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6618B1 - 이동형 디지털 모델 하우스 - Google Patents

이동형 디지털 모델 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6618B1
KR101186618B1 KR1020100039465A KR20100039465A KR101186618B1 KR 101186618 B1 KR101186618 B1 KR 101186618B1 KR 1020100039465 A KR1020100039465 A KR 1020100039465A KR 20100039465 A KR20100039465 A KR 20100039465A KR 101186618 B1 KR101186618 B1 KR 101186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omputer
display unit
touch pad
lak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0001A (ko
Inventor
고일두
Original Assignee
고일두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일두, 대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일두
Priority to KR1020100039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6618B1/ko
Publication of KR20110120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0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6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6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형식으로 차량에 탑재되어 지금 실재하거나, 앞으로 실재할 공간을 가상현실(Virtual Reality) 기술을 이용하여 관람자가 시각과 청각 등으로 그 공간에 존재하고 느끼듯이 자유롭게 공간을 이동하면서 시야를 원하는 방향으로 돌려 보고 세대별 조망, 일조, 프라이버시 침해 검토와 입주자 옵션에 따른 공간확장 및 공간변형과 마감재, 가구 배치 등 인테리어 선택을 시뮬레이션해 보는 모델하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형 차량(100); 상기 차량(100)의 내부 공간의 벽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200);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관람자가 앉을 수 있는 관람용 디지털의자(300); 상기 디지털의자(300)의 일측에 구비되어 관람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제시된 메뉴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작업내용을 입력하는 터치패드(400); 및, 상기 터치패드(400)로 입력된 작업내용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와서 처리하고 그 결과 생성된 영상테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로 송신하는 소프트웨어가 내장된 제어용컴퓨터(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용컴퓨터(5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3차원 모델 데이터가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용컴퓨터(500)는 상기 터치패드(400)를 통하여 입력된 작업내용에 해당되는 3차원 모델 데이터를 불러옥 컨텐츠와 상호 작용을 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하여 관람자에게 실시간으로 렌더링을 통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디지털 모델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형 디지털 모델 하우스{Mobile Digital Model House}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형식으로 차량에 탑재되어 지금 실재하거나, 앞으로 실재할 공간을 가상현실(Virtual Reality) 기술을 이용하여 관람자가 시각과 청각 등으로 그 공간에 존재하고 느끼듯이 자유롭게 공간을 이동하면서 시야를 원하는 방향으로 돌려 보고 세대별 조망, 일조, 프라이버시 침해 검토와 입주자 옵션에 따른 공간확장 및 공간변형과 마감재, 가구 배치 등 인테리어 선택을 시뮬레이션해 보는 모델하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된 작업내용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와서 처리하고 그 결과 생성된 영상테이터를 차량(100)의 내부 공간의 벽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하여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모델하우스는 아파트 등을 건축할 때 청약자들에게 보이기 위해 미리 지어놓는 견본용 집이다. 건축업자들은 그들이 건축하는 아파트가 완공되기 전에 입주자를 모집하여 입주계약을 하고 있으며, 이때 평형에 따른 집의 구조가 완공시의 구조와 똑같은 1가구용의 집을 공개하여 청약자들이 선택하는 데 참고가 되도록 한다. 모델하우스는 건축법상 가설건축물로 분류되며, 사업주체가 주택의 판매촉진을 위하여 모델하우스를 건설하려는 경우 모델하우스의 내부에 사용하는 마감자재 및 가구는 사업계획승인의 내용과 같은 것으로 시공?설치하여야 한다.
따라서 사업주체는 별도의 부지를 확보하고 과도한 비용을 지출하여 모델하우스를 건설하여야 하는 부담감이 있으며, 청약자의 입장에서는 모델하우스를 확인하기 위하여 모델하우스가 건설된 장소로 이동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분양 종료 후 모델하우스를 철거하면 비용 낭비와 건설 폐기물로 인한 환경 문제를 야기한다.
