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346B1 - Rfid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rfid 시스템, 데이터 저장 장치 및 단말 시스템 - Google Patents

Rfid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rfid 시스템, 데이터 저장 장치 및 단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6346B1
KR101006346B1 KR1020080065437A KR20080065437A KR101006346B1 KR 101006346 B1 KR101006346 B1 KR 101006346B1 KR 1020080065437 A KR1020080065437 A KR 1020080065437A KR 20080065437 A KR20080065437 A KR 20080065437A KR 101006346 B1 KR101006346 B1 KR 101006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device
data storage
data
rfi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5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5413A (ko
Inventor
류병훈
성원모
김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to KR1020080065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6346B1/ko
Publication of KR20100005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having a housing or construction similar to well-known portable memory devices, such as SD cards, USB or memory sti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RFID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RFID 시스템, 데이터 저장 장치 및 단말 시스템을 개시한다.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RFID 리더로부터 데이터 저장 장치에 포함된 RFID 태그의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태그 정보 수신부 및 상기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반출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반출 결정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RFID 태그는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외형을 구성하는 사출물의 내부에 포함된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리더, RFID 태그, 롬(Read Only Memory, ROM)

Description

RFID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RFID 시스템, 데이터 저장 장치 및 단말 시스템{DAT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DATA STORAGE DEVICE AND TERMINAL SYSTEM}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RFID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RFID 시스템, 데이터 저장 장치 및 단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수많은 정보를 회사, 단체 등에서 개인용 컴퓨터에 저장할 수 있게 되었고, 이것은 정보유출에 대한 보안의 문제를 만들게 되었다. 기업, 관공서 등에서 쓰는 개인용 컴퓨터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방화벽을 이용하여 일부 자료에 대한 데이터 유출을 방지하거나 데이터 방지 소프트웨어를 통해 밖으로 데이터가 유출되지 못하게 하는 방법 등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USB, CD, DVD, 외장 하드디스크와 같은 이동형 데이터 저장 장치를 통해 데이터를 유출하는 방법은 막기 어렵다. 물론 USB 및 CD, DVD, 외장 하드 디스크를 인식할 수 없게 만드는 소프트웨어가 존재하나, 이동형 디스크 없이 대용량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거나 사내 데이터 백업 등이 있을 경우, 업무를 진행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RFID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RFID 시스템, 데이터 저장 장치 및 단말 시스템이 제안된다.
본 발명은 외형을 구성하는 사출물의 내부에 RFID 태그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RFID 태그 및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롬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 자장 장치의 생산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RFID 리더를 통해 태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RFID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롬(Read Only Memory, ROM)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생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대한 읽기/쓰기 작업을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말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로부터 데이터 저장 장치에 포함된 RFID 태그의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태그 정보 수신부 및 상기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반출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반출 결정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RFID 태그 는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외형을 구성하는 사출물의 내부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단말기로부터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저장된 생산 정보를 수신하는 생산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생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대한 읽기/쓰기 권한을 확인하는 권한 확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태그 정보 수신부는 사용자에 대한 태그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고, 상기 반출 결정부는 상기 RFID 태그의 태그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반출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상기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를 등록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등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 등록부는 상기 태그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저장된 생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를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상기 태그 정보 및 상기 RFID 리더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이동 이력을 저장하는 이동 이력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 방법은 RFID 리더로부터 데이터 저장 장치에 포함된 RFID 