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2764B1 - 환경 유해물질 프탈레이트류 노출 여부 확인용 단백체 생체지표 - Google Patents

환경 유해물질 프탈레이트류 노출 여부 확인용 단백체 생체지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2764B1
KR101182764B1 KR1020090121809A KR20090121809A KR101182764B1 KR 101182764 B1 KR101182764 B1 KR 101182764B1 KR 1020090121809 A KR1020090121809 A KR 1020090121809A KR 20090121809 A KR20090121809 A KR 20090121809A KR 101182764 B1 KR101182764 B1 KR 101182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exposure
phthalate
ethylhexyl phthalate
bioma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1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4996A (ko
Inventor
설동근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21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2764B1/ko
Publication of KR20110064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 G01N33/582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with fluorescent labe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50Determining the risk of developing a dise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93/00Manufacturing container or tube from paper; or other manufacturing from a sheet or web
    • Y10S493/961Tag, marker, or label

Abstract

본 발명은 환경 유해물질 프탈레이트류 노출 여부 확인용 단백체 생체지표에 관한 것으로,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에 노출된 간세포, 또는 혈액 등에서 프로테옴 분석을 통해 특이적으로 단백질 발현이 증가 또는 감소하는 단백체 생체지표를 발굴하여 프탈레이트류 노출의 정량적 평가뿐만 아니라 프탈레이트류 노출로 인한 질병 발생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프탈레이트, 프로테옴, 단백체 생체지표

Description

환경 유해물질 프탈레이트류 노출 여부 확인용 단백체 생체지표{Proteomics biomarker for identification of exposure to phthalate compounds as environmental toxic materials}
본 발명은 환경 유해물질 프탈레이트류 노출 여부 확인용 단백체 생체지표에 관한 것으로,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에 노출된 간세포, 또는 혈액 등에서 프로테옴 분석을 통해 특이적으로 단백질 발현이 증가 또는 감소하는 단백체 생체지표를 발굴하여 프탈레이트류 노출의 정량적 평가뿐만 아니라 프탈레이트류 노출로 인한 질병 발생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환경 유해물질 프탈레이트류 노출 여부 확인용 단백체 생체지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문제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환경 유해물질이 낮은 농도로 노출되는 수준에서의 건강문제에 관련되어 많은 논란이 있는 실정이며, 현재까지는 통계적 모델링에 의한 위해도 평가(risk assessment) 방법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세계적으로 추구되고 있는 분자수준의 생물지표를 기반으로 하는 차세대 독성평가의 주요 토픽은 단백체학(Proteomics)과 전사체학(Transcriptomics)의 유전체학(Genomics)과 대사체학(Metabolomics)을 기반으로 하는 독성 유전체학(Toxicogenomics) 연구들이다.
독성 단백체 연구는 환경 유해물질의 특이 생체지표 발굴을 통하여 인간 건강 위해성 평가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므로 환경 유해물질 노출의 위해성 평가와 더불어 환경 유해물질로 인한 향후 질환 발생의 예방조치를 취할 수가 있다.
독성 단백체학을 기반으로 한 단백체 지표 발굴연구 및 진단 키트개발을 통한 환경 유해물질의 노출 및 위해성 평가기법 개발은 연구의 체계화 및 표준화를 확립하여 분자 수준의 단백체 생체지표를 이용한 진보된 차세대 환경 유해물질 노출 및 위해성 평가기법을 정립하여 국가차원의 전략기술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프탈레이트류의 노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단백체 지표는 보고된 바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환경 유해물질인 프탈레이트류의 생체 내 노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단백체 생체지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Cystatin C, Rho-GDIα, Retinol Binding Protein, Gelsolin, DEK, Raf Kinase Inhibitor Protein, Triose Phosphate Inhibitor, Cofilin-1 및 Haptoglob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프탈레이트 노출 여부 확인용 단백체 생체지표(biomarker)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백체 생체지표를 포함하는 프탈레이트 노출 여부 확인용 단백질 어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단백질 어레이를 포함하는 프탈레이트 노출 여부 확인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백체 생체지표를 이용한 프탈레이트 노출 여부 확인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환경 유해물질인 프탈레이트류의 생체 내 노출 여부를 정량적으로 검출할 수 있고, 나아가 환경 유해물질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중요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Cystatin C, Rho-GDIα, Retinol Binding Protein, Gelsolin, DEK, Raf Kinase Inhibitor Protein, Triose Phosphate Inhibitor, Cofilin-1 및 Haptoglob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프탈레이트 노출 여부 확인용 단백체 생체지표(biomarker)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프탈레이트 노출 여부 확인용 단백체 생체지표는 프탈레이트류 화합물에 노출된 인간 체세포, 또는 혈액 등에서 발현 빈도에 차이를 보이는 단백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백체의 발현 빈도의 차이는 프탈레이트류 화합물에 노출된 생체에서의 발현 증가 또는 저하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프탈레이트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76030605-pat00001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4의 알킬, 또는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치환체의 정의에 사용된 용어는 하기와 같다.
