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2237B1 - 막걸리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막걸리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2237B1
KR101192237B1 KR1020100085073A KR20100085073A KR101192237B1 KR 101192237 B1 KR101192237 B1 KR 101192237B1 KR 1020100085073 A KR1020100085073 A KR 1020100085073A KR 20100085073 A KR20100085073 A KR 20100085073A KR 101192237 B1 KR101192237 B1 KR 101192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kgeolli
container
liquid
carbon dioxi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5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1039A (ko
Inventor
강희용
Original Assignee
석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석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5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2237B1/ko
Publication of KR20120021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1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0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1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mix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99Temperature control
    • B67D2210/00104Cooling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16Adapted for dispensing high viscosity products
    • B67D2210/00163Agit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5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dispensing valves actuated by the receptacle to be fil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막걸리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써, 2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수용통의 양측 내부에 각각 진공상태인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수용통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막걸리가 상기 수용통의 외부공기와 열교환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수용통의 외주연에 결로가 발생되는 현상 또한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냉각부의 냉각코일을 통해 상기 수용통의 내부에 수용되는 액상의 막걸리의 하단에서 상단까지 균일하게 냉각온도를 발생 및 유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수용통의 외부온도에 의해 상기 수용통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막걸리가 변질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막걸리 디스펜서{DISPENSER FOR KOREAN RAW RICE WINE}
본 발명은 2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수용통의 양측 내부에 각각 진공상태인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수용통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막걸리가 상기 수용통의 외부공기와 열교환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수용통의 외주연에 결로가 발생되는 현상 또한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냉각부의 냉각코일을 통해 상기 수용통의 내부에 수용되는 액상의 막걸리의 하단에서 상단까지 균일하게 냉각온도를 발생 및 유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수용통의 외부온도에 의해 상기 수용통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막걸리가 변질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막걸리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펜서의 형상은 사각구조로 형성되는데, 이는 냉각봉과 임펠라의 위치에 따라 일부의 차이가 있으나, 적정온도의 유지 및 외부온도의 상승시 수용통의 모퉁이 즉, 각이진곳부터 액상이 변질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사각구조의 상기 수용통은 임펠라를 회전시킴에도 불구하고, 모퉁이 및 냉각봉의 상층부 쪽에 위치한 액상이 냉각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외부 온도상승시 급격히 액상온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사각구조의 상기 수용통의 문제점을 보완한 디스펜서로써 SUS타입으로 제작된 밀폐형 구조의 디스페선서가 제안된바 있으나, 이는 상기 수용통내의 냉각 온도를 유지, 보존하는데는 효과가 있으나, SUS 표면에 감아있는 동관에서 과도한 얼음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수용통의 내부에 수용되는 액상의 막걸리의 하단에서 상단까지 균일하게 냉각온도를 발생 및 유지시키고 상기 수용통의 외부온도에 의해 상기 수용통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막걸리가 변질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막걸리 디스펜서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2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수용통의 양측 내부에 각각 진공상태인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수용통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막걸리가 상기 수용통의 외부공기와 열교환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수용통의 외주연에 결로가 발생되는 현상 또한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냉각부의 냉각코일을 통해 상기 수용통의 내부에 수용되는 액상의 막걸리의 하단에서 상단까지 균일하게 냉각온도를 발생 및 유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수용통의 외부온도에 의해 상기 수용통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막걸리가 변질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막걸리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액상의 막걸리가 수용되고, 하부면에 액상의 막걸리를 배출하는 출수구가 형성되며, 양측 내부에 각각 상하측이 폐쇄된 진공상태인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2중구조로 이루어지는 수용통과; 상기 수용통내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통내에 수용된 액상의 막걸리를 냉각시키는 냉각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각부와; 상기 수용통의 출수구를 개폐하는 밸브와; 상기 수용통의 내부에 축결합되는 임펠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용통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막걸리를 