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0397B1 - 탄화수소계 물질을 포함하는 강화 양이온 교환막을 이용한 미생물 연료전지,미생물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및 미생물 연료전지용 전극 - Google Patents

탄화수소계 물질을 포함하는 강화 양이온 교환막을 이용한 미생물 연료전지,미생물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및 미생물 연료전지용 전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0397B1
KR101190397B1 KR1020100075558A KR20100075558A KR101190397B1 KR 101190397 B1 KR101190397 B1 KR 101190397B1 KR 1020100075558 A KR1020100075558 A KR 1020100075558A KR 20100075558 A KR20100075558 A KR 20100075558A KR 101190397 B1 KR101190397 B1 KR 101190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xchange membrane
cation exchange
microbial fuel
fuel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5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1517A (ko
Inventor
채규정
이무석
임성균
우종한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5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0397B1/ko
Publication of KR20120021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1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0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0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6Biochemical fuel cells, i.e. cells in which microorganisms function as cataly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008Organic or organo-metallic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075Catalytic material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4Non-porous diffusion electrodes, e.g. palladium membranes, ion exchange membra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Abstract

본 발명은 탄화수소계 물질을 포함하는 강화 양이온 교환막을 이용한 미생물 연료전지, 미생물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및 미생물 연료전지용 전극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연료전지, 이를 이용한 막-전극 접합체 및 전극은 캐소드(cathode) 전극에서의 산소가 애노드(anode) 전극으로 확산(back diffusion)되는 것을 막고, 애노드(anode) 전극에서의 미생물의 영양분이 되는 기질과 같은 유기물 등이 양이온 교환막을 투과하여 나타나는 크로스 오버(cross over)를 저하시켜 전기발생효율 향상과 유기물로 인한 캐소드 전극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연료전지, 이를 이용한 막-전극 접합체 및 는 전극은 칼슘이나 마그네슘 양이온들의 투과도를 저하시켜 H+ 이온의 투과효율을 향상시켜 애노드 전극의 pH 저하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전지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안정적인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연료전지, 이를 이용한 막-전극 접합체 및 전극은 고가의 Nafion을 대체할 수 있어 생산단가를 낮추게 되어 경제적이고, 양이온 교환막의 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켜 실스케일에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탄화수소계 물질을 포함하는 강화 양이온 교환막을 이용한 미생물 연료전지,미생물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및 미생물 연료전지용 전극{MICROBIAL FUEL CELLS USING REINFORCEMENT PROTON EXCHANGE MEMBRANE COMPRISING HYDROCARBONACEOUS MATERIAL, MEMBRANE-ELECTRODE ASSEMBLY FOR THE SAME AND ELECTRODE FOR THE SAME}
본 발명은 탄화수소계 물질을 포함하는 강화 양이온 교환막을 이용한 미생물 연료전지, 미생물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및 미생물 연료전지용 전극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생물 연료전지는 미생물 또는 그의 일부를 사용하여 미생물의 에너지 대사에서 발생하는 환원력을 전기 에너지로 전환시키는 장치로, 미생물 연료전지에서는 촉매로서 작용하는 미생물이 기질을 산화할 때 발생하는 환원력을 전기 에너지로 전환시키기 위해서 에너지 대사에서 발생하는 전자가 미생물로부터 전극으로 전달되어야 한다. 즉, 미생물 연료전지의 애노드 전극이 있는 챔버(chamber)에서 미생물 촉매에 의해 생성된 수소이온(H+)은 양이온 교환막을 통하여 캐소드 전극이 있는 챔버로 이동함과 동시에 전자는 외부 도선을 따라 캐소드 전극으로 이동한다. 캐소드 전극의 챔버에서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와 이동해온 전자와 수소 양이온 최종산물로 H2O를 생성한다.
