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2703B1 - 재정통합정보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중앙재정정보시스템 - Google Patents

재정통합정보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중앙재정정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2703B1
KR101182703B1 KR1020120046310A KR20120046310A KR101182703B1 KR 101182703 B1 KR101182703 B1 KR 101182703B1 KR 1020120046310 A KR1020120046310 A KR 1020120046310A KR 20120046310 A KR20120046310 A KR 20120046310A KR 101182703 B1 KR101182703 B1 KR 101182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ancial
management
national
performance
bud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6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향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기획재정부장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기획재정부장관) filed Critical 대한민국(기획재정부장관)
Priority to KR1020120046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27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 G06Q40/125Finance or payroll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chnology Law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국가재정업무 전 과정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재정통합정보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메인 시스템으로서 중앙재정정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국가재정업무의 전 과정을 통합 및 연계하여 처리하기 위한 중앙재정정보 시스템은 국가재정사업의 생성, 등록, 집행 및 종료에 이르는 전체 사이클을 관리하기 위한 재정사업관리부; 단년도 및 중기적 다년도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따른 예산을 편성 및 관리하기 위한 예산관리부; 중앙재정정보시스템의 전자고지수납 및 전자자금이체를 처리하기 위한 국고금관리부;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따른 국가자금을 조달하고 회계간 자금의 수급 조정 및 여유자금을 운용하기 위한 국고관리부; 국가재산 및 국유물품의 종합적인 운용을 지원하기 위한 자산부채관리부; 발생주의 및 복식부기에 기반하는 예산결산과 재무결산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회계관리부; 및 국가재정사업별로 성과목표를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성과목표에 대한 달성 여부를 측정하고 평가를 지원하기 위한 재정성과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재정사업관리부, 예산관리부, 국고금관리부, 국고관리부, 자산및부채관리부, 회계관리부 및 재정성과관리부 중 하나 이상은 서로 연동하여 국가재정업무의 전 과정을 통합 및 연계하여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재정통합정보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중앙재정정보시스템{A Central Finance Information System used at an Integrated Finance Information System}
본 발명은 국가재정업무 전 과정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재정통합정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메인 시스템으로서 중앙재정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앙재정정보시스템이 구축되기 전 정부의 예산체계는 한마디로 ‘흩어진 퍼즐조각’에 비유될 수 있었다. 총 8천 개에 달하는 단위사업 예산이 주관부처별, 재정사업별 칸막이 구조로 편성, 집행, 관리되어 상위개념인 정책단위, 더 나아가 정부차원의 업무연계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어촌?어항개발이라는 하나의 정책은 10개의 사업별 칸막이로 나뉘어 서로 다른 성격의 예산을 배정받았고, 사업 진행과정도 충분히 공유되지 않았었다.
또한, IT강국의 정부답게 관련 정보화 시스템들은 잘 구축되어 있었으나 시스템간 연계부족으로 인해 그 활용도를 극대화하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이는 마치 훌륭한 퍼즐조각들을 가지고도 퍼즐판이 적합하지 않아 멋진 그림을 완성할 수 없는 것과 같은 모양새였다.
회계방식도 전체를 볼 수 없기는 마찬가지였다. 당시의 회계는 수입, 지출에 기초한 초보적인 장부기록 방식이었기 때문에 자산, 부채, 원가 등의 정보가 회계장부 항목에 포함되지 않았다. 예를 들어, 국민들이 매달 납부하는 국민연금은 훗날 정부가 국민에게 갚을 부채로 기록되어야 재정의 중장기적 예측과 진단이 가능하다. 또한, 국세 미회수액의 경우, 부과된 국세와 미회수 채권이 동시에 기록되어야 회수율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기존 회계방식은 부채나 자산의 변동사항까지 기록할 필요가 없었기 때문에 중장기적 관점의 위험관리가 사실상 불가능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 원인은 퍼즐판, 즉 국가의 예산회계제도에 있었다. 우리정부는 알려졌다시피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성장해온 나라다. 국가예산 또한 1961년 149억 원에서 2004년 200조 원으로 40여 년만에 천 배 이상 급증했다. 50년 전 수립된 예산회계제도로는 늘어난 재정규모를 감당하기 어려웠고 재정지출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보장할 수도 없었다.
기존에 사용되는 재정정보시스템으로서 (구)기획예산처의 예산정보시스템 (FIMSys: Fis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구)재정경제부의 국가재정정보시스템(NaFIS: National Finance Information System) 및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재정정보시스템 등이 있다.
NaFIS는 재정활동 중 예산이 확정된 이후에 이를 집행하고 결산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업무처리를 전산 지원하는 시스템으로서, 예산의 재배정, 예산의 집행(수입 및 지출), 국고금 관리 및 결산업무 등 회계업무를 연계처리하고 있다.
FIMSys는 예산 편성 시스템으로서 기획예산처에서 운용하는 예산정보시스템이다. 예산 편성은 정부의 사업과 계획에 사용될 재원을 추계하고 각종 사업을 지원할 지출 규모를 확정하는 작업을 의미하며, 예산의 배정은 예산을 집행하기 위한 첫 단계로 편성된 예산을 각 중앙 관서별로 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정부의 재정활동은 '예산편성-> 재정집행-> 회계결산-> 성과평가'라는 일련의 과정을 거친다. 그러나, 기존에는 예산과 회계부분에서 FIMSys와 NaFIS가 따로 운영되었었다. 예를 들어, 예산의 편성은 FIMSys로, 예산의 집행 및 결산은 NaFIS로 이원화되어 있었다. 따라서, 그동안의 재정정보는 여러 곳에 흩어져 있으므로 이를 관리 및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재정사업의 성과평가, 지자체에 대한 보조금 집행은 시스템이 없어서 문서로 처리하는 후진적인 처리과정을 거쳤었다. 전년도의 집행 및 성과 정보가 예산편성의 기초가 되어야 함에도 적절한 정보의 전달과 활용이 이뤄질 수 없는 상황이었다.
