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7847B1 - 다용도 매트 - Google Patents

다용도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847B1
KR101187847B1 KR1020110082043A KR20110082043A KR101187847B1 KR 101187847 B1 KR101187847 B1 KR 101187847B1 KR 1020110082043 A KR1020110082043 A KR 1020110082043A KR 20110082043 A KR20110082043 A KR 20110082043A KR 101187847 B1 KR101187847 B1 KR 101187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at
pin
fixed
pip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2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안
Original Assignee
이용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안 filed Critical 이용안
Priority to KR1020110082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8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6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 A47G9/062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for covering the ground, e.g. picnic or beach blan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6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삽입고정되는 고정핀의 핀부재로 인해 시트가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펄럭이지 않게 되기 때문에 상기 시트가 바람에 펄럭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중량물을 준비할 필요가 없고, 나아가 상기 시트를 돗자리 용도는 물론 햇빛가리개 용도, 천막 용도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매트{MAT DEVICE FOR MULTIPLE PURPOSE}
본 발명은 지면에 삽입고정되는 고정핀의 핀부재로 인해 시트가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펄럭이지 않게 되기 때문에 상기 시트가 바람에 펄럭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중량물을 준비할 필요가 없고, 나아가 상기 시트를 돗자리 용도는 물론 햇빛가리개 용도, 천막 용도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가능한 다용도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 등지로 가족들이 소풍을 나가거나 단체로 캠핑 등을 가게 될 경우, 지면에 펼쳐진 상태로 안착되는 돗자리 등을 포함한 매트에 앉아서 쉬게 되는데, 상기 돗자리 등을 포함한 매트는 대게 장방형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지면에 펼쳐진 상태로 안착된 상기 돗자리 등을 포함한 매트로 바람 등의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돗자리 등을 포함한 매트가 펄럭이게 되어 상기 돗자리 등을 포함한 매트에 놓은 용기 등이 엎질러질 우려가 높기 때문에 상기 돗자리 등을 포함한 매트가 바람 등의 외력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중량이 무거운 물건을 미리 준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지면에 삽입고정되는 고정핀의 핀부재로 인해 시트가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펄럭이지 않게 되기 때문에 상기 시트가 바람에 펄럭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중량물을 준비할 필요가 없고, 나아가 상기 시트를 돗자리 용도는 물론 햇빛가리개 용도, 천막 용도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가능한 다용도 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와; 상기 시트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관부재와, 상기 관부재를 감싼 상태로 상기 시트에 고정되는 보조시트로 구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관부재의 외부로 노출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관부재의 내부에 수용되는 핀부재와, 상기 헤드부에 상측이 연결되고, 하측이 상기 관부재에 고정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매트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관부재의 하부 타측에 상기 관부재의 타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이탈방지대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시트는 상기 관부재와 상기 이탈방지대를 감싼 상태로 상기 시트에 봉제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관부재 주변의 보조시트 및 상기 이탈방지대 주변의 보조시트는 상기 시트에 봉제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관부재의 단면 형상은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관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하측이 고정되는 일측관부재와; 상기 일측관부재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핀부재가 내부에 수용되는 타측관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탄성부재의 상측은 상기 헤드부의 중간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핀부재의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타측관부재의 내주면에 복수의 수용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핀부재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홈내에 각각 구비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홈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볼부재로 구성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시트의 중심부와 상기 시트의 각 모서리에 관통구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시트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관통구내를 통과하는 연결줄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시트의 중심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지면에 삽입고정되는 고정핀의 핀부재로 인해 시트가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펄럭이지 않게 되기 때문에 상기 시트가 바람에 펄럭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중량물을 준비할 필요가 없고, 나아가 상기 시트를 돗자리 용도는 물론 햇빛가리개 용도, 천막 용도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다용도 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시트에서 고정부와 고정핀을 분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고정부와 고정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시트에 보조시트가 봉제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일측관부재와 타측관부재로 구성되는 관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보조시트가 도 6의 관부재를 감싼 상태로 시트에 봉제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평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수용홈과 고정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시트의 중심부와 시트의 각 모서리에 각각 관통구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2는 시트가 천막 용도로 사용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시트가 햇빛가리개 용도로 사용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시트가 돗자리 용도로 사용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5는 시트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다용도 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시트(10)에서 고정부(20)와 고정핀(30)을 분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다용도 매트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시트(10), 고정부(20) 및 고정핀(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시트(10)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특히 폴리에틸렌 등을 포함한 합성수지 재질로 얇게 제작되어 사용자가 쉽게 말아서 휴대 또는 일정장소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2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관부재(210)와 보조시트(220)로 구성된다.
