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868B1 - 자동차 배터리의 단자 연결용 접속구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배터리의 단자 연결용 접속구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868B1
KR101183868B1 KR1020110066243A KR20110066243A KR101183868B1 KR 101183868 B1 KR101183868 B1 KR 101183868B1 KR 1020110066243 A KR1020110066243 A KR 1020110066243A KR 20110066243 A KR20110066243 A KR 20110066243A KR 101183868 B1 KR101183868 B1 KR 101183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nt
connector
indexing table
filler met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식
Original Assignee
신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식 filed Critical 신영식
Priority to KR1020110066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38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배터리의 단자 연결용 접속구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구성은 션트(13)를 수동으로 적재하는 션트적재장치(30)와, 션트이송장치(32)를 통해 션트적재장치(30)로부터 옮겨진 션트(13)의 상부로 용가재(14)를 절단 공급하고, 용가재(14)를 임시적으로 접합시키는 용가재절단공급및가접장치(31)와, 회전방향을 임의의 수로 정교하게 등분하여 션트지그장착부(40), 접속구장착부(50), 제1브레이징장치(60), 제2브레이징장치(61), 접합여부파악장치(70)로 지그(42)를 회전시켜 위치시키는 인덱싱테이블(51)과,
상기 용가재(14)가 임시 고정된 션트(13)를 인덱싱테이블(51)의 지그(42)에 장착시키는 션트지그장착부(40)와, 센서를 통해 션트지그장착부(40)에 장착된 션트(13)의 용가재(14) 유무를 파악하는 용가재위치파악장치(41)와, 지그(42)에 장착된 션트(13)에 케이블접속구(12) 및 단자접속구(11)를 수동으로 장착하는 접속구장착부(50)와, 가열봉을 직하방으로 인출하여 션트(13)와 케이블접속구(12)를 가압, 통전, 가열방식으로 영구 접합시키는 제1브레이징장치(60)와,
가열봉을 직하방으로 인출하여 션트(13)와 단자접속구(11)를 가압, 통전, 가열방식으로 영구 접합시키는 제2브레이징장치(61)와, 센서를 통해 션트(13)와 접속구(10)의 접합높이를 측정하는 접합여부파악장치(70)와, 접합여부파악장치(70)에서 합격된 접속구(10)를 잡아 이송부(72)로 자유 낙하시키는 포착장치(71)와, 상기, 인덱싱테이블(51)의 회전 작동의 제어와 각각의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 배터리의 단자 연결용 접속구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The manufacturing machine making connector linking terminal of battery for automobi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자동차 배터리의 단자 연결용 접속구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작물의 회전방향을 임의의 수로 정교하게 등분하여 회전시키는 인덱싱테이블을 회전 공급 매체로 사용하고, 단자접속구와 케이블접속구를 션트에 임시 접합된 용가재를 매개로 하여 브레이징의 접합방법으로 영구 접합하되, 션트의 공급과 용가재의 가접과 브레이징 작업 등의 일련의 과정이 자동화 되도록 한 자동차 배터리의 단자 연결용 접속구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서 배터리의 역할은 지대하다. 우선 배터리의 불량 내지 방전 현상이 나타나면, 자동차에 시동을 걸지 못하므로 자동차의 운행이 정지된다. 이뿐 아니라, 도어락의 작동이 되지 않아 키박스에 자동차 키를 넣고 문을 수동으로 개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배터리 방전은 자동차 실내에 부착된 시계와 같은 기기들이 초기화 됨으로써, 다시 설정해야 하는 불편함도 있다.
