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1887B1 - 우주환경에서 취식이 가능한 동결건조 미역국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우주환경에서 취식이 가능한 동결건조 미역국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1887B1
KR101191887B1 KR1020100037414A KR20100037414A KR101191887B1 KR 101191887 B1 KR101191887 B1 KR 101191887B1 KR 1020100037414 A KR1020100037414 A KR 1020100037414A KR 20100037414 A KR20100037414 A KR 20100037414A KR 101191887 B1 KR101191887 B1 KR 101191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eed
soup
broth
lyophilized
freez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7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7917A (ko
Inventor
이주운
송범석
김재훈
조원준
윤요한
최종일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37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1887B1/ko
Publication of KR20110117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7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88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2/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B2/5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 A23B2/503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with corpuscular or ionising radiation, i.e. X, alpha, beta or omega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2/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B2/9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2/92Freeze 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10Soup concentrates, e.g. powders or c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2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수에 미역 및 소금을 넣고 가열하여 미역국을 얻는 단계; 상기의 미역국으로부터 미역과 국물을 분리한 다음 분리된 미역 및 국물을 각각 동결건조하여 동결건조 미역 및 동결건조 국물 스프를 얻는 단계; 상기의 동결건조 미역, 동결건조 국물 스프에 후코이단을 넣고 혼합하는 단계; 상기의 혼합공정 후 방사선을 조사하고 진공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우주환경에서 취식이 가능한 동결건조 미역국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한 동결건조 미역국은 방사선 조사를 이용하여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우주환경 중 우주방사선에 대한 방호효과를 나타내며 뜨거운 물만 공급하면 바로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우주환경에서 취식이 가능한 동결건조 미역국 및 이의 제조방법{Freeze-dried seaweed soup consumable in aerospace environmen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우주환경에서 취식이 가능한 동결건조 미역국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사선 조사를 이용하여 무중력상태의 우주환경에서 안전하고 간편하게 취식할 수 있으며 섭취시 우주방사선으로부터 방호효과를 나타내는 동결건조 미역국의 제조방법 및 동 방법에 의해 제조한 동결건조 미역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주식품은 우주환경에 적합한 식품을 말하는데 우주공간이 지구와 가장 큰 차이점은 중력이 거의 없는 무중력 상태와 우주방사선이라 불리는 빛에너지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또한 우주선내에는 냉장고가 없어 온도의 변화가 심한 환경 하에서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여야 한다.
우주환경 중 무중력으로 인한 저기압으로 인하여 우주선 내에서 공급되는 최고높은 온도의 물은 70~80℃ 정도의 온도를 나타낸다. 이 때문에 동결건조와 같이 부피를 줄이기 위해 개발된 재수화형 우주식품들은 상기 온도의 물에도 빠른 시간 내에 복원되어야 한다. 또한, 우주방사선에 직접 노출은 생물의 돌연변이 발생률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식품에 존재하는 미생물에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아무리 우리 몸에 이로운 균이라 할지라도 우주방사선에 의한 돌연변이로의 전환 가능성이 있으며, 이로 인해 병원성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우주식품은 완전 무균상태로 제조되어야 한다고 권고되고 있다. 더불어 인체에 대한 우주방사선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우주식품의 저장기한은 임무의 특성 및 기간에 따라 최소 9개월에서 최대 5년 동안 저장 가능한 식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장기 저장을 위해 엄격한 미생물 규격을 준수하여야 한다.
국외 우주식품 개발 현황으로 미국의 경우 1995년 2월 26일 미국식품의약국(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은 항공우주국(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ASA)의 우주비행프로그램에서 사용할 냉동, 포장 식육의 방사선 조사를 승인하였으며, 이에 NASA는 미육군 Natick 기술연구소와 공동으로 식육의 멸균을 목적으로 방사선을 조사하여 우주식 스테이크 및 BBQ를 개발하였다. 러시아의 경우 방사선 조사선량에 대한 규정은 없으며 엄격한 미생물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또한 3개월간의 우주환경과 유사한 조건에서 저장기간에 따른 미생물 검사와 관능평가를 통해 최종적으로 우주선 탑재 가능성을 인증하게 된다.
방사선 조사에 의한 상업적 살균제품의 경우 포자형성균이 식품 g당 10 CFU(Colony forming Unit) 이하여야 하고 혐기성균은 식품 5g에서 검출되면 안 된다. 러시아의 우주식품 인증기관인 러시아 우주항공청 산하 생물의학연구소(Institute of Biomedical Problems, IBMP)가 제시하는 우주식품의 미생물 기준을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러시아 생물의학연구소가 제시한 우주식품의 미생물 기준
Food product Microorganism factor Limits Unit
Non-
thermostabilized
Total aerobic count 〈 20000 CFU/g
Coliform 〈 10 CFU/g
Coagluase positive Staphylococci negative CFU/g
Salmonella negative CFU/25g
Yeast and Molds 〈 50 CFU/g
Escherichia coli negative CFU/g
Bacillus cereus 〈 10 CFU/g
Thermostabilized
or irradiated
Sporogenic mesophilic bacillus 〈 10 CFU/g
Mesophilic anaerobes negative CFU/5g
Yeast and Fungi in items
with pH 4.2
negative CFU/2g
한편, 미생물 제어를 위한 방사선 식품조사(Food Irradiation) 기술은 감마선(Co-60 또는 Se-137), X-선 또는 전자선 등의 방사능 물질에서 나오는 에너지 즉, 이온화된 방사선 에너지를 0.01kGy~50kGy 조사선량으로 식품에 조사하는 것으로 식품의 발아 억제, 숙도 지연, 기생충 및 해충 구제, 부패 및 병원성 미생물의 살균 등에 이용된다.
종래에는 생활용품 및 식품의 멸균을 위해 에틸렌옥사이드와 같은 화학 훈증제들을 사용해 왔으나, 에틸렌옥사이드 훈증제는 인체에 치명적으로 해를 주고 환경을 파괴하는 것으로 알려져 현재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경제적인 효율성이 좋고 인체에 무해한 방사선 식품조사 방법을 활발히 이용하고 있다.
