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1711B1 - 전기저항용접과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을 행하는 복합 용접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저항용접과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을 행하는 복합 용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1711B1
KR101191711B1 KR1020120104171A KR20120104171A KR101191711B1 KR 101191711 B1 KR101191711 B1 KR 101191711B1 KR 1020120104171 A KR1020120104171 A KR 1020120104171A KR 20120104171 A KR20120104171 A KR 20120104171A KR 101191711 B1 KR101191711 B1 KR 101191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steel pipe
electric resistance
saw
supp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4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틸플라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틸플라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틸플라워
Priority to KR1020120104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1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8/00Welding or cutting not covered by any of the preceding groups, e.g. electrolytic welding
    • B23K28/02Combined welding or cutting procedures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08Making tubes with welded or soldered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1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 B21D5/1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making use of forming-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06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using roller electrodes
    • B23K11/061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using roller electrodes for welding rectilinear seams
    • B23K11/062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using roller electrodes for welding rectilinear seams for welding longitudinal seams of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76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for working on or in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 B23K9/0216Seam profiling, e.g. weaving, multi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 B23K9/025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for rectilinear seams
    • B23K9/0253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for rectilinear seams for the longitudinal seam of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8Submerged-arc welding
    • B23K9/186Submerged-arc welding making use of a consumable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복합 용접 방법은 강관을 제조하기 위하여 롤성형된 강관의 맞댐부에 전기저항용접을 행하고, 상기 전기저항용접 후에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을 행하는 복합 용접 방법에 있어서, 강판을 포밍롤을 이용하여 강관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 포밍된 소재를 전기저항용접하는 단계; 상기 전기저항용접된 강관에 용접선 추적용 홈을 가공하는 단계; 상기 강관의 내면에 플럭스를 공급하면서 와이어를 연속 공급하여 아크를 발생시키면서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하는 단계; 상기 강관의 외면 용접부 홈을 가공하는 단계; 상기 강관의 외면에 플럭스를 공급하면서 와이어를 연속 공급하여 아크를 발생시키면서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전기저항용접과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을 이용한 복합 용접 방법에 의하면, 종전의 단일한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방식에 비하여 빠르게 강관을 제조할 수 있고, 종전의 전지저항용접방식에 비하여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강관을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공정이 단축됨으로 인하여 공정설비가 감축되고, 제조공정이 단순화되어 원가 절감된다.

Description

전기저항용접과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을 행하는 복합 용접 방법{COMPLEX METHOD OF WELDING IN COMBINATION OF ELECTRIC RESISTANCE WELDING WITH SUBMERGED ARC WELDING}
본 발명은 강관을 제조하는 방식에 있어서, 전기저항용접에 따른 빠른 강관용접시간과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에 따른 용접부의 양호한 기계적 성질을 갖는 장점을 모두 살릴 수 있도록 전기저항용접 후에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을 행하는 복합 용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관의 제조방식은 전기저항용접(ERW : Electrical Resistance Welding)과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SAW : Submerged Arc Welding), 무계목 강관방식(Seamless)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중 전기저항용접은 용접하고자 하는 소재를 서로 맞댄 후, 전류를 흘려 저항 열을 발생시키고 이를 압착하여 용접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전기저항용접은 매우 빠른 속도로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생산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전기저항용접은 열연코일에 대한 파이프 조관시 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기저항용접에 의한 용접부에는 메탈 플로우(Metal Flow)가 발생하며, 소재 내부에 크랙이나 조대한 개재물이 존재하는 경우에 용접부에서 균열이 발생하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저온충격치가 매우 낮아 구조용 강관으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 그러나 이를 무계목 강관방식으로 제조하기에는 그 가격이 전기저항용접에 비하여 2배에 달해 현장에 적용하기에는 가격측면에서 어려움이 있어 왔다.
