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087B1 - 슬라이딩 방식의 고정 브라켓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방식의 고정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087B1
KR101183087B1 KR1020080129889A KR20080129889A KR101183087B1 KR 101183087 B1 KR101183087 B1 KR 101183087B1 KR 1020080129889 A KR1020080129889 A KR 1020080129889A KR 20080129889 A KR20080129889 A KR 20080129889A KR 101183087 B1 KR101183087 B1 KR 101183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intersecting
frame
coupled
bra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9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1244A (ko
Inventor
정운섭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80129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3087B1/ko
Publication of KR20100071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1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부재를 상호 고정하는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부재의 교차되는 면에 각각 장치되는 브라켓들이 슬라이딩하며 결합되도록 하는 한편 오목부가 맞닿아서 형성되는 공간에 고정구를 삽입하여 상기 교차하는 부재를 용이하고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슬라이딩 방식의 고정 브라켓이다.
고정 브라켓, 암수 결합, 슬라이딩, 고정구

Description

슬라이딩 방식의 고정 브라켓{Sliding type fixing bracket}
본 발명은 복수개의 부재를 상호 고정하는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부재의 교차되는 면에 각각 장치되는 브라켓들이 슬라이딩하며 결합되도록 하는 한편 오목부가 맞닿아서 형성되는 공간에 고정구를 삽입하여 상기 교차하는 부재를 용이하고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슬라이딩 방식의 고정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 설치되는 창호의 일반적인 구조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벽체(도시되지 않음)에 형성된 창호용 개방부(도시되지 않음)에 다수개의 분할 프레임(10)이 장치되어 창호(W)가 고정되며, 상기 분할 프레임(10)은 상기 개방부에 장치되는 메인 프레임(1)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분할 프레임(10)은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 분할 프레임(11)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 분할 프레임(12)을 포함한다.
상기 수평 및 수직 분할 프레임(11,12)를 상호 고정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크류를 사용하였다.
즉, 수직 분할 프레임(12)의 좌측에 수평 분할 프레임(11)을 고정함에 있어 스크류(S1)를 삽입하였다.
이후, 상기 수직 분할 프레임(12)의 우측에 또 다른 수평 분할 프레임(11)을 고정하기 위해 스크류(S2)를 경사진 방향으로 삽입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고정 방법에 의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스크류(S2)가경사진 방향으로 체결되어 상기 분할 프레임을 상호 고정하는 체결력이 약하여 구조적인 문제점을 야기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호 교차되는 분할 프레임에 슬라이딩 결합 방식의 브라켓을 설치하여 분할 프레임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슬라이딩 방식의 고정 브라켓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호 교차하는 부재들을 고정하기 위해 일측 및 타측 부재의 교차되는 면에 각각 장치되는 숫형 브라켓과 암형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숫형 브라켓은 상기 일측 부재의 교차되는 면에 장치되는 숫형 브라켓 본체와, 상기 본체 일측에 돌출되는 슬라이딩 바아를 포함하고, 상기 암형 브라켓은 상기 타측 부재의 교차되는 면에 장치되는 암형 브라켓 본체와 상기 본체 일측에 요홈되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바아가 슬라이딩하는 그루브를 포함하여, 상기 슬라이딩 바아가 그루브내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각 브라켓이 상호 결합되어 상기 부재들을 고정하는 슬라이딩 방식의 고정 브라켓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호 교차하는 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일측 및 타측 부재의 교차되는 면에 각각 장치되는 제1 브라켓 및 제2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제1브라켓은 복수개의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 끝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가 상기 일측 부재의 교차되는 면에 장치되고,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제1브라켓과 동일 형상이되 크기는 작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브라켓의 연결부가 상기 타측 부재의 교차되는 면에 장치되어, 상기 제2브라켓이 제1브라켓내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각 브라켓이 상호 결합되어 상기 부재들을 고정하는 슬라이딩 방식의 고정 브라켓에 다른 특징이 있다.