아울러 기존의 모델하우스는 단순히 각 평형에 따른 평면 구성과 마감재만을 보여주기 때문에 각 세대의 동과 호실의 위치에 따른 외부 조망이나 계절 별 일조 조건이나 프라이버시 침해 등을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없으며, 입주자가 선택할 수 있는 공간 확장이나 공간 변형과 마감 재료를 바꾸어 볼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별도의 부지를 확보하여 모델하우스를 직접 건설할 필요가 없는 새로운 개념의 디지털 모델하우스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차량에 탑재하여 이동이 가능한 새로운 개념의 디지털 모델하우스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각 평형에 따른 평면 구성과 마감재뿐만 아니라 공동주택 각 세대의 동과 호실의 위치에 따른 외부 조망, 계절 별 일조 조건, 프라이버시 침해 여부와 공간 확장, 공간 변형, 마감 선택 등과 같은 입주자의 옵션 사항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디지털 모델하우스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형식으로 차량에 탑재되어 지금 실재하거나, 앞으로 실재할 공간을 가상현실(Virtual Reality) 기술을 이용하여 관람자가 시각과 청각 등으로 그 공간에 존재하고 느끼듯이 자유롭게 공간을 이동하면서 시야를 원하는 방향으로 돌려 보고 세대별 조망, 일조, 프라이버시 침해 검토 외 입주자 옵션에 따른 공간확장 및 공간변형과 마감재, 가구 배치 등 인테리어 선택을 시뮬레이션해 보는 모델하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형 차량(100); 상기 차량(100)의 내부 공간의 벽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200);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관람자가 앉을 수 있는 관람용 디지털의자(300); 상기 디지털의자(300)의 일측에 구비되어 관람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제시된 메뉴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관람할 내용을 선택하고 컨텐츠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터치패드(400); 및, 상기 터치패드(400)로 입력된 작업내용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와서 처리하고 그 결과 생성된 영상테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로 송신하는 소프트웨어가 내장된 제어용컴퓨터(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용컴퓨터(5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3차원 모델 데이터가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용컴퓨터(500)는 상기 터치패드(400)를 통하여 입력된 작업내용에 해당되는 3차원 모델 데이터를 불러오고 컨텐츠와 상호 작용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하여 관람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차원 모델 데이터를 이용한 새로운 개념의 디지털 모델하우스를 제공하게 되는 바 별도의 부지를 확보하거나 모델하우스를 직접 건설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모델하우스 건설에 따른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고, 건설된 모델하우스의 철거에 따른 자원의 낭비 및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차량에 탑재하여 이동이 가능하여 청약자들은 보다 편리하게 자신이 원하는 장소에서 모델하우스를 감상할 수 있다. 또한 다수 대의 차량을 이용하는 경우 여러 장소에서 모델하우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셋째, 각 평형에 따른 평면 구성과 마감재뿐만 아니라 공동주택 각 세대의 동과 호실에 따른 외부 조망, 계절 별 일조 조건, 프라이버시 침해 여부와 공간 확장, 공간 변형, 마감 선택과 같은 옵션 사항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청약자나 입주자(수요자)들은 원하는 세대의 동과 호실에 따른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입주자가 원하는 마감재나 선택품목(옵션 사항)를 선택하면 마감재나 선택품목이 적용된 상태의 실내 환경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디스플레이부(200)에 벽면 스크린(210)과 프로젝터(220)가 사용된 경우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디스플레이부(200)에 평판디스플레이(230)가 사용된 경우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200)에서 보여주는 화면의 예시이다.
도4는 터치패드(400) 상에서 선택되는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0)에서 보여지는 화면으로서 (a)거실, (b)안방, (c)주방을 각각 보여주는데, 3 방향 벽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된 화면에 나타나는 영상을 편의상 하나의 평면에 펼쳐서 표현한 것이다.
도5는 터치패드(400) 상에서 선택되는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0)에서 보여지는 화면으로서 (a)바닥재료 변경 전, 및 (b)바닥재료 변경 후를 각각 보여주는데, 3 방향 벽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된 화면에 나타나는 영상을 편의상 하나의 평면에 펼쳐서 표현한 것이다.
도6은 터치패드(400) 상에서 선택한 세대의 동과 호수 위치 및 날짜에 따라 시간대 별로 일조 조건 변화의 시뮬레이션 (a), (b), 및 (c)를 각각 보여주는데, 3 방향 벽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된 화면에 나타나는 영상을 편의상 하나의 평면에 펼쳐서 표현한 것이다.
