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9004B1 -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Google Patents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9004B1
KR101189004B1 KR20100060955A KR20100060955A KR101189004B1 KR 101189004 B1 KR101189004 B1 KR 101189004B1 KR 20100060955 A KR20100060955 A KR 20100060955A KR 20100060955 A KR20100060955 A KR 20100060955A KR 101189004 B1 KR101189004 B1 KR 101189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polypropylene resin
antioxidant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60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616A (ko
Inventor
이현섭
강귀성
김승혁
Original Assignee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60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9004B1/ko
Publication of KR20120000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9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9004B1/ko

Li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및 비페놀계 산화방지제인 인계 산화방지제 및 아민계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방사선성 및 투명성이 우수하고, 방사선 조사 후 물성저하 및 색상변화도가 작아 멸균이 필요한 의료용품, 식품 포장용기용 등에 적합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우수한 물성의 성형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PREPARED THEREFROM}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방사선성 및 투명성이 우수하고, 방사선 조사 후 물성 저하 및 색상 변화도가 작아 멸균이 필요한 의료용품, 식품 포장용기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은 결정도가 비교적 높기 때문에 인장강도, 경도, 충격강도 등 물리적 성질이나 전기적 특성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화학적 성질도 우수하다. 따라서 폴리프로필렌은 섬유, 로프, 각종 가정용기, 포장필름 등의 재료로 사용되는 등 그 용도가 매우 다양하다. 여러 종류의 고분자 재료 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은 자체의 독성이 없고, 투명성과 물리적 성질도 우수하여 의료제품의 원료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재료 중 하나이다. 폴리프로필렌이 의료용품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멸균 공정이 필수적인데 현재 국내에서는 에틸렌옥사이드 가스에 의한 멸균에 의존하고 있는 형편이다. 에틸렌옥사이드 가스는 발암성 물질로 규정되어 선진국에서는 점차 규제가 심해지고 있는 상황이어서 수출에 의존하고 있는 국내 산업구조로서는 다른 방법으로의 전환이 절실히 요구된다. 한편 선진국에서는 이미 방사선에 의한 의료용품 멸균기술이 개발되어 산업적으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이러한 제품들의 제조공정의 자동화를 위해서나 제품의 안전성 제고 및 고급화를 위해서는 방사선을 이용하여 멸균하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방사선 멸균법은 단위 멸균이 아니고 계속적인 멸균공정 수행이 가능하며, 간편하고 멸균효과가 확실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멸균효과는 Inactivation factor로서 나타낼 수 있는데, 방사선멸균법은 1050~10175, 고압증기멸균법은 1015~1020이고 에틸렌옥사이드는 109으로 방사선멸균법이 가장 우수함을 보여준다. 또한, 감마선은 높은 투과성, 완전포장 상태에서 멸균, 2차적인 미생물 감염의 가능성이 없다. 그러나 기존의 폴리프로필렌은 방사선 조사 중 및 방사선 조사 후에 발생되는 착색현상이나 물리적 강도 등의 현저한 열화로 인하여 이들 재료로 생산되는 일회용 주사기 등 많은 의료용품에 방사선멸균법을 적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내방사선성을 해결하기 위해 몇 가지 방법이 제시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89090호는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에틸렌 함유량이 5중량% 이하인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수지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인계 산화방지제 0.01~0.125중량부, 힌더드아민계 화합물 0.01~0.1중량부, 및 스테아르산 칼슘 0.01~0.1중량부를 배합하고, 용융지수가 0.5~10g/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산화방지제로 인계 산화방지제만 사용되어 색상변화가 적을 수 있으나, 제품의 물성저하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T다이 압출 방식에만 국한되어 적용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4-0021655호는 프로필렌에 아민계 광안정제, 인계 및 페놀계 산화방지제와 핵제를 혼합하고 컴파운더를 이용하여 펠렛화한 내방사선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안하였다. 상기 조성물은 산화방지제로 인계 및 페놀계 산화 방지제를 혼합하여 사용했으나,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방사선 조사 후 색상변화에 영향을 주며, 의료용품에는 유해성을 보일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의료용품 및 식품용기용으로 적용이 가능하고 물성저하 및 색상변화를 동시에 억제할 수 있는 투명성이 우수한 내방사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방사선성 및 투명성이 우수하고, 방사선 조사 후 물성저하 및 색상변화도가 작아 멸균이 필요한 의료용품, 식품 포장용기에 적합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멸균용 플라스틱 성형품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2)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100중량부; 비페놀계 산화방지제인 인계 산화방지제 0.05~0.15중량부; 및 비페놀계 산화방지제인 아민계 산화방지제 0.03~0.1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는, 다이이써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으로 에틸렌 함량이 0.5~5중량부이고, 용융지수가 10~35g/10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삭제
(3) 상기 (2)에 있어서, 상기 인계 산화방지제는,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4) 상기 (2)에 있어서, 상기 아민계 산화방지제는, 알킬 아민계 산화방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6) 상기 (2)에 있어서, 핵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삭제
(7) 상기 (6)에 있어서, 상기 핵제는 솔비톨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8) 상기 (6)에 있어서, 상기 핵제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5~0.3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9) 상기 (2)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방사선 조사 전후에, 항복점 응력 변화율이 13.2% 이하이고, 황색도 변화율이 5.9% 이하이며, 헤이즈 변화율이 2.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10) 상기 (2) 또는 (6)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한다.
