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4192B1 -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서 탐색 및 대출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서 탐색 및 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4192B1
KR101184192B1 KR1020110137883A KR20110137883A KR101184192B1 KR 101184192 B1 KR101184192 B1 KR 101184192B1 KR 1020110137883 A KR1020110137883 A KR 1020110137883A KR 20110137883 A KR20110137883 A KR 20110137883A KR 101184192 B1 KR101184192 B1 KR 101184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search
portable terminal
wireless tag
personal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7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수
박종운
Original Assignee
(주)비알네트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알네트콤 filed Critical (주)비알네트콤
Priority to KR1020110137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41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5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 G06F15/0283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for data storage and retriev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06K17/00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the arrangement consisting of a wireless interrogation device in combination with a device for optically marking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도서에 포함된 무선 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도서관에 비치된 도서로의 안내와 대출을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 태그를 이용한 도서 검색 방법 및 도서 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이용함으로써, 도서의 검색을 편리하게 하고 도서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고 도서의 대출을 빠르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서 탐색 방법은, 적어도 소장 또는 보유하는 도서에 대한 정보를 유지?관리하는 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행되며, 적어도 열람을 위하여 실물을 찾고자 하는 도서 - 이하 '탐색 도서'라 한다 - 의 식별자 또는 상기 탐색 도서에 부착된 무선 태그의 식별자가 포함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무선 태그 인식부를 활성화하는 제 2 단계; 상기 무선 태그 인식부를 이용하여 서가에 꽂혀 있는 도서들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부착된 무선 태그 - 이하 '도서용 무선 태그'라 한다 - 의 정보를 읽어 들이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 읽어 들인 도서용 무선 태그의 정보에, 상기 제 1 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탐색 도서의 식별자 또는 상기 탐색 도서에 부착된 상기 무선 태그의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서 탐색 및 대출 방법{BOOK SEARCHING AND LENDING METHOD USING SMART PHONE}
본 발명은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서 탐색 및 대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도서에 포함된 무선 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도서관이 소장 또는 보유하는 도서의 탐색과 대출을 가능하도록 하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서 탐색 및 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서관은 아주 방대한 양의 도서를 보관하고 이 도서를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다수의 도서를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서가를 비치하고 있다.
이런 도서관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먼저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도서 또는 분류가 어떤 서가에 위치하는지, 그 서가가 도서관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 현재 원하는 도서가 대출이 되었는지, 대출할 수 있는지 등을 알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해서, 도서관에는 도서 검색을 위한 컴퓨터를 제공하고, 컴퓨터가 비어 있을 때 이 컴퓨터를 이용해서 도서관에 비치된 도서의 검색 등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컴퓨터의 이용은, 사용자 측면에서는 특정 도서의 검색을 가능케 하나, 사용자가 해당 특정 도서가 비치된 서가로 이동시에는 커다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즉 컴퓨터에서 특정 서가의 위치를 알려 준다고 하더라도, 그 서가로 이동하는 사용자는 서가를 찾기 위해서 헤매거나 도서관 사서에게 다시 물어보는 등 여간 불편하지 않다.
또한, 정확한 서가에 도착한다고 하여도, 해당 서가에 꽂혀 있는 수십~수백권의 도서 중에서 원하는 도서를 바로 찾아내는 일이 어려운 경우도 많다. 도서의 분류 기호와 달리 잘못된 위치에 해당 도서가 꽂혀 있는 경우에는 더욱 그러한 문제가 있다.
한편, 도서관도 전자화되면서 각 도서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를 포함하여 도서관에서의 대출(대여, 반출)을 자동으로 그리고 시스템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비록 이러한 무선 태그를 이용해서, 대출을 자동으로 그리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사용자는 대출을 처리하는 도서관 사서에게 자기의 차례가 오도록 기다려야 하는 불편한 점과, 이에 따라 도서관 사서가 항상 대출을 처리하도록 도서관에 배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무선 통신 기술과 전자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스마트폰, PDA, 태블릿PC와 같은 개인 휴대용 단말기는 다양한 외부 인터페이스를 수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자들은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해서 전자 결제, 웹 서버 접속 등과 같은 다양한 작업을 편리하게 그리고 원격에서 진행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앞서 살펴본 도서관에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스마트폰, PDA, 태블릿PC와 같은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도서의 검색, 도서의 탐색 및/또는 도서의 대출을 자동으로 처리하도록 한다면, 이동중에도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활용할 수 있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실물 도서로의 안내와 실물 도서의 탐색이 용이하게 가능한,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서 검색 탐색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대출하고자 하는 도서를 사서의 도움 없이 자동으로 그리고 빠르게 대출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서 대출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서 탐색 방법은, 적어도 소장 또는 보유하는 도서에 대한 정보를 유지?관리하는 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것으로서,
