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2434B1 - 자가 인출이 가능한 물품 인출 방법 및 물품 인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가 인출이 가능한 물품 인출 방법 및 물품 인출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2434B1 KR101302434B1 KR1020130033042A KR20130033042A KR101302434B1 KR 101302434 B1 KR101302434 B1 KR 101302434B1 KR 1020130033042 A KR1020130033042 A KR 1020130033042A KR 20130033042 A KR20130033042 A KR 20130033042A KR 101302434 B1 KR101302434 B1 KR 1013024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dentifier
- article
- data
- book
- good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6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 G06K7/103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being moveable
- G06K7/103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being moveable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of the portable or hand-handheld type, e.g. incorporated in ubiquitous hand-held devices such as PDA or mobile phone, or in the form of a portable dedicated RFID read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물품에 대응하는 제 1 식별자를 휴대형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b) 제 1 식별자로부터, 물품에 대응하고 제 1 식별자와 상이한 제 2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와 (c) 결정된 제 2 식별자에 따라 물품의 통과 허용 여부를 출입 장치가 결정하도록, 제 2 식별자를 출입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이한 식별자를 이용한 물품 인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이용함으로써, 물품의 자가 인출이 가능하고 빠른 속도로 물품의 유출 통제가 가능하고 사용자 인증이 요구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함으로써, 물품의 자가 인출이 가능하고 빠른 속도로 물품의 유출 통제가 가능하고 사용자 인증이 요구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가 인출이 가능한 물품 인출 방법 및 물품 인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물품에 구비되거나 할당되는 복수의 식별자를 활용하여 물품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편리하게 물품의 인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상이한 식별자를 이용한 물품 인출 방법 및 물품 인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서관에는 이용자가 읽거나 대출하기 위한 수많은 도서가 존재한다. 이러한 도서는 도서관 내에서 이용되거나 대출 등을 통해 도서관 외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많은 도서의 이용은 도서관 내에서는 일반적으로 자유롭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도서관 외로는 도서의 분실이나 도난 등의 이유로 제한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도서관의 출입 게이트는 공식적인 대출 절차를 진행하지 않은 도서의 무단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여 이 장치에 의해서 대출이 이루어지지 않은 도서를 감지하고 이 감지에 따라 경고음 등을 울리도록 구성되었다.
초기에는 자기 테이프를 이용하여 이러한 무단 유출을 방지하도록 하였는데, 수많은 도서 각각에는 자기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고 공식적인 대출 절차에서 이 자기 테이프의 극성을 반전시키고, 이후 출입 게이트에서 도서의 극성에 따라 경고음이 울리거나 울리지 않도록 하였다.
이러한 초기의 자기 테이프 이용 방식은 다양한 문제점을 노출하여 점차 이용되지 않았다. 예를 들어 도서가 아니지만 자성을 가진 물체가 출입 게이트를 통과하게 되면 이에 따라 경고음이 울리거나 도서의 정상적인 대출이 이루어진 이후라도 이 도서의 자기 테이프가 훼손되거나 다른 물체에 의해서 자성이 변경되게 되면 오동작을 하는 문제점 등이 있어 이러한 초기의 이용 방식은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이러한 초기의 자기 테이프 이용 방식의 대안으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tag)를 이용하여 도서의 무단 유출을 감지하는 방식이 이후 이용되었다.
이러한 RFID 태그를 이용하는 방식은, 각각의 도서에 RFID 태그를 부착하고, 출입 게이트가 RFID 태그의 메모리에 포함된 UID(Unique Identifier)를 무선 안테나를 이용하여 인식하고, 원격의 도서 대출 DB와의 통신을 통해 이 인식된 UID가 도서 대출 DB(Database)에서 대출 처리가 완료된 도서에 대응하는 UID인지를 인증하여 이 인증 결과 출입 게이트가 경고음을 울린 것인지를 판별하여 경고음을 울리도록 구성되었다.
이러한 RFID 태그를 이용하는 방식은 대출 처리가 완료된 도서인지를 정확하게 확인이 가능하지만, 네트워크를 통해 도서 대출 DB와 연동해야 하고 나아가 UID 검색에 따라 그 처리가 오래 걸려 출입 게이트의 무선 안테나를 지나친 뒤 한참 뒤에 경고음이 출력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이러한 도서 대출 DB와 RFID 태그의 UID 인증을 이용한 방식 또한 현재 도서관에서는 잘 이용되지 않고 있다.
기존의 RFID 태그를 이용하는 방식의 문제점에 따라, 기존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RFID 태그를 이용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새로운 RFID 태그 이용 방식은, RFID 태그에 포함된 메모리에서 특정 영역(예를 들어 RFID 태그의 메모리에 포함된 EAS(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필드와 같은 보안 영역)의 값만을 출입 게이트가 확인하여 이 특정 영역의 값이 대출된 도서를 나타내는 것인지 혹은 아직 대출이 되지 않은 것인지를 식별하여 이에 따라 출입 게이트가 경고음을 울릴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RFID 태그 방식은 초기의 RFID 태그 방식의 속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이 새로운 RFID 태그 이용 방식은 기존의 문제점을 해소할 뿐 아니라 도서관 등에서의 도서 대출 절차를 단순화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즉,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갖춘 스마트폰이 널리 이용됨에 따라, 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도서와 같은 물품을 직접 대출 처리할 수 있는 자가 대출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을 소지한 사용자가 도서 등과 같은 물품의 RFID 태그의 EAS 보안 영역의 값을 직접 변경하여 보안 해제함으로써, 자가 대출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편리한 대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NFC 기능을 갖춘 스마트 폰을 이용하는 물품의 자가 대출에 있어서 야기되는 여러 문제점이 있다.
첫째로, 스마트 폰의 NFC 인터페이스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통해 제어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어떤 관리자나 사서의 제한 없이 도서 등과 같은 물품의 RFID 태그의 EAS 보안 영역의 값을 변경하여 보안 해제할 수 있고, 나아가 도서 대출 DB와의 인증 절차 없이 무단으로 EAS 보안 영역의 값을 변경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폰의 이용자는 특정 응용 프로그램(예를 들어 앱)을 이용하여 해당 물품의 EAS 보안 영역을 보안 해제할 수 있고 아무런 인증 없이 무단으로 물품을 유출가능하게 한다.
