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5816B1 - 목재포장블록 - Google Patents

목재포장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5816B1
KR101185816B1 KR1020100030737A KR20100030737A KR101185816B1 KR 101185816 B1 KR101185816 B1 KR 101185816B1 KR 1020100030737 A KR1020100030737 A KR 1020100030737A KR 20100030737 A KR20100030737 A KR 20100030737A KR 101185816 B1 KR101185816 B1 KR 101185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wood piece
paving block
ne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0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1590A (ko
Inventor
이동흡
유기진
김외정
황원중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00030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5816B1/ko
Publication of KR20110111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1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5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5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16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01C2201/167Elements joined together by reinforcement or me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포장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포장블록은, 보행자용 도로에 설치되는 목재포장블록에 있어서, 바닥 보강망이 그 테두리 영역이 고정핀에 의하여 지반 위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바닥 보강망의 상면에 복수 개가 결속되는 목재편이 배치되어 상기 목재편이 소정의 접합수단에 의하여 상기 바닥 보강망의 상면과 접합되며, 상기 바닥 보강망의 테두리 영역 상이고, 또한 상기 목재편의 외측면에 주변 구조체가 상기 목재편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목재포장블록{WOOD PAVING BLOCK}
본 발명은 목재포장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도 등의 노면 포장방법으로서는 시멘트제 혹은 콘크리트제, 석재, 판석, 고무 블록을 포설하는 방법 또는 구간에 따라 투수 콘크리트를 포설하는 방법 등이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어 왔다. 간혹 공원의 산책로나 계단, 일반 주택의 정원을 가꿀 때 통나무(콘크리트제 인조 통나무 포함)를 상단 일부만 겉으로 드러나도록 지중에 밀도 높게 매설하거나, 딛고 다니기 적합한 간격을 두고 띄엄띄엄 매설하는 포장방법을 활용하였다.
또한, 이러한 콘크리트나 시멘트제 블록 및 투수 콘크리트로 포장된 노면은, 블록간 틈새 또는 투수성에 의하여 시공 후 단기간에 빗물이 지중으로 스며 들어가서 가로수 등의 주변 수목에 이로움을 주는 표면 배수기능을 가진 반면 한두 해 지나면 투수 공극이 토사나 흙먼지 등에 의해 막혀서 빗물이 제때 원활히 지중으로 스며들 수 없을 정도로 악화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비환경적이고, 도시의 미관에 어울리지 않는 삭막한 느낌의 인위적 포장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콘크리트나 시멘트제 블록 및 투수 콘크리트로 포장된 노면은 탄성이 없으므로, 보행자가 보행시 딱딱한 재료로 된 보도블록에 의한 지속적이고 무리한 관절 사용으로 인하여 완충역할을 하는 연골이 파쇄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고관절, 슬관절 등의 장애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목재 테크 등의 목재포장을 이용한 시공이 증가하고 있으나 바닥에 장선과 멍에를 깔아야 하기 때문에 시공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목재포장은, 지반과 바로 접할 수 없고 목재 데크를 설치하는 공간이 필요하다는 점 때문에 보도와 차별화되는 이질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목재블록을 포장재로 이용하면 블록이 지반침하와 더불어 목재블록도 침하하기 때문에, 보행에 방해가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목재가공 현장에서 용도가 없어서 주로 곧바로 폐기되는 단척재나 통나무를 목구면 방향, 섬유방향, 방사방향 등으로 절단된 목재편을 포장재로 활용하여 고강도의 탄성을 가진 보강망에 접합하여 일체화된 보도블록으로 만들어주는 것에 의하여, 보도, 주차장, 공원 등의 산책로 또는 집안의 정원 바닥 등을 친자연적이면서 경제적으로 포장할 수 있고, 기존의 딱딱한 콘크리트나 시멘트제 블록 및 투수 콘크리트를 이용한 것보다 보행자의 보행성능을 제고할 수 있는 