이러한 미생물 연료전지는 여러 문제들을 가지고 있어, 전지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는 애노드(anode) 전극에서의 미생물의 영양분이 되는 기질과 같은 유기물 등이 양이온 교환막을 투과하여 나타나는 크로스 오버(cross over) 현상으로 인하여 캐소드 전극이 오염과 함께 유기물의 손실이 발생하게된다. 또한 애노드 전극에서의 미생물 배지에 포함된 고농도의 양이온들이 양이온 교환막을 투과하여 상대적으로 수소이온의 투과도가 저하되어 애노드쪽에 수소이온이 농축되어 전극내 미생물이 저해를 받아 전체적인 전기생산 효율저하를 유발한다. 즉, 양이온 교환막은 수소이온에 대한 선택도가 타 양이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으나 배양액내 존재하는 타 양이온의 농도 자체가 수소이온농도에 비해 수만배 (104 ~ 105)이상 높기 때문에 수소이온이 양이온 교환막의 이온전달체 (설폰기)와 반응할 수 있는 기회가 줄어듬으로써 애노드쪽에 수소이온이 농축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미생물 연료전지에서는 캐소드(cathode) 전극에서의 산소가 애노드(anode) 전극으로 확산(back diffusion)되어 애노드 전극의 산소를 싫어하는 혐기성 박테리아가 손상을 입는 문제 등의 문제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미생물 연료전지에 사용되고 있는 양이온 교환막으로는 불소계 수지로서 퍼플루오로설폰산 수지(상품명:Nafion)(이하 '나피온 수지'라 함)가 있으나, 나피온 수지는 수소이온 (H+)에 대한 선택성이 낮고 내구성이 낮으며 고가여서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미생물 연료전지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캐소드(cathode) 전극에서의 산소가 애노드(anode) 전극으로 확산(back diffusion)되는 것을 막고, 애노드(anode) 전극에서의 유기물 등이 양이온 교환막을 투과하여 나타나는 크로스 오버(cross over) 및 칼슘이나 마그네슘 등 다가 양이온들의 투과도를 저하시켜 전지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안정적인 효율을 유지할 수 있으며 양이온 교환막의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경제적인 미생물 연료전지, 이를 이용한 막-전극 접합체 및 전극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상기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양이온 교환막; 및 상기 애노드 전극 부위에 미생물 촉매(Electricigens, Exoelectrogens)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양이온 교환막은 탄화수소계 물질을 포함하는 다공성 지지체; 및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 내에 충진되며, 탄화수소계 물질을 포함하는 이온전도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미생물 연료전지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다공성 지지체에 포함된 탄화수소계 물질은 나일론, PI(Polyimide), PBO(Polybenzoxazole), PET(Polyethyleneterephtalate), PE(Polyethylene) 또는 PP(polypropylene)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료전지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이온전도체에 포함된 탄화수소계 물질은 S-PI(sulfonated polyimide), S-PAES(sulfonated polyarylethersulfone), S-PEEK(sulfonated polyetheretherketone), 퍼플루오로 술폰산 수지 (Perfluorosulfonic acid; PFSA), 술포네이트 폴리벤즈이미다졸(sulfonated polybenzimidazole: S-PBI), 술포네이트 폴리술폰(sulfonated polysulfone: S-PSU), 술포네이트 폴리스티렌(sulfonated polystyrene: S-PS) 또는 술포네이트 폴리포스파젠(sulfonated polyphosphazene)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료전지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이온전도체에 포함된 탄화수소계 물질은 상기 다공성 지지체에 포함된 탄화수소계 물질의 설폰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료전지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양이온 교환막은 다공성 지지체가 40 내지 95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이온전도체가 5 내지 6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료전지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20 내지 50㎛의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료전지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직경이 1 내지 50㎛인 구멍(hole)이 다공성 지지체의 두께를 통과하여 다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료전지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다공도가 80 내지 9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료전지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이온전도체는 상기 다공성 지지체 표면에 20 내지 50㎛의 두께로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료전지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양이온 교환막은 기계적 강도가 8MPa 이상이고, 치수안정성이 75부피%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료전지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양이온 교환막; 상기 양이온 교환막의 양면에 위치하는 애노드 전극, 캐소드 전극; 및 상기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 중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는 도전성 기재를 포함하는 미생물 연료 전지용 막-전극 접합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양이온 교환막; 상기 양이온 교환막의 양면에 위치하는 애노드 전극, 캐소드 전극; 및 상기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 중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는 도전성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양이온 교환막과 상기 애노드 전극 사이 및 상기 양이온 교환막과 상기 캐소드 전극 사이에 전자수집판을 갖는 미생물 연료 전지용 전극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탄화수소계 