교반하는 교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걸리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통의 바닥면은 상기 출수구 방향으로 하향경사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용통의 상부에는 유입구 및 공기배출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수용통의 내부로 탄산가스를 주입하는 탄산가스주입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밸브의 개방을 감지하는 감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감지부가 상기 밸브의 개방상태를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탄산가스주입부가 상기 수용통의 내부로 탄산가스를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2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수용통의 양측 내부에 각각 진공상태인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수용통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막걸리가 상기 수용통의 외부공기와 열교환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수용통의 외주연에 결로가 발생되는 현상 또한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냉각부의 냉각코일을 통해 상기 수용통의 내부에 수용되는 액상의 막걸리의 하단에서 상단까지 균일하게 냉각온도를 발생 및 유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수용통의 외부온도에 의해 상기 수용통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막걸리가 변질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통의 바닥면이 상기 수용통의 출수구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기 때문에 상기 수용통의 바닥면에 잔여물 없이 상기 출수구를 통해 상기 수용통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막걸리가 배출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수용통의 청소를 간편하게 행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수용통의 위생관리 또한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수용통의 상부에 유입구 및 공기배출구가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수용통의 내부에 액상의 막걸리를 보다 빠른 시간내에 신속하게 재충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탄산가스주입부가 상기 수용통의 내부로 주입하는 탄산가스로 인해 액상의 막걸리에 함유된 혐기성 효소 등의 발효를 보다 용이하게 유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액상의 막걸리에 함유된 효소가 호기성으로 변화하는 것을 억제하여 액상의 막걸리의 고유의 맛 또한 유지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액상의 막걸리의 유통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밸브의 개방을 감지하는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탄산가스주입부가 상기 수용통의 내부로 탄산가스를 공급하기 때문에 상기 수용통의 내부로 탄산가스를 보다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막걸리 디스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본체에서 수용통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수용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4는 본체의 내부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6은 수용통의 바닥면이 출수구 방향으로 하향경사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고,
도 7은 수용통의 내부로 탄산가스를 주입하는 탄산가스주입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냉각코일과 수용통의 높이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막걸리 디스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본체(10)에서 수용통(30)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수용통(3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4는 본체(10)의 내부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막걸리 디스펜서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 수용통(30), 냉각부(50), 밸브(70), 교반부(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온도센서(도 4의 100) 및 제어부(도 5의 1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본체(10)는 지면에 안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용통(30)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용통(30)의 하단부는 개방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상기 수용통(30)의 하단부는 도 2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타측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될 수 있다.
상기 수용통(30)의 내부에는 사용자에 의해 액상의 막걸리(도 4의 3)가 일정높이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수용통(30)의 하부면 타측에는 상기 수용통(30)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막걸리(3)를 배출하는 출수구(도 4의 31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타측 상부면에는 상기 본체(10)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끼움부(10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102)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수용통(30)의 하단부 내측에 끼움고정될 수 있다.
상기 수용통(30)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막걸리(3)가 상기 수용통(30)의 하단부 외측방향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끼움부(102)의 외주연에는 상기 수용통(30)의 내주연과 접하는 고무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오링(20)이 구비되는 것이 좋다.
나아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통(30)의 양측 내부에 상하측이 폐쇄된 저압의 진공상태인 공간(320)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통(30)은 2중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용통(30)이 2중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수용통(30)은 내측 수용통(31)과; 상기 내측 수용통(31)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내측 수용통(31)의 외측에 형성되는 외측 수용통(3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수용통(31)과 상기 외측 수용통(33) 사이에 상하측이 폐쇄된 저압의 진공상태인 상기 공간(320)이 형성될 수 있다.