이상의 방사선 기술이 지닌 장점을 활용하여 미국우주항공국의 경우 미육군(Natick) 연구소와 공동으로 1960년대부터 우주 식품 개발에서 방사선 조사 기술을 핵심 기술로 하여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우주 공간에서 있을 수 있는 식품 유래 질환이 우주 비행사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기 때문에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가공법으로 방사선 조사 기술이 연구되고 있으며, 미생물 제어로 인한 위생 증진 효과뿐만 아니라 그 건전성 또한 입증되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우리나라 식품중에서 널리 섭취하고 있는 미역국에 대해 우주환경에서 취식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던 중 상기의 방사선 조사를 이용하여 무중력상태와 우주방사선의 우주환경에서 안전하고 간편하게 취식할 수 있는 동결건조 미역국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고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방사선 조사를 이용하여 동결건조 미역국을 제조함으로써 상기 방사선 조사에 의해 미역국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제어할 수 있어 안전하게 취식할 수 있으며 70℃의 온도의 물을 공급하면 5분 만에 미역국 형태로 복원되어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미역으로부터 추출한 후코이단을 첨가하여 우주방사선 방호 기능성을 부가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무중력과 우주방사선의 우주환경에서 안전하고 간편하게 취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중력상태와 우주방사선의 우주환경에서 안전하고 간편하게 취식할 수 있는 동결건조 미역국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중력상태와 우주방사선의 우주환경에서 안전하고 간편하게 취식할 수 있는 동결건조 미역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동결건조 미역국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육수에 미역 및 소금을 넣고 가열하여 미역국을 얻는 단계; 상기의 미역국으로부터 미역과 국물을 분리한 다음 분리된 미역 및 국물을 각각 동결건조하여 동결건조 미역 및 동결건조 국물 스프를 얻는 단계; 상기의 동결건조 미역, 동결건조 국물 스프에 후코이단을 넣고 혼합하는 단계; 상기의 혼합공정 후 방사선을 조사하고 진공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우주환경에서 취식이 가능한 동결건조 미역국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함으로써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우주환경과 같은 극한환경에서 장기적으로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으며 뜨거운 물만 공급하면 바로 용이하게 섭취할 뿐 아니라 우주방사선 방호효과를 나타내는 동결건조 미역국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동결건조 미역국은 감마선 조사를 이용하여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우주환경과 같은 극한환경에서 장기적으로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으며 뜨거운 물만 공급하면 바로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동결건조 미역국은 후코이단을 포함하고 있어 이러한 후코이단에 의해 우주환경에서의 우주방사선에 대한 방호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본 발명과 유사한 특성을 지닌 분말 국류에 있어서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우주환경과 같은 극한환경에서 장기적으로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으며 우주환경에서의 우주방사선에 대한 방호효과를 나타내는 한편 뜨거운 물만 공급하여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는 국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우주환경에서 취식이 가능한 동결건조 미역국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동결건조 미역국의 제조시 사용하는 소고기 육수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동결건조 미역국의 제조시 사용하는 조개 육수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우주환경에서 취식이 가능한 동결건조 미역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미역국의 일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은 우주환경에서 취식이 가능한 동결건조 미역국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무중력상태의 우주환경에서 안전하고 간편하게 취식할 수 있으며 섭취시 우주방사선으로부터 방호효과를 나타내는 동결건조 미역국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육수에 미역 및 소금을 넣고 가열하여 미역국을 얻는 단계; 상기의 미역국으로부터 미역과 국물을 분리한 다음 분리된 미역 및 국물을 각각 동결건조하여 동결건조 미역 및 동결건조 국물 스프를 얻는 단계; 상기의 동결건조 미역, 동결건조 국물 스프에 후코이단(fucoidan)을 넣고 혼합하는 단계; 상기의 혼합공정 후 방사선을 조사하고 진공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우주환경에서 취식이 가능한 동결건조 미역국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도 1 참조).
본 발명은 무중력상태의 우주환경에서 안전하고 간편하게 취식할 수 있으며 섭취시 우주방사선으로부터 방호효과를 나타내는 동결건조 미역국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육수에 미역 및 소금을 넣고 가열하여 미역국을 얻는 단계; 상기의 미역국으로부터 미역과 국물을 분리한 다음 분리된 미역 및 국물을 각각 동결건조하여 동결건조 미역 및 동결건조 국물 스프를 얻는 단계; 상기의 동결건조 미역, 동결건조 국물 스프에 후코이단(fucoidan)을 넣고 혼합하는 단계; 상기의 혼합공정 후 방사선을 조사하고 진공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우주환경에서 취식이 가능한 동결건조 미역국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육수는 미역을 넣고 가열하여 미역국을 제조시 보다 관능성이 좋은 미역국을 얻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육수는 육류와 양념을 넣고 가열한 다음 육류로부터 생긴 지방을 제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육수를 얻기 위한 육류는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료를 양념과 같이 정제수에 넣고 가열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육수를 얻기 위한 육류는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와 양념이외에 소뼈 또는 돼지뼈의 재료를 추가로 더 정제수에 넣고 가열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육수를 얻기 위한 육류는 바람직하게는 소고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육수를 얻기 위해 육류 대신 해조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해조류는 오징어, 낙지, 쭈꾸미, 꼴뚜기, 문어, 조개, 홍합, 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조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조개 중에서 살부위인 조갯살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육수의 일예로 정제수 3리터(L)에 대하여 소고기 300~600g, 다시마 10~30g, 다진마늘 3~7g을 넣고 90~100℃에서 30~40분 동안 가열하고 고형물을 제거한 후 1~4℃에서 24~48시간 동안 냉각시킨 다음 지방을 제거한 소고기 육수를 사용할 수 있다(도 2 참조).
상기에서 육수의 보다 바람직한 일예로 정제수 3리터(L)에 대하여 소고기 400g, 다시마 20g, 다진마늘 5g을 넣고 100℃에서 30분 동안 가열하고 고형물을 제거한 후 4℃에서 24시간 동안 냉각시킨 다음 지방을 제거한 소고기 육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육수의 다른 일예로 정제수 3리터(L)에 대하여 조개살 300~600g, 다시마 10~30g, 다진마늘 3~7g을 넣고 90~100℃에서 30~40분 동안 가열하고 고형물을 제거한 후 1~4℃에서 24~48시간 동안 냉각시킨 다음 지방을 제거한 조갯살 육수를 사용할 수 있다(도 3 참조).