목재포장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반 위에 형성된 바닥 보강망에 목재편을 접합시켜 일체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목재편 하나하나가 가지는 침하력을 보강할 수 있고, 보행 반발력을 증가시켜 바닥 보강망이 갖는 강도를 충분히 이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목재포장블록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는 목재포장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 보강망의 양단에 주변구조체를 설치하여 목재편을 연결시키는 것에 의하여, 지반을 안정시킬 수 있고, 침수에 의하여 목재편이 위로 뜨지 않게 할 수 있고, 보행감을 크게 향상시키는 목재포장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 보강망을 길게 연장하여 그 양단을 주변구조체로 고정하고, 그 위에 다시 새로운 바닥 보강망을 깔아 계단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목재포장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목재편과 이웃하는 목재편 사이에 다공성 물질로 채우는 것에 의하여, 목재편이 좌우로 이격되지 않고, 틈새에 자연식생이 유도되어 시각적으로 푸르름을 주기 때문에 안정감을 주고, 그 사이로 빗물이 침투하게 하여 지하의 토양미생물에게도 피해를 미치지 않게 하는 등의 목재포장블록과 토양생태계를 조화시킬 수 있는 목재포장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포장블록은, 보행자용 도로에 설치되는 목재포장블록에 있어서, 바닥 보강망이 그 테두리 영역이 고정핀에 의하여 지반 위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바닥 보강망의 상면에 복수 개가 결속되는 목재편이 배치되어 상기 목재편이 소정의 접합수단에 의하여 상기 바닥 보강망의 상면과 접합되며, 상기 바닥 보강망의 테두리 영역 상이고, 또한 상기 목재편의 외측면에 주변 구조체가 상기 목재편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주변 구조체(300)는 원주목 또는 각재이고, 상기 원주목 또는 각재는 상기 바닥 보강망(100)의 인장력을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소정의 접합수단은 타카 또는 접착제이고, 상기 접합수단은 상기 바닥 보강망의 하면의 복수의 지점에서 상기 목재편과 상기 바닥 보강망의 상면을 결합시킨다.
삭제
또한, 상기 목재편은 가압식 방부처리방식으로 처리된다.
삭제
또한, 상기 목재편과 이웃하는 목재편 사이에는 다공성 물질이 채워진다.
삭제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목재가공 현장에서 용도가 없어서 주로 곧바로 폐기되는 단척재나 통나무를 목구면 방향, 섬유방향, 방사방향 등으로 절단된 목재편을 고강도의 탄성을 가진 보강망에 접합하여 일체화된 보도블록으로 만들어주기 때문에, 보도, 주차장, 공원 등의 산책로 또는 집안의 정원 바닥 등을 친자연적이면서 경제적으로 포장할 수 있고, 기존의 딱딱한 콘크리트나 시멘트제 블록 및 투수 콘크리트를 이용한 것보다 보행자의 보행성능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반 위에 형성된 바닥 보강망에 목재편을 접합시켜 일체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목재편 하나하나가 가지는 침하력을 보강할 수 있고, 보행 반발력을 증가시켜 접합시키고 있기 때문에, 바닥 보강망이 갖는 강도를 충분히 이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목재포장블록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바닥 보강망의 양단에 주변구조체를 설치하여 목재편을 연결시키고 있기 때문에, 지반을 안정시킬 수 있고, 침수에 의하여 목재편이 위로 뜨지 않게 할 수 있고, 보행감을 크게 향상시키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바닥 보강망을 길게 연장하여 그 양단을 주변구조체로 고정하고, 그 위에 다시 새로운 바닥 보강망을 깔아 계단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목재편과 이웃하는 목재편 사이에 다공성 물질로 채우는 것에 의하여, 목재편이 좌우로 이격되지 않고, 틈새에 자연식생이 유도되어 시각적으로 푸르름을 주기 때문에 안정감을 주고, 그 사이로 빗물이 침투하게 하여 지하의 토양미생물에게도 피해를 미치지 않게 하는 등의 목재포장블록과 토양생태계를 조화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 외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포장블록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내지 2d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포장블록을 시공하는 시공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a의 바닥 보강망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2b의 바닥 보강망 위에 목재편을 조판하기 위하여 바닥 보강망의 이면을 타카를 통해 고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포장블록에 이용되는 목재편을 이용하여 조립된 목재포장블록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포장블록을 이용하여 형성된 계단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포장블록을 통하여 시공된 보행로를 나타내는 상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포장블록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재포장블록은, 보행자용 도로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바닥 보강망(100), 목재편(200), 주변 구조체(300)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 보강망(100)은, 지반 위에 형성되고, 그 테두리 영역이 고정핀(250)에 의하여 상기 지반 위에 고정된다. 