34)와 연결되는 제2구동부(33)가 외부장치(C)에 고정되고, 제2랙기어부(35)가 상스프레이(31)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등 상분사부(30)의 승하강을 위한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하분사부(40)는 스트립(S)의 하부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스트립(S)의 하부를 향해 유체를 분사한다. 하분사부(40)는 사상압연기(F)의 출구측에 배치되고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10)의 전측에 배치된다.
이로써 사상압연기(F)에서 송출되는 스트립(S)이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10)에 이르기 전에 스트립(S)의 표면에 있는 물과 같은 이물질은 고압으로 분사되는 유체에 의해 제거되므로,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10)는 이물질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스트립(S)의 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하분사부(40)는 하스프레이(41), 받침대(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스프레이(41)는 외부의 유체 공급원과 연결되어 이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스트립(S)의 하부 표면을 향해 분사한다. 하스프레이(41)는 노즐(미도시)을 구비하며, 제어부(5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받침대(42)는 하스프레이(41)와 스트립(S)의 하부 표면이 이루는 간격이 항상 일정하도록 하스프레이(41)를 하측에서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체는 공기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전류형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사상압연기(F)에서 송출되는 스트립(S)은 이송롤러(R)에 의해 후공정으로 이송된다. 이때 사상압연기(F)의 출구측에는 스트립(S)의 이송 속도를 측정하는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10)가 배치된다.
스트립(S)은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10)를 관통하기에 앞서 상분사부(30) 및 하분사부(40)에 의해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제거된다. 상분사부(30)는 스트립(S)의 두께에 따라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상스프레이(31)와 스트립(S)의 상부 표면이 이루는 거리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한다.
상스프레이(31)와 스트립(S)의 상부 표면이 이루는 거리는 하스프레이(41)와 스트립(S)의 하부 표면이 이루는 거리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스트립(S)의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에는 상스프레이(31)와 하스프레이(41)에 의해 동일한 유체 압력이 형성되므로 표면에서 이물질이 제거되는 율(率)도 거의 동일하게 되어 스트립(S) 속도 측정의 정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사상압연기(F)에서 송출되는 스트립(S)이 도 2에 비해 후판(厚板)인 경우 상분사부(30)는 스트립(S)의 두께 차만큼 상측으로 이동되어 스트립(S)과 상스프레이(31)가 이루는 거리는 도 2에서의 거리와 동일하게 된다. 반대로 스트립(S)이 도 2에 비해 박판(薄板)인 경우 상분사부(30)는 스트립(S)의 두께 차만큼 하측으로 이동된다.
상분사부(30)와 하분사부(40)에 의해 표면의 이물질이 제거된 스트립(S)은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10)를 관통하면서 그 속도가 측정된다. 구체적으로 스트립(S)은 유도전류발생부(12)의 중공부의 정중앙을 관통하게 된다. 이를 통해 스트립(S)의 속도는 측정된다.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10)는 스트립(S)의 두께에 맞춰 승하강부(20)에 의해 그 위치가 조정된다.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10)의 위치는 스트립(S)이 유도전류발생부(12)의 중공부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하는 위치이다. 이로써 스트립(S)은 상부 표면과 유도전류발생부(12)의 상부 내측면이 이루는 거리와, 하부 표면과 유도전류발생부(12)의 하부 내측면이 이루는 거리가 동일하게 되고, 좌우 표면에서 유도전류발생부(12)의 좌우 내측면과 이루는 거리가 동일하게 되므로, 유도전류를 이용한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10)는 스트립(S)의 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사상압연기(F)에서 송출되는 스트립(S)이 도 2에 비해 후판(厚板)인 경우 승하강부(20)는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10)를 ‘스트립(S)의 두께 차의 1/2’만큼 상측으로 이동시켜 스트립(S)이 유도전류발생부(12)의 정중앙을 관통하게 한다. 반대로 스트립(S)이 도 2에 비해 박판(薄板)인 경우 승하강부(20)는 ‘스트립(S)의 두께 차의 1/2’만큼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사상압연기의 출구측에 배치되는 유도전류형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사상압연기가 아닌 다른 장치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 11 : 자속발생부
12 : 유도전류발생부 20 : 승하강부
22 : 제1구동부 23 : 제1회전기어부
24 : 제2랙기어부 30 : 상분사부
31 : 상스프레이 32 : 연결대
33 : 제2구동부 34 : 제2회전기어부
35 : 제2랙기어부 40 : 하분사부
41 : 하스프레이 50 : 제어부

Claims (8)

