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2946B1 - 수소 정제장치의 재생방법 - Google Patents

수소 정제장치의 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2946B1
KR101192946B1 KR1020100073698A KR20100073698A KR101192946B1 KR 101192946 B1 KR101192946 B1 KR 101192946B1 KR 1020100073698 A KR1020100073698 A KR 1020100073698A KR 20100073698 A KR20100073698 A KR 20100073698A KR 101192946 B1 KR101192946 B1 KR 101192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bed
beds
regeneration
contami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3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1680A (ko
Inventor
신현길
양재춘
신우균
노승권
정진배
Original Assignee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3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2946B1/ko
Publication of KR20120011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50Separation of hydrogen or hydrogen containing gases from gaseous mixtures, e.g. purification
    • C01B3/56Separation of hydrogen or hydrogen containing gases from gaseous mixtures, e.g. purification by contacting with solids; Regeneration of used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50Separation of hydrogen or hydrogen containing gases from gaseous mixtures, e.g. purification
    • C01B3/508Separation of hydrogen or hydrogen containing gases from gaseous mixtures, e.g. purification by selective and reversible uptake by an appropriate medium, i.e. the uptake being based on physical or chemical sorption phenomena or on reversible chemical rea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2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6Silica or silicates
    • B01D2253/108Zeol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6/00Main component in the product gas stream after treatment
    • B01D2256/16Hydro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0083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 B01D2259/40086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by using a purge ga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2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205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reforming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4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purification step for the hydrogen or the synthesis gas
    • C01B2203/042Purification by adsorption on solids
    • C01B2203/043Regenerative adsorption process in two or more beds, one for adsorption, the other for regene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ydrogen, Water And Hydrids (AREA)