상기 바닥 보강망(100)은 지오그리드(Geogrid) 보강재이다. 이때, 상기 지오그리드 보강재는 목재편(200)과 지반 사이에 설치되어, 목재편(200)에 의하여 지오그리드 보강재가 눌림과 동시에 지반을 붙잡아주어 목재편(200)을 더 튼튼하게 지탱해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 보강망(100)은 단차가 있는 지반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 보강망(100)이 단차가 있는 지반 위에 형성되는 것에 관하여는 도 6에 관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목재편(200)은, 상기 바닥 보강망(100)의 상면에 복수 개가 결속되도록 배치되고, 소정의 접합수단(150)에 의하여 상기 바닥 보강망(100)의 상면과 접합된다. 여기서, 목재포장블록에 사용되는 목재편(200)은, 포장의 종류 및 시공지의 입지조건에 따라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목랭가의 경우에는 국산 침엽수재인 리기다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등이 있고, 수입산재인 미송, 미국솔송나무(햄록), 라디에타 소나무 등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활엽수재인 경우에는 참나무, 느티나무, 밤나무 등이 있으며, 수입재인 남방산 활엽수재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목재를 이용하는 간벌소경재를 비롯한 목재가공에서 나오는 단척재와 같은 건설폐기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단척재와 같은 건설폐기물을 재활용하여 목재순환이용을 촉진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목재에 저장된 탄소의 저장기간을 연장시켜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목재편(200)은 포장블록 설치계획이나 설계에 있어서, 목재의 특성을 살릴 수 있고, 계획 대상지의 환경과 경관 및 지역특성을 충분히 살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목재의 부드러움과 따스함을 간직하면서 목재의 소박함을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산지의 보도나 수변의 테크 등은 그 장소의 자연적인 공간과 조화하는 재료로 설계되어야 하고, 보행자 전용도로나 광장에서는 자연풍의 경관을 창출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한편, 목재가 다른 포장재료보다 유리한 점은 비강도가 높고, 가공이 매우 쉽다는 점이며, 판석이나 석재블록, 콘크리트 블록, 시멘트 블록보다 탄성 흡수력이 크기 때문에 보행감이 우수하여 보행시 슬관절 등에 무리를 주지 않는다는 점이고, 난복사의 재료로 석재나 콘크리트 등의 냉복사 재료와 다르게 따스함이 있어 친근감을 갖게 하는 재료라는 점이다.
또한, 목재블록은 고급재를 사용하지 않고, 상품가치가 없는 건설 폐기물로 인정되는 가공 단척재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도 있다.
그러나, 목재는 썩고, 벌레 먹으며 갈라지거나, 뒤틀림이 있고, 또한 불에 잘 탄다는 결점이 있다. 특히, 포장재료로 사용할 경우는 지면과 접하고 있어 부후가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현지의 입지조건에 따라서 적당한 방부처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목재포장블록에 사용되는 목재편(200)은 목구면의 면적을 넓게 사용하거나, 길이 50cm 이하의 단재가 가압으로 방부처리되어 난주입 수종이라도 목재 내부까지 약액이 쉽게 침투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목재포장블록은 장기간 동안 내구성이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목재편(200)은, 목재의 단척재가 사용되고, 또한 목구단면이 넓기 때문에 방부제의 약액 침투가 원활하여 목재의 내부에 골고루 퍼지는 등 방부제의 흡수량도 필요로 하는 량에 맞추어 생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접합수단(150)은 타카이고, 상기 타카는 상기 바닥 보강망(100)의 하면의 복수의 지점에서 상기 목재편(200)과 상기 바닥 보강망(100)의 상면을 결합시킨다. 