둘째로, NFC 인터페이스는 10 Cm 이내에서 통신이 이루어지는 초 근접 인터페이스이고 점 대 점으로 근접해야 동작하므로, RFID 태그의 위치를 이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그 위치 정보를 노출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RFID 태그를 용이하게 물품에서 식별할 수 있고 이후 이 RFID 태그를 훼손하거나 제거하여 물품을 무단으로 유출할 수 있다.
셋째로, 이러한 RFID 태그를 이용하는 대출 방식은 단지 NFC 기능을 갖춘 스마트폰에서만 물품의 대출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NFC 기능을 갖추지 못한 스마트폰이나 휴대폰을 활용해서는 자가 대출이 불가능하고 별도의 관리자를 통해서만 대출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앞서 살펴본 여러 문제점을 해소하면서 물품의 편리한 인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물품 인출 방법 및 물품 인출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물품에 구비된 RFID 태그와 같은 전자 태그의 보안 영역을 활용하지 않으면서도 출입 게이트와 같은 출입 장치가 빠른 속도로 물품의 통과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상이한 식별자를 이용한 물품 인출 방법 및 물품 인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물품에 할당된 고유의 식별자를 활용하여 물품의 대출 또는 판매 허용 여부를 결정하고 또한 이 고유의 식별자와는 다른 전자 태그의 식별자를 활용하여 출입 장치에서의 물품의 통과 허용 여부를 결정하여 전자 태그의 노출과 변경을 방지하도록 하는, 상이한 식별자를 이용한 물품 인출 방법 및 물품 인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RFID 태그와 같은 전자 태그를 활용하여 물품의 자가 인출과 물품의 유출 제한이 가능하면서도 자가 인출시 사용자 인증을 요구할 수 있도록 하는, 상이한 식별자를 이용한 물품 인출 방법 및 물품 인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NFC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외에도 임의의 휴대형 단말기를 활용하여 물품의 자가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상이한 식별자를 이용한 물품 인출 방법 및 물품 인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상이한 식별자를 이용한 물품 인출 방법은, (a) 물품에 대응하는 제 1 식별자를 휴대형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b) 제 1 식별자로부터, 물품에 대응하고 제 1 식별자와 상이한 제 2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와 (c) 결정된 제 2 식별자에 따라 물품의 통과 허용 여부를 출입 장치가 결정하도록, 제 2 식별자를 출입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상이한 식별자를 이용한 물품 인출 시스템은, 휴대형 단말기와 출입 장치 사이에 연결되는 제어 서버를 포함하고, 이 제어 서버는, 물품에 대응하는 제 1 식별자를 휴대형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와 제 1 식별자로부터, 물품에 대응하고 제 1 식별자와 상이한 제 2 식별자를 결정하는 데이터 결정부와 결정된 제 2 식별자에 따라 물품의 통과 허용 여부를 출입 장치가 결정하도록, 제 2 식별자를 출입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상이한 식별자를 이용한 물품 인출 방법 및 물품 인출 시스템은, 물품에 구비된 RFID 태그와 같은 전자 태그의 보안 영역을 활용하지 않으면서도 출입 게이트와 같은 출입 장치가 빠른 속도로 물품의 통과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상이한 식별자를 이용한 물품 인출 방법 및 물품 인출 시스템은, 각 물품에 할당된 고유의 식별자를 활용하여 물품의 대출이나 판매 여부를 결정하고 또한 이 고유의 식별자와는 다른 전자 태그의 식별자를 활용하여 출입 장치에서의 물품의 통과 허용 여부를 결정하여 전자 태그의 노출과 변경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상이한 식별자를 이용한 물품 인출 방법 및 물품 인출 시스템은, RFID 태그와 같은 전자 태그를 활용하여 물품의 자가 인출과 물품의 유출 제한이 가능하면서도 자가 인출시 사용자 인증을 요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상이한 식별자를 이용한 물품 인출 방법 및 물품 인출 시스템은, NFC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외에도 임의의 휴대형 단말기를 활용하여 물품의 자가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상이한 식별자를 이용한 물품 인출 시스템의 시스템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제어 서버의 예시적인 하드웨어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어 서버의 예시적인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출입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물품 인출 시스템에서의 각 장치 사이에서의 데이터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제어 서버의 예시적인 하드웨어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어 서버의 예시적인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출입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물품 인출 시스템에서의 각 장치 사이에서의 데이터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상이한 식별자를 이용한 물품 인출 시스템의 시스템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이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휴대형 단말기(100)와 하나 이상의 물품(200)과 제어 서버(300)와 제 1 네트워크(400)와 데이터 서버(500)와 출입 장치(600)와 제 2 네트워크(700)를 포함한다. 도 1에 따른 시스템의 특정 블록은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 1 네트워크(400)와 제 2 네트워크(700)는 하나의 네트워크로 구성될 수도 있고 데이터 서버(500)는 제어 서버(300)상에 또는 내에 구축될 수도 있다.
이러한 물품 인출 시스템은, 예를 들어 유인 또는 무인 도서관, 임의의 물품(200)을 판매하거나 대출할 수 있는 판매점 등에 구축될 수 있다.
본 시스템의 각 구성 블록들을 살펴보면, 휴대형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인출 시스템을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가 소지한 이동 가능한 단말기이다.
이러한 휴대형 단말기(100)는, 일반 휴대폰이거나 범용 프로세서를 구비하여 응용 프로그램(예를 들어 앱)을 구동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거나 태블릿 PC이거나 노트북이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등 이거나 본 물품 인출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전용의 단말기일 수 있다.
이러한 휴대형 단말기(100)는, LCD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출력 인터페이스와 버튼이나 터치 패널과 같은 입력 인터페이스 및/또는 CCD나 CMOS 센서 등으로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고 나아가 GSM, CDMA 또는 LTE 등과 같은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 및/또는 와이파이(WiFi)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이러한 여러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프로그램 등을 구동하기 위한 범용 프로세서(processor)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형 단말기(100)의 여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이 휴대형 단말기(100)는 물품(200)의 대출 또는 판매에 따른 인출을 요청하거나 사용자를 인증하거나 이러한 인증이나 요청에 대한 결과를 수신하여 그 결과를 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상이한 식별자를 이용한 물품 인출 시스템을 위한 이 휴대형 단말기(100)에서 이루어지는 데이터 입출력은 도 5를 통해서 보다 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물품(200)은, 도서관이나 판매점 등에 대출, 판매 등을 위해서 비치된 물건이다. 이러한 물품(200)은 다수 개가 있을 수 있어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물품(200)은 예를 들어 책과 같은 도서이거나, DVD나 CD이거나 혹은 판매점 등에서 판매나 대여(대출)가 가능한 임의의 물건일 수 있다.