적어도 열람을 위하여 실물을 찾고자 하는 도서 - 이하 '탐색 도서'라 한다 - 의 식별자 또는 상기 탐색 도서에 부착된 무선 태그의 식별자가 포함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무선 태그 인식부를 활성화하는 제 2 단계; 상기 무선 태그 인식부를 이용하여 서가에 꽂혀 있는 도서들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부착된 무선 태그 - 이하 '도서용 무선 태그'라 한다 - 의 정보를 읽어 들이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 읽어 들인 도서용 무선 태그의 정보에, 상기 제 1 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탐색 도서의 식별자 또는 상기 탐색 도서에 부착된 상기 무선 태그의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서 탐색 및 대출 방법은, 적어도 소장 또는 보유하는 도서에 대한 정보를 유지?관리하는 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것으로서,
적어도 열람을 위하여 실물을 찾고자 하는 도서 - 이하 '탐색 도서'라 한다 - 의 식별자 또는 상기 탐색 도서에 부착된 무선 태그의 식별자가 포함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무선 태그 인식부를 활성화하는 제 2 단계; 상기 무선 태그 인식부를 이용하여 서가에 꽂혀있는 도서들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부착된 무선 태그 - 이하 '도서용 무선 태그'라 한다 - 의 정보를 읽어 들이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 읽어 들인 도서용 무선 태그의 정보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탐색 도서의 식별자 또는 상기 탐색 도서에 부착된 무선 태그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탐색 도서의 실물을 찾아내는 제 4 단계; 상기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 4 단계에서 찾아낸 탐색 도서를 대출받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도서관에 비치된 실물 도서로의 안내가 보다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도서관에 비치된 실물 도서를 보다 용이하게 탐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도서관의 사서 등의 도움 없이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 표시되는 도서관 내의 지도나 표시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도서로의 안내가 보다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서가에 꽂혀 있는 다수의 도서에서 원하는 도서를 보다 용이하게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도서관 사서 등의 도움 없이, 자동으로 도서의 대출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도서관 이용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도서관 측에서 도서의 대출을 처리하는 도서관 사서를 배치할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경비 절감의 효과와 도서관 무인화율을 더욱 촉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도서의 탐색 또는 대출 등이 사용자가 보유하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실행되므로, 도서관 측으로서는 시스템의 구축, 유지, 관리 등에 소유되는 비용 등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서 탐색 및 대출 방법이 실시될 수 있는 도서 탐색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서 탐색 시스템에 포함되는 관리 서버의 블록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서 탐색 시스템에 포함되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서 탐색 및 대출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무선 태그를 이용한 도서의 대출 단계(S900)의 상세한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에서 도서의 '검색'은 온라인 또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원하는 도서를 찾는 것으로 정의하고, 도서의 '탐색'은 오프라인 상에서 도서의 실물을 찾는 것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탐색 도서'는 열람을 위하여 그 실물을 찾고자 하는 도서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서 탐색 및 대출 방법이 실시될 수 있는 도서 탐색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도서 탐색 시스템은, 관리 서버(100)와, 하나 이상의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와, 서가(10)에 비치되어 있는 도서에 각각 부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도서용 무선 태그(400)와, 관리 서버(100)와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를 연결할 수 있는 통신망(5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예시적인 시스템 블록도의 블록들 중 일부는 필요에 따라서 생략될 수 있고 혹은 도 1에 포함되지 않은 블록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서 탐색 시스템에 포함되는 각 블록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보면, 관리 서버(100)는, 소장 또는 보유하는 도서에 대한 정보를 유지?관리하는 서버로서, 도서관의 도서들에 대하여 데이터 베이스들을 이용하여 대출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도서의 검색을 가능하게 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관리 서버(100)는, 도서관에 비치된 도서들에 대한 도서 목록과 각 도서들이 위치하는 지점, 각 도서들이 대출이 되었는지 그리고 대출할 수 있는지, 각 도서의 정보 등과 이에 더하여 각 도서들의 위치와 연동할 수 있는 도서관의 지도 정보를 구비하는 도서 DB(150)를 포함한다.
또한 관리 서버(100)는, 통신망(500)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도서를 검색하기 위한 도서 검색 요청을 수신하고, 검색 요청에 따라 도서 DB(150)에서 도서를 검색하고 해당 도서가 위치하는 특정 좌표 혹은 특정 서가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통신망(500)을 통해 요청한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로 하여금 특정 도서로의 경로 안내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관리 서버(100)는, 도서관의 사서를 이용하지 않고, 도서의 대출이 가능하도록, 도서에 포함된 무선 태그(400)에 대한 정보를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고,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를 소지한 사용자가 대출할 수 있는 경우에 해당 도서의 무선 태그(400)의 보안 플래그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코드를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하여 이 코드를 이용하여 도서의 대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100)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에 관리 서버(100)가 관리하는 도서관의 지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에 대한 보다 더 상세한 사항은 도 2를 통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보유하고 휴대 가능하며 RFID 태그의 리딩 및 라이팅이 가능한 단말이거나, 사용자가 보유하고 휴대 가능한 단말로서 RFID 태그의 리딩 및 라이팅을 수행하는 외부 기기를 연결하거나 연결 가능한 단말이다. 가장 바람직하게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는 아이폰 또는 캘럭시S2와 같은 스마트폰, PDA, 아이패드 또는 캘럭시탭과 같은 태블릿PC이다.