Abstract

흡착제가 채워진 복수 개의 베드(BED)에 개질기에서 생산된 수소를 주입하여 상기 수소를 정제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베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복수 개의 베드 중에 잔여 부산물이 기준치 이상 존재하는 일부 베드를 오염베드로 검출하는 단계; 상기 오염베드에 상기 개질기에서 생산된 수소의 주입을 차단하고, 재생용 가스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오염베드를 통과한 재생용 가스를 벤트하여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소 정제장치의 재생방법에 따르면, 정제공정을 중단하지 않고 베드의 부산물을 제거할 수 있어 비용상 시간상 유리하며 베드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소 정제장치의 재생방법{reformation method of hydrogen purification devices}
본 발명은 정제공정을 중단하지 않고 베드의 부산물을 제거할 수 있는 수소 정제장치의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정련 및 석유화학산업 분야에서 수소 생산은 매우 중요하다. 수소는 예를 들어, 연료 전지용 연료 및 가스 터빈 내 연소에 의한 에너지 생산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수소는 암모니아 생산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련 및 석유화학 공정에서 반응물로도 사용된다.
수소는 대부분 다양한 기원(천연가스, 석유 컷, 바이오매스 등)의 탄화수소 함유 공급물로부터 생산된다. 이러한 공급물을 이용하는 주요 수소 생산 공정은 스트림 개질(reforming), 가스화(gasfication), 부분 산화 및 자동열분해 개질이다. 이러한 모든 방법은 대부분 수소, 일산화탄소(CO) 및 이산화탄소(CO2) 뿐만 아니라, 메탄(CH4) 및 중질 탄화수소, 그리고 공기가 전환 공정에 사용되는 경우, 초기에 공기중에 존재하는 질소 및 아르곤 또는 임의의 다른 분자를 함유하는 합성 가스를 생산할 수 있다. 그러므로 수소는 사용 전에 정제되어야만 한다.
수소를 정제하는 여러 기술, 예컨대 화학 용매(예를 들어, 아민계열) 또는 물리 용매에 의한 흡착을 통한 분리, 압력 변동 흡착(Pressure swing adsorption: PSA)에 의한 분리 또는 멤브레인 분리와 같은 기술이 종래 분야에 알려져 있다.
아민을 이용하는 흡착 방법은 부산물, 특히 질소, 아르곤, 일산화탄소 및 메탄과 같은 분자 모두를 제거하지는 못한다.
멤브레인을 이용하는 수소 정제 방법의 성능은 사용되는 멤브레인 재료에 의해 상당히 좌우된다. 혼합 금속(예를 들어, 팔라듐 합금) 및 산화물은 PSA에 의해 생산되는 수소의 것과 유사한 정도의 최종 수소 중 CO 함량을 얻게 한다. 현재 이러한 멤브레인은 매우 고가이며, 매우 높은 온도(350℃ 초과)에서만 작동할 수 있어, 총 수소 생산 비용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따라서 PSA가 고순도의 수소를 생산하는데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본 발명은 정제공정을 중단하지 않고 베드의 부산물을 제거할 수 있는 수소 정제장치의 재생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소 정제장치의 재생방법에 따르면, 흡착제가 채워진 복수 개의 베드(BED)에 개질기에서 생산된 수소를 주입하여 상기 수소를 정제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베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복수 개의 베드 중에 잔여 부산물이 기준치 이상 존재하는 일부 베드를 오염베드로 검출하는 단계; 상기 오염베드에 상기 개질기에서 생산된 수소의 주입을 차단하고, 재생용 가스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오염베드를 통과한 재생용 가스를 벤트하여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오염베드로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베드의 온도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베드의 잔여부산물이 기준치 이상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흡착제는 활성탄소 또는 지올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생용 가스는 정제된 수소를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정제된 수소는 상기 베드를 통과하여 정제된 수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염베드를 통과한 수소는 버너에서 연소하여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소 정제장치의 재생방법에 따르면, 정제공정을 중단하지 않고 베드의 부산물을 제거할 수 있어 비용상 시간상 유리하며 베드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소 정제장치의 재생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소 정제장치의 재생방법에 이용되는 수소 정제장치 및 재생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1은 본 발명의 수소 정제장치의 재생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수소 정제장치의 재생방법에 이용되는 수소 정제장치 및 재생장치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개질기(10), 베드(21,22,23), 재생용 가스 홀더(40), 제어부(50) 및 밸브(11,12,13,31,32,33,41,42,43,51,52,53)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순서도를 기준 중심으로 도 2의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수소 정제장치의 재생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흡착제가 채워진 복수 개의 베드(21,22,23)에 개질기(10)에서 생산된 수소를 주입하여 수소를 정제한다(S100).
개질기(10)는 탄화수소를 분해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장치이다. 수소는 물의 전기분해, 탄화수소 연료의 개질, 바이오매스 가스화 그리고 화학공장의 부산물을 통하여 생산될 수 있으나, 기술 및 경제성 문제 때문에 일반적으로 탄화수소 연료의 수증기를 개질하여 수소를 생산한다.
개질기(10)에 이용되는 탄화수소 연료로는 천연가스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천연가스는 메탄을 주 성분으로 하므로 메탄을 분해하면 탄산가스와 수소가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수소는 CO, CO2, CH4, N2, O2 및 H2O 등 부산물이 존재하므로 정제장치를 통해 제거된다. 부산물을 제거하기 위해 흡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베드(21,22,23)는 내부에 흡착제가 채워진 용기로서, 정제장치 중 하나인 PSA(Pressure Swing Adsorption: 압축변동흡착기)의 주요 구성이다. 베드(21,22,23) 내부의 흡착제에 개질기(10)에서 생산된 수소를 통과시켜 수소 이외의 부산물을 제거하고 정제된 수소는 수소탱크로 이동한다.
복수 개의 베드(21,22,23)를 사용하는 경우 하나의 베드(21)에 문제가 생겨 교체해야하는 경우, 다른 베드(22,23)를 이용하여 정제공정을 지속할 수 있으므로, 공정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여 공정중단으로 인한 비용 및 시간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베드에 채워지는 흡착제는 부산물과 잘 결합할 수 있는 흡착성 물질을 이용하며 그 대표적인 예로 활성탄소 또는 지올라이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복수 개의 베드(21,22,23)를 모니터링한다(S200). 베드(21,22,23)의 흡착제는 지속적으로 부산물을 흡착하므로 부산물이 베드(21,22,23) 내에 누적정도가 심해지면 정제의 효율이 저하되므로, 교체 또는 재생 시기를 결정하기 위해 부산물이 어느 정도 누적되었는지 점검한다.
점검 방법의 하나로서, 베드(21,22,23)의 온도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정제공정 중 베드(21,22,23)의 온도가 상승하는데 정제 효율이 떨어지면, 즉 부산물의 농축정도가 심해지면 온도의 상승 폭이 작아지게 되므로 온도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베드(21,22,23)의 오염정도를 점검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베드(21,22,23) 중에 잔여 부산물이 기준치 이상 존재하는 일부 베드를 오염베드(21, 이하, 편의상 도 2의 도면번호 21의 베드를 오염베드(21)로 검출된 베드라고 가정하고 설명하도록 한다)로 검출한다(S300).
베드(21,22,23)의 부산물이 일정수준 이상 누적되어 교체시기를 결정하는 기준을 설정하여 그 기준치 이상 부산물이 누적된 베드를 재생공정을 거쳐야할 오염베드(21)로 검출한다.
예를 들어 온도 변화를 모니터링 하는 경우에는 온도 변화의 기울기가 어느 수준 이하로 저하되면 기준치 이상 부산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재생 공정을 진행한다.
도 2의 제어부는 각 베드(21,22,23)로 부터 오염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데이터(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온도 정보)를 수신하여 모니터링한다. 이때, 제어부는 기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오염베드(21)를 추출하고 오염베드(21)를 재생하기 위한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오염베드(21)와 연결된 벨브(11,21,31,41)의 개폐를 제어한다.
다음으로, 오염베드(21)에 상기 개질기(10)에서 생산된 수소의 주입을 차단하고, 재생용 가스를 주입한다(S400). 오염베드(21)는 정제 작업을 중단하고 대신에 오염베드(21)의 재생을 위해 재생용 가스를 주입한다. 비활성 기체가 오염베드(21)에 투입되면 오염베드(21)에 흡착된 부산물이 재생용 가스와 함께 배출이 되므로 오염(21)베드는 다시 활용 가능하게 된다.
즉 이때 제어부(50)는 벨브(11)을 폐쇄하여 개질기(10)로부터 수소를 차단하고, 밸브(31)을 폐쇄하여 수소탱크와의 연결을 차단하고, 대신에 재생용 가스 홀더(40)와 연결된 파이프의 밸브(41)를 개방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재생용 가스 홀더(40)가 있는데 재생공정을 위해 오염베드(21)에 주입하는 비활성 기체를 저장하는 장소이다.
이러한 재생용 가스의 예로서, 정제된 수소를 들 수 있다. 즉, 오염물질을 거의 포함하지 않은 수소를 의미하며, 부산물이 누적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정제작업을 수행하는 베드(22,23)를 통과하여 정제된 수소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드(22,23)에서 정제되어 배출된 수소 중 일부를 재생용 가스 홀더(40)에 저장하여 재생공정을 위해 일부 비축해 둘 수 있다. 또한 부산물이 누적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정제작업을 수행하는 베드(22,23)로부터 직접 오염베드(21)로 정제된 수소를 공급할 수도 있다.
이렇게 공급된 수소는 오염베드(21)에 누적된 부산물과 함께 오염베드(21)를 빠져나오며 이 수소는 수소탱크에 저장하지 않고 벤트하여 배출한다(S500). 이렇게 배출된 수소는 버너에서 연소하여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개질기
11,12,13,31,32,33,41,42,43,51,52,53: 밸브
21,22,23: 베드 40: 재생용 가스 홀더
50: 제어부