또한, 기존에는 단식부기 방식을 이용한 회계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공무원들의 업무효율이 매우 낮았었다. 예를 들어, 특정 공무원이 업무에 필요한 컴퓨터를 해당 부처에 배정된 예산으로 구매하는 경우, 컴퓨터의 대금에 대한 결제를 따로 받고, 컴퓨터를 구매한 이후에도 이를 정부의 자산으로 등록하기 위해 별도의 처리 과정을 거쳐야 했었다.
또한, 지금까지 국가 예산은 1년 단위로 단기적으로 편성해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으로는 저출산, 고령화 문제와 같이 1년 단위로 처리할 수 없는 우리 사회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저성장 기조로 인해 복지분야의 지출이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이에 대비한 재정지출의 효율성은 반드시 확보되어야 했다. 무엇보다 중요했던 또 하나는, 글로벌 금융환경 변화에 대한 국가의 위기관리 능력이었다.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 때, 신속히 전체모습을 한 눈에 보고 저소득층, 서민, 소규모 자영업자 등 사회적 취약계층 지원정책에 예산을 집중했다면 그들이 고통에 빠지는 일을 보다 더 최소화 할 수 있었을 것이다. 게다가 안타깝게도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국내외 환경들이 우리정부 예산회계제도의 근본적 개혁과 그에 상응하는 시스템의 필요성을 강력히 제기하게 된 배경이다.
따라서, 재정정보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으며, 공무원의 업무 효율성을 제고함과 동시에 국가재정운용을 중기적으로 편성 및 관리할 수 있는 통합된 재정정보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예산 편성 및 집행에서부터 회계, 결산까지 재정 전 과정의 업무 수행을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예산과 회계분야로 분리 운영되던 시스템들을 하나로 통합 및 연계하여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단년도 회계, 기금 중심의 재정운용을 중장기, 통합재정 중심으로 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지방 및 지방교육재정, 금융결제망 등의 유관 시스템과 연계하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모든 재정과정을 실시간 온라인화하여 투명성과 효율성을 강화함으로써 물리적 투명성과 윤리적 투명성을 동시에 충족시키며, 취약계층에게까지 예산이 고루 분배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국가재정업무 전 과정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재정통합정보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메인 시스템으로서 중앙재정정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국가재정업무의 전 과정을 통합 및 연계하여 처리하기 위한 중앙재정정보 시스템은 국가재정사업의 생성, 등록, 집행 및 종료에 이르는 전체 사이클을 관리하기 위한 재정사업관리부; 단년도 및 중기적 다년도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따른 예산을 편성 및 관리하기 위한 예산관리부; 중앙재정정보시스템의 전자고지수납 및 전자자금이체를 처리하기 위한 국고금관리부;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따른 국가자금을 조달하고 회계간 자금의 수급 조정 및 여유자금을 운용하기 위한 국고관리부; 국가재산 및 국유물품의 종합적인 운용을 지원하기 위한 자산부채관리부; 발생주의 및 복식부기에 기반하는 예산결산과 재무결산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회계관리부; 및 국가재정사업별로 성과목표를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성과목표에 대한 달성 여부를 측정하고 평가를 지원하기 위한 재정성과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재정사업관리부, 예산관리부, 국고금관리부, 국고관리부, 자산및부채관리부, 회계관리부 및 재정성과관리부 중 하나 이상은 서로 연동하여 국가재정업무의 전 과정을 통합 및 연계하여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국가재정업무의 전 과정을 통합 및 연계하여 처리하기 위한 중앙재정정보 시스템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는, 국가재정사업의 생성, 등록, 집행 및 종료에 이르는 전체 사이클을 관리하기 위한 재정사업관리부; 단년도 및 중기적 다년도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따른 예산을 편성 및 관리하기 위한 예산관리부; 중앙재정정보시스템의 전자고지수납 및 전자자금이체를 처리하기 위한 국고금관리부;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따른 국가자금을 조달하고 회계간 자금의 수급 조정 및 여유자금을 운용하기 위한 국고관리부; 국가재산 및 국유물품의 종합적인 운용을 지원하기 위한 자산부채관리부; 발생주의 및 복식부기에 기반하는 예산결산과 재무결산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회계관리부; 및 국가재정사업별로 성과목표를 설정하고, 설정된 성과목표에 대한 달성 여부를 측정하고 평가를 지원하기 위한 재정성과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된 재정사업관리부, 예산관리부, 국고금관리부, 국고관리부, 자산및부채관리부, 회계관리부 및 재정성과관리부 중 하나 이상은 서로 연동하여 국가재정업무의 전 과정을 통합 및 연계하여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에서, 재정사업관리부는 국가재정사업의 생성, 등록, 집행 및 종료를 관리하기 위한 사업진행모듈; 및 국가재정사업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사업모니터링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산관리부는 정부 부처와 연계하여 국가의 국가재정운용계획을 수립 및 처리할 수 있는 국가재정운용계획모듈; 국가제정운용계획에 따른 예산을 편성 및 관리하기 위한 예산편성모듈; 및 편성된 예산을 집행 및 평가하기 위한 예산집행및평가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국고금관리부는 납세자에 대한 전자고지 및 수납을 위한 전자고지수납모듈; 및 납세자가 납부한 전자자금 이체를 위한 전자자금이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산부채관리부는 종합적인 자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종합계획모듈; 국가의 자산 및 부채를 등록 관리하기 위한 등록관리 모듈; 및 국가의 자산을 관리 및 운용하기 위한 관리운용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회계관리부는 발생주의 및 복식부기에 기반하여 현금거래와 비현금거래를 자동으로 분개하여 총계정원장에 반영하는 자동분계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계관리부는 원가분류판단기준에 따라 수입과 지출을 자동분류하여 프로그램 순원가에 반영할 수 있다.