"알킬"은 다른 기재가 없는 한, 탄소수 1 내지 24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포화 탄화수소를 가리킨다. C1-24 알킬기의 예는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헥실, 헵틸, 옥틸, 노닐, 데실,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sec-부틸 및 tert-부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이소헥실, 이소헵틸, 이소옥틸, 이소노닐 및 이소데실이 포함되나,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릴"은 다른 기재가 없는 한, 6 내지 12-원의 방향족 고리화합물을 가리킨다. 아릴기의 예로는 페닐, 비페닐, 나프틸 및 안트라세닐을 포함하나,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은 구체적으로는,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일 수 있다.
가장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di-2-ethylhexyl phthalate)일 수 있다.
상기 단백체 생체지표는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에 대한 생체 노출 시 발현이 증가 또는 저하하는 단백질로,
구체적으로, Rho-GDIα, Gelsolin, Raf Kinase Inhibitor Protein, Triose Phosphate Inhibitor, 또는 Cofilin-1는 프탈레이트 노출 시 발현이 증가되는 단백질로, 가장 구체적으로는, 상기 Rho-GDIα, Gelsolin, Raf Kinase Inhibitor Protein 및 Triose Phosphate Inhibitor는 프탈레이트 노출 농도 의존적으로 발현이 증가하는 단백질이고, Cofilin-1은 프탈레이트 노출 시간 의존적으로 발현이 증가하는 단백질이다.
상기 Rho-GDIα는 공지된 인간 유래의 Rho-GDIα 아미노산 서열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으나, http://www.uniprot.org/에 등록된 accession no. IPI00003815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Gelsolin는 공지된 인간 유래의 Gelsolin 아미노산 서열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으나, http://www.uniprot.org/에 등록된 accession no. IPI0002631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Raf Kinase Inhibitor Protein는 공지된 인간 유래의 Raf Kinase Inhibitor Protein 아미노산 서열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으나, http://www.uniprot.org/에 등록된 accession no. IPI00219446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Triose Phosphate Inhibitor는 공지된 인간 유래의 Triose Phosphate Inhibitor 아미노산 서열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으나, http://www.uniprot.org/에 등록된 accession no. IPI0045140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Cofilin-1는 공지된 인간 유래의 Cofilin-1 아미노산 서열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으나, http://www.uniprot.org/에 등록된 accession no. IPI00012011.6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Cystatin C, Retinol Binding Protein, DEK, 또는 Haptoglobin는 프탈레이트 노출 시 발현이 저하되는 단백질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Cystatin C, Retinol Binding Protein, 또는 DEK는 프탈레이트 노출 농도 의존적으로 발현이 감소하고, Haptoglobin는 프탈레이트 노출 시간 의존적으로 발현이 감소하는 단백질이다.