또한, 벽체의 개방부 내측 둘레면에 장치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내에 상호 교차하는 분할 프레임을 포함하는 창호 프레임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브라켓을 이용하여 상기 분할 프레임을 고정하는 슬라이딩 방식의 고정 브라켓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상기 브라켓을 슬라이딩하며 상호 결합할 수 있어 분할 프레임을 용이하고도 견고하게 고정하여 구조적인 안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방식의 고정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1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슬라이딩 방식의 고정 브라켓(100)은 도 3a 및 도 3b와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호 교차하는 부재(P1,P2)들을 고정하기 위해 일측 부재(P1)와 타측 부재(P2)가 교차되는 면에 각각 장치되는 숫형 브라켓(110)과 암형 브라켓(1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숫형 브라켓(110)은 상기 일측 부재(P1)의 교차되는 면에 장치되는 숫형 브라켓 본체(111)와, 상기 본체(111) 일측에 돌출되는 슬라이딩 바아(112)를 포함한다.
상기 암형 브라켓(120)은 상기 타측 부재(P2)의 교차되는 면에 장치되는 암형 브라켓 본체(121)와 상기 본체(121) 일측에 요홈되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바아(112)가 슬라이딩하는 그루브(122)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바아(112)가 상기 그루브(122)내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각 브라켓(110,120)이 상호 결합되며 이에 의해 상기 각 부재(P1,P2)가 상호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숫형 브라켓 본체(111)는 판체 형상을 구비하고 있으며, 슬라이딩 바아(112)는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빔 형상으로서 상기 본체(111)에서 돌출된다.
상기 암형 브라켓 본체(121)는 육면체 형상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그루브(122)는 상기 슬라이딩 바아(112)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유사하게 사각형 단면을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바아(112)가 상기 그루브(121)내에서 이동하며 상기 숫형 및 암형 브라켓(110,120)이 상호 결합되며, 결국 상기 숫형 및 암형 브라켓(110,120)이 장치되는 각 부재(P1,P2)가 상호 고정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바아(112)와 그루브(121)에 오목부(112a,122a)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오목부(112a,122a)는 상기 각 브라켓(110,120)이 결합된 후 상기 각 브라켓(110,120)의 상호 대향되는 영역에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각 오목부(112a,122a)가 맞닿아서 형성되는 공간(O)에 고정구(F)를 삽입하여 상기 각 브라켓(110,120)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구(F)로서 볼트 내지 스크류를 사용하여 상기 오목부(112a,122a)와 상호 나사결합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숫형 브라켓 본체(111)로서 판체 형상을 구비하고 , 슬라이딩 바아(112)는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빔 형상으로서 상기 본체(111)에서 돌출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암형 브라켓 본체(112)는 육면체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그루브(122)는 상기 슬라이딩 바아(112)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유사하게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숫형 브라켓 본체(111)와 암형 브라켓 본체(121)는 상기 각 부재(P1,P2)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딩 바아(112)와 그루브(122)를 지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바,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는 한 다른 형상-예를 들어 반구형과 같 은 곡면형상등-을 구비하는 경우에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이는 상기 슬라이딩 바아(112)와 그루브(122)의 경우에도 동일하다.
즉, 상기 슬라이딩 바아(112)와 그루브(122)의 형상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상기 슬라이딩 바아(112)와 그루브(122)가 다른 형상-예를 들어 원통형상-을 가지는 경우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바아(112)는 본 실시예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예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슬라이딩 바아(112)의 각도가 경사지도록 형성되어도 상기 그루브(122)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이상 상기 슬라이딩 바아(112)가 경사지게 형성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상기 숫형 브라켓(110)에 형성되는 오목부(112a)의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바아(112) 상하측에 각각 형성하되 반원형상을 구비하도록 형성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암형 브라켓(120)에 형성되는 오목부(122a)는 상기 그루브(122)의 내측면으로서 상기 슬라이딩 바아(112)가 삽입, 슬라이딩 할 때 상호 대향되는 면에 역시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예시된다.