재정성과관리부는 국가재정사업별 성과계획서 목차관리, 성과목표체계관리, 단위 및 세부사업성과계획, 프로그램성과계획, 성과계획서 작성관리 및 성과계획서 검토, 및 성과보고서확정 기능을 수행하는 성과계획관리모듈; 및 국가재정사업별 성과보고서 목차관리, 단위 및 세부사업성과보고, 프로그램성과보고, 성과보고서작성관리, 성과보고서검토, 및 성과보고서확정 기능을 수행하는 성과보고관리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재정성과관리부는 국가재정사업별 자율평가측정기준관리, 자체평가관리, 평가결과확인, 평가결과점검, 자율평가점검결과조회 기능을 수행하는 자율평가관리모듈; 국가재정사업별로 심층평가진행관리 및 심층평가결과조치 기능을 수행하는 심층평가관리모듈; 및 각 부처 내 성과실적 및 현황조회, 부처별 성과실적 및 현황조회, 중점점검대상 관리 및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하는 성과모니터링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국고관리부는 징수결의, 고지서발송, 수납정산 등 국고금의 징수, 부과, 납부, 수납 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수입모듈; 요청관리, 지출원인행위, 지출결의, 관서운영경비, 마감 등의 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지출모듈; 및 국고금에 대한 현황을 관리하며, 자금공급을 지원하는 계획업무, 국내차입, 해외차입, 공공자금운용의 조달업무, 기금 여유자금운용, 융자, 및 국고금운용의 운용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자금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들에서 중앙재정정보시스템은 중앙재정정보시스템을 통해 생성된 재정정보를 추출하여 국가재정사업별 담당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분석시스템인 통계분석시스템과 연계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때, 통계분석시스템은 의사결정에 대한 지원시스템으로서 정형적 형태의 재정정보를 제공하는 경영자정보시스템; 비정형적 재정정보들을 상기 담당자의 필요에 의해 검색할 수 있는 다차원 분석시스템; 가공하지 않은 재정정보를 저장 및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데이터 종류에 따라 데이터 마트에 관리하는 데이터웨어하우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앙재정정보시스템은 중앙재정정보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접속 및 업무 수행의 편의를 지원하기 위한 홈페이지, 전자결재 서버, 사이버교육센터 및 콜센터들을 포함하는 업무지원시스템과 연계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중앙재정정보시스템은 데이터 베이스의 중복성을 방지하기 위해 지방정부 및 자체재정정보시스템 활용기관과 유기적으로 재정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외부연계시스템과 연계하여 동작할 수 있다.
상술한 중앙재정정보시스템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재정통합정보시스템은 기존 예산제도와 시스템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국가가 자체적으로 개발한 획기적인 재정관리 툴이다. 이 안에서 국가예산의 편성과 집행, 회계, 결산 등 재정 전과정의 업무가 이루어진다.
재정통합정보시스템의 첫 번째 특징은 ‘국가재정의 전체모습’을 담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중앙정부 51개 기관의 재정프로세스를 통합하고 지방정부, 공기업, 산하기관 등 55개 유관시스템을 연계함으로써 IMF 통합재정범위를 완벽하게 충족시켰다. 즉, 국제기준에 미치지 못했던 한국의 재정범위를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공기업과 그 산하기관까지 포괄시킨 것이다. 이로써 한국의 재정규모와 효율성 등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었다. 또한 세입, 세출, 자산, 부채 등 국가재정 전반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함으로써 위험관리능력도 한층 강화되었다.
재정통합정보시스템의 두 번째 특징은 ‘모든 재정프로세스의 온라인화’다.
세금, 교통위반범칙금 등 정부의 수입을 담당하는 실시간 전자고지수납 ‘EBPP시스템(즉, EBPP 모듈)’ 및 사업비용, 물품대금 등 정부의 지출을 담당하는 실시간 전자자금이체 ‘EFT시스템(즉, EFT 모듈)’ 이 두 시스템으로 인해 예산집행 공무원과의 대면접촉 기회가 사라져 부정부패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해 하루 평균 30만 건, 약 4조 5천억 원의 국가예산이 투명하고 원활하게 정당한 목적지에 도달하고 있는 것이다.
재정통합정보시스템의 세 번째 특징은 ‘강화된 책임성과 쉬워진 업무’다.