도7은 터치패드(400) 상에서 선택하는 동과 호수에 해당하는 세대의 내부에서 바라 본 외부 조망을 보여주는데, 3 방향 벽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된 화면에 나타나는 영상을 편의상 하나의 평면에 펼쳐서 표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디스플레이부(200)에 벽면 스크린(210)과 프로젝터(220)가 사용된 경우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디스플레이부(200)에 평판디스플레이(230)가 사용된 경우이고, 도3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200)에서 보여주는 화면의 예시이다.
도1 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어 디지털 영상을 제공하는 모델하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100), 디스플레이부(200), 디지털의자(300), 터치패드(400), 및 제어용컴퓨터(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시 사용되는 차량(100)의 종류나 형태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디스플레이부(200)와 관람 공간을 제공하는 디지털의자(300)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디스플레이부(200)는 차량(100) 내부 공간의 벽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데,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서는 디지털의자(300)의 전면과 좌우측면을 둘러싸도록 디스플레이부(200)가 설치되었는데, 반드시 3 방향 벽면만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디지털의자(300)의 후면, 또는 천정면, 바닥면에도 디스플레이부(200)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의 내부 공간의 벽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벽면 스크린(210)과 제어용컴퓨터(50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데이터를 벽면 스크린(210) 각각에 조사하는 다수 개의 프로젝터(220)로 구성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벽면 스크린(210)과 프로젝터(220)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첨부도면에 별도로 상세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프로젝터(220)와 벽면 스크린(210) 사이의 거리가 짧더라도 영상을 벽면 스크린(210)에 제대로 표시하도록 광각렌즈가 구비될 수도 있는데, 프로젝터(220)와 벽면 스크린(210) 사이에 충분한 거리가 확보된다면 광각렌즈가 필요 없다.
때로는 이 프로젝터(220)와 벽면 스크린(210) 대신 평판디스플레이(230)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젝터(220)는 벽면 스크린(210)에서 영상 조사에 필요한 거리만큼 이격된 천정면에 설치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벽면 스크린(210)이 설치된 벽면의 상부 일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CD, LED DID, OLED 또는 PDP와 같은 평판디스플레이(230)가 사용될 수도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별도의 프로젝터(220)가 필요 없게 된다.
관람용으로 사용되는 디지털의자(300)는 디스플레이부(200)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관람자가 앉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디지털의자(300)는 다수의 사람이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다수 개가 구비됨이 일반적이나 반드시 다수 개의 의자가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한 개의 의자만 구비될 수도 있다.
터치패드(400)는 디지털의자(300)의 일측에 구비되어 관람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제시된 메뉴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작업내용을 입력하는 입력수단이 된다.
작업내용을 입력하는 방식은 스크린터치 방식, 키보드입력 방식, 화면상에 제시된 메뉴를 선택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패드(400)는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는데, 다수 개의 터치패드(400) 가운데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이 시작되면 제어용컴퓨터(500)는 다른 터치패드(400)로부터 들어오는 입력은 일정시간 실행하지 않고 대기순번을 지정하여 일시 저장하고, 일정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새로운 입력이 없는 경우 대기순번이 빠른 선순위 터치패드(400)에 실행 여부를 재확인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여 다수 개의 터치패드(400)로부터 다수 개의 입력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 순번과 우선순위를 정하여 순차적인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서로의 입력이 모순되지 않는 경우 순차 처리가 아닌 동시 처리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어용컴퓨터(500)는 터치패드(400)로 입력된 작업내용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와서 처리하고 그 결과 생성된 영상테이터를 디스플레이부(200)로 송신하는 소프트웨어를 내장하고 있다.
이러한 제어용컴퓨터(5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3차원 모델 데이터가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제어용컴퓨터(500)는 터치패드(400)를 통하여 입력된 작업내용에 해당되는 3차원 모델 데이터를 불러와서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하여 관람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용컴퓨터(5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공동주택단지를 구성하는 단지 내 건물의 외관 및 내부구조, 조경, 지형, 및 주변 건물에 관한 3차원 모델 데이터가 배치도, 평면도, 입면도에 관한 2차원 데이터와 함께 각각의 식별인자가 지정된 상태로 저장되는데, 여기서 식별인자는 공동주택단지를 구성하는 단지 내 건물의 동과 호수(예를 들어 101동 1221호와 같은 식별인자)가 될 수도 있고, 이 보다 더 세분화된 식별인자(특정 코드나 번호)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용컴퓨터(5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동과 호수의 내부구조에 관한 3차원 모델 데이터에는 입주자가 선택할 수 있는 각종 마감재, 가구, 카펫, 또는 장식품이 적용되거나 배열된 상태 별로 모델링된 3차원 모델 데이터 및 내부구조에 대한 공간확장이나 공간변형이 이루어진 상태 별로 모델링된 3차원 모델 데이터가 각각 별도의 식별인자가 지정된 상태로 저장된 것이 포함된다.