이러한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는 탑재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디스플레이에 결과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도서의 검색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이 검색 요청을 통신망(500)을 통해서 관리 서버(100)로 송신할 수 있으며, 검색 요청에 대한 결과를 수신하고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는, 검색 요청의 결과로서 수신될 수 있는 도서의 위치 정보를 관리 서버(100)로부터 수신하거나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관리 서버(100)로부터 수신하거나 혹은 직접 결정하여, 이러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거나 관리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지도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 내부 혹은 외부에 연결된 NFC 블록 또는 무선 태그 리더/라이터(Reader/Writer)를 이용하여 도서에 포함된 도서용 무선 태그(400)의 정보를 읽거나 무선 태그(400)에 정보를 쓸 수 있다.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는 도서용 무선 태그(400)를 스캔함으로써 찾고자 하는 실물 도서를 보다 용이하게 탐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는 도서관 사서를 이용하지 않고도 바로 대출이나 반환을 처리할 수 있다.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사항은 도 3을 통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통신망(500)은, 적어도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와 관리 서버(100)를 연결한다. 이러한 통신망(500)은 예를 들어 무선 통신망 및/또는 인터넷 망을 포함할 수 있다. 혹은 무선 랜 및/또는 유선 랜과 같은 로컬 통신망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통신망(500)을 이용해서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와 관리 서버(100) 사이에서 컨텐츠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서에 부착되는 도서용 무선 태그(400)는, RFID 태그일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태그(400)는 특정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13.56MHz)에서 동작할 수 있다. 무선 태그(400)는 내부에 태그 식별자 및/또는 해당 무선 태그(400)가 부착된 도서의 도서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하 태그 식별자 또는 도서 식별자 중 하나를 인용하더라도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무선 태그(400)는 예를 들면 백스캐터링에 의해 그 내부에 저장된 태그 식별자 및/또는 도서 식별자 등을 외부의 디바이스(예를 들어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의 NFC 블록 또는 RFID 리더/라이터)로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태그(400)는 무단으로 반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안 플래그를 또한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된 무선 태그(400)의 제어 데이터들은 암호화될 수 있고, 또한 외부의 디바이스(예를 들어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 등)에 의해 암호화된 채로 다시 저장되거나 수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보안 플래그가 설정된 상태로 도서관의 외부로부터 반출되는 경우에는 출입구 등에 비치된 RFID 리더/라이터기에 의해서 인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경고음을 울려 무단 방출의 사실을 알릴 수 있게 되어 있다. 도서용 무선 태그(400)를 이용한 동작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는, 도서 탐색 시스템에 포함되는 관리 서버의 블록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관리 서버(100)는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170)에 연결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와, 휘발성 메모리(120)와, 비휘발성 메모리(130)와, 하드 디스크(140)와, 도서 DB(150)와,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도 2의 예시적인 블록도의 블록들 중 일부는 필요에 따라서 생략될 수 있고 혹은 도 2에 포함되지 않은 블록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관리 서버(100)에 포함되는 각 블록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면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통신망(500)에 연결되어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와 제어 데이터나 지도 등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이다.
이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유선 랜 모듈이나 무선 랜 모듈 혹은 ADSL 모듈 등과 같이 인터넷 망이나 혹은 사설 로컬 망을 통해서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와 연결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120)는, DRAM 타입과 같이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메모리이다. 이 휘발성 메모리(120)는 제어부(160)에 사용할 각종 프로그램을 임시로 저장하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서 송수신되는 제어 데이터나 지도 등과 같은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비휘발성 메모리(130)는, NOR 타입 혹은 NAND 타입과 같이 데이터를 영구히 저장하는 메모리이다. 이 비휘발성 메모리(130)는, 관리 서버(100)에서 부팅 시에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드 디스크(140)는, 제어부(160)에서 사용할 각종 프로그램과 지도 등과 같은 정보를 저장한다.
