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0767B1 - 보도포장용 석재블럭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보도포장용 석재블럭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0767B1
KR101190767B1 KR1020100024644A KR20100024644A KR101190767B1 KR 101190767 B1 KR101190767 B1 KR 101190767B1 KR 1020100024644 A KR1020100024644 A KR 1020100024644A KR 20100024644 A KR20100024644 A KR 20100024644A KR 101190767 B1 KR101190767 B1 KR 101190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block
mortar
cement
concrete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4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5487A (ko
Inventor
이익규
Original Assignee
바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4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0767B1/ko
Publication of KR20110105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0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0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도포장용 석재블럭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저면에 몰탈이 일정부분 침투되어 요철결합될 수 있어 별도의 접착제 없이 건식 시공으로도 서로 물성이 다른 시멘트(콘크리트)와 석재블럭 간의 결합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과 팽창에도 위치 이탈(분리)이 억제되면서 충격 흡수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달성하긴 기술적 수단으로 본 발명은 지면 바닥의 시멘트(콘크리트) 위로 석재블럭이 안착 설치되는 보도포장용 석재블럭을 구성함에 있어서, 시멘트 쪽의 상기 석재블럭의 밑면으로 상기 시멘트(콘크리트) 위의 몰탈이 침투 충진되어 일체 구조로 결합될 수 있도록 두께의 1/3~1/2 내외 깊이로 다수의 요철홈이 절결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석재블럭은 밑면에 형성된 다수의 요철홈으로 시공 작업 전에 몰탈의 윗면이 침투 충진되어 일체 구조화된 상태에서 시공 작업시 시멘트(콘크리트) 위의 몰탈에 대해 상기 석재블럭 밑면의 몰탈이 결합 고정된 구성상의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보도포장용 석재블럭 및 그 시공방법 {Stone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 Of For Side Walk Packing}
본 발명은 시멘트와의 결합력을 구조적으로 강화시킨 보도포장용 석재블럭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면에 몰탈이 일정부분 침투되어 요철결합될 수 있어 별도의 접착제 없이 건식 시공으로도 서로 물성이 다른 시멘트(콘크리트)와 석재블럭 간의 결합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과 팽창에도 위치 이탈(분리)이 억제되면서 충격 흡수도 배가시킬 수 있는 보도포장용 석재블럭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콘트리트 시멘트블럭을 대체하여 상대적으로 비용은 많이 들지만 내구성(강도) 및 장식성(석재 고유의 자연적인 질감 및 문양) 모두에서 그 효과가 우수한 석재블럭이 점차 도로 보도포장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보도포장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석재블럭은 강도가 대략 1,600 정도로 시멘트블럭에 비해 월등한 내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빗물과 같은 수분을 자체 흡수할 수 있는 흡수율은 0.3 정도에 그쳐 온도변화에 따른 팽창이나 수축이 구조적으로 적어 당연히 시멘트블럭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그 사용수명이 길다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고유한 질감과 우수한 강도를 갖는 석재는 건축용, 토목용 및 공예용에 걸쳐 다양하게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천연자재로서의 자연 고유의 색상들이 변질되지 않아 디자인 장식성이 높다는 특징적인 장점이 있다.
한편, 보도포장용으로 적용되는 석재블럭은 통상 그 두께가 30-40㎜ 정도로 적용되는 것이 보통이며, 바닥 모래층 위의 콘크리트쪽으로 안착 설치되어 외부 노출되지 않고 숨겨지는 밑면의 경우 절삭면으로 #200 정도로 가공 처리된 상태에서 몰탈을 사이로 콘트리트 위에 설치 고정되고 있다.
그런데 보도포장용으로 적용 설치되는 석재블럭은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통상 바닥 모래층(40) 위의 콘크리트(30) 위로 설치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인 시공구조인데, 이는 바닥의 토질상태에 따라 시멘트(콘크리트)(30)의 일정 두께를 타설한 다음, 몰탈(20)을 이용하여 그 위에 석재블럭(10)을 올려놓는 접착공법으로 시공되고 있다.
이러한 시멘트 접착공법으로 시공할 경우에도, 시공 후 몇년 지나지 않아 서로 물성(재질)이 다른 석재블럭(10)과 시멘트(콘크리트)(30) 간의 접착된 결합부위가 이탈되어 많은 하자가 발생되고 있다. 이는 대한민국 전역이 동절기와 하절기 간의 온도 변화가 50-60℃ 정도로 그 간격이 큰 만큼 많은 변화에 따른 하자가 발생될 수밖에 없다.