상기 타카를 이용하여 상기 목재편(200)과 상기 바닥 보강망(100)의 상면을 결합시키는 것에 관하여는 도 3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소정의 접합수단은 접착제이고, 상기 접착제는 상기 바닥 보강망(100)의 하면의 복수의 지점에서 상기 목재편(200)과 상기 바닥 보강망(100)의 상면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제는 목공용 본드 등과 같은 강한 접착성을 가진 접착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목재편(200)은 목구면 방향, 섬유방향, 방사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절단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목재편(200)과 이웃하는 목재편(200) 사이에는 모래와 같은 다공성 물질이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주변 구조체(300)는, 상기 바닥 보강망(100)의 테두리 영역 상이고, 또한 상기 목재편(200)의 외측면에 상기 목재편(200)과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주변 구조체(300)는 말목이고, 상기 말목은 상기 바닥 보강망(100)의 인장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주변 구조체(300)로 사용되는 말목이 원형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주변 구조체(300)의 형상이 설계자에 의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목재포장블록에 의하면, 목재로 만든 보행자용 도로에 설치되는 목재포장블록에 관한 것으로, 탄력성, 미끄럼 저항성, 배수성 등을 향상시켜 보행자의 보행성능을 제고할 수 있다. 여기서, 포장용 목재편(200)의 조립은 바닥에 보강토옹벽의 바닥 보강망(100)(즉, 지오그리드)를 깔고, 그 위에 목재편(200)을 붙인 것이다. 이때, 바닥 보강망(100)과 목재편(200)의 접합은 바닥 보강망(100)의 이면에서 타카를 이용하여 목재편(200)을 고정한 것으로, 기본 설계에 맞추어 바닥 보강망(100)을 재단한 후 실내에서 목재편(200)을 고정하고, 현장에서는 곧바로 바닥에 포장할 수 있다. 이러한 목재포장블록은, 그 이용형태에 따라 가도의 보도, 보행자 전용도로, 고속도로 휴게소, 주차공간내의 광장, 도시공간 녹지대의 도로 및 광장, 자연공원의 보도 및 광장, 정원의 산책로, 야외정원, 하천변 및 해변의 산책로 및 그 광장, 행사장내의 도로 및 광장 등에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2a 내지 2d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포장블록을 시공하는 시공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a의 바닥 보강망(100)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2b의 바닥 보강망(100) 위에 목재편(200)을 조판하기 위하여 바닥 보강망(100)의 이면을 타카(150)를 통해 고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재포장블록에 사용되는 바닥 보강망(이하, 지오그리드 보강재라 한다.)인 지오그리드 보강재(100)는, 지반 위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오그리드 보강재(100)는 평평한 지반 또는 단차가 형성된 지반 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오그리드 보강재(100)는 보강토 옹벽의 지반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반 면에 깔아주는 시트로서, 그 강도가 매우 크고, 또한 얇은 시트 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목재포장블록의 길이가 아무리 길어도 토막을 내지 않고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블록과 블록을 하나로 연결하여 일체화시키고 있으므로 지금까지 다른 보도블록에서 블록간의 연결에 있어서 어려웠던 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재포장블록에 사용되는 지오그리드 보강재(100)는, 제작자가 설계하는 설계도면에 따라 다양한 문양으로 조립할 수 있고, 마름모와 같은 형상이나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오그리드 보강재(100)의 상면에 복수 개의 목재편(200)이 결속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지오그리드 보강재(100)의 이면의 복수의 지점에서 타카 등의 접합수단(150)을 이용하여 상기 목재편(200)과 상기 지오그리드 보강재(100)의 상면을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목재편(200)이 조립되어 상기 목재편(200) 자체가 가지는 무늬의 아름다움이나 색을 활용하고, 나아가 상기 목재편(200)의 크기, 형상에 의한 변형을 조합하여 멋스러운 디자인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재편(200)의 줄무늬 방향, 목구면이나 판목면에 의한 질감과 색채의 변화를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상기 타카(150)를 이용하여 상기 지오그리드 보강재(100)와 상기 목재편(200)을 접합시키는 것을 도시하였다. 따라서, 본 목재포장블록에서는 상기 지오그리드 보강재(100)의 이면부에서 상기 타카(150)를 이용하여 상기 목재편(200)과 결합시키고 있기 때문에, 상기 목재편(200)의 상면에서는 요철과 같은 철재물 등의 결합수단의 노출로 인하여 미관을 해칠 염려가 전혀 없게 된다.