: 용접방식에 따른 기계적 성질
항 목 전기저항용접(ERW)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SAW) 비고
기계적 성질 저온
충격치
-40℃ 충격보증 불가
( 0일때27 Jule )
48 Jule o. 기계적성질 우수도
: Seamless >SAW >ERW
-60℃ 27 Jule
인장강도 API 5L X-52기준
: 510MPa
API 5L X-52기준
: 530 MPa
상기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은 입상의 플럭스 밑에서 와이어와 모재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켜 얻어지는 열로 두 개 이상의 피접합물을 용접하는 방법으로, 모재 위에 입상의 플럭스를 미리 쌓아 놓고 그 속에 전류가 흐르는 와이어를 연속공급하여 용접을 한다. 이때 아크는 플럭스에 의해 덮혀져 있어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으며, 플럭스는 대기를 차단하여 용접금속의 정련작용시 보호를 하게 되고, 용접비드나 슬래그 형성에 기여하게 된다.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은 사용 용접봉의 크기와 전류가 크기 때문에 용입이 깊고, 두꺼운 판 구조용강의 고능률 접합기법으로 많이 채용되는데 이와 같이 양호한 용접특성으로 인하여 표 1에서 수 있는 바와 같이 저온충격치가 우수하며, 인장강도 또한 무계목 강관과 별다른 차이가 없는 정도의 기계적 성질을 갖는 대표적인 고능률 용접법이다.
그러나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은 용접전까지의 공정이, 용접품질 향상을 위해 강판의 양 끝단부를 밀링 가공하여야 하고, 강관 형태의 성형과정도 더 복잡하며, 성형부를 가접하여야 하는 등 그 공정마다 전용설비를 갖추어야 하는 등 전기저항용접에 비하여 공정이 복잡하게 많고, 그 과정도 연속적이지 않고 단속적이어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공정마다 그 공정에 적합한 전용설비를 갖추어야 하는 등으로 인하여 원가를 상승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49105호(2012.05.16)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30955호(2009.12.2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복합 용접 방법은 강관을 제조하기 위하여 롤성형된 강관의 맞댐부에 전기저항용접을 행하고, 상기 전기저항용접 후에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을 행하는 복합 용접 방법에 있어서, 강판을 포밍롤을 이용하여 강관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 포밍된 소재를 전기저항용접하는 단계; 상기 전기저항용접된 강관에 용접선 추적용 홈을 가공하는 단계; 상기 강관의 내면에 플럭스를 공급하면서 와이어를 연속 공급하여 아크를 발생시켜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하는 단계; 상기 강관의 외면 용접부 홈을 가공하는 단계; 상기 강관의 외면에 플럭스를 공급하면서 와이어를 연속 공급하여 아크를 발생시켜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종전의 단일한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방식에 비하여 빠르게 강관을 제조할 수 있고, 종전의 전기저항용접방식에 비하여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강관을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공정이 단축됨으로 인하여 공정설비가 감축되고, 제조공정이 단순화되어 원가 절감된다.
본 발명의 복합 용접 방법은 강관을 제조하기 위하여 롤성형된 강관의 맞댐부에 전기저항용접을 행하고, 상기 전기저항용접 후에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을 행하는 복합 용접 방법에 있어서, 강판을 포밍롤을 이용하여 강관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 포밍된 소재를 전기저항용접하는 단계; 상기 전기저항용접된 강관에 용접선 추적용 홈을 가공하는 단계; 상기 강관의 내면에 플럭스를 공급하면서 와이어를 연속 공급하여 아크를 발생시키면서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하는 단계; 상기 강관의 외면 용접부 홈을 가공하는 단계; 상기 강관의 외면에 플럭스를 공급하면서 와이어를 연속 공급하여 아크를 발생시키면서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관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이전에는, 원자재를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절단된 원자재 코일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공급되는 원자재 코일을 평탄화시키는 단계; 가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관의 외면을 용접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외면용접된 강관을 열처리하는 단계; 상기 열처리된 강관을 교정하는 단계; 상기 교정된 강관을 면취 가공하는 단계; 상기 면취 가공된 강관을 비파괴검사하는 단계; 가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합용접방법에 적용되는 강관의 직경은 8인치 ~ 14인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합용접방법에 적용되는 강관의 두께는 5 ~ 16㎜이고, 강관의 길이는 15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저항용접과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을 이용한 복합 용접 방법에 의하면, 종전의 단일한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방식에 비하여 빠르게 강관을 제조할 수 있고, 종전의 전지저항용접방식에 비하여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강관을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공정이 단축됨으로 인하여 공정설비가 감축되고, 제조공정이 단순화되어 원가 절감된다.