물질을 포함하는 강화 양이온 교환막을 이용한 미생물 연료전지 및 미생물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는 캐소드(cathode) 전극에서의 산소가 애노드(anode) 전극으로 확산(back diffusion)되는 것을 막고, 애노드(anode) 전극에서의 미생물의 영양분이 되는 기질과 같은 유기물 등이 양이온 교환막을 투과하여 나타나는 크로스 오버(cross over)를 저하시켜 유기물로 인한 캐소드 전극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연료전지 및 미생물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는 칼슘이나 마그네슘 양이온들의 투과도를 저하시켜 H+ 이온의 투과효율을 향상시켜 애노드 전극의 pH 저하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전지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안정적인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연료전지 및 미생물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는 고가의 Nafion을 대체할 수 있어 생산단가를 낮추게 되어 경제적이고, 양이온 교환막의 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켜 실스케일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미생물 연료전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강화 양이온 교환막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미생물 연료 전지용 막-전극 접합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전자 수집판이 부착된 미생물 연료 전지용 전극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상기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양이온 교환막; 및 상기 애노드 전극 부위에 미생물 촉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양이온 교환막은 유기용매에 대해 불용성인 탄화수소계 물질을 포함하는 다공성 지지체; 및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 내에 충진되며, 유기용매에 대해 용해성인 탄화수소계 물질을 포함하는 이온전도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미생물 연료전지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생물 연료전지의 구조는 하나의 반응기 안에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및 양이온 교환막을 구비하고 있는 싱글 챔버형(single-chambered type)과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이 각기 다른 반응기 안에 있으면서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 사이에 양이온 교환막이 구비된 투 챔버형(two-chambered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싱글 챔버형은 막이 없기 때문에 anode에서 발생한 수소이온이 cathode쪽으로 쉽게 전달되어 anode쪽의 pH 저하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반면, 캐소드 전극의 미생물 오염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애노드 전극에 부착된 미생물이 캐소드 전극쪽의 산소에 의해 저해를 더욱 쉽게 받을 수 있다. 반면 투 챔버형은 양이온 교환막을 통한 수소이온의 전달장애로 인해 애노드 전극의 pH 저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연료전지는 투 챔버형을 적용하되 수소이온의 선택성과 교환능이 우수한 양이온 교환막을 사용함으로써 애노드 전극의 pH 저하 문제를 방지하고 본 발명이 목적하는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어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투 챔버형 미생물 연료전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연료전지(100)는 애노드(anode)전극(110), 캐소드(cathode)전극(120), 챔버(130), 양이온 교환막(140)(ion exchange membrane), 전해질(160) 및 미생물 촉매(150)를 포함한다.
상기 애노드(110) 및 캐소드(120) 전극은 전극 기재와 촉매층을 포함한다.
상기 전극 기재로는 도전성 기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 탄소 페이퍼(carbon paper), 탄소 천(carbon cloth), 탄소 펠트(carbon felt) 또는 금속천(섬유 상태의 금속으로 구성된 다공성의 필름 또는 고분자 섬유로 형성된 천의 표면에 금속 필름이 형성된 것을 말함)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촉매층은 백금, 루테늄, 오스뮴, 백금-루테늄 합금, 백금-오스뮴 합금, 백금-팔라듐 합금 및 백금-M 합금(M은 Ga, Ti, V, Cr, Mn, Fe, Co, Ni, Cu, Zn, Sn, Mo, W, Rh 및 Ru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전이 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촉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은 동일한 물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미생물 연료전지에서는 애노드 전극에 촉매를 임의의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나, 캐소드 전극에서는 촉매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촉매의 그 대표적인 예로는 Pt, Pt/Ru, Pt/W, Pt/Ni, Pt/Sn, Pt/Mo, Pt/Pd, Pt/Fe, Pt/Cr, Pt/Co, Pt/Ru/W, Pt/Ru/Mo, Pt/Ru/V, Pt/Fe/Co, Pt/Ru/Rh/Ni 및 Pt/Ru/Sn/W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금속 촉매는 금속 촉매 자체(black)로 사용할 수도 있고, 담체에 담지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담체로는 흑연, 덴카 블랙, 케첸 블랙, 아세틸렌 블랙, 카본 나노 튜브, 카본 나노 파이버, 카본 나노 와이어, 카본 나노 볼 또는 활성 탄소 등의 탄소계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알루미나, 실리카, 지르코니아, 티타니아 등의 무기물 미립자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탄소계 물질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챔버(130)는 내부에 애소드(110) 및 캐소드(120) 전극을 구비하고 애소드(110) 전극과 캐소드(120)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양이온 교환막(140)으로 이루어진 투 챔버형(130)(two-chambered type)이다.
