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1226B1 - A holl-keeper tool for concrete molding veneer plate - Google Patents

A holl-keeper tool for concrete molding veneer 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1226B1
KR101191226B1 KR1020110012829A KR20110012829A KR101191226B1 KR 101191226 B1 KR101191226 B1 KR 101191226B1 KR 1020110012829 A KR1020110012829 A KR 1020110012829A KR 20110012829 A KR20110012829 A KR 20110012829A KR 101191226 B1 KR101191226 B1 KR 101191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ormwork
plywood
concrete
fin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8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92906A (en
Inventor
허문열
Original Assignee
허문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문열 filed Critical 허문열
Priority to KR1020110012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1226B1/en
Publication of KR20120092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29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2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7Plugs to close openings in forms' surface

Abstract

본 발명은 공사 현장 등에서 철근과 콘크리트를 주입하고 양생하는 거푸집 합판의 일부에 난 구멍 부분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보수하며 양생된 콘크리트의 미관을 개선하는 거푸집 합판 구멍막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거푸집에 형성된 구멍보다 크게 구성되어 구멍을 막는 마감부, 마감부에 연결되고 구멍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몸체부 및 몸체부가 구멍에 고정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특징에 의하여 거푸집에 뚫린 구멍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보수하므로 건설현장의 공사시간을 단축하고, 양생이 완료된 콘크리트의 표면에 단차가 없어 미관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mwork plywood stabilization device that quickly and easily repairs a portion of a formwork plywood injected and reinforced with rebar and concrete at a construction site, and improves the appearance of cured concrete. It is large and constructed to close the hole, the body part is connected to the finish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hole and fixed to the hole, and the support portion to support the body to be fixed to the hole by the feature to quickly and conveniently repair the hole drilled in the construction The construction time of the site is shortened and there is no step on the surface of the cured concrete, thereby improving the aesthetics.

Description

거푸집 합판 구멍막이 장치{A holl-keeper tool for concrete molding veneer plate}Formwork plywood sealing device {A holl-keeper tool for concrete molding veneer plate}

본 발명은 거푸집 합판 구멍막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사 현장 등에서 철근과 콘크리트를 주입하고 양생하는 거푸집 합판의 일부에 난 구멍 부분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보수하며 양생된 콘크리트의 미관을 개선하는 거푸집 합판 구멍막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mwork plywood device, more specifically, a formwork plywood to quickly and easily repair the hole portion in the part of the formwork plywood to inject reinforcing steel and concrete at the construction site, and to improve the appearance of the cured concrete It relates to a membrane device.

건축 및 토목 현장에서는 반죽되어 묽은 상태의 콘크리트를 주입하고(타설하고) 양생을 통하여 굳을 때 까지 틀 형상을 유지하는 거푸집을 다수 사용한다. In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sites, many formwork is used to inject (pour) diluted concrete and maintain the mold shape until it hardens through curing.

거푸집은 다양한 구조 및 형상을 하고 규격 단위로 이루어지며, 콘크리트와 접하는 부분은 합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합판의 뒷면은 주입된 콘크리트의 압력을 지지하기 위하여 강철 또는 목재의 프레임이 지지하는 구조가 일반적이다. Formwork has various structures and shapes and consists of standard units, and the part contacting concrete is generally composed of plywood. The back of the plywood is generally a structure supported by a frame of steel or wood to support the pressure of the injected concrete.

콘크리트는 그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철근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다양한 이유에 의하여 철근을 거푸집 밖으로 인출하는 경우가 있고, 철근을 인출하기 위하여 해당 거푸집에 구멍을 뚫어야 한다. It is common to use reinforcing bars to increase the strength of concrete, and the reinforcing bars may be pulled out of the formwork for various reasons.

철근은 다양한 규격의 굵기를 하므로 거푸집의 구멍은 인출되는 철근의 굵기에 대응하여 다양한 크기로 형성된다. Since the reinforcing bars are of various sizes, the holes of the formwork are formed in various sizes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es of the reinforcing bars.

