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154B1 -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여저장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여저장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3154B1
KR101193154B1 KR1020060038547A KR20060038547A KR101193154B1 KR 101193154 B1 KR101193154 B1 KR 101193154B1 KR 1020060038547 A KR1020060038547 A KR 1020060038547A KR 20060038547 A KR20060038547 A KR 20060038547A KR 101193154 B1 KR101193154 B1 KR 101193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ext data
voice data
converting
tex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8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6095A (ko
Inventor
김선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8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154B1/ko
Publication of KR20070106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6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recognition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메모 저장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음성 데이터에 상응하는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와, 통화시 발생하는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변환부를 통해 상기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종래의 메모 저장시 직접 키패드를 이용하여 저장하거나 녹음 후 메모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메모 저장, 문자 변환, 자동 저장, 자동 변환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VOICE DATA TO TEXT DATA IN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메모 저장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성 신호를 문서화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는 무선 음성 통화 및 정보 교환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 이용 계층이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넓어지고 있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는 휴대가 간편하고 시간과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원하는 상대방과의 통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서 신속한 정보 전달이 필요한 계층에서는 그 사용이 더욱더 늘어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로 통화 품질의 개선 방면으로 많은 발전을 이루었고 그 기술이 발달함과 무선 인터넷의 도입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단순한 전화 통화, 또는 일정 관리 등의 목적뿐만 아니라, 장착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한 이미지 촬영하거나, 위성 방송의 시청, 게임 및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리모컨 등의 그 활용범위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하는 기능 중에 사용자와의 통화 내용을 자동으로 문자 데이터로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 도중에 전화번호, 팩스번호, 은행 계좌 번호 등과 같은 정보의 메모가 필요한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제공되는 녹음기 기능을 이용하여 확인 가능하지만 상기와 같은 방법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의 확인시마다 청취하면서 펜과 종이를 이용하여 메모를 해야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메모하는 기능이 있지만 상기와 같은 방법도 메모시 통화의 흐름이 끊어지고 통화 종료시 잘못된 키 입력으로 인하여 상기 저장된 메모가 삭제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통화 중 음성 데이터를 자동으로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기능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 수신하는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 수신하는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자동 메모 저장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는 음성 데이터에 상응하는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와, 통화시 발생하는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변환부를 통해 상기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자동 메모 저장 방법은 상기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시키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통화시 발생하는 음성 데이터를 상기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문자 데이터로의 변환 후 상기 문자 데이터의 저장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변환된 문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중 상태에서 수신하는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저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셀룰라 전화기(cellular phone), 개인 휴대통신 전화기(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무선단말기(PDA : Personal Data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4세대 광대역 시스템(Broadband system) 등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이하 설명은 상기 예들의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고 설명할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100), 입력부(102), 표시부(104), 음성 처리부(106), 데이터 변환부(112), 메모리부(114) 및 통신부(11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음성 처리부(106)는 음성 출력부(108), 음성 입력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MPU : Micro-Processer Unit)(1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통신부(116)를 통해 수신하는 음성 데이터 및 상기 음성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변환부(112)를 제어하여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하도록 처리한다. 상기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변환된 문자 데이터를 선택받은 카테고리로 이동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문자 데이터의 변환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문자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재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116)를 통하여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처리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통상적인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입력부(102)는 숫자키 버튼들과, 메뉴버튼(menu), 취소버튼(지움), 확인버튼, 통화버튼(TALK), 종료버튼(END), 인터넷접속 버튼 및 상기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 시키기 위한 키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104)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하며,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음성 데이터에 상응하는 문자 데이터로 변환된 메모를 출력한다.
상기 음성 처리부(106)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음성 입력부(110)를 통해 상기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또한 상기 음성 입력부(110)는 상기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명령어를 입력받는다. 상기 음성 출력부(108)는 상기 문자 데이터의 변환을 확인하는 상기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말한다.
상기 데이터 변환부(112)는 상기 음성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시킨다. 또한, 상기 데이터 변환부(112)는 문자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시킨다.
상기 메모리부(114)는 상기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 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하며, 본 발명에 따라 데이터 변환에 필 요한 문자 정보 및 음성 신호를 저장하는 문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 변환부(112)에 의해 변환된 상기 문자 데이터를 저장한다.