태그의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반출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 기서, 상기 RFID 태그는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외형을 구성하는 사출물의 내부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장치는 외형을 구성하는 사출물의 내부에 RFID 태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RFID 시스템은 데이터 저장 장치에 포함된 RFID 태그의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태그 정보 수신부, 상기 태그 정보를 데이터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태그 정보 전송부 및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RFID 태그는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외형을 구성하는 사출물의 내부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 시스템은 데이터 저장 장치의 접속을 확인하는 접속 확인부,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포함된 롬으로부터 생산 정보를 검출하는 생산 정보 검출부 및 상기 생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데이터 읽기/쓰기 작업에 대한 권한을 확인하는 권한 확인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형을 구성하는 사출물의 내부에 RFID 태그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의 RFID 태그 및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롬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 자장 장치의 생산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RFID 리더를 통해 태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에 따 라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롬(Read Only Memory, ROM)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생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대한 읽기/쓰기 작업을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도 1에 도시된 플로피 디스크(101), CD(Compact Disc)(102) 및 USB(Universal Serial Bus)(103)는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장치로 이용될 수 있는 매체의 일례로서, 이외에도 외장 하드 디스크,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과 같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모든 이동형 매체가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는 외형을 구성하는 사출물의 내부에 RFID 태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외형을 구성하는 사출물의 내부에 RFID 칩(104)과 RFID 안테나(105)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RFID 태그의 임의적 파괴를 막을 수 있다. 즉, RFID 태그를 파괴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일부가 파손되어 일반적인 단말기에서 읽기/쓰기가 불가능해 진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는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생산 시 생산 정보가 저장되는 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생산 정보는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등록이나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대한 데이터 읽기/쓰기 작업의 권한 을 얻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 방법의 개괄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RFID 시스템(210), 복수의 단말기(220) 그리고 데이터 관리 시스템(230)이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데이터 관리 시스템(230)과 생산 정보 관리 시스템(240)이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RFID 시스템(210)은 외형을 구성하는 사출물의 내부에 RFID 태그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로부터 상기 RFID 태그의 태그 정보를 얻기 위한 시스템으로, RFID 리더를 포함한다. 이때, RFID 시스템(210)은 상기 태그 정보를 데이터 관리 시스템(230)으로 전송할 수 있고, RFID 시스템(210)의 미리 설정된 기능에 따라 데이터 관리 시스템(230)에서 상기 태그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된 RFID 시스템(210)은 상기 건물 내부로 반입되는 데이터 저장 장치의 등록을 위해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태그 정보를 데이터 관리 시스템(230)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건물에서 외부로 반출되는 데이터 저장 장치의 반출 가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태그 정보를 데이터 관리 시스템(2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RFID 시스템(210)을 상기 건물 내부의 곳곳에 설치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RFID 시스템(210)의 위치 정보를 통해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이동 이력을 확인할 수도 있다.
단말기(220)로는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대한 읽기/쓰기 작업이 수행 가능한 모든 기기가 이용될 수 있다. 이때, 단말기(220)는 데이터 관리 시스템(230)을 통해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대한 데이터 읽기/쓰기 권한을 얻은 후에만 데이터 저장 장치에 대한 데이터 읽기/쓰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 시스템(230)은 RFID 시스템(210)이나 단말기(220)로부터 태그 정보 및 생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얻어 데이터 저장 장치의 등록, 반출 가능 여부 확인, 읽기/쓰기 권한 확인 및 이동 이력 저장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관리 시스템(230)은 데이터 저장 장치의 생산 업체가 운영하는 생산 정보 관리 시스템(240)을 통해 상기 생산 정보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저장 장치는 최초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반입 시 RFID 시스템(210) 및 데이터 관리 시스템(230)을 통해 등록되고, 단말기(220) 및 데이터 관리 시스템(230)을 통해 권한을 얻어야만 읽기/쓰기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는 RFID 시스템(210) 및 데이터 관리 시스템(230)을 통해 허용이 되어야만 외부로 반출될 수 있기 때문에 디지털 기기에 따른 데이터의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RFID 시스템(210), 단말기(220) 및 데이터 관리 시스템(230)에 대해서는 이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 시스템(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 정보 수신부(301), 데이터 저장 장치 등록부(302), 생산 정보 수신부(303), 읽기/쓰기 권한 확인부(304), 작업 내역 저장부(305), 반출 결정부(306), 이동 이력 저장부(307)를 포함한다.