편리한 판매, 대출이나 대여를 위해 물품(200) 각각에는, 적어도 두 개의 형식이 상이한 식별자가 할당되고 이에 따라 각각의 물품(200)은 이 두 개 이상의 식별자에 의해서 식별되거나 대응될 수 있다.
하나의 식별자는, 도서와 같은 물품(200)의 표면 등에 인쇄되거나 부착되어 이용자나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자로서, 예를 들어 도서를 수용하는 도서관에서 관리되는 도서의 등록 번호 등 일수 있다.
이러한 도서의 등록 번호는 도서관에서 해당 도서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서 부여되는 번호로서, 이 등록 번호는 도서관에 추가되는 도서에 대해서 연속적으로 부여되는 번호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등록 번호는 예를 들어 영문자와 아라비아 숫자의 조합으로 표현되어 도서의 표면에 표시되거나 혹은(나아가) 이 등록 번호를 표현한 1차원의 바코드(barcode)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리를 위한 식별자는 이후 휴대형 단말기(100)의 카메라 모듈 등에 의해서 인식되거나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용자에 의해서 입력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식별자는, 도서와 같은 물품(200) 내에 구비되는 RFID 태그와 같은 전자 태그의 식별자일 수 있다. 이러한 RFID 태그는 메모리를 구비하여 이 메모리에는 UID와 EAS 등과 그외 사용자 데이터(user data) 영역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RFID 태그는 이 UID에 의해서 고유하게 식별될 수 있고 예를 들어 8 바이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이 UID가 또 다른 하나의 식별자로서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 RFID 태그는, 지정된 무선 주파수(예를 들어 13.56 MHz 등)에 의해서 구동되어 메모리 내의 데이터를 외부의 장치(여기서는 출입 장치(6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두개 이상의 식별자를 활용하여, 하나의 식별자는 도서와 같은 물품(200)의 대출 또는 판매를 인증하거나 식별하기 위한 관리 용도로 이용되도록 하고, 나머지 하나의 식별자는 출입 장치(600)에서 해당 물품(200)이 정상적으로 대출 이나 판매 등에 따른 인출 처리가 완료되었는지를 알기 위한 용도로 이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전자 태그의 임의의 특정 영역(예를 들어 EAS)에 대한 변경 없이 대출이나 판매가 가능하도록 하고 나아가 전자 태그를 이용자에게 노출되도록 구성할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고 이 RFID 태그와 같은 전자 태그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훼손이나 변경할 수 없도록 도서의 내부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태그의 존재를 인식하지 못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서버(300)는, 하나 이상의 휴대형 단말기(100)에 무선으로(또는 무선과 유선으로) 연결되고 또한 하나 이상의 출입 장치(6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휴대형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따라 처리를 수행하고 수행된 결과에 따라 출입 장치(600)에 이용될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출입 장치(600)가 임의의 물품(200)의 인출에 따른 출입 또는 통과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이다.
이러한 제어 서버(300)는 또한 데이터 서버(500)에 유선이나 무선으로 연결되어 휴대형 단말기(100)로부터의 수신된 데이터에 따라 대응하는 데이터를 식별하거나 혹은 물품(200)의 대출이나 판매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제어 서버(300)는, 예를 들어 웹 서버의 형태를 취하거나 혹은 휴대형 단말기(100)의 응용 프로그램과 지정된 데이터나 명령어 포맷에 따라 동작하는 서버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 제어 서버(300)에 대해서는 도 2와 도 3 및 도 5를 통해서 보다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제 1 네트워크(400)는, 하나 이상의 휴대형 단말기(100)와 제어 서버(300)를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이다. 이러한 제 1 네트워크(400)는 예를 와이파이(WiFi)나 블루투스(Bluetooth)나 지그비(Zigbee)와 같은 무선의 근거리 네트워크를 포함하거나 나아가 이더넷 등과 같은 유선의 근거리 네트워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혹은 이 제 1 네트워크(400)는, CDMA, GSM 또는 LTE 등과 같은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네트워크(400)는 휴대형 단말기(100)로 하여금 제어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100)는, 물품(200)에서 인식되거나 이용자에 의해서 입력된 물품(200)의 하나의 식별자(예를 들어 도서의 등록 번호) 및/또는 사용자 식별자(ID)나 패스워드(password) 등을 제어 서버(300)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데이터 서버(500)는, 유선 또는 무선의 근거리 네트워크 등을 통해 제어 서버(300)에 연결되고 데이터 베이스(510)를 구비하여 이 데이터 베이스(510)를 활용하여 제어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요청을 처리하고 그 응답의 데이터를 제어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서버이다.
이러한 데이터 서버(500)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와 하드디스크와 같은 대용량 저장 매체를 구비하여 이 대용량 저장 매체에 도서관이나 판매점 등에서 대출이나 판매에 따른 인출에 이용될 물품(200)을 관리하기 위한 물품 테이블, 이 도서관이나 판매점 등을 이용할 수 있는 이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이용자 테이블, 및/또는 특정 물품(200)의 대출(대여) 및 판매 등을 관리하기 위한 대출 테이블을 포함하고 나아가 이 테이블들을 액세스하고 제어하고 수정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용 프로그램을 구비하여 하나의 데이터 베이스(510)가 구축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서버(500)는, 특정 실시예나 응용에 따라서는 생략될 수 있고 이때에는 제어 서버(300)가 하드 디스크 등과 같은 대용량 저장 매체를 더 구비하여 데이터 베이스(510)를 구축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도서관에서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도서 테이블(물품 테이블에 대응), 이용자 테이블 그리고 대출 테이블의 구조(schema)를 간단히 살펴보도록 한다. 물론 이 외의 다른 물품(200)에 대해서도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테이블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도서 테이블은, 도서의 등록 번호와 이 도서에 포함되어 있는 RFID와 같은 전자 태그의 식별자(예를 들어 UID)를 필드(field)로서 포함하고 나아가 도서의 제목이나 저자명, 발행 년월일 등과 같은 도서에 대한 서지 정보 각각을 또한 필드로서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서관에 등록되어 있는 각각의 도서는 도서 테이블의 엔트리(또는 레코드)로서 도서 테이블에 관리자 등에 의해서 기록되고, 이 엔트리는 대응하는 도서의 등록 번호와 전자 태그의 식별자와 나아가 도서에 대한 서지 정보 등을 적어도 알 수 있도록 한다.