거푸집에 구멍이 형성된 경우, 반죽되어 묽은 콘크리트가 구멍을 통하여 외부에 누출되므로, 구멍을 막는 보수작업을 하기 전에는 해당 거푸집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If the formwork is formed with holes, since the kneaded and dilute concrete leaks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l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ormwork cannot be used before repairing the holes.

거푸집에 구멍이 형성되었다고 재사용하지 않는 경우 경제적 손실이 크므로 구멍을 보수하여 다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If you do not reuse a hole in the formwork, the economic loss is large, so it is common to repair and use the hole again.

종래 기술은 거푸집에 형성된 구멍을 보수하기 위하여 같은 종류의 합판 조각으로 구멍 주변을 덧씌우는 방식이다. The prior art is to cover the hole with a piece of plywood of the same kind to repair the hole formed in the formwork.

이러한 종래 기술은 뚫어진 구멍을 막는 보수를 위하여 합판을 조각내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또한, 조각난 합판의 규격이 일정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This prior art takes a lot of time to cut the plywood for the repair to block the perforated hole, and also has a problem that the specifications of the fragmented plywood is not constant.

그러므로 거푸집에 뚫린 구멍의 보수를 위한 작업 시간이 길어지고 양생이 완료된 콘크리트 표면에 균일하지 않은 단층이 발생하여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다.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ork time for repairing the hole drilled in the formwork is long and a non-uniform monolayer occurs on the concrete surface where curing is completed, thereby damaging the aesthetics.

따라서 거푸집에 뚫린 구멍을 막는 보수 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진행하며 양생된 콘크리트의 미관을 해치지 않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technology that can quickly and easily perform maintenance work to block the holes drilled in the formwork and does not harm the beauty of the cured concrete.

상기와 같은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다양하게 규격화된 마개를 구비하여 거푸집의 구멍 보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진행하는 거푸집 합판의 구멍막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necessity is to provide a hole-plywood device of the formwork plywood to quickly and easily carry out the hole repair of the formwork with various standardized stopper.

본 발명은 거푸집의 뚫린 구멍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보수하며, 양생이 완료된 콘크리트의 표면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아 미관을 개선하는 거푸집 합판의 구멍막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vice for forming a plywood plywood to quickly and easily repair a drilled hole of a formwork, and to improve aesthetics because no step occurs on the surface of the cured concrete.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거푸집 합판 구멍막이 장치는 거푸집 합판 구멍막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의 합판에 형성된 구멍보다 크게 제작되어 상기 구멍을 막는 마감부와, 상기 마감부에 연결되고 상기 구멍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Formwork plywood hole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rmwork plywood hole blocking device is made larger than the hole formed in the plywood of the formwork to block the hole, and connected to the finishing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hole It may include a body portion is fixed.

상기 몸체부는 마감부의 외경보다 그 직경이 작은 중심기둥 및 상기 중심기둥의 외부에 바깥방향으로 돌출된 1 개 이상의 돌기를 구비하되, 상기 돌기는 그 최대 직경이 상기 중심기둥의 직경보다 큰 탄성체로서 상기 중심기둥의 중심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기 마감부의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The body portion includes a central pillar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an outer diameter of the finishing portion and at least one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center pillar, wherein the protrusion is an elastic body having a maximum diameter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central pillar. It may be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finish portion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central column.

상기 몸체부에 연결된 지지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중심기둥이 상기 거푸집의 구멍을 통과할 때는 굽혀지고 통과된 뒤에는 다시 벌어져 상기 거푸집 합판 구멍막이 장치를 상기 구멍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support part connected to the body part, wherein the support part is bent when passing through the hole of the formwork and then opened again after passing through the hole of the formwork to fix the formwork plywood hole membrane device to the hole. do.

상기 몸체부는 2 개 이상의 다수로 갈라지고 탄성을 가질 수 있다.
The body portion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and have elasticity.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규격화된 구멍막이 장치를 이용하여 거푸집에 뚫린 구멍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보수하므로 건설현장의 공사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conveniently repair the holes drilled in the formwork using the standard hole blocking device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nstruction time of the construction site.

또한, 건설현장에서 구멍이 보수된 거푸집으로 틀을 만들고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양생이 완료된 콘크리트의 표면에 단차가 없으며 미관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no step in the surface of the concrete is cured by making a mold with a mold repaired hole in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 concrete is cur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appearance is improved.