진공상태인 상기 공간(320)으로 인해 상기 수용통(30)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막걸리(3)가 상기 수용통(30)의 외부공기와 열교환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냉각부(50)는 상기 수용통(30)내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통(30)내에 수용된 액상의 막걸리(3)를 냉각시키는 냉각코일(5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각부(5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냉각코일(510)과; 상기 본체(1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고온고압의 냉매를 배출하는 공지된 압축기(53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530)에서 배출하는 고온고압의 냉매를 응축 액화한 후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냉각코일(510)내로 응축 액화한 냉매를 공급하는 공지된 응축기(5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밸브(70)는 상기 수용통(30)의 출수구(310)와 연통되도록 상기 수용통(30)의 하부면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브(70)의 레버(710)는 사용자에 의해 좌우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수용통(30)의 출수구(310)와 연통되는 상기 밸브(70)를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밸브(70)는 국내등록특허공보 출원번호 10-2002-0039407호 등을 통해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교반부(90)는 상기 수용통(30)의 내부에 축결합되는 임펠러(9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교반부(90)는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수용통(30)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막걸리(3)를 교반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교반부(90)는 상기 임펠러(910)와; 상기 임펠러(910)를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9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910)는 축(911)과 회전날개(9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설명의 편의상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구동모터(930)는 상기 끼움부(102)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10)의 타측 상부 내부에 수직으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930)의 구동축(931)은 상기 끼움부(102)의 중심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기 임펠러(910)의 축(911) 하단부와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930)의 구동축(931)이 정역회전할 시 상기 축(911)과 상기 회전날개(913)는 상기 구동모터(930)의 구동축(931)을 따라 정역회전하여 상기 수용통(30)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막걸리(3)를 교반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온도센서(100)는 상기 수용통(30)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막걸리(3)의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도 5는 제어부(130)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3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온도센서(100)의 측정온도값을 근거로 상기 냉각부(50)와 상기 교반부(90)를 제어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어부(130)에 기설정된 기준온도값과 상기 온도센서(100)의 측정온도값을 비교하여 상기 냉각부(50)와 상기 교반부(9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100)의 측정온도값이 상기 제어부(130)에 기설정된 기준온도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전원공급부(13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냉각부(50)와 상기 교반부(90)가 작동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온도센서(100)의 측정온도값이 상기 제어부(130)에 기설정된 기준온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냉각부(50)와 상기 교반부(90)의 작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도 6은 수용통(30)의 바닥면(301)이 출수구(310) 방향으로 하향경사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통(30)의 바닥면(301)은 상기 출수구(310) 방향으로 하향경사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수용통(30)의 바닥면(301)은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도 5의 실선화살표 참조.) 상기 출수구(310) 방향으로 일정각도(도 6의 α참조.)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수용통(30)의 바닥면(301)이 상기 수용통(30)의 출수구(310)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기 때문에 상기 수용통(30)의 바닥면(301)에 잔여물 없이 상기 출수구(310)를 통해 상기 수용통(30)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막걸리(3)가 배출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사용자가 상기 수용통(30)의 청소를 간편하게 행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수용통(30)의 위생관리 또한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통(30)의 상부에는 유입구(330) 및 공기배출구(350)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통(30)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는 상기 수용통(30)의 내부와 각각 연통되는 유입관(340)과 공기배출관(360)이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330)는 상기 유입관(34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구(350)는 상기 공기배출관(36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340)과 상기 공기배출관(360)에는 상기 유입관(340)과 상기 공기배출관(360)을 감싼 상태로 사용자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상기 유입관(340)과 상기 공기배출관(360)에 각각 끼움고정되어 상기 유입관(340)의 상측과 상기 공기배출관(360)의 상측을 개폐하는 마개(341, 361)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유입구(330)를 통해 상기 수용통(30)의 내부에 액상의 막걸리(3)를 일정높이로 재충진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수용통(30)내의 공기는 상기 공기배출구(350)를 통해 상기 수용통(3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330)의 내경크기는 상기 공기배출구(350)의 내경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통(30)의 상부에 상기 유입구(330) 및 공기배출구(350)가 구비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수용통(30)의 내부에 액상의 막걸리(3)를 보다 빠른 시간내에 신속하게 재충진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유입관(340)에서 상기 마개(341)가 사용자에 의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유입관(340)내에는 액상의 막걸리(3)가 수용된 별도의 벌크통의 주입구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벌크통은 유통시에 발효가 일어나 상기 벌크통 내에 CO2가 발생되어 상기 벌크통이 폭발할 우려가 높기 때문에 상기 벌크통에는 CO2 배출할 수 있는 별도의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수용통(30)의 내부로 탄산가스를 주입하는 탄산가스주입부(4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통(30)의 내부로 탄산가스를 