(11) 상기 (10)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멸균용 플라스틱 제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에 비페놀계 산화방지제인 인계 및 아민계 산화방지제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내방사선성,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사출성형공정 등을 이용하여 내방사선 멸균이 가능한 의료용 플라스틱 제품 등의 제조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비페놀계 산화방지제인 인계 산화방지제; 및 비페놀계 산화방지제인 아민계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에서 내방사선용 의료용품 및 식품 용기용으로 충분한 물성을 확보할 수 없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인계 산화방지제 및 아민계 산화방지제를 효과적으로 혼합하여 방사선 조사 후 우수한 내방사선성, 색상변화 및 물성저하를 억제 할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플라스틱 의료용품 및 식품용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성형품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1)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중합 반응기에 프로필렌과 에틸렌을 동시에 넣고 트리에틸 알루미늄, 다이이써 촉매, 및 실레인계 전자 공여자를 주입하고 65~75℃의 반응온도 및 32~34기압 하에서 슬러리 벌크 중합을 실시하여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다이이써 촉매를 사용하게 되면 에틸렌 반응성이 좋고 랜덤성을 향상시켜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촉매가 상기 촉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에틸렌 함량은 0.5~10중량부일 수 있다. 다만, 0.5~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 함량이 0.5중량부 미만이면 충분한 투명성을 얻을 수 없으며, 10중량부를 초과하면 투명성은 우수하나 강성 및 내열성이 떨어져 제품으로 사용할 수 없고, 공정상 제조가 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수지의 용융지수는 2~60g/10min일 수 있으며, 용도에 따라, 즉, 적용하게 될 사출 성형기에 따라 10~35g/10min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융지수가 2g/10min 미만인 경우에는 제품의 성형성 및 생산성이 나빠질 수 있으며, 용융지수가 60g/10min을 초과하면 제품의 사출 공정에서 충격강도가 떨어져 불량률이 증가할 수 있다.
(2) 산화방지제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에는,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 첨가제로서 비페놀계 산화방지제인 인계 산화방지제 및 아민계 산화방지제를 동시에 배합하는 것이 필요하며, 각각 0.01~0.15중량부를 필요로 한다. 다만, 인계 산화방지제는 0.05~0.15중량부가 바람직하며, 아민계 산화방지제는 0.03~0.1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상기 비페놀계 산화방지제는, 방사선 조사에 의한 물성저하 및 색상변화를 막기 위해 포함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인계 산화방지제 함량이 0.05중량부 미만이면, 가공 시 폴리프로필렌수지 자체의 열화가 발생하여 물성에 악영향을 끼치며, 0.15중량부를 초과하면, 방사선 조사 후 색상변화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그리고 인계 산화방지제에 아민계 산화방지제를 혼합 처방하는 경우, 아민계 산화방지제의 함량이 0.03중량부 미만이면 폴리프로필렌 물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항복응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아민계 산화방지제 함량이 0.1중량부를 초과하면 방사선 조사 후 색상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인계 산화방지제 및 아민계 산화방지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부터 1종 또는 1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색상 성능 및 물성 측면에서, 인계 산화방지제는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아민계 산화방지제는 알킬아민계 산화방지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와 비페놀계 산화방지제인 인계 산화방지제와 아민계 산화방지제를 효과적으로 혼합하여 내방사선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을 확보할 수 있으며, 고결정성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에 인계 산화방지제 또는 아민계 산화방지제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방사선용 소재로 충분한 물성 및 색상을 확보할 수 없다.
(3) 핵제
한편,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의 내열성, 투명성 및 결정화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핵제, 바람직하게는 유기계 핵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핵제로는 솔비톨계 화합물, 인산 에스비르계 화합물 등의 유기계 핵제 를 1종 이상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솔비톨계 화합물을 사용하여 투명성 및 내열성을 향상시키고 결정화 속도를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핵제의 함량은 전체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0.3중량부가 바람직하다. 0.05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투명성, 내열성 및 결정화 속도 발현이 떨어지며, 0.3중량부를 초과하면 추가적인 물성 향상이 보이지 않는다.
