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4575B1 -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4575B1
KR101184575B1 KR1020110004462A KR20110004462A KR101184575B1 KR 101184575 B1 KR101184575 B1 KR 101184575B1 KR 1020110004462 A KR1020110004462 A KR 1020110004462A KR 20110004462 A KR20110004462 A KR 20110004462A KR 101184575 B1 KR101184575 B1 KR 101184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al gear
gear
brake
motor
spind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3038A (ko
Inventor
노수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10004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4575B1/ko
Publication of KR20120083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3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16D55/2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 F16D55/22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 F16D55/226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moved axially, e.g. floating calipe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6/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working conditions, e.g. wear, temperature
    • F16D2066/005Force, torque, stress or str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20Mechanical mechanisms converting rotation to linear movement or vice versa
    • F16D2125/34Mechanical mechanisms converting rotation to linear movement or vice versa acting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rotation
    • F16D2125/40Screw-and-n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44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rotation
    • F16D2125/46Rotating members in mutual engagement
    • F16D2125/50Rotating members in mutual engagement with parallel non-stationary axes, e.g. planetary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동시 소음 절감 및 제동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은 디스크의 가압을 위한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가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 캐리어와, 상기 베이스 캐리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동유압에 의해 피스톤이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가 마련된 캘리퍼 하우징과, 상기 피스톤을 진퇴시키는 너트 스핀들 부재와 상기 너트 스핀들 부재와 나사결합되는 스핀들부재를 구비하는 스핀들유닛과, 상기 스핀들유닛과 동축상으로 연결되는 감속기 및, 상기 감속기를 정역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함과 더불어, 제동유압을 발생시켜 상기 실린더에 형성된 유입구로 공급하며 상기 제동유압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진 유압제어모터를 갖춘 브레이크 보조장치가 마련되고, 상기 감속기는, 상기 모터의 축에 설치되는 태양기어; 상기 태양기어와 치합되도록 태양기어 주위에 배치된 복수의 유성기어; 상기 유성기어들과 연결되어 상기 스핀들부재를 회전시키는 캐리어; 및 상기 유성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증폭시키거나 또는 감속비 없이 상기 스핀들부재로 전달하는 내접기어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Electronic disc brake system}
본 발명은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동시 소음 절감 및 제동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의 전자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주차 브레이크의 구동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Electronic Parking Brake;EPB)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는데, 통상의 디스크 브레이크에 장착되어 주차 브레이크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차량에는 제동시 액압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 안전 장치인 ABS(Anti-lock Brake System) 또는 ESC(Electronic Stability Control) 등이 마련되어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과 함께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이 사용된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10)는 차량의 바퀴와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1)와, 디스크(1)를 가압하도록 디스크(1)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11)(12)가 설치된 베이스 캐리어(미도시)와, 상기 베이스 캐리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11)(12)의 가압을 위해 진퇴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21)이 내장된 캘리퍼 하우징(20)과,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50)와, 모터(50)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증폭시키는 감속기(40) 및, 감속기(40)로부터 모터(50)의 회전력을 피스톤(21)에 전달하는 스핀들유닛(30)을 포함한다.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11)(12)는 피스톤(21)에 인접한 인너 패드플레이트(11)와 그 반대쪽에 위치된 아웃터 패드플레이트(12)로 구분될 수 있다.
캘리퍼 하우징(20)의 일측에는 실린더(23)가 마련되어 있고, 실린더(23)에는 인너 패드플레이트(11)를 디스크(1) 쪽으로 압박하는 피스톤(21)이 설치된다. 캘리퍼 하우징(20)의 타측에는 하부 쪽으로 굽어진 핑거부(22)가 실린더(23)와 일체로 연결되어 캘리퍼 하우징(20)의 슬라이딩 이동과 함께 아웃터 패드플레이트(12)를 디스크(1)에 압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캐리어(미도시)는 차체에 고정되어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11)(12)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11)(12)가 디스크(1)를 향하여 진퇴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피스톤(21)은 제동작용시 모터(50)의 구동을 통해 직선 왕복운동하면서 인너 패드플레이트(11)를 디스크(1) 쪽으로 압박하게 된다. 모터(50)의 구동력은 감속기(40)를 통해 증폭된 상태에서 스핀들 유닛(30)을 통해 피스톤(21)으로 전달된다.