주입하는 탄산가스주입부(40)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탄산가스주입부(40)는 탄산가스수용통(410), 연결호스(430) 및 솔레노이드밸브(4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산가스수용통(410)의 내부에는 탄산가스가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연결호스(430)의 타단부는 상기 공기배출관(360)과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용통(30)의 상부면 타측에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호스(430)의 일단부는 상기 탄소가스수용통(410)의 타측면에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50)는 상기 연결호스(430)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연결호스(430)의 일단부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탄산가스주입부(40)가 상기 수용통(30)의 내부로 주입하는 탄산가스로 인해 액상의 막걸리(3)에 함유된 혐기성 효소 등의 발효를 보다 용이하게 유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액상의 막걸리(3)에 함유된 효소가 호기성으로 변화하는 것을 억제하여 액상의 막걸리(3)의 고유의 맛 또한 유지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액상의 막걸리(3)의 유통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밸브(70)의 개방을 감지하는 감지부(60)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감지부(60)는 상기 밸브(70)의 개방상태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탄산가스주입부(40)는 상기 수용통(30)의 내부로 탄산가스를 주입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60)는 자석(610)과 홀센서(6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석(610)은 상기 밸브(70)의 레버(710)의 하단부 일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홀센서(630)는 상기 본체(10)의 타측면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브(70)의 레버(710)가 상기 밸브(70)를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상기 밸브(70)의 레버(710)의 하단부가 상기 본체(10)의 타측면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되면,
상기 자석(610)과 상기 홀센서(630)는 서로 가까워지게 됨과 동시에 상기 홀센서(630)는 상기 자석(610)의 자력을 감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탄산가스주입부(40)의 솔레노이드밸브(450)가 상기 연결호스(430)를 개방하도록 제어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탄산가스수용통(410) 내에 충진된 탄산가스가 상기 수용통(3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밸브(70)의 개방을 감지하는 상기 감지부(6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탄산가스주입부(40)가 상기 수용통(30)의 내부로 탄산가스를 공급하기 때문에 상기 수용통(30)의 내부로 탄산가스를 보다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8은 냉각코일(510)과 수용통(30)의 높이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냉각코일(510)이 상기 수용통(30)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막걸리(3)를 보다 균일하게 냉각시킬 수 있도록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냉각부(50)의 냉각코일(510)의 높이(h1)는 상기 수용통(30)의 높이(h2)의 1/2 ~ 3/4인 것이 좋다.
상기 냉각부(50)의 냉각코일(510)의 높이(h1)가 상기 수용통(30)의 높이(h2)의 1/2 ~ 3/4이기 때문에 상기 냉각코일(510)이 상기 수용통(30)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막걸리(3)를 보다 균일하게 냉각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냉각코일(510)이 상기 수용통(30)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막걸리(3)를 보다 더욱 높은 효율로 균일하게 냉각시킬 수 있도록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냉각부(50)의 냉각코일(510)의 피치(p)가 15mm ~ 30mm인 것이 좋다.
상기 냉각부(50)의 냉각코일(510)의 피치(p)가 15mm ~ 30mm이기 때문에 상기 냉각코일(510)이 상기 수용통(30)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막걸리(3)를 보다 더욱 높은 효율로 균일하게 냉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냉각코일(510)의 청소 또한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교반부(90)의 임펠러(910)의 구조는 상기 수용통(30)의 내부 하측에 수평으로 축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수용통(30)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막걸리(3)를 상기 수용통(30)의 내부 하측에서 내부 상측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순환시키면서 교반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임펠러(910)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축(911)과 상기 회전날개(9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축(911)은 상기 수용통(30)의 내부 중심부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축(911)의 하단부는 상기 교반부(90)의 구동모터(930)의 구동축(931)의 상단부와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날개(913)는 상기 축(911)의 하단부 외주연에 등간격으로 수평형성되어 상기 구동모터(930)의 구동축(931)을 따라 정역회전하는 상기 축(911)을 따라 정역회전하여 상기 수용통(30)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막걸리(3)를 교반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회전날개(913)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통(30)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막걸리(3)를 상기 수용통(30)의 내부 하측에서 내부 상측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순환(도 4의 점선 화살표 참조.)시키면서 교반할 수 있도록 상기 축(911)의 하단부 외주연에 등간격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교반부(90)의 임펠러(910)가 상기 수용통(30)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막걸리(3)를 상기 수용통(30)의 내부 하측에서 내부 상측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순환(도 4의 점선 화살표 참조.)시키면서 교반하기 때문에 상기 수용통(30)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막걸리(3)를 보다 더더욱 높은 효율로 균일하게 냉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액상의 막걸리(3)와 액상의 막걸리(3)에 부유하는 고형물(미도시)을 보다 더욱 원활하게 교반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상기 교반부(90)의 임펠러(910)의 축(911)은 상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축(911)에 상기 온도센서(100)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교반부(90)의 임펠러(910)의 축(911)이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축(911)에 상기 온도센서(100)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온도센서(100)가 상기 수용통(30)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막걸리(3)의 온도를 보다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특히,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온도센서(100)는 상기 축(911)에 상하방향으로 등간격으로 2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좋다.