상기 Cystatin C는 공지된 인간 유래의 Cystatin C 아미노산 서열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으나, http://www.uniprot.org/에 등록된 accession no. IPI0003229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Retinol Binding Protein는 공지된 인간 유래의 Retinol Binding Protein 아미노산 서열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으나, http://www.uniprot.org/에 등록된 accession no. IPI0002242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DEK는 공지된 인간 유래의 DEK 아미노산 서열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으나, http://www.uniprot.org/에 등록된 accession no. IPI00020021.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Haptoglobin는 공지된 인간 유래의 Haptoglobin 아미노산 서열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으나, http://www.uniprot.org/에 등록된 accession no. IPI00477597.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단백체 생체지표를 포함하는 프탈레이트 노출 여부 확인용 단백질 어레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프탈레이트 노출 여부 확인용 단백질 어레이에 포함된 단백체 생체지표는 시료에 존재하는 단백질의 양을 정량하기 위해 유사 또는 동일한 유사체에 대한 비교로 사용되는, 양을 알고 있는 절대량의 비교물질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시료의 단백질은 피검체의 체세포, 또는 혈액으로부터 얻을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체세포는 간세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어레이"는 고형 지지체 상 및/또는 용기 배열중에 존재하는 원소배열(예컨대 폴리펩티드)이다. 어레이는 가장 흔히 특정 공간-물리적 관계를 갖는 물리적 원소로 생각되며, 본 발명은 직선 공간 조직을 갖지 않는 "로지칼" 어레이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상이한 성분 중 또는 물리적으로 상이한 성분 상에 존재하는 하나 또는 몇 개의 해당 성분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은 어레이 구성원의 물리적 위치의 "색인" 표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로지칼 어레이를 창제한다. 따라서, 이동중인 성분도 어레이의 구성원이 특정되고 위치가 확인될 수 있는 한, 로지칼 어레이의 일부일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의 어레이가 유동 마이크로스케일 시스템으로 존재하는 경우 또는 하나 이상의 미소적정 트레이로 존재할 때 적절하다.
특정 어레이 포맷은 때때로 "칩" 또는 "바이오칩"으로도 불린다. 어레이는 예컨대 2 내지 약 10개의 번지지정 위치(addressable location)인 저밀도, 약 100개 이상의 위치인 중밀도, 또는 예컨대 1000개 이상의 고밀도 수를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칩 어레이 포맷은 용이한 조립, 취급, 배치, 스택, 시약 도입, 검출 및 저장을 허용하는 기하학적으로 일정한 형상이다. 그러나 불규칙적일 수도 있다. 하나의 전형적인 포맷으로서, 어레이는 종횡 포맷으로 구조화되며, 어레이 상의 구성원 세트의 각각의 위치 사이에는 규칙적인 간극이 존재한다. 다르게는, 상기 위치는 균등한 처리 또는 샘플링을 위해 번들화, 혼합화 또는 균질 배합될 수 있다. 어레이는 각 위치가 시약의 고처리량 취급, 자동적 전달, 마스킹 또는 샘플링이 공간적으로 번지지정되도록 구조화된 복수의 번지지정 위치를 포함할 수 있 다. 어레이는 레이저 조사에 의한 주사, 공초점 또는 편향 광 수집, CCD 검출 및 화학 발광을 비롯한 특정 수단에 의한 검출 또는 정량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예로 든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기재한 바와 같은 "어레이" 포맷은 어레이(즉, 복수 칩의 어레이), 마이크로칩, 마이크로어레이, 단일 칩상에 조립된 마이크로어레이, 마이크로웰 플레이트에 부착된 유생분자의 어레이 또는 해당 시스템과 사용하기 위한 다른 적합한 포맷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프탈레이트 노출 여부 확인용 단백질 어레이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방법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탐색된 단백체 생체지표를 탐침 분자(프로브)로 이용하여 단백질 어레이의 기판상에 고정화시키기 위해 파이조일렉트릭(piezoelectric) 방식을 이용한 마이크로피펫팅(micropipetting)법 또는 핀(pin) 형태의 스폿터(spotter)를 이용한 방법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백질 어레이의 기판은 아미노-실란(amino-silane), 폴리-L-라이신(poly-L-lysine), 또는 알데히드(aldehyde)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활성기가 코팅된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기판은 슬라이드 글래스, 플라스틱, 금속, 실리콘, 