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6572B1 - 폐기물을 이용한 중간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폐기물을 이용한 중간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6572B1
KR101186572B1 KR20090041886A KR20090041886A KR101186572B1 KR 101186572 B1 KR101186572 B1 KR 101186572B1 KR 20090041886 A KR20090041886 A KR 20090041886A KR 20090041886 A KR20090041886 A KR 20090041886A KR 101186572 B1 KR101186572 B1 KR 101186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waste
parts
additive
intermediat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41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2804A (ko
Inventor
황규석
Original Assignee
피앤디종합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앤디종합건설(주) filed Critical 피앤디종합건설(주)
Priority to KR20090041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6572B1/ko
Publication of KR20100122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2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6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6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1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6Waste materials; Refuse from building or ceramic indust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물을 이용한 중간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 폐기물 및 산업 폐기물 중 불연성질을 갖는 재료와 가연성질을 갖는 재료를 분쇄하고,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주재료를 형성시키는 주재료 형성단계, 상기 주재료에 첨가제를 혼합하여 방수와 경도 및 밀도를 조절하는 첨가제 혼합단계, 및 상기 첨가제와 주재료가 혼합된 혼합물을 형성하고자 하는 형틀에서 난연성 중간재를 성형하는 중간재 성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난연성 중간재를 다양한 제품으로 성형할 수 있고, 폐기물을 재활용할 수 있어 재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각 성형 된 제품의 폐기 시, 다시 재활용할 수 있어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폐기물, 재활용, 중간재, 제조, 패널

Description

폐기물을 이용한 중간재 제조방법{Insulating and noncombustible panel manufacturing method using industrial waste and constructional waste}
본 발명은 중간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업 폐기물과 건설 폐기물 중 불연성질을 갖는 재료와 가연성질을 갖는 재료를 분쇄하고 혼합하여 주재료를 형성하고, 첨가제를 혼합하여 방수와 경도 및 밀도를 조절하여 난연성 중간재를 성형할 수 있음에 따라, 다양한 제품으로 성형 될 수 있고, 폐기물을 재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재료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폐기물을 이용한 중간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면은 외벽과 내벽으로 구분되며, 이 벽면은 다양한 기능을 갖는 다수의 패널로 구성되어 건축물의 경계 및 내부 공간을 구획함에 따라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키도록 사용된다.
이러한 패널은 다양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으로, 벽면의 외측을 형성하거나 내부에서 단열과 보온 및 방음 등을 하여 각 구획된 공간 내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에게 안락함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단열 기능을 갖는 단열패널과 난연 기능을 갖는 난연패널을 다수 층 사용됨에 따라 단열과 난연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단열패널과 난연패널을 각각 구비하여 사용하는 것은, 단가를 상승시킴은 물론,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어 두 가지 기능을 갖는 복합패널이 생산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복합패널은 불연재료와 난연재료 등을 포함하여 생산되고 있지만, 이러한 불연재료와 난연재료들은 비교적 고가이기 때문에 비용부분은 해소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복합패널의 기능을 갖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복합패널의 생산이 필요하게 되고, 또한 요구되고 있다.