도서 DB(150)(Database)는, 관리 서버(100)가 관리하는 도서관이 가지고 있는 도서에 대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도서 DB(150)는, 복수의 도서의 목록을 가진 도서 리스트와 도서관의 지도와 도서관을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들의 식별자들과 암호를 포함하는 사용자 리스트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도서 리스트는, 각각의 도서에 대응하는 엔트리를 포함하고, 이 엔트리에는 도서명, 도서의 식별자, 해당 도서에 부착된 무선 태그(400)의 식별자와, 대출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대출 가능 여부, 현재 대출 중인지 혹은 도서관에 있는 지를 나타내는 대출 상태, 해당 도서가 위치하는 위치 정보, 대출자의 식별자 등과 같은 필드(field)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 리스트는, 도서관을 이용할 수 있는 다수의 사용자를 위한 엔트리가 있고, 이 엔트리에는 사용자의 식별자와 사용자의 암호, 사용자가 대출할 수 있는지 여부, 사용자의 대출 가능한 대출 시작 시점 등과 같은 필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도서 DB(150)에 포함된 리스트나 지도는 관리 서버(100)를 관리하는 관리자에 의해서나 혹은 제어부(160)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에 의해서 자동으로 수정될 수 있다. 물론 도서 DB(150)를 구성하는 리스트와 도서 DB(150)에 접근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은 하드 디스크(140) 상에서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관리 서버(100)의 각 블록들을 제어한다. 이 제어부(160)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예를 들어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검색 요청을 수신하고, 이 검색 요청에 포함된 검색 식 혹은 검색 텍스트(text)를 이용하여 도서 DB(150)의 리스트를 접근하여, 해당 검색 식이나 검색 텍스트에 부합하는, 하나 이상의 도서의 목록들을 식별하고, 이 도서의 목록에 포함된 필드 중 일부를 검색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이 도서의 목록들에 대한 도서명, 또는/및 사용자의 선택에 대한 응답으로 이 도서에 포함된 무선 태그(400)의 식별자와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도서 대출 가능 여부 정보나 대출 상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도서관의 지도상에서 식별할 수 있는 좌표 정보를 포함하거나 혹은 텍스트 형태의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열람을 위하여 실물을 찾고자 하는 탐색 도서의 식별자 또는 탐색 도서에 부착된 무선 태그의 식별자가 포함된 정보를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사용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이 인증 정보로부터 해당 사용자가 사용자 리스트를 이용하여 대출이 가능한지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승인 정보를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승인 정보에는, 대출 가능 혹은 대출 불가와 같은 정보나 대출 가능한 도서의 개수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승인된 사용자의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도서용 무선 태그(400)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대출 완료의 제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제어부(160)는 도서 리스트에서 수신된 식별자에 대응하는 엔트리에서 현재 대출 중인 것으로 대출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170)는, 관리 서버(100)의 각 블록 사이의 데이터나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170)는 병렬 버스이거나 혹은 시리얼 버스일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다수의 블록이 공유하거나 혹은 1대1로 연결될 수 있는 버스일 수 있다.
도 3은, 도서 탐색 시스템에 포함되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는,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280)에 연결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210)와, 휘발성 메모리(220)와, 비휘발성 메모리(230)와, 무선 태그 인식부(240)와, 입력부(250)와, 출력부(260)와,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도 3의 예시적인 블록도의 블록들 중 일부는 필요에 따라서 생략될 수 있고 혹은 도 3에 포함되지 않은 블록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에 포함되는 각 블록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통신망(500)에 연결되어 관리 서버(100)와 제어 데이터나 지도 등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이다.
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가 인터넷 등과 같은 유선망을 통하여 관리 서버(1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연동하기 위해 HSDPA, HSUPA, WIBRO, LTE 등과 같은 표준 프로토콜을 따르는 통신 모듈이거나, 혹은 무선 랜 등과 같은 로컬 망을 통해서 관리 서버(1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연동하기 위한 통신 모듈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220)는, DRAM 타입과 같이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메모리이다. 이 휘발성 메모리(220)는 제어부(270)에 사용할 각종 프로그램을 임시로 저장하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서 송수신되는 제어 데이터나 지도 등과 같은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비휘발성 메모리(230)는, NOR 타입 혹은 NAND 타입과 같이 데이터를 영구히 저장하는 메모리이다. 이 비휘발성 메모리(230)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에서 부팅 시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관리 서버(100)와 연동하여 도서의 검색이나 대출을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서의 검색이나 대출을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들은 관리 서버(100)나 오픈 마켓으로부터 미리 혹은 관리 서버(100)에 연결되었을 때 다운받을 수 있다.
무선 태그 인식부(240)는, 도서용 무선 태그(400)를 인식하여 무선 태그(400)에 포함된 각종 제어 데이터를 읽을 수 있고 및/또는 무선 태그(400)에 포함될 수 있는 각종 제어 데이터를 이 무선 태그(400)에 쓸 수 있도록 하는 블록이다.
이 무선 태그 인식부(240)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에 내장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을 적용한 블록으로서 예를 들어서 NFC 기술을 적용한 칩셋을 포함하거나 혹은, 도서에 포함된 무선 태그(400)의 정보를 읽거나 쓸 수 있는 무선 태그 리더/라이터에 연동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이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연결된 무선 태그 리더/라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USB 인터페이스이거나 혹은 RS232 등과 같은 시리얼 인터페이스, 혹은 간단한 근거리 무선 인터페이스(블루투스나 지그비 등)일 수 있다.
입력부(25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블록이다. 이 입력부(250)는, 예를 들어 키패드나 터치 패드나 음성 인식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입력부(250)를 통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도서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출력부(260)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한 응답을 출력하거나 관리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정보 등을 출력하는 블록이다. 이 출력부(260)는, 예를 들어 알람음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진동을 출력하기 위한 진동 소자, 및/또는 LC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출력부(260)를 통해서 지도나 찾고자 하는 도서의 위치 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도서를 서가에서 찾은 경우에 이를 사용자에게 소리나 진동 등을 통해서 알릴 수 있다.