  1. 사상압연기의 출구측에 배치되고, 상기 사상압연기에서 송출되는 스트립의 속도를 측정하는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
    상기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
    상기 사상압연기의 출구측에 배치되고, 상기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의 전측에 배치되며, 상기 스트립의 상부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스트립의 상부를 향해 유체를 분사하는 상분사부; 및
    상기 사상압연기의 출구측에 배치되고, 상기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의 전측에 배치되며, 상기 스트립의 하부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스트립의 하부를 향해 유체를 분사하는 하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는, 내측에 공간부가 구비되고, 외주면에 1차코일이 권선되는 자속발생부;
    내측에 중공부가 구비되고, 외주면에 2차코일이 권선되며, 상기 자속발생부의 공간부에 배치되는 유도전류발생부;
    상기 1차코일에 기준전류를 인가하는 기준전류인가부;
    상기 유도전류발생부의 중공부를 관통하여 이동하는 상기 스트립에 의해 상기 2차코일에 유도되는 유도전류를 측정하는 유도전류측정부; 및
    상기 유도전류측정부로부터 유도전류를 입력받아 상기 스트립의 속도를 연산하는 속도연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스트립이 상기 유도전류발생부의 중공부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상기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를 승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전류형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를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는 제1구동부;
    상기 제1구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제1회전기어부; 및
    상기 제1회전기어부와 맞물리고, 상기 제1회전기어부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제1랙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전류형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분사부는 상기 스트립의 두께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전류형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분사부는, 상기 스트립의 상부를 향해 유체를 분사하는 상스프레이;
    상기 상스프레이가 장착되는 연결대;
    상기 연결대에 설치되는 제2구동부;
    상기 제2구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제2회전기어부; 및
    상기 제2회전기어부와 맞물리고, 상기 제2회전기어부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제2랙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전류형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
  7. 사상압연기의 출구측에 배치되고, 상기 사상압연기에서 송출되는 스트립을 관통시켜 상기 스트립의 속도를 측정하는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 및
    상기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를 지지하고, 상기 스트립이 상기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전류형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전류형 속도측정부는, 내측에 공간부가 구비되고, 외주면에 1차코일이 권선되는 자속발생부;
    내측에 중공부가 구비되고, 외주면에 2차코일이 권선되며, 상기 자속발생부의 공간부에 배치되는 유도전류발생부;
    상기 1차코일에 기준전류를 인가하는 기준전류인가부;
    상기 유도전류발생부의 중공부를 관통하여 이동하는 상기 스트립에 의해 상기 2차코일에 유도되는 유도전류를 측정하는 유도전류측정부; 및
    상기 유도전류측정부로부터 유도전류를 입력받아 상기 스트립의 속도를 연산하는 속도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전류형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
KR1020100073182A 2010-07-29 2010-07-29 유도전류형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 KR101193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182A KR101193861B1 (ko) 2010-07-29 2010-07-29 유도전류형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182A KR101193861B1 (ko) 2010-07-29 2010-07-29 유도전류형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413A KR20120011413A (ko) 2012-02-08
KR101193861B1 true KR101193861B1 (ko) 2012-10-26

Family

ID=45835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3182A KR101193861B1 (ko) 2010-07-29 2010-07-29 유도전류형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86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2449A (en) 1979-12-10 1981-07-06 Kawasaki Steel Corp Speed detector of end part of traveling object
JP2001033466A (ja) 1999-07-23 2001-02-09 Sumitomo Metal Ind Ltd 熱延鋼板の通板速度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2449A (en) 1979-12-10 1981-07-06 Kawasaki Steel Corp Speed detector of end part of traveling object
JP2001033466A (ja) 1999-07-23 2001-02-09 Sumitomo Metal Ind Ltd 熱延鋼板の通板速度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413A (ko) 201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3763B2 (ja) ストリップをコーティングするための装置及びそのための方法
KR101204839B1 (ko) 유도전류형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
US8783332B2 (en) Device and method for positioning at least one of two casting rolls in a continuous casting process for producing a metal strip
KR101193861B1 (ko) 유도전류형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
KR101193862B1 (ko)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
JP2018500180A (ja) 圧延方法、連続鋳造圧延方法、及び連続鋳造圧延装置
US11529676B2 (en) Method for altering casting roll profile with the alteration of localized temperature
KR101394447B1 (ko) 열간압연장치 및 열간압연재의 제조방법
US20140262121A1 (en) Method of thin strip casting
KR101225795B1 (ko) 스트립의 상향 방지 장치
US20170327925A1 (en) Cross-strip temperature variation control
KR101159776B1 (ko) 소재 상향 방지 장치
KR101225796B1 (ko) 소재의 상향 방지 장치
KR101277580B1 (ko) 압연제품용 권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40367065A1 (en) Thin roll strip cast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1193858B1 (ko) 스트립 상향 방지 장치
KR101148949B1 (ko) 소재속도 측정장치
KR101277579B1 (ko) 압연제품용 권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49906B1 (ko) 시편 코팅장치
CN115178718B (zh) 方坯连铸生产线及其生产工艺
KR20120013059A (ko) 수지강판의 코팅 편차방지장치
KR101140824B1 (ko) 압연 스탠드의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
KR20080097588A (ko) 후판 유도장치
KR101140823B1 (ko) 압연 스탠드의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
KR20110087988A (ko) 소재속도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