또한, 자동차에서 전기가 약하면 연비, 마력, 소음, 배출가스에 영향을 준다. 에어컨을 켜면 힘이 떨어지고, 알피엠이 흔들리게 된다. 또한, 진동이 심해지고, 오디오의 음질 음량 상태가 좋지 않게 되어, 결국에는 부품들의 수명이 단축되고 수리를 자주 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배터리의 수명과 현재 상태를 측정하여 운행에 적합한 배터리의 상태를 체크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 도 1에서와 같이 자동차 배터리(20)의 단자(21)에 배터리(20)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접속구(10)가 설치된다. 이 접속구(10)는 전기 케이블선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자동차 실내의 제어계측판을 통해 배터리(20)의 현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접속구(10)는 션트(13)와 케이블접속구(12) 및 단자접속구(11)로 구성된 것이며, 종래에는 상기 접속구(10)를 만들기 위해 션트(13)와 케이블접속구(12) 및 단자접속구(11)를 수작업으로 맞대어 놓고 저항용접을 통해 제작하였다. 따라서, 수작업으로 인해 작업공정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대량 생산을 할 수 없게 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자동차 배터리의 단자에 끼우는 접속구의 부품인 션트, 용가재, 케이블접속구, 단자접속구를 인덱싱테이블의 회전운동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접합시킬 수 있는 자동차 배터리의 단자 연결용 접속구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배터리의 단자 연결용 접속구의 제조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은, 션트(13)를 수동으로 적재하는 션트적재장치(30)와, 션트이송장치(32)를 통해 션트적재장치(30)로부터 옮겨진 션트(13)의 상부로 용가재(14)를 절단 공급하고, 용가재(14)를 임시적으로 접합시키는 용가재절단공급및가접장치(31)와, 회전방향을 임의의 수로 정교하게 등분하여 션트지그장착부(40), 접속구장착부(50), 제1브레이징장치(60), 제2브레이징장치(61), 접합여부파악장치(70)로 지그(42)를 회전시켜 위치시키는 인덱싱테이블(51)과,
상기 용가재(14)가 임시 고정된 션트(13)를 인덱싱테이블(51)의 지그(42)에 장착시키는 션트지그장착부(40)와, 센서를 통해 션트지그장착부(40)에 장착된 션트(13)의 용가재(14) 유무를 파악하는 용가재위치파악장치(41)와, 지그(42)에 장착된 션트(13)에 케이블접속구(12) 및 단자접속구(11)를 수동으로 장착하는 접속구장착부(50)와, 가열봉을 직하방으로 인출하여 션트(13)와 케이블접속구(12)를 가압, 통전, 가열방식으로 영구 접합시키는 제1브레이징장치(60)와,
가열봉을 직하방으로 인출하여 션트(13)와 단자접속구(11)를 가압, 통전, 가열방식으로 영구 접합시키는 제2브레이징장치(61)와, 센서를 통해 션트(13)와 접속구(10)의 접합여부를 측정하는 접합여부파악장치(70)와, 접합여부파악장치(70)에서 합격된 접속구(10)를 잡아 이송부(72)로 자유 낙하시키는 포착장치(71)와, 상기, 인덱싱테이블(51)의 회전 작동의 제어와 각각의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자동차 배터리의 단자 연결용 접속구의 제조방법의 구체적인 공정은, 작업자가 수동으로 션트(13)를 션트적재장치(30)에 적재하는 션트 적재단계(S10)와, 제어부(80)의 신호에 따라 션트이송장치(32)를 통해 션트(13)를 용가재절단공급및가접장치(31)로 옮기고, 용가재(14)를 절단하여 션트(13)의 상부 양측에 공급함과 동시에 용가재(14)를 임시적으로 접합하는 용가재 절단 공급 및 가접단계(S20)와, 제어부(80)의 신호에 따라 션트이송장치(32)를 통해 용가재(14)가 임시로 접합된 션트(13)를 인덱싱테이블(51)의 상면에 장착된 션트지그장착부(40)에 옮기는 션트 지그 장착단계(30),
제어부(80)의 신호에 따라 션트지그장착부(40)의 상부에 설치된 용가재위치파악장치(41)의 센서를 통해 션트(13) 위에 임시 접합된 용가재(14)의 유무를 판단하여 용가재(14) 존재시 다음 단계로의 전진을 제어부(80)로 송출하고, 용가재(14) 부재시 오류작동 신호를 송출하는 용가재 위치 파악단계(S40)와, 제어부(80)의 신호에 따라 인덱싱테이블(51)이 반시계방향으로 45°회전하여 대기하고, 다시 인덱싱테이블(51)이 45°회전하면 작업자가 수동으로 션트(13)의 상부에 케이블접속구(12)와 단자접속구(11)를 장착하는 접속구 수동 장착단계(S50)와,
제어부(80)의 신호에 따라 인덱싱테이블(51)이 반시계방향으로 45°회전하여 대기하고, 다시 인덱싱테이블(51)이 45°회전하면, 제1브레이징장치(60)의 가열봉을 통해 션트(13)와 케이블접속구(12)를 가압, 통전, 가열하면서 영구 접합하는 제1브레이징 접합단계(S60)와, 제어부(80)의 신호에 따라 인덱싱테이블(51)이 반시계방향으로 45°회전하여 대기하고, 다시 인덱싱테이블(51)이 45°회전하면, 제2브레이징장치(61)의 가열봉을 통해 션트(13)와 단자접속구(11)를 가압, 통전, 가열하면서 영구 접합하는 제2브레이징 접합단계(S70)와,