나일론 막, 또는 니트로셀룰로스 막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탐침 분자로 사용하기 위한 단백체 생체지표는 동위원소, 또는 Cy3, Cy5, FITC(poly L-lysine-fluorescein isothiocyanate), RITC(rhodamine-B-isothiocyanate), 또는 로다민 등의 형광물질로 표지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단백질 어레이를 포함하는 프탈레이트 노출 여부 확인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프탈레이트 노출 여부 확인용 키트는 하나 이상의 단백체 생체지표를 포함하여 시료의 단백질을 정량 분석함으로써 프탈레이트류 화합물에 대한 노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키트는 결합된 포장 물질(어레이를 포장하기 위한 물질), 지시자료(예컨대 어레이와 상호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시약 또는 샘플을 검출하기 위해 어레이를 사용하는 지시사항), 대조 시약(어레이에 도포된 공지 활성의 시약), 샘플 등과 같은 부가적인 키트 특징과 함께 본 발명의 어레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단백체 생체지표를 이용한 프탈레이트 노출 여부 확인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프탈레이트 노출 여부 확인방법은
피검체의 단백질 시료 및 표지된 단백체 생체지표를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접촉에 따른 단백체 생체지표의 발현 정도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프탈레이트 노출 여부 확인방법에 있어서, 제1단계는 피검체의 단 백질 시료와 표지된 단백체 생체지표를 접촉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피검체의 단백질 시료는 피검체의 체세포, 또는 혈액 등에서 분리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체세포는 간세포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혈액은 구체적으로 혈장일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피검체의 체세포, 또는 혈액에서 단백질을 분리하는 방법은 통상의 단백질 추출법을 사용할 수 있어,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는다.
상기 단백질 시료와 표지된 단백체 생체지표의 접촉은 동위원소; 또는, Cy3, Cy5, FITC(poly L-lysine-fluorescein isothiocyanate), RITC(rhodamine-B-isothiocyanate), 또는 로다민 등의 하나 이상의 형광물질로 표지된 본 발명의 단백체 생체지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프탈레이트 노출 여부 확인방법에 있어서, 제2단계는 상기 접촉에 따른 단백체 생체지표의 발현 정도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확인하는 단계이다.
단백체 생체지표의 발현 정도를 확인하는 방법을 당업자에게 알려진 방법을 사용할 수 있어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는다.
일 구체예로, 표적 단백체의 농도를 계산하기 위하여 적절한 단백체 생체지표와 함께 수득되는 이온 세기를 사용할 수 있다. 단백체 생체지표는 특징적인 하 나의 이온 쌍(또는 수개의 이온 쌍)을 이용하여 식별되며, 수득되는 이온 세기는 단백체 생체지표의 알고 있는 농도와 관련 있어 상응하는 표적 단백체의 정량화가 가능하다. 표적 단백체는 사전에 공지되어 있으며, 미리-주석을 달아둘 수 있다. 따라서, 검출 및 정량된 단백체에는 이미 주석이 달려, 빠르고 직접적인 해석이 가능하다.
표적 단백체의 질량 측정은 이온 종들을 구별하기 위해 MSMS 분석이 가능한 질량 측정기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결과로부터 단백체의 정량분석에 의한 이온 세기의 증가를 비교하여 프탈레이트류 화합물의 생체 노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시료에서 Cystatin C, Rho-GDIα, Retinol Binding Protein, Gelsolin, DEK, Raf Kinase Inhibitor Protein, Triose Phosphate Inhibitor, Cofilin-1, 또는 Haptoglobin의 이온 세기 증가 또는 감소가 관찰된다면,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에 노출되었음을 판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및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인간 간세포주에서의 환경 유해물질에 대한 세포, 유전 독성 연구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의 인간 간세포주에서의 유전독성 및 세포독성을 측정함으로써 유전체 독성 지표 발굴을 위한 DEHP의 독성 농도를 설정하였다.
인간 간세포주로 HepG2 세포(ATCC)를 사용하였으며, MEM(WelGENE Inc., Korea)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인간 간세포주의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 노출은 0.1% DMSO (sigma)에 녹인 0μM ~ 250μM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sigma)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37℃에서 24시간 또는 48시간 실시하였다.