상반된 듯 보이는 두 개념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게 한 것은 본 발명의 재정통합정보시스템만의 차별화 된 ‘사업관리시스템(즉, 재정사업관리부)’ 이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의 사업관리시스템은 사업담당자, 사업계획, 예산, 진도, 이력, 원가 등 하나의 사업에 관한 모든 정보가 실시간으로 기록되고 공개되기 때문에 담당 공무원의 책임감은 커진 대신 업무는 한결 편리해졌다. 또한, 재정통합정보시스템의 재정사업관리부와 재정성과관리부의 연계로 성과가 부진한 일부 사업의 퇴출과 유망한 신규사업 추진도 쉬워졌다.
재정통합정보시스템의 마지막 특징은 ‘재정정보 온라인 공개’이다.
즉, 재정통합정보시스템은 중앙재정정보시스템과 업무지원시스템의 연계로 중앙재정정보시스템에서 처리되는 사항들이 홈페이지 등을 통해 일반에 공개된다. 따라서, 국회와 국민에게 사업단위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정부의 신뢰성을 한층 더 끌어올릴 수 있다.
특히, 재정통합정보시스템은 World Bank 권장모델을 완벽히 구현한 통합재정정보시스템으로써, 디지털 브레인 dBrain과 함께 한국이 더욱 스마트해지고 있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예산 편성 및 집행, 자금/자산/부채관리, 회계, 결산까지 재정 전 과정의 업무 수행을 실시간 연계처리할 수 있다. 즉, 예산과 회계분야로 분리 운영되던 시스템들을 하나로 통합하여 처리함으로써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둘째, 예산편성 과정에서 각 부처의 자율성이 확대됨에 따라 각 분야의 전문성과 현장경험을 활용하게 되어 예산 편성의 효과성이 제고될 수 있다.
셋째, 단년도 회계, 기금 중심의 재정운용을 발생주의 회계제도의 도입을 통해 중장기, 통합재정 중심으로 운영함으로써 장기적 관점에서 전략적으로 재정운용을 할 수 있다. 또한, 복식부기 회계제도를 도입함에 따라 기록의 이중성 원칙 하에 자기검증이 가능해짐으로써 회계정보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원가정보와 성과정보를 바탕으로 성과가 높은 사업으로 재원이 분배될 수 있다.
넷째, 지방 및 지방교육재정, 금융결제망 등의 유관 시스템과 연계하여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지방자치단체와 중앙정부간 공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국제기준에 미치지 못했던 대한민국의 재정범위를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공기업과 그 산하기관까지 포괄시킴으로써 국가의 재정규모와 효율성 등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다섯째, 개별사업 위주의 예산편성에서 벗어나 국가 전체 우선순위에 입각한 전략적 재원 배분이 가능하다. 즉, 예산의 기본구조가 인건비 등의 품목이 아닌 정책별 사업단위로 재정비되면서 예산중복 등의 낭비요소를 없앨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국가정책이 어느 조직에서 어떤 프로그램으로 추진되고 있는지 일목요연하게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을 실시함에 따른 의도하지 않은 효과들 역시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재정통합정보시스템(1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재정통합정보시스템(10)이 외부연계시스템(400)을 통해 외부 기관과 연계되는 모습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재정사업관리부(11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예산관리부(12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국고금관리부(13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자고지 및 수납을 위한 전자고지수납모듈(131)의 업무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자자금 이체를 위한 전자자금이체모듈(135)의 업무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자산부채관리부(14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회계관리부(150)의 기능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재정성과관리부(16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국고관리부(17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중앙재정정보시스템(100)과 통계분석시스템(200)과의 연계관계의 모습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국가재정업무 전 과정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재정통합정보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특히, 재정통합정보시스템의 메인 시스템으로서 중앙재정정보 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절차 또는 단계 등은 기술하지 않았으며, 당업자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절차 또는 단계는 또한 기술하지 아니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반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재정통합정보시스템(1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재정통합정보시스템은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DBAS: Digital Budget & Accounting System)이라고도 불리며, 디브레인(dBrain)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특히, 디브레인은 재정통합정보시스템의 메인 시스템인 중앙재정정보시스템(100)을 칭하기도 한다. 재정통합정보시스템은 예산, 회계제도 등 재정운영체제를 혁신하고 이의 시행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즉, 재정통합정보시스템은 종전의 예산 시스템인 FIMSys와 회계 시스템인 NAFIS를 통합 및 확대 개편한 것이다.
재정통합정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전에는 국가재정이 품목별(Line-Item) 예산제도 하에서 운영되었으나, 구축 후에는 프로그램 예산제도 하에서 운영될 수 있다. 또한, 단식부기 및 현금주의 회계 방식에서 발생주의 및 복식부기의 회계 방식을 병행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정통합정보 시스템은 국가재정업무와 관련된 예산의 편성, 집행, 회계 및 결산 등의 재정업무 전반의 전 과정을 온라인 및/또는 내부 인터페이스(즉, 내부 연계시스템)를 통해 통합 및 연계하여 처리할 수 있으며, 중기재정계획 수립, 예산 요구 및 편성 업무의 온라인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국고금의 수입, 지출, 자금관리, 국유재산, 물품관리, 국가 채권 및 채무, 회계 및 결산 업무 전반을 온라인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재정통합정보시스템(10)은 메인 시스템으로서 중앙재정정보시스템(100)을 포함하며, 서브 시스템으로 통계분석시스템(200), 업무지원시스템(300), 및 중앙재정정보시스템(100) 및 서브/단위 시스템들을 감사원, 외부 금융기관, 지방재정정보시스템, 지방교육재정정보시스템 및 비영리 공공기관들과 연계하기 위한 연계 시스템(400)을 포함한다.