제어부(80)의 신호에 인덱싱테이블(51)이 반시계방향으로 45°회전하면, 접합여부파악장치(70)의 센서를 통해 션트(13)와 와 케이블접속구(12) 및 단자접속구(11)의 접합여부를 측정하여, 기 설정된 허용 접합 높이값의 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 오류작동 신호를 송출하여 작업자에게 해당 접속구(10)의 불량을 알리는 접합여부 파악단계(S80)와, 상기 접합여부 파악단계(S80)에서 션트(13)의 접합여부가 기 설정된 허용 접합 높이로 양호하게 도출되면 포착장치(71)를 이용하여 접속구(10)를 잡아서 포착장치(71)의 하방에 위치한 이송부(72) 위로 자유낙하 시키는 접속구 포착단계 및 이송부 투하단계(S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배터리의 단자 연결용 접속구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은 인덱싱테이블의 회전작동과 용가재절단공급및가접장치, 용가재위치파악장치, 제1,2브레이징장치, 접합여부파악장치 등의 3차원 다축 제어 시스템을 통해 션트와 케이블접속구 및 단자접속구를 일정한 품질을 갖는 제품으로 자동화 방식에 의해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은 부품들을 수작업으로 접합시키는 것이 번거롭고 불편하였는데, 이러한 공정상의 불편함을 단번에 해소하고, 우수한 제품을 신속하면서도 균일하게 다량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덱싱테이블을 이용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도 공정별 이동을 인덱싱테이블의 회전에 의해 수행함에 따라, 설치공간의 제약을 덜 받는 부수적 효과도 발생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배터리의 단자 연결용 접속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배터리의 단자 연결용 접속구의 제조장치의 개략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배터리의 단자 연결용 접속구의 제조장치의 개략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배터리의 단자 연결용 접속구의 제조장치의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배터리의 단자 연결용 접속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터리의 단자 연결용 접속구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이나 구성 및 시스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와 부합되지 않는 부연 설명에 지나지 않을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 배터리의 단자 연결용 접속구를 자동화 방식으로 제조하기 위한 기계구성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배터리의 단자 연결용 접속구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배터리(20)의 단자(21)에 끼워지는 접속구(10)는 화살표로 인출한 바와 같이 션트(13)와 케이블접속구(12) 및 단자접속구(11)로 분리된다.
상기 션트(13, Shunt)는 자동차 배터리(20)의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스틱형태의 것으로서, 전류 전도율이 우수한 동(銅)을 채용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 배터리(20)의 단자(21)에 접속구(10)를 설치한 후, 자동차의 실내의 계기판을 통해 실시간으로 배터리(20)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배터리의 단자 연결용 접속구의 제조장치의 개략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배터리의 단자 연결용 접속구의 제조장치의 개략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협소한 공간에서도 인덱싱테이블(51)을 사용하여 지그(42)에 장착된 션트(13)와 케이블접속구(12) 및 단자접속구(11)를 45°씩 방향 전환시키면서 다음 공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각도를 임의의 수로 정교하게 등분하여 회전시키는 인덱싱테이블(51)이 중앙에 배치된다. 인덱싱테이블(51)의 상면에는 지그(42)가 45°등간격을 유지하면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한편, 인덱싱테이블(51)의 좌측방에는 션트(13)를 적재하기 위한 션트적재장치(30)가 배치되고, 션트적재장치(30)의 우측방으로 용가재(14)의 절단 공급 및 용가재(14)의 임시 접합을 수행하는 용가재절단공급및가접장치(31)가 배치되며, 상기 용가재절단공급및가접장치(31)의 우측방에는 용가재(14)가 임시 접합된 션트(13)를 인덱싱테이블(51)의 상면에 장착된 지그(42)에 공급하고자 션트이송장치(32)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션트적재장치(30)와 용가재절단공급및가접장치(31) 및 션트이송장치(32)는 션트(13)의 적재공정부터 션트(13)의 지그(42)로의 공급공정까지 계속성이 유지되도록 배치한다. 이러한 배치는 각종 실린더, 레일, 진공흡착장치를 이용한 이송시스템 등의 통상적인 이송 장치가 예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송시스템의 다양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배터리의 단자 연결용 접속구의 제조장치의 블럭도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션트적재장치(30)에는 다수의 션트(13)가 적재되며, 제어부(80)의 신호에 따라 션트적재장치(30)에 적재된 션트(13)는 용가재절단공급및가접장치(31)로 옮겨지게 되고, 장방형 형태의 션트(13)의 양측에 용가재(14)가 절단되어 공급되되, 공급된 용가재(14)는 저항용접을 이용하여 션트(13)에 임시적으로 접합되는 것이다.