태그 정보 수신부(301)는 RFID 리더로부터 데이터 저장 장치에 포함된 RFID 태그의 태그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RFID 태그는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외형을 구성하는 사출물의 내부에 포함된다. 이때, 상기 태그 정보는 상기 RFID 리더를 포함하는 RFID 시스템의 미리 설정된 용도나 상기 RFID 시스템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르게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문에 설치된 RFID 시스템의 RFID 리더로부터 수신된 태그 정보는 데이터 저장 장치 등록부(302) 또는 반출 결정부(306)에서 이용될 수 있고, 전산실에 설치된 RFID 시스템의 RFID 리더로부터 수신된 태그 정보는 이동 이력 저장부(307)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태그 정보의 이용 차이는 미리 설정된 처리 규정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장치 등록부(302)는 상기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를 등록한다. 예를 들어, 기업의 건물 내에서 이용하기 위해 상기 건물 내부로 최초 반입되는 데이터 저장 장치를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저장 장치 등록부(302)는 상기 태그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태그 정보가 등록되지 않아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저장된 생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를 등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는 데이터 저장 장치의 인증을 위한 생산 정보를 저장하는 롬(Read Only Memory, RO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산 정보는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생산 업체에 의해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생산 시 상기 롬에 저장될 수 있고, 데이터 저장 장치 등록부(302)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생산 업체에서 운영하는 생산 정보 관리 시스템으로 상기 생산 정보를 전송하여 상 기 생산 정보의 유효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생산 정보가 유효한 경우 데이터 저장 장치 등록부(302)는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포함된 RFID 태그의 태그 정보를 등록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를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생산 정보는 상기 RFID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고,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등록 시 상기 태그 정보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를 등록하고자 할 때 상기 태그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면,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가 중복 등록 중이거나 또는 복제품인 것으로 판단되어 등록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이 불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생산 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가 등록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이 불가능해진다.
생산 정보 수신부(303)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단말기로부터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저장된 생산 정보를 수신한다. 즉, 상기 단말기는 데이터 저장 장치가 접속하여 발견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롬으로부터 상기 생산 정보를 검출하여 생산 정보 수신부(303)로 전송할 수 있다.
읽기/쓰기 권한 확인부(304)는 상기 생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대한 읽기/쓰기 권한을 확인한다. 이때, 상기 읽기/쓰기 권한은 상기 생산 정보와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등록 시 저장된 생산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가 등록된 장치인지 확인함으로써, 확인될 수 있다. 상기 읽기/쓰기 권한이 확인되면, 읽기/쓰기 권환 확인부(304)는 상기 단말기로 상기 읽기/쓰기 권한이 확인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대한 읽기/쓰기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등록된 데이터 저장 장치만이 상기 단말기를 통해 데이터 읽기/쓰기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데이터에 대한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작업 내역 저장부(305)는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대한 읽기/쓰기 작업의 내역을 저장한다. 즉, 상기 단말기는 읽기/쓰기 작업이 종료된 후 상기 읽기/쓰기 권한을 해제하고 작업 내역 저장부(305)로 상기 읽기/쓰기 작업에 대한 작업 내역을 전송할 수 있고, 작업 내역 저장부(305)는 상기 작업 내역을 저장함으로써 어떠한 데이터가 어떠한 시간에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로 읽기/쓰기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반출 결정부(306)는 상기 태그 정보에 해당하는 작업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반출 가능 여부를 결정하거나 또는 태그 정보 수신부(301)에서 더 수신하는 사용자에 대한 태그 정보 및 상기 RFID 태그의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반출 가능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의 식별에 이용되는 RFID 태그를 상기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경우 태그 정보 수신부(301)는 RFID 리더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 대한 태그 정보와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포함된 RFID 태그의 태그 정보를 모두 수신하여 반출 결정부(306)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반출 결정부(306)는 우선 상기 태그 정보들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반출이 허용되는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반출이 허용된 사용자인 경우, 반출 결정부(306)는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태그 정보에 해당하는 작업 내역을 확인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의 반출이 허용 가능한지를 확인하여 상기 반출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동 이력 저장부(307)는 상기 태그 정보 및 상기 RFID 리더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이동 이력을 저장한다. 즉, 이동 이력 저장부(307)는 태그 정보 수신부(301)가 수신하는 태그 정보 및 상기 태그 정보를 전송한 RFID 리더의 위치 정보를 통해 상기 태그 정보를 저장하는 RFID 태그 다시 말해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이력 저장부(307)는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현재 위치를 상기 이동 이력으로서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이동 경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저장 장치의 외부 반출 시의 데이터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도 4는 출입문 등에 설치된 RFID 시스템 및 데이터 관리 시스템간의 데이터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일례이다. 