도 1 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일실시 예에 의한 거푸집의 절단면 도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거푸집 합판 구멍막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거푸집 합판 구멍막이 장치의 A-A 선 절단면 도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거푸집 합판 구멍막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절단면 도시도,
그리고
도 5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거푸집 합판 구멍막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절단면 도시도 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rmwor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o explain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ormwork plywood hole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the formwork plywood hole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formwork plywood hole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5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ormwork plywood hole block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As the inventive concept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 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일실시 예에 의한 거푸집의 절단면 도시도 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거푸집 합판 구멍막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거푸집 합판 구멍막이 장치의 A-A 선 절단면 도시도 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rmwor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o explain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ormwork plywood hole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the die plywood hole blo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1 을 참조하면 거푸집(900)은 합판(910)과 프레임(920)으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formwork 900 includes a plywood 910 and a frame 920.

거푸집은 건설현장에서 다수가 연결되어 하나의 틀로 만들어지고 틀 속에 반죽된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건조시키므로 기둥, 벽체 등을 성형하는 것으로 판넬(패널)이라고도 한다. Formwork is connected to the construction site and made into a single frame, and dried by injecting the concrete kneaded in the frame, it is also called a panel (panel) to form pillars, walls and the like.

합판(910)은 반죽상태의 콘크리트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 비교적 평편하다. Plywood 910 is a relatively flat portion in direct contact with the concrete of the dough state.

프레임(920)은 합판(910)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합판(910)이 콘크리트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 뒷부분의 테두리로 이루어지고, 보강을 위한 칸막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The frame 920 is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plywood 910, the plywood 910 is made of a border of the back portion does not directly contact with concrete, it may further include a partition for reinforcement.

최근에는 프레임(920)으로 철제를 사용하여 규격화하고 조립과 해체가 편리하며 반복 재사용이 용이하고 수명이 긴 유로폼(euro form)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the frame 920 is standardized using steel, and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are convenient, easy to reuse repeatedly, and a long life form of euro form has been used.

거푸집 또는 유로폼(이하, ‘거푸집’이라 한다.)은 다수를 연결하여 건설에 필요한 기둥, 벽체 등의 형상을 하는 틀을 제작한다. Formwork or euroforms (hereinafter referred to as 'forms') form a frame that connects many to form pillars, walls, etc. for construction.

거푸집(900)으로 만들어진 틀 속에는 반죽 상태의 콘크리트가 주입되고, 주입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양생되어 고형화된 콘크리트로부터 거푸집(900)을 분리하여 다시 사용한다. In the mold made of formwork 900, the concrete of the dough state is injected, and when curing of the injected concrete is completed, the formwork 900 is separated from the cured and solidified concrete and used again.

양생은 콘크리트가 완전히 굳을 때까지 적당한 수분을 유지하고 충격을 받거나 얼지 않도록 보호하는 과정이다. Curing is the process of maintaining adequate moisture and protecting it from impact or freezing until the concrete is completely hardened.

콘크리트는 자체의 강도가 약하므로 철근을 사용하여 강도를 높이고 있으며 이러한 것을 철근 콘크리트라 한다. Because concrete is weak in its own strength, reinforced steel is used to increase the strength, which is called reinforced concrete.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철근은 여러 가지 이유에 의하여 처음부터 거푸집의 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가 있으며, 철근을 노출시키기 위하여 거푸집에 구멍(930)을 뚫는다. Reinforcing bars used to increase the strength of concrete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ormwork from the beginning for various reasons, and a hole 930 is drilled in the formwork to expose the reinforcing bars.

콘크리트의 필요로 하는 강도에 따라 사용되는 철근의 굵기가 다를 수 있다. Depending on the required strength of the concrete, the thickness of the rebars used may vary.