스핀들유닛(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피스톤(21)을 인너 패드플레이트(11) 측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핀들유닛(30)은 후술할 감속기(40)의 실린더(43)의 회전축과 나사 결합되어 모터(5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스핀들부재(32)와, 상기 스핀들부재(32)와 나사결합되어 피스톤(21)을 가압하는 너트 스핀들 부재(31)를 구비한다. 이때, 스핀들부재(32)의 지지를 위해 실린더(23) 내에는 베어링(25)이 설치된다.
감속기(40)는 모터(50)의 축에 설치된 태양기어(41)와, 태양기어(41)와 치합되도록 태양기어(41) 주위에 배치된 복수의 유성기어들(42)과, 유성기어들(42)과 치합되도록 유성기어들(42)의 외측에 고정된 내접기어(44) 및, 유성기어들(42)의 축(42a)과 상기 스핀들유닛(30)을 연결하는 실린더(43)를 포함하는 형태이다.
즉, 상기와 같은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는 모터(50)의 동작으로 태양기어(41)가 회전할 때 고정된 내접기어(44)와 치합된 유성기어(42)들이 공전을 하고, 유성기어(42)들의 공전이 실린더(43)를 통해 스핀들부재(32)에 전달됨으로써 스핀들부재(32)의 감속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스핀들부재(32)가 회전하면 너트 스핀들 부재(31)의 축방향 이동이 이루어지고, 너트 스핀들 부재(31)가 피스톤(21)을 가압함으로써 제동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10)는 제동시 고정된 내접기어(44)에 접촉된 유성기어들(42)이 공전을 하고, 이 유성기어들(42)의 공전이 캐리어(43)를 통해 스핀들부재(32)에 전달되어 감속회전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모터(50)의 토크를 증폭하여 축력을 발생시킴에 따라 제동시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차량의 고급화에 따라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작동 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관련업계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제동시 유압을 이용하여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의 제동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은, 디스크의 가압을 위한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가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 캐리어와, 상기 베이스 캐리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동유압에 의해 피스톤이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가 마련된 캘리퍼 하우징과, 상기 피스톤을 진퇴시키는 너트 스핀들 부재와 상기 너트 스핀들 부재와 나사결합되는 스핀들부재를 구비하는 스핀들유닛과, 상기 스핀들유닛과 동축상으로 연결되는 감속기 및, 상기 감속기를 정역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으로서, 제동유압을 발생시켜 상기 실린더에 형성된 유입구로 공급하며 상기 제동유압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진 유압제어모터를 갖춘 브레이크 보조장치가 마련되고, 상기 감속기는, 상기 모터의 축에 설치되는 태양기어; 상기 태양기어와 치합되도록 태양기어 주위에 배치된 복수의 유성기어; 상기 유성기어들과 연결되어 상기 스핀들부재를 회전시키는 캐리어; 및 상기 유성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증폭시키거나 또는 감속비 없이 상기 스핀들부재로 전달하는 내접기어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접기어 유닛은, 상기 유성기어들의 외측에 고정된 제1 내접기어; 상기 제1 내접기어와 이격되어 상기 유성기어 및 캐리어와 치합되는 제2 내접기어; 및 상기 제1 내접기어에 마련되어 상기 브레이크 보조장치의 오작동 유무에 따라 상기 제2 내접기어를 진퇴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내접기어는 진퇴에 의해 선택적으로 유성기어와 제1 내접기어 사이에서 치합되어 모터의 회전력을 증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제1 내접기어에 형성된 수용부에 마련되어 일측 끝단부가 제2 내접기어를 향하여 굴곡된 가이드로드; 상기 제2 내접기어에 상기 가이드로드의 굴곡진 일측 끝단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가이드홈; 상기 가이드로드의 타측 끝단부에 마련되어 가이드로드를 피스톤 방향으로 가압하는 지지 스프링; 및 상기 가이드로드를 지지 스프링 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전원을 인가받아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 코일;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 보조장치로부터 발생된 제동유압을 측정하는 센서가 더 마련되고, 상기 센서에 의해 브레이크 보조장치의 오작동 유무를 판단하여 오작동시 솔레노이드 코일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제2 내접기어의 내주면에는 캐리어 및 유성기어의 기어이와 치합되는 제1기어이가 마련되고, 외주면에는 제1 내접기어의 기어이와 치합되는 제2기어이가 동일선상에 마련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내접기어는 상기 브레이크 보조장치의 작동이 원활한 경우 상기 캐리어 및 유성기어와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내접기어는 상기 브레이크 보조장치가 오작동된 경우 상기 제2 내접기어가 후퇴하며 상기 유성기어 및 제1 내접기어와 치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내접기어는 고정형 내접기어이고, 상기 제2 내접기어는 상기 캐리어 및 유성기어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회전형 내접기어이다.