즉, 단계(S401)에서 상기 RFID 시스템은 데이터 저장 장치가 감지되면, 단계(S402)에서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포함된 RFID 태그의 태그 정보와 사용자가 소지하는 RFID 태그의 태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이때, 단계(S403)에서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상기 태그 정보들을 수신하고, 단계(S404)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대한 반출이 허용된 사용자인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반출이 허용된 사용자는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등록 이후 필요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대해 반출이 허용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반출이 허용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단계(S405)에서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반출이 허용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대한 작업 내역을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대한 작업 내역은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태그 정보를 통한 검색을 통해 검출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반출이 허용된 사용자가 아닌 경우,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상기 RFID 시스템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반출이 허용된 사용자가 아님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고, 단계(S406)에서 상기 RFID 시스템은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반출을 통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의 식별을 위한 RFID 태그를 소지하고 있지 않아 상기 사용자의 식별을 위한 RFID 태그의 태그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반출이 허용된 사용자인지를 확인(S404)하는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반출이 허용된 사용자인 경우 단계(S407)에서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상기 작업 내역을 통해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데이터가 반출 허용 데이터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가 상기 반출 허용 데이터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단계(S406)이 상기 RFID 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데이터가 상기 반출 허용 데이터인 경우에는 단계(S408)에서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와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대해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A'가 데이터 'B'가 저장된 데이터 저장 장치 'C'를 언제 반출하였는지에 대한 기록을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 등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상기 RFID 시스템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를 반출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단계(S409)에서 상기 RFID 시스템은 반출 가능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출입문에 배치된 인원 등에게 알려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저장 장치에 대한 데이터의 읽기/쓰기 작업 시의 데이터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도 5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또는 데이터가 저장된 서버 등에 접근할 수 있는 단말 시스템과 데이터 관리 시스템간의 데이터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일례이다. 여기서, 상기 단말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한 단말기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단계(S501)에서 상기 단말 시스템은 데이터 저장 장치의 접속을 확인하고, 단계(S502)에서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포함된 롬에서 생산 정보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일례인 USB가 상기 단말 시스템의 USB 포트를 통해 연결되는 경우 상기 USB의 접속을 확인하고, 상기 USB의 롬 영역에 저장된 상기 USB의 생산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출된 상기 생산 정보는 데이터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단계(S503)에서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상기 생산 정보를 수신하고, 단계(S504)에서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등록 여부를 확인한다. 즉 데이터 저장 장치는 최초 반입 시 등록 절차를 걸치게 되고,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가 등록된 경 우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대한 생산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즉,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상기 수신된 생산 정보와 일치하는 생산 정보의 유무를 통해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등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단계(S505)에서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가 등록된 경우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읽기/쓰기에 대한 권한을 확인하여 상기 단말 시스템으로 읽기/쓰기 가능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가 등록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단말 시스템으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S506)에서 상기 단말 시스템은 상기 경고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경고 메시지에 따라 읽기/쓰기 작업 진행을 불허한다. 반대로, 단계(S507)에서는 읽기/쓰기 가능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단계(S508)에서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대한 읽기/쓰기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시스템은 읽기/쓰기 작업이 완료된 후 단계(S509)에서 상기 권한을 해제하고 상기 읽기/쓰기 작업에 대한 작업 내용을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S510)에서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상기 작업 내용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된 작업 내용은 도 4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반출 시 어떠한 정보가 반출되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 6은 단말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일례이다. 도 6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디스플레이 화면(600)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단말 시스템에서 동작하여 데이터 저장 장치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인증요청, 읽기 작업 및 쓰기 작업 그리고 작업종료에 대한 명령을 입 력받는 필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통해서만 인증된 데이터 저장 장치에 읽기/쓰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저장 장치의 등록 시의 데이터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도 7은 데이터 저장 장치의 등록을 위한 전용 RFID 시스템이나 출입문에 설치되어 데이터 저장 장치의 반출/반입 및 등록을 위한 RFID 시스템과 데이터 관리 시스템간의 데이터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일례이다. 