또한 제어용컴퓨터(5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입주자가 선택할 수 있는 각종 마감재, 가구, 카펫, 또는 장식품에 관한 3차원 모델 데이터나 매핑을 위한 이미지 화일이 각각 별도의 식별인자가 지정된 상태로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관람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어용컴퓨터(500)는 해당되는 3차원 모델 데이터를 찾아서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보여줄 수 있다.
따라서 터치패드(400)를 통하여 식별인자를 입력하면 제어용컴퓨터(500)는 식별인자에 해당하는 3차원 모델 데이터를 찾아서 디스플레이부(200)로 송신하게 된다.
또한 식별인자에 해당하는 평면도나 배치도에 관한 데이터를 찾아서 터치패드(400)로 송신하여 평면도나 배치도를 관람자에게 보여주거나, 디스플레이부(200)의 일측에 3차원 모델 데이터에 관한 영상 위에 겹쳐 보여줄 수 있다.
3차원 모델링은 상용 3D 모델링 툴(예를 들어 3차원모델러, 3차원캐드 등)을 이용하여 처음부터 3차원으로 설계하거나 2차원 도면인 배치도, 평면도, 또는 입면도 등에 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3차원으로 모델링 작업을 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제어용컴퓨터(500)는 3차원으로 모델링된 데이터를 각각의 방향에서 바라본 투시도를 생성하여 이를 각각의 프로젝터(220)나 각각의 평판디스플레이(230)에 할당하여 송출한다.
즉 제어용컴퓨터(500)는 터치패드(400)를 통하여 입력된 작업내용에 해당하는 3차원 모델 데이터를 불러와서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하여 관람자에게 실시간으로 렌더링하여 제공하게 된다.
또한 3차원 모델링 작업에는 사실감을 부여하기 위한 매핑자료로 사진이나 이미지 등이 활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벽면 스크린(210)이나 평판디스플레이(230)를 통하여 각각의 방향에서 바라본 투시도를 연속적으로 볼 수 있는 바, 현실감 있는 영상 제공이 가능한데, 이는 벽면 스크린(210) 또는 평판디스플레이(230)가 전면 디지털의자(300)의 전면 및 좌우측 각각에 설치될 경우 3차원 모델링된 공간 상의 특정 위치에서 전방을 바라보았을 때 볼 수 있는 영상이 전면에 설치된 벽면 스크린(210) 또는 평판디스플레이(230)에 나타나고, 좌측을 쳐다보았을 때 볼 수 있는 영상이 좌측면에 설치된 벽면 스크린(210) 또는 평판디스플레이(230)에 나타나고, 우측을 쳐다보았을 때 볼 수 있는 영상이 우측면에 설치된 벽면 스크린(210) 또는 평판디스플레이(230)에 나타나기 때문이다.
도4는 터치패드(400) 상에서 선택되는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0)에서 보여지는 화면으로서 (a)거실, (b)안방, (c)주방을 각각 보여주는데, 3 방향 벽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된 화면에 나타나는 영상을 편의상 하나의 평면에 펼쳐서 표현한 것이다.
터치패드(400)를 통하여 단지 내 세대의 동과 호수를 입력하면 제어용컴퓨터(500)는 해당 동과 호수의 외관이나 내부구조에 관한 3차원 모델 데이터를 찾아서 각 방향에서 바라본 투시도를 생성하고 이를 할당하여 디스플레이부(200)로 송신하고, 해당 동과 호수의 평면도나 배치도에 관한 데이터는 터치패드(400)로 송신하게 되는 경우 터치패드(400)에 보여진 평면도나 배치도 상에서 임의의 위치를 선택하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위치의 3차원 공간으로 이동하고 이동된 위치에서 각각의 방향으로 바라본 투시도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가상현실(VR)솔루션이 내장되어 있다.
