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8381B1 - 침전지 호퍼의 슬러지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침전지 호퍼의 슬러지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8381B1
KR101188381B1 KR1020120036294A KR20120036294A KR101188381B1 KR 101188381 B1 KR101188381 B1 KR 101188381B1 KR 1020120036294 A KR1020120036294 A KR 1020120036294A KR 20120036294 A KR20120036294 A KR 20120036294A KR 101188381 B1 KR101188381 B1 KR 101188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wall
hopper
sedimentation basin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명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Priority to KR1020120036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83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전지의 호퍼에 설치되어 상기 호퍼에 모이는 슬러지를 배출시키기 위한 침전지 호퍼의 슬러지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호퍼 내부의 바닥과 각 벽에 밀착되는 상태로 형성하여 상기 모이는 슬러지를 저장하도록 형성하되, 각 면은 내측과 외측으로 이격된 이중벽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면의 내측벽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 형성되어 상기 저장된 슬러지를 흡입하기 위한 다수개의 흡입구; 및 진공 펌프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외측벽의 일 지점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슬러지를 배출시키기 위한 흡입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호퍼 내부의 바닥과 각 벽에 고르게 형성된 흡입구를 통해 슬러지를 원활하게 흡입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 침전지 호퍼의 슬러지 배출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침전지 호퍼의 슬러지 배출장치{Sludge draining apparatus for settling pond}
본 발명은 침전지 호퍼에 모인 슬러지를 원활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호퍼에 모인 슬러지의 흡입 배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침전지 호퍼의 슬러지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장이나 하수 처리장에는 처리수에 함유되어 있는 슬러지를 침전시키기 위한 침전지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침전지(1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일측에 슬러지를 모으기 위한 호퍼(11)가 요입 형성되고, 상기 침전지 내부에는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를 상기 호퍼로 모으기 위한 수거장치(20)가 설치되며, 상기 호퍼에는 모아진 슬러지를 강제로 흡입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장치(3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출장치는 통상 펌프를 이용하여 슬러지를 빨아내는 흡입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호퍼에는 흡입관(31)이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배출장치는 흡입관이 슬러지를 흡입할 수 있는 반경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관 주변을 제외한 호퍼 내부 여러 곳에 슬러지가 남아있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현상이 계속 진행되면 호퍼 주변의 슬러지가 굳어지면서 점점 확대되어 슬러지의 배출을 방해하는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배출장치(30)의 다른 실시 예로서 등록특허 제0954264호에는 호퍼(11)의 하부에는 슬러지를 빨아들이기 위한 흡입관(31)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호퍼(11)의 상부에는 복수 개의 분산 호퍼(32)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상기 등록특허의 공보에서 발췌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분산 호퍼(32)를 갖는 구조는 분산 호퍼(32)의 개수가 많아지면서 호퍼와 분산 호퍼를 통한 슬러지의 저장량이 크게 적어지는 단점이 있고, 상기 호퍼(32)의 하부에는 그만큼 큰 공간이 남기 때문에 흡입관을 통한 흡입력이 크게 작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호퍼 내부의 바닥과 각 벽에 고르게 형성된 흡입구를 통해 슬러지를 흡입하고, 이를 흡입관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침전지 호퍼의 슬러지 배출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흡입구 사이에 남아 있는 슬러지를 떨어뜨리면서 흡입구를 통해 흡입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침전지 호퍼의 슬러지 배출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침전지의 호퍼에 설치되어 상기 호퍼에 모이는 슬러지를 배출시키기 위한 침전지 호퍼의 슬러지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퍼 내부의 바닥과 각 벽에 밀착되는 상태로 형성하여 상기 모이는 슬러지를 저장하도록 형성하되, 각 면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내측벽과 외측벽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면의 내측벽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 형성되어 상기 저장된 슬러지를 흡입하기 위한 다수개의 흡입구; 및 진공 펌프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외측벽의 일 지점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슬러지를 배출시키기 위한 흡입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흡입구는 상기 내측벽으로부터 외측벽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내측이 넓고 외측이 좁은 나팔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내측벽과 외측벽 사이에 중간벽을 형성하되, 상기 나팔관 형태의 흡입구가 관통하도록 하면서 상기 내측벽과의 사이에 밀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각 내측벽의 흡입구 사이에 형성되는 산기 배출구; 상기 산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내측벽과 중간벽 사이로 연결되면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 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개폐부재는 얇은 고무판 형태로 형성되고, 공기를 배출시 열리고 공기의 배출을 차단하면 닫히도록 상기 산기 배출구 일측에 결합된다.