여기서, 상기 저장 장치의 등록을 위한 전용 RFID 시스템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단계(S701)에서 상기 RFID 시스템은 데이터 저장 장치를 감지한다. 즉,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는 외형을 구성하는 사출물의 내부에 RFID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RFID 태그가 RFID 리더에서 송출되는 전파 신호에 반응하기 때문에 상기 RFID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RFID 시스템은 단계(S702)에서 RFID 태그의 태그 정보를 상기 RFID 리더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S703)에서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상기 태그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단계(S704)에서 상기 태그 정보의 등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태그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가 아직 등록되지 않아 등록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계(S705)에서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생산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생산 정보는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생산 시 생산 업체에 의해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 가 포함하는 롬에 저장될 수 있고, 상기 생산 업체의 생산 정보 관리 시스템에도 저장될 수 있다.
반대로, 단계(S704)에서 상기 태그 정보가 이미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가 이미 등록된 것으로 판단하거나 또는 중복이나 복제품으로 판단하여 오류 메시지를 RFID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RFID 시스템은 단계(S706)에서 상기 오류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RFID 시스템이 등록 전용을 위한 시스템인 경우에는 오류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고, 출입문에 설치된 RFID 시스템인 경우에는 이미 등록된 데이터 저장 장치의 반입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RFID 리더는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롬으로부터 생산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으로 더 전송할 수 있고, 단계(S707)에서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상기 생산 정보와 상기 생산 정보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생산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생산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이와는 반대로, 단계(S707)에서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로부터 얻어지는 생산 정보를 상기 생산 정보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생산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생산 정보가 유효하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으로 알려줄 수도 있다.
단계(S708)에서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상기 생산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태그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저 장 장치를 등록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가 등록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RFID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RFID 시스템은 단계(S709)에서 등록 완료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이동 이력 저장을 위한 데이터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도 8은 건물 내부의 곳곳에 설치된 RFID 시스템과 데이터 관리 시스템간의 데이터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일례이다.
단계(S801)에서 상기 RFID 시스템은 데이터 저장 장치를 감지하고, 단계(S802)에서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외형을 구성하는 사출물의 내부에 포함된 RFID 태그의 태그 정보를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단계(S803)에서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상기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대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등록 시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이동 가능 공간들이 결정될 수 있고,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대한 정보는 상기 이동 가능 공간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상기 RFID 시스템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단계(S804)에서 상기 확인된 위치가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가 이동 가능 공간에 해당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가 상기 공간들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단계(S805)에서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이동 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위치가 상기 공간들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상기 RFID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고, 단계(S806)에서 상기 RFID 시스템은 상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RFID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사용자가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RFID 태그를 소지하고 있는 경우, 상기 RFID 태그의 태그 정보를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으로 더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상기 더 전송된 태그 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이동 가능한 공간에 대한 정보를 얻어 상기 사용자가 허용된 공간에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상기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이동 이력을 저장하거나 상기 RFID 시스템이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 시스템 또는 데이터 관리 방법을 이용하면, 외형을 구성하는 사출물의 내부에 RFID 태그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의 RFID 태그 및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롬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 자장 장치의 생산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상기 데이터의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RFID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RFID 시스템(9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 정보 수신부(901), 태그 정보 전송부(902) 및 정보 출력부(903)를 포함한다.