상기 관부재(210)는 상기 시트(10)의 상부면 각 모서리에 수평으로 안착구비된다.
상기 보조시트(220)는 상기 시트(10)와 동일한 재질, 즉 폴리에틸렌 등을 포함한 합성수지 재질로 얇게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보조시트(220)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상태인 상기 관부재(210)의 상부 외주면을 감싼 상태로 상기 시트(10)의 상부면 각 모서리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시트(220)의 가장자리는 상기 시트(10)의 상부면 각 모서리에 봉제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고정부(20)와 고정핀(3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핀(30)은 헤드부(310), 핀부재(320) 및 탄성부재(330)로 구성된다.
상기 헤드부(31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관부재(2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관부재(210)의 상측에 구비된다.
상기 핀부재(320)는 상기 헤드부(310)의 일측 하부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된다.
상기 핀부재(320)는 상기 관부재(210)의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탄성부재(330)는 고무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탄성부재(330)의 교체의 편의성을 위해 상기 탄성부재(330)의 상측은 상기 헤드부(310)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311)을 관통한 상태로 사용자에 의해 매듭고정되고,
상기 탄성부재(330)의 하측은 상기 관부재(210)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관부재(210)의 하측 바닥면을 관통한 후 사용자에 의해 매듭고정되는 것이 좋다.
상기 헤드부(310)에 연결되기 전의 상기 탄성부재(330)의 상하길이는 상기 관부재(210)의 상하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더욱 좋다.
이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핀부재(320)가 상기 관부재(21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핀부재(320)에 가한 당김력을 제거할 시, 상기 탄성부재(3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핀부재(320)가 상기 관부재(210)의 내부로 인입됨과 동시에 상기 헤드부(310)의 하측과 상기 관부재(210)의 상측이 서로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관부재(210)의 하부 타측에는 상기 관부재(210)와 직교를 이룬 상태로 상기 관부재(210)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는 이탈방지대(230)가 일체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시트(10)에 보조시트(220)가 봉제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평면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시트(220)는 상기 관부재(210)와 상기 이탈방지대(230)를 감싼 상태로 가장자리가 상기 시트(10)의 상부면 각 모서리에 봉제고정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관부재(210) 주변의 상기 보조시트(220) 즉, 상기 보조시트(220)의 중심부부위(P1)와,
상기 이탈방지대(230) 주변의 보조시트(220) 즉, 상기 보조시트(220)의 중심부 하부 타측부위(P2)는 상기 시트(10)에 봉제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대(230)로 인해 상기 시트(10)의 상부면 각모서리에 수평안착된 상태인 상기 관부재(210)가 상기 시트(10)의 외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5는 도 3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핀부재(320)와 상기 탄성부재(330)가 상기 관부재(210)의 내부에 보다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관부재(210)의 단면형상은 타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일측관부재(211)와 타측관부재(212)로 구성되는 관부재(2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보조시트(220)가 도 6의 관부재(210)를 감싼 상태로 시트(10)에 봉제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관부재(210)는 일측관부재(211)와 타측관부재(2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관부재(211)의 타측에 상기 타측관부재(212)가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관부재(211)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인 상기 탄성부재(330)의 하측은 상기 일측관부재(211)의 하측 바닥면을 관통한 후 사용자에 의해 매듭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30)의 하측은 상기 관부재(210)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관부재(210)의 하측 바닥면을 관통한 후 사용자에 의해 매듭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타측관부재(212)의 내부에는 상기 핀부재(320)가 수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310)의 관통공(311)은 상기 헤드부(310)의 중간부에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330)의 상측은 상기 헤드부(310)의 중간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311)을 관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매듭고정된 상태로 연결되는 것이 좋다.