이러한 상기 오목부(112a,122a)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O)에 고정구가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오목부(112a,122a)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 구(F)가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상기 오목부(112a,122a)가 다른 형상-예를 들어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경우에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오목부(112a,122a)가 상호 맞닿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상기 공간(O)을 형성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며 상기 고정구(F)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한, 상기 오목부(112a,122a)가 상호 맞닿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구(F)로서 볼트 또는 스크류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고정구(F)는 상기 숫형 및 암형 브라켓(110,120)의 상호 고정을 목적으로 하는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다른 종류의 고정구-예를 들어 접착제를 상기 공간(O)에 충진하여 고정구로 사용하는 경우-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슬라이딩 방식의 고정 브라켓(100)을 이용하여 상호 교차하는 부재(P1,P2)를 고정하는 방법에 대해 앞서 살펴본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수직 방향 부재(P1)에 암형 브라켓(120)이 장치된다. 이때 상기 수직 방향 부재(P1)는 이미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가정하고 수평 방향 부재(P2)를 상기 수직 방향 부재(P1)에 고정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수평 방향 부재(P2)에는 숫형 브라켓(110)이 장치된다.
이때 상기 수평 방향 부재(P2)는 상기 수직 방향 부재(P1)의 전후방향(방향 I)으로 밀어 넣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직 방향 부재(P1)에 장치되는 암형 브라켓(120)의 그루브(122)에 상기 숫형 브라켓(110)의 슬라이딩 바아(112)가 삽입, 슬라이딩된다.
이에 의해 상기 숫형 및 암형 브라켓(110,120)이 상호 결합되며, 이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목부(112a,122a)가 상호 맞닿아서 형성되는 공간(O)에 고정구(F)가 삽입되어 상기 브라켓(110,120)을 고정하게 되고, 결국 상기 수직 및 수평 부재(P1,P2)가 상호 고정된다.
한편 상기 수평부재(P2)의 설치 후 반대쪽에 또 다른 수평부재(P2')를 장치하는 경우에도 앞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정하게 된다.
종래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수평부재를 스크류에 의해 고정한 후 또 다른 수평부재 설치시 스크류를 경사진 방향으로 삽입, 고정하는 방식이었다.
이러한 종래 방식의 경우 그 작업이 어려운 한편 상기 스크류가 경사진 방향으로 체결되어 체결력이 약하여 구조적인 문제점을 야기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직 부재(P1)에 또 다른 수평 부재(P2')를 장치하는 경우 단순히 슬라이딩시키면 되므로 작업이 용이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구(F)가 사용되어 체결력 또한 우수하여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발명이다.
실시예2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고정 브라켓(200)은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호 교차하는 부재(P1,P2)를 고정하기 위해 일측 부재 (P1) 및 타측 부재(P2)의 교차되는 면에 각각 장치되는 제1 브라켓(210) 및 제2 브라켓(2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브라켓(210)은 복수개의 수평부(211,212)와 상기 수평부(211,212)의 끝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213)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213)가 상기 일측 부재(P1)의 교차되는 면에 장치된다.
상기 제2브라켓(220)은 상기 제1브라켓(110)과 동일 형상이되 크기는 작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브라켓(120)의 연결부(223)가 상기 타측 부재(P2)의 교차되는 면에 장치된다.
이때, 상기 제2브라켓(220)이 제1브라켓(210)내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각 브라켓(210,220)이 상호 결합되어 상기 부재(P1,P2)들을 고정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고정 브라켓(200)은 동일 형상을 가지되 크기가 상이하고 상기 각 부재(P1,P2)에 상호 대칭되게 장치된 후 보다 작은 브라켓이 큰 브라켓내에서 슬라이딩하면서 결합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브라켓(210)은 수평방향으로 상하 배치되되 사각형 단면의 빔 형상인 상부 수평부(211) 및 하부 수평부(212)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213)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수평부(211,212)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역시 사각형 단면의 빔 형상이다.