상기에서 육수의 보다 바람직한 다른 일예로 정제수 3리터(L)에 대하여 조개살 400g, 다시마 20g, 다진마늘 5g을 넣고 100℃에서 30분 동안 가열하고 고형물을 제거한 후 4℃에서 24시간 동안 냉각시킨 다음 지방을 제거한 조개살 육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육수에 미역 및 소금을 넣고 가열하여 미역국을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육수 250ml에 대하여 미역 1~4g, 소금 0.5~1.5g을 넣고 90~100℃에서 10~30분 동안 가열하여 미역국을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육수 250ml에 대하여 미역 3g, 소금 1g을 넣고 100℃에서 10분 동안 가열하여 미역국을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미역국으로부터 분리한 미역 및 국물의 분리는 체(sieve)를 이용하여 고상의 미역과 액상의 국물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에서 미역국으로부터 분리한 미역 및 국물의 분리는 50~100메쉬(mesh)의 체(sieve)를 이용하여 고상의 미역과 액상의 국물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에서 동결건조 미역은 미역국으로부터 분리한 미역을 -40~-70℃에서 4~8시간 동안 동결시킨 후 동결건조기(KR/PVTFD 10A, Ilshin Lab., Gyunggi, Korea)에 넣고 24~48시간 동결건조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동결건조 미역은 미역국으로부터 분리한 미역을 -55℃에서 6시간 동안 동결시킨 후 동결건조기(KR/PVTFD 10A, Ilshin Lab., Gyunggi, Korea)에 넣고 48시간 동결건조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동결건조 국물 스프는 미역국으로부터 분리한 국물을 -40~-70℃에서 4~8시간 동안 동결시킨 후 동결건조기(KR/PVTFD 10A, Ilshin Lab., Gyunggi, Korea)에 넣고 24~48시간 동결건조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동결건조 국물 스프는 미역국으로부터 분리한 국물을 -55℃의 온도에서 6시간 동안 동결시킨 후 동결건조기(KR/PVTFD 10A, Ilshin Lab., Gyunggi, Korea)에 넣고 48시간 동결건조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동결건조 미역, 동결건조 국물 스프 및 후코이단(fucoidan)을 혼합한 후 방사선 조사를 한 다음 상기 혼합물을 진공포장하여 동결건조 미역국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후코이단은 미역국의 우주방사선 방호효과를 부가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동결건조 미역 2g에 대하여 동결건조 국물 스프 2~10g을 혼합한 후 방사선 조사를 한 다음 진공포장 하여 우주환경에서 취식이 가능한 동결건조 미역국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동결건조 미역 2g에 대하여 동결건조 국물 스프 2~10g 및 후코이단 0.25~0.75g을 혼합한 후 방사선 조사를 한 다음 진공포장 하여 우주환경에서 취식이 가능한 동결건조 미역국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방사선은 감마선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방사선은 X-선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방사선은 전자선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방사선은 동결건조 미역 및 동결건조 국물 스프가 혼합된 혼합물이 0.01~50kGy의 흡수선량이 되도록 조사할 수 있다.
상기에서 방사선은 동결건조 미역 및 동결건조 국물 스프가 혼합된 혼합물이 5~20kGy의 흡수선량이 되도록 조사할 수 있다.
상기에서 방사선은 동결건조 미역, 동결건조 국물 스프 및 후코이단이 혼합된 혼합물이 0.01~50kGy의 흡수선량이 되도록 조사할 수 있다.
상기에서 방사선은 동결건조 미역, 동결건조 국물 스프 및 후코이단이 혼합된 혼합물이 5~50kGy의 흡수선량이 되도록 조사할 수 있다.
상기에서 방사선은 동결건조 미역, 동결건조 국물 스프 및 후코이단이 혼합된 혼합물이 5~20kGy의 흡수선량이 되도록 조사할 수 있다.
상기에서 방사선은 동결건조 미역, 동결건조 국물 스프 및 후코이단이 혼합된 혼합물이 10~50kGy의 흡수선량이 되도록 조사할 수 있다.
상기에서 방사선은 동결건조 미역, 동결건조 국물 스프 및 후코이단이 혼합된 혼합물이 10~20kGy의 흡수선량이 되도록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동결건조 미역 및 동결건조 국물 스프를 혼합한 후 방사선 조사를 한 다음 상기 혼합물을 진공포장하여 동결건조 미역국을 제조시 동결건조 미역국의 기능성 향상을 위해 기능성 성분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동결건조 미역, 동결건조 국물 스프 및 후코이단을 혼합한 후 방사선 조사를 한 다음 상기 혼합물을 진공포장하여 동결건조 미역국을 제조시 동결건조 미역국의 기능성 향상을 위해 기능성 성분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모시잎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호로파씨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포도껍질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감껍질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모시잎분말, 호로파씨분말, 포도껍질분말, 감껍질분말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이 혼합된 혼합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동결건조 미역 2g에 대하여 동결건조 국물 스프 2~10g 및 기능성 성분 0.5~1g을 혼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동결건조 미역 2g에 대하여 동결건조 국물 스프 2~10g, 후코이단 0.25~0.75g 및 기능성 성분 0.5~1g을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우주환경에서 취식이 가능한 동결건조 미역국의 제조방법에 대해 다양한 조건으로 실시한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조건에 의해 우주환경에서 취식이 가능한 동결건조 미역국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우주환경에서 취식이 가능한 동결건조 미역국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동결건조 미역국 제조
정제수 3리터(L)에 대하여 소고기 400g, 다시마 20g, 다진마늘 5g을 냄비에 넣고 100℃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가열이 끝난 다음 상기 가열물에서 고형물을 제거한 후 4℃에서 24시간 동안 냉각시킨 다음 이러한 냉각에 의해 경화된 지방을 제거하여 소고기 육수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소고기 육수 250ml에 대하여 미역 3g, 소금 1g을 넣고 100℃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여 미역국을 얻었다.
상기의 미역국으로부터 60(mesh)의 체(sieve)를 이용하여 미역과 국물을 각각분리하였다.
