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2350B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2350B1
KR101192350B1 KR20100079446A KR20100079446A KR101192350B1 KR 101192350 B1 KR101192350 B1 KR 101192350B1 KR 20100079446 A KR20100079446 A KR 20100079446A KR 20100079446 A KR20100079446 A KR 20100079446A KR 101192350 B1 KR101192350 B1 KR 101192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ood
cooking
cooking chamber
position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79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6912A (ko
Inventor
손창현
변준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79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2350B1/ko
Publication of KR20120016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6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35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실 내부를 승온시키는 가열부와, 상기 조리실에 안착되고, 음식물이 놓여지기 전 상기 조리실 내부에서 음식물이 놓이는 위치를 플레이트 팬을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조절하는 위치조절부가 구비된 플레이트 팬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열을 제공받아 구워지는 인도의 전통음식인 얇고 넓은 음식물을 대량으로 손쉽게 요리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A cooker}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열을 제공받아 구워지는 얇고 넓은 음식물을 대량으로 손쉽게 요리할 수 있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조리물을 수납하여 밀폐한 후, 조리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전통적인 조리방식을 대체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전기밥솥 등이 개발되어 전통적인 방식인 외부의 가열원을 통해 가마솥에서 밥을 짓는 방식을 대체하고 있다. 또한 인도의 경우, 인도의 주식인 로티(roti)를 조리기기에서 조리하도록 개발 중에 있다.
로티(roti)는 밀가루를 반죽하여 둥글고 얇게 만들어 구운 빵의 총칭으로, 차파티(Chapati)와 난(Nan)과 푸리(Puri) 및 이들의 변형들을 총칭한다. 로티를 조리하는 전통적인 방식은 밀가루를 얇고 넓게 반죽하여 철판 등에 올린 후, 인도식 전통화덕인 탄두르(tandoor)에 밀가루가 올려진 철판을 넣어 가열시키는 방식이다. 탄두르에서 철판이 가열되면, 철판위에 올려진 밀가루가 구워지면서 로티가 만들어진다.
이때, 밀가루와 접촉하고 있는 철판의 온도는 200℃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어야 하므로, 철판의 가열온도를 고온으로 유지해야 하는 점이 중요하다. 또한, 이러한 로티를 전통의 방식으로 만들어 내기 위하여는 탄두르의 온도가 철판에 전달되도록 고온으로 일정하게 유지해야 하므로, 도시적인 생활양식에서 탄두르의 온도를 유지하기에는 공간상의 제약이 크다.
또한, 로티를 굽는 과정에서 로티 내부의 수분이 빠져나가는 경우에는 로티의 식감이 전통방식과 다른 딱딱한 과자와 같이 만들어지므로, 로티 내부의 수분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인도의 주식인 로티와 같이 얇고 넓은 조지물을 한꺼번에 대량으로 요리함과 아울러, 기존 전통방식의 식감을 잃지 않도록 요리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실 내부를 승온시키는 가열부와, 상기 조리실에 안착되고, 음식물이 놓여지기 전 상기 조리실 내부에서 음식물이 놓이는 위치를 플레이트 팬을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조절하는 위치조절부가 구비된 플레이트 팬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 내부에 복수개의 로티를 한꺼번에(적어도 4개 이상) 요리할 수 있는 복수개의 플레이트 팬으로 이루어진 플레이트 팬 조립체를 구비함으로써, 조리자의 조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 내부에 조리를 위해 놓이는 음식물의 위치를 플레이트 팬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위치조절부에 의하여 골고루 가열부로부터 음식물에 열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도 전통음식인 로티의 전통식감을 유지시킬 수 있어 소비자의 감성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복수의 플레이트 팬 조립체를 플레이트 팬이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지그재그식으로 조리실에 넣은 후 조리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많은 로티를 구워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플레이트 팬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a는 도 1의 구성 중 위치조절부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1의 구성 중 위치조절부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구성 중 적어도 2개의 플레이트 팬 조립체를 플레이트 팬이 지그재그식으로 위치되도록 한 모양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플레이트 팬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조리기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써,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플레이트 팬 조립체(2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1)과, 캐비닛(101)의 내부에 배치되고 조리실이 내부에 개구되어 형성된 하우징(103)과, 하우징(103)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105)와, 캐비닛(101)에 구비되어 조리기기(100)를 제어하는 컨트롤 패널(120)이 구비된다.