한편,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의 제동시 상기 모터는 브레이크 보조장치와 연동하여 작동되되, 상기 브레이크 보조장치에 의해 발생된 제동유압이 실린더에 공급되어 피스톤이 전진되면 상기 모터가 작동하여 너트 스핀들 부재가 피스톤과 접촉시 제동유압이 해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의 제동해제시 상기 모터는 브레이크 보조장치와 연동하여 작동되되, 상기 브레이크 보조장치에 의해 발생된 제동유압이 실린더에 공급되면 상기 모터가 작동하여 너트 스핀들 부재가 피스톤과 이격되도록 원상태로 복귀시 제동유압이 해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은 제동유압을 발생시키는 브레이크 보조장치를 마련하고, 이 제동유압을 사용하여 피스톤을 진퇴시킴과 함께 스핀들 유닛에 의하여 제동력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제동력을 얻기 위하여 모터의 토크를 증폭시켜 축력을 발생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제동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감속기에 제1 내접기어와 제2 내접기어를 구비하여 브레이크 보조장치의 오작동시 제2 내접기어를 이동시켜 모터의 회전력을 스핀들부재로 증폭시켜 제동작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에 따라 제동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동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에 제동유압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은 차량의 바퀴와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1)와, 디스크(1)의 양쪽 측면을 가압하여 제동을 수행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101)(102)가 설치된 베이스 캐리어(미도시)와,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101)(102)의 가압을 위한 피스톤(121)이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123)가 마련된 캘리퍼 하우징(120)과, 피스톤(121)을 진퇴시키는 스핀들유닛(130)과, 상기 스핀들유닛(130)과 동축상으로 연결되는 감속기(140)와, 상기 감속기(140)를 정역회전시키는 모터(150)로 구성된 디스크 브레이크(100) 및, 상기 실린더(123)에 제동유압을 공급하는 브레이크 보조장치(110)를 구비한다.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101)(102)는 피스톤(121)과 접하도록 배치된 인너 패드플레이트(101)와 후술할 핑거부(122)와 접하도록 배치된 아웃터 패드플레이트(102)로 구별된다. 이러한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101)(102)는 디스크(1)의 양쪽 측면을 향하여 진퇴할 수 있도록 차체에 고정된 베이스 캐리어(미도시)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고, 캘리퍼 하우징(120)도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101)(102)의 가압방향으로 진퇴할 수 있도록 베이스 캐리어에 설치된다.
캘리퍼 하우징(120)은 그 후방부에 피스톤(121)이 내장되는 실린더(123)가 마련되고, 전방부에는 아웃터 패드플레이트(102)를 작동시키도록 하측방향으로 굽어지게 성형된 핑거부(122)가 실린더(123)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123)에는 브레이크 보조장치(110)로부터 발생된 제동유압이 그 내부로 전달되도록 유입구(124)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브레이크 보조장치(110)는 제동유압을 발생시켜 이 제동유압이 유지되도록 하는 유압제어모터(112) 및, 유압제어모터(112)에 의해 발생된 제동유압을 실린더(123)의 유입구(124)로 전달하는 통로인 파이프(114)를 구비한다. 즉, 상기 유입구(124)로 유입된 제동유압에 의하여 피스톤(121)이 실린더(123) 내에서 진퇴 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브레이크 보조장치(110)는 차량의 제동시 액압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ABS(Anti-lock Brake System) 또는 ESC(Electronic Stability Control)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브레이크 보조장치(110)는 ABS 또는 ESC인 것으로 이해되어도 무방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기식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은 제동유압에 의해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식과 모터(150)의 회전에 의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기계식 구조가 병합된 구조이다.
한편, 상기한 ABS 및 ESC는 이미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로서, 이 기술에 속한 분야의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부가적으로, 브레이크 보조장치(110)로부터 발생된 제동유압을 측정하는 센서(115)가 더 마련된다. 상기 센서(115)는 브레이크 보조장치(110)의 오작동 유무를 판단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으로서, 제동유압의 유압량을 측정하는 유량센서 등이 채택될 수 있으며, 이에 제동유압이 공급되는 실린더(123)의 유입구(124) 입구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센서(115)는 브레이크 보조장치(110)가 오작동시 제동력이 발생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100)가 제동력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즉, 브레이크 보조장치(110)가 오작동되면 본 발명에 따른 감속기(140)의 구조로부터 모터(150)의 회전력을 증폭하여 제동력을 얻도록 구성됨으로써 제동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브레이크 보조장치(110)의 오작동 유무에 따른 제동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피스톤(121)은 내부가 컵(cup) 형상으로 파인 원통형으로 마련되어 실린더 (123)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이러한 피스톤(121)은 브레이크 보조장치(110)의 제동유압 또는 모터(15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스핀들유닛(130)의 축력에 의해 인너 패드플레이트(101)를 디스크(1) 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때, 스핀들유닛(130)에 의한 피스톤(121)의 이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보조장치(110)가 오작동시 이루어진다.