상기 각 면 중 슬러지가 유입되는 방향의 전면 또는 양측면은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경사도는 60~70°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침전지 호퍼의 슬러지 배출장치에 의하면 호퍼 내부의 바닥과 각 벽에 고르게 형성된 흡입구를 통해 슬러지를 흡입함으로써, 호퍼 내부의 슬러지를 전체적으로 원활하게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침전지 호퍼의 슬러지 배출장치에 의하면 산기구를 통해 상기 흡입구 사이에 남아 있는 슬러지를 떨어뜨리면서 흡입구를 통해 흡입함으로써, 호퍼 내부의 슬러지를 남김없이 원활하게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방식의 침전지 호퍼의 슬러지 배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침전지 호퍼의 슬러지 배출장치를 도시한 설치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침전지 호퍼의 슬러지 배출장치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침전지 호퍼의 슬러지 배출장치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침전지 호퍼의 슬러지 배출장치를 도시한 슬러지 흡입 및 배출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침전지 호퍼의 슬러지 배출장치를 도시한 산기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침전지 호퍼의 슬러지 배출장치(100)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벽 구조로 형성하되, 내측벽(110)에는 슬러지를 흡입하기 위한 다수개의 흡입구(120)가 형성되고, 외측벽(130)에는 흡입관(140)이 연결된다.
상기 슬러지 배출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전지(10)에 형성된 호퍼(11) 내부의 바닥과 각 벽에 밀착되는 상태로 형성하여 상기 모이는 슬러지를 저장하도록 하되, 상기 호퍼(11)와 밀착되는 각 면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내측벽(110)과 외측벽(120)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형성한다. 이때, 상기 각 면의 내측벽(110)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흡입구(120)가 배열 형성되어 상기 저장된 슬러지를 흡입하도록 하고, 상기 외측벽(130)의 일 지점을 통해서는 진공 펌프(200)와 결합되어 상기 흡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슬러지를 배출시키기 위한 흡입관(140)이 연결된다.
따라서 침전지(10) 바닥에 슬러지가 모이면 침전지(10) 내에 설치된 수거장치(20)가 작동하여 호퍼(11)로 모으는데, 이때 호퍼(11)로 모이는 슬러지는 일차적으로 본 발명의 슬러지 배출장치(100)에 저장된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 펌프(200)가 작동하면 흡입구(120)와 흡입관(140)을 통해 슬러지를 강제로 빨아 배출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흡입구(120)는 상기 내측벽(110)으로부터 외측벽(130)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내측이 넓고 외측이 좁은 나팔관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흡입구(120)를 나팔관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진공 흡입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는 상기 내측벽(110)과 외측벽(130) 사이에 중간벽(150)을 형성하되, 상기 나팔관 형태의 흡입구(120)가 관통하도록 하면서 상기 내측벽(110)과의 사이에 밀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각 내측벽(110)의 흡입구(120) 사이에는 산기 배출구(160)를 형성하며, 상기 산기 배출구(160)에는 개폐부재(170)가 설치되어 상기 산기 배출구(160)가 개폐되도록 하고, 에어 펌프(3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벽(110)과 중간벽(150) 사이에는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 공급관(180)이 연결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흡입구(120)와 흡입관(140)을 통해 슬러지를 배출한 상태에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 펌프(300)를 작동시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 공급관(180)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산기 배출구(170)을 통해 빠져나가면서 빠른 물살과 공기 방울을 만들어 내측벽(110)에 달라붙은 슬러지를 떨어뜨린다. 슬러지가 떨어짐과 동시에 진공 펌프(200)를 재가동시키면 떨어지는 슬러지가 흡입구(120)와 흡입관(140)을 통해 완전히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17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고무판 형태로 형성되고, 공기를 배출시 열리고 공기의 배출을 차단하면 닫히도록 상기 산기 배출구(160) 일측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재(170)를 통해서 공기는 원활하게 공급하면서도 역으로 상기 슬러지가 유입되는 것은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슬러지 배출장치(100)는 상기 각 면 중 슬러지가 유입되는 방향의 전면 또는 양측면이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60~70°의 경사도록 형성함으로써, 슬러지가 원활하게 미끄러지면서 흘러내리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바닥과 각 벽에 고르게 형성된 흡입구(120)를 통해 저장된 슬러지를 흡입함으로써, 내부에 저장된 슬러지를 전체적으로 원활하게 흡입하여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산기 배출구(160)를 통해 상기 흡입구(120) 사이에 남아 있는 슬러지를 떨어뜨리면서 흡입구(120)를 통해 흡입함으로써, 내부에 슬러지를 남김없이 원활하게 흡입하여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10: 침전지 11: 호퍼
20: 수거장치
100: 슬러지 배출장치
110: 내측벽 120: 흡입구
130: 외측벽 140: 흡입관
150: 중간벽 160: 산기 배출구
170: 개폐부재 180: 에어 공급관