철근의 지름 굵기는 일반적으로 10 밀리미터(mm)부터 3 미리 단위의 간격으로 굵어지며 35 밀리미터 이상 굵기의 철근은 잘 사용하지 않으며, 길이는 8, 10, 12 미터(m) 단위로 생산한다. Reinforcing bars are generally thickened at intervals of 10 millimeters (mm) to 3 millimeters. Rebars of 35 millimeters or more are rarely used and are produced in lengths of 8, 10 and 12 meters (m).

구멍(930)이 뚫린 거푸집(900)을 다시 사용하는 경우, 반죽 상태의 콘크리트가 구멍(930)을 통하여 흘러내려 낭비되는 동시에 양생이 끝난 상태의 콘크리트는 구멍 크기의 흠집이 남게 된다. In the case of using the formwork 900 in which the hole 930 is drilled again, the kneaded concrete flows down through the hole 930 and is wasted, while the concrete of the curing state is left with scratches of the hole size.

또한, 거푸집(900)의 구멍(930)을 통하여 흘러내린 콘크리트에 의하여 건설공사 현장의 주변 미관이 나빠진다. In addition, the peripheral beauty of the construction site is deteriorated by the concrete flowed through the hole 930 of the formwork 900.

이러한 거푸집(900)의 구멍(930)을 막아 틀에 주입된 반죽 상태의 콘크리트가 누설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It is necessary to block the hole 930 of the formwork 900 so that the dough-like concrete injected into the mold does not leak.

구멍(9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거푸집 합판 구멍막이 장치(1000)에 의하여 신속하고 간단하며 편리하게 막을 수 있다. The hole 930 can be quickly, simply and conveniently blocked by the formwork plywood hole membran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거푸집 합판 구멍막이 장치(1000)는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Formwork plywood hole blocking device 10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gai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elow.

첨부된 도 2 를 참조하면, 거푸집 합판 구멍막이 장치(1000)는 마감부(1100)와 몸체부(1200)와 지지부(1300)와 돌기부(14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Referring to FIG. 2, the formwork plywood hole diaphragm 1000 includes a finishing part 1100, a body part 1200, a support part 1300, and a protrusion 1400.

마감부(1100)는 콘크리트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 원형이며 평편하고, 도 1 에서의 막아야 되는 구멍(930)의 크기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nish 1100 is a portion that is in direct contact with concrete and is circular and flat, preferably larger than the size of the hole 930 to be blocked in FIG. 1.

몸체부(1200)는 구멍(630)의 지름 크기보다 작으며, 길이는 도 1 에서의 합판(910) 두께와 유사한 것이 바람직하고, 마감부(1100)에 일 끝단을 연결하며 구멍(930)에 삽입된다. The body portion 1200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le 630, the length is preferably similar to the thickness of the plywood 910 in Figure 1, and connects one end to the finish portion 1100 and to the hole 930 Is inserted.

몸체부(1200)의 절단면은 원형, 사각형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상을 하고, 직사각 형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ut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200 may have any one of a circular shape and a quadrangular shape, and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지지부(1300)는 몸체부(1200)의 다른 끝단에 연결되고 몸체부(1200)가 구멍에 삽입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하며, 구멍의 크기와 비슷한 것이 바람직하다. The support part 130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ody part 1200 and prevents the body part 1200 from being inserted into and separated from the hole, and is preferably similar in size to the hole.

또한, 지지부(1300)는 몸체부(1200)에 연결된 마감부(1100)가 도 1 에서의 합판(910) 표면에 밀착하도록 탄성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 part 1300 may have elasticity such that the finish part 1100 connected to the body part 1200 closely contacts the surface of the plywood 910 in FIG. 1.

돌기부(1400)는 몸체부(1200)의 주변에 구성되고 마감부(1100)를 향하여 기울어지면서 수평 이상의 각도를 형성하며 탄성을 갖고 2 개 이상의 다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otruding portion 1400 is configured around the body portion 1200 and is inclined toward the finish portion 1100 to form an angle of horizontal or more, it is preferable to have a plurality of two or more elastic.

첨부된 도면에서는 몸체부(1200)가 사각형상을 하고 돌기부(1400)를 양쪽으로 각각 4 개가 구성된 상태로 도시하고 있으나, 몸체부를 원형상, 타원형상, 십자형상 등과 같이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lthough the body portion 1200 has a quadrangular shape and four protrusions 1400 are formed on each side, the body portion 1200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shape, an elliptical shape, a cross shape, and the like.