이용자 테이블은, 도서관에 등록되어서 이 도서관을 이용하거나 도서의 대출이 가능한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테이블로서, 사용자의 식별자(사용자 ID)와 패스워드 등과 같은 필드를 포함하고 나아가 이름 등과 같은 신상 정보와 사용자의 현재 대출 도서나 현재 대출 가능 여부 등과 같은 대출 상태 정보를 필드로서 포함한다.
이에 따라 도서관에 등록되어 있는 각각의 이용자는 이용자 테이블의 엔트리로서 관리될 수 있고, 각각의 엔트리를 이용하여 특정 이용자가 등록되어 있는 이용자인지 혹은 등록이 되어있다고 하더라도 대출 등이 가능한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대출 테이블은, 대출된 도서를 식별하고 나아가 대출한 도서의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테이블로서, 도서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식별자인 대출 번호와 이용자 테이블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자와 도서 테이블에 포함된 식별자인 등록 번호 및/또는 전자 태그의 식별자를 필드로서 포함하고 나아가 대출 날짜나 대출 시간, 반환 날짜 등을 필드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대출 테이블의 각 엔트리는, 누가 어떤 책을 대출했는 지를 알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대출 테이블의 각 엔트리는 도서관의 관리자에 의해서 생성되거나 혹은 휴대형 단말기(100)에 의한 대출 요청으로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테이블들을 이용하여, 이용자와 도서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도서에 대한 이중의 식별자를 활용하여 사용자 인증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고 전자 태그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편리하게 자가 대출 등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테이블들의 엔트리들은,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에 의해서 생성되거나 수정되거나 삭제되거나 추출될 수 있고, 제어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요청의 타입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이 해당 요청에 따라 이러한 테이블 엔트리에 대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출입 장치(600)는, 도서관 또는 판매점 등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출입 장치(600)는 예를 들어 지정된 무선 주파수의 무선 안테나(601)를 구비하고 무선 안테나(601)에 지정된 무선 주파수(예를 들어 13.56 MHz)를 주기적으로 발신함으로써 이 출입 장치(600)를 통해 출입하는 물품(200)에 구비된 RFID 태그와 같은 전자 태그의 식별자를 인식하고 이에 따라 인식된 물품(200)의 통과 허용 여부를 결정하여 이에 따라 경고음 등을 출력하거나 이를 제어 서버(30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출입 장치(600)는 하나 이상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출입 장치(600)의 게이트는 그 출입구의 구조에 따라서 출입문 등에 포함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출입 장치(600)에 대해서는 도 4와 도 5를 통해서 보다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제 2 네트워크(700)는, 제어 서버(300)와 하나 이상의 출입 장치(600)와 나아가 데이터 서버(500)를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이다. 이러한 제 2 네트워크(700)는 예를 들어 이더넷 등과 같은 유선의 근거리 네트워크이거나 혹은 와이파이(WiFi)나 블루투스(Bluetooth)나 지그비(Zigbee)와 같은 무선의 근거리 네트워크일 수 있다.
혹은 이 제 2 네트워크(700)는, 복수의 유선 또는 무선의 근거리 네트워크로 연결된 광대역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도 2는, 제어 서버(300)의 예시적인 하드웨어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제어 서버(300)는, 제 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1)와 제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3)와 휘발성 메모리(305)와 비휘발성 메모리(307)와 프로세서(309)와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311)를 포함한다.
이 중 일부의 블록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혹은 도시되지 않은 다른 블록들이 더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1)와 제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3)는 제 1 네트워크(400)와 제 2 네트워크(700)의 구성 형태에 따라서 생략되거나 하나로 통합될 수도 있다.
도 2의 각 블록들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면, 제 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1)는, 제 1 네트워크(400)의 지정된 통신 타입에 따르는 휴대형 단말기(100)의 무선의 또는 무선을 경유한 유선의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이다. 이러한 제 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1)는 예를 들어 지정된 무선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는 안테나 및/또는 이 안테나나 유선으로 수신된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변,복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3)는, 제 2 네트워크(700)의 지정된 통신 타입에 따르는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이다. 이러한 제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3)는, 예를 들어 지정된 무선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는 안테나 및/또는 이 안테나나 유선으로 수신된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변,복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305)는, 이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가 전원의 공급이 중단됨에 따라 소멸되는 메모리이다.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305)는 DRAM 타입의 메모리일 수 있다.
이러한 휘발성 메모리(305)는, 프로세서(309)의 제어하에 제 1 네트워크(400) 및/또는 제 2 네트워크(700)를 통해 송수신되는 각종 데이터와 프로세서(309)에 의해서 구동되는 프로그램 등을 임시로 저장한다.
비휘발성 메모리(307)는, 이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가 전원 공급의 중단에도 불구하고 유지되는 메모리이다. 이러한 비휘발성 메모리(307)는, NOR 타입 또는 NAND 타입의 메모리일 수 있다.
이러한 비휘발성 메모리(307)는, 제어 서버(300)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서 부팅에 필요한 초기화 프로그램과 각 하드웨어 블록들을 초기 제어하기 위한 설정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나아가 하나 이상의 휴대형 단말기(100)와 하나 이상의 출입 장치(600)와 데이터 서버(500)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인증(또는 대출 인증)이나 식별자 간의 맵핑 처리나 출입 장치(600)로의 물품(200)에 구비된 전자 태그의 식별자의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물론 이 제어 서버(300)는, 하드 디스크와 같은 대용량 저장 매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때에는 이 대용량 저장 매체 상에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거나 나아가 데이터 서버(500)상에 구축된 각종 테이블들과 이 테이블들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을 더 저장하여 이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 서버(300)에서 각종 테이블의 엔트리의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309)는, 제어 서버(300)의 각 하드웨어 블록을 제어한다. 이 프로세서(309)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를 구비하고, 각 프로세서 코어는 명령어를 로딩하기 위한 페치 유닛(fetch unit),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한 ALU 유닛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세서(309)는, 대용량 저장 매체 혹은 비휘발성 메모리(307)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휘발성 메모리(305)에 임시로 저장하고, 이 각종 프로그램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수행함으로써 각 하드웨어 블록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 프로세서(309)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기능 또는 데이터 흐름은 도 3과 도 5를 통해서 더욱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311)는, 제어 서버(300)의 각 블록들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버스이다. 이러한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311)는 프로세서(309)의 제어에 따라 하나 이상의 블록으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버스이며, 예를 들어 메모리 버스(DRAM 버스), 외부 I/O나 비휘발성 메모리(307)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버스를 포함하고 또한 I2C, SPI, UART 등과 같은 시리얼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제어 서버(300)의 예시적인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이 제어 서버(300)는, 데이터 수신부(350)와 데이터 결정부(360)와 데이터 전송부(370)를 포함하고 데이터 결정부(360)는 사용자 인증부(361)와 식별자 맵핑부(363)를 포함한다.