200: 진공 펌프 300: 에어 펌프

Claims (6)

  1. 침전지의 호퍼에 설치되어 상기 호퍼에 모이는 슬러지를 배출시키기 위한 침전지 호퍼의 슬러지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퍼 내부의 바닥과 각 벽에 밀착되는 상태로 형성하여 상기 모이는 슬러지를 저장하도록 형성하되, 각 면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내측벽과 외측벽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면의 내측벽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 형성되어 상기 저장된 슬러지를 흡입하기 위한 다수개의 흡입구; 및
    진공 펌프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외측벽의 일 지점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슬러지를 배출시키기 위한 흡입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 호퍼의 슬러지 배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상기 내측벽으로부터 외측벽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내측이 넓고 외측이 좁은 나팔관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 호퍼의 슬러지 배출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측벽과 외측벽 사이에 중간벽을 형성하되, 상기 나팔관 형태의 흡입구가 관통하도록 하면서 상기 내측벽과의 사이에 밀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각 내측벽의 흡입구 사이에 형성되는 산기 배출구;
    상기 산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 및
    에어 펌프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벽과 중간벽 사이로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 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 호퍼의 슬러지 배출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얇은 고무판 형태로 형성되고, 공기를 배출시 열리고 공기의 배출을 차단하면 닫히도록 상기 산기 배출구 일측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 호퍼의 슬러지 배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면 중 슬러지가 유입되는 방향의 전면 또는 양측면은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 호퍼의 슬러지 배출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경사도는 60~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 호퍼의 슬러지 배출장치.
KR1020120036294A 2012-04-06 2012-04-06 침전지 호퍼의 슬러지 배출장치 KR101188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294A KR101188381B1 (ko) 2012-04-06 2012-04-06 침전지 호퍼의 슬러지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294A KR101188381B1 (ko) 2012-04-06 2012-04-06 침전지 호퍼의 슬러지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8381B1 true KR101188381B1 (ko) 2012-10-09

Family

ID=47287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294A KR101188381B1 (ko) 2012-04-06 2012-04-06 침전지 호퍼의 슬러지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83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531B1 (ko) 2020-09-29 2021-07-22 (주)태광엔텍 침전지의 운전 제어 시스템
WO2022169293A1 (ko) * 2021-02-05 2022-08-11 주식회사 파나시아 슬러지 제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264B1 (ko) 2009-11-13 2010-04-23 김창용 슬러지 배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264B1 (ko) 2009-11-13 2010-04-23 김창용 슬러지 배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531B1 (ko) 2020-09-29 2021-07-22 (주)태광엔텍 침전지의 운전 제어 시스템
WO2022169293A1 (ko) * 2021-02-05 2022-08-11 주식회사 파나시아 슬러지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167486A1 (zh) 装填水平管沉淀分离装置的沉淀池
TWI537041B (zh) Conical solid - liquid separator
RU2012155850A (ru) Резервуар для жидкости, выполненный с возможностью удаления воздуха, вовлеченного в жидкость
KR101188381B1 (ko) 침전지 호퍼의 슬러지 배출장치
WO2008139618A1 (ja) 水の処理方法
JP2010104932A (ja) 散気装置
CN207562518U (zh) 一种气液分离装置
US9415417B2 (en) Scattered powder cleaning device capable of removing scattered powder from an internal space
CN105060397A (zh) 一种多级过滤分离的隔油池
KR101373231B1 (ko) 유입식 스컴 제거장치
KR100775036B1 (ko) 슬러지수집 및 침전탈수장치.
CN209900865U (zh) 一种污水处理斜坡沉淀池
KR101042217B1 (ko) 와류식 슬러지 배출장치
CN208603793U (zh) 一种带气冲洗两层斜管或板混凝沉淀净水系统
KR101168947B1 (ko) 다단 스크린을 구비한 디캔터
CN208500697U (zh) 一种城市地下水道防堵塞污水处理装置
CN106914038B (zh) 斜管沉淀池清洗装置和清洗方法
CN203258954U (zh) 自然蒸发排水盘
KR200431204Y1 (ko) 폐수처리장치
CN206295638U (zh) 一种斜板沉淀池及其排泥机构
CN214835158U (zh) 一种泳池排水沟结构
CN205995091U (zh) 一种均布沉淀池
KR200451529Y1 (ko) 에어클리너
US10080352B2 (en) Aquarium undergravel filter
CN214389020U (zh) 一种虹吸穿孔排泥管的排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