그 밖에,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중화제, 대전방지제, 안티블럭킹제, 슬립제, 내후.내광안정제, 안료 또는 무기제가 첨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품은 내방사선성, 내열성 및 투명성이 우수하여 의료용 플라스틱 제품 및 멸균용 식품용기 등 멸균이 필요한 제품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성형품은 일회용 주사기 또는 연구용 플라스틱 제품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재된 내용 이외의 사항은 필요에 따라 가감이 가능한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에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물성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보다 상세하게는, 감마선 조사 전 시편의 물성을 측정하고 시편의 노화도를 측정하기 위해 감마선 조사 후의 시편을 60℃ 조건에서 4주 동안 보관 후 물성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 하였다.
1) 황색도(YI, Yellow Index): ASTM 평가법 D1925에 따라 측정하였다.
2) 탁도: ASTM 평가법 D1003 에 따라 2mm 두께의 사출시편을 이용하여 헤이즈(HAZE) 값을 측정하였다.
3) 항복점 응력: ASTM 평가법 D638에 의거 23 ℃, 50% 상대습도에서 사출시편을 측정하였다.
제조예 :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제조
중합 반응기에 프로필렌과 에틸렌을 동시에 넣고 트리에틸 알루미늄, 다이이써 촉매, 및 실레인계 전자 공여자를 주입하고 65~75℃의 반응온도 및 32~34기압 하에서 슬러리 벌크 중합을 실시하여 에틸렌 함량이 0.8중량부(A1) 및 3.5중량부(A2)인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를 제조하였고 수소에 의해 용융지수를 조절하였다.
실시예 1
하기 표 1에서와 같이,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A1) 100중량부에 대해, 스테아르산 칼슘 0.05중량부, 알킬아민계 화합물 0.05중량부,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0.1중량부, 숙신산디메틸과 4-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1-피페리딘에탄올의 중합물 0.1중량부 및 3,4-디메틸벤질리덴 솔비톨 0.2중량부를 혼합하여 핸셀 믹서에서 1분간 혼합한 후 170~220℃의 이축 압출기로 압출하여 펠렛 상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얻었다. 얻어진 펠렛 상의 상기 수지 조성물을 LS전선 140톤 사출성형기로 사출하여 물성측정, 헤이즈, 및 황색도 측정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및 3
하기 표 1에서와 같이, 성분 B1 내지 B5 및 C의 조성 및 함량비를 조절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물성측정, 헤이즈, 및 황색도 측정시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비교예 2 및 4
하기 표 1에서와 같이,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A2) 100중량부에 대해, 성분 B1 내지 B5 및 C의 조성 및 함량비를 조절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물성측정, 헤이즈, 및 황색도 측정시편을 제조하였다.
구분 A1 A2 B1 B2 B3 B4 B5 C
실시예1 100 0.05 0.05 0.1 - 0.1 0.2
실시예2 100 0.05 0.05 0.1 - 0.1 0.2
비교예1 100 0.05 - 0.2 - - 0.2
비교예2 100 0.05 - 0.2 - - 0.2
비교예3 100 0.05 0.1 0.1 0.2
비교예4 100 0.05 0.1 0.1 0.2

A1: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용융지수; 28g/10분(230도, 2.16kg하중), 에틸렌 함량: 0.8중량부]
A2: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용융지수; 28g/10분(230도, 2.16kg하중), 에틸렌 함량: 3.5중량부]
B1: 스테아르산 칼슘(SC-110), 중화제(제조사: ㈜두본)
B2: 알킬아민계 화합물(FS042), 아민계 산화방지제(제조사: ㈜바스프)
B3: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Irg168), 인계 산화방지제(제조사: ㈜바스프)
B4: 인계 화합물(HP-10), 인계 산화방지제(제조사: ㈜아데카)
B5: 숙신산디메틸과 4-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1-피페리딘에탄올의 중합물(티누빈 622LD), 힌더드아민계 화합물(제조사: ㈜바스프)
C: 3,4-디메틸벤질리덴 솔비톨(Millad 3988), 핵제(제조사: ㈜밀리켄)
[방사선 조사 조건]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과학연구소에서 보유 중인 방사선 조사장치(Co-60 250, 959Ci)로 물성시편 및 헤이즈 및 황색도 측정용 2mm 두께 시편에 총 조사량을 25kGy로 하는 감마선을 10시간 조사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각각의 시편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고, 그의 측정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항복점 응력(kgf/cm2) 황색도 헤이즈(%)
감마선 조사 전 4주 후 변화율
(%)
감마선 조사 전 4주 후 변화율
(%)
감마선 조사 전 4주 후 변화율
(%)
실시예1 380 390 2.6 -26.0 -24.7 5.0 31.9 32.6 2.2
실시예2 304 344 13.2 -25.5 -24.0 5.9 26.5 26.8 1.1
비교예1 386 423 9.6 -26.1 -22.8 12.6 34.4 37.3 8.4
비교예2 299 350 17.1 -26.0 -23.5 9.6 22.3 24.7 10.8
비교예3 379 413 9.0 -26.5 -22.6 14.7 33.9 35.0 3.2
비교예4 303 351 15.8 -25.9 -21.4 17.4 20.4 21.9 7.4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와 비페놀계 산화방지제인 인계 산화방지제 및 아민계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는 실시예 1 및 2의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항복점 응력 변화율이 13.2% 이하이고 황색도 변화율이 5.9% 이하이며 헤이즈 변화율이 2.2%이하로 기계적 물성 및 투명성, 색상 변화도가 낮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반면에,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에 인계 산화방지제로만 이루어진 비교예 1 내지 4는 실시예 1 및 2에 비해, 항복점 응력, 투명성 및 색상변화도가 현저히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항복점 응력, 투명성 및 색상변화도가 큰 경우, 최종 제조된 성형 제품에 물성 저하, 황변현상 등이 발생하여 내방사선성 의료용품 및 식품 소재로서 사용이 어려울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에 비페놀계 산화방지제인 인계 산화방지제와 아민계 산화방지제를 효과적으로 혼합한 수지가 방사선 조사 후 물성 및 색상 변화도가 현저히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내방사선용 폴리프로필렌 성형품에 적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1)

  1. 삭제
  2.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100중량부;
    비페놀계 산화방지제인 인계 산화방지제 0.05~0.15중량부; 및
