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2888B1 - 다층판의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다층판의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2888B1
KR101182888B1 KR1020100105137A KR20100105137A KR101182888B1 KR 101182888 B1 KR101182888 B1 KR 101182888B1 KR 1020100105137 A KR1020100105137 A KR 1020100105137A KR 20100105137 A KR20100105137 A KR 20100105137A KR 101182888 B1 KR101182888 B1 KR 101182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aper
groove
bonding
solid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5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3873A (ko
Inventor
친-흐싱 호릉
Original Assignee
친-흐싱 호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친-흐싱 호릉 filed Critical 친-흐싱 호릉
Priority to KR1020100105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2888B1/ko
Publication of KR20120043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3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4Stacked arrangements of planar printed circuit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anding Axle, Rod, Or Tube Structures Coupled By Welding, Adhesion, O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 다층판의 결합 구조는 제1판, 외측면 및 상기 제1판의 표면에 접합되는 접합면이 설치된 제2판을 포함하는 다층판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1판의 표면에 설치되는 접합부;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의 접합시 상기 접합부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접합부와 정면으로 대응되는 상기 제2판에 설치되는 용치홈; 상기 용치홈 내에 형성되되 상기 외측면과 상기 접합면 사이에 위치하는 외부확대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면에 인접한 부위의 용치홈의 가로 절단 면적은 상기 접합면에 인접한 부위의 용치홈의 가로 절단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고체화접착제를 상기 제2판의 용치홈 내에 채울 때 상기 외부확대공간 내에 제1제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접합부 내에 제2제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제1판과 제2판 사이에 고체화접착제를 주입한 후 고체화되면 외부확대공간 내에 제1제지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접합부의 측판과 제1판 표면 사이에 제2제지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제1판과 제2판을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다층판의 결합 구조{MULTI LAYER BOARDS CONNECTING STRUCTURE}
본 발명은 다층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의 판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다층판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자제품들은 나날이 놀라운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또한 점점 경박단소한 형태로 변하면서 많은 전자제품(예를 들면 핸드폰이나 노트북, PDA 등)이 사용자의 휴대가 용이하도록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휴대가 편리하도록 하기 위해 대부분의 제품들이 중량을 최대한 줄이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으로 가장 흔히 사용되는 것은 금형 박판 방식으로 제작한 금속판 부품에 지지부품을 설치하고, 지지부품을 이용해 금속판 부품의 변형력을 제지함과 동시에 제품의 전체적인 중량을 줄이고 있다.
금속판 부품은 또한 제품을 보호해주는 기능 외에도 도금 및 도장 등의 외관 처리에도 매우 편리하기 때문에 대다수의 전자제품들의 외부케이스로 금속판 케이스를 사용하고 있다.
현재 상기 지지부품을 금속판 부품 내에 설치할 때, 대부분 두 부품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금속판 부품이 플라스틱판 부품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런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점과 불편한 점이 존재하고 있다.
(1)접착제가 경화된 후, 그 체적이 약간 축소되어(일부 액체가 휘발되어짐) 금속판 부품과 플라스틱판 부품 사이에 틈이 생기기 쉬우며 이로 인해 제품의 불량율이 높아지게 된다.