통신부(116)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라디오 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기저대역처리부로 제공하고,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주파수 상승시켜 상기 안테나로 송신하는 RF부(Radio Frequency unit)와, 상기 RF부와 상기 제어부(100) 사이에 송수신 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처리하는 기저대역처리부를 포함하며 통화 연결 중인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음성 데이터에 상응하는 문자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송신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설명에서 도 3은 음성 데이터에 상응하는 문자 데이터를 출력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을 나타낸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먼저 201단계로 진행하여 데이터 변환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여기에서, 상기 데이터 변환 이벤트는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기 문자 데이터의 메모로 변환하도록 하는 이벤트로 상기 문자 데이터의 메모로 변환을 시작하도록 요청하는 키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메모 저장을 위한 음성 명령어(예 : 녹음, 녹음 시작 등)의 입력으로 수행할 수 있다.
만일, 상기 데이터 변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223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예 : 대기 모드)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데이터 변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2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통화가 연결된 상태인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통화가 연결된 상태가 아니면, 상기 제어부(100)는 223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예 : 키패드를 이용한 메모 저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통화가 연결된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205단계로 진행하여 통신부(116)를 통해 상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 후 2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하는 음성 데이터에 상응하는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문자 정보 및 음성 신호를 문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한 후 데이터 변환부(112)를 통해 상기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 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문자 데이터로의 변환은 상기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의 변환을 알리는 메시지의 출력 후 변환을 시작할 수 있으며, 상기 변환된 문자 데이터는 도 3과 같이 상대방의 이름을 포함하는 전화 번호 정보, 시간, 날짜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문자 데이터로 변환된 메모를 출력한다. 만일, 상기 상대방의 전화 번호와 이름이 메모리부(114)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통화 연결중인 휴대용 단말기임을 알릴 수 있는 정보(예 : 애칭(레터링)을 포함하는 전화 번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문자 데이터로의 변환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신하는 음성 데이터만 저장, 송신하는 음성 데이터만 저장 및 상기 송신하는 음성 데이터와 수신하는 음성 데이터를 동시에 문자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로부터 상기 수신하는 음성 데이터만을 저장하는 방법을 선택받으면, 도 3(a)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부(104)에 기본적으로 표시되는 정보(예 : 통화 연결중인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와 저장된 이름, 날짜, 시간 등)와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하는 음성 데이터에 상응하는 문자 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송신하는 음성 데이터만을 저장하는 방법을 선택받으면 도 3(b)와 같이 송신하는 음성 데이터에 상응하는 문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만약, 상기 송신하는 음성 데이터 및 수신하는 음성 데이터를 동시에 저장하는 방법을 선택받으면 상기 도 3(c)와 같이 송/수신하는 음성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문자 데이터로 변환시켜 표시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2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문자 데이터로 변환의 종료를 알리는 모드의 설정이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문자 데이터로 변환의 종료를 알리는 모드는 상기 메모 저장을 위한 이벤트와 같이 상기 사용자의 키 조작, 메모 저장을 위한 음성 명령어(예 : 녹음 종료 등)를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다.
만일, 상기 메모의 종료를 알리는 모드의 설정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205단계의 과정부터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문자 데이터로 변환의 종료를 알리는 모드의 설정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211단계로 진행하여 수신측 메모 확인 모드가 설정되는지 확인한다. 여기에서 상기 수신측 메모 확인 모드는 상기 수신측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에 상응하는 문자 데이터가 오타가 발생하지 않고 올바르게 변환되었는지 수신측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확인받는 모드를 말한다. 만일, 상기 모드의 설정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2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변환된 문자 데이터의 저장 요청이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한편, 상기 수신측 메모 확인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213단계로 진행하여 데이터 변환부(112)를 제어하여 상기 문자 데이터를 확인 음성 데이터 로 변환한 후 215단계로 진행하여 통신부(116)를 통해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문자 데이터로의 변환이 수행되었는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 음성 데이터는 상기 문자 데이터에 상응하도록 변환된 음성 데이터로 상기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음성 데이터를 말한다. 또한 상기 변환된 문자 데이터의 확인하는 다른 방법은 상기 변환된 문자 데이터를 문자 메시지 형태로 수신측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2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변환된 문자 데이터의 저장을 요청하는 저장 모드의 설정이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저장 모드의 설정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205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저장 모드의 설정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21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저장 모드가 선택 저장 모드인지 확인한다. 여기에서 선택 저장 모드라 함은 상기 문자 데이터로 저장된 메모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항목(카테고리)으로 저장하는 모드를 말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도 3과 같이 저장된 메모를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일정관리 기능의 특정일에 저장하도록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선택받은 특정일에 저장하도록 한다.