상기 탄성부재(330)의 상측이 상기 헤드부(310)의 중간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311)을 관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매듭고정된 상태로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탄성부재(3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핀부재(320)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타측관부재(212)의 타측 내주면 방향으로 하향경사진 상태로 수용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핀부재(320)가 상기 타측관부재(212)의 내부에서 외부로 너무 쉽게 인출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9는 도 7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핀부재(320)의 양측 외주면에는 복수의 돌기(321)가 복수의 돌기(321)가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복수의 상기 돌기(321)의 단면 형상은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좌우폭이 점차 좁아지는 직각삼각형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핀부재(320)의 외주면에 복수의 상기 돌기(321)가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지면(도 14의 5)에 삽입된 상태인 상기 핀부재(320)가 보다 더욱 견고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10은 수용홈(212a)과 고정부재(34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관부재(212)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수용홈(212a)이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수용홈(212a)은 상기 타측관부재(212)의 양측 내주면에 수평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핀부재(320)의 외주면에는 홈(322)이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322)은 상기 핀부재(320)의 양측 외주면에 수평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핀부재(320)에는 고정부재(3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340)는 탄성부재(341)와 볼부재(34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41)는 상기 핀부재(320)의 외주면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상기 홈(322)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41)는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볼부재(342)는 상기 탄성부재(341)에 연결고정되어 상기 홈(322)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볼부재(342)가 상기 수용홈(212a)내에 수용되기 때문에 상기 핀부재(320)가 상기 타측관부재(212)의 내부에서 외부로 쉽게 인출되는 것을 보다 더더욱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11은 시트(10)의 중심부와 시트(10)의 각 모서리에 각각 관통구(40, 50)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시트(10)의 중심부에는 관통구(4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시트(22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시트(10)의 각 모서리에도 관통구(5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시트(10)가 천막 용도로 사용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한편, 지면(5)에 일정간격으로 수직고정되는 지주(51)의 상측에 일체형으로 각각 수직형성된 고정핀(510)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시트(10)의 관통구(40, 50)를 각각 관통한 상태로 상기 관통구(40, 50)내에 수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시트(10)를 천막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3은 시트(10)가 햇빛가리개 용도로 사용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는, 상기 시트(10)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50)내에는 천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원형 또는 타원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연결줄(70)이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줄(70)의 내측에는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면에서 일정높이로 수평형성될 수 있는 파이프, 봉 등을 포함한 관체(710)가 수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시트(10)를 햇빛가리개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시트(10)가 돗자리 용도로 사용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는,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시트(10)가 지면(5)에 수평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핀부재(320)가 지면에 일정깊이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시트(10)를 돗자리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시트(10)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구(40)를 개폐하는 개폐부재(6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시트(10)의 중심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40)를 개폐하는 개폐부재(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60)는 개폐시트(610)와 체결부재(6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시트(610)는 폴리에틸렌 등을 포함한 합성수지 재질로 얇게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개폐시트(610)의 하부면 타측은 상기 시트(10)의 관통구(40)의 타측 주변의 상기 시트(10)의 상부면에 봉제고정되거나 본드접착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620)는 상측체결부재(621)와 하측체결부재(6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체결부재(621)는 상기 개폐시트(610)의 하부면 일측에 일체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측체결부재(622)는 상기 시트(10)의 관통구(40) 일측 주변의 상기 시트(10)의 상부면에 일체구비되어 상기 상측체결부재(621)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620)로서, 벨크로, 똑딱이 단추, 자석 등을 사용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지면(5)에 삽입고정되는 상기 고정핀(30)의 핀부재(320)로 인해 상기 시트(10)가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펄럭이지 않게 되기 때문에 상기 시트(10)가 바람 등에 의해 펄럭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중량물을 준비할 필요가 없고, 나아가 상기 시트(10)를 돗자리 용도는 물론 햇빛가리개 용도, 천막 용도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가능한 이점이 있다.
10; 시트, 20; 고정부,
30; 고정핀.