한편, 산업 폐기물이나 건설 폐기물 등에서 발생 된 폐기물은 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이기 때문에 이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비용이 지속적으로 발생 되고 있으며, 처리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폐기물의 재활용률을 높일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건설 폐기물 및 산업 폐기물 중 불연성질을 갖는 재료와 가연성질을 갖는 재료를 분쇄하고 혼합하여 주재료를 형성하고, 첨가제를 혼합하여 방수와 경도 및 밀도를 조절하여 패널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난연성질을 갖는 중간재를 생산하여 다양한 제품으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 폐기물을 재활용할 수 있고, 재료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폐기물을 이용한 중간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건설 폐기물 및 산업 폐기물 중 불연성질을 갖는 재료와 가연성질을 갖는 재료를 분쇄하고,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주재료를 형성시키는 주재료 형성단계, 상기 주재료에 첨가제를 혼합하여 방수와 경도 및 밀도를 조절하는 첨가제 혼합단계, 및 상기 첨가제와 주재료가 혼합된 혼합물을 형성하고자 하는 형틀에서 난연성 중간재를 성형하는 중간재 성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간재는, 상기 주재료 45 내지 55 중량부이고, 상기 첨가제 45 내지 55 중량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주재료는, 건설 폐기물 및 산업 폐기물 중 석고보드와 유리섬유 의 불연 재료와 우레탄과 스티로폼의 가연 재료 중 각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주재료는, 상기 석고보드 15 내지 20 중량부, 유리섬유 20 내지 30 중량부, 우레탄 30 내지 40 중량부, 스티로폼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주재료에, 건설 폐기물 및 산업 폐기물의 미네랄울과 세라크울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유리섬유에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방수액, 접착제, 경화제, 물 및 실리콘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첨가제는, 상기 방수액 20 내지 30 중량부, 접착제 5 내지 10 중량부, 경화제 10 내지 15 중량부, 물 10 내지 20 중량부, 실리콘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간재를 가공하여 난연 패널을 포함하는 난연 제품을 생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폐기물을 이용한 중간재 제조방법에 의하면, 난연성 중간재를 다양한 제품으로 성형할 수 있고, 폐기물을 재활용할 수 있어 재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각 성형 된 제품의 폐기 시, 다시 재활용할 수 있어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을 이용한 중간재 제조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을 이용한 중간재 제조방법의 난연성 중간재의 구성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폐기물을 이용한 중간재 제조방법은 주재료 형성단계(S10)와 첨가제 혼합단계(S20) 및 패널 성형단계(S30)로 구성된다.
주재료 형성단계(S10)에서는 건설 폐기물 및 산업 폐기물 등의 폐기물 중 불연성질을 갖는 재료와 가연성질을 갖는 재료를 분쇄하고,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주재료를 형성시키게 된다.
그리고 첨가제 혼합단계(S20)는 주재료에 첨가제를 혼합하여 방수와 경도 및 밀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주재료에 방수기능을 부가하고, 경도와 밀도를 향상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한 중간재 성형단계(S30)는 첨가제와 주재료가 혼합된 혼합물을 형성하고자 하는 형틀에서 중간재를 성형하는 것으로, 압축과정을 거쳐 중간재를 성형하게 된다.
이러한 중간재는 다양한 난연 제품으로 성형 될 수 있는 것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된 후 폐기되는 제품들은 다시 상기의 과정을 거쳐 재활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재는 주재료 45 내지 55 중량부이고, 첨가제 45 내지 55 중량부를 포함한다.
먼저, 난연 등급을 살펴보면, 난연 1급과 난연 2급 및 난연 3급으로 구분되고, 난연 1급은 불연재료로, 불에 타지 않는 재료이고, 20분간 가열(750℃) 시, 자체 열 발생이 50℃ 미만으로 적으며, 350℃에서 10분 가열 후, 30초 미만의 시간에 잔류 불꽃이 없는 재료이다.
그리고 난연 2급은 준불연재료로, 불에 타지 않는 재료이고, 305℃에서 10분 가열 후, 30초 미만의 시간에 잔류 불꽃이 없으며, 가스 속에 방치된 쥐가 9분 이상 활동하는 재료이다.