태그 정보 수신부(901)는 데이터 저장 장치에 포함된 RFID 태그의 태그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태그 정보 수신부(901)는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RFID 태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RFID 태그의 태그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 에 포함된 RFID 태그는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외형을 구성하는 사출물의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는 생산 정보를 저장하는 롬을 포함할 수 있다.
태그 정보 전송부(902)는 상기 태그 정보를 데이터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이 경우, 태그 정보 전송부(902)는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대한 태그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태그 정보를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등록 및 데이터 읽기/쓰기 권한 확인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상기 생산 정보가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될 수 있다.
정보 출력부(903)는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대한 정보는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반출 가능 여부 정보, 등록 가능 여부 정보 및 이동 가능 여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RFID 시스템을 이용하면, RFID 리더를 통해 태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반출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시스템(10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확인부(1010), 생산 정보 검출부(1020) 및 권한 확인부(1030)를 포함한다.
접속 확인부(1010)는 데이터 저장 장치의 접속을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는 외형을 구성하는 사출물의 내부에 RFID 태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RFID 태그는 데이터 저장 장치의 등록, 반출 가능 여부 판단 및 이동 이력 저장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데이터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생산 정보 검출부(1020)는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포함된 롬으로부터 생산 정보를 검출한다.
권한 확인부(1030)는 상기 생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데이터 읽기/쓰기 작업에 대한 권한을 확인한다. 이때, 권한 확인부(1030)는 상기 권한을 확인하기 위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생산 정보를 데이터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생산 정보 전송부(1031) 및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권한에 대한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10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권한에 대한 메시지는 상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생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여 전송하는 데이터 읽기/쓰기 작업 가능 메시지 및 데이터 읽기/쓰기 작업 불가능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권환 확인부(1030)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대한 읽기/쓰기 작업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시스템을 이용하면,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롬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생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대한 읽기/쓰기 작업을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 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 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 방법의 개괄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저장 장치의 외부 반출 시의 데이터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저장 장치에 대한 데이터의 읽기/쓰기 작업 시의 데이터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단말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일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저장 장치의 등록 시의 데이터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이동 이력 저장을 위한 데이터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RFID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데이터 관리 시스템.
301: 태그 정보 수신부
302: 데이터 저장 장치 등록부
303: 생산 정보 수신부
304: 읽기/쓰기 권한 확인부
305: 작업 내역 저장부
306: 반출 결정부
307: 이동 이력 저장부

Claims (27)

  1.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로부터 데이터 저장 장치에 포함된 RFID 태그의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태그 정보 수신부;
    상기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반출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반출 결정부;
    네트워크로 연결된 단말기로부터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저장된 생산 정보를 수신하는 생산 정보 수신부;
    상기 생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대한 읽기/쓰기 권한을 확인하는 권한 확인부; 및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대한 읽기/쓰기 작업의 내역을 저장하는 작업 내역 저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반출 결정부는,
    상기 태그 정보에 해당하는 작업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반출 가능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RFID 태그는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외형을 구성하는 사출물의 내부에 포함되는, 데이터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포함된 RFID 태그의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를 등록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등록부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 등록부는,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포함된 RFID 태그의 태그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저장된 생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를 등록하는, 데이터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정보 및 상기 RFID 리더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이동 이력을 저장하는 이동 이력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관리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RFID 리더로부터 데이터 저장 장치에 포함된 RFID 태그의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반출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네트워크로 연결된 단말기로부터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저장된 생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생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대한 읽기/쓰기 권한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읽기/쓰기에 대한 작업 내역을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반출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태그 정보에 해당하는 작업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반출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RFID 태그는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외형을 구성하는 사출물의 내부에 포함되는, 데이터 관리 방법.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를 등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관리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를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태그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저장된 생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를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관리 방법.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정보 및 상기 RFID 리더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이동 이력을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관리 방법.