상기의 미역국으로부터 분리한 미역을 -55℃에서 6시간 동안 동결시킨 후 동결건조기(KR/PVTFD 10A, Ilshin Lab., Gyunggi, Korea)에 넣고 48시간 동안 동결건조하여 동결건조 미역을 얻었다.
상기의 미역국으로부터 분리한 국물을 -55℃에서 6시간 동안 동결시킨 후 동결건조기(KR/PVTFD 10A, Ilshin Lab., Gyunggi, Korea)에 넣고 48시간 동안 동결건조하여 동결건조 국물 스프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동결건조 미역 2g에 대하여 동결건조 국물 스프 2g 및 후코이단 0.25g을 혼합한 후 방사선 조사를 한 다음 진공포장 하여 우주환경에서 취식이 가능한 동결건조 미역국을 제조하였다(도 4 참조).
상기의 방사선 조사는 한국원자력연구원 정읍 방사선과학연구소의 감마선 조사시설(선원 30만 Ci, Co-60)을 이용하여 실온(12±1℃)에서 동결건조 미역 및 동결건조 국물 스프가 혼합된 혼합물이 5kGy, 10kGy, 15kGy 및 20kGy의 총 흡수선량을 얻도록 각각 실시하였으며, 흡수선량 확인은 세릭-세로스 선량계(ceric- cerous dosimeter)를 사용하였고, 이때 총 흡수선량의 오차는 ±0.1kGy였다.
<실시예 2>
동결건조 미역 2g에 대하여 동결건조 국물 스프 2g 및 후코이단 0.50g을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우주환경에서 취식이 가능한 동결건조 미역국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동결건조 미역 2g에 대하여 동결건조 국물 스프 2g 및 후코이단 0.75g을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우주환경에서 취식이 가능한 동결건조 미역국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조개살 육수 제조
소고기 육수 대신에 정제수 3리터(L)에 대하여 조개살 400g, 다시마 20g, 다진마늘 5g을 냄비에 넣고 100℃에서 30분 동안 가열하고 가열이 끝난 다음 상기 가열물에서 고형물을 제거한 후 4℃에서 24시간 동안 냉각시킨 다음 이러한 냉각에 의해 경화된 지방을 제거하여 조개살 육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결건조 미역국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소고기 육수 대신에 정제수 3리터(L)에 대하여 조개살 400g, 다시마 20g, 다진마늘 5g을 냄비에 넣고 100℃에서 30분 동안 가열하고 가열이 끝난 다음 상기 가열물에서 고형물을 제거한 후 4℃에서 24시간 동안 냉각시킨 다음 이러한 냉각에 의해 경화된 지방을 제거하여 조개살 육수를 사용하는 한편, 동결건조 미역 2g에 대하여 동결건조 국물 스프 2g 및 후코이단 0.50g을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우주환경에서 취식이 가능한 동결건조 미역국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소고기 육수 대신에 정제수 3리터(L)에 대하여 조개살 400g, 다시마 20g, 다진마늘 5g을 냄비에 넣고 100℃에서 30분 동안 가열하고 가열이 끝난 다음 상기 가열물에서 고형물을 제거한 후 4℃에서 24시간 동안 냉각시킨 다음 이러한 냉각에 의해 경화된 지방을 제거하여 조개살 육수를 사용하는 한편, 동결건조 미역 2g에 대하여 동결건조 국물 스프 2g 및 후코이단 0.75g을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우주환경에서 취식이 가능한 동결건조 미역국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방사선 조사된 동결건조 미역국의 미생물 평가.
본 발명에 따른 동결건조 미역국의 방사선 조사 선량에 따른 미생물 오염도를 평가하였다.
먼저 실시예 1에서 방사선을 조사하여 각각 5kGy, 10kGy, 15kGy 및 20kGy의 총 흡수선량이 되도록 실시하여 제조한 동결건조 미역국시료 10g을 시료균질용 멸균 봉투에 넣고 미리 멸균시켜 준비한 펩톤수(0.9% peptone) 90mL을 넣은 후 미생물 분석용 시료균질기(Stomacher)에서 3분간 균질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미생물(Microorganisms) 오염도 평가는 러시아 IBMP에서 제시한 우주식품 미생물 평가 항목인 총균수(Total aerobic count), 대장균군(Coliform),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살모넬라균(Salmonella), 대장균(Escherichia coli), 바실러스 세레우스균(Bacillus cereus) 및 진균류(Yest and Molds)에 대하여 의 오염도를 평가하였다. 건조시료를 10진 희석법으로 희석한 희석액 1 mL을 총균수에 대하여 Plate Count Agar (PCA, Difco, Detroit, USA), 살모넬라균은 SS agar (Difco, Detroit, USA), 바실러스 세레우스균은 MYP agar(Difco, Detroit, USA)에 주입한 후 굳혀 평판을 만들었다. 각 평판은 35℃에서 24~48시간 배양한 후 30~300개의 집락을 형성한 배지만 계수하여 시료 1g당 colony forming unit(CFU/g)으로 나타내었다. 대장균군과 대장균은 3M Petrifilm (3M Microbiology Products, St. Paul, USA)을 이용하였고 진균류는 PDA배지에 시료 희석액 0.1mL을 도말한 후 25℃에서 76시간 배양하여 계수하였다.