상기 용가재(14)(Filler Metal)는 용가재절단공급및가접장치(31)의 일측에 권취된 상태에서 션트(13)가 도착되면 절단되어 공급되는 것으로서, 용가재(14)의 절단 및 임시용접 등의 작업은 통상적인 엘엠 가이드(Linear Moving Guide)와 같은 3차원 다축제어 시스템을 통해 구현될 수 있는바, 본 발명은 3차원 다축제어 시스템의 종류와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데다, 3차원 다축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기술은 공지 기술에 해당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4의 블럭도와 같이 션트이송장치(32)를 통해 션트(13)를 션트적재장치(30)에서 용가재절단공급및가접장치(31)로 옮길 뿐 아니라, 동시에 용가재절단공급및가접장치(31)에서 인덱싱테이블(51)의 션트지그장착부(40) 위로 션트(13)를 옮기게 된다. 상기 션트지그장착부(40)에 션트(13)가 옮겨지면 션트지그장착부(40)의 상부에 위치한 용가재위치파악장치(41)에서 센서가 실린더에 의해 하방으로 직선이동되어 션트(13)에 임시 접합된 용가재(14)의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용가재(14)의 부재시 오류작동 신호를 송출하여 작업자가 용가재(14)의 부재를 인식하도록 한다.
용가재위치파악장치(41)에서 작업이 마무리 되면, 제어부(80)의 신호에 따라 인덱싱테이블(51)이 반시계방향으로 45°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인덱싱테이블(51)의 45°회전은 다음 공정을 기다리는 중간단계에 해당 되며, 다시 인덱싱테이블(51)이 반시계방향으로 45°회전운동을 하게 되면, 도 2에서와 같이 작업자가 대기하고 있는 접속구장착부(50)에 션트(13)가 위치하게 되는바, 작업자는 케이블접속구(12)와 단자접속구(11)를 션트(13)가 올려진 지그(42)위에 위치를 맞춰서 장착하게 된다.
접속구장착부(50)에서의 작업이 마무리 되면, 제어부(80)의 신호에 따라 인덱싱테이블(51)이 반시계방향으로 45°회전운동을 하여 대기하게 되고, 다시 인덱싱테이블(51)이 45°회전하여 제1브레이징장치(60)의 직하방에 션트(13)와 케이블접속구(12) 및 단자접속구(11)가 올려진 지그(42)가 위치하게 된다. 이때 제1브레이징장치(60)에서 실린더의 작동을 통해 가열봉이 직하방으로 인출되면서 션트(13)와 케이블접속구(12)를 가압, 통전, 가열하게되고, 이때 션트(13)의 상면에 임시 접합된 용가재(14)가 녹으면서 션트(13)와 케이블접속구(12)가 먼저 접합되는 것이다.
용가재(14)가 션트(13)에 임시 접합됨에 따라 접합과정에서 용가재(14)의 위치가 변동되지 않음으로써, 생산되는 다수의 접속구(10)가 균일한 제품으로 생산된다. 제1브레이징장치(60)에서는 션트(13)와 케이블접속구(12) 또는 션트(13)와 단자접속구(11) 중에서 1개를 먼저 접합하도록 제어부(80)를 통해 결정하고, 이후 제2브레이징장치(61)에서 나머지를 접합하도록 한다.