도5는 터치패드(400) 상에서 선택되는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0)에서 보여지는 화면으로서 (a)바닥재료 변경 전, 및 (b)바닥재료 변경 후를 각각 보여준다.
제어용컴퓨터(5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다양한 종류의 마감재가 적용된 3차원 모델 데이터가 각각 별도로 미리 저장되고, 터치패드(400)를 통하여 다양한 종류의 마감재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입력하면 제어용컴퓨터(500)는 해당 마감재가 적용된 3차원 모델 데이터를 찾아서 각 방향에서 바라 본 투시도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200)에 할당송출하여 실시간으로 보여주게 되는데, 도5(a)와 (b)는 동일한 위치에서 바닥재질만 변경된 영상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첨부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각종 마감재뿐만 아니라 가구, 카펫, 또는 장식품이 적용되거나 배열된 상태 별로 모델링된 3차원 모델 데이터 및 내부구조에 대한 공간확장이나 공간변형이 이루어진 상태 별로 모델링된 3차원 모델 데이터가 각각 별도의 식별인자가 지정된 상태된 제어용컴퓨터(5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관람자의 선택에 따라 가구나 장식품의 배치를 변경(배치된 가구를 치우는 것도 포함)하거나 거실이나 방의 벽을 허물어서 공간을 확장할 수도 있고, 서재를 드레스룸으로 바꾸는 것과 같은 공간 변형도 가능하다.
도6은 터치패드(400) 상에서 선택되는 동과 호수 및 날짜에 따라 시간대 별로 일조 조건 변화의 시뮬레이션 (a), (b), 및 (c)를 각각 보여주는데, 3 방향 벽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된 화면에 나타나는 영상을 편의상 하나의 평면에 펼쳐서 표현한 것이다.
제어용컴퓨터(5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3차원 모델 데이터에는 각 건물의 위도, 경도, 해발고도, 정남 방향에 관한 정보가 함께 포함된다.
또한 제어용컴퓨터(500)는 위도, 경도, 날짜, 및 시간에 따른 태양의 위치를 계산하는데, 터치패드(400)를 통하여 단지 내 세대의 동과 호수와 날짜와 시각를 입력하고 터치패드(400)에 보여진 평면도 상에서 임의의 관찰 위치를 선택하면 제어용컴퓨터(500)는 지형과 주변 건물을 고려한 해당 공간의 일조 조건 변화를 시뮬레이션하여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보여준다.
도7은 터치패드(400) 상에서 선택되는 동과 호수에 해당하는 세대의 내부에서 바라 본 외부 조망을 보여주는데, 3 방향 벽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된 화면에 나타나는 영상을 편의상 하나의 평면에 펼쳐서 표현한 것이다.
즉 터치패드(400)를 통하여 해당 동과 호수의 외부조망을 선택하거나 입력하는 경우 제어용컴퓨터(500)는 해당 세대의 위치에서 각 방향을 바라본 단지 내 다른 건물, 조경, 지형, 또는 주변건물의 투시도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200)에 할당송출하여 실시간으로 보여주게 된다.