상기의 동결건조 미역국의 방사선 조사 선량에 따른 미생물 오염도 평가 결과는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감마선 조사선량에 따른 동결건조 미역국의 미생물 평가(단위:log CFU/g)
미생물
(Microorganisms)
방사선 조사(Irradiation dose, kGy)
0 5 10 15 20
Total aerobic count ND* ND ND ND ND
Coliform ND ND ND ND ND
Staphylococcus ND ND ND ND ND
Salmonella ND ND ND ND ND
Yest and Molds ND ND ND ND ND
Escherichia coli ND ND ND ND ND
Bacillus cereus 1.5±0.32) 1.2±0.1 ND ND ND
*상기 표 2에서 ND는 미생물 생육이 검출되지 않은 시료를 의미한다.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동결건조 미역국은 표 1에 제시된 러시아 우주식품 미생물 규격 항목에 의해 평가되었다. 즉, 비가열 식품 규격에 의해 총균수, 대장균군, 포도상구균, 살모넬라균, 대장균, 및 진균류에 대한 미생물 평가를 실시한 결과 모든 샘플에서 검출 한계(1 log CFU/g) 이하로 나타났으나 Bacillus cereus가 1 log CFU/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한편 동결건조 미역국 제조시 10kGy 이상 조사시 모든 샘플에서 미생물이 검출한계 이하로 나타났다. 미역국 제조시 100℃에서 40분간의 가열처리를 하지만 이에 의해 세균포자까지 완전히 사멸시키는 것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Cho et al.(2008)은 가열처리 후 건조를 통해서 낮은 수분활성도를 가지는 선식의 경우에서도 Bacillus cereus가 사멸하지 않고 포자를 형성하고 있다가 발아하였다는 보고를 하였으며 Per et al.(1997)은 Bacillus cereus 등의 endospore를 형성하는 포자형성 미생물은 불안전한 조리과정을 거친 식품에서 포자형태로 존재하고 있다가 48℃ 이하로 유지한 경우 빠른 증식을 하여 식중독을 유발한다고 보고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역국은 가열처리만을 통해서 미생물을 제어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며 우주식품의 미생물 기준에 부합하려면 가열처리 이외에 10kGy 이상의 흡수선량이 되도록 방사선 조사에 의한 멸균화가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시험예 2> 방사선 조사된 동결건조 미역국의 관능품질 평가
실시예 1에서 방사선을 조사하여 각각 5kGy, 10kGy, 15kGy 및 20kGy의 총 흡수선량이 되도록 실시하여 제조한 동결건조 미역국(감마선 조사구)과 방사선을 조사하지 않은 동결건조 미역국(0kGy의 총 흡수선량이 되도록 방사선 조사, 감마선 비조사구)을 수화한 다음 각각의 미역국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방사선 조사선량에 따른 미역국의 관능품질 변화를 평가하였으며 이를 표 3에 나타내었다.
관능품질 평가는 감마선 조사구의 동결건조 미역국과 감마선 비조사구의 동결건조 미역국에 70℃의 물 200mL을 각각 첨가 후 시료로 사용하였다.
관능평가(Sensory characteristics)를 위한 패널(panel)은 관능검사 경력 3년 이상의 관능검사요원 10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 시료는 물 컵, 시료를 뱉는 컵, 입 헹구는 물을 제공하였으며 평가 항목으로는 색(Color), 향(Flavor), 맛(Taste), 조직감(Texture),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 이취(Off-flavor)에 대하여 7점 척도법으로 평가하였다. 이때 관능성이 매우 좋다: 7점, 좋지도 싫지도 않다: 4점, 관능성이 매우 나쁘다: 1점 이었다.
감마선 조사선량에 따른 동결건조 미역국의 관능품질 평가
Irradiation dose
(kGy)
Sensory characteristics
Color Flavor Taste Texture Overall acceptance Off flavor
0 5.3±0.4NS1 ) 5.0±0.4a2 ) 5.3±0.5a 5.5±0.5a 5.7±0.3a 1.9±0.3b
5 5.0±0.3 4.6±0.3a 4.4±0.4a 4.9±0.3a 4.6±0.5a 2.3±0.2b
10 5.2±0.3 4.7±0.3a 4.3±0.5a 4.8±0.3a 4.5±0.5a 2.4±0.2b
15 4.8±0.4 4.8±0.4a 4.0±0.3ab 3.8±0.5b 4.0±0.4ab 3.4±0.3ab
20 5.0±0.5 4.0±0.3b 3.7±0.6b 3.4±0.3b 3.6±0.3b 3.2±0.4ab
상기 표 3에서 관능평가는 모든 항목에서 감마선 비조사구의 동결건조 미역국이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냈고, 감마선 조사선량이 높아질수록 기호도가 낮게 평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kGy 흡수선량의 감마선 조사구는 감마선 비조사구의 미역국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15kGy 흡수선량의 감마선 조사구는 맛(taste)과 전체적인 선호도(overall acceptance)에서 감마선 비조사구 미역국과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으며 나머지 관능평가 항목에서는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15kGy 흡수선량 이상의 감마선 조사구는 색 선호도(color)를 제외한 관능평가 항목에서 기호도가 낮게 평가되었으며 조직감(texture)과 이취(off-flavor)는 조사선량이 높아질수록 관능적 기호도가 크게 나빠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시험을 통해 감마선의 방사선 조사선량이 높아질수록 산패취가 증가하였으며, 방사선에 의한 조사취는 방사선 조사에 의해 생성된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의 작용으로 단백질과 지방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고 보고 된 바 있다(Ahn et al. 2000; Formanek et al. 2003; Mcmillin et al. 1996; Nam et al. 2003). 이상의 결과들을 통해 10kGy의 흡수선량의 감마선을 조사한 동결건조 미역국은 우주식품 미생물 기준을 만족하며 고유의 관능적 품질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3> 동결건조 미역국의 방사선 방호효과.
소장움(intestinal crypt)은 방사선에 민감한 재생 조직으로서, 방사선에 의한 산화적 생체손상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지표로 이용되고 있으며, 방사선에 대한 생체방호에 있어서 소장움 등의 소화기관 재생조직 손상의 억제 및 회복이 중요한 요건의 하나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본 시험예에서는 후코이단을 포함한 동결건조 미역국에 대한 방사선에 대한 방호효과를 확인하였다.
소장움(intestinal crypt) 생존 시험을 위해 7주령의 암컷 마우스를 사용하였으며, 사육실 온도를 23±1℃로, 습도를 57%로 유지시키고 명암순환이 12시간 단위로 조절되는 표준 사육방법으로 사육하였다. 고형사료와 음수는 자유로이 공급하였다.
