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5732B1 - 판서가 가능한 무광투명필름 - Google Patents

판서가 가능한 무광투명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5732B1
KR101185732B1 KR20100016849A KR20100016849A KR101185732B1 KR 101185732 B1 KR101185732 B1 KR 101185732B1 KR 20100016849 A KR20100016849 A KR 20100016849A KR 20100016849 A KR20100016849 A KR 20100016849A KR 101185732 B1 KR101185732 B1 KR 101185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film
writing
base material
screen
matte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16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7163A (ko
Inventor
정상수
Original Assignee
(주)우드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드케어 filed Critical (주)우드케어
Priority to KR20100016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5732B1/ko
Publication of KR20110097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7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5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573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Abstract

롤스크린 또는 빔프로젝트용 스크린과 같이 판서가 불가능한 모재(母材)에 판서가 가능하게 되도록 부착시키고, 화이트보드와 같이 표면반사로 인하여 스크린으로서의 활용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무광의 투명필름을 부착시켜 스크린으로의 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판서가 가능한 무광투명필름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판서가 가능한 무광투명필름은 나노 실리카(Nano-Silica) 10.0 ~ 35.0 중량%, 변성폴리실록산(Modified Polysiloxane) 10.0 ~ 30.0 중량%, 나노 세라믹 폴리머(Nano-Ceramic polymer) 15.0 ~ 25.0 중량%,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 5.0 ~ 10.0 중량% 및 메틸에틸케톤(Methylethylketone) 5.0 ~ 10.0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필름으로서, 일정한 부착면을 가지는 모재(母材)의 부착면 중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어 영상과 판서를 동시에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판서가 가능한 무광투명필름{Brightless Transparent Film with Possible Wrighting}
본 발명은 화이트 보드, 롤스크린 및 빔프로젝터용 스크린 등과 같은 일정한 부착면을 가지는 모재(母材)의 부착면에 부착되어 빔프로젝터의 스크린 및 판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판서가 가능한 무광투명필름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회사나 공공기관에서 회의 진행이나 교육을 위하여 보드형의 칠판내지 빔프로젝트를 주로 사용하는데 두 가지 모두 운반시 부피가 크고 무거워 불편하기 때문에 고정장소에 세팅을 하거나 필요시 운반하여 별도 세팅과정을 거쳐야 한다.
더욱이, 최근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화이트 보드와 같은 보드형의 칠판의 경우에는 형광등이나 햇빛에 노출될 경우 표면 반사로 인하여 판서된 내용의 식별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빔프로젝트용 스크린 대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보드형의 칠판을 향해 빔프로젝트를 설치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롤스크린과 같이 빔프로젝트 사용이 가능한 별도의 장치를 부설하여야 했다. 하지만, 롤스크린이나 빔프로젝트용 스크린의 표면에는 판서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어 판서를 위한 장비와 빔프로젝트용 장비를 모두 준비하여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이트 보드, 롤스크린 및 빔프로젝터용 스크린 등과 같은 일정한 부착면을 가지는 모재(母材)의 부착면에 부착되어 빔프로젝터의 스크린 및 판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판서된 내용을 지울 경우에도 보드마카의 잔상이 남지않게 깨끗이 지워질 수 있도록 하는 판서가 가능한 무광투명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나노 실리카(Nano-Silica) 10.0 ~ 35.0 중량%, 변성폴리실록산(Modified Polysiloxane) 10.0 ~ 30.0 중량%, 나노 세라믹 폴리머(Nano-Ceramic polymer) 15.0 ~ 25.0 중량%,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 5.0 ~ 10.0 중량% 및 메틸에틸케톤(Methylethylketone) 5.0 ~ 10.0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필름으로서, 상기 세라믹 폴리머는 실리카와 유기실란의 반응 산물이고, 상기 필름은 모재(母材)의 부착면 중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어 판서가 가능한 무광투명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무광투명필름은 일면에 접착층이 구비되어 상기 모재(母材)의 부착면 중 적어도 일부에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광투명필름에서, 상기 세라믹 폴리머는 바람직하게는 나노 실리카(Nano-Silica)와 유기실란을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 메틸에틸케톤(Methylethylketone) 및 물이 혼합된 용액 내에 첨가한 후 졸겔공정에 의해 합성되어 나노 크기의 입자 형태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모재(母材)는 판서용 보드, 스크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무광투명필름이 부착되어 영상과 판서가 동시에 구현될 수 있다.