캐비닛(101)은 조리기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음식물(160)과 같은 조리 대상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하우징(103)은 캐비닛(101)에 비해 축소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내부가 비어 있도록 형성되어 조리실을 형성한다., 하우징(103)에 형성된 조리실은 조리물이 조리되는 장소이며, 사용자가 조리실 내부로 조리물을 반입 및 반출시킬 수 있다.
도어(105)는 하우징(103)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도어(105)는 하우징(103)의 일점과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조리실을 개폐한다. 도어(105)는 하우징(103)의 가로축 또는 세로축 중 어느 하나의 축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105)는 하우징(103)의 가로축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주의하여야 한다.
도어(105)가 조리실을 폐쇄한 상태에서 외부의 사용자가 조리실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글라스(107)가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20)은 캐비닛(101)의 일측에 구비된다. 컨트롤 패널(120)은 도어(105)와 간섭되지 않은 위치에 배치되며, 도어(105)가 하우징(103)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됨에 따라 하우징(103)의 상측인 캐비닛(101)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20)에는 조리기기(100) 동작 전반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0)와 조리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명령을 입력하는 조작부(140)가 구비된다.
하우징(103)에는 조리실에 열을 공급하여 조리실에 반입된 조리물이 조리되도록 하는 가열부(110)가 구비된다. 가열부(110)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우징(103)에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우징(103)과 캐비닛(101)의 사이에 구비되어 조리실에서 감추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조리실의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으며, 조리실의 내측면 모두에 구비될 수 있음도 당연하다. 이하에서는, 조리실의 내측면 중 상측면 하측면 및 좌우측면에 가열부(110)가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주의하여야 한다.
가열부(110)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기를 공급하면 발열되는 전기히터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여기서, 전기히터에는 저항열을 이용한 일반히터 또는 할로겐을 이용한 할로겐 히터가 채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언급하지 않았으나 전기를 공급하면 발열되는 모든 히터를 다 포함한다.
가열부(110)는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고주파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으로 구비되어, 마그네트론에서 발진되는 고주파(마이크로 웨이브)가 음식물(160)에 조사되어 음식물(160)의 분자가 진동됨에 따라 조리물이 조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가열부(110)가 전기히터로 구비되어 상측에 구비되는 상부히터(111)와,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히터(115)와, 좌우측에 구비되는 좌우측히터(113)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한편, 조리실의 하부에는 가열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열을 음식물(160)이 골고루 전달받도록 하기 위하여 조리 대상 음식물(160)을 회전시키는 회전 트레이(145, 도 6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 트레이(145)는 판상으로써 회전이 용이하도록 원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회전 트레이(145)는 요리하는 사용자에 의하여 외부로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회전 트레이(145)에 의하여 가려지는 조리실의 하부에는 회전 트레이(145)를 회전 구동시키는 트레이 구동부(15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음식물(160)을 회전시키기 위해 반드시 회전 트레이(145)가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 중 아래에서 설명할 플레이트 팬 조립체(200)의 주요 구성인 받침 플레이트(210)를 회전 트레이(145)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대체 가능하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관련 부분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이트 팬 조립체(200)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조리실에 안착되고, 음식물(160)이 놓여지기 전 조리실 내부에서 음식물(160)이 놓이는 위치를 플레이트 팬(220)을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조절하는 위치조절부(235,239)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플레이트 팬 조립체(200)는, 조리를 위하여 음식물(160)이 놓이는 복수개의 플레이트 팬(220)과,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 팬(220)을 연결하는 연결 로드(230)와, 상기 연결 로드(230)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 팬(220)을 연결할 때 상기 조리실 내부에서 음식물(160)이 놓이는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235,239)를 포함한다.