(2)전자제품 외부케이스는 사용시 대부분 케이스를 열고 닫으며 사용하는 경우가 잦으며, 이렇게 여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손으로 외부 케이스의 한 곳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열거나 혹은 반동을 이용해 외부 케이스를 열게 되는데 그 결과 금속판 부품과 플라스틱판 부품 사이에 비틀림력이 발생되어 서로 불균형하게 힘을 받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해 접착제가 비틀림력으로 인해 외부케이스에서 분리되어 외부케이스가 망가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3)금속판 부품과 플라스틱 부품을 결합할 때, 반드시 접착제가 완전히 경화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가공 시간이 길어지게 되며 그로 인해 전체적인 생산 시간에 불편함이 있고, 또한 접착체 사용에 필요한 단가가 비교적 높기 때문에 전자제품의 판매 가격 역시 높아지기 때문에 구매자의 구매 의사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고체화접착제를 제2판의 용치홈에 주입 설치하여 상기 고체화접착제가 상기 제2판과 제2판의 한 측면에 설치된 제1판 사이를 견고하게 접착시킴으로써 제1판과 제2판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다층판의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다층판의 결합 구조는 제1판, 외측면 및 상기 제1판의 표면에 접합되는 접합면이 설치된 제2판을 포함하는 다층판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1판의 표면에 설치되는 접합부;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의 접합시 상기 접합부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접합부와 정면으로 대응되게 상기 제2판에 설치되는 용치홈; 상기 용치홈 내에 형성되되 상기 외측면과 상기 접합면 사이에 위치하는 외부확대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면에 인접한 부위의 용치홈의 가로 절단 면적은 상기 접합면에 인접한 부위의 용치홈의 가로 절단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고체화접착제를 상기 제2판의 용치홈 내에 채울 때 상기 외부확대공간 내에 제1제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접합부 내에 제2제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체화접착제는 고분자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접합부에는 측판이 설치되고, 상기 측판의 한 끝은 상기 제1판 표면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한 끝은 제1판 표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뻗어나와 설치되고, 상기 제2제지부는 상기 측판과 상기 제1판 표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판은 상기 제1판과 서로 연결 결합되는 곳의 양측에 각각 상기 제1판을 향해 뻗어 나온 형태로 날개판을 설치하고, 상기 날개판의 끝단은 상기 제1판과 서로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측판은 하나의 간격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판의 결합 구조에 의하면, 제1판과 제2판 사이에 고체화접착제를 주입한 후 고체화되면 외부확대공간 내에 제1제지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접합부의 측판과 제1판 표면 사이에 제2제지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제1판과 제2판을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입체 외관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측면 단면 분해 외관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고체화접착제를 채워 넣은 상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고체화접착제를 채워 넣은 상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고체화접착제를 채워넣은 상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6은 상기 제4실시예의 입체 외관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입체 외관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상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입체 외관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완성품에 관한 외관도이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다층판의 결합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에서 도3까지의 내용을 참조해보면, 본 도면들을 보아 잘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인 다층판의 결합 구조는 제1판(1)과 제2판(2) 및 고체화접착제(3)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중 제1판(1) 표면에는 접합부(11)가 설치되고, 접합부(11)에는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의 측판(111)이 설치되고, 측판(111)의 한 끝은 제1판(1) 표면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한 끝은 제1판(1) 표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뻗어나와 있다.
제2판(2)의 양 측에는 각각 외측면(21)과 접합면(22)이 설치되어 있고, 제2판(2)은 외측면(21)과 접합면(22)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용치홈(23)을 포함하고 있으며, 용치홈(23)에는 외측면(21)과 접합면(22)의 사이에 면적의 차이가 단계적으로 나는 외부확대공간(231)이 설치되고, 상기 외측면(21)에 인접한 부위의 용치홈(23)의 가로 절단 면적이 상기 접합면(22)에 인접한 부위의 용치홈(23)의 가로 절단 면적보다 크게 된다.
상기 고체화접착제(3)는 유체형태에서 일정 반응을 거쳐 고체화되는 제품을 사용하며, 상기 고체화접착제는 열고형 플라스틱, 열소조형 플라스틱, UV 등과 같은 고분자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다층판의 결합 구조는, 제1판(1)과 제2판(2)을 결합 고정시킬 때, 우선 제2판(2)을 제1판(1)의 표면에 설치한 후, 제2판(2)의 접합면(22)이 제1판(1)의 표면에 접합되도록 하고, 이때 상기 용치홈(23)은 상기 접합부(11)와 정면으로 대응하게 되고, 접합부(11)를 용치홈(23) 내에 설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아직 고체화되지 않은 고체화접착제(3)를 제2판(2)의 용치홈(23) 내에 주입하여 채워 넣게 되고, 고체화접착제(3)가 고체화되면, 외부확대공간(231) 내에 제1제지부(31)가 형성되며, 접합부(11)의 측판(111)과 제1판(1) 표면 사이에는 제2제지부(32)가 형성된다.