제1브레이징장치(60)에서의 작업이 마무리 되면, 제어부(80)의 신호에 따라 인덱싱테이블(51)이 반시계방향으로 45°회전운동을 하여 대기하게 되고, 다시 인덱싱테이블(51)이 45°회전하여 제2브레이징장치(61)의 직하방에 션트(13)와 케이블접속구(12)가 먼저 접합된 지그(42)가 위치하게 된다. 이때 제2브레이징장치(61)에서 실린더의 작동을 통해 가열봉이 직하방으로 인출되면서 션트(13)와 단자접속구(11)를 가압, 통전, 가열하게되고, 이때 션트(13)의 상면에 임시 접합된 용가재(14)가 녹으면서 션트(13)와 단자접속구(11)가 접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1브레이징장치(60) 및 제2브레이징장치(61)에서 가열봉이 실린더를 통해 직하방으로 인출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작동 구동체의 구성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는 통상적인 엘엠 가이드와 같은 3차원 다축제어 시스템을 통해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2브레이징장치(61)에서의 작업이 마무리 되면, 제어부(80)의 신호에 따라 인덱싱테이블(51)이 반시계방향으로 45°회전하여 접합여부파악장치(70) 및 포착장치(71)의 직하방에 션트(13)와 케이블접속구(12) 및 단자접속구(11)가 모두 접합된 지그(42)가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접합여부파악장치(70)에서 센서가 실린더에 의해 하방으로 직선이동되어 션트(13)와 접속구(10)의 접합여부를 측정하게 되고, 기 설정된 접합높이의 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 오류작동 신호를 송출하여 작업자에게 해당 접속구(10)의 불량을 알린다. 한편, 접합높이의 측정 결과 양호한 검수값이 도출되면 포착장치(71)가 접속구(10)를 잡아서 하방에 위치한 콘베이어와 같은 이송부(72) 위로 자유낙하 시킨다. 상기 접합여부파악장치(70) 및 포착장치(71)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엘엠 가이드와 같은 3차원 다축제어 시스템을 통해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콘베이어와 같은 이송부(72)의 작동방향은 작업자가 서 있는 접속구장착부(50)를 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작업자는 이송부(72)를 통해 도착한 접속구(10)의 상태를 육안으로 최종 검수함으로써, 본 발명의 전체 공정이 마무리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배터리의 단자 연결용 접속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션트(13)를 션트적재장치(30)에 수동으로 적재한다(S10, 션트 적재단계). 제어부(80)의 신호에 따라 적재된 션트(13)는 션트이송장치(32)를 통해 용가재절단공급및가접장치(31)로 옮겨지고, 상기 용가재절단공급및가접장치(31)에서 권취된 용가재(14)가 절단되어 션트(13)의 상부 양측에 공급됨과 동시에 임시적으로 접합된다(S20, 용가재 절단 공급 및 가접단계).
다음 단계로서, 제어부(80)의 신호에 따라 션트이송장치(32)를 통해 용가재(14)가 임시로 접합된 션트(13)를 인덱싱테이블(51)의 상면에 장착된 션트지그장착부(40)에 옮겨 지게 된다(30, 션트 지그 장착단계). 또한 다음 단계로서, 제어부(80)의 신호에 따라 션트지그장착부(40)의 상부에 설치된 용가재위치파악장치(41)의 센서를 통해 임시 접합된 용가재(14)의 유무를 판단하여 용가재(14) 존재시 다음 단계로의 전진을 제어부(80)로 송출하고, 용가재(14) 부재시 오류작동 신호를 송출한다(S40, 용가재 위치 파악단계).
다음 단계로서, 제어부(80)의 신호에 따라 인덱싱테이블(51)이 반시계방향으로 45°회전운동을 하여 대기하게 되고, 다시 인덱싱테이블(51)이 45°회전되면 작업자가 대기중인 접속구장착부(50)로 션트(13)가 위치하게 된다. 이때 션트(13)의 상부로 케이블접속구(12)와 단자접속구(11)를 작업자가 수동으로 장착시키게 된다(S50, 접속구 수동 장착단계).
다음 단계로서, 제어부(80)의 신호에 따라 인덱싱테이블(51)이 반시계방향으로 45°회전운동을 하여 대기하게 되고, 다시 인덱싱테이블(51)이 45°회전되면, 션트(13)와 케이블접속구(12) 및 단자접속구(11)가 배치된 지그(42)가 제1브레이징장치(60)의 직하방에 위치하게 되고, 제어부(80)의 신호에 따라 제1브레이징장치(60)의 가열봉을 통해 션트(13)와 케이블접속구(12)가 가압, 통전, 가열되면서 영구 접합된다(S60, 제1브레이징 접합단계).