스핀들유닛(130)은 비상시 즉, 브레이크 보조장치(110)가 오작동시 피스톤(121)을 인너 패드플레이트(101) 측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하며 실린더(123) 내에 마련된다. 이러한 스핀들유닛(130)은 내부에 암나사부(131a)가 형성된 너트 스핀들 부재(131)와, 너트 스핀들 부재(131)의 암나사부(131a)에 결합되는 수나사부(132a)를 가지는 스핀들부재(132)를 구비한다.
스핀들부재(132)는 실린더(123)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너트 스핀들 부재(131)가 진퇴하는 방향과 평행하도록 실린더(123) 내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러한 스핀들부재(132)의 지지를 위해 실린더(123) 내에는 상호 이격된 위치에 제1 베어링(125)과 제2 베어링(126)이 설치된다. 이때, 제2 베어링(126)은 트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으로써, 제동동작시에 너트 스핀들 부재(131)의 진퇴방향으로 발생되어 스핀들부재(132)를 통해 전달되는 반력을 받아낸다.
본 발명에 따른 감속기(140)는 모터(150)의 축에 설치된 태양기어(141)와, 태양기어(141)와 치합되도록 태양기어(141) 주위에 배치된 복수의 유성기어(142)와, 유성기어들(142)의 축(142a)과 연결되어 스핀들유닛(130)을 회전시키는 캐리어(143)와, 상기 유성기어들(142)의 외측에 고정된 제1 내접기어(145-1)와 상기 유성기어(142) 및 캐리어(143)와 치합되는 제2 내접기어(145-2)를 구비하는 내접기어 유닛(145) 및, 상기 제2 내접기어(145-2)를 진퇴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한다.
내접기어 유닛(145)은 제2 내접기어(145-2)의 진퇴에 의해 상기 모터(150)의 회전력을 증폭시켜 스핀들부재(132)로 전달하거나 감속비 없이 스핀들부재(132)로 전달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내접기어(145-1)는 고정형 내접기어로 마련된다. 즉, 제1 내접기어(145-1)는 실린더(123)의 외측에 고정된 상태로 유성기어(142)의 외측에 마련된다. 이때, 제1 내접기어(145-1)의 기어이(145-1b)는 유성기어(142)와 치합되지 않도록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이다. 이러한 제1 내접기어(145-1)에는 후술할 이동수단의 가이드로드(146)가 설치되도록 수용부(145-1a)가 형성된다.
제2 내접기어(145-2)는 제1 내접기어(145-1)와 이격되어 회전되는 회전형 내접기어로 마련된다. 즉, 제2 내접기어(145-2)는 링 형상을 가지며 캐리어(143) 및 유성기어(142)와 치합되도록 마련된다. 이때, 제2 내접기어(145-2)에는 그 내주면에 상기 캐리어(143) 및 유성기어(142)의 기어이와 치합되는 제1기어이(145-2a)가 마련되고, 그 외주면에 상기 제1 내접기어(145-1)의 기어이(145-1b)와 치합되는 제2기어이(145-2b)가 마련된다. 상기 제1기어이(145-2a)는 캐리어(143) 및 유성기어(142)의 기어이와 동일선상에 마련되고, 상기 제2기어이(145-2b)는 제1 내접기어(145-1)의 기어이(145-1b)와 동일선상에 마련된다.
또한, 제2 내접기어(145-2)에는 전술된 가이드로드(146)가 삽입되는 가이드홈(147)이 형성된다. 즉, 제2 내접기어(145-2)는 가이드홈(147)에 삽입된 가이드로드(146)의 이동에 따라 함께 움직이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수단은 상기 브레이크 보조장치(110)의 오작동 유무에 따라 제2 내접기어(145-2)를 진퇴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이동수단은 제1 내접기어(145-1)에 형성된 수용부(145-1a)에 마련되는 가이드로드(146)와, 상기 가이드로드(146)의 일측 끝단부가 삽입되도록 제2 내접기어(145-2)에 형성된 가이드홈(147)과, 가이드로드(146)의 타측 끝단부에 마련된 지지 스프링(148) 및, 전원을 인가받아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 코일(149)을 구비한다.