상기 미생물 촉매(150)는 유기물 또는 무기물을 연료로 사용하여, 연료 소비에 따른 산화력을 캐소드(120) 전극반응에 이용하여 전류를 생성시킬 수 있는 미생물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즉, 통상적인 미생물 연료전지(100)에 사용되는 미생물은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전해질(160)은 통상적인 미생물 연료 전지(100)에서 사용되는 전해질(160)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애노드(110)의 전해질(160)로는 미생물의 생장에 적합한 배양액, 유기성 폐수, 축산 폐수, 염색폐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양이온 교환막(140)은 탄화수소계 물질을 포함하는 다공성 지지체; 및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 내에 충진되며, 탄화수소계 물질을 포함하는 이온전도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탄화수소계 강화 양이온 교환막' 및 '강화 양이온 교환막'은 모두 본 발명에 따른 양이온 교환막을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탄화수소계 강화 양이온 교환막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화수소계 강화 양이온 교환막(200)은 탄화수소계 물질을 포함하는 다공성 지지체(210) 및 탄화수소계 물질을 포함하는 이온전도체(23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다공성 지지체(210)는 다공성 지지체(210)의 두께를 통과하여 형성된 구멍(hole)(250)을 다수개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210)에 존재하는 구멍(250)은 직경이 1 내지 50㎛이며, 상기 구멍(250) 내에 이온전도체(230)가 충진되어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다공성 지지체는 미생물 연료전지에 적용하여 최적의 조건을 가지는 것으로 양이온 교환막의 기계적 강도를 증진시키고 수분에 의한 부피팽창을 억제함으로써 치수안정성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가격 면에서도 유리한 탄화수소계 고분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다공성 지지체가 상기 구멍을 구비하여 양이온 교환막의 수소이온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구멍의 직경이 1㎛ 미만으로 형성될 경우 양이온 교환막의 수소이온전도도가 급격히 떨어질 수 있고, 50㎛를 초과할 경우 양이온 교환막의 기계적 강도 및 치수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양이온 교환막에서 40 내지 9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가 40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는 양이온 교환막의 기계적 강도 및 치수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고, 상기 다공성 지지체가 95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는 양이온 교환막의 수소이온전도도가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다공도가 80 내지 9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다공도가 80% 미만일 경우는 양이온 교환막의 수소이온전도도가 떨어질 수 있고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다공도가 95%를 초과할 경우에는 양이온 교환막의 기계적 강도 및 치수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20 내지 5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두께가 20㎛ 미만일 경우 양이온 교환막의 기계적 강도 및 치수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고,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두께가 50㎛를 초과할 경우 양이온 교환막의 저항손실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에 포함된 탄화수소계 물질은 나일론, PI(Polyimide), PBO(Polybenzoxazole), PET(Polyethyleneterephtalate), PE(Polyethylene) 또는 PP(polypropylene)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온전도체는 양이온 교환막의 주기능인 수소이온전도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그와 같은 수소이온전도기능이 우수하고 또한 가격 면에서도 유리한 탄화수소계 고분자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이온전도체에 이용될 수 있는 탄화수소계 고분자로는 S-PI(sulfonated polyimide), S-PAES(sulfonated polyarylethersulfone), S-PEEK(sulfonated polyetheretherketone), 퍼플루오로 술폰산 수지 (Perfluorosulfonic acid; PFSA), 술포네이트 폴리벤즈이미다졸(sulfonated polybenzimidazole: S-PBI), 술포네이트 폴리술폰(sulfonated polysulfone: S-PSU), 술포네이트 폴리스티렌(sulfonated polystyrene: S-PS), 술포네이트 폴리포스파젠(sulfonated polyphosphazene)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이온전도체에 포함된 탄화수소계 물질은 상기 다공성 지지체에 포함된 탄화수소계 물질의 설폰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온전도체는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구멍 내에 충진되는 것으로서, 미생물 연료전지 운전 중 온도 또는 습도 등의 작동 조건이 변경될 경우 이온전도체와 다공성 지지체 사이의 접착성이 저하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경우 이온전도체와 다공성 지지체 모두 탄화수소계 고분자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양자 사이의 접착성이 우수하다. 그에 더하여, 이온전도체에 포함된 탄화수소계 물질과 다공성 지지체에 포함된 탄화수소계 물질을 서로 동일한 물질계로 구성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이온전도체로서 S-PI(sulfonated polyimide)을 이용하고 다공성 지지체로서 PI(Polyimide)를 이용하는 것과 같이 이온전도체에 포함된 탄화수소계 물질을 다공성 지지체에 포함된 탄화수소계 물질의 설폰화 물질로 형성할 경우 이온전도체와 다공성 지지체 사이의 접착성이 매우 우수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전도체는 양이온 교환막에서 5 내지 6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전도체가 5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는 양이온 교환막의 수소이온전도도가 떨어질 수 있고, 상기 이온전도체가 60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는 양이온 교환막의 기계적 강도 및 치수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이온전도체는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일 표면에 20 내지 50㎛의 두께로 추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도 다공성 지지체의 구멍 내에 이온전도체가 충진되어 있고,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일 표면에 이온전도체가 상기 두께의 범위 내로 추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이온전도체가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일 표면에 상기 두께 범위를 벗어나 형성되는 경우에 양이온 교환막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수 있고, 양이온 교환막의 전체 두께 증가로 이어져 저항손실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양이온 교환막은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 내에 이온전도체를 충진한 구조이기 때문에 기계적 강도가 80MPa 이상으로 우수하고 치수안정성은 75부피% 이하로 증진되게 된다. 또한 기계적 강도가 증진됨에 따라 양이온 교환막의 전체 두께를 80㎛ 이하로 줄일 수 있어 수소 이온 전도속도가 빨라지고 저항손실이 줄어들며 재료비도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양이온 교환막을 구성하는 다공성 지지체와 이온전도체를 모두 탄화수소계 고분자물질을 이용하기 때문에 양자 사이의 접착력이 우수하여 수소와 산소의 분리능이 우수하고, 특히 탄화수소계 물질을 포함하는 다공성 지지체를 양이온 교환막에 적용하여 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실스케일에 적용이 가능하다. 그에 더하여 종래와 같은 고가의 나피온 수지 또는 테프론 수지 등을 이용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저가인 탄화수소계 고분자물질을 이용하기 때문에 대량생산 시 가격경쟁 면에서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미생물 연료전지에서는 애노드(anode) 전극에서의 미생물의 영양분이 되는 기질과 같은 유기물 등이 양이온 교환막을 투과하여 나타나는 크로스 오버(cross over) 현상으로 인하여 기질이 손실되어 전기발생효율이 저하되고, 캐소드 전극으로 전달된 유기물에 의해 캐소드 전극이 오염되어 전지의 전체적인 효율이 저하된다.
또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생물 연료전지의 미생물 촉매에 포함되는 금속환원박테리아인 Rhodoferax ferrireducens와 같은 전기화학활성미생물(Electrochemically active bacteria)들의 성장을 위하여 첨가하는 칼슘 양이온이나 마그네슘 양이온 등 다가양이온이 양이온 교환막을 경쟁적으로 투과하여 상대적으로 수소이온의 투과도가 저하되어 애노드 전극의 pH 저하를 유발하게 되고, 결국 애노드 전극의 박테리아가 저해되어 전지의 전체적인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양이온 교환막의 수소이온에 대한 선택도가 타 양이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으나 배양액내 존재하는 타 양이온의 농도 자체가 수소이온농도에 비해 104 ~ 105 이상 높기 때문에 수소이온은 양이온 교환막을 통해 Anode에서 cathode로 전달되는데 많은 어렴움이 있다.
