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4315B1 -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 및 이를 구비한 스프링클러 모듈 - Google Patents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 및 이를 구비한 스프링클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4315B1
KR101184315B1 KR1020100041151A KR20100041151A KR101184315B1 KR 101184315 B1 KR101184315 B1 KR 101184315B1 KR 1020100041151 A KR1020100041151 A KR 1020100041151A KR 20100041151 A KR20100041151 A KR 20100041151A KR 101184315 B1 KR101184315 B1 KR 101184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kler head
protection net
net
sprinkler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1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3497A (ko
Inventor
이해영
이정원
장우현
Original Assignee
아이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1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4315B1/ko
Publication of KR20100053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3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 헤드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 및 이를 구비한 스프링클러 모듈에 관한 것이다.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은 외부 보호망과 내부 보호망 이중 보호망 구조로 되어 있다. 내부 보호망은 적어도 한 쌍의 내부 세로망과 그에 각각 결합된 내부 가로망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내부 세로망은 장착부에 연결되어 유리벌브와 동일하거나 짧은 길이로 유리벌브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내부 가로망은 내부 세로망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된 원호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은 스프링클러의 소화수 살수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스프링클러 헤드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이 스프링클러의 헤드에 쉽게 장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 및 이를 구비한 스프링클러 모듈 {Sprinkler head protector and sprinkler modu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 및 이를 구비한 스프링클러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망이 내부 보호망과 외부 보호망으로 형성되며, 내부 보호망이 스프링클러의 유리벌브와 동일하거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반사판의 반경보다 작은 배치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 및 이를 구비한 스프링클러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빌딩이나 공장 등의 건축물에는 화재 발생시 조기진압을 위하여 스프링클러가 설치된다. 이러한 스프링클러는 천정 내부에 설치된 소화용 급수라인에 연결되어 헤드 부분이 천정 밖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스프링클러 헤드는 열을 감지하는 감열부를 구비하는데, 감열부로서는 유리벌브(glass bulb), 퓨즈, 후레쉬 등이 이용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프링클러 헤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스프링클러 헤드(sprinkler head, 10)는 결합부(14)를 통해 소화용 급수라인(20)에 연결되며, 결합부(14)에는 한 쌍의 가드 프레임(guard frame, 11)이 설치된다. 가드 프레임(11) 하단에는 소화수를 사방으로 살수시키는 반사판(13)이 고정 장착되며, 소화용 급수라인(20)의 배출구와 반사판(13) 사이에 감열부인 유리벌브(12)가 설치된다. 화재가 발생하면 유리벌브(12)가 파열되어 소화용 급수라인(20)으로부터 소화수가 방출되면서 반사판(13)을 통해 살수된다.
스프링클러 헤드(10)는 감열부인 유리벌브(12)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취급 과정이나 설치 과정에서 혹은 설치 후에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쉽게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공장에 설치된 스프링클러의 경우 공장 내부 시설 변경을 위한 공사 과정에서 유리벌브(12)가 파손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스프링클러에서 소화수가 방사되어 공장 내부 시설이 피해를 입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들이 종래에도 간혹 시도된 바 있으나, 보호 효과가 미흡하거나 오히려 소화수의 살수를 방해하게 되는 역효과를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소화수의 살수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스프링클러 헤드(10)의 유리벌브(12)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프링클러 헤드, 특히 감열부인 유리벌브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 및 이를 구비한 스프링클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화수의 살수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스프링클러 헤드의 감열부인 유리벌브의 보호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 및 이를 구비한 스프링클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프링클러 헤드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은 스프링클러 헤드에 장착되는 것으로, 장착부, 외부 보호망, 내부 보호망을 포함한다. 장착부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결합부 외측에 장착된다. 외부 보호망은 장착부에 연결되며, 스프링클러 헤드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내부 보호망은 외부 보호망과 별개로 장착부에 연결되고, 외부 보호망보다 짧은 길이와 배치반경을 가지며, 스프링클러 헤드의 감열부 주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에서 내부 보호망은 적어도 한 쌍의 내부 세로망과 내부 세로망에 각각 결합된 내부 가로망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세로망은 장착부에 연결되어 감열부와 동일하거나 짧은 길이로 감열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내부 가로망은 내부 세로망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된 원호형상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에서 내부 보호망의 배치반경은 스프링클러 헤드의 반사판 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에서 외부 보호망은 외부 세로망, 제1 외부 가로망, 제2 외부 가로망을 구비할 수 있다. 