마우스에 동결건조 미역, 동결건조 국물 스프 및 후코이단을 혼합 후 방사선을 조사하여 10kGy의 흡수선량이 되도록 실시한 실시예 1의 동결건조 미역국을 공급하여 섭취시킨 시험구 1, 마우스에 동결건조 미역, 동결건조 국물 스프 및 후코이단을 혼합 후 방사선을 조사하여 10kGy의 흡수선량이 되도록 실시한 실시예 2의 동결건조 미역국을 공급하여 섭취시킨 시험구 2, 동결건조 미역, 동결건조 국물 스프 및 후코이단을 혼합 후 방사선을 조사하여 10kGy의 흡수선량이 되도록 실시한 실시예 3의 동결건조 미역국을 공급하여 섭취시킨 시험구 3, 본 발명의 동결건조 미역국을 공급하지 않은 대조구에 대해 방사선에 대한 방호효과를 관찰하였다.
고선량 방사선에 대한 방호효과 관찰을 위한 시험 모델로서 소장움 생존시험을 Withers와 Elkind의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각 실험군당 6마리의 마우스를 사용하였으며, 방사선 조사 후 3.5일에 동물을 희생시켜 소장부위를 채취하고 각 마우스당 8개의 절편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파라핀 포매하여 조직 슬라이드를 제작하였다. 각 마우스당 8개의 종절된 소장 표본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소장움의 수를 광학현미경으로 측정하고 실험군별 평균 및 편차를 산정하였다.
상기의 감마선 조사된 우주미역국을 이용하여 하기의 다양한 실험예에 사용하였고, 모든 실험은 3회 반복하였으며, 일원 배치 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을 통계분석시스템(SAS Version 5 edition)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던칸(Duncan)의 다중 검정법을 이용하여 평균값의 유의성을 5% 이내의 한계로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 평균값과 표준오차를 나타내었다.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방사선을 조사하지 않은 마우스 소장(방사선 미조사구)의 circumference 당 평균 약 160개 정도의 소장움이 관찰되었으나, 본 발명의 후코이단을 포함하는 동결건조 미역국을 급여하지 않고 방사선만을 조사한 대조군의 경우에는 20개의 소장움이 관찰되어 방사선 조사에 의해 소장움의 생존율이 현저히 저하되었다. 한편 본 발명의 후코이단을 포함하는 동결건조 미역국을 급여한 시험구 1 내지 시험구 3의 경우 방사선만을 조사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생존 소장움의 수가 증가하였으며, 후코이단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소장움의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후코이단은 방사선에 의한 소장내 조직손상을 경감시키는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감마선 조사에 의한 손상된 재생조직(소장움)의 방호효과
Group (N=6) 소장움의 수
방사선 미조사구 160±11
대조구 20±3
시험구 1 22±4
시험구 2 42±3
시험구 3 51±5
<실시예 7>
정제수 3리터(L)에 대하여 소고기 400g, 다시마 20g, 다진마늘 5g을 냄비에 넣고 100℃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가열이 끝난 다음 상기 가열물에서 고형물을 제거한 후 4℃에서 24시간 동안 냉각시킨 다음 이러한 냉각에 의해 경화된 지방을 제거하여 소고기 육수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소고기 육수 250ml에 대하여 미역 3g, 소금 1g을 넣고 100℃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여 미역국을 얻었다.
상기의 미역국으로부터 60(mesh)의 체(sieve)를 이용하여 미역과 국물을 각각분리하였다.
상기의 미역국으로부터 분리한 미역을 -55℃에서 6시간 동안 동결시킨 후 동결건조기(KR/PVTFD 10A, Ilshin Lab., Gyunggi, Korea)에 넣고 48시간 동안 동결건조하여 동결건조 미역을 얻었다.
상기의 미역국으로부터 분리한 국물을 -55℃에서 6시간 동안 동결시킨 후 동결건조기(KR/PVTFD 10A, Ilshin Lab., Gyunggi, Korea)에 넣고 48시간 동안 동결건조하여 동결건조 국물 스프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동결건조 미역 2g에 대하여 동결건조 국물 스프 2g 및 후코이단 0.25g 및 모시잎분말 0.5g을 혼합한 후 방사선 조사를 한 다음 진공포장 하여 우주환경에서 취식이 가능한 동결건조 미역국을 제조하였다.
상기의 방사선 조사는 한국원자력연구원 정읍 방사선과학연구소의 감마선 조사시설(선원 30만 Ci, Co-60)을 이용하여 실온(12±1℃)에서 동결건조 미역 및 동결건조 국물 스프가 혼합된 혼합물이 10kGy의 총 흡수선량을 얻도록 실시하였으며, 흡수선량 확인은 세릭-세로스 선량계(ceric- cerous dosimeter)를 사용하였고, 이때 총 흡수선량의 오차는 ±0.1kGy였다.
<실시예 8>
정제수 3리터(L)에 대하여 소고기 400g, 다시마 20g, 다진마늘 5g을 냄비에 넣고 100℃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가열이 끝난 다음 상기 가열물에서 고형물을 제거한 후 4℃에서 24시간 동안 냉각시킨 다음 이러한 냉각에 의해 경화된 지방을 제거하여 소고기 육수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소고기 육수 250ml에 대하여 미역 3g, 소금 1g을 넣고 100℃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여 미역국을 얻었다.
상기의 미역국으로부터 60(mesh)의 체(sieve)를 이용하여 미역과 국물을 각각분리하였다.
상기의 미역국으로부터 분리한 미역을 -55℃에서 6시간 동안 동결시킨 후 동결건조기(KR/PVTFD 10A, Ilshin Lab., Gyunggi, Korea)에 넣고 48시간 동결건조하여 동결건조 미역을 얻었다.
상기의 미역국으로부터 분리한 국물을 -55℃에서 6시간 동안 동결시킨 후 동결건조기(KR/PVTFD 10A, Ilshin Lab., Gyunggi, Korea)에 넣고 48시간 동결건조하여 동결건조 국물 스프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동결건조 미역 2g에 대하여 동결건조 국물 스프 2g 및 후코이단 0.25g 및 호로파씨분말 0.5g을 혼합한 후 방사선 조사를 한 다음 진공포장 하여 우주환경에서 취식이 가능한 동결건조 미역국을 제조하였다.
상기의 방사선 조사는 한국원자력연구원 정읍 방사선과학연구소의 감마선 조사시설(선원 30만 Ci, Co-60)을 이용하여 실온(12±1℃)에서 동결건조 미역 및 동결건조 국물 스프가 혼합된 혼합물이 10kGy의 총 흡수선량을 얻도록 실시하였으며, 흡수선량 확인은 세릭-세로스 선량계(ceric- cerous dosimeter)를 사용하였고, 이때 총 흡수선량의 오차는 ±0.1kGy였다.