상기 노출 후 배양 상등액을 수집하고 Microcon YM3 Column(Milipore Co. MA, USA)에서 시료를 정제하였다.
MTT 및 Comet 분석을 이용하여 간세포주에서의 유전독성 및 세포독성을 실시하였다.
도 1은 Comet 분석을 이용한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의 인간 간세포주에서의 유전독성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 2.5μM 이상의 농도에서부터 유의하게 유전 독성을 일으킴을 알 수 있었다.
도 2는 MTT 분석을 이용한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의 인간 간세포주에서의 세포독성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 25μM 이상의 농도에서부터 유의하게 세포 독성을 일으킴을 알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 농도 및 노출 시간이 증가할수록 유전독성 및 세포독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유전 독성을 일으키지만 세포 독성을 일으키지 않는 최대 농도인 5, 10μM을 선택하여 다음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2> 인간 간세포주에서의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에 대한 단백체 지표 발굴
인간 간세포주에서의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에 대한 단백체 지표 발굴을 위해, 상기 단백질 시료를 고정된 pH에서 narrow range immobiline dry strips(pH 4-7, pH 6-9, 24cm)을 이용하여 1차원 전기영동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2-DE 분석(12% SDS-PAGE, 34×45cm, OWL)을 통하여 인간 간세포주에서 단백체를 분리하고, 은 염색 후 이미지 분석(Progenesis Discovery(Nonlinear))을 통하여 DEHP에 대한 단백체 생체지표를 발굴하였다(도 3).
다음으로, ESI-MS/MS(LCQ Deca XP-Plus, Thermo Finnigan, USA) 및 웨스턴 블랏을 사용하여 European Bioinformatics Institute(EBI)의 IPI 휴먼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정확한 단백체 동정을 수행하였다.
Figure 112009076030605-pat00002
표 1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Rho-GDIα, Gelsolin, Raf Kinase Inhibitor Protein, Triose Phosphate Inhibitor, 또는 Cofilin-1는 프탈레이트 노출 시 발현이 증가되었으며, 특히, Rho-GDIα, Gelsolin, Raf Kinase Inhibitor Protein 및 Triose Phosphate Inhibitor는 프탈레이트 노출 농도 의존적으로 발현이 증가하였고, Cofilin-1은 프탈레이트 노출 시간 의존적으로 발현이 증가하였다.
Cystatin C, Retinol Binding Protein, DEK, 또는 Haptoglobin는 프탈레이트 노출 시 발현이 저하되는 단백질로, 특히 Cystatin C, Retinol Binding Protein, 또는 DEK는 프탈레이트 노출 농도 의존적으로 발현이 감소하였고, Haptoglobin는 프탈레이트 노출 시간 의존적으로 발현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에 대한 인간 노출 평가를 위한 단백체 생체 지표로 Rho-GDIα, Gelsolin, Raf Kinase Inhibitor Protein, Triose Phosphate Inhibitor, Cofilin-1, Cystatin C, Retinol Binding Protein, DEK, Haptoglobin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도 1은 Comet 분석을 이용한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의 인간 간세포주에서의 유전독성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MTT 분석을 이용한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의 인간 간세포주에서의 세포독성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다양한 IEF 스트립 및 라지 젤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에 노출된 인간 간세포주의 단백질의 2차원 전기영동 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웨스턴 블랏 분석에 의한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에 노출된 인간 간세포주의 단백질의 발현 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Claims (14)

  1. Cystatin C, Rho-GDIα, Retinol Binding Protein, Gelsolin, DEK, Raf Kinase Inhibitor Protein, Triose Phosphate Inhibitor, Cofilin-1 및 Haptoglob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di-2-ethylhexyl phthalate) 노출 여부 확인용 단백체 생체지표(biomarker)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Rho-GDIα, Gelsolin, Raf Kinase Inhibitor Protein, Triose Phosphate Inhibitor, 또는 Cofilin-1는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 노출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는 것인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di-2-ethylhexyl phthalate) 노출 여부 확인용 단백체 생체지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Cystatin C, Retinol Binding Protein, DEK, 또는 Haptoglobin는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 노출에 의해 발현이 저하되는 것인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di-2-ethylhexyl phthalate) 노출 여부 확인용 단백체 생체지표 조성물.