또한, 몸체부(1200)의 길이 또는 합판(910)의 두께에 따라 돌기부(1400)의 구성 숫자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body portion 1200 or the thickness of the plywood 910 it is obvious that the configuration number of the protrusion 1400 can be arbitrarily changed.

돌기부(1400)는 구멍(930)에 삽입되면, 탄성으로 구멍(930)의 벽을 지지하므로 몸체부(1200)가 구멍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몸체부(1200)가 구멍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또한, 돌기부(1400)의 탄성에 의하여 몸체부(1200)가 구멍(930)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한다. When the protrusions 1400 are inserted into the holes 930, the protrusions 1400 elastically support the walls of the holes 930 so that the body parts 1200 do not move from the holes and at the same time, the body parts 1200 are fixed so as not to escape from the holes. . In addition, the body portion 1200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hole 930 by the elasticity of the protrusion 1400.

돌기부(1400)의 탄성에 의하여 좁아지고 넓어지는 굵기 값이 변하므로 몸체부(1200)가 삽입될 수 있는 구멍(930)의 크기 값이 일정한 범위 값을 가질 수 있다. Since the thickness value narrowed and widened by the elasticity of the protrusion 1400 is changed, the size value of the hole 930 into which the body portion 1200 may be inserted may have a predetermined range value.

한편, 돌기부(1400)는 마감부(1100)를 향하여 기울어지면서 수평 이상의 각도를 가지므로 구멍(9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자력으로는 구멍(930)으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는 장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protrusion 1400 is inclined toward the finish portion 1100 and has an angle greater than or equal to horizontal, magnetic protrusion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hole 930 does not allow it to be separated from the hole 930.

그리고 돌기부(1400)의 탄성에 의하여 마감부(1100)가 합판(910)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finish part 110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plywood 910 by the elasticity of the protrusion 1400.

첨부된 도 3 을 참조하면, 도 2 에 도시된 거푸집 합판 구멍막이 장치(1000)의 A-A 선 절단면 도시도이며, 돌기부(1400)가 마감부(1100)를 향하여 기울어지면서 수평 이상의 각도를 형성하므로 탄성을 가지는 구조이다. Referring to FIG. 3, it is an AA-line cutaway view of the formwork plywood hole device 1000 shown in FIG. 2, and the protrusion 1400 is inclined toward the finish part 1100, thereby forming an angle greater than or equal to elastic. It has a structure.

몸체부(1200)의 양쪽 끝단에는 각각 마감부(1100)와 지지부(1300)가 연결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1200 are configured in a state in which the finishing portion 1100 and the support portion 1300 are connected, respectively.

거푸집 합판 구멍막이 장치(1000)는 합성수지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Formwork plywood hole blocking device 1000 is preferably composed of synthetic resins, but other materials may be used.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거푸집 합판 구멍막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절단면 도시도 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ormwork plywood hole block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제 2 실시 예에 의한 거푸집 합판 구멍막이 장치(2000)는 마감부(2100), 몸체부(2200), 지지부(23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rmwork plywood hole diaphragm 20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finish portion 2100, the body portion 2200, the support portion 2300.

마감부는 도 1 에서의 구멍(930) 크기보다 크고, 몸체부(2200)는 도 1 에서의 구멍(930)에 들어갈 수 있으며, 지지부(2300)는 마감부(2100)를 향하여 수평 이상의 각도를 갖는다. The finish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hole 930 in FIG. 1, the body portion 2200 can enter the hole 930 in FIG. 1, and the support portion 2300 has an angle above the horizontal toward the finish portion 2100. .

마감부(2100) 및 몸체부(2200)는 제 1 실시 예의 마감부(1100) 및 몸체부(120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하지 않기로 한다. Since the finishing part 2100 and the body part 2200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nishing part 1100 and the body part 1200 of the first embodiment, the description will not be repeated.