도 1은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방식의 제조공정도
도 2는 전기저항용접방식의 제조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기저항용접방식과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방식의 복합용접방식의 제조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의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용 내면용접설비 헤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방식의 제조공정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는 전기저항용접방식의 제조공정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전기저항용접방식과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방식을 복합용접방식의 제조공정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용 내면용접설비 헤드 단면도이다.
도 1에 제시되어 있는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방식의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첫째, 자재가 입고되고, 둘째, 입고된 자재의 양끝단을 밀링에 의하여 엣지 가공한다. 상기 엣지 가공을 하는 이유는 입고된 자재의 양끝단이 일정하지 않으면, 용접 홈이 일정하지 않게 되고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에서 용접 홈이 일정하지 않을 경우 용락(burn through)이 발생되어 용접이 중단될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프레스 벤딩공정을 수행하는데, 자재를 강관 형태로 성형하는 공정으로 이 공정에서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넷째, 포스트 벤딩공정으로, 이는 프레스 벤딩공정에서 성형된 강관의 양끝단이 미 성형되기 때문에 성형된 강관의 양끝단을 재성형하는 것이다.
다섯째, 성형된 강관의 성형부를 취부시키고, 강관의 외면을 가접시키는 공정이고, 여섯째,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의 내면용접이다. 이 공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의 가접된 용접 홈을 아래로 향하게 하여 위치시키고, 내면용접기의 헤드에 위치된 플럭스 공급부(헤드 호퍼)에서 입상의 플럭스를 공급하고, 플럭스 밑에서 와이어와 강관 모재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켜 얻어지는 열로 강관의 양끝단을 용접하는 것으로, 강관 모재 위에 입상의 플럭스를 미리 쌓아 놓고 그 속에 전류가 흐르는 와이어를 연속공급하여 용접하므로, 아크는 플럭스에 의해 덮혀져 있어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으며, 플럭스는 대기를 차단하여 용접금속의 정련작용시 보호를 하게 되고, 용접비드나 슬래그 형성에 기여하게 된다.
일곱째, 롱 심 밀링공정으로, 이는 강관의 용접부 외면에 용접 홈을 가공하는 것이다. 여덟째, 외면용접 공정이다, 이는 내면용접과 같이 앞 단계에서 롱 심 밀링공정에 의해 가공된 용접 홈에 플럭스를 공급하고 플럭스 밑에서 와이어와 강관 모재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켜 얻어지는 열로 강관의 양끝단을 용접하는 것이다. 이후 열처리 → 교정 → 면취 → 비파과검사 순으로 공정이 진행된다.
: 전기저항용접과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간의 공정속도 차이(12m 강관기준)
구분 전기저항용접(ERW)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SAW) 차이
생산속도
(교정공정 등 후 공정 제외)
0.7분/본 15분/본 14.3분/본
이러한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방식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강관의 양끝단의 형상이 일정하여야 용접 홈의 간격이 일정해지므로, 내면용접 전에 엣지 가공을 필수적으로 하여야만 하고, 프레스 벤딩공정, 포스트 벤딩공정, 성형된 강관의 성형부를 취부시키고, 강관의 외면을 가접시키는 공정을 거처야 하는 단점을 갖는다.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은 본 용접공정인 내면 용접전에 12m 강관을 기준으로 15분의 시간이 소요된다.
도 2에 제시되어 있는 전기저항용접방식의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첫째, 원자재 코일이 공급되고, 둘째, 공급된 원자재 코일을 평탄화시키는 공정이다.
셋째, 평탄화된 원자재를 포밍롤을 이용하여 강관 형태로 성형한다. 넷째, 강관 형태로 성형된 양 끝단부를 서로 맞댄 후, 전류를 흘려 저항 열을 발생시키고 이를 압착하여 용접한다. 이후 과정은 상기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방식과 동일한 열처리 → 교정 → 면취 → 비파과검사 순으로 공정이 진행된다.
상기의 전기저항용접은 매우 빠른 속도로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표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용접까지의 소요시간이 단 0.7분만에 이루어진다. 이는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과 서로 대응되는 공정인 가접공정까지의 소요시간보다 14.3분이나 빠르게 진행되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전기저항용접과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은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용접후의 기계적 성질은 정반대의 결과를 갖는다. 이에 출원인은 전기저항용접의 빠른 용접속도와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의 높은 용접성능의 장점만을 취하는 전기저항용접과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을 행하는 복합 용접 방법을 도 3과 같이 발명하게 되었다.