이러한 도 3에 따른 기능 블록도는 도 2에 따르는 예시적인 하드웨어 블록도 상에서 구현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309)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하드웨어 블록을 제어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 제어 서버(300)의 각 기능 블록들을 살펴보면, 데이터 수신부(350)는, 제 1 네트워크(400)를 통해 연결된 하나 이상의 휴대형 단말기(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와 같이 수신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어 물품(200)의 표면 등에 부착되거나 인쇄되어 있는 등록 번호와 같은 식별자를 포함한다.
또는 데이터 수신부(350)는 휴대형 단말기(100)의 이용자를 데이터 베이스(510)에서 등록된 이용자인지를 인증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자와 패스워드 등을 더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신된 등록 번호와 같은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는 동일한 시점에 수신될 수도 있고 혹은 다른 시점에 수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형 단말기(100)의 이용자는 로그인 과정 등을 통해 먼저 사용자 식별자와 패스워드를 전달하여 제 1 네트워크(400)와의 통신 연결을 설정한 후에 물품(200)에 대한 등록 번호와 같은 식별자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수신부(350)는 제 2 네트워크(700)를 통해 연결된 하나 이상의 출입 장치(600)와 데이터 서버(5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결정부(360)는, 데이터 수신부(350)를 통해 수신된 식별자에 기초하여 수신된 식별자의 물품(200)에 대응하는 상이한 식별자를 결정하고 나아가 이용자가 물품(200)의 대출과 같은 인출 허용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허가된 이용자인지를 결정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 결정부(360)는, 사용자 인증부(361)와 식별자 맵핑부(363)를 포함하고 사용자 인증부(361)는, 수신된 사용자 식별자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도서관 또는 판매점 등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인출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 이용자인지를 인증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인증부(361)는, 데이터 서버(500)에 사용자 식별자와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요청을 제 2 네트워크(700)를 통해 송신하고 이후 이용자 테이블에 대한 검색에 따른 사용자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을 데이터 수신부(350)를 통해 수신하여 사용자 인증을 하고 이후 그 인증 결과를 데이터 전송부(370)를 사용하여 제 1 네트워크(400)를 통해 휴대형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데이터 서버(500)가 생략되는 경우에는 제어 서버(300)의 데이터 베이스(510)를 이용하여 이러한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인증을 통해 사용자 인증부(361)는, 물품(200)의 대출이나 판매에 따른 인출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도서의 대출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정 또는 대출 허용 여부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인지의 확인에 의해서 나아가 등록된 사용자이더라도 해당 사용자의 대출 상태 정보의 확인을 통해서 이러한 결정이나 대출 허용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식별자 맵핑부(363)는, 데이터 수신부(350)를 통해 수신된 물품(200)에 대한 하나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물품(200)에 대한 또 다른 식별자를 결정한다. 이러한 하나의 식별자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인지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도서와 같은 물품(200)의 등록 번호이고 또 다른 식별자는 이 물품(200)에 포함된 RFID와 같은 전자 태그의 UID와 같은 식별자이다.
이러한 식별자의 결정을 위해 식별자 맵핑부(363)는, 수신된 하나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처리 요청을 데이터 서버(500)에 송신하고 이후 물품 테이블(또는 도서 테이블)을 이용하여 동일한 물품(200)에 대응하고 수신된 식별자와는 상이한 식별자를 추출하여 이 추출된 식별자를 데이터 서버(500)가 제어 서버(300)로 전송한다.
물론 데이터 서버(500)가 생략되는 경우에는 제어 서버(300)의 데이터 베이스(510)를 이용하여 이러한 식별자의 결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결정부(360)는, 예를 들어 도서의 등록 번호로부터 이 도서에 포함된 RFID 태그의 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결정부(360)는 이러한 식별자의 결정에 따라 물품(200)의 판매나 대출 등의 인출 허용 여부를 결정하고 그 결정을 데이터 전송부(370)를 통해 휴대형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허용이 결정된 식별자는 데이터 전송부(370)를 통해 출입 장치(600)로 미리 전송된다.
데이터 전송부(370)는, 제 1 네트워크(400)를 통해 연결된 하나 이상의 휴대형 단말기(100)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고) 제 2 네트워크(700)를 통해 연결된 하나 이상의 출입 장치(600)와 데이터 서버(500)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러한 데이터 전송부(370)는, 예를 들어 데이터 결정부(360)에서 결정된 RFID 태그의 UID와 같은 식별자를 출입 장치(600)로 제 2 네트워크(700)를 통해 미리 전송한다. 이러한 식별자는 출입 장치(600)로 하여금 특정 물품(200)의 통과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출입 장치(600)가 제어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식별자와 동일한 식별자를 인식하는 경우에는 통과를 허용하고, 수신된 식별자들과는 상이한 식별자를 물품(200)을 통해 인식하는 경우에는 통과를 불허하도록 출입 장치(600)가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3에 따른 기능 블록도에 의해서, 출입 장치(600)는 원격의 서버를 동적으로 이용하지 않고 미리 다운로드(저장)되어 있는 허용된 물품(200)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인식된 식별자와 비교할 수 있어 직접적인 비교에 따른 속도 향상을 제공할 수 있어 적시에 경고음 등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출입 장치(600)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따르면 이 출입 장치(600)는, 무선 안테나(601)와 태그 인터페이스(603)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05)와 메모리(607)와 프로세서(609)와 출력 인터페이스(611)와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613)를 포함한다.