첫째, 무광투명필름이 세라믹 중합체로 형성되어 내구성, 내화학성, 내열성 등이 우수하며, 보드 마카펜으로 씌여진 판서를 지우게 될 경우 잔상이 남지 않아 깔끔한 표면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잘 지워지지 않아 사용이 어려웠던 물백묵으로 씌여진 판서 역시 잔상이 없이 지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반사율이 매우 낮아 빛에 의한 표면반사가 거의 발생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형광등 이나 햇빛 등과 같은 빛에 노출된 환경에서도 판서된 내용의 식별이 용이하며, 빔프로젝트용 스크린을 대용할 수 있으며, 빔프로젝트를 사용하는 중에도 판서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무광투명필름의 일면에 접착층이 구비되어 화이트 보드, 롤스크린 및 빔프로젝터용 스크린 등과 같은 일정한 부착면을 가지는 모재(母材)의 부착면에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다.
넷째, 얇고, 매우 유연하게 제조되어 롤스크린과 같이 모재(母材)의 형상이 변하는 경우에도 상기 모재(母材)의 변하는 형상에 대응되어 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층이 구비된 무광투명필름의 단면도;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광투명필름이 종래의 화이트보드의 일부분에 부착되어 표면의 반사도를 비교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판서가 가능한 무광투명필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판서가 가능한 무광코팅필름(10)은 일정한 부착면을 가지는 모재(母材)(미도시)의 부착면 중 적어도 일부에 부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무광코팅필름(10)은 나노 실리카(Nano-Silica) 10.0 ~ 35.0 중량%, 변성폴리실록산(Modified Polysiloxane) 10.0 ~ 30.0 중량%, 나노 세라믹 폴리머(Nano-Ceramic polymer) 15.0 ~ 25.0 중량%,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 5.0 ~ 10.0 중량% 및 메틸에틸케톤(Methylethylketone) 5.0 ~ 10.0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필름이다.
상기 조성물 내에서 변성폴리실록산(Modified Polysiloxane)의 함유량이 약 25%일 때, 상기 판서가 가능한 무광투명필름(10)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나노 세라믹 폴리머(Nano-Ceramic polymer)는 나노 크기를 가진 입자 형태의 세라믹 폴리머로서, 실리카와 유기실란을 반응시켜 얻은 산물이다. 또한, 나노 세라믹 폴리머(Nano-Ceramic polymer)는 그 입자 크기를 나노 사이즈로 하기 위해 나노 실리카(Nano-Silica)를 가수분해한 후에 유기실란을 첨가하고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 메틸에틸케톤(Methylethylketone) 및 물이 혼합된 용액 내에서 저온(10℃이하)의 졸겔공정으로 합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모재(母材)는 판서용 보드, 스크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판서용 보드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표면 반사로 인하여 빔 프로젝트용 스크린을 대신할 수 없는 종래의 화이트보드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무광특성을 통하여 스크린으로서의 역할을 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스크린에서는 판서가 불가능하다라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크린의 표면에 상기 판서가 가능한 무광투명필름(10)을 부착시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에도 판서가 가능하게 된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판서가 가능한 무광투명필름(10)은 탄성, 표면경도, 기계적성질, 투명성 등이 우수한 나노 실리카(Nano-Silica) 및 나노 세라믹 중합체(Nano-Ceramic polymer)와 경량이면서 유연성 및 인성을 가지는 변성폴리실록산(Modified Polysiloxane)이 혼합되어 이루어져 있어 얇고, 매우 유연하게 제조되어 다양한 종류의 모재(母材)에 용이하게 부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광투명필름(10)의 사이즈는 다양하게 구비 가능하여 상기 모재(母材)의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광투명필름(10)이 세라믹 중합체로 이루어져 있어 반사율이 낮고, 내구성, 내지문성, 내화학성 및 내열성 등이 높아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상기 모재(母材)에 상기 무광투명필름(10)을 부착하게 되면, 판서가 불가능한 모재(母材)의 경우에는 판서가 가능하게 되고, 표면반사로 인하여 스크린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없는 모재(母材)의 경우에는 무광특성으로 인하여 스크린을 대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무광투명필름(10)이 상술한 바와 같이, 유/무기 복합 하이브리드 중합체로 이루어져 있어 보드 마카펜을 통해 씌여진 판서를 지운 후에도 상기 무광투명필름(10) 상에 잔상이 남아있지 않고, 별도의 크리너 없이도 깨끗하게 지워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무광투명필름(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재(母材)에 보다 용이하게 부착되기 위하여 상기 무광투명필름(10)의 일면에 접착층(20)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무광투명필름(10)은 상기 모재(母材)의 부착면 중에서 적어도 일부에 선택적으로 부착이 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무광투명필름(10)은 상기 모재(母材)의 부착면 전체에 부착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일부분에만 상기 무광투명필름(10)을 부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모재(母材)는 두 가지의 특성을 가지게 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판서가 가능한 무광투명필름(10)이 종래의 화이트보드(2)에 부착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을 비교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무광투명필름(10)이 부착되는 상기 모재(母材)가 종래의 화이트보드(2)인 경우를 가정하여 실험한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화이트보드(2)가 형광등 환경하에서는 표면 반사가 발생되는 영역(A)이 분명하게 나타나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무광투명필름(10)이 상기 화이트보드(2)의 표면 반사가 발생되는 영역(A)의 일부분에 부착해 본 결과 상기 무광투명필름(10)이 부착된 부분은 표면 반사가 현저하게 줄어든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화이트보드(2)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무광투명필름(10)을 부착하게 되면, 빔프로젝트용 스크린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무광코팅필름 20: 접착층