가이드로드(146)는 소정길이를 가지며 일측 끝단부가 제2 내접기어(145-2)를 향하여 굴곡되도록 형성된다. 즉, 가이드로드(146)의 일측 끝단부가 제2 내접기어(145-2)에 형성된 가이드홈(147)에 삽입된다.
가이드로드(146)의 타측 끝단부에 지지 스프링(148)이 마련됨에 따라 지지 스프링(148)에 의하여 가이드로드(146)가 피스톤(121) 방향 측으로 가압된다. 이에 따라 제2 내접기어(145-2)는 캐리어(143) 및 유성기어(142)와 치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지지 스프링(148)의 끝단부 측에는 전원을 인가받아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 코일(149)이 마련되는데, 자기력이 발생시 가이드로드(146)가 지지 스프링(148) 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에, 가이드로드(146)와 함께 제2 내접기어(145-2)가 이동되어 제2 내접기어(145-2)의 제1기어이(145-2a)는 유성기어(142)와 치합되고, 제2기어이(145-2b)는 제1 내접기어(145-1)의 기어이(145-1b)와 치합되게 된다.
덧붙여, 솔레노이드 코일(149)에 전원이 인가되는 시점은 브레이크 보조장치(110)가 오작동된 경우이다. 즉, 브레이크 보조장치(110)가 오작동된 경우 제동 스위치 버튼(미도시)을 누르면 센서(115)에 의해 이를 감지하여 솔레노이드 코일(149)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전원을 호환시켜 구성될 수 있다. 이의 대안으로서, 별도의 스위치(미도시)를 마련하여 비상시 모터(150)만을 이용하여 제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별도로 모터(150)에 부하가 발생되면 솔레노이드 코일(149)에 전원이 인가될 수도 있다. 즉, 너트 스핀들 부재(131)가 피스톤(121)에 도달하여 피스톤(121)에 닿으면 축력이 발생함에 따라 모터(150)에 부하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때 인가되는 전류가 함께 증가하며 솔레노이드 코일(149)에 전원을 인가하여 자기력을 발생시키기 된다. 따라서, 제2 내접기어(145-2)가 후퇴하여 고정형 제1 내접기어(145-1)에 고정되며 유성기어(142)와 접촉하게 되는데, 이때 유성기어(142)들이 공전을 하고, 이 유성기어(142)들의 공전이 캐리어(143)를 통해 스핀들부재(132)에 전달됨으로써 스핀들부재(132)의 감속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유성기어(142)의 감속비(기어비) 만큼 모터(150)의 토크를 증폭하여 축력을 발생시켜 필요한 제동력을 얻게 된다.
한편, 제2 내접기어(145-2)는 피스톤(121)에 축력을 부여하는 너트 스핀들 부재(131)가 피스톤(121)에 닿기 전에 유성기어(142)와 캐리어(143)에 치합되는데, 유성기어(142)의 감속비 없이 모터(150)의 회전속도로 스핀들부재(132)를 회전시켜 너트 스핀들 부재(131)가 피스톤(121)에 도달하는 시간을 단축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은 제동작용시 브레이크 보조장치(110)와 모터(150)가 연동하여 작동하게 되며, 브레이크 보조장치(110)가 오작동시 단독으로 모터(10)의 구동력만으로 제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에, 먼저 도 2,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브레이크 보조장치(110)와 모터(150)가 연동하여 제동작용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운전자가 제동 스위치 버튼(미도시)을 누르면 브레이크 보조장치(110)의 유압제어모터(112)로부터 발생된 제동유압이 파이프(114)를 따라 이동되어 유입구(124)를 통해 실린더(123) 내로 전달된다. 이 제동유압은 실린더(123) 내에 마련된 피스톤(121)을 인너 패드플레이트(101) 쪽으로 전진 이동시킴으로써 피스톤(121)이 인너 패드플레이트(101)를 디스크(1) 측으로 가압시킨다. 이때, 유압제어모터(112)는 이 제동유압이 유지되도록 동작된다. 이에, 피스톤(121)이 인너 플레이트(101)를 가압한 상태로 유지된다.