나아가, 상기 온도센서(100)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축(911)에는 수위감지센서(110)가 상하방향으로 등간격으로 2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축(911)에 3개의 상기 온도센서(100)가 상하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구비된 것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고, 이를 각각 제 1, 2, 3온도센서(101, 103, 105)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100)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축(911)에 3개의 상기 수위감지센서(110)가 상하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구비된 것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고, 이를 각각 제 1, 2, 3수위감지센서(111, 113, 115)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2, 3수위감지센서(111, 113, 115) 모두가 액상의 막걸리(3)를 감지할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 1, 2, 3온도센서(101, 103, 105)가 각각 측정한 액상의 막걸리(3)의 측정온도값의 평균온도값을 연산함과 동시에 연산한 평균온도값과 상기 제어부(130)에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값을 비교하여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냉각부(50)와 교반부(9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2, 3수위감지센서(113, 115)가 액상의 막걸리(3)를 감지하게 될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 2, 3온도센서(103, 105)가 각각 측정한 액상의 막걸리(3)의 측정온도값의 평균온도값을 연산함과 동시에 연산한 평균온도값과 상기 제어부(130)에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값을 비교하여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냉각부(50)와 교반부(9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3수위감지센서(115)가 액상의 막걸리(3)를 감지하게 될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 3수위감지센서(115)가 측정한 액상의 막걸리(3)의 측정온도값과 상기 제어부(130)에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값을 비교하여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냉각부(50)와 교반부(9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100)가 상기 축(911)에 등간격으로 2개 이상 구비됨에 따라 상기 온도센서(100)가 상기 수용통(30)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막걸리(3)의 온도를 보다 더욱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기 수용통(30)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막걸리(3)의 온도를 측정하는 상기 온도센서(100)의 측정온도값을 근거로 상기 제어부(130)가 상기 냉각부(50)와 교반부(90)를 제어하기 때문에 상기 수용통(30)에 수용된 액상의 막걸리(3)를 냉각봉 없이 직접냉각방식으로 보다 빠른 시간내에 냉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액상의 막걸리(3)와 액상의 막걸리(3)에 부유하는 고형물(미도시)을 보다 용이하게 교반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수용통(30)에 재충진된 액상의 막걸리(3)를 냉각시키는 시간 또한 크게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수용통(30)의 외부온도가 상승하여도 냉각 상태인 액상의 막걸리(3)를 일정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액상의 막걸리(3)의 고유의 맛이 변질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2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상기 수용통(30)의 양측 내부에 각각 진공상태인 공간(320)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수용통(30)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막걸리(3)가 상기 수용통(30)의 외부공기와 열교환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수용통(30)의 외주연에 결로가 발생되는 현상 또한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냉각부(50)의 냉각코일(510)을 통해 상기 수용통(30)의 내부에 수용되는 액상의 막걸리(3)의 하단에서 상단까지 균일하게 냉각온도를 발생 및 유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수용통(30)의 외부온도에 의해 상기 수용통(30)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막걸리(3)가 변질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3; 막걸리, 10; 본체,
102; 끼움부, 20; 오링,
30; 수용통, 31; 내측수용통,
33; 외측수용통, 301; 바닥면,
310; 출수구, 320; 공간,
330; 유입구, 340; 유입관,
341, 361; 마개, 350; 공기배출구,
360; 공기배출관, 40; 탄산가스주입부,
50; 냉각부, 510; 냉각코일,
530; 압축기, 550; 응축기,
60; 감지부, 70; 밸브,
710; 레버, 90; 교반부,
910; 임펠러, 911; 축,
913; 회전날개, 930; 구동모터,
931; 구동축, 100; 온도센서,
101, 103, 105; 제 1, 2, 3온도센서,
110; 수위감지센서, 111, 113, 115; 제 1, 2, 3수위감지센서,
130; 제어부, 131; 전원공급부.