<실시예 9>
정제수 3리터(L)에 대하여 소고기 400g, 다시마 20g, 다진마늘 5g을 냄비에 넣고 100℃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가열이 끝난 다음 상기 가열물에서 고형물을 제거한 후 4℃에서 24시간 동안 냉각시킨 다음 이러한 냉각에 의해 경화된 지방을 제거하여 소고기 육수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소고기 육수 250ml에 대하여 미역 3g, 소금 1g을 넣고 100℃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여 미역국을 얻었다.
상기의 미역국으로부터 60(mesh)의 체(sieve)를 이용하여 미역과 국물을 각각분리하였다.
상기의 미역국으로부터 분리한 미역을 -55℃에서 6시간 동안 동결시킨 후 동결건조기(KR/PVTFD 10A, Ilshin Lab., Gyunggi, Korea)에 넣고 48시간 동안 동결건조하여 동결건조 미역을 얻었다.
상기의 미역국으로부터 분리한 국물을 -55℃에서 6시간 동안 동결시킨 후 동결건조기(KR/PVTFD 10A, Ilshin Lab., Gyunggi, Korea)에 넣고 48시간 동안 동결건조하여 동결건조 국물 스프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동결건조 미역 2g에 대하여 동결건조 국물 스프 2g 및 후코이단 0.25g 및 포도껍질분말 0.5g을 혼합한 후 방사선 조사를 한 다음 진공포장 하여 우주환경에서 취식이 가능한 동결건조 미역국을 제조하였다.
상기의 방사선 조사는 한국원자력연구원 정읍 방사선과학연구소의 감마선 조사시설(선원 30만 Ci, Co-60)을 이용하여 실온(12±1℃)에서 동결건조 미역 및 동결건조 국물 스프가 혼합된 혼합물이 10kGy의 총 흡수선량을 얻도록 실시하였으며, 흡수선량 확인은 세릭-세로스 선량계(ceric- cerous dosimeter)를 사용하였고, 이때 총 흡수선량의 오차는 ±0.1kGy였다.
<실시예 10>
정제수 3리터(L)에 대하여 소고기 400g, 다시마 20g, 다진마늘 5g을 냄비에 넣고 100℃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가열이 끝난 다음 상기 가열물에서 고형물을 제거한 후 4℃에서 24시간 동안 냉각시킨 다음 이러한 냉각에 의해 경화된 지방을 제거하여 소고기 육수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소고기 육수 250ml에 대하여 미역 3g, 소금 1g을 넣고 100℃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여 미역국을 얻었다.
상기의 미역국으로부터 60(mesh)의 체(sieve)를 이용하여 미역과 국물을 각각분리하였다.
상기의 미역국으로부터 분리한 미역을 -55℃에서 6시간 동안 동결시킨 후 동결건조기(KR/PVTFD 10A, Ilshin Lab., Gyunggi, Korea)에 넣고 48시간 동안 동결건조하여 동결건조 미역을 얻었다.
상기의 미역국으로부터 분리한 국물을 -55℃에서 6시간 동안 동결시킨 후 동결건조기(KR/PVTFD 10A, Ilshin Lab., Gyunggi, Korea)에 넣고 48시간 동안 동결건조하여 동결건조 국물 스프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동결건조 미역 2g에 대하여 동결건조 국물 스프 2g 및 후코이단 0.25g 및 감껍질분말 0.5g을 혼합한 후 방사선 조사를 한 다음 진공포장 하여 우주환경에서 취식이 가능한 동결건조 미역국을 제조하였다.
상기의 방사선 조사는 한국원자력연구원 정읍 방사선과학연구소의 감마선 조사시설(선원 30만 Ci, Co-60)을 이용하여 실온(12±1℃)에서 동결건조 미역 및 동결건조 국물 스프가 혼합된 혼합물이 10kGy의 총 흡수선량을 얻도록 실시하였으며, 흡수선량 확인은 세릭-세로스 선량계(ceric- cerous dosimeter)를 사용하였고, 이때 총 흡수선량의 오차는 ±0.1kGy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시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동결건조 미역국은 방사선 조사를 이용하여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우주환경과 같은 극한환경에서 장기적으로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으며 뜨거운 물만 공급하면 바로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11)

  1. 육수에 미역 및 소금을 넣고 가열하여 미역국을 얻는 단계;
    상기의 미역국으로부터 미역과 국물을 분리한 다음 분리된 미역 및 국물을 각각 동결건조하여 동결건조 미역 및 동결건조 국물 스프를 얻는 단계;
    상기의 동결건조 미역, 동결건조 국물 스프에 후코이단 및 기능성 성분으로써 모시잎분말, 호로파씨분말, 포도껍질분말 및 감껍질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넣고 혼합하는 단계;
    상기의 혼합공정 후 방사선을 조사하고 진공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우주환경에서 취식이 가능한 동결건조 미역국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육수는 정제수 3리터(L)에 대하여 소고기 300~600g, 다시마 10~30g, 다진마늘 3~7g을 넣고 90~100℃에서 30~40분 동안 가열하고 고형물을 제거한 후 1~4℃에서 24~48시간 동안 냉각시킨 다음 지방을 제거한 소고기 육수 임을 특징으로 하는 우주환경에서 취식이 가능한 동결건조 미역국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육수는 정제수 3리터(L)에 대하여 조개살 300~600g, 다시마 10~30g, 다진마늘 3~7g을 넣고 90~100℃에서 30~40분 동안 가열하고 고형물을 제거한 후 1~4℃에서 24~48시간 동안 냉각시킨 다음 지방을 제거한 조갯살 육수 임을 특징으로 하는 우주환경에서 취식이 가능한 동결건조 미역국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미역국을 얻는 단계에서 얻은 미역국은 육수 250ml에 대하여 미역 1~4g, 소금 0.5~1.5g을 넣고 90~100℃에서 10~30분 동안 가열하여 얻은 것 임을 특징으로 하는 우주환경에서 취식이 가능한 동결건조 미역국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동결건조 미역은 미역국으로부터 분리한 미역을 -40~-70℃에서 4~8시간 동결시킨 후 동결건조기에 넣고 24~48시간 동안 동결건조하여 얻는 것 임을 특징으로 하는 우주환경에서 취식이 가능한 동결건조 미역국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동결건조 국물 스프는 미역국으로부터 분리한 국물을 -40~-70℃에서 4~8시간 동결시킨 후 동결건조기에 넣고 24~48시간 동안 동결건조하여 얻는 것 임을 특징으로 하는 우주환경에서 취식이 가능한 동결건조 미역국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동결건조 미역 2g에 대하여 동결건조 국물 스프 2~10g, 후코이단 0.25~0.75g 및 기능성 성분으로써 모시잎분말, 호로파씨분말, 포도껍질분말 및 감껍질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 0.5~1g을 혼합한 후 진공포장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주환경에서 취식이 가능한 동결건조 미역국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방사선은 감마선, X-선 또는 전자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주환경에서 취식이 가능한 동결건조 미역국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방사선은 동결건조 미역, 동결건조 국물 스프, 후코이단 및 기능성 성분으로써 모시잎분말, 호로파씨분말, 포도껍질분말 및 감껍질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혼합물이 0.01~50kGy의 흡수선량이 되도록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주환경에서 취식이 가능한 동결건조 미역국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방사선은 동결건조 미역, 동결건조 국물 스프, 후코이단 및 기능성 성분으로써 모시잎분말, 호로파씨분말, 포도껍질분말 및 감껍질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혼합물이 10~20kGy의 흡수선량이 되도록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주환경에서 취식이 가능한 동결건조 미역국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0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동결건조 미역국.