다음 단계로서, 제어부(80)의 신호에 따라 인덱싱테이블(51)이 반시계방향으로 45°회전운동을 하여 대기하게 되고, 다시 인덱싱테이블(51)이 45°회전되면, 션트(13)와 케이블접속구(12) 및 단자접속구(11)가 배치된 지그(42)가 제2브레이징장치(61)의 직하방에 위치하게 되고, 제어부(80)의 신호에 따라 제2브레이징장치(61)의 가열봉을 통해 션트(13)와 단자접속구(11)가 가압, 통전, 가열되면서 영구 접합된다(S70, 제2브레이징 접합단계).
다음 단계로서, 제어부(80)의 신호에 인덱싱테이블(51)이 반시계방향으로 45°회전하면, 션트(13)와 케이블접속구(12) 및 단자접속구(11)가 모두 접합된 지그(42)가 접합여부파악장치(70)의 직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접합여부파악장치(70)의 센서를 통해 션트(13)와 케이블접속구(12) 및 단자접속구(11)가 모두 접합되었는지 파악한다. 이 접합 여부 파악방법은 센서를 통해 접합부위의 높이를 측정하여, 기 설정된 허용 접합 높이값의 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 오류작동 신호를 송출하여 작업자에게 해당 접속구(10)의 불량을 알린다(S80, 접합여부 파악단계).
다음 단계로서, 상기 접합여부 파악단계(S80)에서 션트(13)의 접합여부가 기 설정된 허용 접합 높이로 양호하게 도출되면 포착장치(71)를 이용하여 접속구(10)를 잡아서 포착장치(71)의 하방에 위치한 이송부(72) 위로 자유낙하 시킨다(S90, 접속구 포착단계 및 이송부 투하단계).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배터리의 단자 연결용 접속구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은 인덱싱테이블(51)의 회전작동과 용가재절단공급및가접장치(31), 용가재위치파악장치(41), 제1,2브레이징장치, 접합여부파악장치(70) 등의 다축 제어 시스템을 통해 션트(13)와 케이블접속구(12) 및 단자접속구(11)를 일정한 품질을 갖는 제품으로 자동화 방식에 의해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은 부품들을 수작업으로 접합시키는 것이 번거롭고 불편하였는데, 이러한 공정상의 불편함을 단번에 해소하고, 우수한 제품을 신속하면서도 균일하게 다량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된다.
10 : 접속구
11 : 단자접속구
12 : 케이블접속구
13 : 션트
14 : 용가재
20 : 배터리
21 : 단자
30 : 션트적재장치
31 : 용가재공급및가접장치
32 : 션트이송장치
40 : 션트지그장착부
41 : 용가재위치파악장치
42 : 지그
50 : 접속구장착부
51 : 인덱싱테이블
60 : 제1브레이징장치
61 : 제2브레이징장치
70 : 접합여부파악장치
71 : 포착장치
72 : 이송부
80 : 제어부
S10 : 션트 적재단계
S20 : 용가재 절단 공급 및 가접단계
S30 : 션트 지그 장착단계
S40 : 용가재 위치 파악단계
S50 : 접속구 수동 장착단계
S60 : 제1브레이징 접합단계
S70 : 제2브레이징 접합단계
S80 : 접합여부 파악단계
S90 : 접속구 포착단계 및 이송부 투하단계

Claims (2)

  1. 션트(13)를 수동으로 적재하는 션트적재장치(30)와, 션트이송장치(32)를 통해 션트적재장치(30)로부터 옮겨진 션트(13)의 상부로 용가재(14)를 절단 공급하고, 용가재(14)를 임시적으로 접합시키는 용가재절단공급및가접장치(31)와, 회전방향을 임의의 수로 정교하게 등분하여 션트지그장착부(40), 접속구장착부(50), 제1브레이징장치(60), 제2브레이징장치(61), 접합여부파악장치(70)로 지그(42)를 회전시켜 위치시키는 인덱싱테이블(51)과,
    상기 용가재(14)가 임시 고정된 션트(13)를 인덱싱테이블(51)의 지그(42)에 장착시키는 션트지그장착부(40)와, 센서를 통해 션트지그장착부(40)에 장착된 션트(13)의 용가재(14) 유무를 파악하는 용가재위치파악장치(41)와, 지그(42)에 장착된 션트(13)에 케이블접속구(12) 및 단자접속구(11)를 수동으로 장착하는 접속구장착부(50)와, 가열봉을 직하방으로 인출하여 션트(13)와 케이블접속구(12)를 가압, 통전, 가열방식으로 영구 접합시키는 제1브레이징장치(60)와,
    가열봉을 직하방으로 인출하여 션트(13)와 단자접속구(11)를 가압, 통전, 가열방식으로 영구 접합시키는 제2브레이징장치(61)와, 센서를 통해 션트(13)와 접속구(10)의 접합높이를 측정하는 접합여부파악장치(70)와, 접합여부파악장치(70)에서 합격된 접속구(10)를 잡아 이송부(72)로 자유 낙하시키는 포착장치(71)와, 상기, 인덱싱테이블(51)의 회전 작동의 제어와 각각의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터리의 단자 연결용 접속구의 제조장치.