이때 고체화접착제(3)의 제2제지부(32)가 측판(111)과 제1판(1) 표면 사이에 설치되기 때문에 고체화접착제(3)가 제1판(1) 표면에 견고하게 접합 고정된다.
또한 용치홈(23)의 외부확대공간(231)은 외측면(21) 부위에 인접한 용치홈(23)의 가로 절단 면적이 접합면(22) 부위에 인접한 용치홈(23)의 가로 절단 면적보다 크게 되고, 그로 인해 고체화접착제(3)가 외부확대공간(231)에 형성한 제1제지부(31)가 형성되며, 그 결과 제2판(2)이 제1판(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분리되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제2판(2)이 제1판(1) 표면에 견고하게 고정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도4와 도5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도4에서 잘 알 수 있듯이 용치홈(23)은 외측면(21)과 접합면(22)의 사이에 기울어진 면 형태의 외부확대공간(232)이 설치되고, 고체화접착제(3)가 고체화 된 후, 외부확대공간(232)에 형성되는 제1제지부(33)로 인해 제2판(2)을 제1판(1) 방향에서 멀어지며 분리되는 현상을 제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5에서 잘 알 수 있듯이, 용치홈(23)은 외측면(21)과 접합면(22)사이에 외부확대공간(233)이 설치되며, 외부확대공간(233)은 접합면(22) 근처에서 외측면(21)을 향해 점점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고체화접착제(3)가 고체화 된 후, 외부확대공간(232)에 형성된 제1제지부(34)로 인해 제2판(2)이 제1판(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6에서 도9의 내용을 참조해보면, 도면 중에서 잘 알 수 있듯이, 측판(111)은 제1판(1)과 결합하여 인접한 양측에는 각각 제1판(1)을 향해 뻗어 나온 형태로 날개판(112)을 설치하고, 날개판(112)의 끝단은 제1판(1)과 서로 연결되어지며, 측판(111)는 날개판(112)을 통해 더욱 강력한 비틀림 방지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접합부(11)의 복수 개의 측판(111)은 나선 방향으로 뻗어나오는 형태로 설치되거나 혹은 동일한 형태로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뻗어나오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용치홈(23)은 원형 혹은 방형 혹은 장방형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3과 도10의 내용을 참조해보면, 도면에서 잘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제1판(1) 상에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접합부(11)를 설치할 수 있고, 제2판(2) 상에 서로 대응되는 용치홈(23)을 설치하여 제1판(1)과 제2판(2)을 고체화접착제(3)를 이용해 결합할 때, 더욱 견고한 결합 상태를 달성할 수 있다.
제1판(1)과 제2판(2)은 금속재질 혹은 비금속 재질로 제작 완성할 수 있으며, 고체화접착제(3)는 사출기기를 이용해 삽입식 사출 방식으로 제2판(2)의 용치홈(23) 내로 주입되어 들어갈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기존의 기술에서 가지고 있던 문제점을 해결하고 기능 효과를 더욱 증진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관건 기술은 제1판(1)의 접합부(11)를 이용해 고체화접착제(3)를 용치홈(23) 내에서 고체화 시킨 후, 더욱 견고하게 접합부(11)와 결합 고정 작업을 완성할 수 있다.