결국 외부 노출된 석재블럭(10)의 온도를 바닥쪽에 위치한 시멘트(콘크리트)(30)가 흡수해야 하나 서로간 강도의 차이로 열전도율이 떨어지며, 이와 같은 현상에서 석재블럭은 하절기 50도의 열이 발생될 경우에 시멘트가 50도의 열을 흡수해야 하나, 시멘트의 강도가 250 일때 1,500 : 250 비율의 강도 차이로 인해 열전도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때 취약할 수밖에 없는 석재블럭(10)과 시멘트(콘크리트)(30) 간의 접착부위(피막)가 쉽게 떨어지게 된다. 즉, 석재의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과 함께 시멘트(콘크리트)(30) 역시 온도 변화되면서 수축현상이 발생되어 서로 간의 접착상태가 불량해져 위치 고정된 결합력이 약해지면서 석재블럭의 위치 이탈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온도 변화가 상대적으로 심한 동절기의 경우, 시멘트의 높은 흡수율로 인해 팽창되는 현상이 더욱 심할 수밖에 없어, 동절기에 석재블럭의 위치 이탈현상이 더욱 문제될 수 있다.
또한 석재블럭의 시공구조에서 문제되는 것이 충격인데, 석재블럭은 강도가 강하여 전달되는 충격이 크다. 이와는 달리 시멘트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하여 충격 흡수가 적다. 따라서 습식 시공구조의 경우에도 석재블럭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석재블럭과 시멘트 간의 접착부위가 떨어지게 되어 하자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곤란하였다.
이는 결국, 단순 형태의 석재블럭을 시멘트(콘크리트) 위에 설치 고정되는 시공구조에서는 시멘트로부터 석재블럭이 미끄러지는 현상과 기울어지는 현상을 막기 곤란하였다.
또한 석재블럭을 시공하기 위해 현행 시멘트(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석재블럭을 시공할 경우, 제거 비용이 많이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현재 사용중인 시멘트블럭을 사용할 경우에도 당연히 물성적으로 구조적으로 퇴색 등 파손으로 유지보수가 빈번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순 형태의 석재블럭으로서 물성이 다른 바닥쪽의 시멘트(콘크리트)에 설치 결합되어 강도 및 열전도율의 차이로 인해 시멘트로부터 쉽게 박리 이탈되는 기존 석재블럭의 제반 문제점을 구조적으로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시멘트 위로 석재블럭을 안착 설치함에 있어 석재블럭의 저면으로 접착제 및 완충재 역할을 하는 몰탈이 일정부분 침투되어 요철결합될 수 있어 석재블럭의 접착면적을 구조적으로 넓어질 수 있도록 하여, 물성이 다른 시멘트(콘크리트)와 석재블럭 간의 결합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바, 시공 후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과 팽창과 같은 물성 변화는 물론 외부 충격에 대해서도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새로운 결합구조의 보도포장용 석재블럭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도포장용 석재블럭은, 지면 바닥의 시멘트(콘크리트) 위로 석재블럭이 안착 설치되는 보도포장용 석재블럭을 구성함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시멘트 쪽의 상기 석재블럭의 밑면으로 상기 시멘트(콘크리트) 위의 몰탈이 침투 충진되어 일체 구조로 결합될 수 있도록 두께의 1/3~1/2 내외 깊이로 다수의 이 절결 형성된 구성상의 특징을 이룬다.
또한 상기 석재블럭은 밑면에 형성된 다수의 으로 시공 작업 전에 몰탈의 윗면이 침투 충진되어 일체 구조화된 상태에서 시공 작업시 시멘트(콘크리트) 위의 몰탈에 대해 상기 석재블럭 밑면의 몰탈이 결합 고정된 응용 구조의 구성상 특징을 이룰 수 있다. 특히 상기 석재블럭 밑면에 시공 작업 전에 일체 구조화되는 몰탈은 상기 석재블럭의 두께와 동일 수준의 두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석재블럭을 적용시키는 보도포장용 석재블럭의 시공방법은, 기본적으로 잘 다듬어진 지면 바닥 위로 모래층을 균일하게 포설하고, 상기 모래층 위를 시멘트(콘크리트)로 타설시키고 그 위로 몰탈을 도포시킨 다음, 밑면에 다수의 이 절결 형성된 석재블럭을 안착 설치하여 아래쪽의 상기 몰탈의 상측이 침투 충진되어 일체 구조로 결합되도록 시공 처리한다.