부가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P는 제동유압이 피스톤(121)을 가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피스톤(121)이 전진되면 모터(150)가 작동하여 너트 스핀들 부재(131)가 피스톤(121)과 접촉하도록 스핀들부재(132)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모터(150)는 이 모터(150)의 축에 연결된 태양기어(141)를 회전시킨다. 태양기어(141)는 이 태양기어(141)와 치합되는 유성기어들(142)을 회전시킨다. 유성기어(142)는 이 유성기어(142)의 축(142a)과 연결되는 캐리어(143)와 함께 제2 내접기어(145-2)를 회전시킨다. 캐리어(143)는 이 캐리어(143)와 나사 결합된 스핀들부재(132)를 회전시킨다.
상기의 과정에서 유성기어(14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캐리어(143)와 함께 제2 내접기어(145-2)와 치합되는데, 이에 따라 스핀들부재(132)는 유성기어(142)의 감속비 없이 모터(150)의 회전속도를 전달받아 회전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핀들부재(132)는 유성기어(142)의 감속비 없이 모터(150)의 회전속도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너트 스핀들 부재(131)가 피스톤(121)에 도달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너트 스핀들 부재(131)가 피스톤(121)과 접촉시 브레이크 보조장치(110)는 제동유압을 해제시킨다. 이때, 제동유압이 해제되더라도 너트 스핀들 부재(131)에 의하여 제동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제동작용시 모터(150)의 회전력을 증폭시켜 피스톤(121)을 가압 이동시키지 않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제동작용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동해제시에는 먼저, 브레이크 보조장치(110)를 이용하여 제동유압을 실린더(123) 내로 전달하며, 이 제동유압이 유지되도록 한다. 즉, 너트 스핀들 부재(131)가 피스톤(121)에 접촉된 상태에서 피스톤(121)이 인너 패드플레이트(101)를 가압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어서, 모터(150)를 구동하여 제동해제 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면 너트 스핀들 부재(131)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스핀들부재(132)는 유성기어(142)의 감속비 없이 모터(150)의 회전속도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너트 스핀들 부재(131)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너트 스핀들 부재(131)가 원위치로 복귀시 제동유압을 해제시켜 피스톤(121)이 원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제동해제가 완료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압식과 기계식을 병행하여 사용함에 따라 모터(150)의 토크를 증폭시켜 발생되는 제동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브레이크 보조장치(110)가 오작동 시 예컨대, 브레이크 보조장치(110)의 파손이나 제동유압이 전달되는 통로인 파이프(114)의 파손 등으로 인하여 실린더(123)에 제동유압이 원활히 공급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이를 감지하여 모터(150)의 구동만으로 제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모터 및 감속기에 의하여 제동되는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모터(150)가 제동을 위해 회전하면, 상기 모터(150)와 연결되는 감속기(140)를 회전시킨다. 감속기(140)는 모터(15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어 모터(150)의 회전력을 스핀들부재(132)로 전달한다. 이때, 솔레노이드 코일(149)에 전원을 인가시켜 회전력을 증폭시켜 스핀들부재(132)에 전달할 수 있으나, 스핀들 부재(132)는 감속비 없이 모터(150)의 회전속도를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핀들부재(132)는 유성기어(142)의 감속비 없이 모터(150)의 회전속도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너트 스핀들 부재(131)가 피스톤(121)에 도달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어서, 너트 스핀들 부재(131)가 피스톤(121)에 도달하게 되면, 피스톤(121)의 가압에 의한 반력이 생기면서 모터(150)에 부하가 발생하며 모터(150)에 인가되는 전류가 증가하며 솔레노이드 코일(149)에 전원을 인가한다. 또한, 브레이크 보조장치(도 2의 '110' 참조)의 오작동을 감지한 센서(도 2의 '115' 참조)에 의해 전원이 호환된 구조로 솔레노이드 코일(149)에 전원을 인가시키거나 별도의 스위치(미도시)를 마련하여 솔레노이드 코일(149)에 전원을 인가시킬 수도 있다.