  2. 작업자가 수동으로 션트(13)를 션트적재장치(30)에 적재하는 션트 적재단계(S10)와, 제어부(80)의 신호에 따라 션트이송장치(32)를 통해 션트(13)를 용가재절단공급및가접장치(31)로 옮기고, 용가재(14)를 절단하여 션트(13)의 상부 양측에 공급함과 동시에 용가재(14)를 임시적으로 접합하는 용가재 절단 공급 및 가접단계(S20)와, 제어부(80)의 신호에 따라 션트이송장치(32)를 통해 용가재(14)가 임시로 접합된 션트(13)를 인덱싱테이블(51)의 상면에 장착된 션트지그장착부(40)에 옮기는 션트 지그 장착단계(30),
    제어부(80)의 신호에 따라 션트지그장착부(40)의 상부에 설치된 용가재위치파악장치(41)의 센서를 통해 션트(13) 위에 임시 접합된 용가재(14)의 유무를 판단하여 용가재(14) 존재시 다음 단계로의 전진을 제어부(80)로 송출하고, 용가재(14) 부재시 오류작동 신호를 송출하는 용가재 위치 파악단계(S40)와, 제어부(80)의 신호에 따라 인덱싱테이블(51)이 반시계방향으로 45°회전하여 대기하고, 다시 인덱싱테이블(51)이 45°회전하면 작업자가 수동으로 션트(13)의 상부에 케이블접속구(12)와 단자접속구(11)를 장착하는 접속구 수동 장착단계(S50)와,
    제어부(80)의 신호에 따라 인덱싱테이블(51)이 반시계방향으로 45°회전하여 대기하고, 다시 인덱싱테이블(51)이 45°회전하면, 제1브레이징장치(60)의 가열봉을 통해 션트(13)와 케이블접속구(12)를 가압, 통전, 가열하면서 영구 접합하는 제1브레이징 접합단계(S60)와, 제어부(80)의 신호에 따라 인덱싱테이블(51)이 반시계방향으로 45°회전하여 대기하고, 다시 인덱싱테이블(51)이 45°회전하면, 제2브레이징장치(61)의 가열봉을 통해 션트(13)와 단자접속구(11)를 가압, 통전, 가열하면서 영구 접합하는 제2브레이징 접합단계(S70)와,
    제어부(80)의 신호에 인덱싱테이블(51)이 반시계방향으로 45°회전하면, 접합여부파악장치(70)의 센서를 통해 션트(13)와 와 케이블접속구(12) 및 단자접속구(11)의 접합여부를 측정하여, 기 설정된 허용 접합 높이값의 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 오류작동 신호를 송출하여 작업자에게 해당 접속구(10)의 불량을 알리는 접합여부 파악단계(S80)와, 상기 접합여부 파악단계(S80)에서 션트(13)의 접합여부가 기 설정된 허용 접합 높이로 양호하게 도출되면 포착장치(71)를 이용하여 접속구(10)를 잡아서 포착장치(71)의 하방에 위치한 이송부(72) 위로 자유낙하 시키는 접속구 포착단계 및 이송부 투하단계(S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터리의 단자 연결용 접속구의 제조방법.