이 중 일부의 블록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혹은 도시되지 않은 다른 블록들이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출입 장치(60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출입 장치(600)는 이용자가 통과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나아가 이 게이트에 연결되어 출입 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개인용 컴퓨터나 전용의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출입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만일 개인용 컴퓨터 등이 생략되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는 출입 장치(600)에 포함된 블록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만일 출입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경우 하나 혹은 복수의 게이트는 무선 안테나(601) 혹은 나아가 태그 인터페이스(603)를 구비하고 나머지 블록들은 출입 제어 장치상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의 각 블록들을 살펴보면, 무선 안테나(601)는, 물품(200)의 전자 태그에 대응하는 지정된 주파수를 발생하도록 하는 안테나이다. 이러한 무선 안테나(601)는 지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무선 주파수를 발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13.56 MHz 또는 전자 태그와 서로 약속된 임의의 지정된 주파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
태그 인터페이스(603)는, 무선 안테나(601)의 주파수 발진에 따라 반응한 물품(200)의 전자 태그의 무선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디지털의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이러한 태그 인터페이스(603)는 예를 들어 지정된 주파수에 동조화되는 변복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05)는, 제 2 네트워크(700)의 지정된 통신 타입에 따르는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이다. 이러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05)는, 예를 들어 지정된 무선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는 안테나 및/또는 이 안테나나 유선으로 수신된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변,복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07)는,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여 프로세서(609)에서 이용될 출입 제어 프로그램이나 제어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RFID 태그의 UID와 같은 식별자들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저장되는 UID와 같은 식별자들은 이미 대출 또는 판매에 따라 출입 장치(600)를 통해 인출이 허용된 물품(200)에 대응하는 식별자로서 이러한 식별자는 휴대형 단말기(100)에 의한 인출 요청에 따른 처리 결과에 따라 이 휴대형 단말기(100)가 출입 장치(600)에 도달하기 전 미리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609)는, 출입 장치(600)의 각 블록들을 제어한다. 이 프로세서(609)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를 구비하고, 각 프로세서 코어는 명령어를 로딩하기 위한 페치 유닛(fetch unit),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한 ALU 유닛 등을 포함한다.
혹은 이 프로세서(609)는, 프로그램 등에 의해서 구동되는 페치 유닛 또는 ALU 유닛 대신에 출입 제어 프로그램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임의의 실행 유닛일 수 있고 예를 들어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로직(logic)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609)는, 메모리(607)에 저장된 출입 제어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수행함으로써 혹은 해당 로직이나 FPGA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각 블록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 프로세서(609)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기능 또는 데이터 흐름은 도 5를 통해서 더욱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출력 인터페이스(611)는, 스피커나 부저나 하나 이상의 LED 등을 구비하여 이 부저 등을 통해 경고음과 같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출력 인터페이스(611)는 프로세서(609)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사용자나 관리자에게 부당한 물품(200)의 유출을 알릴 수 있도록 한다.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613)는, 출입 장치(600)의 각 블록들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버스이다. 이러한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613)는 프로세서(609)의 제어에 따라 하나 이상의 블록으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버스이며, 예를 들어 메모리 버스(DRAM 버스), 외부 I/O나 비휘발성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버스를 포함하고 또한 I2C, SPI, UART 등과 같은 시리얼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607)에 저장되는 물품(200)의 전자 태그의 식별자들은 제어 서버(300)의 제어에 따라 삭제되거나 대응하는 물품(200)의 출입을 감지하여 해당 물품(200)이 게이트 등을 통해 이동한 경우 자동으로 삭제하거나 혹은 제어 서버(300)에 해당 물품(200)의 식별자를 전송하고 이후 제어 서버(300)로부터 삭제 요청을 수신함으로써 특정 전자 태그의 식별자를 삭제할 수도 있다.
도 5는, 물품 인출 시스템에서 각 장치 사이에서의 데이터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미 도 2 내지 도 4에서 제어 서버(300)나 출입 장치(600)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므로 중복되지 않는 범위에서 살펴보도록 한다.
식별자 간의 명확한 구분을 위해서, 물품(200)에 부착되거나 표시된 도서관이나 판매점 등에서 관리되는 등록 번호 등을 제 1 식별자로 명칭하고 물품(200)에 포함된 전자 태그의 식별자를 제 2 식별자로 명칭하도록 한다.
먼저 휴대형 단말기(100)는 제 1 식별자의 데이터를 카메라 모듈을 통해 이미지로 또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문자열의 형태로 수신(도 5의 ① 참조)하고, 범용 프로세서에 의해 이 수신된 데이터에서 제 1 식별자를 추출(도 5의 ② 참조)한다.
이후 휴대형 단말기(100)의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나 무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제 1 네트워크(400)를 통해 제어 서버(300)로 추출된 제 1 식별자를 전송(도 5의 ③ 참조)한다.
이 과정에서 휴대형 단말기(100)는 추출된 제 1 식별자와 함께 혹은 제 1 식별자의 데이터 수신(도 5의 ① 참조) 이전에, 제어 서버(300)와의 연결 설정을 위한 사용자 식별자와 나아가 패스워드를 제어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신된 제 1 식별자의 데이터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입력되는 등록 번호 등의 문자나 숫자를 포함하는 문자열의 데이터이거나 혹은 카메라 모듈을 통해 수신된 제 1 식별자나 이 제 1 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는 바코드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바코드 등을 인식함으로써 대응하는 제 1 식별자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입력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문자를 결정함으로써 대응하는 제 1 식별자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제어 서버(300)는 휴대형 단말기(100)로부터 제 1 식별자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 1 식별자의 물품(200)에 대응하고 제 1 식별자와는 상이한 제 2 식별자를 결정(도 5의 ④ 참조)한다.
이러한 제 2 식별자의 결정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데이터 서버(500)(예를 들어 데이터 서버(500)의 데이터베이스)로 제 1 식별자(예를 들어 도서의 등록 번호)를 포함하는 요청을 전송하고 이 제 1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 2 식별자(예를 들어 도서의 RFID 태그의 UID)를 데이터 서버(500)(예를 들어 데이터 서버(500)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하여 혹은 제어 서버(300) 내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혹은 이 과정 이전에 먼저, 제어 서버(300)는 사용자 식별자와 패스워드를 휴대형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여 이 휴대형 단말기(100)의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이러한 인증은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인지를 인증하거나 나아가 이 사용자가 대출 혹은 판매를 허용할 수 있는 가를 인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에 대한 판매나 대출의 인출 허용 여부 결정에 따라 이후 과정이(예를 들어 도 5의 ④ 이하 또는 도 5의 ⑤ 이하의 과정) 처리될 수 있다.