Claims (11)

  1. 시트(10)와;
    상기 시트(10)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관부재(210)와, 상기 관부재(210)를 감싼 상태로 상기 시트(10)에 고정되는 보조시트(220)로 구성되는 고정부(20)와;
    상기 관부재(210)의 외부로 노출되는 헤드부(310)와, 상기 헤드부(310)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관부재(210)의 내부에 수용되는 핀부재(320)와, 상기 헤드부(310)에 상측이 연결되고, 하측이 상기 관부재(210)에 고정되는 탄성부재(330)로 구성되는 고정핀(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부재(210)의 하부 타측에 상기 관부재(210)의 타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이탈방지대(230)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시트(220)는 상기 관부재(210)와 상기 이탈방지대(230)를 감싼 상태로 상기 시트(10)에 봉제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매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부재(210)의 단면 형상은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매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부재(210)는 상기 탄성부재(330)의 하측이 고정되는 일측관부재(211)와; 상기 일측관부재(211)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핀부재(320)가 내부에 수용되는 타측관부재(2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매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30)의 상측은 상기 헤드부(310)의 중간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매트.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320)의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321)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매트.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관부재(212)의 내주면에 복수의 수용홈(212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핀부재(320)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홈(322)내에 각각 구비되는 탄성부재(341)와, 상기 탄성부재(341)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홈(322)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수용홈(212a)에 수용되는 볼부재(342)로 구성되는 고정부재(3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매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10)의 중심부와 상기 시트(10)의 각 모서리에 관통구(40, 50)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매트.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10)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관통구(50)내를 통과하는 연결줄(7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매트.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10)의 중심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40)를 개폐하는 개폐부재(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매트.
  11. 삭제
KR1020110082043A 2011-08-18 2011-08-18 다용도 매트 KR101187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043A KR101187847B1 (ko) 2011-08-18 2011-08-18 다용도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043A KR101187847B1 (ko) 2011-08-18 2011-08-18 다용도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7847B1 true KR101187847B1 (ko) 2012-10-04

Family

ID=47287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2043A KR101187847B1 (ko) 2011-08-18 2011-08-18 다용도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8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8522B1 (ko) 2016-08-26 2017-09-14 최창수 날림 방지 기능을 가지는 돗자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538Y1 (ko) 2003-11-15 2004-02-18 문태근 돗자리용 고정구
KR200450010Y1 (ko) 2010-04-14 2010-09-02 이지은 날림 방지 돗자리
KR200453302Y1 (ko) 2008-07-14 2011-04-18 이용안 돗자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538Y1 (ko) 2003-11-15 2004-02-18 문태근 돗자리용 고정구
KR200453302Y1 (ko) 2008-07-14 2011-04-18 이용안 돗자리
KR200450010Y1 (ko) 2010-04-14 2010-09-02 이지은 날림 방지 돗자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8522B1 (ko) 2016-08-26 2017-09-14 최창수 날림 방지 기능을 가지는 돗자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2351B2 (en) Foldable chair
US20170234025A1 (en) Treepod Assembly
US92591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ground covering
CA2895883C (en) Popped-up playmat assembly
KR200481329Y1 (ko) 욕실용 선반
US20130292973A1 (en) Combined infant car seat cover and window shade
JP5804657B2 (ja) 前部チャイルドシートカバー
US8931498B2 (en) Portable enclosure with elastically sealed opening
KR101187847B1 (ko) 다용도 매트
AU2015259988A1 (en) A frame structure of simple chair
JP6270274B2 (ja) 自転車用リアチャイルドシートカバー
JP6415169B2 (ja) 自転車用前部チャイルドシートカバー
US20140137320A1 (en) Portable and convertible in-ground infant pool
CA2855465C (en) Drawstring bag
KR200453302Y1 (ko) 돗자리
KR101449985B1 (ko) 돗자리 겸용 가방
KR200469663Y1 (ko) 안전 삼각대를 구비한 다용도 가방
US10711483B2 (en) Collapsible changing tent assembly
US20150059091A1 (en) Self-storing Beach Blanket
JP3185097U (ja) 乳児用ベッド
KR20210053655A (ko) 확장형 영유아용 침구세트
KR101114357B1 (ko) 돗자리
US11986076B2 (en) Combination bag, mat, and flotation device
KR200476870Y1 (ko) 용접부를 구비한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
JP3137958U (ja) ランドセル用補助かば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