KR1020110066243A 2011-07-05 2011-07-05 자동차 배터리의 단자 연결용 접속구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183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243A KR101183868B1 (ko) 2011-07-05 2011-07-05 자동차 배터리의 단자 연결용 접속구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243A KR101183868B1 (ko) 2011-07-05 2011-07-05 자동차 배터리의 단자 연결용 접속구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3868B1 true KR101183868B1 (ko) 2012-09-19

Family

ID=47113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243A KR101183868B1 (ko) 2011-07-05 2011-07-05 자동차 배터리의 단자 연결용 접속구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386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164B1 (ko) 2013-12-23 2015-08-20 주식회사 피플웍스 Tco 부품 삽입검사장치
CN106735683A (zh) * 2017-01-04 2017-05-31 佛山市奥拓玛智能设备有限公司 家用空调消音器组件转盘式多工位自动火焰钎焊机
KR101878632B1 (ko) * 2018-02-13 2018-08-17 윤재기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
KR101962087B1 (ko) * 2019-02-15 2019-03-25 봉원호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
WO2019140832A1 (zh) * 2018-01-19 2019-07-25 深圳市海目星激光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变压器引线焊接设备
CN110270752A (zh) * 2019-07-05 2019-09-24 朱琳 一种软包动力电池用正负极Tab同工位焊接装置及方法
WO2023003105A1 (ko) * 2021-07-23 2023-01-26 엘에스일렉트릭 주식회사 브레이징 시스템 및 브레이징 방법
KR20240008538A (ko) 2022-07-12 2024-01-19 신성에스티 주식회사 용가재의 절단 및 가접장치와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2188A (ja) 1998-07-03 2000-01-21 Npc:Kk タブリードのはんだ付け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2188A (ja) 1998-07-03 2000-01-21 Npc:Kk タブリードのはんだ付け装置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164B1 (ko) 2013-12-23 2015-08-20 주식회사 피플웍스 Tco 부품 삽입검사장치
CN106735683A (zh) * 2017-01-04 2017-05-31 佛山市奥拓玛智能设备有限公司 家用空调消音器组件转盘式多工位自动火焰钎焊机
WO2019140832A1 (zh) * 2018-01-19 2019-07-25 深圳市海目星激光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变压器引线焊接设备
KR101878632B1 (ko) * 2018-02-13 2018-08-17 윤재기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
KR101962087B1 (ko) * 2019-02-15 2019-03-25 봉원호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
CN110270752A (zh) * 2019-07-05 2019-09-24 朱琳 一种软包动力电池用正负极Tab同工位焊接装置及方法
CN110270752B (zh) * 2019-07-05 2021-04-16 临沂广发科技电子有限公司 一种软包动力电池用正负极Tab同工位焊接装置及方法
WO2023003105A1 (ko) * 2021-07-23 2023-01-26 엘에스일렉트릭 주식회사 브레이징 시스템 및 브레이징 방법
KR20230015749A (ko) * 2021-07-23 2023-01-31 엘에스일렉트릭(주) 브레이징 시스템 및 브레이징 방법
KR102636906B1 (ko) * 2021-07-23 2024-02-14 엘에스일렉트릭(주) 브레이징 시스템 및 브레이징 방법
KR20240008538A (ko) 2022-07-12 2024-01-19 신성에스티 주식회사 용가재의 절단 및 가접장치와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3868B1 (ko) 자동차 배터리의 단자 연결용 접속구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8322591B2 (en) Automated assembly and welding of structures
CN201693312U (zh) 全自动螺帽焊接机
CN104801869B (zh) 一种汽车轮罩自动化焊接生产线及其生产方法
CN108723590B (zh) 一种组装设备
CN201815816U (zh) 防错检测焊接夹具
CN101774098A (zh) 机械部件的自动检测校正方法及装置
CN108339761A (zh) 一种基于红外热像仪检测的分拣焊接装置及其方法
CN210898858U (zh) 一种直流电机转子加工系统
CN110605579A (zh) 一种转盘式自动床脚焊接机
CN208342008U (zh) 灯头自动上料对焦焊接机
CN205032832U (zh) 双机器人协调焊接系统
CN108608116A (zh) 灯头自动上料对焦焊接机
CN106695152B (zh) 一种电子产品生产线及电子产品生产方法
CN210108255U (zh) 一种电磁离合器平面度检测装置
KR101189776B1 (ko) 고무 호스의 마킹 및 클램핑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7991608A (zh) 一种电机自动匝线测试机
CN112427802A (zh) 一种激光自动焊接装置
CN113560889B (zh) Led灯泡自动化组装设备
CN206105155U (zh) 全自动激光拼焊生产线
CN1778512A (zh) 机器人加工钣金件上凸焊的方法
CN105880107A (zh) 全自动点胶锁螺丝一体机
CN206165002U (zh) 喇叭引线自动焊接机
CN215266339U (zh) 一种太阳能电池组件叠片定位系统
CN209869431U (zh) 加长型抵抗体排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