  27. 제20항 또는 제2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80065437A 2008-07-07 2008-07-07 Rfid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rfid 시스템, 데이터 저장 장치 및 단말 시스템 KR101006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437A KR101006346B1 (ko) 2008-07-07 2008-07-07 Rfid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rfid 시스템, 데이터 저장 장치 및 단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437A KR101006346B1 (ko) 2008-07-07 2008-07-07 Rfid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rfid 시스템, 데이터 저장 장치 및 단말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413A KR20100005413A (ko) 2010-01-15
KR101006346B1 true KR101006346B1 (ko) 2011-01-10

Family

ID=41814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5437A KR101006346B1 (ko) 2008-07-07 2008-07-07 Rfid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rfid 시스템, 데이터 저장 장치 및 단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63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02989A (zh) * 2014-07-08 2014-10-15 武汉理工大学 一种基于射频识别的仓储异常管理系统及仓储异常检测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29542A (zh) * 2011-03-07 2011-07-20 姜贞勇 多功能实时数据采集智能终端
CN104866883B (zh) * 2015-06-16 2018-11-27 文华学院 一种rfid数据处理方法以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3123A (ko) * 2005-12-14 2007-06-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Rfid를 이용한 물품 반출입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80114A (ko) * 2006-02-06 2007-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Rfid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매체 사용제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3123A (ko) * 2005-12-14 2007-06-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Rfid를 이용한 물품 반출입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80114A (ko) * 2006-02-06 2007-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Rfid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매체 사용제한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02989A (zh) * 2014-07-08 2014-10-15 武汉理工大学 一种基于射频识别的仓储异常管理系统及仓储异常检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413A (ko) 201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2270B1 (ko)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전자태그 및 이를 이용한프라이버시 보호 방법
KR101077396B1 (ko) 입퇴실 관리 시스템 및 입퇴실 관리 방법
KR102015859B1 (ko) Rfid 태그 및 rfid 태그의 키 갱신 방법
KR20220159925A (ko) 서브 리더기 및 서브 리더기 제어 방법
KR101006346B1 (ko) Rfid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rfid 시스템, 데이터 저장 장치 및 단말 시스템
CN107657199B (zh) 行动装置、验证装置及其验证方法
US20190325178A1 (en)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asino chip management
US9992181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a user based on location data
Yasirandi et al. Security document for smart parking gate based on common criteria framework
KR20100108748A (ko) 위치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U2023202349A1 (en) Apparatus and related method for isolation locking of an asset
JP2013242831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4120495A (zh) 一种基于人脸识别的安防系统及方法
CN117094574B (zh) 一种企业资产高效管理方法、系统、设备和可读存储介质
KR20120041571A (ko) 유에스비형 무선식별리더기를 이용한 데이터 모니터링시스템
JP5322788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060136A (ja) 携帯可能電子装置、および、携帯可能電子装置におけるデータ管理方法
KR101302434B1 (ko) 자가 인출이 가능한 물품 인출 방법 및 물품 인출 시스템
CN111727430A (zh) 两步硬件验证
KR102587285B1 (ko) Nfc를 이용한 출입 통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18045918A1 (zh) 一种授权方法及系统
CN112434273B (zh) 一种基于用户验证的数据库管理方法及装置
KR102469412B1 (ko) 서브 리더기 및 서브 리더기 제어 방법
TWI734384B (zh) 驗證作業系統及其資料結構產品
KR102112513B1 (ko) 전자태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