또한 난연 3급은 난연재료로, 가연성재료의 복재 등과 비교해 더 타기 어려운 재료로서 6분 동안 235℃로 가열 후, 30초 미만의 시간에 잔류 불꽃이 없고, 연소가스 속에 방치된 쥐가 9분 이상 활동하는 재료이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주재료는 불연재료와 가연성재료에 속하는 폐자재를 사용하는 것으로, 주재료는 건설 폐기물 및 산업 폐기물 등의 불연재료인 석고보드와 유리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과 가연성재료인 우레탄과 스티로폼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주재료는 석고보드는 15 내지 20 중량부, 유리섬유 20 내지 30 중량부, 우레탄 30 내지 40 중량부, 스티로폼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며, 산업 폐기물과 건설 폐기물에서 발생 되는 불연재료 및 가연성재료는 더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주재료로 사용되는 석고보드와 유리섬유는 건설 폐기물 및 산업 폐기물에서 사용되던 원상태로 분리하여 운반되며, 일정한 크기로 분쇄된 후 혼합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비는 유리섬유가 다른 재료보다 불연성이 높아 주재료의 불연성을 높이고 중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석고보드는 중간재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적정한 강도 및 중량을 부여하기 위해 일정비율로 혼합시키게 된다.
또한 우레탄과 스티로폼은 중간재를 난연재료로 성형함은 물론,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사용된다.
이때, 우레탄과 스티로폼은 건설 폐기물 및 산업 폐기물 중 폐기되는 것을 사용하며, 건설 폐기물 및 산업 폐기물에서 사용되던 원상태로 분리하여 운반되며, 일정한 크기로 분쇄된 후 혼합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중간재에는 산업 폐기물이나 건설 폐기물에서 사용되고 있는 미네랄울과 세라크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유리섬유에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미네랄울과 세라크울을 더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미네랄울은 불연성과 경량성, 단열성 및 흡음성을 갖는 재료이고, 세라크울은 단열성을 갖는 재료로 중간재에 사용되어 불연과 단열 및 흡음은 물론,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미네랄울과 세라크울은 건설 폐기물 및 산업 폐기물에서 사용되던 원상태로 분리하여 운반되며, 일정한 크기로 분쇄된 후 혼합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첨가제는 방수액, 접착제, 경화제, 물 및 실리콘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 성되는 것으로, 경우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방수액 20 내지 30 중량부, 접착제 5 내지 10 중량부, 경화제 10 내지 15 중량부, 물 10 내지 20 중량부, 실리콘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첨가제는 중간재에 방수기능을 부가하고, 경도와 밀도를 향상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방수제와 경화제에 의해 방수기능 및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방수제는 액상 방수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접착제는 혼합되는 각 재료들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물은 금형에 의해 패널이 제조되기 전 경화되는 것을 지연시키며, 실리콘은 각 재료들 간의 일정한 유연성을 제공하게 된다.
실시예 1
첨가제 50 중량부에 대해,
주재료로 유리섬유 20 중량부와 석고보드 20 중량부, 우레탄 40 중량부, 스티로폼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중간재를 성형함.
실험 1
중간재를 305℃에서 10분간 가열시 잔류 불꽃이 있고, 이 중간재의 연소 가스 속에 쥐를 방치하였더니 9분 이상 활동을 하지 못하였다.
실험 2
중간재를 235℃에서 6분간 가열시 잔류 불꽃이 없고, 이 중간재의 연소 가스 속에 쥐를 방치하였더니 9분 이상 활동을 하였다.
이에, 상기 중간재는 난연 3급인 난연재료에 속한다.
실시예 2
첨가제 50 중량부에 대해,
주재료로 유리섬유 30 중량부와 석고보드 20 중량부, 우레탄 30 중량부, 스티로폼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중간재를 성형함.
실험 1
중간재를 305℃에서 10분간 가열시 잔류 불꽃이 있고, 이 중간재의 연소 가스 속에 쥐를 방치하였더니 9분 이상 활동을 하지 못하였다.
실험 2
중간재를 235℃에서 6분간 가열시 잔류 불꽃이 없고, 이 중간재의 연소 가스 속에 쥐를 방치하였더니 9분 이상 활동을 하였다.
이는, 상기 중간재가 난연 3급인 난연재료에 속한다.
실시예 3
첨가제 50 중량부에 대해,
주재료로 유리섬유 30 중량부와 석고보드 15 중량부, 우레탄 40 중량부, 스티로폼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중간재를 성형함.