상기 제2브라켓(220)도 형상은 동일하며 크기만 작고 상호 대칭되도록 상기 부재(P2)에 장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브라켓(200)에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구(F)가 삽입되도록 하는 오목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브라켓(210)의 상하부 수평부(211,212)의 내측면에 각각 상기 오목부(211a,212a)가 형성된다.
상기 제2브라켓(220)에도 유사하게 오목부(221a,222a)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1브라켓(210) 및 제2브라켓(220)은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 제1 및 제2브라켓(210,220)은 동일 형상을 구비하되 작은 크기의 브라켓이 큰 크기의 브라켓 내부에서 슬라이딩하도록 하여 상호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다른 형상-예를 들어 "C"자 형상-을 구비하는 경우에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각 수평부(211,212,221,222) 및 연결부(213,223)는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빔 형상이 예시되어 있으나 이 역시 상기 수평부(211,212,221,222) 및 연결부(213,223)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이므로 다른 단면의 형상-예를 들어 원형 단면-의 경우에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오목부(211a,212a,221a,222a)의 경우 및 고정구(F)의 경우도 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3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브라켓(300)은 앞서 설명한 브라켓(200)과 기본적인 형상은 동일하나 보다 안정적인 슬라이딩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브라켓(320)의 연결부(323) 반대쪽 수평부(321,322) 끝단에 접촉편(321b,322b)을 형성하되, 상기 접촉편(321b,322b)은 상기 수평부(321,322) 끝단과 직교하는 방향이면서 상기 제2브라켓(320)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1브라켓(310)의 연결부(313) 반대쪽 수평부(311,312) 끝단에 접촉편(311b,312b)을 형성하되, 상기 접촉편(311b,312b)은 상기 수평부(311,312) 끝단과 직교하는 방향이되 상기 제1브라켓(310)의 내측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상기 제1브라켓(310) 내부에서 제2브라켓(320)이 보다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브라켓(320)의 접촉편(321b,322b)이 제1브라켓(310)의 상하부 수평부(311,312)내측에 접촉되거나 또는 거의 접촉할 정도로 가깝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브라켓(310)의 접촉편(311b,312b) 또한 상기 제2브라켓(320)의 상하부 수평부(321,322) 외측에 접촉되거나 거의 접촉할 정도로 가깝게 배치되어 있어 상 기 제2브라켓(320)이 제1브라켓(310)내부에서 슬라이딩 할 때 상기 접촉편과 수평부의 접촉에 의해 안정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의 브라켓(300)에서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오목부(311a,312a,321a,322a)가 형성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4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고정 브라켓(400)은 벽체의 개방부 내측 둘레면에 장치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내에 상호 교차하는 분할 프레임을 포함하는 창호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분할 프레임을 상호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 브라켓(400)은 상기 분할 프레임(P3,P4)들을 고정하기 위해 일측 분할 프레임(P3) 및 타측 분할 프레임(P4)의 교차되는 면에 각각 장치되는 숫형 브라켓(410) 및 암형 브라켓(4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숫형 브라켓(410)과 암형 브라켓(420)은 실시예1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며, 본 실시예에서의 숫형 브라켓(410)과 암형 브라켓(420)이 장치되는 대상이 분할 프레임(P3,P4)라는 점이 상이할 뿐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브라켓(400)에 의해 상기 분할 프레임(P3,P4)을 용이하고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해 다시 설명한다.
우선 수직 방향 분할 프레임(P3)에 암형 브라켓(420)이 장치된다. 이때 상기 수직 방향 분할 프레임(P3)은 이미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가정하고 수평 방향 분할 프레임(P4)은 상기 수직 방향 분할 프레임 (P3)에 고정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수평 방향 분할 프레임 (P4)에는 숫형 브라켓(110)이 장치된다.
이때 상기 수평 방향 분할 프레임 (P4)는 상기 수직 방향 분할 프레임(P3)의 전후방향(방향 I)으로 밀어 넣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직 방향 부재(P3)에 장치되는 암형 브라켓(420)의 그루브(422)에 상기 숫형 브라켓(410)의 슬라이딩 바아(412)가 삽입, 슬라이딩된다.