제어부(270)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에 포함된 각 블록들을 제어한다. 이 제어부(27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이 프로세서에서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관리 서버(100)나 오픈 마켓을 통해서 내려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70)는 이 프로그램의 제어하에 다른 블록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70)는, 사용자의 제어하에 도서 탐색 및 대출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관리 서버(100)에 연결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도서 검색, 도서 탐색이나 대출에 필요한 입력을 입력부(250)를 통해서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70)는 출력부(260)를 통해서 연결된 관리 서버(100)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도서의 분류 체계를 풀다운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거나, 혹은 정확한 검색 식이나 혹은 검색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검색 창을 제공하고 이러한 분류 체계나 검색 창을 통해서 사용자의 검색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검색 요청에는 분류 체계에 대한 정보나 검색 식이나 검색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이 검색 요청을 관리 서버(1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100)로부터 검색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응답에는 검색 요청으로부터 검색된 도서의 도서명이나 무선 태그(400)의 식별자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탐색 도서의 식별자 또는 탐색 도서에 부착된 무선 태그의 식별자가 포함된 정보를 관리 서버(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무선 태그 인식부를 이용하여 서가에 꽂혀 있는 도서들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도서용 무선 태그(400)의 정보를 읽어 들이고 읽어 들인 도서용 무선 태그(400)의 정보에, 수신한 탐색 도서의 식별자 또는 탐색 도서에 부착된 무선 태그의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은, 위의 판단 결과, 읽어 들인 도서용 무선 태그(400)의 정보에, 수신한 탐색 도서의 식별자 또는 탐색 도서에 부착된 무선 태그의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알람 신호를 출력하도록 출력부(26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부(250)와 출력부(26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관리 서버(100)로 송신하여 이로부터 승인 정보를 관리 서버(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인증 정보에는 예를 들어 사용자 식별자와 이 사용자 식별자가 유효한지를 알 수 있는 암호와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수신된 승인 정보에는 사용자가 대출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언제부터 대출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제어부(270)에서 수행되는 흐름은 도 4와 도5를 통해서 더욱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280)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의 각 블록 사이의 데이터나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280)는 병렬 버스이거나 혹은 시리얼 버스일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다수의 블록이 공유하거나 혹은 1대1로 연결될 수 있는 버스일 수 있다.
도 4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서 탐색 및 대출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흐름도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에서 실행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도서 검색 및/또는 대출의 본 흐름도를 실행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는 적어도 소장 또는 보유하는 도서에 대한 정보를 유지?관리하는 관리 서버와 연동한다.
도 4의 흐름도를 각 단계별로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의 휘발성 메모리(220)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230)에 탑재된 도서 탐색 및 대출용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입력부(250)를 통해 실행함으로써 시작한다(단계 S100). 이러한 프로그램은 관리 서버(100)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오픈 마켓으로부터 다운로드될 수 있다.
단계 S300에서, 열람을 위하여 실물을 찾고자 하는 도서('탐색 도서')의 식별자 또는 탐색 도서에 부착된 무선 태그의 식별자(이하 통칭하여 '탐색 식별자'라 한다)가 포함된 정보를 관리 서버(100)로부터 수신한다(S300). 수신되는 정보에는 탐색 식별자 이외에 탐색 도서의 위치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단계 S300이전에 탐색 도서를 검색하고 특정하며, 탐색 도서의 식별자 또는 탐색 도서에 부착된 무선 태그의 식별자('탐색 식별자')를 요청하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
개인 휴대용 단말기(100)을 이용하여 원하는 도서의 검색 요청을 온라인으로 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미도시).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의 의해서 선택되거나 미리 결정된 서버일 수 있고, 도서관별로 서로 상이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HTTP(HyperText Transport Protocol) 서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서 검색 요청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250)를 통해 입력된 단어와 "AND"나 "OR" 등과 같은 연산식을 포함하는 검색 식의 형태나, 찾고자 하는 단어들을 포함하는 텍스트의 형태를 포함하거나 혹은 이에 더하여 풀다운 메뉴 등을 이용하여 검색할 도서의 분류 정보를 도서 검색 요청이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버(100)로부터 도서 검색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관리 서버(100)에서 검색된 도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을 수신한다. 검색된 도서는 반드시 하나일 필요는 없고, 다수개의 도서를 리스트의 형태로 응답에 포함될 수 있다. 이 응답에는 각각의 도서에 대한 도서명, 도서의 식별자, 대출이 되는 도서인지를 나타내는 대출 가능 여부, 대출 상태, 위치 정보 등의 필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 중 일부의 필드는 생략되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추후의 과정에서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열람을 위하여 실물을 찾고자 하는 도서('탐색 도서')를 입력부(250)를 통해 선택하거나 자동으로 프로그램에 의해 선택하고, 이를 관리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도 4로 돌아와, 단계 S400에서 수신된 탐색 도서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탐색 도서의 위치를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의 출력부(260)에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위치는 텍스트(text)의 형태로서, 예를 들어 "4층 301호실 42번 서가"와 같이 디스플레이되거나, 또는 해당 탐색 도서의 위치가 표시되는 지도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지도는 관리 서버(10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거나 혹은 미리 내려받아 저장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탐색하고자 하는 도서의 위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탐색하고자 하는 도서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단계 S500에서, 사용자의 입력부(250)를 통한 활성화 명령에 의해서, 혹은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의 무선 태그 인식부(240)를 활성화시킨다. 이러한 무선 태그 인식부(240)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 내에 내장된 것일 수도 있고 외장된 것일 수도 있다. 무선 태그 인식부(240)는 예를 들어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에 탑재된 NFC 블록일 수 있고,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USB 포트)의 연결을 통한 외장형 RFID 리더/라이터일 수도 있다.