Claims (6)

  1. 흡착제가 채워진 복수 개의 베드에 개질기에서 생산된 수소를 주입하여 상기 수소를 정제하는 단계;
    상기 정제된 수소의 일부를 재생용 가스 홀더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베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복수 개의 베드 중에 잔여 부산물이 기준치 이상 존재하는 베드를 오염베드로 검출하는 단계;
    상기 오염베드에 상기 개질기에서 생산된 수소의 주입을 차단하고, 상기 재생용 가스 홀더에 저장된 정제된 재생용 수소 가스 및 비활성 기체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오염베드를 통과한 재생용 가스를 벤트하여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소 정제장치의 재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베드로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베드의 온도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베드의 잔여부산물이 기준치 이상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정제장치의 재생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활성탄소 또는 지올라이트(Zeoli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정제장치의 재생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용 가스는 정제된 수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정제장치의 재생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된 수소는
    상기 베드를 통과하여 정제된 수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정제장치의 재생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베드를 통과한 수소는 버너에서 연소하여 연료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정제장치의 재생방법.
KR1020100073698A 2010-07-29 2010-07-29 수소 정제장치의 재생방법 KR101192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698A KR101192946B1 (ko) 2010-07-29 2010-07-29 수소 정제장치의 재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698A KR101192946B1 (ko) 2010-07-29 2010-07-29 수소 정제장치의 재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680A KR20120011680A (ko) 2012-02-08
KR101192946B1 true KR101192946B1 (ko) 2012-10-18