또한, 미생물 연료전지에서는 캐소드(cathode) 전극에서의 산소가 애노드(anode) 전극으로 확산(back diffusion)되어 애노드 전극의 산소를 싫어하는 혐기성 박테리아가 손상을 입어 전지의 전체적인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양이온 교환막이 상술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캐소드(cathode) 전극에서의 산소가 애노드(anode) 전극으로 확산(back diffusion)되는 것을 막고, 애노드(anode) 전극에서의 미생물의 영양분이 되는 기질과 같은 유기물 등이 양이온 교환막을 투과하여 나타나는 크로스 오버(cross over)를 저하시켜 유기물로 인한 캐소드 전극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칼슘이나 마그네슘 양이온들의 투과도를 저하시켜 H+ 이온의 투과효율을 향상시켜 애노드 전극의 pH 저하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전지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안정적인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이온 교환막은 탄화수소계 물질을 포함하는 다공성 지지체를 포함하여 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켜 실스케일에 적용이 가능하고, 고가의 Nafion을 대체할 수 있어 생산단가를 낮추게 되어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탄화수소계 이온전도체는 기존의 불소계 이온전도체에 비해 산소와 같은 기체에 낮은 투과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기체의 투과는 주로 이온전도체의 소수성 영역 (hydrophobic domain)의 Free volume과 관계되며, 상대적으로 낮은 free volume을 갖는 탄화수소계 이온전도체가 불소계 이온전도체에 비해 기체에 대한 차단성이 높다. 즉, 산소의 back diffusion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은 우수한 수소이온 선택도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는 막의 미세 구조 측면에서 볼 때, 양이온이 통과될 수 있는 클러스터의 굴곡도 (tortuosity)나 크기로 설명될 수 있다. 즉, 탄화수소계 이온전도체에서는 불소계에 비해 미세상분리(micro-phase separation)가 적게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로 인해 술폰산기에 의해 형성되는 이온 경로(클러스터)가 불소계 이온전도체에 비해 작고, 굴곡도가 높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수소이온보다 큰 직경 (kinetic diameter)을 갖는 다가 이온의 통과가 용이치 않고 결과적으로 탄화수소계 막은 작은 직경을 갖는 수소이온에 대한 선택도가 높게 된다. 따라서 칼슘이나 마그네슘 다가 양이온의 투과 문제를 낮추고 H+ 이온의 선택도를 높일 수 있어 기존 Two chamber형의 애노드 pH 저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탄화수소계 막은 기체 차단성 및 선택도가 높은 반면 불소계 이온전도체에 비해 매우 큰 부피 팽창률 및 낮은 내구성을 나타내므로 강화막 형태로 적용해야 제반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이러한 탄화수소계 강화 양이온 교환막은 위와 유사한 이유로 기타 유기물에 대한 차단성도 우수하다. 이러한 점에서 유기물의 cross over 문제를 낯출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술한 양이온 교환막; 상기 양이온교환막의 양면에 위치하는 애노드 전극, 캐소드 전극; 및 상기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 중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는 도전성 기재를 포함하는 미생물 연료 전지용 막-전극 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연료 전지용 막-전극 접합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미생물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300)는 상기 양이온 교환막(320) 및 상기 양이온 교환막(320)의 양면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애노드 전극(330) 및 캐소드 전극(330')을 포함한다. 상기 양이온 교환막(320)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술한 양이온 교환막; 상기 양이온 교환막의 양면에 위치하는 애노드 전극, 캐소드 전극; 및 상기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 중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는 도전성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양이온 교환막과 상기 애노드 전극 사이 및 상기 양이온 교환막과 상기 캐소드 전극 사이에 전자수집판을 갖는 미생물 연료 전지용 전극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양이온 교환막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수집판이 부착된 미생물 연료 전지용 전극(400) 구조(애노드, 캐소드 포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상기 양이온 교환막(420)과 상기 애노드 전극(430) 사이 및 상기 양이온 교환막(420)과 상기 캐소드 전극(430') 사이에 전자수집판(46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자수집판(460)은 가스켓(410)이 접합해 있고, 재질이 STS 또는 Ti plate이고, 10 내지 30㎜의 직경을 가지는 다공(450)이 다수개 존재하여 60 내지 90%의 다공율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전극으로 사용되는 카폰펠트, 카본페이퍼 등은 기계적 강도가 취약하고, 특히 대 단위로 scale up 되었을 때 전자 수집이 전 전극에 걸쳐 일정하게되지 않아(전자 수집효율이 낮음) 외부도선으로 전자가 잘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전체적인 전기발생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자수집판(460)을 전극에 결합시켜 이를 미생물 연료 전지용 전극에 적용시킴으로써 전자를 효과적으로 집전할 수 있고, 스케일 업(scale up) 시 기계적 강도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미생물연료전지는 two chamber형으로 (애노드, 캐소드 챔버 각각 200 mL) 제작되었고 애노드 식종미생물로는 혐기성소화슬러지가 사용되었다. 애노드는 아세테이트 대략 1~2 mM이 기질로 주입되었고 미생물 성장을 위해 영양배지(pH 7)가 이용되었다. 캐소트 챔버에는 PBS버퍼 (pH7, 50mM)가 주입되었고 최종 전자 수용체로 공기가 연속적으로 공급되었다. 애노드 전극은 전자수집판이 부착된 카본펠트 (5 × 5 cm)가 이용되었고 캐소드 전극으로는 백금이 코팅된 다공성 티타늄판이 (5 × 5 cm, Pt 0.2 mg/cm2)이용되었다. 외부저항은 가변형 저항을 이용하였고 5-2500 Ω범위에서 운영되었으나 통상 100Ω 조건에서 운영되었다. 캐소드 챔버는 운전 전에 질소퍼징 ( 대략 3~10분)을 통해 수중의 용존산소를 제거하여 혐기성조건을 유지하였고 미생물연료전지는 상온에서 운영되었다. 애노드와 캐소드 전극 사이에는 강화 양이온교환막이 설치한 후 전기발생효율, 산소전달율, 아세테이트 crossover를 평가하였다(본 발명의 양이온 교환막 vs. 일반 Nafion 117 분리막). 분리막과 전극 사이에는 실리콘 가스켓을 설치하여 기밀성을 유지하였다.