즉, 위치조절부(235,239)는, 음식물(160)이 놓이는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 팬(220) 각각을 상기 연결 로드(230)를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가열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열이 음식물(160) 각각에 골고루 전달되도록 조리실 내의 위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도 3a는 도 1의 구성 중 위치조절부의 제1실시예(235,239)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1의 구성 중 위치조절부의 제2실시예(230b,240)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여기서, 위치조절부(235,239,230b,240)는, 도 3a 및 도 3b에 참조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연결 로드(230)는 복수개의 플레이트 팬(220)의 구비된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되, 플레이트 팬(220)은 연결 로드(230)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위치조절부(235,239)는, 연결 로드(230)의 상단부에 다른 연결 로드(230)의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삽입 홀(215,233)이 형성된다. 삽입 홀(215,233)은 다른 연결 로드(230)의 하단부인 삽입단(231)이 삽입되기 위한 곳으로써, 그 삽입이 용이하도록 삽입단(231)은 다른 부분보다 외경이 작도록 단차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연결 로드(230) 및 복수개의 플레이트 팬(220)을 하반부에서 지지하는 받침 플레이트(210)에는 연결 로드(230)가 설치되는 설치 로드(213)가 형성될 수 있고, 설치 로드(213)는 보강을 위하여 둘레를 따라 보강 리브(217)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 삽입 홀(215,233), 즉 연결 로드(230)의 상단부에는 내주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복수개의 위치조절 홈(219)이 형성된다. 위치조절 홈(219)은 삽입 홀(215,233)의 내외부를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 위치조절 홈(219)에는 연결 로드(230)의 하단부에 외부로 탄성 돌출되게 위치조절 돌기(235)가 형성되어, 각각의 연결 로드(230)의 연결시 위치조절 돌기(235)가 위치조절 홈(219)에 삽입됨으로써 플레이트 팬(220)의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위치조절 돌기(235)는 삽입 홀(215,233)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밀면 밀림되어 위치조절 홈(219)으로부터 이탈되어 연결 로드(230)를 회전시킬 때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바뀌게 되어 플레이트 팬(220)의 위치를 재조정할 수 있다.
즉, 조리실 내에 가열부(110)가 상측, 하측 및 좌우측면에 배치되어 음식물(160)을 조리하기에 충분한 열을 공급하는 경우라도, 같은 조리실 내의 공간에 플레이트 팬(220)이 상하로 겹쳐지도록 적층 배열될 경우에는 가운데 부분에 배치되는 플레이트 팬(220)의 경우 다른 부분의 플레이트 팬(220)에 비하여 전도열과 대류열 및 복사열이 적게 공급될 수 있어서 같은 조리실 내의 음식물(160) 조리의 경우라도 불균일한 열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100)의 일 구성 중 위치조절부(235,239)는 상술한 바와 같은 조리실 내의 음식물(160)에 공급되는 열의 불균일함을 일거에 해소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즉, 간단하게 위치조절부(235,239)를 이용하여 플레이트 팬(220)을 연결 로드(230)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가열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열을 균일하게 분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위치조절부(235,239)가 상술한 실시예(제1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주의하여야 한다. 도 3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위치조절부는 제2실시예(230b,240)로써 구현될 수 있다.
제2실시예로 구현되는 위치조절부(230b,240)는, 연결 로드(230)의 외주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위치조절 홈(230b)과, 연결 로드(230)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복수개의 위치조절 홈(230b)을 차폐하도록 결합된 결합 링(230a)과, 결합 링(230a)에 플레이트 팬(220)이 결합되도록 플레이트 팬(220)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결합 링(230a)을 관통하여 위치 조절홈(230b)에 삽입되는 결합단부(240)와, 결합단부(240)에 개재되어 위치조절 홈(230b)으로 결합단부(240)를 탄성적으로 삽입시키는 탄성부재(250)를 포함한다.