지지부(2300)는 구멍(930) 속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마감부(2100)를 향하여 수평이상으로 형성된 각도에 의하여 몸체부(2200)가 구멍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몸체부(2200)가 구멍(930)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한다. The support part 2300 prevents the body part 22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ole by an angle formed horizontally toward the finish part 2100 when the inserted state is maintained in the hole 930. In addition, the body portion 2200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hole 930.

한편, 지지부(2300)가 구멍(930)을 통과하여 밖으로 나오는 경우는 지지부(2300)가 펴지면서 구멍(930)의 크기보다 커지므로 몸체부(2200)가 충격을 받는 경우에도 구멍으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킨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upport part 2300 comes out through the hole 930, the support part 2300 expands and become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hole 930 so that the body part 2200 may not be separated from the hole even when the body part 2200 is impacted. Fix it.

또한, 지지부(2300)의 탄성에 의하여 마감부(2100)가 합판(910)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inish portion 21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plywood 910 by the elasticity of the support portion 2300.

도 5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거푸집 합판 구멍막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절단면 도시도 이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ormwork plywood hole block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제 3 실시 예에 의한 거푸집 합판 구멍막이 장치(3000)는 마감부(3100), 몸체부(3200), 지지부(33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rmwork plywood hole sealing device 30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finish portion 3100, the body portion 3200, the support portion 3300.

마감부(3100)는 도 1 에서의 구멍(930)의 크기보다 크게 구성되고 평편하여 구멍(930)을 막을 수 있다. The finish 3100 may be configured to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hole 930 in FIG. 1 and flat to block the hole 930.

몸체부(3200)는 마감부(3100)에 연결되고 2 개 이상의 다수로 갈라지며 바깥쪽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다. The body portion 3200 is connected to the finish portion 3100 and is divided into two or more and has elasticity in the outward direction.

지지부(3300)는 몸체부(3200)에 연결되고 마감부(3100)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수평 이상의 각도를 갖는다. The support part 3300 is connected to the body part 3200 and is inclined toward the finish part 3100 and has an angl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horizontal part.

몸체부(3200)는 구멍(930)에 삽입되어 구멍(930)의 중간에 위치하는 경우 지지부(3300)를 구멍(930)의 벽에 밀착하도록 탄성을 발생하므로 마감부(3100)가 구멍(930)을 중심부터 막도록 한다. When the body 3200 is inserted into the hole 930 and positioned in the middle of the hole 930, the body 3200 generates elasticity to closely adhere to the wall of the hole 930. ) From the center.

한편, 몸체부(3200)가 구멍(930)을 통과하여 밖으로 나오는 경우, 탄성에 의하여 몸체부(3200)가 펴지면서 마감부(3100)를 도 1 에서의 합판(910) 표면에 밀착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body portion 3200 comes out through the hole 930, the body portion 3200 is stretched by elasticity to close the finish portion 3100 to the surface of the plywood 910 in FIG.

이때의 지지부(3300)는 구멍의 크기보다 더 크게 펴지므로 거푸집 합판 구멍막이 장치(3000)에 충격이 외부로부터 인가되어도 삽입된 구멍(930)으로부터 거푸집 합판 구멍막이 장치(300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At this time, since the support part 3300 extend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hole, the formwork plywood hole device 3000 is not separated from the inserted hole 930 even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formwork device device from the outside. .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900 : 거푸집 910 : 합판
920 : 프레임 930 : 구멍
1000, 2000, 3000 : 거푸집 합판 구멍막이 장치
1100, 2100, 3100 : 마감부
1200, 2200, 3200 : 몸체부
1300, 2300, 3300 : 지지부
1400 : 돌기부
900 formwork 910 plywood
920 frame 930 hole
1000, 2000, 3000: Formwork Plywood Perforated Devices
1100, 2100, 3100: finish
1200, 2200, 3200: body
1300, 2300, 3300: support part
1400: projection

Claims (4)