양이온교환막을 통한 산소 투과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기술한 미생물연료전지를 제작하여 애노드 챔버에 영양배지를 채우고 산소로 포화시킨 후 증류수로 채워진 양이온교환막을 통해 캐소드챔버로 산소가 diffusion 되는 것을 지속적으로 평가하였다. 양 챔버에는 용존산소 농도의 실시간 측정을 위해 용존산소측정기 (DO meter)가 설치되었다.
양이온교환막을 통한 유기물의 crossover 평가를 위해서는 애노드챔버를 아세테이트 (100 mg/L) 로 채우고 70시간 동안 증류수로 채워진 cathode로 투과되는 아세테이트 농도를 지속적으로 평가하였다.
비교예 1
양이온 교환막을 Nafion 117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미생물 연료전지의 특성분석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미생물 연료전지에 대하여 전기생산효율(Coulombic efficieny), Oxygen diffusion coefficient(Do, cm2/s) 및 Acetate cross over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비교예 1 실시예 1 비고
전기생산효율
(Coulombic efficieny)
42±4.6 58±5.2 기질: 아세테이트
(모든 조건 동일하고 막만 다름)
Oxygen diffusion coefficient (Do, cm2/s)
5.2 × 10-6 0.8 × 10-6 Anode를 산소로 포화시키고 증류수로 채워진 cathode로 산소 이동 평가
Acetate cross over 0.2-0.6 mg/L Not detectable Anode를 아세테이트 (100 mg/L) 로 채우고 70시간후 증류수로 채워진 cathode에서 아세테이트 농도증가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미생물 연료전지의 전기생산효율이 비교예 1에 비하여 우수하였고, Oxygen diffusion coefficient도 현저하게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또는 변경은 모두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00: 미생물 연료전지 200: 양이온 교환막
110: 애노드 전극 210: 다공성 지지체
120: 캐소드 전극 230; 이온전도체
130: 챔버 250: 구멍
140: 양이온 교환막
160: 전해질
150: 미생물 촉매
300: 미생물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400: 미생물 연료전지용 전극
320: 양이온 교환막 410: 가스켓
330: 애노드 전극 420: 양이온 교환막
330': 캐소드 전극 430: 애노드 전극
430': 캐소드 전극
450: 다공
460: 전자수집판

Claims (13)

  1.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상기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양이온 교환막; 및
    상기 애노드 전극 부위에 미생물 촉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양이온 교환막은 탄화수소계 물질을 포함하는 다공성 지지체; 및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 내에 충진되며, 탄화수소계 물질을 포함하는 이온전도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미생물 연료전지로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에 포함된 탄화수소계 물질은 나일론, PI(Polyimide), PBO(Polybenzoxazole), PET(Polyethyleneterephtalate), PE(Polyethylene) 및 PP(polypropylene)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상기 이온전도체에 포함된 탄화수소계 물질은 S-PI(sulfonated polyimide), S-PAES(sulfonated polyarylethersulfone), S-PEEK(sulfonated polyetheretherketone), 퍼플루오로 술폰산 수지 (Perfluorosulfonic acid; PFSA), 술포네이트 폴리벤즈이미다졸(sulfonated polybenzimidazole: S-PBI), 술포네이트 폴리술폰(sulfonated polysulfone: S-PSU), 술포네이트 폴리스티렌(sulfonated polystyrene: S-PS) 및 술포네이트 폴리포스파젠(sulfonated polyphosphazene)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상기 양이온 교환막은 다공성 지지체가 40 내지 95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이온전도체가 5 내지 60중량%로 포함되며,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20 내지 50㎛의 두께로 형성되고, 다공성 지지체의 두께를 통과하여 형성된 직경이 1 내지 50㎛인 구멍(hole)을 다수 개 가지고, 다공도가 80 내지 95%이며,
    상기 이온전도체는 상기 다공성 지지체 표면에 20 내지 50㎛의 두께로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료전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전도체에 포함된 탄화수소계 물질은 상기 다공성 지지체에 포함된 탄화수소계 물질의 설폰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료전지.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교환막은 기계적 강도가 8MPa 이상이고, 치수안정성이 75부피%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료전지.