만일, 상기 선택 저장 모드의 설정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사용자로부터 저장하고자하는 항목(카테고리)을 선택받은 후 22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메모를 해당 항목(카테고리)에 저장한다. 여기에서, 상기 해당 항목(카테고리로)의 저장은 상기 항목(카테고리)에 따라 전체 메모를 저장하거나 상기 메모의 일부분만 을 추출(예 : 전화번호가 저장된 메모의 전화 번호를 추출하여 폰북에 저장)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택 저장 모드의 설정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2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문자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메모리부(114)에 일반 메모로 저장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기 도 2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저장을 요청하는 키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메모리부(114)에 저장하는 방법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부족한 경우 또는 음영 지역에 위치함에 따라 통화 연결이 종료되면 상기 변환이 완료된 문자 데이터를 자동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환된 문자 데이터는 저장 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항목(카테고리)으로 이동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여 종래의 메모 저장시 직접 키패드를 이용하여 저장하거나 녹음 후 메모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고 통화 기록과 같이 메모가 남으므로 정확한 기록 확인에 도 움이 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제공되는 메뉴로 이동하여 저장할 수 있어 부가 기능 이용에 편리함을 제공한다.

Claims (16)

  1. 자동 메모 저장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음성 데이터에 상응하는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며, 상기 문자 데이터를 확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와,
    통화시 발생하는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변환부를 통해 상기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데이터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문자 데이터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데이터에 상응하는 상기 문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 데이터로 변환 후 수신측 메모 확인 모드를 확인하면, 수신측 휴대용 단말기로 상기 변환된 문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 데이터로 변환 후 수신측 메모 확인 모드를 확인하면, 상기 문자 데이터를 상기 확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수신측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 데이터의 저장 요청을 감지하면, 상기 문자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에 일반 메모로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선택 저장 요청이 감지되면, 상기 문자 데이터를 저장하고자 하는 항목(카테고리)으로 이동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데이터는,
    통화시 송신하는 음성 데이터 또는 수신하는 음성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휴대용 단말기의 자동 메모 저장 방법에 있어서,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시키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통화시 발생하는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기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
    상기 문자 데이터로 변환 후, 수신측 메모 확인 모드를 확인하면, 수신측 휴대용 단말기로 상기 변환된 문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문자 데이터로의 변환 후 상기 문자 데이터의 저장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변환된 문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삭제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데이터로 변환 후 수신측 메모 확인 모드를 확인하면, 상기 문자 데이터를 확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수신측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데이터로의 변환 후 상기 변환된 문자 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데이터는,
    통화시 송신하는 음성 데이터 또는 수신하는 음성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문자 데이터는 통화 상대방의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문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항목(카테고리)으로 이동하여 저장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60038547A 2006-04-28 2006-04-28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여저장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193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547A KR101193154B1 (ko) 2006-04-28 2006-04-28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여저장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547A KR101193154B1 (ko) 2006-04-28 2006-04-28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여저장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6095A KR20070106095A (ko) 2007-11-01
KR101193154B1 true KR101193154B1 (ko) 2012-10-22

Family

ID=39062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547A KR101193154B1 (ko) 2006-04-28 2006-04-28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여저장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1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62697A (zh) * 2018-11-27 2019-03-1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语音处理方法、装置、移动终端以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6095A (ko) 200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232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device through image recognition in mobile terminal
JP2003018254A (ja) 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
US20070286587A1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portable device
KR101771013B1 (ko)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US7570745B2 (en) Telephone system having message recording function
KR10065147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저장 및 독출 방법
KR100692005B1 (ko) 사진별 메모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 방법
KR10119315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여저장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66348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삭제 방법
JP4501833B2 (ja) 携帯情報端末、及び、情報受信方法
JP2001016351A (ja) 情報端末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070072592A1 (en) Method of receiving a call and wireless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100603809B1 (ko) 전자펜을 이용한 입력데이터의 전송 시스템
KR20070011726A (ko) 전화기 겸용 디지털 텔레비젼
JP5231751B2 (ja)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10068001A (ko) 휴대형 통신단말기의 시간경보/배경화면 제어장치
KR100628072B1 (ko) 사진을 편집하여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단말기
US20020078156A1 (en) Display data transmitt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
KR100437204B1 (ko) 휴대전화기상에서 캡쳐된 이미지에 의한 단축기능설정방법및 장치
KR10063020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선택 및 전송방법
KR10068119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KR200243646Y1 (ko) 휴대형 통신단말기의 시간경보/배경화면 제어장치
JP3814504B2 (ja) 通信装置
KR101394262B1 (ko) 통신 단말기의 통화 발신 방법
JP4494116B2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並びに絵日記交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