그런 다음,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오그리드 보강재(100)의 테두리 영역을 고정핀(250)에 의하여 지반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핀(250)의 형상은 도 2c에 도시된 "ㄱ"자 형상 이외에도 상기 지오그리드 보강재(100)를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목재포장블록은 상기 지오그리드 보강재(100)의 사용으로 연결부가 끊이지 않고 하나의 시트로 연결하며, 그 양단을 상기 고정핀(250)을 통하여 팽팽하게 고정하였기 때문에, 지반 상에서 텐션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오그리드 보강재(100)의 상면이고, 또한 목재편(200)의 외측면에 목재편(200)의 양단과 연결되는 주변구조체(30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주변 구조체(300)는 원주목 또는 각목 등의 구조물로 구성되고, 원주목 또는 각목의 구조물은 상기 지오그리드 보강망(100)의 인장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목재편(200) 및 상기 지오그리드 보강재(100)의 양단을 상기 주변 구조체(300)로 연결하면, 목재포장블록의 바닥면이 항시 인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행 탄성이 매우 좋고, 흙바닥 등에 시공하여 지반침하가 발생하여도 목재포장블록이 침하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포장블록에 이용되는 목재편을 이용하여 조립된 목재포장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재포장블록은 목구면 방향, 섬유방향, 방사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절단된 목재편(200)을 이용하여 조립될 수 있다. 한편, 본 목재편(200)은 단척재나 통나무 중에서도 되도록 원형에 가까운 것을 선택하든가 아니면 원형으로 다듬어 블록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목재편(200)과 이웃하는 목재편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시공하고, 그 틈새에는 모래(S)와 같은 다공성 물질을 채워 투수성을 높이고, 빗물의 토양침투를 방해하지 않을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목재편(200)이 좌우로 이격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포장블록을 이용하여 형성된 계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재포장블록은, 단차가 형성된 지반 위에 목재편(200)을 설치하여 계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목재포장블록은, 설계계획 대상지에 환경과 지역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설계계획 대상지의 지반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거나 단차를 형성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지역일 경우, 그 단차가 형성된 지반 위에 바닥 보강망(100)을 길게 연장하고, 그 바닥 보강망(100)의 테두리 영역 상에 말목 등의 주변 구조체(300)에 의하여 고정을 한 다음, 그 위에 새로운 바닥 보강망(100)을 깔면, 계단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포장블록을 통하여 시공된 보행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재포장블록은, 목재편(200)의 크기, 형상에 따른 조합에 의하여 다양한 형상의 디자인을 가지는 보도블록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목재포장블록은, 설계도면에 따라 공장조립으로 이루어지므로, 현장 시공이 매우 빠르고 편리하다. 이와 같이, 상기 목재편(200)의 가공이 매우 양호하므로, 블록을 모자이크하면 그 디자인이 매우 다양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재편(200)은 햇볕의 반사를 산란시켜 눈부심이 적고, 유해한 자외선을 차단하며 적외선을 방출하기 때문에, 보행자의 건강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목재포장블록은, 곧바로 콘크리트 위나 흙바닥 위에 깔 수도 있고, 데크와 같이 별도의 공간이라는 느낌을 받지 않으므로 자연과 조화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부드러우면서 따스한 감을 가지는 목재포장블록의 자연미를 살린 계획, 설계, 시공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재포장블록의 이용형태에 따라 가도의 보도, 보행자 전용도로, 고속도로 휴게소, 주차공간내의 광장, 도시공간 녹지대의 도로, 광장, 자연공원의 보도, 정원의 산책로, 야외정원, 하천변 및 해변의 산책로, 행사장 내의 도로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보행자용 도로에 설치되는 목재포장블록에 있어서,
    바닥 보강망(100)이 그 테두리 영역이 고정핀(250)에 의하여 지반 위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바닥 보강망(100)의 상면에 복수 개가 결속되는 목재편(200)이 배치되어 상기 목재편(200)이 소정의 접합수단(150)에 의하여 상기 바닥 보강망(100)의 상면과 접합되며, 상기 바닥 보강망(100)의 테두리 영역 상이고, 또한 상기 목재편(200)의 외측면에 주변 구조체(300)가 상기 목재편(200)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주변 구조체(300)는 원주목 또는 각재이고, 상기 원주목 또는 각재는 상기 바닥 보강망(100)의 인장력을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포장블록.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접합수단(150)은 타카 또는 접착제이고,
    상기 접합수단은 상기 바닥 보강망(100)의 하면의 복수의 지점에서 상기 목재편(200)과 상기 바닥 보강망(100)의 상면을 결합시키는,
    목재포장블록.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편(200)은 가압식 방부처리방식으로 처리된,
    목재포장블록.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편(200)과 이웃하는 목재편 사이에는 다공성 물질이 채워지는,
    목재포장블록.