이에 의해 상기 숫형 및 암형 브라켓(410,420)이 상호 결합되며, 이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목부(도면 부호 없음)가 상호 맞닿아서 형성되는 공간(O)에 고정구(F)가 삽입되어 상기 브라켓(410,420)을 고정하게 되고, 결국 상기 수직 및 수평 분할 프레임(P3,P4)이 상호 고정된다.
한편 상기 수평 방향 분할 프레임(P4)의 설치 후 반대쪽에 또 다른 수평 방향 분할 프레임(P4')을 장치하는 경우에도 앞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정하게 된다.
종래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수평부재를 스크류에 의해 고정한 후 또 다른 수평부재 설치시 스크류를 경사진 방향으로 삽입, 고정하는 방식이었다.
이러한 종래 방식의 경우 그 작업이 어려운 한편 상기 스크류가 경사진 방향 으로 체결되어 체결력이 약하여 구조적인 문제점을 야기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직 방향 분할 프레임(P4)에 또 다른 수평 방향 분할 프레임(P4')을 장치하는 경우 단순히 슬라이딩시키면 되므로 작업이 용이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구(F)가 사용되어 체결력 또한 우수하여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라켓(410,420)이 결합된 후 미관을 위해 상기 브라켓(410,420)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숫형 브라켓(410) 또는 암형 브라켓(420)이 장치되는 분할 프레임(P3,P4)의 실내측면에 장치되는 차단판(C1)을 더 포함하여 상기 브라켓(P3,P4)이 결합된 후 상기 브라켓(P3,P4)이 실내측으로부터 볼 때 가려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숫형 브라켓(410)이 장치되는 수평 분할 프레임(P4,P4')에 상기 차단판(C1)이 장치되어 있다.
물론 상기 차단판(C1)이 상기 수직 분할 프레임(P3)에 장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5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고정 브라켓(500) 역시 벽체의 개방부 내측 둘레면에 장치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내에 상호 교차하는 분할 프레 임을 포함하는 창호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분할 프레임을 상호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 브라켓(500)은 상기 교차 결합하는 분할 프레임(P3,P4)을 고정하기 위해 일측 분할 프레임(P3) 및 타측 분할 프레임(P4)의 교차되는 면에 각각 장치되는 제1 브라켓(510) 및 제2 브라켓(5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브라켓(510)과 제2 브라켓(520)은 실시예2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의 제1 브라켓(510)과 제2 브라켓(520)이 장치되는 대상이 분할 프레임(P3,P4)라는 점이 상이할 뿐임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510,520)이 결합된 후 상기 브라켓(510,520)이 실내측으로부터 볼 때 가려지는 것이 외관상 유리하다.
이를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은 차단판(C)을 장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차단판(C)구조는 후술되는 실시예에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6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고정 브라켓(500) 역시 벽체의 개방부 내측 둘레면에 장치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내에 상호 교차하는 분할 프레임을 포함하는 창호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분할 프레임을 상호 고정하기 위한 것 이다.