외부 세로망은 복수개로 장착부에 연결되어 외측으로 절곡된 후 장착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내측으로 완만히 구부러지는 형태이다. 제1 외부 가로망은 복수의 외부 세로망 끝단에 결합된다. 제2 외부 가로망은 스프링클러 헤드의 감열부의 길이 범위 내에서 복수의 외부 세로망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에서 복수의 외부 세로망은 제2 외부 가로망과 접하는 위치에 홈이 형성되고, 제2 외부 가로망은 홈에 착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에서 장착부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한 쌍의 장착부는 각각 한쪽 끝에 형성된 체결고리와, 반대쪽 끝에 형성되며 체결고리에 착탈이 가능한 체결걸쇠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클러 헤드 전체를 감싸는 외부 보호망과 스프링클러 헤드의 감열부 주변에 배치된 내부 보호망이 서로 보완하면서 스프링클러 헤드를 보호하는 이중 보호망 구조이므로 스프링클러 헤드, 특히 감열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이 때 감열부를 직접적으로 보호하는 내부 보호망은 감열부의 주변에만 배치되며 배치반경이 스프링클러 헤드의 반사판 반경보다 작기 때문에 소화수의 살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을 설치해도 소화수의 살수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보호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세로망의 한쪽 끝은 제1 외부 가로망에 고정시키되 반대쪽 끝은 서로 분리된 한 쌍의 장착부에 고정시킴으로써 장착부에 고정된 부분을 벌려 보호망을 스프링클러 헤드에 손쉽게 장착할 수 있다. 더욱이, 각각의 장착부에 대향하여 형성된 체결고리와 체결걸쇠를 통해 보호망을 간편하게 스프링클러 헤드에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프링클러 헤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는 도 2의 주요 부분을 서로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에서 제2 외부 가로망이 착탈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모듈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과 도 4는 도 2의 주요 부분을 서로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에서 제2 외부 가로망이 착탈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모듈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100)은 스프링클러 헤드(10)에 장착되는 보호망으로서, 외부 보호망(110)과 내부 보호망(120) 이중 보호망 구조이다. 즉,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100)은 장착부(130) 외에 외부 보호망과 내부 보호망의 이중 보호망으로 구성된다.
스프링클러 헤드(10)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100)의 장착부(130)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결합부(14) 외측에 장착된다. 장착부(130)는 대향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착부(130)에 연결된 외부 보호망(110)은 스프링클러 헤드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내부 보호망(120)은 외부 보호망과 별개로 장착부(130)에 연결되며, 외부 보호망(110)보다 작은 길이와 배치반경을 가지면서 스프링클러 헤드(10)의 유리벌브(12) 주변에 배치된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내부 보호망(120)은 적어도 한 쌍의 내부 세로망(121)과 각각의 내부 세로망(121)에 결합된 내부 가로망(122)을 구비한다. 내부 세로망(121)은 장착부(130)에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내부 세로망(121)은 보호망(100)이 스프링클러 헤드(10)에 장착되었을 때 스프링클러 헤드(10)의 유리벌브(12)와 동일하거나 짧은 길이가 되도록 유리벌브(12)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내부 가로망(122)은 내부 세로망(121)의 중간 부위에 수직 방향으로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며,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유리벌브(12)를 직접 둘러싸는 형태를 가진다. 내부 세로망(121)에서 내부 가로망(122)이 결합되는 위치가 중간 부분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프링클러 헤드(10)의 형상 또는 유리벌브(12)의 길이 등에 따라 결합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내부 보호망(120)의 배치반경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클러 헤드의 반사판(13) 반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내부 보호망(120)의 배치 반경이 반사판(13) 반경보다 작다는 것은 내부 보호망(120)이 스프링클러 헤드(10)에 설치되는 경우 내부 보호망(120)이 반사판(13)의 반경 내에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스프링클러 헤드의 유리벌브(12) 주변에 배치된 내부 보호망(120)은 후술하는 외부 보호망(110)과 함께 스프링클러 헤드(10)의 유리벌브(12)를 보호한다. 즉, 외부로부터 사람이나 물체가 부딪힐 때 스프링클러 헤드에 접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내부 보호망(120)은 외부 보호망(110)과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외부 보호망(110)이 미처 보호하지 못하는 부분을 보완함으로써 보호기능을 극대화할 뿐만 아니라, 유리벌브(12)의 주변에만 배치됨으로써 소화수의 살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더욱이 내부 보호망(120)의 배치반경이 스프링클러 헤드(10)의 반사판(13) 반경보다 작도록 형성하면 소화수의 살수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보호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외부 보호망(110)은 복수개의 외부 세로망(111)과 제1 외부 가로망(112-1)과 제2 외부 가로망(112-2)을 구비한다. 제1 외부 가로망(112-1)과 제2 외부 가로망(112-2)은 원형의 고리 형상일 수 있다. 각각의 외부 세로망(111)은 장착부(130)에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연결된다. 외부 세로망(111)의 형상은 각각 외측으로 절곡되어 수평한 절곡부(111a)를 형성하고, 다시 수직으로 절곡되어 장착부(130)로부터 멀어질수록 내측으로 완만히 구부러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외부 세로망(111)은 끝단이 개방되어 있는 형상이므로,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충분한 살수 반경을 확보할 수 있다.