도 3에 제시되어 있는 전기저항용접과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을 행하는 복합 용접 방식의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첫째, 원자재 코일이 공급되고, 둘째, 공급된 원자재 코일을 평탄화시키는 공정이다.
셋째, 평탄화된 원자재를 포밍롤을 이용하여 강관 형태로 성형한다. 넷째, 강관 형태로 성형된 양 끝단부를 서로 맞댄 후, 전류를 흘려 저항 열을 발생시키고 이를 압착하여 용접한다.
이 공정까지 전기저항용접의 빠른 공정을 이용하고, 이후 공정은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방식을 채용하여 용접한다.
다섯째, 전기저항용접된 강관을 취부시킨다. 여섯째, 내면용접공정, 일곱째, 롱 심 밀링공정, 여덟째, 외면용접 공정순의 공정을 진행한다.
상기의 전기저항용접과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을 행하는 복합 용접 방법은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공정인 엣지 가공을 위한 밀링 공작기, 프레스 벤딩공정의 프레스, 포스트 벤딩공정의 프레스, 성형된 강관의 성형부를 취부시키기 위한 치구와 이송설비, 강관의 외면을 가접시키는 공정에 필요한 설비를 전기저항용접전 공정인 포밍롤 하나의 설비로 대체할 수 있어, 공정에 필요한 설비의 수가 대폭 감축되고, 또한 공정수가 간편해짐으로 인한 빠른 작업속도를 갖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방식으로 강관의 내면과 외면을 모두 용접하므로,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이 갖는 용입이 깊고, 고능률 접합기법이라는 장점은 그대로 살리게 된다.
또한 다섯째와 여섯째 사이에 전기저항용접된 강관의 용접선 추적용 홈을 가공하는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이 용접선 추적용 홈은 여섯째 공정인 내면용접시 가이드 롤이 이동하기 위한 안내선 역할을 한다.
또한 여덟째, 외면용접 공정순의 공정 이후에는 열처리 → 교정 → 면취 → 비파과검사 순으로 공정이 진행된다.
본 발명인 복합용접방법에 의해 적용되는 강관의 직경은 8인치 ~ 14인치인 것이 바람직하고, 적용되는 강관의 두께는 5 ~ 16㎜이고, 강관의 길이는 15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강관의 직경과 두께이상인 경우에는 전기저항용접전에 진행되는 포밍롤 설비의 크기가 대형화되어야 하므로, 시설투자비가 급격히 증가되는 단점이 있고, 상기 강관의 직경과 두께이하인 경우에는 강관의 내면용접용 헤드를 제조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없음

Claims (6)

  1. 강관을 제조하기 위하여 롤성형된 강관의 맞댐부에 전기저항용접을 행하고, 상기 전기저항용접 후에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을 행하는 복합 용접 방법에 있어서,
    강판을 포밍롤을 이용하여 강관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 포밍된 소재를 전기저항용접하는 단계;
    상기 전기저항용접된 강관에 용접선 추적용 홈을 가공하는 단계;
    상기 강관의 내면에 플럭스를 공급하면서 와이어를 연속 공급하여 아크를 발생시키면서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하는 단계;
    상기 강관의 외면 용접부 홈을 가공하는 단계;
    상기 강관의 외면에 플럭스를 공급하면서 와이어를 연속 공급하여 아크를 발생시키면서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이전에는,
    원자재를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절단된 원자재 코일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공급되는 원자재 코일을 평탄화시키는 단계;
    가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의 외면을 용접하는 단계이후에는,
    상기 외면용접된 강관을 열처리하는 단계;
    상기 열처리된 강관을 교정하는 단계;
    상기 교정된 강관을 면취가공하는 단계;
    상기 면취가공된 강관을 비파괴검사하는 단계;
    가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용접방법에 적용되는 강관의 직경은 8인치 ~ 14인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용접방법에 적용되는 강관의 두께는 5 ~ 16㎜이고, 강관의 길이는 15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접 방법.