KR1020100037414A 2010-04-22 2010-04-22 우주환경에서 취식이 가능한 동결건조 미역국 및 이의 제조방법 Active KR101191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414A KR101191887B1 (ko) 2010-04-22 2010-04-22 우주환경에서 취식이 가능한 동결건조 미역국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414A KR101191887B1 (ko) 2010-04-22 2010-04-22 우주환경에서 취식이 가능한 동결건조 미역국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917A KR20110117917A (ko) 2011-10-28
KR101191887B1 true KR101191887B1 (ko) 2012-10-16

Family

ID=45031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7414A Active KR101191887B1 (ko) 2010-04-22 2010-04-22 우주환경에서 취식이 가능한 동결건조 미역국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18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150B1 (ko) 2019-11-28 2020-09-04 주식회사 아워홈 수비드 원료육을 이용한 미역국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미역국
KR102666416B1 (ko) 2023-03-10 2024-05-20 농업회사법인(주)신미래 컵용기 포장 매생이국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컵용기 포장 매생이국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328B1 (ko) * 2022-10-12 2023-06-28 김보미 동결건조 꽃게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3202B2 (ja) 1991-11-20 2002-10-15 モンフォー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食品の保存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食品
JP3505185B2 (ja) 1996-06-12 2004-03-08 タカラバイオ株式会社 食品又は飲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3202B2 (ja) 1991-11-20 2002-10-15 モンフォー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食品の保存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食品
JP3505185B2 (ja) 1996-06-12 2004-03-08 タカラバイオ株式会社 食品又は飲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150B1 (ko) 2019-11-28 2020-09-04 주식회사 아워홈 수비드 원료육을 이용한 미역국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미역국
KR102666416B1 (ko) 2023-03-10 2024-05-20 농업회사법인(주)신미래 컵용기 포장 매생이국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컵용기 포장 매생이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917A (ko) 201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ung et al. Microbial decontamination of food by electron beam irradiation
Thayer et al. Radiation pasteurization of food
Zehi et al. The effects of X-ray irradiation on safety and nutritional value of food: A systematic review article
Thayer et al.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 H7 and Salmonella by gamma irradiation of alfalfa seed intended for production of food sprouts
Sadakuzzaman et al. Combined effect of irradiation and butylated hydroxyanisole on shelf life and quality of beef at ambient temperature
Arapcheska et al. Effect of irradiation on food safety and quality
Kim et al. Improvement of microbiological safety and sensorial quality of pork jerky by electron beam irradiation and by addition of onion peel extract and barbecue flavor
Osaili et al. Use of gamma radiation for inactivating Salmonella spp., Escherichia coli O157: H7 and Listeria monocytogenes in tahini halva
CN102293192A (zh) 利用x射线杀虫灭菌的方法
KR101191887B1 (ko) 우주환경에서 취식이 가능한 동결건조 미역국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27823A (ko) 키토산 코팅과 감마선 조사를 이용한 계란의 유통기한 연장
Sokovnin et al. The use of nanosecond electron beam for the eggs surface disinfection in industrial poultry
KR101023811B1 (ko) 방사선 조사 기술을 이용한 우주환경에서도 취식이 가능한 비빔밥의 제조방법
Talib et al. Modern trends and techniques for food preservation
EFSA Panel on Biological Hazards (BIOHAZ) Scientific Opinion on the efficacy and microbiological safety of irradiation of food
KR20090106813A (ko) 방사선 조사 기술을 이용한 우주환경에서도 취식이 가능한영양바의 제조방법
Bhat et al. Use of electron beams in food preservation
Song et al. Inactivation of 3-strain cocktail pathogens inoculated into Bajirak jeotkal, salted, seasoned, and fermented short-necked clam (Tapes pilippinarum), by gamma and electron beam irradiation
Alfarobbi et al. Preservation of foodstuffs with gamma ray irradiation technology for decreasing pathogen bacteria on food and maintain sustainable food security: A review
Al-Bachir Improvement of microbiological quality of hen egg powder using gamma irradiation
Peguero et al. Low energy electron beam to support safe whole dried insect products
Diehl Will irradiation enhance or reduce food safety?
KR101033277B1 (ko) 우주환경에서도 취식이 가능한 라면의 제조방법
Aquino et al. Gamma radiation treatment applied to microbial decontamination of products derived from eggs collected from the retail market in São Paulo
KR20100045432A (ko) 방사선 조사 기술을 이용한 우주환경에서도 취식이 가능한 영양바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0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0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