제1 외부 가로망(112-1)은 외부 세로망(111)의 끝단에서 외부 세로망(111) 전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된다. 즉, 외부 세로망(111)의 한쪽 끝은 장착부(130)에, 반대쪽 끝은 제1 외부 가로망(112-1)에 의해 고정된 형태가 된다. 이때, 제1 외부 가로망(112-1)에 의해 결합된 부위는 그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지만, 장착부(130)에 의해 결합된 부위는 얼마간 벌렸다 오므렸다 할 수 있다. 한 쌍의 장착부(130)가 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보호망(100)을 스프링클러 헤드(10)에 장착할 수 있다.
제2 외부 가로망(112-2)은 제1 외부 가로망(112-1)보다 장착부(130)에 가까운 부위에서 외부 세로망(111)에 결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2 외부 가로망(112-2)이 스프링클러 헤드(10)의 유리벌브(12)의 길이 범위 내에서 외부 세로망(111)에 결합된다. 또한 제2 외부 가로망(112-2)은 내부 가로망(122)과 겹쳐지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2 외부 가로망(112-2)이 위치함에 따라 보호망(100)은 보다 확실하게 스프링클러의 유리벌브(12)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1 외부 가로망(112-1)과 제2 외부 가로망(112-2) 및 내부 가로망(122)은 반사판(13)과 겹쳐지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소화수의 살수를 방해하지 않음으로써 살수 반경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외부 가로망(112-2)이 외부 세로망(1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외부 세로망(111)에서 제1 외부 가로망(112-1)이 결합된 부위와 절곡부(111a) 사이의 부위에는 홈(11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홈(111b)에 제2 외부 가로망(112-2)을 끼워 결합할 수 있다. 제2 외부 가로망(112-2)은 보호망(100)을 스프링클러 헤드(10)에 장착한 후 외부 세로망(111)에 끼워진다. 외부 세로망(111)은 장착부(130)로부터 멀어질수록 내측으로 완만히 구부러지는 형태로 형성되므로, 제2 외부 가로망(112-2)은 제1 외부 가로망(112-1)보다 더 큰 반경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제2 외부 가로망(112-2)은 외부 세로망(111) 끝단에서 삽입하여 제1 외부 가로망(112-1)을 지나 홈(111b)에 끼워지는 것이 가능하다. 끼워진 제2 외부 가로망(112-2)은 외부 세로망(111)의 탄성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제2 외부 가로망(112-2)을 착탈 가능하도록 하면, 제2 외부 가로망(112-2)이 이탈된 상태에서 보호망(100)을 스프링클러 헤드(10)에 장착한 후 제2 외부 가로망(112-2)을 홈(111b)에 끼울 수 있다. 따라서 보호망(100)을 쉽게 스프링클러 헤드(10)에 장착할 수 있다.
장착부(130)는, 도 4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한쪽 끝에 형성된 체결고리(132)와 반대쪽 끝에 형성된 체결걸쇠(131)를 구비한다. 이때, 어느 한 편의 장착부에 형성된 체결고리(132)는 다른 한 편의 장착부에 형성된 체결걸쇠(131)와 마주보면서 서로 착탈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스프링클러 헤드에 보호망을 장착할 때 간편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스프링클러 헤드 구조는 하향식 스프링클러의 헤드에 보호망을 장착한 예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향식 스프링클러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향식 스프링클러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감열부가 유리벌브인 경우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감열부가 될 수 있다.
지금까지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 및 이를 장착한 스프링클러 헤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스프링클러 헤드 11 : 가드 프레임
12 : 유리벌브 13 : 반사판
14 : 결합부 20 : 소화용 급수라인
100 : 보호망 110 : 외부망
111 : 외부 세로망 112 : 외부 가로망
120: 내부망 121 : 내부 세로망
122 : 내부 가로망 130 : 장착부
131: 체결걸쇠 132: 체결고리

Claims (7)

  1. 스프링클러 헤드에 장착되는 보호망으로서,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결합부 외측에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연결되며,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외부 보호망; 및
    상기 외부 보호망과 별개로 상기 장착부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 보호망보다 짧은 길이와 배치반경을 가지며,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감열부 주변에 배치되는 내부 보호망;을 포함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보호망은 적어도 한 쌍의 내부 세로망과 상기 내부 세로망에 각각 결합된 내부 가로망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세로망은 상기 장착부에 연결되어 상기 감열부와 동일하거나 짧은 길이로 상기 감열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내부 가로망은 상기 내부 세로망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된 원호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보호망의 배치반경은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반사판 반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보호망은
    상기 장착부에 연결되어 외측으로 절곡된 후 상기 장착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내측으로 완만히 구부러지는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외부 세로망과,
    상기 복수의 외부 세로망 끝단에 결합되는 제1 외부 가로망과,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감열부의 길이 범위 내에서 상기 복수의 외부 세로망에 결합되는 제2 외부 가로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외부 세로망은 상기 제2 외부 가로망과 접하는 위치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외부 가로망은 상기 홈에 착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한 쌍의 장착부는 각각 한쪽 끝에 형성된 체결고리와, 반대쪽 끝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고리에 착탈이 가능한 체결걸쇠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
  7. 결합부를 통해 소화용 급수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결합부에 한 쌍의 가드 프레임이 설치되며, 상기 가드 프레임의 하단에 소화수를 사방으로 살수시키는 반사판이 고정되고, 상기 소화용 급수라인의 배출구와 상기 반사판 사이에 감열부가 설치되는 스프링클러 헤드; 및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에 장착되고,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구성을 가지는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모듈.