즉,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브라켓(600)은 상기 교차 결합하는 분할 프레임(P3,P4)을 고정하기 위해 일측 분할 프레임(P3) 및 타측 분할 프레임(P4)의 교차되는 면에 각각 장치되는 제1 브라켓(610) 및 제2 브라켓(6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브라켓(610)과 제2브라켓(620)은 실시예2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의 제1 브라켓(610)과 제2 브라켓(620)이 장치되는 대상이 분할 프레임(P3,P4)라는 점이 상이할 뿐임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 외는 모두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벽체에 장치되는 메인 프레임 및 분할 프레임의 개념도,
도 2는 종래의 분할 프레임을 고정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3a 내지 도 6b는 상호 교차하는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본 발명의 브라켓에 대한 각종 실시예를 도시하는 결합 사시도,
도 7a 내지 도 9b는 벽체에 장치되는 분할 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한 본 발명의 브라켓에 대한 각종 실시예를 도시하는 결합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1,P2 ,P3,P4 : 상호 교차하는 부재
100,200,300,400,500,600 : 고정 브라켓
F : 고정구

Claims (8)

  1. 상호 교차하는 부재들을 고정하기 위해 일측 및 타측 부재의 교차되는 면에 각각 장치되는 숫형 브라켓과 암형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숫형 브라켓은 상기 일측 부재의 교차되는 면에 장치되는 숫형 브라켓 본체와, 상기 본체 일측에 돌출되는 슬라이딩 바아를 포함하고,
    상기 암형 브라켓은 상기 타측 부재의 교차되는 면에 장치되는 암형 브라켓 본체와 상기 본체 일측에 요홈되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바아가 슬라이딩하는 그루브를 포함하여,
    상기 슬라이딩 바아가 그루브내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각 브라켓이 상호 결합되어 상기 부재들을 고정하고,
    상기 각 브라켓이 결합된 후 상기 각 브라켓의 상호 대향되는 영역에 각각 형성되는 오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는 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의 고정 브라켓.
  2. 상호 교차하는 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일측 및 타측 부재의 교차되는 면에 각각 장치되는 제1 브라켓 및 제2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제1브라켓은 복수개의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 끝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가 상기 일측 부재의 교차되는 면에 장치되고,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제1브라켓과 동일 형상이되 크기는 작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브라켓의 연결부가 상기 타측 부재의 교차되는 면에 장치되어,
    상기 제2브라켓이 제1브라켓내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각 브라켓이 상호 결합되어 상기 부재들을 고정하고,
    상기 각 브라켓이 결합된 후 상기 각 브라켓의 상호 대향되는 영역에 각각 형성되는 오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는 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의 고정 브라켓.
  3. 벽체의 개방부 내측 둘레면에 장치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내에 상호 교차하는 분할 프레임을 포함하는 창호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분할 프레임들을 고정하기 위해 일측 및 타측 분할 프레임의 교차되는 면에 각각 장치되는 숫형 브라켓 및 암형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숫형 브라켓은 상기 일측 부재의 교차되는 면에 장치되는 숫형 브라켓 본체와, 상기 본체 일측에 돌출되는 슬라이딩 바아를 포함하고,
    상기 암형 브라켓은 상기 타측 부재의 교차되는 면에 장치되는 암형 브라켓 본체와 상기 본체 일측에 요홈되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바아가 슬라이딩하는 그루브를 포함하여,
    상기 슬라이딩 바아가 그루브내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각 브라켓이 상호 결합되어 상기 분할 프레임들을 고정하고,
    상기 각 브라켓이 결합된 후 상기 각 브라켓의 상호 대향되는 영역에 각각 형성되는 오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는 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의 고정 브라켓.
  4. 벽체의 개방부 내측 둘레면에 장치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내에 상호 교차 결합하는 분할 프레임을 포함하는 창호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교차 결합하는 분할 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해 일측 및 타측 분할 프레임의 교차되는 면에 각각 장치되는 제1 브라켓 및 제2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제1브라켓은 복수개의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 끝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가 상기 일측 부재의 교차되는 면에 장치되고,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제1브라켓과 동일 형상이되 크기는 작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브라켓의 연결부가 상기 타측 부재의 교차되는 면에 장치되어,
    상기 제2브라켓이 제1브라켓내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각 브라켓이 상호 결합되어 상기 분할 프레임들을 고정하고,
    상기 각 브라켓이 결합된 후 상기 각 브라켓의 상호 대향되는 영역에 각각 형성되는 오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는 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의 고정 브라켓.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오목부와 상기 고정구는 나사결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의 고정 브라켓.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이 장치되는 분할 프레임의 실내측면에 장치되는 차단판을 더 포함하여 상기 브라켓이 결합된 후 상기 브라켓이 실내측으로부터 볼 때 가려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의 고정 브라켓.