이에, 솔레노이드 코일(149)에 전원이 인가되어 자기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자기력에 의하여 제2 내접기어(145-2)의 가이드홈(147)에 걸려있는 가이드로드(146)가 이동하며 제2 내접기어(145-2)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내접기어(145-2)는 유성기어(142) 및 제1 내접기어(145-1) 사이에서 치합된다. 이에 따라 스핀들부재(132)는 유성기어(1422)의 감속비 만큼 모터(150)의 토크를 증폭하여 축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모터(150)의 구동력이 감속기(140)를 통해 증폭된 상태에서 스핀들부재(132)로 전달되고, 스핀들부재(132)의 회전방향에 따라 피스톤(121)이 직선왕복운동을 하면서 인너 패드플레이트(101)를 디스크(1) 쪽으로 압박함과 함께 캘리퍼 하우징(120)이 슬라이딩되어 아웃터 패드플레이트(102)를 디스크(1)와 접촉되도록 압박함으로써 제동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브레이크 보조장치(110)가 오작동되더라도 안정적으로 제동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동이 해제된 경우에는 솔레노이드 코일(149)에 인가된 전원이 차단됨에 따라 가이드로드(146)의 타측 끝단부에 마련된 지지 스프링(148)에 의하여 가이드로드(146)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로드(146)가 원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제2 내접기어(145-2)가 함께 이동하며 캐리어(143) 및 유성기어(142)와 치합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동 및 제동 해제시 제동유압을 보조로 사용하여 축력에 의해 발생되는 모터(150)의 제동소음을 감소시킴과 더불어, 제동유압이 발생되지 못하는 경우라도 모터(15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제동력이 발생되는 시점에만 감속시키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제동소음은 거의 발생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110 : 브레이크 보조장치
112 : 유압제어모터 120 : 캘리퍼 하우징
130 : 스핀들 유닛 131 : 너트 스핀들 부재
132 : 스핀들부재 140 : 감속기
141 : 태양기어 142 : 유성기어
143 : 캐리어 145 : 내접기어 유닛
145-1 : 제1 내접기어 145-2 : 제2 내접기어
146 : 가이드로드 147 : 가이드홈
148 : 지지 스프링 149 : 솔레노이드 코일

Claims (10)

  1. 디스크의 가압을 위한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가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 캐리어와, 상기 베이스 캐리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동유압에 의해 피스톤이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가 마련된 캘리퍼 하우징과, 상기 피스톤을 진퇴시키는 너트 스핀들 부재와 상기 너트 스핀들 부재와 나사결합되는 스핀들부재를 구비하는 스핀들유닛과, 상기 스핀들유닛과 동축상으로 연결되는 감속기 및, 상기 감속기를 정역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에 있어서,
    제동유압을 발생시켜 상기 실린더에 형성된 유입구로 공급하며 상기 제동유압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진 유압제어모터를 갖춘 브레이크 보조장치가 마련되고,
    상기 감속기는,
    상기 모터의 축에 설치되는 태양기어;
    상기 태양기어와 치합되도록 태양기어 주위에 배치된 복수의 유성기어;
    상기 유성기어들과 연결되어 상기 스핀들부재를 회전시키는 캐리어; 및
    상기 유성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증폭시키거나 또는 감속비 없이 상기 스핀들부재로 전달하는 내접기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접기어 유닛은,
    상기 유성기어들의 외측에 고정된 제1 내접기어;
    상기 제1 내접기어와 이격되어 상기 유성기어 및 캐리어와 치합되는 제2 내접기어; 및
    상기 제1 내접기어에 마련되어 상기 브레이크 보조장치의 오작동 유무에 따라 상기 제2 내접기어를 진퇴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내접기어는 진퇴에 의해 선택적으로 유성기어와 제1 내접기어 사이에서 치합되어 모터의 회전력을 증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제1 내접기어에 형성된 수용부에 마련되어 일측 끝단부가 제2 내접기어를 향하여 굴곡된 가이드로드;
    상기 제2 내접기어에 상기 가이드로드의 굴곡진 일측 끝단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가이드홈;
    상기 가이드로드의 타측 끝단부에 마련되어 가이드로드를 피스톤 방향으로 가압하는 지지 스프링; 및
    상기 가이드로드를 지지 스프링 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전원을 인가받아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 코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보조장치로부터 발생된 제동유압을 측정하는 센서가 더 마련되고, 상기 센서에 의해 브레이크 보조장치의 오작동 유무를 판단하여 오작동시 솔레노이드 코일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제2 내접기어의 내주면에는 캐리어 및 유성기어의 기어이와 치합되는 제1기어이가 마련되고, 외주면에는 제1 내접기어의 기어이와 치합되는 제2기어이가 동일선상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접기어는 상기 브레이크 보조장치의 작동이 원활한 경우 상기 캐리어 및 유성기어와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접기어는 상기 브레이크 보조장치가 오작동된 경우 상기 제2 내접기어가 후퇴하며 상기 유성기어 및 제1 내접기어와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접기어는 고정형 내접기어이고,
    상기 제2 내접기어는 상기 캐리어 및 유성기어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회전형 내접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의 제동시 상기 모터는 브레이크 보조장치와 연동하여 작동되되,
    상기 브레이크 보조장치에 의해 발생된 제동유압이 실린더에 공급되어 피스톤이 전진되면 상기 모터가 작동하여 너트 스핀들 부재가 피스톤과 접촉시 제동유압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의 제동해제시 상기 모터는 브레이크 보조장치와 연동하여 작동되되,
    상기 브레이크 보조장치에 의해 발생된 제동유압이 실린더에 공급되면 상기 모터가 작동하여 너트 스핀들 부재가 피스톤과 이격되도록 원상태로 복귀시 제동유압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