  6. 삭제
KR1020120104171A 2012-09-19 2012-09-19 전기저항용접과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을 행하는 복합 용접 방법 KR101191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171A KR101191711B1 (ko) 2012-09-19 2012-09-19 전기저항용접과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을 행하는 복합 용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171A KR101191711B1 (ko) 2012-09-19 2012-09-19 전기저항용접과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을 행하는 복합 용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1711B1 true KR101191711B1 (ko) 2012-10-16

Family

ID=47288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4171A KR101191711B1 (ko) 2012-09-19 2012-09-19 전기저항용접과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을 행하는 복합 용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17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552B1 (ko) * 2014-04-08 2014-07-03 주식회사 스틸플라워 텅스텐 아크용접과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을 동시에 용접하는 복합 용접 방법
CN109604848A (zh) * 2018-12-29 2019-04-12 佛山市诚德新材料有限公司 一种电阻焊与氩弧保护焊的复合焊机
CN114289838A (zh) * 2022-03-07 2022-04-08 中铁长安重工有限公司 钢卷管内焊装置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9737A (ja) 2004-03-30 2005-10-13 Jfe Steel Kk 自動溶接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9737A (ja) 2004-03-30 2005-10-13 Jfe Steel Kk 自動溶接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552B1 (ko) * 2014-04-08 2014-07-03 주식회사 스틸플라워 텅스텐 아크용접과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을 동시에 용접하는 복합 용접 방법
EP2942146A2 (en) 2014-04-08 2015-11-11 Steel Flower Co., Ltd. Combination welding method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resistance welding, tungsten arc welding and submerged arc welding
EP2942146A3 (en) * 2014-04-08 2015-12-09 Steel Flower Co., Ltd. Combination welding method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resistance welding, tungsten arc welding and submerged arc welding
CN109604848A (zh) * 2018-12-29 2019-04-12 佛山市诚德新材料有限公司 一种电阻焊与氩弧保护焊的复合焊机
CN109604848B (zh) * 2018-12-29 2024-05-07 佛山市诚德新材料有限公司 一种电阻焊与氩弧保护焊的复合焊机
CN114289838A (zh) * 2022-03-07 2022-04-08 中铁长安重工有限公司 钢卷管内焊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15658C (zh) 大直缝埋弧焊管快速生产方法
CN102294545B (zh) 一种哈斯合金导电辊激光穿透焊接焊缝成形控制方法
CN103341522A (zh) 厚壁钛焊管的生产方法及成型机
CN104801922A (zh) 一种辊道轴头断裂后的修复方法
KR101191711B1 (ko) 전기저항용접과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을 행하는 복합 용접 방법
CN103692166A (zh) 一种特厚合金钢板的制备方法
CN100581717C (zh) 热轧板线冷床小车轨道梁的制造工艺
CN108453475B (zh) 压配式钢圈的生产工艺
CN103084427B (zh) 淬硬性钢管的制造方法
CN103737253B (zh) 钢质焊接气瓶筒体的加工方法
CN103614731A (zh) 一种激光快速成形修复复合轧辊方法
KR101414552B1 (ko) 텅스텐 아크용접과 서브 머지드 아크용접을 동시에 용접하는 복합 용접 방법
CN103894702A (zh) 一种电机转子腹板裂纹焊接修复方法
KR101281294B1 (ko) 강판의 플래시버트 용접방법
CN104772362A (zh) 拉拔-钎焊制备不锈钢/碳钢复合钢筋的工艺
CN108856969A (zh) 一种中厚板t形接头全埋弧焊免开坡口的焊接方法
CN112045369A (zh) 一种高纬度地区固态激光焊机送丝稳态焊接方法
CN103470873A (zh) Co2空调压缩机壳体专用钢管及其加工工艺
CN104972214A (zh) 一种燃气轮机轴承座的电子束焊接方法
CN105171202A (zh) 一种实芯二氧化碳气体保护焊焊接单面焊双面成型焊缝的方法
CN109759678B (zh) 一种焊接方法
CN104613304A (zh) 一种铝合金导轨及其焊接方法
CN111014952A (zh) 一种冷轧25#钢固体激光焊机的焊接方法
JPH1071423A (ja) 角形鋼管ならびに角形鋼管の製造方法
JP6119691B2 (ja) 口拡げ加工性に優れた鍛接鋼管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製造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