  9. 삭제
  10. 삭제
KR1020100030737A 2010-04-05 2010-04-05 목재포장블록 KR101185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0737A KR101185816B1 (ko) 2010-04-05 2010-04-05 목재포장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0737A KR101185816B1 (ko) 2010-04-05 2010-04-05 목재포장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1590A KR20110111590A (ko) 2011-10-12
KR101185816B1 true KR101185816B1 (ko) 2012-09-27

Family

ID=45027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0737A KR101185816B1 (ko) 2010-04-05 2010-04-05 목재포장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58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31614C1 (ru) * 2013-06-03 2014-10-27 Виктор Владимирович Распопов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ротуарной деревянной плитк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6704A (ja) 2001-09-20 2003-04-03 Ogiso Kensetsu Kk 透水性丸太舗装構造
KR200416814Y1 (ko) 2006-03-02 2006-05-22 박명진 모자이크 블록세트
KR200427787Y1 (ko) 2006-07-12 2006-09-29 이멕시스 주식회사 복합목재 우드타일
KR100924022B1 (ko) 2008-11-25 2009-11-02 오정준 건축단지용 결속식 보도블록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6704A (ja) 2001-09-20 2003-04-03 Ogiso Kensetsu Kk 透水性丸太舗装構造
KR200416814Y1 (ko) 2006-03-02 2006-05-22 박명진 모자이크 블록세트
KR200427787Y1 (ko) 2006-07-12 2006-09-29 이멕시스 주식회사 복합목재 우드타일
KR100924022B1 (ko) 2008-11-25 2009-11-02 오정준 건축단지용 결속식 보도블록 설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31614C1 (ru) * 2013-06-03 2014-10-27 Виктор Владимирович Распопов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ротуарной деревянной плитк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1590A (ko) 201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110906A1 (en) Reinforced pervious concrete
CN106065656B (zh) 湿陷性黄土地区雨水的规则化下渗防护系统及施工方法
KR20060099052A (ko) 도로 포장용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공법
CN205839508U (zh) 海绵城市铺装路面结构
KR101020718B1 (ko) 지반보강용 지오셀과 중공형 섬유보강 투수블록을 이용한 지반침투형 포장구조
JP5814786B2 (ja) ウッドチップ舗装方法
KR101185816B1 (ko) 목재포장블록
JP3083535U (ja) 透水性天然石敷石と透水性舗装構造
Gibbons Pavements and surface materials
CN107829347B (zh) 用于城市天然草皮的人行道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151050B1 (ko) 광발광성 에코칩을 이용한 스타패스포장 시공방법 및 스타패스포장
KR200254952Y1 (ko) 수목의 수분 공급 장치
KR20120055303A (ko) 투수성 콘크리트 및 칼라콩자갈을 이용한 콩자갈노출포장 시공방법
KR100919182B1 (ko) 주차블록 및 주차블록들의 조립체
Aghimien et al. Assessment of the Use of Solid Concrete and Interlocking Stones in the Construction of Walkways in a Tertiary Institution
KR100382256B1 (ko) 통나무제 보도 블록을 이용한 포장시공방법
JP3673917B2 (ja) 木塊ブロック舗装の施工方法
CN217052906U (zh) 一种树池连通结构
RU67101U1 (ru) Основание-площадка
JPS6346487Y2 (ko)
MONTEVERDE DEVELOPING A COMPREHENSIVE SIDEWALK SYSTEM IN
JPH0327042Y2 (ko)
KR20090030472A (ko) 기능성 탄성 포장층 시공방법
Papakos et al. Redeveloping brownfields with LID design
Jamieson et al. RE: ARBORICULTURAL INSPECTION AND REPORT 11 BEACH ROAD RHY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