중앙재정정보시스템(100)은 프로그램 및 단위/세부 사업의 등록부터 집행, 종료까지의 재정사업 전 과정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재정사업관리부(110), 국가재정사업의 국가재정운용계획을 수립하고 예산을 편성하기 위한 예산관리부(120), 국가재정사업과 관련된 전자고지수납 및 전자자금이체 업무를 위한 국고금관리부(130), 국유재산의 관리, 정부 물품의 조달, 국가 채권 및 채무를 관리하기 위한 자산부채관리부(140), 발생주의 및 복식부기에 기반하는 예산의 결산 및 재무 결산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회계관리부(150), 재정사업별로 성과목표를 정하고 목표에 대한 달성 여부를 측정 및 평가하기 위한 재정성과관리부(160) 및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따른 국가자금을 조달하고 회계간 자금의 수급 조정 및 여유자금을 운용을 지원하기 위한 국고관리부(170)로 구성된다.
통계분석시스템(200)은 중앙재정정보시스템을 통해 생성된 재정정보들을 추출하여 사업 담당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분석시스템이다. 통계분석시스템(200)은 의사결정지원시스템으로서 정형적 형태의 재정정보를 제공하는 경영자정보시스템(EIS: Executive Information System) 및 비정형적 재정정보들을 사용자 필요에 의해 검색할 수 있는 다차원 분석시스템인 OLAP(On-Line Analytical Processing)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공하지 않은 원 데이터인 메타 데이터(Meta Data)를 저장 및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데이터 종류에 따라 데이터 마트에 관리하는 국가재정 데이터웨어하우스(EDW: Enterprise Data Warehouse)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업무지원시스템(300)은 중앙재정정보시스템(100)의 접속 및 업무 수행의 편의를 지원하기 위한 재정포탈(홈페이지 등), 전자결재 서버, 사이버교육센터 및 콜센터들을 포함한다. 이때, 재정포탈의 경우 사용자가 본 발명의 중앙재정정보시스템(100)의 다양한 개별 단위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포탈로서 구성되어야하며, 사용자 권한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외부연계시스템(400)은 지방정부 및 자체재정정보시스템 활용기관 등과 유기적으로 재정정보를 연계하고, 데이터 베이스의 중복성을 방지하기 위한 연계시스템이다. 이때, 자체재정정보시스템 활용기관으로는 대량징수기관(예를 들어, 국세청, 산림청 등), 조달청, 감사원, 국유재산관리기관(예를 들어, 한국자산관리공사, 신림청), 지방재정정보 및 지방교육재정 정보시스템 및 비영리 공공기관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2는 재정통합정보시스템(10)이 외부연계시스템(400)을 통해 외부 기관과 연계되는 모습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외부연계시스템(400)은 통합재정정보 시스템을 ① 국고금관리대상 기금, 제외 기금, 및 자체재정시스템보유기관, ② 대량 징수기관, ③ 국유재산/물품 관련기관, ④ 지방 및 교육 재정/세정관련기관, ⑤ 금융 관련기관, 및 ⑥ 조달 및 감사기관과 연계할 수 있다.
즉, 외부연계시스템(400)은 중앙정부의 재정운영에 대해 실시간 관리를 연계하고, 통합재정정보시스템 목적달성을 위한 통합연계체계에 대한 기반을 구축하고, 재정범위 확대에 따른 통합재정통계를 연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통합재정정보시스템(100)의 연계처리는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를 통해서 연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EAI보다 전문화된 솔루션이 있는 경우 전문화된 솔루션(예를 들어, ETT Tool, 전자결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통합재정정보시스템(100)의 연계는 실시간 연계를 원칙으로 하되, 배치성 업무 또는 대량 데이터 전송의 경우 별도의 유형으로 분류하여 실시간 업무에 지장이 없게 구성하여 연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중앙재정정보시스템(100)의 단위 시스템들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재정사업관리부(11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재정사업관리부(110)는 중앙재정정보시스템(100)의 핵심 단위 시스템으로서 프로그램 및 단위/세부사업의 생성, 등록, 집행 및 종료에 이르기까지 재정사업의 전체 라이프 사이클을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재정사업관리부(110)는 사업의 생성, 등록, 집행 및 종료와 관련된 재정사업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사업진행모듈(111) 및 세부사업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사업모니터링모듈(113)을 포함한다.
사업진행모듈(111)은 각 부처의 사업 관리자에게 예산의 편성과 집행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사업모니터링모듈(113)은 재정사업의 상세정보와 예산 편성 및 집행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재정사업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업은 프로그램 예산제도에 따라 기능적으로 일반공공행정, 국방, 교육, 문화 및 관광 등의 16개 분야와 하위에 국정운영, 병력운영, 고등교육 등 69개 부문으로 구성된다.
또한, 각 부문은 실제 정책 추진에 따라 사업을 관리하는 구조로써 프로그램, 단위사업 및 세부사업으로 분류된다. 각 사업은 탑다운(Top-Down) 방식으로 프로그램, 단위사업, 세부사업 순서로 생성이 되며, 상위 그룹은 하나 이상의 하위 그룹들을 포함한다. 이때, 프로그램은 정책단위이면서 재정의 기본 책임단위이고, 단위사업은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세부 정책단위이다. 세부사업은 단위사업을 구성하는 기본 사업단위이고 실제 업무를 수행하는 단위를 나타낸다.