실험 1
중간재를 305℃에서 10분간 가열시 잔류 불꽃이 있고, 이 중간재의 연소 가스 속에 쥐를 방치하였더니 9분 이상 활동을 하지 못하였다.
실험 2
중간재를 235℃에서 6분간 가열시 잔류 불꽃이 없고, 이 중간재의 연소 가스 속에 쥐를 방치하였더니 9분 이상 활동을 하였다.
이는, 상기 중간재가 난연 3급인 난연재료에 속한다.
비교예 1
첨가제 50 중량부에 대해,
주재료로 유리섬유 15 중량부와 석고보드 15 중량부, 우레탄 45 중량부, 스티로폼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중간재를 성형함.
실험 1
중간재를 305℃에서 10분간 가열시 잔류 불꽃이 있고, 이 중간재의 연소 가스 속에 쥐를 방치하였더니 9분 이상 활동을 하지 못하였다.
실험 2
중간재를 235℃에서 6분간 가열시 잔류 불꽃이 있고, 이 중간재의 연소 가스 속에 쥐를 방치하였더니 9분 이상 활동을 하지 못하였다.
이는, 상기 중간재가 난연 3급에 속하지 않고, 가연성에 속함.
비교예 2
첨가제 50 중량부에 대해,
주재료로 유리섬유 35 중량부와 석고보드 25 중량부, 우레탄 25 중량부, 스티로폼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중간재를 성형함.
실험 1
중간재를 305℃에서 10분간 가열시 잔류 불꽃이 없고, 이 중간재의 연소 가스 속에 쥐를 방치하였더니 9분 이상 활동을 하였다.
실험 2
중간재를 235℃에서 6분간 가열시 잔류 불꽃이 없고, 이 중간재의 연소 가스 속에 쥐를 방치하였더니 9분 이상 활동을 하였다.
이는, 상기 중간재가 난연 2급에 속하는 것으로, 준불연재료에 속함.
[표 1]
Figure 112009028802003-pat00001
상기 표에서,
난연 2급과 난연 3급은 KS F2271의 건축물의 내장재료 및 구조의 난연성 시 험방법에 따라서 실시된 시험 결과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을 이용한 중간재 제조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을 이용한 중간재 제조방법의 난연성 중간재의 구성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8)

  1. 건설 폐기물 및 산업 폐기물 중 불연성질을 갖는 재료와 가연성질을 갖는 재료를 분쇄하고,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주재료를 형성시키는 주재료 형성단계;
    상기 주재료에 첨가제를 혼합하여 방수와 경도 및 밀도를 조절하는 첨가제 혼합단계; 및
    상기 첨가제와 주재료가 혼합된 혼합물을 형성하고자 하는 형틀에서 난연성 중간재를 성형하는 중간재 성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주재료는 건설 폐기물 및 산업 폐기물 중 석고보드와 유리섬유의 불연 재료와 우레탄과 스티로폼의 가연 재료 중 각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첨가제는 방수액, 접착제, 경화제, 물 및 실리콘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을 이용한 중간재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재는,
    상기 주재료 45 내지 55 중량부이고, 상기 첨가제 45 내지 55 중량부를 포함하는 폐기물을 이용한 중간재 제조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재료는,
    상기 석고보드 15 내지 20 중량부, 유리섬유 20 내지 30 중량부, 우레탄 30 내지 40 중량부, 스티로폼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폐기물을 이용한 중간재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재료에,
    건설 폐기물 및 산업 폐기물의 미네랄울과 세라크울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유리섬유에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을 이용한 중간재 제조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상기 방수액 20 내지 30 중량부, 접착제 5 내지 10 중량부, 경화제 10 내지 15 중량부, 물 10 내지 20 중량부, 실리콘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폐기물을 이용한 중간재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재를 가공하여 난연 패널을 포함하는 난연 제품을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을 이용한 중간재 제조방법.