그리고 단계 S500를 즈음하여 또는 그 이후에, 사용자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를 가지고 탐색 도서를 찾기 위해서 도서관 내에서 이동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도서가 있는 서가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단계 S600에서,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는 무선 태그 인식부(240)를 이용하여 서가에 꽂혀 있는 도서들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도서들에 부착된 무선 태그(400; '도서용 무선 태그')의 정보를 읽어 들인다. 도서용 무선 태그(400)에 포함된 도서의 식별자 또는 무선 태그의 식별자를 인식하기 위해서, 도서용 무선 태그(400)의 정보를 읽어 들인다. 이러한 과정은 서가에 위치하는 다수의 도서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찾고자 하는 도서가 위치하는 서가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혹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특정 서가에 위치하는 서가용 무선 태그(300)를 이용하여 확인한 경우에,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를 도서와 근접한 거리(예를 들어 5cm ~ 20cm 정도의 거리)를 두고, 서가에 꽂혀 있는 다수의 도서에 대해 천천히 왼쪽의 도서에서부터 오른쪽의 도서로, 혹은 그 반대 방향으로, 도서용 무선 태그(400)에 포함된 도서의 식별자 또는 무선 태그의 식별자를 순차적으로 읽어 들이기 위해서 스캐닝(scanning)한다. 예를 들어, 도서용 무선 태그(400)는 '책등'(spine, back)의 안쪽에 노출되지 않도록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책등'은 책의 배부로서 보통 책 이름, 지은이, 출판사 또는 출판사의 로고 등이 인쇄되어 있고, 책을 서가에 꽂았을 때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서가에 도서가 꽂혀 있는 상태에서도 도서용 무선 태그(400)는 읽혀 지기 쉬운 가장자리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700에서, 읽어 들인 도서용 무선 태그(400)의 정보에, 탐색 도서의 식별자 또는 상기 탐색 도서에 부착된 상기 무선 태그의 식별자('탐색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800에서, 단계 S700의 판단 결과, 읽어 들인 도서용 무선 태그(400)의 정보에 탐색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의 출력부(260)를 통해 알람 신호를 출력한다. 알람 신호는 출력부(260)에 포함될 수 있는 스피커나 이어폰을 통한 알람음과 같은 오디오 신호이거나, 혹은 출력부(260)에 포함될 수 있는 진동 소자를 통한 진동 신호이거나 혹은 출력부(260)의 화면상에 찾은 도서의 도서명을 표시하는 비디오 신호일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신호의 조합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700의 판단 결과, 읽어 들인 도서용 무선 태그(400)의 정보에 탐색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단계 S600으로 돌아간다.
이와 같이 알람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도서의 제목을 구체적으로 볼 필요도 없이, 서가에서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도서를 보다 용이하게 찾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일정 개수 이상의 도서를 스캔하였거나, 일정 시간 이상 도서를 스캔했는 데도 불구하고 원하는 도서를 찾지 못한 경우, 또는 그러한 경우가 아니라도,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가 스캔하여 읽어 들인 도서용 무선 태그(400)의 식별자를 관리 서버(100)로 전송함으로써(미도시), 사용자가 스캔하고 있는 서가가 올바른 지를 확인토록 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로 하여금 사용자가 스캔하고 있는 서가(10)가 올바른 지를 확인토록 하기 위하여, 읽어 들인 도서용 무선 태그(400)의 정보를 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미도시). 관리 서버(100)는 수신된 도서의 도서 식별자들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현재 스캔하고 있는 서가(10)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현재 사용자가 스캔하고 있는 서가(10)가 잘못된 경우에는 해당 사실을 알려 줄 수 있다(미도시). 아울러,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또는 탐색 도서가 있는 서가의 위치가 지도에 표시되도록 하거나 텍스트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미도시).
그리고 단계 S900에서,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위에서 찾아낸 탐색 도서를 대출받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찾아낸 탐색 도서의 무선 태그(400)를 이용한다. 단계 S900에 대한 보다 더 구체적인 사항은 도 5를 통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도 5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무선 태그를 이용한 도서의 대출 단계(S900)의 상세한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 S901는, 자동으로 혹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시작한다.