이후 제어 서버(300)는 대출 또는 판매가 허용된 물품(200)에 대한 제 2 식별자를 하나 이상의 출입 장치(600)(예를 들어 모든 출입 장치(600))로 제 2 네트워크(700)를 통해 미리 전송(도 5의 ⑤ 참조)한다.
이러한 제 2 식별자는 대출 혹은 판매가 허용되어 출입구를 통해 외부로 진출할 수 있는 물품(200)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출입 장치(600)로 하여금 해당 제 2 식별자를 구비한 물품(200)의 통과 허용을 결정하도록 할 수 있고, 출입 장치(600)로 전송되지 않은 물품(200)의 제 2 식별자는 통과가 허용되지 않도록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출입 장치(600)는 제 2 식별자를 제 2 네트워크(700)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제 2 식별자를 메모리(607)에 저장해 둔다(도 5의 ⑥ 참조). 이에 따라 출입 장치(600)의 메모리(607)에는 휴대형 단말기(100)의 출입 장치(600)로의 이동 이전에 미리 제 2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고 이후 물품(200)의 이동에 따라 물품(200)의 제 2 식별자를 인식하여 간단한 비교로 통과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물품(200)의 출입 장치(600)(예를 들어 게이트 바(610))를 통한 이동에 따라 출입 장치(600)는 무선 안테나(601)를 이용하여 물품(200)의 제 2 식별자를 태그 인터페이스(603)를 통해 인식(도 5의 ⑦ 참조)한다.
여기서 이러한 도 5의 과정 ① 내지 ⑥과 도 5의 과정 ⑦은 무작위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특정 물품(200)이 출입 장치(600)를 통해 통과하기 이전에 대출 등이 허용된 다수의 제 2 식별자가 메모리(607)에 저장될 수 있다.
이후 출입 장치(600)는 인식된 물품(200)의 제 2 식별자를, 메모리(607)에 통과를 허용하기 위해 저장된 하나 이상의 제 2 식별자와 비교(도 5의 ⑧ 참조)하고 저장된 제 2 식별자 중에서 물품(200)의 제 2 식별자와 일치하는 제 2 식별자가 있는 경우에는 출입 장치(600)를 통한 통과를 허용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출입 장치(600)는 통과를 허용하지 않도록 결정(도 5의 ⑨ 참조)한다.
이후 이 결정에 따라 출입 장치(600)의 출력 인터페이스(611)를 제어(도 5의 ⑩ 참조))하여 알람이나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혹은 출력하지 않도록 프로세서(609)가 제어한다.
그리고 통과를 허용하도록 결정한 후에는 이 제 2 식별자를 메모리(607)에서 삭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출입 장치(600)는 물품(200)의 이동 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예를 들어 자외선 센서 등)을 더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센서는 예를 들어 출입구의 진출 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서관이나 판매점 내에서 외부로 향하는 진출 방향으로 물품(200)이 진행하는 것 또는 물품(200)을 소지한 사용자가 진행하는 것을 감지한 경우, 통과를 허용하도록 결정한 후에는 이 제 2 식별자를 메모리(607)에서 삭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도 5의 각 장치 사이에서의 데이터 흐름에 따라서, 출입 장치(600)는 물품(200)의 확인을 위한 속도 저하 없이 대출 등과 같은 인출이 허용된 물품(200)을 고속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인증이 가능하도록 하고 나아가 전자 태그의 노출과 전자 태그의 임의적인 조작에 대응하면서 자가 대출, 대여나 판매 등과 같은 인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휴대형 단말기 200 : 물품
300 : 제어 서버 301 : 제 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303 : 제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305 : 휘발성 메모리
307 : 비휘발성 메모리 309 : 프로세서
311 :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 350 : 데이터 수신부
360 : 데이터 결정부 361 : 사용자 인증부
363 : 식별자 맵핑부 370 : 데이터 전송부
400 : 제 1 네트워크 500 : 데이터 서버
510 : 데이터 베이스 600 : 출입 장치
610 : 게이트 바 601 : 무선 안테나
603 : 태그 인터페이스 605 : 제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607 : 메모리 609 : 프로세서
611 : 출력 인터페이스 613 :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
700 : 제 2 네트워크
300 : 제어 서버 301 : 제 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303 : 제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305 : 휘발성 메모리
307 : 비휘발성 메모리 309 : 프로세서
311 :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 350 : 데이터 수신부
360 : 데이터 결정부 361 : 사용자 인증부
363 : 식별자 맵핑부 370 : 데이터 전송부
400 : 제 1 네트워크 500 : 데이터 서버
510 : 데이터 베이스 600 : 출입 장치
610 : 게이트 바 601 : 무선 안테나
603 : 태그 인터페이스 605 : 제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607 : 메모리 609 : 프로세서
611 : 출력 인터페이스 613 :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
700 : 제 2 네트워크
Claims (16)
- 상이한 식별자를 이용한 물품 인출 방법으로서,
(a) 서버가, 물품에 대응하고 이용자의 휴대형 단말기가 획득한 제 1 식별자를 상기 휴대형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서버가, 상기 제 1 식별자로부터 상기 제 1 식별자를 가진 물품에 대응하고 상기 제 1 식별자와는 상이한 제 2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서버가, 상기 결정된 제 2 식별자를 출입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출입장치가, 통과하는 물품의 통과 허용 여부의 결정에 상기 전송받은 제 2 식별자를 이용하기 위해, 적어도 상기 전송받은 제 2 식별자를 저장해 두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식별자를 저장해 두는 것은, 상기 휴대형 단말기가 상기 출입장치로 이동하기 이전에 미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인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인출 가능한 도서이고,
상기 제 1 식별자는, 상기 도서를 수용하고 있는 도서관에서 관리되는 도서의 등록 번호이고,
상기 제 2 식별자는, 상기 도서에 포함된 RFID 태그에 대한 식별자인,
물품 인출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도서의 등록 번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도서에 포함된 RFID 태그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품 인출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상기 제 1 식별자의 수신 이전에 사용자 식별자를 더 수신하며,
상기 물품 인출 방법은, 상기 수신된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하여 도서의 대출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물품 인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 이후에,
상기 출입 장치가, 상기 출입 장치의 무선 안테나를 이용하여 통과하는 물품의 제 2 식별자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제 2 식별자를 상기 인식된 제 2 식별자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상기 통과하는 물품의 통과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품 인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 이전에,
상기 휴대형 단말기가, 상기 제 1 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서 상기 제 1 식별자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물품 인출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식별자는 RFID의 UID(Unique Identifier)인,
물품 인출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식별자를 나타내는 문자열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 1 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는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품 인출 방법. - 상이한 식별자를 이용한 물품 인출 시스템으로서,