    비페놀계 산화방지제인 아민계 산화방지제 0.03~0.1중량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는, 다이이써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으로 에틸렌 함량이 0.5~5중량부이고, 용융지수가 10~35g/10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계 산화방지제는,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계 산화방지제는, 알킬 아민계 산화방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핵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핵제는 솔비톨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핵제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5~0.3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9.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방사선 조사 전후에, 항복점 응력 변화율이 13.2% 이하이고, 황색도 변화율이 5.9% 이하이며, 헤이즈 변화율이 2.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0. 제2항 또는 제6항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멸균용 플라스틱 제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KR20100060955A 2010-06-28 2010-06-28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189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60955A KR101189004B1 (ko) 2010-06-28 2010-06-28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60955A KR101189004B1 (ko) 2010-06-28 2010-06-28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616A KR20120000616A (ko) 2012-01-04
KR101189004B1 true KR101189004B1 (ko) 2012-10-08

Family

ID=45608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60955A KR101189004B1 (ko) 2010-06-28 2010-06-28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90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528B1 (ko) 2013-06-27 2015-02-17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저온 충격성이 향상된 가요전선관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가요전선관
KR101812890B1 (ko) 2016-08-11 2017-12-27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내방사선성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079B1 (ko) * 2012-11-28 2014-10-27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색상변화가 적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N115536949A (zh) * 2022-11-03 2022-12-30 北方华锦化学工业股份有限公司 一种食品级超透明聚丙烯树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9461A (ja) * 1998-10-20 2000-04-25 Grand Polymer:Kk 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組成物からなる医療用器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9461A (ja) * 1998-10-20 2000-04-25 Grand Polymer:Kk 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組成物からなる医療用器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528B1 (ko) 2013-06-27 2015-02-17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저온 충격성이 향상된 가요전선관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가요전선관
KR101812890B1 (ko) 2016-08-11 2017-12-27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내방사선성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616A (ko) 201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19871B2 (ja) 非フェノール系安定剤を含む照射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US20020086924A1 (en) Stabilized gamma irradiated polyolefins
KR20150058407A (ko) 헤테로상 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탈크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1874488B1 (ko) 솔비톨 화합물을 함유하는 투명화제 조성물 및 이 솔비톨 화합물을 사용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1189004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09038237A1 (ja) 光安定化ポリプロピレン
US7635732B2 (en) Process for producing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H06322193A (ja) 耐放射線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KR870002104B1 (ko) 방사선에 안정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EP1931731B1 (en) Propylene copolymer compositions
JP2017537195A (ja) ポリプロピレンを押出す方法
JP4808419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並びにその組成物からなる注射器外筒
JP6731221B2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医療用成形体
KR101913911B1 (ko) 내감마선성 α-올레핀 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KR101738767B1 (ko) 내방사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0571035B1 (ko) 내감마선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KR101812890B1 (ko) 내방사선성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20048537A (ko)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188924B1 (ko) 투명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CN116769248A (zh) 一种医用透明聚丙烯材料耐候母粒及其制备方法
WO2005056661A2 (en) Radiation resistant polypropylene useful in medical applications
KR100633788B1 (ko) 의약 용기용 수지 조성물
KR102548685B1 (ko) 투명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454079B1 (ko) 색상변화가 적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S61159437A (ja) プロピレン系重合体混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