또한 상기 석재블럭은 시멘트(콘크리트)에 도포시킨 몰탈 위로 안착 결합시키기 전의 사전 작업으로 몰탈을 이 절결 형성된 상기 석재블럭의 밑면에 결합시켜 몰탈이 일체 구조화된 상태의 상기 석재블럭을 시멘트(콘크리트) 위의 몰탈에 대해 안착 설치하여 동일 재질인 상하 몰탈 간이 일체 결합되도록 시공 처리할 수도 있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도포장용 석재블럭 및 그 시공방법은 기존의 석재블럭과는 달리, 기본적으로 밑면에 몰탈과의 접합면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절결 형성시킴으로서 시멘트와의 접착면을 구조적으로 강하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시공작업 전에 1차적으로 석재블럭의 밑면에 몰탈을 일체 구조화시킨 상태에서 동일 재질의 몰탈이 도포된 콘크리트에 대해 설치 시공함으로서 구조적으로 물성적으로 보다 확실한 결합 고정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석재블럭의 저면에 몰탈이 일정부분 침투되어 요철결합될 수 있어, 별도의 접착제 없이 건식 시공으로도 서로 물성이 다른 시멘트(콘크리트)와 석재블럭 간의 결합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과 팽창에도 위치 이탈(분리)이 억제되면서 충격 흡수도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기본적으로 석재블럭을 보도포장용으로 현장 시공함에 있어 석재블럭에 요철을 두어 접착면을 넓게 하여 접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바, 보도 유지보수의 편리성을 가져올 수 있으며, 두껍게 석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의 시공방법으로는 콘크리트 타설로 건식 시공이 불가능하였으나 석재 밑면의 으로 시멘트 몰탈이 일정 깊이 묻히도록 함으로서, 자연적으로 상기 시멘트 몰탈의 굳어짐에 따라 고정핀 역할을 하도록 하여 침하, 진동 등이 발생하여도 견고하게 보도블럭체로서 석재블럭을 지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보도포장용 석재블럭을 적용시킨 석재블럭의 시공구조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의한 보도포장용 석재블럭을 적용시킨 석재블럭의 시공구조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보도포장용 석재블럭의 시공구조에 적용되는 기본 실시예의 석재블럭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에 의한 보도포장용 석재블럭을 적용시킨 석재블럭의 시공구조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보도포장용 석재블럭의 시공구조에 적용되는 응용 실시예의 석재블럭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라 시멘트와의 접착면을 구조적으로 강화시켜 미끄러지는 현상을 억제시킬 뿐만 아니라, 충격 흡수와 흡수율을 향상 및 천연소재로서의 장식성까지도 향상되어 건식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보도포장용 석재블럭 및 그 시공방법의 구체적인 구성관계 및 원리를 첨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설명 편의상 본 발명의 석재블럭이 설치되는 바닥쪽의 콘트리트에 대해서는 시멘트와 혼용하여 기재한다.