  12. 삭제
  13. 삭제
KR1020100075558A 2010-08-05 2010-08-05 탄화수소계 물질을 포함하는 강화 양이온 교환막을 이용한 미생물 연료전지,미생물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및 미생물 연료전지용 전극 KR101190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558A KR101190397B1 (ko) 2010-08-05 2010-08-05 탄화수소계 물질을 포함하는 강화 양이온 교환막을 이용한 미생물 연료전지,미생물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및 미생물 연료전지용 전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558A KR101190397B1 (ko) 2010-08-05 2010-08-05 탄화수소계 물질을 포함하는 강화 양이온 교환막을 이용한 미생물 연료전지,미생물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및 미생물 연료전지용 전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517A KR20120021517A (ko) 2012-03-09
KR101190397B1 true KR101190397B1 (ko) 2012-10-11

Family

ID=46129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5558A KR101190397B1 (ko) 2010-08-05 2010-08-05 탄화수소계 물질을 포함하는 강화 양이온 교환막을 이용한 미생물 연료전지,미생물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및 미생물 연료전지용 전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03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9285A (ko) 2014-11-18 2016-05-26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미생물 연료전지용 양이온 교환막,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미생물 연료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96866B (zh) * 2014-04-21 2016-06-29 华南理工大学 一种交替式阴阳极脱氮除磷微生物燃料电池
WO2018182191A1 (ko) * 2017-03-31 2018-10-04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이온 교환막,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KR102028535B1 (ko) * 2017-03-31 2019-10-04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이온 교환막,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KR101900772B1 (ko) 2017-04-27 2018-09-20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이온 교환막,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19920A1 (en) * 2004-07-14 2010-05-13 The Penn State Research Foundation Cathodes for microbial electrolysis cells and microbial fuel cell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19920A1 (en) * 2004-07-14 2010-05-13 The Penn State Research Foundation Cathodes for microbial electrolysis cells and microbial fuel cel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9285A (ko) 2014-11-18 2016-05-26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미생물 연료전지용 양이온 교환막,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미생물 연료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517A (ko) 2012-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2454B1 (ko) 탄화수소계 물질을 포함하는 강화 양이온 교환막을 이용한 미생물 전기분해 전지
Dharmalingam et al. Membranes for microbial fuel cells
Das et al.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for microbial fuel cells: a review
US8017284B2 (en) Electrode for a fuel cell, and a membrane-electrode assembly and fuel cell system comprising the same
US9711815B2 (en)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KR100599799B1 (ko)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막-전극 접합체, 연료전지및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KR100717790B1 (ko)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시스템.
Thepsuparungsikul et al.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as electrode material for microbial fuel cells
KR101190397B1 (ko) 탄화수소계 물질을 포함하는 강화 양이온 교환막을 이용한 미생물 연료전지,미생물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및 미생물 연료전지용 전극
KR20170069783A (ko)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촉매 슬러리 조성물, 막-전극 접합체, 및 막 -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KR102155929B1 (ko) 연료전지 촉매 조성물, 이로 제조된 촉매층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US10367219B2 (en)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same, and fuel cell comprising membrane electrode assembly
KR101002654B1 (ko)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이의 제조방법, 이를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연료전지 시스템
KR101229597B1 (ko)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연료전지
KR101351392B1 (ko) 연료 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및 연료 전지 시스템
KR102075180B1 (ko) 막 전극 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US20210391589A1 (en) Multi-interfac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KR101098633B1 (ko) 2종의 촉매를 포함하는 직접메탄올 연료전지용 캐소드 전극및 이를 사용하는 막전극 접합체 및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KR20150138103A (ko) 연료전지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막 전극 접합체 및 상기 막 전극 접합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KR101035620B1 (ko) 연료전지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연료전지용전극의 제조방법
KR102455621B1 (ko) 탄소나노튜브 시트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KR100578977B1 (ko) 연료전지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연료전지용전극의 제조방법
KR102590293B1 (ko) 막-전극 접합체, 연료 전지 및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KR20060022870A (ko)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포함하는 연료 전지
KR100728186B1 (ko) 연료 전지용 캐소드 촉매,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캐소드 전극,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연료 전지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