따라서 터치패드(400)를 통하여 동과 호수를 선택하면 제어용컴퓨터(500)는 해당 동과 호수에서 바라 본 인접한 건물의 내부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보여줌으로써 프라이버시 침해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100:차량
200:디스플레이부
210:벽면 스크린
220:프로젝터
230:평판디스플레이(FPD, Flat Panel Display)
300:디지털의자
400:터치패드
500:제어용컴퓨터

Claims (8)

  1. 이동 가능한 형식으로 차량에 탑재되어 지금 실재하거나, 앞으로 실재할 공간을 가상현실(Virtual Reality) 기술을 이용하여 관람자가 시각과 청각 등으로 그 공간에 존재하고 느끼듯이 자유롭게 공간을 이동하면서 시야를 원하는 방향으로 돌려 보고 세대별 조망, 일조, 프라이버시 침해 검토와 입주자 옵션에 따른 공간확장 및 공간변형과 마감재, 가구 배치 등 인테리어 선택을 시뮬레이션해 보는 모델하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형 차량(100);
    상기 차량(100)의 내부 공간의 벽면, 천정면 또는 바닥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200);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관람자가 앉을 수 있는 관람용 디지털의자(300);
    상기 디지털의자(300)의 일측에 구비되어 관람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제시된 메뉴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작업내용을 입력하는 터치패드(400); 및,
    상기 터치패드(400)로 입력된 작업내용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와서 처리하고 그 결과 생성된 영상테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로 송신하는 소프트웨어가 내장된 제어용컴퓨터(5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용컴퓨터(5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공동주택단지를 구성하는 단지 내 건물의 외관 및 내부구조, 조경, 지형, 및 주변 건물에 관한 3차원 모델 데이터와 함께 배치도, 평면도, 입면도에 관한 2차원 데이터가 각각의 식별인자가 지정된 상태로 저장되고,
    상기 터치패드(400)를 통하여 식별인자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용컴퓨터(500)는 이에 해당되는 3차원 모델 데이터를 찾아서 실시간 렌더링을 통하여 제작되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로 송신하고,
    상기 터치패드(400)를 통하여 단지 내 세대의 동과 호수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용컴퓨터(500)는 해당 동과 호수의 외관이나 내부구조에 관한 3차원 모델 데이터를 찾아서 실시간 렌더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로 송신하고, 해당 동호수의 평면도 또는 배치도에 관한 데이터를 찾아서 상기 터치패드(400)로 송신하고,
    상기 제어용컴퓨터(500)에는 상기 터치패드(400)에 보여진 평면도 상에서 임의의 위치를 선택하면 해당 관찰 위치에서 본 3차원 공간을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가상현실(VR)솔루션이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디지털 모델 하우스.
  2. 제1항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는,
    상기 차량(100)의 내부 공간의 벽면, 천정면 또는 바닥면을 따라 설치되는 벽면 스크린(210); 및,
    상기 제어용컴퓨터(50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데이터를 상기 벽면 스크린(210)에 조사하는 프로젝터(220);
    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차량(100)의 내부 공간의 벽면, 천정면 또는 바닥면을 따라 설치되는 평판디스플레이(2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디지털 모델 하우스.
  3. 제1항에서,
    상기 제어용컴퓨터(5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3차원 모델 데이터에는 각 건물의 위도, 경도, 해발고도에 관한 정보가 추가되고,
    상기 터치패드(400)를 통하여 단지 내 세대의 동과 호수와 날짜와 시각을 입력하고 상기 터치패드(400)에 보여진 평면도 상에서 임의의 위치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용컴퓨터(500)는 위도, 경도, 날짜, 및 시간에 따른 태양의 위치를 계산하고 지형과 주변 건물을 고려한 해당 공간의 일조 조건 변화를 시뮬레이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디지털 모델 하우스.
  4. 제1항에서,
    상기 제어용컴퓨터(5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동과 호수의 내부구조에 관한 3차원 모델 데이터에는 입주자가 선택할 수 있는 각종 마감재, 가구, 카펫, 또는 장식품이 적용되거나 배열된 상태 별로 모델링된 3차원 모델 데이터 및 내부구조에 대한 공간확장이나 공간변형이 이루어진 상태 별로 모델링된 3차원 모델 데이터가 각각 별도의 식별인자가 지정된 상태로 저장된 것이 포함되며,
    상기 제어용컴퓨터(5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입주자가 선택할 수 있는 각종 마감재, 가구, 카펫, 또는 장식품에 관한 3차원 모델 데이터나 매핑을 위한 이미지 화일이 각각 별도의 식별인자가 지정된 상태로 저장되어 있으며,
    관람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어용컴퓨터(500)는 해당되는 3차원 모델 데이터를 찾아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디지털 모델 하우스.
  5. 제1항에서,
    상기 터치패드(400)를 통하여 해당 동과 호수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제어용컴퓨터(500)는 해당 동과 호수에서 바라 본 단지 내 다른 건물, 조경, 지형, 또는 주변건물의 영상과 풍경을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디지털 모델 하우스.
  6. 제1항에서,
    상기 터치패드(400)를 통하여 동과 호수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용컴퓨터(500)는 해당 동과 호수에서 바라 본 인접한 건물의 내부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보여줌으로써 프라이버시 침해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디지털 모델 하우스.