  8.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라켓의 연결부 반대쪽 수평부 끝단에 접촉편을 형성하되, 상기 접촉편은 상기 수평부 끝단과 직교하는 방향이면서 상기 제2브라켓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브라켓의 연결부 반대쪽 수평부 끝단에 접촉편을 형성하되, 상기 접촉편은 상기 수평부 끝단과 직교하는 방향이되 상기 제1브라켓의 내측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의 고정 브라켓.
KR1020080129889A 2008-12-19 2008-12-19 슬라이딩 방식의 고정 브라켓 KR101183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889A KR101183087B1 (ko) 2008-12-19 2008-12-19 슬라이딩 방식의 고정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889A KR101183087B1 (ko) 2008-12-19 2008-12-19 슬라이딩 방식의 고정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244A KR20100071244A (ko) 2010-06-29
KR101183087B1 true KR101183087B1 (ko) 2012-09-20

Family

ID=42368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889A KR101183087B1 (ko) 2008-12-19 2008-12-19 슬라이딩 방식의 고정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30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045B1 (ko) * 2016-11-02 2017-05-25 주식회사 윤준에스티 간격조절이 가능한 강관버팀보 연결잭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181B1 (ko) * 2010-12-23 2013-06-19 이선중 커튼월용 조립식 프레임
KR200485896Y1 (ko) * 2016-03-17 2018-03-08 정재홍 프레임 연결구
WO2020091285A1 (ko) * 2018-10-31 2020-05-07 휴인 주식회사 기둥과 보의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구조물
KR102188085B1 (ko) * 2019-04-26 2020-12-07 휴인 주식회사 이중 긴장재 도입형 기둥과 보의 구조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1493A (ja) * 1997-09-08 1999-03-26 Yamashita Komuten:Kk 建築用角材を接続する方法及びその接続具
JP2005090086A (ja) * 2003-09-17 2005-04-07 T Kato Co Ltd 木材の結合構造
KR100863577B1 (ko) * 2006-06-23 2008-10-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창호프레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1493A (ja) * 1997-09-08 1999-03-26 Yamashita Komuten:Kk 建築用角材を接続する方法及びその接続具
JP2005090086A (ja) * 2003-09-17 2005-04-07 T Kato Co Ltd 木材の結合構造
KR100863577B1 (ko) * 2006-06-23 2008-10-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창호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045B1 (ko) * 2016-11-02 2017-05-25 주식회사 윤준에스티 간격조절이 가능한 강관버팀보 연결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244A (ko) 201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5295B2 (en) Slotted track with double-ply sidewalls
KR101183087B1 (ko) 슬라이딩 방식의 고정 브라켓
US20140305063A1 (en) Panel for Wall of a Set Building and Thereof Construction Method
KR101728636B1 (ko) 건축용 무용접 스틸 레일 프로파일 구조물
KR200476249Y1 (ko) 진열대 조립용 연결구
EA010224B1 (ru) Стеновой или дверной элемент
KR20160056662A (ko) 주거형 컨테이너 구조물의 조립구조
RU2581597C2 (ru) Навесная рама для электрошкафа или стойки
US10508433B2 (en)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assembly and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method using same
CN102076919A (zh) 由型材和连接件组成的用于形成承载结构的系统
RU2566257C2 (ru) Дверной блок
KR101331124B1 (ko) 천장 스크린 루버 고정구조
KR20190116627A (ko) 조립식 칸막이
KR20150045807A (ko) 오픈조인트공법용 기능성 외장마감재 고정장치
JP3184924U (ja) パネルフェンス
WO2015146475A1 (ja) パネルの取付構造
JP2010090636A (ja) 平板状パネルの取付具、平板状パネルの取付構造
JP6857037B2 (ja) 構造体
KR200402360Y1 (ko) 행거
KR101711556B1 (ko) 칸막이 판넬과 도어 설치용 고정 프레임
JP6999333B2 (ja) 浴室フレームの連結構造
KR20090027002A (ko) 유리벽 시공용 클램프
KR102397074B1 (ko) 단열 커튼월
JP7482512B2 (ja) 仮囲い用コーナー部材
KR20150074536A (ko) 수납용 조립식 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