또한 용치홈(23)을 이용해 설치한 외부확대공간(231, 232, 233)으로 인해 용치홈(23) 중 외측면(21) 부위에 인접한 용치홈(23)의 가로 절단 단면이 접합면(22) 부위에 인접한 용치홈(23)의 가로 절단 면적보다 크게 되어, 고체화접착제(3)의 제1제지부(31, 33, 34)가 제2판(2)이 제1판(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분리될 수 없도록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치홈(23) 내에 주입된 고체화접착제(3)를 통해, 제1판(1)과 제2판(2)이 외부확대공간(231, 232, 233)과 접합부(11) 사이에 견고한 결합 구조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고체화접착제(3)의 종류는 제작 과정 시의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제1판(1)과 제2판(2)이 결합할 때 고체화접착제(3)는 몰드내 사출 방식, 주입 방식, 열성형 방식, UV경화 방식 등의 다양한 제작 방법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 : 제1판 2 : 제2판
3 : 고체화접착제 11 : 접합부
21 : 외측면 22 : 접합면
23 : 용치홈 31, 33, 34 : 제1제지부
32 : 제2제지부 111 : 측판
112 : 날개판 231, 232, 233 : 외부확대공간

Claims (5)

  1. 제1판, 외측면 및 상기 제1판의 표면에 접합되는 접합면이 설치된 제2판을 포함하는 다층판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1판의 표면에 설치되는 접합부;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의 접합시 상기 접합부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접합부와 정면으로 대응되게 상기 제2판에 설치되는 용치홈;
    상기 용치홈 내에 형성되되 상기 외측면과 상기 접합면 사이에 위치하는 외부확대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면에 인접한 부위의 용치홈의 가로 절단 면적은 상기 접합면에 인접한 부위의 용치홈의 가로 절단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고체화접착제를 상기 제2판의 용치홈 내에 채울 때 상기 외부확대공간 내에 제1제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접합부 내에 제2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합부에는 측판이 설치되고, 상기 측판의 한 끝은 상기 제1판 표면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한 끝은 제1판 표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뻗어나와 설치되고, 상기 제2제지부는 상기 측판과 상기 제1판 표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판의 결합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화접착제는 고분자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판의 결합 구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은 상기 제1판과 서로 연결 결합되는 곳의 양측에 각각 상기 제1판을 향해 뻗어 나온 형태로 날개판을 설치하고, 상기 날개판의 끝단은 상기 제1판과 서로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판의 결합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은 하나의 간격 이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판의 결합 구조.
KR1020100105137A 2010-10-27 2010-10-27 다층판의 결합 구조 KR101182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137A KR101182888B1 (ko) 2010-10-27 2010-10-27 다층판의 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137A KR101182888B1 (ko) 2010-10-27 2010-10-27 다층판의 결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3873A KR20120043873A (ko) 2012-05-07
KR101182888B1 true KR101182888B1 (ko) 2012-09-13

Family

ID=46263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5137A KR101182888B1 (ko) 2010-10-27 2010-10-27 다층판의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288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3873A (ko) 2012-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1498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nic device enclosure
JP6077024B2 (ja) 筐体用材料、電子機器及び筐体用材料の製造方法
US10688624B2 (en) Electronic device structure formed from porous metal bonded to plastic
CN102076189B (zh) 电子设备部件、电子设备和相关方法
JP2016086151A (ja) 金属ケース、この金属ケースを備える電子装置並びにこの金属ケースの製造方法
JP5916695B2 (ja) 変形防止のためのフレーム組み立て構造及びそれを有する電子装置
CN106484039B (zh) 壳体用部件及其制造方法、相关设备以及紧固方法
US20080160253A1 (en) Plastic coated edge structure use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WO2018072285A1 (zh) 一种用于移动终端的中框及移动终端
CN102202477A (zh) 电子装置壳体
CN107390778B (zh) 壳体用部件以及电子设备
KR102110010B1 (ko) 케이스용 부재 및 전자 기기
CN102418835B (zh) 多层板件结合结构
KR101182888B1 (ko) 다층판의 결합 구조
US86288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onding metals and composites
JP6491720B1 (ja) 筐体用部材の製造方法、積層板、筐体用部材及び電子機器
KR101164361B1 (ko) 금속판 부품에 일체로 구비되는 결합부품
US8349433B2 (en) Multi-layer plate member bonding structure
JP2012082935A (ja) 多層板部材の結合構造
JP2011055107A (ja) 携帯端末装置の筐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215912372U (zh) 一种电子设备壳体
JP2021102302A (ja) 筐体用部材及び筐体用部材の製造方法
TWI589210B (zh) 複合材料殼體
TWM400524U (en) An integrated protrusive joining parts of metal plate
JP2011031415A (ja) 接合機能を有する金属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