재정사업관리부의 사업집행모듈(111)은 사업의 생성부터 종료까지 라이프 사이클의 전 과정을 관리한다. 즉, 사업집행모듈(111)은 새로운 사업을 생성하고 5년 이상의 중장기 계획 및 1년 이하의 단년도 예산편성을 집행한다. 또한, 생성된 사업을 통해 사업관리 고유 기능인 예비 타당성 조사, 타당성 재조사 관리를 통해 해당 사업의 타당성으로 조사하고, 사업기간이 2년 이상인 토목, 정보화 및/또는 건축 사업은 총사업으로 관리된다.
사업진행모듈(111)은 재정업무 연계기능을 통해 각 단위시스템과 데이터를 연계하고 재정사업에 대한 재정사업정보를 사업모니터링모듈(113)으로 전달하여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사업의 현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사업진행모듈(111)은 사업이 종료되면 사업을 종료시키고 해당 이력을 관리한다.
재정사업관리부(110)는 외부업무지원시스템(300)과 연계하여 사업관리포탈(미도시)을 사용자에 제공한다. 즉, 재정사업관리부(110)는 기능적으로 사업관리포탈과 연계하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사업관리포탈에서는 예산, 지출, 수입, 자금, 조달 등 시스템과 실시간 연계를 통해 업무 담당자가 원스탑(one-stop)으로 사업별 예산요구, 집행 및 배정요구, 지출, 계약, 취득 요청 등 요청업무를 관리하고 사업의 기본정보와 예산편성, 집행실적, 지출요청 등의 정보 현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재정사업관리부(110)는 예산관리부(120) 및 회계관리부(150)와 연계하여 사업에 필요한 예산의 편성 및 배분과 관련된 예산정보를 요청하고, 사업의 진행에 따른 결산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예산관리부(120) 및 회계관리부(150)는 재정사업관리부(110)에서 요청한 사안에 대해서 승인을 하고 승인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예산관리부(12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국가재정법에서는 예산체계를 통제 중심의 품목별 예산체계에서 프로그램에 따른 프로그램 예산체계로 변경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프로그램 예산체계는 정부의 기능을 분야(16)-부문(69)-프로그램(대략, 700여 개)-단위사업(대략, 3000여 개)-세부사업(대략, 8000여 개) 체계로 정비함으로써, 기존의 다양한 회계와 기금에 흩어져 있던 사업의 총예산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프로그램은 하나의 정책, 즉 재정의 기본 책임단위로서 탑다운(Top-down) 방식의 재원배분, 성과관리 및 원가관리의 단위가 된다.
탑다운 예산제도는 거시 예산을 통해 국가의 전략적인 재원배분 기능을 강화하고 각 부처의 자율과 책임을 동시에 강조하는 데 주안점을 둔 제도로서, 지출 총액과 부처별 지출한도를 미리 정하고 지출 한도 내에서 각 부처가 사업별 예산을 배분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예산관리부(120)는 탑다운 방식으로 국가재정운용계획과 예산 편성을 연계함으로써 정책 우선순위에 따라 전략적으로 재원을 배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예산관리부(120)는 각 정부 부처의 시스템과 연계하여 국가의 재정운용계획을 수립 및 처리할 수 있는 국가재정운용계획모듈(121), 국가재정사업의 단년도 및 중기적 다년도(예를 들어, 5년 이상) 국가제정운용계획에 따른 예산을 편성 및 관리하기 위한 예산편성모듈(123), 편성된 예산을 집행 및 평가하기 위한 예산집행및평가모듈(125)을 포함할 수 있다.
예산관리부(120)의 예산편성모듈(123)은 국가재정운용계획모듈(121)을 통해 수립된 국가재정운용계획정보에 따라 예산을 편성하고, 예산 체계에 따라 예산을 배정한다. 예를 들어, 예산편성모듈(123)은 국가재정운용계획정보 및 수립된 배정계획에 따른 분기별 정기 배정과 수시 배정요구 및 승인 절차를 통해 이루어지는 수시배정을 지원하며, 배정된 세출 예산을 각 부처 조직별로 배분하는 재배정 기능을 제공한다.
도 4에서 도시한 프로세스를 참조하면, 단년도/다년도 예산액이 국회에서 확정된 후 각 부처별로 세출예산 및 세출 기금운용계획에 대한 분기별 배정계획을 수립한다. 이때, 수시배정 대상사업을 별도로 지정하여 분기별 정기배정에서 제외한다. 각 부처의 세부사업담당자는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세부사업의 분기별 배정계획을 등록한 후 재정책임관(CFO)에게 확정을 요청한다. 재정책임관(CFO)은 소속 부처의 전체 세부사업에 대한 배정계획을 검토하고 조정하여 이를 확정한 후 기획재정부에 제출한다. 기획재정부에서는 부처의 배정계획을 검토한 후 최종적으로 전체 부처의 배정계획을 확정한다. 기금의 경우에는 기획재정부 승인 절차 없이 재정책임관의 직권으로 내부 검토 및 조정을 통해 배정계획을 확정할 수 있다.
부처별 배정계획이 확정되면 각 부처 재정책임관은 부처 내부 조직별 예산배분을 위해 재무관별로 배정계획정보 및/또는 재배정계획정보를 국가재정운용계획모듈(121) 또는 예산편성모듈(123)에 등록하여 확정한다. 부처 조직의 특성과 규모에 따라 재배정 단계(레벨)는 다를 수 있으며 예산관리부(120)는 각각의 경우를 모두 지원할 수 있다.