여기서, 탄성부재(250)는, 일단부가 결합단부(240)의 선단부를 지지하고, 타단부가 결합 링(230a)의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결합단부(240)의 외주면에 개재될 수 있다. 이때, 결합단부(240)의 선단부에는 탄성부재(250)가 상기 결합단부(240)의 외주면에 개재될 때 걸림되는 걸림단(24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2실시예(230b,240)로 구현되는 위치조절부는, 결합 링(230a)이 형성된 플레이트 팬(220)을 외측으로 잡아당기면, 결합단부(240)가 고정된 위치조절 홈(230b)으로부터 이탈되어 연결 로드(230)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변경되고, 사용자는 적절한 위치를 찾은 후 다시 플레이트 팬(220)을 놓게 되면 탄성부재(250)의 복원력에 의하여 원하는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조절 홈(230b)으로 결합단부(240)가 삽입 고정되어 조리실 내의 음식물(160)이 놓이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로 구성된 플레이트 팬 조립체(200)는 조리실 내부에 단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 때에는, 상부에서 관찰할 경우 상측 가열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열이 균일하게 개개의 플레이트 팬(220)에 공급되도록 연결 로드(23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 위치시킴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단수개의 플레이트 팬 조립체(200)로 구비될 필요는 없고, 조리시 반드시 개개의 플레이트 팬(220)을 연결 로드(230)를 중심으로 방사상 배열시킬 필요는 없다.
즉, 본 발명의 요지는, 플레이트 팬(220)을 연결 로드(230)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을 통해 조리실 내부에서 조리되는 음식물(16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는 것이지, 플레이트 팬(220)의 방사상 배열인지 여부는 수많은 실시예들 중 하나일 뿐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100)의 조리실 내부의 설치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조리실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 트레이(145)에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100)의 주요 구성인 플레이트 팬 조립체(200)를 단수개 안착시킨다.
한편, 회전 트레이(145)에 플레이트 팬 조립체(200)를 안착시키기 전에 사용자는 미리 플레이트 팬 조립체(200)의 개개 플레이트 팬(220)을 연결 로드(230)에 연결시키면서 조리실 내에 위치될 음식물(16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선 조정할 수 있다.
특히, 도 3a에 참조된 바와 같은 제1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팬 조립체(200)의 경우에는, 받침 플레이트(210)의 상부로 돌출된 연결 로드(230)에 형성된 위치조절 홈(219)에 다른 연결 로드(230)의 하단부를 삽입 홀(215,233)을 통하여 삽입 연결하면서 위치조절 돌기(235)를 이용하여 플레이트 팬(220)의 위치를 조정한다. 그 위에 연결되는 연결 로드(230) 및 플레이트 팬(220)도 동일한 과정으로 방사상 연결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도 3b에 참조된 바와 같은 제2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팬 조립체(200)의 경우에는, 받침 플레이트(210)와 연결 로드(230)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바, 연결 로드(2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플레이트 팬(220)을 외측으로 이동시켜 위치조절 홈(230b)으로부터 결합단부(240)가 이탈되도록 한 후 플레이트 팬(220)의 위치를 재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플레이트 팬(220)이 위치되도록 조정한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회전 트레이(145)가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받침 플레이트(210)의 하부면 하방으로 돌출되고, 그 하부에 배치된 트레이 구동부(150)의 모터 축과 직접 연결시키는 연결부(153)가 형성된 경우, 받침 플레이트(210)를 직접 트레이 구동부(150)의 모터 축(151)과 연결부(153)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받침 플레이트(210)가 회전 트레이(145)를 대체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조리실 내부에 반드시 단수개의 플레이트 팬 조립체(200)를 수용시켜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조리실 내부의 수용 용적이 넓은 경우에는, 보다 많은 음식물(160)의 조리를 위하여 플레이트 팬 조립체(200)를 조리실 내부로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조리실 내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가열부(110)로부터 균등한 조리 열이 공급되도록 플레이트 팬(220)은 상하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채로 지그재그식으로 교차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조리기기 101: 캐비닛
103: 하우징 105: 도어
107: 글라스 110: 가열부
120: 컨트롤 패널 130: 디스플레이부
140: 조작부 145: 회전 트레이
150: 트레이 구동부 151: 모터 축
153: 연결부 200: 제1실시예
210: 받침 플레이트 213: 설치 로드
215, 233: 삽입 홀 217: 보강 리브
219: 위치조절 홈 220: 플레이트 팬
230: 연결 로드 231: 삽입단
235: 위치조절 돌기 240: 결합단부
250: 탄성부재

Claims (8)

  1.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실 내부를 승온시키는 가열부와;
    상기 조리실에 안착되고, 음식물이 놓여지기 전 상기 조리실 내부에서 음식물이 놓이는 위치를 플레이트 팬을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조절하는 위치조절부가 구비된 플레이트 팬 조립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팬 조립체는,
    조리를 위하여 음식물이 놓이는 복수개의 상기 플레이트 팬과;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 팬을 연결하는 연결 로드와;