  7. 제1항에 따른 단백체 생체지표 조성물을 포함하는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di-2-ethylhexyl phthalate) 노출 여부 확인용 단백질 어레이.
  8. 제7항에 있어서,
    단백체 생체지표는 동위원소, 또는 Cy3, Cy5, FITC(poly L-lysine-fluorescein isothiocyanate), RITC(rhodamine-B-isothiocyanate) 및 로다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형광물질로 표지되어 있는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di-2-ethylhexyl phthalate) 노출 여부 확인용 단백질 어레이.
  9. 제7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단백질 어레이를 포함하는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di-2-ethylhexyl phthalate) 노출 여부 확인용 키트.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90121809A 2009-12-09 2009-12-09 환경 유해물질 프탈레이트류 노출 여부 확인용 단백체 생체지표 KR101182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809A KR101182764B1 (ko) 2009-12-09 2009-12-09 환경 유해물질 프탈레이트류 노출 여부 확인용 단백체 생체지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809A KR101182764B1 (ko) 2009-12-09 2009-12-09 환경 유해물질 프탈레이트류 노출 여부 확인용 단백체 생체지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996A KR20110064996A (ko) 2011-06-15
KR101182764B1 true KR101182764B1 (ko) 2012-09-14

Family

ID=44398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809A KR101182764B1 (ko) 2009-12-09 2009-12-09 환경 유해물질 프탈레이트류 노출 여부 확인용 단백체 생체지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276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18997A1 (en) * 2000-02-07 2002-02-14 Remedios Cristobal Guillermo Dos Biomolecular toxicity assa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18997A1 (en) * 2000-02-07 2002-02-14 Remedios Cristobal Guillermo Dos Biomolecular toxicity ass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996A (ko)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nteoliva et al. Differential proteomics: an overview of gel and non-gel based approaches
Wittmann‐Liebold et al. Two‐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 as tool for proteomics studies in combination with protein identification by mass spectrometry
JP6814745B2 (ja) ダイナミックbh3プロファイリングを使用する毒性を評価す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Lambert et al. Proteomics: from gel based to gel free
US7133544B2 (en) Reference database
Baliu-Rodriguez et al. Identification of novel microcystins using high-resolution MS and MS n with python code
Drown et al. Mapping the proteoform landscape of five human tissues
Kriegsmann et al. Mass spectrometry in pathology–vision for a future workflow
Preston et al. Protein adductomics: analytical developments and applications in human biomonitoring
US20110143366A1 (en) Protein biomarkers for in vitro testing of developmental toxicity and enbryotoxicity of chemical substances
KR101182763B1 (ko) 환경 유해물질 프탈레이트류 노출 여부 확인용 단백체 생체지표
Srivorakun et al. Diagnosis of common hemoglobinopathies among South East Asian population using capillary isoelectric focusing system
Ahmadi et al. Identification of poly (ethylene glycol) and poly (ethylene glycol)-based detergents using peptide search engines
KR101182764B1 (ko) 환경 유해물질 프탈레이트류 노출 여부 확인용 단백체 생체지표
Schmitz‐Spanke et al. Protein expression profiling in chemical carcinogenesis: A proteomic‐based approach
US7879573B2 (en) Isolation of analytes
Sheehan The potential of proteomics for providing new insights into environmental impacts on human health
Ismail et al. Proteomic alteration in the progression of multiple myeloma: A comprehensive review
Lee et al. tipNrich: a Tip-based N-terminal proteome enrichment method
Shpyleva et al. Editor’s highlight: organ-specific epigenetic changes induced by the nongenotoxic liver carcinogen methapyrilene in fischer 344 rats
KR101087613B1 (ko) 벤젠에 의해 유도된 간독성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를이용한 간독성 진단 방법
Armstrong et al. 2.04–Predictive toxicology: Latest scientific developments and their application in safety assessment
KR101186699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대한 위해성 평가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Xu et al. Single-Cell Proteomics 23
Xu et al. Single-Cell Proteom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