회계연도가 시작되면 수립된 배정계획에 따라 분기별로 정기배정이 진행되며 배정계획 또는 재배정계획에 따라 각 부처의 일선관서에 예산이 배정된다. 각 부처의 재무관은 예산집행 단위별로 사업배정을 하고 집행단위담당자는 배정받은 예산액을 지출함으로써 예산을 최종 집행할 수 있다.
정리하자면, 예산관리부(120)는 사업관리, 회계관리, 포탈, 통계분석시스템(200) 등 내부 시스템과 상호 연동하여, 예산 편성 및 집행 업무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산편성모듈(123)은 주로 국가재정운용계획수립 업무와 단년도/다년도 예산편성 업무를 지원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예산집행및평가모듈(125)은 국회에서 확정된 단년도/다년도 예산편성안의 세출예산 및 기금에 대한 배정계획 및 배정 업무와 예산집행점검 업무를 지원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산관리부의 주요 사용자는 기획재정부의 예산담당자, 각 부처의 재정책임관, 세부사업관리자, 재무관, 세부사업담당자 등이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국고금관리부(13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국고금관리부(130)는 전자고지수납모듈(EBPP, 131) 및 전자자금이체모듈(EFT, 13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국고금은 수입관리, 자금관리 및 지출관리의 단계로써 관리된다. 다음 표 1은 국고금 관리체계의 일례를 나타낸다.
구분 수입관리 자금관리 지출관리
관리기관 - 각 부처, 기금관리주체
- 수입징수관
- 한국은행 - 각부처, 기금관리주체
- 지출관
- 출납 공무원
정보시스템 - DBAS
- 수입관리
- EBPP
- BOK Wire - DBAS
- 지출관리
- EFT
표 1을 참조하면, 수입관리의 관리기관은 각 부처, 기금 관리주체의 수입징수관이 DBAS의 수입관리와 EBPP(131)를 통해 업무를 수행한다. 지출관리의 관리기관은 각 부처, 기금 관리주체의 지출관, 출납공무원이며, 재정통합정보시스템(DBAS, 10)의 지출관리와 EFT(133)을 통해 각각 수행한다.
국고금관리부(130)는 징수결의, 고지관리, 수납 정산 등 국고금의 징수, 부과, 납부 및/또는 수납 업무 등을 처리한다. 이때, 징수결의는 세부사업자가 납부자에게 부과할 징수내역을 확인하여 결정하는 업무이며, 고지관리는 징수결의 승인을 통해 처리된 징수결의서를 대상으로 고지서를 출력하여 납부자에게 발송하는 업무이다. 납부자에게 고지서 발송시 서면고지 및/또는 전자고지로 발송되며, 납부자는 발송된 고지서를 통해 금융기관에 납부처리를 한다.
납부자는 징수 금액을 납부시 인터넷뱅킹, 은행 창구 또는 단말기(ATM)를 통해 납부가 가능하다. 금융기관에서는 실시간 수납정보를 DBAS(10)로 전송하며, 일 수납결과를 한국은행으로 전송한다. 한국은행은 익일 영수내역과 국고금대차대조표를 DBAS(10)로 전송하며, 국고계정에서 국고금을 관리한다. 수납정산은 한국은행으로부터 전송받은 영수내역을 기준으로 납부자에게 고지한 고지서를 대사하여 정산처리를 하는 업무이다. 또한 각 기관에서 고지된 건 중 해당 건은 연계기관으로 영수내역을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자고지 및 수납을 위한 전자고지수납모듈(131)의 업무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징수기관은 납부자(Payer)에게 고지정보(즉, 고지서)를 전송하고, 고지요약정보를 국고금관리부의 전자고지수납모듈(EBPP, 131)에 전송한다(S610).
EBPP(131)에서는 고지정보를 금융 결제원으로 전송하고(S611), 금융결제원은 전달받은 고지정보를 시중 은행으로 전송한다(S613). S610 단계에서 고지정보를 수신한 납부자는 인터넷 뱅킹 또는 시중 은행을 직접 방문하여 세금 등을 납부할 수 있다(S620).
시중 은행은 금융결제원을 통해 고지정보를 조회 및 수납 처리하고 그 결과를 실시간으로 중앙재정정보시스템(100)의 EBPP(131)에 전송하며, 납부결과를 한국은행에도 함께 전송한다(S630).
금융결제원에서는 수신한 납부결과를 EBPP(131)에 전달하며(S631), 한국은행 역시 시중은행으로부터 수신한 납부결과를 중앙재정정보시스템(100)의 EBPP(131)에 전송한다(S633).
EBPP(131)에서는 징수기관이 전송한 고지정보와 한국은행 및 금융결제원에서 전송한 납부결과를 비교 및 처리하여 최종 납부결과를 징수기관에 전송한다(S635).
즉, 도 6의 경우 EBPP(131)는 공무원과 납세자 간의 업무처리의 효율성 및 투명성을 증대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징수기관은 납부자 및 EBPP에 고지정보를 전송하고, 납부자가 시중 은행을 통해 세금을 납부하면, 시중 은행은 EBPP(131)를 통해 고지정보를 조회 및 수납처리하고 그 결과를 실시간으로 중앙재정정보시스템(즉, 디브레인, 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자자금 이체를 위한 전자자금이체모듈(135)의 업무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채권자는 인터넷을 통해 재무관에 납품대금을 청구할 수 있다. 이때, 채권자는 인터넷을 통해 도 1에서 설명한 업무지원시스템의 홈페이지(즉, 재정통합정보시스템 홈페이지, 300)에 접속하여 납품대금을 청구할 수 있다(S701).