우선 본 발명은 도 3 및 도 5의 도면에 도시한 것처럼, 지면 바닥의 시멘트(콘크리트)(30) 위로 석재블럭이 안착 설치되면서 서로 다른 이종재질의 아래쪽 콘크리트(20a)와 위쪽 석재블럭(10) 간에 구조적으로 강한 접착면을 형성하여 확실하게 일체 구조화될 수 있도록 상기 석재블럭(10)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석재블럭(10)은 콘크리트(30) 쪽의 상기 석재블럭의 밑면(16)으로 상기 시멘트(콘크리트)(30) 위에 접착(결합)수단으로 도포시킨 몰탈(20a)이 자연스럽게 침투 충진되어 일체 구조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석재블럭(10) 자체 두께의 1/3~1/2 내외 깊이로 다수의 (12)이 밑면(16)에 절결 형성된다. 이때 상기 (12)은 석재블럭(10)의 밑면 내측에 요홈되기 보다는 길이방향으로 양측이 개방되게 절결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석재블럭(10)의 재질 특성상 경제성과 작업성을 높이고자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밑면을 밋밋한 단순 직육면체의 형상이 아닌 밑면(16)이 다수의 (12)을 형성한 본 발명의 석재블럭(10)은 당연히, 콘크리트(30)에 도포된 몰탈(20a) 위로 안착 설치되면 하중에 의해 상기 몰탈(20a)이 자연스럽게 (12) 내부로 침투되어 충진되면서 경화되어 확실하게 일체 구조화될 수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굳이 습식 시공방법을 적용시키지 않고도 단순히 건식 시공방법을 통해서도 간단하게 재질이 상이한 콘크리트(30) 위에 구조적으로 확실하게 상기 석재블럭(10)을 압착 결합시켜 일체 구조화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따른 석재블럭(10)은 밑면(16)에 형성된 (12)으로 콘크리트(30)의 몰탈(20a)이 침투 충진되도록 하는 간단한 시공방법으로도, 이종 재질인 이들 콘크리트(30)와 석재블럭(1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외부 충격이나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과 팽창에도 별다른 문제없이 안정되게 일체 구조체로서 유지 보존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로서 형성되어 적용되는 석재블럭(10)은 도 2 및 도 3의 도면에서 보듯이, 기본적으로 잘 다듬어진 지면 바닥 위로 모래층(40)을 균일하게 포설시킨 다음, 상기 모래층(40) 위로 당연히 시멘트(콘크리트)(30)를 타설시키고 그 위에 석재블럭(10)을 안착 설치하기 전에 접착 및 완충수단으로 몰탈(20a)을 도포시킨다.
그리고 밑면에 다수의 (12)이 절결 형성된 석재블럭(10)을 콘크리트(30) 위면의 몰탈(20a) 위로 올려놓고 압지시켜 설치하면, 자연스럽게 아래쪽의 상기 몰탈(20a)의 상측이 상기 석재블럭(10)의 (12)으로 침투 충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몰탈(20a)은 대략 60㎜의 박판 구조인 석재블럭(10)에 대해 1/3 수준의 두께를 유지함으로서 외부 충격에 대한 완화층으로서도 보다 안정된 충격 흡수구조를 이룸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모래층 위쪽의 바닥을 형성하는 콘크리트(30)는 대략 200㎜ 정도의 비교적 두터운 지지층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2 및 도 3의 기본 실시예와는 달리, 도 4 및 도 5의 응용 실시예의 도면에서와 같이 석재블럭(10)을 시공 작업 전에 미리 별도의 몰탈(20b)로서 제품화시켜 콘크리트(30) 위에 도포시키는 몰탈(20a)과 동일 재질로서 보다 확실하게 상호 결합 고정되게 할 수도 있다.
즉, 석재블럭(10)을 기본 실시예에서 콘크리트(30)의 몰탈(20a)에 직접 결합시키는 두께의 구조라 아니라, 기본 실시예에 의한 석재블럭(10)과는 달리 반 정도의 두께인 대략 30㎜ 내외로 보다 얇은 박판 형태로서 사전에 1차적으로 별도의 몰탈(20b)을 (12)이 형성된 밑면으로 일체 결합시켜 이를 콘크리트(30)의 몰탈(20a)에 대해 동일 재질로서 확실하게 결합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이들 석재블럭(10)과 몰탈(20b)이 기본 실시예서의 독립적인 석재블럭(10)과 같은 60㎜ 수준의 두께로 다시 형성 유지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10 : 석재블럭 12 : 요철홈
20a,20b : 몰탈 30 : 시멘트(콘크리트)
40 : 모래층

Claims (5)

  1. 지면 바닥의 시멘트(콘크리트)(30) 위로 석재블럭(10)이 안착 설치되는 보도포장용 석재블럭(10)을 구성함에 있어서,
    시멘트(콘크리트)(30) 쪽의 상기 석재블럭(10) 밑면으로 상기 시멘트(콘크리트)(30) 위의 몰탈(20a)이 침투 충진되어 일체 구조로 결합될 수 있도록, 석재블록(10) 자체 두께의 1/3~1/2 내외 깊이로 다수의 요철홈(12)이 절결 형성되고, 시공 작업 전에 상기 다수의 요철홈(12)으로 몰탈(20b)이 침투 충진되어 일체 구조화된 상태에서, 시공 작업시 시멘트(콘크리트)(30) 위의 몰탈(20a)에 대해 상기 석재블럭 밑면의 몰탈(20b)이 결합 고정된 구성상의 특징을 갖는 보도포장용 석재블럭.