단계 S903에서,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와 대출 요청 정보를 관리 서버(100)로 송신한다. 여기서, 인증 정보에는 관리 서버(100)에서 해당 사용자가 본 도서관에 등록된 사용자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식별자(Identification)와 사용자 암호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대출 요청 정보는 대출받기를 원하는 도서의 도서 식별자 또는/및 해당 도서에서 읽어들인 무선 태그(400)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905에서, 인증 정보에 응답하여 관리 서버(100)로부터 승인 정보를 수신한다. 이러한 승인 정보에는, 관리 서버(100)에서 사용자 리스트를 이용하여 결정한 대출가능한지 혹은 불가한지 등과 같은 정보나 해당 사용자가 현재 대출할 수 있는 도서의 개수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승인 정보에 따른 승인 결과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의 출력부(260)를 통해서 디스플레이되거나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907에서, 찾아낸 탐색 도서를 대출하고자 하는 경우, 찾아낸 탐색 도서의 무선 태그(400)에 포함된 보안 플래그를 이 승인 정보에 기초하여 해제한다.
위와 같이, 보안 플래그를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가 직접 해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도서관 사서에 의한 대출 과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에게는 편리하게 대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도서관 입장에서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보안 플래그를 해제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 혹은 프로그램 형태인 해제 코드는, 도서 탐색 및 대출용 응용 프로그램에 미리 내장되어 있거나 혹은, 관리 서버(100)로부터 승인 정보와 함께 혹은 사용자의 요청으로 실시간으로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해제 코드는 실시간으로 생성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사용할 수 없도록 구성된 코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해당 사용자를 위해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코드일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909에서, 개인 휴대용 단말기(200)는 보안 플래그 해제 정보를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때 보안 플래그가 해제된 도서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버(100)는 이 수신된 도서의 식별자를 식별하고, 해당 도서의 엔트리의 필드 정보(예를 들어 대출 상태의 변경)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단계 S907과 단계 S909는 동기화를 위해 하나의 동작(atomic action)으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단계 S909와 단계 907은 반대 순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관리 서버 110 : 통신 인터페이스부
120 : 휘발성 메모리 130 : 비휘발성 메모리
140 : 하드 디스크 150 : 도서 DB
160 : 제어부 170 :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
200 : 개인 휴대용 단말기 210 :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
220 : 휘발성 메모리 230 : 비휘발성 메모리
240 : 무선 태그 인식부 250 : 입력부
260 : 출력부 270 : 제어부
280 :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 400 : 도서용 무선 태그
500 : 통신망

Claims (10)

  1. 적어도 소장 또는 보유하는 도서에 대한 정보를 유지?관리하는 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서 탐색 방법으로서,
    적어도 열람을 위하여 실물을 찾고자 하는 도서 - 이하 '탐색 도서'라 한다 - 의 식별자 또는 상기 탐색 도서에 부착된 무선 태그의 식별자가 포함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무선 태그 인식부를 활성화하는 제 2 단계;
    상기 무선 태그 인식부를 이용하여 서가에 꽂혀 있는 도서들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부착된 무선 태그 - 이하 '도서용 무선 태그'라 한다 - 의 정보를 읽어 들이되, 상기 개인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서가에 꽂혀 있는 도서들과 근접한 상태에서 왼쪽의 도서에서부터 오른쪽의 도서로, 혹은 그 반대 방향으로 스캔함에 따라 읽어 들이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 읽어 들인 도서용 무선 태그의 정보에, 상기 제 1 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탐색 도서의 식별자 또는 상기 탐색 도서에 부착된 상기 무선 태그의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개인 휴대용 단말기는 도서관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보유하고 휴대 가능한 스마트폰이고, 상기 무선 태그 인식부는 상기 스마트폰에 내장된 NFC 블록이며,
    상기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서 탐색 방법은 상기 스마트폰이 다운로드받은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서 탐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는, 상기 탐색 도서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탐색 도서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탐색 도서의 위치를 상기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서 탐색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 3 단계에서 읽어 들인 도서용 무선 태그의 정보에, 상기 제 1 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탐색 도서의 식별자 또는 상기 탐색 도서에 부착된 상기 무선 태그의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제 6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서 탐색 방법.