KR1020100041151A 2010-05-01 2010-05-01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 및 이를 구비한 스프링클러 모듈 KR101184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151A KR101184315B1 (ko) 2010-05-01 2010-05-01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 및 이를 구비한 스프링클러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151A KR101184315B1 (ko) 2010-05-01 2010-05-01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 및 이를 구비한 스프링클러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497A KR20100053497A (ko) 2010-05-20
KR101184315B1 true KR101184315B1 (ko) 2012-09-19

Family

ID=42278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1151A KR101184315B1 (ko) 2010-05-01 2010-05-01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 및 이를 구비한 스프링클러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43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807Y1 (ko) * 2019-09-27 2020-06-08 주식회사 피에프이엔씨 누수감지수단을 구비한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19066B2 (en) 2018-06-08 2021-02-16 The Reliable Automatic Sprinkler Co. Inc. Sprinkler guard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prinkler guar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215B1 (ko) 2007-02-14 2008-04-11 주식회사 동양플렉스 천장 스프링클러의 헤드 보호장치
JP2010005205A (ja) 2008-06-27 2010-01-14 Itachibori Mfg Co Ltd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用保護カバー及びスプリンクラー配管
KR101063857B1 (ko) 2008-08-13 2011-09-08 (주)화이로 집열판을 구비하는 상향식 스프링클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215B1 (ko) 2007-02-14 2008-04-11 주식회사 동양플렉스 천장 스프링클러의 헤드 보호장치
JP2010005205A (ja) 2008-06-27 2010-01-14 Itachibori Mfg Co Ltd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用保護カバー及びスプリンクラー配管
KR101063857B1 (ko) 2008-08-13 2011-09-08 (주)화이로 집열판을 구비하는 상향식 스프링클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807Y1 (ko) * 2019-09-27 2020-06-08 주식회사 피에프이엔씨 누수감지수단을 구비한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497A (ko) 201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7348B1 (ko) 스프링클러의 헤드 보호장치
KR100821215B1 (ko) 천장 스프링클러의 헤드 보호장치
EP2853294B1 (en) Protective cap of sprinkler head and sprinkler head
ES2537215T3 (es) Manguito de protección de incendios
KR101184315B1 (ko)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 및 이를 구비한 스프링클러 모듈
KR101063857B1 (ko) 집열판을 구비하는 상향식 스프링클러
KR101344081B1 (ko) 스프링클러 헤드 플레이트
KR102098522B1 (ko) 스프링클러의 보호커버
KR20140020949A (ko) 스프레이 헤드
KR101973326B1 (ko) 제조가 용이하면서 견고하게 체결되는 스프링클러용 차폐판.
JP2009104948A (ja) 直付け型電気器具
KR200454219Y1 (ko) 천장 스프링클러의 헤드 보호장치
RU2014138984A (ru) Взрывной клапан, включающий в себя пластину с изгибаемыми лапками
KR101096400B1 (ko) 길이조절형 스프링클러 헤드
ES2324825T3 (es) Disposicion de proteccion contra incendios para instalacion en un tabique.
KR101833638B1 (ko) 날개형 복사열 차단용 울타리
KR101205701B1 (ko) 화재 확산 방지 창
KR101055820B1 (ko) 스프링클러 헤드
KR20110008900U (ko) 스프링클러 헤드용 헤드링 및 이러한 헤드링을 구비한 스프링클러 헤드
KR102621650B1 (ko) 스프링클러 보호용 커버조립체
KR20170001849U (ko) 후드가 부착된 커버형 소방담요
JP5703182B2 (ja) 躯体取付部保護具及び建材
CN215585334U (zh) 一种建筑消防用的喷洒装置
JP2010041738A (ja) ワイヤーハーネス外装用の硬質保護チューブおよびその作製方法
KR20140000316U (ko) 폼 저장탱크용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