Claims (5)

  1.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액상의 막걸리(3)가 수용되고, 하부면에 액상의 막걸리(3)를 배출하는 출수구(310)가 형성되며, 양측 내부에 각각 상하측이 폐쇄된 진공상태인 공간(320)이 형성될 수 있도록 2중구조로 이루어지는 수용통(30)과;
    상기 수용통(30) 내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통(30) 내에 수용된 액상의 막걸리(3)를 냉각시키는 냉각코일(5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각부(50)와;
    상기 수용통(30)의 출수구(310)를 개폐하는 밸브(70)와;
    상기 수용통(30)의 내부에 축결합되는 임펠러(9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용통(30)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막걸리(3)를 교반하는 교반부(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통(30)의 내부로 탄산가스를 주입하는 탄산가스주입부(40)가 구비되고,
    상기 밸브(70)의 개방을 감지하는 감지부(60)가 구비되고,
    상기 감지부(60)가 상기 밸브(70)의 개방상태를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탄산가스주입부(40)가 상기 수용통(30)의 내부로 탄산가스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걸리 디스펜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통(30)의 바닥면(301)은 상기 출수구(310) 방향으로 하향경사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걸리 디스펜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통(30)의 상부에는 유입구(330) 및 공기배출구(3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걸리 디스펜서.
  4. 삭제
  5. 삭제
KR1020100085073A 2010-08-31 2010-08-31 막걸리 디스펜서 KR101192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073A KR101192237B1 (ko) 2010-08-31 2010-08-31 막걸리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073A KR101192237B1 (ko) 2010-08-31 2010-08-31 막걸리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039A KR20120021039A (ko) 2012-03-08
KR101192237B1 true KR101192237B1 (ko) 2012-10-18

Family

ID=46129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073A KR101192237B1 (ko) 2010-08-31 2010-08-31 막걸리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22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6770A1 (ko) * 2016-10-06 2018-04-12 (주)구츠 공기유입 및 수소가스 자동배출제어가 가능한 수소수 냉온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348B1 (ko) * 2016-09-06 2019-05-13 이상철 탄산조절장치가 구비된 순간냉각 디스펜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5340A (ja) * 1996-02-29 2000-05-09 エリーテ エッセ.エッレ.エッレ. 二重の金属壁部を有する保温性入れ物とその製造方法
JP2008001391A (ja) * 2006-06-22 2008-01-10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飲料ディスペン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5340A (ja) * 1996-02-29 2000-05-09 エリーテ エッセ.エッレ.エッレ. 二重の金属壁部を有する保温性入れ物とその製造方法
JP2008001391A (ja) * 2006-06-22 2008-01-10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飲料ディスペン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6770A1 (ko) * 2016-10-06 2018-04-12 (주)구츠 공기유입 및 수소가스 자동배출제어가 가능한 수소수 냉온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039A (ko) 201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33051B2 (ja) 有害な生物物質の増殖を防止するための、製氷機の水溜の排水
US1041313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f-cleaning blender system
US8516849B2 (en) Cooler and method for cooling beverage containers such as bottles and cans
US20230295541A1 (en) Keg cap integrated with yeast capsule, coupler for coupling keg cap integrated with yeast capsule, and beer-making device provided with same
CN101046345A (zh) 电冰箱
KR101192237B1 (ko) 막걸리 디스펜서
CN102261786B (zh) 冰箱
KR102289683B1 (ko) 냉장고
CN105486000B (zh) 冰箱及其控制方法
KR101502287B1 (ko) 수평 드럼형 제빙 장치
KR102193441B1 (ko) 냉장고
CN102997528B (zh) 冷藏库
KR101192236B1 (ko) 막걸리 디스펜서
KR200450662Y1 (ko) 막걸리의 침전물 혼합 및 공급장치
US8973389B2 (en) Mobile cooler with ice maker
KR20200078898A (ko) 먹는 물 공급기용 직냉장치
JP4972430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
KR20120021035A (ko) 막걸리 디스펜서
CN210922978U (zh) 一种袋装食品的检漏装置
KR20110125338A (ko) 막걸리의 침전물 혼합장치와 그 공급통
JP5052306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
US9702617B2 (en) Refrigerator appliance
CN220949504U (en) Collagen peptide solution preservation device
CN210103916U (zh) 一种食品发酵装置
KR102054137B1 (ko) 식음료용 급속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