휴대형 단말기 및 출입 장치에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제어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서버는,
물품에 대응하는 제 1 식별자를 상기 휴대형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제 1 식별자로부터, 상기 제 1 식별자를 가진 물품에 대응하고 상기 제 1 식별자와 상이한 제 2 식별자를 적어도 결정하는 데이터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제 2 식별자에 따라 물품의 통과 허용 여부를 상기 출입 장치가 결정하도록, 상기 결정된 제 2 식별자를 상기 출입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입 장치는 물품의 통과 허용 여부의 결정에 상기 전송받은 제 2 식별자를 이용하기 위해, 적어도 상기 전송받은 제 2 식별자를 저장해 두며, 상기 제 2 식별자를 저장해 두는 것은, 상기 휴대형 단말기가 상기 출입장치로 이동하기 이전에 미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인출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인출 가능한 도서이고,
상기 제 1 식별자는, 상기 도서를 수용하고 있는 도서관에서 관리되는 도서의 등록 번호이고,
상기 제 2 식별자는, 상기 도서에 포함된 RFID 태그에 대한 식별자인,
물품 인출 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결정부는, 상기 도서의 등록 번호로부터 상기 도서에 포함된 RFID 태그의 식별자를 결정하는,
물품 인출 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부는, 사용자 식별자를 더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결정부는, 상기 데이터 수신부에서 상기 수신된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하여 도서의 대출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물품 인출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장치는, 상기 전송받은 제 2 식별자를 상기 출입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해 두고, 상기 출입 장치에 구비된 무선 안테나를 이용하여 통과하는 물품의 제 2 식별자를 인식하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 2 식별자를 상기 인식된 제 2 식별자와 비교하여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인식된 물품의 통과 허용 여부를 결정하며,
물품 인출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단말기는, 상기 제 1 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에서 상기 제 1 식별자를 추출하고 추출된 제 1 식별자를 상기 제어 서버로 전송하는,
물품 인출 시스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식별자는, RFID의 UID(Unique Identifier)인,
물품 인출 시스템.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는, 상기 제 1 식별자를 나타내는 문자열의 데이터이거나 상기 제 1 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는 이미지인,
물품 인출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3042A KR101302434B1 (ko) | 2013-03-27 | 2013-03-27 | 자가 인출이 가능한 물품 인출 방법 및 물품 인출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3042A KR101302434B1 (ko) | 2013-03-27 | 2013-03-27 | 자가 인출이 가능한 물품 인출 방법 및 물품 인출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02434B1 true KR101302434B1 (ko) | 2013-09-02 |
Family
ID=49454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33042A KR101302434B1 (ko) | 2013-03-27 | 2013-03-27 | 자가 인출이 가능한 물품 인출 방법 및 물품 인출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243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003042A1 (ko) * | 2014-07-02 | 2016-01-07 | 학교법인 한동대학교 |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인 도서 대출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78427A (ko) * | 2010-12-31 | 2012-07-10 | 주식회사 케이티 | 도서 대출 시스템 및 방법 |
KR101184192B1 (ko) * | 2011-12-20 | 2012-09-26 | (주)비알네트콤 |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서 탐색 및 대출 방법 |
-
2013
- 2013-03-27 KR KR1020130033042A patent/KR10130243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78427A (ko) * | 2010-12-31 | 2012-07-10 | 주식회사 케이티 | 도서 대출 시스템 및 방법 |
KR101184192B1 (ko) * | 2011-12-20 | 2012-09-26 | (주)비알네트콤 |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서 탐색 및 대출 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003042A1 (ko) * | 2014-07-02 | 2016-01-07 | 학교법인 한동대학교 |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인 도서 대출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05325B1 (ko) | 패스워드를 이용하는 rf-id 태그 리딩 시스템 및 그방법 | |
US8176323B2 (en)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based authentication methodology using standard and private frequency RFID tags | |
WO2017075952A1 (zh) | 智能门锁的控制方法和装置及智能门控系统 | |
CN103324962B (zh) | 电子商品监控 | |
US10318854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tecting sensitive information stored on a mobile device | |
KR101420704B1 (ko) | 정품식별 nfc태그 관리 시스템 | |
KR101422122B1 (ko) | 페어링 수행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 |
US20130007074A1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Entries Into a Document Registry To Mitigate Access to Restricted Documents without Appropriate Access Credentials | |
US20130132279A1 (en) | Mechanisms for securing goods at a point-of-sale | |
US20190325178A1 (en) |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asino chip management | |
KR101907184B1 (ko) | 보안 구역 출입을 위한 모바일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 |
CN104504314A (zh) | 访问控制系统 | |
CN107657199B (zh) | 行动装置、验证装置及其验证方法 | |
KR101573216B1 (ko) | 무인 택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 |
US9503159B2 (en) | Storing and retrieving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 |
KR101302434B1 (ko) | 자가 인출이 가능한 물품 인출 방법 및 물품 인출 시스템 | |
JP2006260238A (ja) | 電子タグの読み取りを防止する携帯端末及び電子タグ | |
KR20150003549A (ko) | 출입관리를 위한 무인 gate시스템 | |
KR20160004143A (ko) |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인 도서 대출 방법 | |
KR101006346B1 (ko) | Rfid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rfid 시스템, 데이터 저장 장치 및 단말 시스템 | |
KR20200140025A (ko) |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 |
US9774575B2 (en) |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user by near field communication | |
KR101226918B1 (ko) | 페어링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 |
JP2010117857A (ja) | 文書管理システム | |
KR101437050B1 (ko) | 페어링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