KR20090041886A 2009-05-13 2009-05-13 폐기물을 이용한 중간재 제조방법 KR101186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41886A KR101186572B1 (ko) 2009-05-13 2009-05-13 폐기물을 이용한 중간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41886A KR101186572B1 (ko) 2009-05-13 2009-05-13 폐기물을 이용한 중간재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804A KR20100122804A (ko) 2010-11-23
KR101186572B1 true KR101186572B1 (ko) 2012-10-10

Family

ID=43407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41886A KR101186572B1 (ko) 2009-05-13 2009-05-13 폐기물을 이용한 중간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65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15640B2 (es) * 2014-07-18 2015-01-27 Universidad Politécnica de Madrid Procedimiento para la obtención de un material de construcción a base de yeso
CN108995018A (zh) * 2017-06-07 2018-12-14 深圳市元亨环保产业新技术有限公司 以建筑垃圾为原料现场制作墙板的一站式集成工艺及墙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347B1 (ko) * 2000-05-03 2003-10-30 정보화 폐수지·폐암면·폐유리섬유 등을 재활용하여 조립식건축용 단열재 패널을 제조·생산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838698B1 (ko) * 2002-03-15 2008-06-16 지요다 우테 가부시키가이샤 석고 및 무기질 섬유의 복합판과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347B1 (ko) * 2000-05-03 2003-10-30 정보화 폐수지·폐암면·폐유리섬유 등을 재활용하여 조립식건축용 단열재 패널을 제조·생산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838698B1 (ko) * 2002-03-15 2008-06-16 지요다 우테 가부시키가이샤 석고 및 무기질 섬유의 복합판과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804A (ko) 2010-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087B1 (ko) 바텀애쉬를 이용한 층간소음 방지보드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층간소음 방지보드
KR20180007737A (ko) 재활용 준불연 단열재
KR101186572B1 (ko) 폐기물을 이용한 중간재 제조방법
CN101864828A (zh) 墙面节能装饰板及其制作方法
KR101160658B1 (ko) 불연성 보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불연성 보드
KR101372517B1 (ko) 내화성 커튼월용 경량 무기발포 내화보드
KR200271175Y1 (ko) 발포된 진주암과 질석을 이용한 불연 내, 외장제 패널
KR20100060833A (ko) 난연성제가 주입된 스치로폼과 불연 단열재가 결합된 판넬
KR100507582B1 (ko) 난연성 및 소화성이 우수한 스치로폴 폼 및 그 제조방법
KR100405773B1 (ko) 폴리에스터재를 소재로 한 흡음재 제조방법
KR101999686B1 (ko) 건축 내장 마감용 불연성 발열보드
KR100687484B1 (ko) 폴리에스터 난연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180020B1 (ko) 폐기물을 이용한 중간재 제조방법
KR20110039695A (ko) 난연재로 표면처리된 내연성 실내장식재
KR101137260B1 (ko) 발전용 석탄회를 이용하여 제조된 인공경량골재를 포함하는 흡음판넬 제조방법
KR101370579B1 (ko) 내화구조용 초경량방화방음탈취패널
KR20180030373A (ko) 플라이애쉬와 팽창암석을 사용한 고강도 불연성 단열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542008B1 (ko) 불연성 경량건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855578B1 (ko) 플라이애시를 이용한 경량발포 흡음판넬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경량발포 흡음판넬
KR20200051086A (ko) 그래핀 옥사이드를 이용한 eps 준불연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07632A (ko) 톱밥과 목재칩을 이용한 불연내장 인테리어판넬의 제조방법
KR100535719B1 (ko) 이중바닥재의 판재용 불연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이중바닥재용 판재의 제조방법 및 불연성 이중바닥재용 판재
KR101985408B1 (ko) 불연성 및 경량성이 우수한 건축용 베이스 패널
KR20050081763A (ko) 점토류 광물을 이용한 불연성 내열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0495235B1 (ko) 단열과 흡음기능을 갖는 고강도 시멘트 건축자재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