  7. 삭제
  8. 삭제
KR1020100039465A 2010-04-28 2010-04-28 이동형 디지털 모델 하우스 KR101186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465A KR101186618B1 (ko) 2010-04-28 2010-04-28 이동형 디지털 모델 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465A KR101186618B1 (ko) 2010-04-28 2010-04-28 이동형 디지털 모델 하우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001A KR20110120001A (ko) 2011-11-03
KR101186618B1 true KR101186618B1 (ko) 2012-09-27

Family

ID=45391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465A KR101186618B1 (ko) 2010-04-28 2010-04-28 이동형 디지털 모델 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661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944B1 (ko) * 2014-01-06 2015-05-18 주식회사 쓰리디아이픽쳐스 이동형 3d 멀티디스플레이 기반의 실감형 교육 서비스 제공 차량
KR101887810B1 (ko) 2017-05-12 2018-09-10 정규영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이삿짐 시뮬레이션 제공과 이를 통한 부동산 중개 시스템
KR20200139497A (ko) 2019-06-04 2020-12-14 (주) 군월드 저전력형 모델 하우스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200139474A (ko) 2019-06-04 2020-12-14 (주) 군월드 스마트 모델 하우스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2231B1 (ko) * 2012-07-13 2012-12-13 송헌주 이동 자유도를 개선한 융합형 가상현실 구현 방법
KR102019299B1 (ko) * 2017-06-30 2019-09-06 강동민 홈 스타일링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과, 홈 스타일링을 위한 영상 처리 방법
JP7067503B2 (ja) * 2019-01-29 2022-05-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KR102272650B1 (ko) * 2020-12-08 2021-07-05 유찬영 가상현실 기반 3차원 공간 재구성을 이용한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944B1 (ko) * 2014-01-06 2015-05-18 주식회사 쓰리디아이픽쳐스 이동형 3d 멀티디스플레이 기반의 실감형 교육 서비스 제공 차량
WO2015102476A1 (ko) * 2014-01-06 2015-07-09 주식회사 쓰리디아이픽쳐스 이동형 3d 멀티디스플레이 기반의 실감형 교육 서비스 제공 차량
KR101887810B1 (ko) 2017-05-12 2018-09-10 정규영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이삿짐 시뮬레이션 제공과 이를 통한 부동산 중개 시스템
US11615489B2 (en) 2017-05-12 2023-03-28 Gyou Young JUNG System for providing removals simulation using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and brokering real estate therethrough
KR20200139497A (ko) 2019-06-04 2020-12-14 (주) 군월드 저전력형 모델 하우스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200139474A (ko) 2019-06-04 2020-12-14 (주) 군월드 스마트 모델 하우스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001A (ko) 201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6618B1 (ko) 이동형 디지털 모델 하우스
CN105787230B (zh) 一种家居仿真设计系统及方法
CN106055762A (zh) 一种家居装修设计系统及方法
KR101808439B1 (ko) Vr 모델하우스 제공방법
KR101106857B1 (ko) 3디를 활용한 가상 공간의 갤러리시스템
CN105654545A (zh) 一种3d互动别墅户型的构建与分层显示控制方法
CN106528555A (zh) 一种快速构建建筑物三维模型的系统
CN112001997B (zh) 一种家具的展示方法和装置
De Fino et al. Virtual tours and informational models for improving territorial attractiveness and the smart management of architectural heritage: The 3d-imp-act project
WO1999050769A1 (en) Simulation device for simulating images of at least one building
CN106710005B (zh) 模拟场景展现方法及模拟场景展现系统
Gehring et al. Interaction with media façades
KR20160072863A (ko) 신개념 3d max 모델하우스
CN114358836A (zh) 户型报告的显示方法、装置、可读存储介质和电子设备
KR101983260B1 (ko) 테트리스 하우스 설계 시스템
JP2014164003A (ja) 仮想屋内空間表示装置
JP2010287083A (ja) 室内改装費用見積システム
Ghadban et al. The development of an interactive virtual environment for Hisham Palace in Jericho, Palestine
KR101492375B1 (ko) 칸막이벽을 이용한 가상공간 분할방법
JP6212805B1 (ja) 不動産情報検索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8196667A (zh) 存储装置、计算机设备和基于虚拟现实技术的选房方法
Lee et al. Models and Models Of Models
JP6629636B2 (ja) 図面作成装置、及び図面作成プログラム
Savaş The METU Campus Documented V: Representing Itself
Yan et al. The Geo CPS Platform for Designing Smart C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