Family

ID=45835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3698A KR101192946B1 (ko) 2010-07-29 2010-07-29 수소 정제장치의 재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29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6240A (ko) * 2001-05-07 2002-11-18 이엠므베 떼끄놀로지 소량의 물질, 특히 생물학적 액체의 보존을 위한 스트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737B1 (ko) * 2021-03-16 2021-10-27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분리막과 psa 혼합법에 의한 수소 회수율 제고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935A (ja) 1997-06-25 1999-01-19 Nippon Steel Corp Psa法による製品水素ガスの品質制御方法
JP2002355519A (ja) 2001-05-31 2002-12-10 Tokyo Gas Co Ltd 水素精製用4塔式圧力スイング吸着装置の安定運転方法
JP2004006405A (ja) 2003-07-28 2004-0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水素精製装置
JP2007261909A (ja) * 2006-03-29 2007-10-11 Osaka Gas Co Ltd 水素精製装置の運転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935A (ja) 1997-06-25 1999-01-19 Nippon Steel Corp Psa法による製品水素ガスの品質制御方法
JP2002355519A (ja) 2001-05-31 2002-12-10 Tokyo Gas Co Ltd 水素精製用4塔式圧力スイング吸着装置の安定運転方法
JP2004006405A (ja) 2003-07-28 2004-0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水素精製装置
JP2007261909A (ja) * 2006-03-29 2007-10-11 Osaka Gas Co Ltd 水素精製装置の運転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6240A (ko) * 2001-05-07 2002-11-18 이엠므베 떼끄놀로지 소량의 물질, 특히 생물학적 액체의 보존을 위한 스트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680A (ko) 201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45359C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ower and hydrogen
KR101501815B1 (ko) 고로가스의 분리방법 및 장치
US8685151B2 (en) Multiple fixed-fluidized beds for contaminant removal
US20200368667A1 (en) Pressure swing adsorption (psa) device and pressure swing adsorption method
US20110123878A1 (en) Dual Purpose Gas Purification by Using Pressure Swing Adsorption Columns for Chromatographic Gas Separation
CA2570562A1 (en) Adsorptive separation of gas streams
RU2015128903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регенерации водорода в процессе андрусова
JP7296362B2 (ja) 水素の製造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090006156A (ko) 고순도 이산화탄소를 회수하기 위한 진공 압력 순환 방법
JP7106275B2 (ja) 粗バイオガスを精製する方法及びバイオガス精製システム
US10399852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reating a sour synthesis gas
AU2012347153A1 (en) Method and device for separating hydrogen sulfide and hydrogen production system using the same
KR20200036896A (ko) 기체 수소 스트림의 연속 제조 방법
CN112107963A (zh) 通过吸附单元和膜分离单元的组合处理包含voc和二氧化碳的甲烷料流
KR101192946B1 (ko) 수소 정제장치의 재생방법
JP5647388B2 (ja) 高炉ガスの分離方法、および高炉ガスの分離装置
KR101909291B1 (ko) 아르곤 가스의 정제 방법 및 정제 장치
AU2016201267B2 (en) A plant and process for simutaneous recovering multiple gas products from petrochemical offgas
KR20220124950A (ko) 고압 이산화탄소 정제 및 액화 방지 장치
Braxenholm By-product hydrogen to fuel cell vehicles
JP2010280535A (ja) 水素製造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Moral Real et al. Hydrogen recovery from coke oven gas. Comparative analysis of technical alternatives
WO2009064169A2 (en) Compact pressure swing adsorption system for hydrogen purification
Bhadra et al. Sour pressure swing adsorption process
WO2014006367A1 (en) Detecting contaminants in catalytic process 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