  4. 적어도 소장 또는 보유하는 도서에 대한 정보를 유지?관리하는 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상기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서 탐색 및 대출 방법으로서,
    적어도 열람을 위하여 실물을 찾고자 하는 도서 - 이하 '탐색 도서'라 한다 - 의 식별자 또는 상기 탐색 도서에 부착된 무선 태그의 식별자가 포함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무선 태그 인식부를 활성화하는 제 2 단계;
    상기 무선 태그 인식부를 이용하여 서가에 꽂혀있는 도서들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부착된 무선 태그 - 이하 '도서용 무선 태그'라 한다 - 의 정보를 읽어 들이되, 상기 개인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서가에 꽂혀 있는 도서들과 근접한 상태에서 왼쪽의 도서에서부터 오른쪽의 도서로, 혹은 그 반대 방향으로 스캔함에 따라 읽어 들이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 읽어 들인 도서용 무선 태그의 정보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탐색 도서의 식별자 또는 상기 탐색 도서에 부착된 무선 태그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탐색 도서의 실물을 찾아내는 제 4 단계;
    상기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 4 단계에서 찾아낸 탐색 도서를 대출받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개인 휴대용 단말기는 도서관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보유하고 휴대 가능한 스마트폰이고, 상기 무선 태그 인식부는 상기 스마트폰에 내장된 NFC 블록이며,
    상기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서 탐색 방법은 상기 스마트폰이 다운로드받은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서 탐색 및 대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제 3 단계에서 읽어 들인 도서용 무선 태그의 정보에, 상기 제 1 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탐색 도서의 식별자 또는 상기 탐색 도서에 부착된 상기 무선 태그의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 4-1 단계;
    상기 제 4-1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 3 단계에서 읽어 들인 도서용 무선 태그의 정보에, 상기 제 1 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탐색 도서의 식별자 또는 상기 탐색 도서에 부착된 상기 무선 태그의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제 4-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서 탐색 및 대출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 5 단계는,
    상기 관리 서버로 상기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제 5-1 단계;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인증 정보에 응답하여 생성된 승인 정보를 수신하는 제 5-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서 탐색 및 대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 5 단계는,
    상기 찾아낸 탐색 도서의 무선 태그에 포함된 보안 플래그를 상기 승인 정보에 기초하여 해제하는 제 5-3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서 탐색 및 대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보안 플래그가 해제되는 탐색 도서의 식별자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 5-4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서 탐색 및 대출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찾아낸 탐색 도서의 보안 플래그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코드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제 5-5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서 탐색 및 대출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로 하여금 사용자가 스캔하고 있는 서가가 올바른 지를 확인토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3 단계에서 읽어 들인 도서용 무선 태그의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 7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서 탐색 방법.
KR1020110137883A 2011-12-20 2011-12-20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서 탐색 및 대출 방법 KR101184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883A KR101184192B1 (ko) 2011-12-20 2011-12-20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서 탐색 및 대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883A KR101184192B1 (ko) 2011-12-20 2011-12-20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서 탐색 및 대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4192B1 true KR101184192B1 (ko) 2012-09-26

Family

ID=47113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7883A KR101184192B1 (ko) 2011-12-20 2011-12-20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서 탐색 및 대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41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434B1 (ko) * 2013-03-27 2013-09-02 (주)비알네트콤 자가 인출이 가능한 물품 인출 방법 및 물품 인출 시스템
KR101779286B1 (ko) * 2016-02-18 2017-09-15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무인 도서관 운영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5103A (ja) * 2001-11-19 2003-05-27 Nec Infrontia Corp 図書検索方法および装置
JP2005352953A (ja) * 2004-06-14 2005-12-22 Trc Library Service Inc Icタグを用いた図書館システムにおける携帯電話機を活用した利用者貸出システム
JP2006027748A (ja) 2004-07-12 2006-02-02 Toshiba Tec Corp 貸出物管理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5103A (ja) * 2001-11-19 2003-05-27 Nec Infrontia Corp 図書検索方法および装置
JP2005352953A (ja) * 2004-06-14 2005-12-22 Trc Library Service Inc Icタグを用いた図書館システムにおける携帯電話機を活用した利用者貸出システム
JP2006027748A (ja) 2004-07-12 2006-02-02 Toshiba Tec Corp 貸出物管理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434B1 (ko) * 2013-03-27 2013-09-02 (주)비알네트콤 자가 인출이 가능한 물품 인출 방법 및 물품 인출 시스템
KR101779286B1 (ko) * 2016-02-18 2017-09-15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무인 도서관 운영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6293B1 (ko) 이미지 데이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액션을 수행하기 위한 에이전트 결정
CN1638974B (zh) 用于数据交换的器件、系统和方法
US9400877B2 (en) Server device and service provision method
US20130125231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multiplicity of credentials
US8443288B2 (en) Ubiquitous companion agent
TW200905475A (en) Integrated sharing of electronic documents
CN102804220A (zh) 将更新整合到社交联网服务中
CN107004093A (zh) 提供基于位置的安全策略
KR101514029B1 (ko)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출입 인증 방법 및 장치
JP6179686B1 (ja) 認証システム、及び、サーバー
CN111936970B (zh) 交叉应用特征链接和教育消息传送
KR101525106B1 (ko) 근거리 무선태그 실장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A3096104A1 (en) Roaming of note-taking application features
GB2534444A (en) Aggregate service with file sharing
KR101184192B1 (ko)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서 탐색 및 대출 방법
US9477917B1 (en) System and method of context specific identity in a radio frequency identity (RFID) chip
US11074137B2 (en) File exchange by maintaining copy of file system data
KR102081232B1 (ko) 태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생성 지원을 위한 장치
RU83863U1 (ru) Система для получения справочной информаци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радиочастотной идентификации
KR20120078427A (ko) 도서 대출 시스템 및 방법
JP5817320B2 (ja) ユーザ登録システム及びユーザ登録方法
KR20190119233A (ko)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회원관리 서비스 시스템
JP5763028B2 (ja) 情報表示システム、情報表示方法、サーバ、サーバ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809914B1 (ko) Rfid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53752A (ko) 자동 완성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