    상기 연결 로드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 팬을 연결할 때 상기 조리실 내부에서 음식물이 놓이는 위치를 조절하는 상기 위치조절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 로드는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 팬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되, 상기 플레이트 팬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연결 로드의 상단부에 다른 연결 로드의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 홀과;
    상기 삽입 홀의 내주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위치조절 홈과;
    상기 연결 로드의 하단부에 외부로 탄성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위치조절 홈에 삽입되는 위치조절 돌기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삽입 홀에 삽입되는 상기 연결 로드의 삽입단은 다른 부분보다 외경이 작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조리기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 홈은 상기 삽입 홀의 내외부를 관통 형성된 조리기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연결 로드의 외주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위치조절 홈과;
    상기 연결 로드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복수개의 위치조절 홈을 차폐하도록 결합된 결합 링과;
    상기 결합 링에 상기 플레이트 팬이 결합되도록 상기 플레이트 팬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 링을 관통하여 상기 위치 조절홈에 삽입되는 결합단부와;
    상기 결합단부에 개재되어 상기 위치조절 홈으로 상기 결합단부를 탄성적으로 삽입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결합단부의 선단부를 지지하고, 타단부가 상기 결합 링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조리기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결합단부의 선단부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결합단부에 개재될 때 걸림되는 걸림단이 형성된 조리기기.



KR20100079446A 2010-08-17 2010-08-17 조리기기 KR101192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79446A KR101192350B1 (ko) 2010-08-17 2010-08-17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79446A KR101192350B1 (ko) 2010-08-17 2010-08-17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912A KR20120016912A (ko) 2012-02-27
KR101192350B1 true KR101192350B1 (ko) 2012-10-18

Family

ID=45839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79446A KR101192350B1 (ko) 2010-08-17 2010-08-17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23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1308U (ja) 1982-03-01 1983-09-05 宮脇 一美 ガスオ−ブン
JP2000510644A (ja) 1997-12-12 2000-08-15 サムソ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電子レンジ用スピット装置
KR100752766B1 (ko) 2006-12-29 2007-08-29 송재창 급속 구이부를 갖는 다단 회전식 바베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1308U (ja) 1982-03-01 1983-09-05 宮脇 一美 ガスオ−ブン
JP2000510644A (ja) 1997-12-12 2000-08-15 サムソ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電子レンジ用スピット装置
KR100752766B1 (ko) 2006-12-29 2007-08-29 송재창 급속 구이부를 갖는 다단 회전식 바베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912A (ko) 2012-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7204B2 (en)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793797B1 (ko) 히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CN110022733B (zh) 用于烹饪食物的自动化设备及其相应的方法
AU2015242665B2 (en) Stirring and cooking assembly and cooking equipment including same
RU2418244C2 (ru) Печь
KR101192349B1 (ko) 조리기기
US8796595B2 (en) Electrothermal heating cooker
US20200060470A1 (en) Automated oven appliance for baking and broiling food
KR101192350B1 (ko) 조리기기
KR101804887B1 (ko) 오븐 제빵기
KR20120016917A (ko) 조리기기
KR101203577B1 (ko) 조리기기
KR101192352B1 (ko) 조리기기
US20240148042A1 (en)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of operating a cooking appliance for roasting coffee beans
KR20160000245A (ko) 멀티 전기오븐
KR20140128651A (ko) 조리 기기
CN218942969U (zh) 一种烹饪设备
KR20120016913A (ko) 조리기기
KR100789832B1 (ko) 조리기기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KR101233212B1 (ko) 조리기기
KR200390575Y1 (ko) 전자레인지의 회전식 히터시스템
KR101144814B1 (ko) 조리기기
KR100685987B1 (ko) 전자 레인지
KR100676530B1 (ko) 전기오븐의 오븐부 구조
CA2621984C (en) Cooking appliance having a broiling element with loops of non-uniform leng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