KR1020110004462A 2011-01-17 2011-01-17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 KR101184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462A KR101184575B1 (ko) 2011-01-17 2011-01-17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462A KR101184575B1 (ko) 2011-01-17 2011-01-17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038A KR20120083038A (ko) 2012-07-25
KR101184575B1 true KR101184575B1 (ko) 2012-09-21

Family

ID=46714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462A KR101184575B1 (ko) 2011-01-17 2011-01-17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457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294B1 (ko) 2011-11-02 2013-01-09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DE102014002133A1 (de) 2013-02-18 2014-08-21 Mando Corporation Elektrische Sattelbremse
KR20150064814A (ko) 2013-12-04 2015-06-12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캘리퍼 브레이크
US11846335B2 (en) 2020-01-13 2023-12-19 Hyundai Mobis Co., Ltd. Brake apparatus for vehicle
US11892044B2 (en) 2020-02-19 2024-02-06 Hyundai Mobis Co., Ltd. Brake apparatus for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030B1 (ko) * 2014-07-31 2021-03-15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디스크 브레이크
KR101650443B1 (ko) * 2015-03-20 2016-08-23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KR102588922B1 (ko) 2018-09-21 2023-10-13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KR102217067B1 (ko) * 2018-10-31 2021-02-17 주식회사 포스코 하이브리드 브레이크 장치
KR102401765B1 (ko) * 2021-08-11 2022-05-25 주식회사 만도 전자기계식 브레이크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CN114658778A (zh) * 2022-03-31 2022-06-24 长沙泊呈科技有限公司 制动用驱动缸及具有该制动用驱动缸的盘式制动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4077A (ja) 1999-02-18 2000-10-31 Unisia Jecs Corp ブレーキ装置
JP2006183723A (ja) 2004-12-27 2006-07-13 Honda Motor Co Ltd 電動式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JP2010241389A (ja) 2009-04-10 2010-10-28 Toyota Motor Corp 電動ブレーキ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4077A (ja) 1999-02-18 2000-10-31 Unisia Jecs Corp ブレーキ装置
JP2006183723A (ja) 2004-12-27 2006-07-13 Honda Motor Co Ltd 電動式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JP2010241389A (ja) 2009-04-10 2010-10-28 Toyota Motor Corp 電動ブレーキ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294B1 (ko) 2011-11-02 2013-01-09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DE102014002133A1 (de) 2013-02-18 2014-08-21 Mando Corporation Elektrische Sattelbremse
KR20150064814A (ko) 2013-12-04 2015-06-12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캘리퍼 브레이크
US11846335B2 (en) 2020-01-13 2023-12-19 Hyundai Mobis Co., Ltd. Brake apparatus for vehicle
US11892044B2 (en) 2020-02-19 2024-02-06 Hyundai Mobis Co., Ltd. Brake apparatus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038A (ko) 201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4575B1 (ko)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
KR101607086B1 (ko)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KR101365022B1 (ko)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KR101126176B1 (ko)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
US9568057B2 (en) Electronic parking brake
KR101511437B1 (ko) 전자기계식 브레이크 장치
JP6165549B2 (ja) 自動車用電動式ブレーキ
KR101220294B1 (ko)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KR20130038432A (ko)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KR20150068566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KR20130117091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KR101816396B1 (ko) 전동식 브레이크
KR20110125140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JP2012246988A (ja)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JP2013505159A (ja) ブレーキブースタ
KR101549995B1 (ko) 차량용 전동식 브레이크
KR101113583B1 (ko)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의 파킹 제어 장치
KR20150137718A (ko) 전자식 캘리퍼 브레이크
KR101270459B1 (ko) 변속 가능한 감속기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KR101184576B1 (ko)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KR101130339B1 (ko)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KR20120000838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20130109557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KR20100030285A (ko) 라쳇을 이용한 주차 제동 기능을 갖춘 전동 브레이크 장치
KR20150072582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동력전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