삭제delete 거푸집 합판 구멍막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의 합판에 형성된 구멍보다 크게 제작되어 상기 구멍을 막는 마감부;
상기 마감부에 연결되고 상기 구멍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몸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마감부의 외경보다 그 직경이 작은 중심기둥; 및
상기 중심기둥의 외부에 바깥방향으로 돌출된 1 개 이상의 돌기를 구비하되, 상기 돌기는 그 최대 직경이 상기 중심기둥의 직경보다 큰 탄성체로서 상기 중심기둥의 중심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기 마감부의 방향으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합판 구멍막이 장치.
In formwork plywood diaphragm device,
A finishing part which is made larger than a hole formed in the plywood of the formwork and blocks the hole;
A body part connected to the finish part and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hole; Including,
The body portion
A central column whose diameter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finish portion; And
One or more protrusions protruding outwardly on the outside of the central pillar, wherein the protrusion is an elastic body whose maximum diameter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entral pillar, and the finishing por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central pillar. Formwork plywood ho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clined in the direc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연결된 지지부; 를 더 구비하되,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중심기둥이 상기 거푸집의 구멍을 통과할 때는 굽혀지고 통과된 뒤에는 다시 벌어져 상기 거푸집 합판 구멍막이 장치를 상기 구멍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합판 구멍막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 support part connected to the body part; With more,
The support portion
When the central pillar of the body portion passes through the hole of the formwork is bent and opened again after passing through the formwork plywood ho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fix the formwork plywood device to the hole.

삭제delete
KR1020110012829A 2011-02-14 2011-02-14 A holl-keeper tool for concrete molding veneer plate KR1011912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829A KR101191226B1 (en) 2011-02-14 2011-02-14 A holl-keeper tool for concrete molding veneer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829A KR101191226B1 (en) 2011-02-14 2011-02-14 A holl-keeper tool for concrete molding veneer pl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906A KR20120092906A (en) 2012-08-22
KR101191226B1 true KR101191226B1 (en) 2012-10-15

Family

ID=46884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829A KR101191226B1 (en) 2011-02-14 2011-02-14 A holl-keeper tool for concrete molding veneer pl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122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254U (en) 2019-04-04 2020-10-14 최거철 Hole repair membrane device of formwork panel
KR20210006237A (en) 2019-07-08 2021-01-18 주식회사 참코청하 Onion peeling ma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6314B1 (en) * 2019-07-26 2021-09-29 금강공업 주식회사 Aluminum form panel assembly for construction
GB2618608A (en) * 2022-05-13 2023-11-15 Shaun Odonoghue A stopper for closing a ho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254U (en) 2019-04-04 2020-10-14 최거철 Hole repair membrane device of formwork panel
KR20210006237A (en) 2019-07-08 2021-01-18 주식회사 참코청하 Onion peel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906A (en) 201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1226B1 (en) A holl-keeper tool for concrete molding veneer plate
JP2008535707A (en) Segment of prestressed concrete gird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1801270B1 (en)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exposed concrete wall
KR102000534B1 (en) Construction method using textile reinforcing panel of high durability for combined usage of permanent form
ITBO20110611A1 (en) METHOD FOR REINFORCING A WALL AND CORRESPONDING STRUCTURE REINFORCEMENT SYSTEM
KR101770172B1 (en)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exposed concrete process
KR101843904B1 (en) Post-Tensioned Anchor
KR20110076722A (en) Construction mold panel
KR102615967B1 (en)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device of concrete piles
KR20180097830A (en) Fiber reinforced spacer and manufacturing device thereof
KR20110102769A (en) Construction mold panel
CN201714085U (en) Shear wall door opening side molding plate reinforcing device
KR101812955B1 (en)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exposed concrete process
JP2010240905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ribbed cement panel, ribbed cement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ructure
CN205224600U (en) Shear force wall outside template screw rod fastener
JP2019108717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iber-reinforced concrete member, method for manufacturing sacrificial form, and fiber-reinforced concrete member
KR200437916Y1 (en) Clamping apparatus of form for concrete
KR101859287B1 (en) Removing method of concrete mold form
KR100728736B1 (en) Formwork bracing
KR200487746Y1 (en) Improving Molding Case
KR200179051Y1 (en) Concrete form
JP6616130B2 (en) Method for repairing cracks in extrusion-molded plate and repair structure
KR200393441Y1 (en) Euro-form frame
KR101335446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member using perforated panel
KR101803487B1 (en) Reinforcement for Connecting form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