Claims (4)

  1. 나노 실리카(Nano-Silica) 10.0 ~ 35.0 중량%, 변성폴리실록산(Modified Polysiloxane) 10.0 ~ 30.0 중량%, 나노 세라믹 폴리머(Nano-Ceramic polymer) 15.0 ~ 25.0 중량%,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 5.0 ~ 10.0 중량% 및 메틸에틸케톤(Methylethylketone) 5.0 ~ 10.0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필름으로서,
    상기 세라믹 폴리머는 실리카와 유기실란의 반응 산물이고,
    상기 필름은 모재(母材)의 부착면 중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어 판서가 가능한 무광투명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광투명필름은,
    일면에 접착층이 구비되어 상기 모재(母材)의 부착면 중 적어도 일부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서가 가능한 무광투명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폴리머는,
    나노 실리카(Nano-Silica)와 유기실란을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 메틸에틸케톤(Methylethylketone) 및 물이 혼합된 용액 내에 첨가한 후 졸겔공정에 의해 합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서가 가능한 무광투명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母材)는,
    판서용 보드, 스크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무광투명필름이 부착되어 영상과 판서가 동시에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서가 가능한 무광투명필름.
KR20100016849A 2010-02-24 2010-02-24 판서가 가능한 무광투명필름 KR101185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16849A KR101185732B1 (ko) 2010-02-24 2010-02-24 판서가 가능한 무광투명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16849A KR101185732B1 (ko) 2010-02-24 2010-02-24 판서가 가능한 무광투명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7163A KR20110097163A (ko) 2011-08-31
KR101185732B1 true KR101185732B1 (ko) 2012-09-25

Family

ID=44932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16849A KR101185732B1 (ko) 2010-02-24 2010-02-24 판서가 가능한 무광투명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57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324A (ko) 2015-04-11 2016-10-19 김지환 프로젝터 스크린에 보드마카 필기기능을 갖게 하는 스크린 지지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9908A (ja) 2001-11-07 2003-05-14 Lintec Corp 光学用フィルム
JP2006257407A (ja) 2005-02-16 2006-09-28 Fuji Photo Film Co Ltd 硬化性樹脂組成物、硬化膜、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KR100791971B1 (ko) 2007-05-04 2008-01-04 안희종 스크린보드 및 상기 스크린보드의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9908A (ja) 2001-11-07 2003-05-14 Lintec Corp 光学用フィルム
JP2006257407A (ja) 2005-02-16 2006-09-28 Fuji Photo Film Co Ltd 硬化性樹脂組成物、硬化膜、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KR100791971B1 (ko) 2007-05-04 2008-01-04 안희종 스크린보드 및 상기 스크린보드의 제작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324A (ko) 2015-04-11 2016-10-19 김지환 프로젝터 스크린에 보드마카 필기기능을 갖게 하는 스크린 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7163A (ko) 201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7390B1 (ko) 정보 디스플레이 보호기
US20010024720A1 (en) Dry erase member
KR20110122674A (ko) 건식 소거가능한 프로젝션 용품 및 시스템
CN204020107U (zh) 一种可印刷的防刮抗静电保护膜
KR101185732B1 (ko) 판서가 가능한 무광투명필름
JP2011053677A (ja) 多機能ボードおよび脚付き多機能ボード
TWI677749B (zh) 高對比之玻璃基底可寫入/抹除正面投影螢幕及包含該投影螢幕的光學系統
CN206133996U (zh) 一种数字书法临摹桌
CN202669098U (zh) 一种抗污反光膜
KR102416519B1 (ko) 기능성 인테리어 필름
JPH04229299A (ja) 投影用スクリーン兼用筆記板
KR100974670B1 (ko) 친환경적이며 지움성이 우수한 무광보드 및 그 제조방법
WO2013137099A1 (ja) 筆記性スクリーン
JP2010058524A (ja) スクリーン機能を有するボード
KR101170660B1 (ko) 세라믹 코팅층이 형성된 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
CN204322834U (zh) 高清晰度的写字贴膜
CN202716622U (zh) 壁吸式磁性白板
CN201390059Y (zh) 一种无尘助视黑板
CN207310960U (zh) 一种新型拷贝台
CN207457694U (zh) 高清背投影膜
KR101018326B1 (ko) 축광 기능을 갖는 칠판
KR102410717B1 (ko) 판서 및 스크린 겸용 플레이트
KR102388348B1 (ko) 투명에서 불투명 상태로 전환되는 스크린을 포함한 스마트 칠판
CN209657079U (zh) 投影效果较佳的投影膜
CN215327867U (zh) 一种防水防尘双面胶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