  2. 삭제
  3. 삭제
  4. 지면 바닥의 시멘트(콘크리트)(30) 위로 석재블럭(10)이 안착 설치하는 보도포장용 석재블럭(10)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잘 다듬어진 지면 바닥 위로 모래층(40)을 균일하게 포설하고, 상기 모래층(40) 위를 시멘트(콘크리트)(30)로 타설시키고 그 위로 몰탈(20a)을 도포시킨 다음, 밑면에 다수의 요철홈(12)이 절결 형성된 석재블럭(10)을 안착 설치하여 아래쪽의 상기 몰탈(20a)의 상측이 침투 충진되어 일체 구조로 결합되도록 시공 처리하되, 상기 석재블럭(10)은 시멘트(콘크리트)(30)에 도포시킨 몰탈(20a) 위로 안착 결합시키기 전의 사전 작업으로 몰탈(20b)을 요철홈(12)이 절결 형성된 상기 석재블럭(10)의 밑면에 결합시켜 몰탈(20b)이 일체 구조화된 상태에서 시멘트(콘크리트)(30) 위의 몰탈(20a)에 대해 안착 설치하여 동일 재질인 상하 몰탈(20a)(20b) 간이 일체 결합되도록 시공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포장용 석재블럭의 시공방법.
  5. 삭제
KR1020100024644A 2010-03-19 2010-03-19 보도포장용 석재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101190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644A KR101190767B1 (ko) 2010-03-19 2010-03-19 보도포장용 석재블럭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644A KR101190767B1 (ko) 2010-03-19 2010-03-19 보도포장용 석재블럭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487A KR20110105487A (ko) 2011-09-27
KR101190767B1 true KR101190767B1 (ko) 2012-10-12

Family

ID=44955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644A KR101190767B1 (ko) 2010-03-19 2010-03-19 보도포장용 석재블럭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07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5192A (zh) * 2019-01-15 2019-04-30 济南城建集团有限公司 一种适用于各级交通荷载的石板砌块铺装结构
CN110409243A (zh) * 2019-08-15 2019-11-05 苏州金螳螂园林绿化景观有限公司 一种户外石材面层透水铺装结构
CN115233932A (zh) * 2022-08-11 2022-10-25 厦门万里石建筑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新型大理石石材铺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487A (ko) 201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0767B1 (ko) 보도포장용 석재블럭 및 그 시공방법
JP2006512519A (ja) 成形済み複合ブロック
CN107237232B (zh) 一种高耐久性水泥混凝土路面胀缝构造及其施工方法
CA2910580A1 (en) Insulating panels made of stone wool, and concrete wall provided with such panels
KR101156419B1 (ko) 미끄럼 방지기능을 갖는 횡단보도의 보도블럭
KR20150024634A (ko) 유리섬유보강콘크리트를 이용한 도로 복구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408895B1 (ko) 교량의 신축이음 시공방법
CN1222617A (zh) 石材饰面砼复合铺地板及其制作与铺设施工方法
RU94248U1 (ru) Блок строительный
BE1016952A6 (nl) Bouwelement.
CN204298708U (zh) 配筋复合室外地面砖
CN215054918U (zh) 钢纤维混凝土地坪
CN212294216U (zh) 一种抗裂混凝土层结构
CN112854651B (zh) 一种石材的傻瓜式机械直连方法
KR200268920Y1 (ko) 도로 콘크리트 포장의 절성경계부 보강 구조
CN214941975U (zh) 一种地面板材铺贴的伸缩缝防变形装置
KR102245719B1 (ko) 경사조절 기능이 향상된 l형 측구
CN215442980U (zh) 一种用于水磨石的防开裂装置
CN112227650B (zh) 一种水磨石地面结构
CN211947763U (zh) 一种耐用性高的双车道混凝土道路结构
CN113174797B (zh) 一种修复和提高路面承载力的装置及方法
KR100852763B1 (ko) 투수성 탄성 포장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126695B1 (ko) 저지지력지반도로
US20160076257A1 (en) Insulating Panels Made of Stone Wool, and Concrete Wall Provided with Such Panels
KR20170143190A (ko) 균열 저감을 위한 신축 줄눈대 및 그를 이용한 건축물 바닥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