납품대금이 청구되면 정부(즉, 재무관)는 내부 지출승인절차 이행 후 채권자의 계좌로 자금이체를 승인하며, 이에 대한 지출승인정보를 지출관에 전달한다. 이때, 채권자에 대한 자금 이체는 한국은행을 통해 수행된다(S710). 지출승인정보를 수신한 지출관은 디브레인의 전자자금이체모듈(EFT, 133)을 통해 한국은행에 자금 이체를 요청한다(S720, S721).
한국은행은 자금이체요청을 받으면, 채권자의 계좌가 있는 시중은행으로 자금이체를 요청한다(S730). 시중은행은 한국은행으로부터 받은 자금이체 요청에 따라 채권자의 계좌로 자금을 이체한다(S731). 이때, 시중은행은 이체결과를 실시간으로 한국은행으로 전송하며(S740), 한국은행 또한 이체결과를 디브레인의 EFT(133)에 실시간으로 통보한다(S750). 디브레인의 EFT(133)은 한국은행으로부터 수신한 이체결과를 지출관에 전송함으로써, 채권자의 대금 청구가 종료되게 된다(S751).
도 7에서는 복잡한 단계를 통해 채권자의 대금 청구가 지급되는 절차를 나타내었지만, 채권자의 입장에서는 매우 간단하게 대금을 청구할 수 있다. 즉, 채권자는 본 발명의 재정통합정보시스템(10)의 홈페이지(200)에 접속하여 대금을 청구하면, 대금 청구에 따른 지출승인, 자금이체요청, 자금이체, 및 이체결과의 처리가 재정통합정보시스템의 디브레인(100)을 통해 원스탑으로 처리되므로, 채권자 입장에서는 한 번의 처리로써 대금을 원활하게 수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자산부채관리부(14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서 자산부채관리부(140)는 국가재산 및 국유물품의 종합적인 운용을 지원한다. 이때, 국가재산에는 국가 채권 및 국가 채무가 포함된다.
국가 채권이란 '금전의 지급을 목적으로 하는 국가의 권리로 중앙정부의 채권(국가채권관리법 제 2조 1항)'을 말한다. 이때, 국가채권관리법의 범위에서 제외되는 대상은「국가채권관리법」제3조 제1항 각호의 규정에 의거하여 벌금ㆍ과료ㆍ형사추징금ㆍ과태료 및 이에 준하는 채권, 증권으로 되어 있는 채권, 한국은행에 대한 국가의 예금 및 예탁금에 관한 채권, 기부금에 관한 채권, 국세 및 관세 등이다. 다만, 국세와 관세 등 조세채권으로서,「국가채권관리법」제3조 제1항 및 동법시행령 제3조의 규정에 따라 「채권현재액보고서」 및 「채권현재액총계산서」보고대상에는 포함된다. 이때, 국가채권은 국고관리부(170)의 수입, 지출, 자금에서 발생되고 소멸이 되며 그 현황은 채권 대장으로 관리가 된다. 채권 대장을 통해서는 회수, 변경, 소멸에 대한 관리가 수행된다.
국가채무란 '국가의 회계 또는 기금' 이 부담하는 '금전채무'(국가재정법 제91조 제1항)를 의미한다. 이때, 국가의 회계 또는 기금이란 중앙관서의 장이 관리 및 운용하는 회계 또는 기금을 의미하며, 중앙관서의 장이 운용하지 않는 지방정부 채무 및 민간 기금은 제외된다(동법 시행령 제 43조 제2항). 또한, 금전채무란 국가의 회계 또는 기금이 발행한 채권, 차입금, 국고채무부담행위와 국가보증채무 중 정부의 대지급 이행이 확정된 채무를 의미한다(동법 시행령 제43조 제3항).
자산부채관리부(140)는 종합적인 자산계획(즉, 자산계획정보)을 수립하기 위한 종합계획모듈(141), 국가의 자산 및 부채를 등록 관리하기 위한 등록관리 모듈(143), 및 국가의 재산을 관리 및 운용하기 위한 관리운용모듈(145)을 포함한다. 즉, 자산부채관리부(140)는 국유재산의 취득, 운용, 전환, 매각, 권리 유지 및 모니터링하며, 국유 물품에 대한 조달 및 처분하고, 국가채권 및 국가채무를 유지 및 관리한다.
예를 들어, 도 3,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국가재정운용계획 모듈(121)에서 수립된 국가재정운용계획정보에 따라 사업집행모듈(111)에서 각 사업에 대한 국가재정사업정보를 등록하고 예산편성모듈(123)에서 각 사업에 따른 예산을 편성하여 예산정보를 생성하면, 종합계획모듈(141)에서 국가의 자산 및 부채에 대한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자산계획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관리및운용모듈(145)에서 국가채권 및 국가채무에 대한 취득, 전환, 권리유지, 운용, 매각 등을 처리하고, 이를 등록관리모듈(143)에 등록 및 유지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회계관리부(150)의 기능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서 회계관리부(150)는 발생주의 및 복식부기에 기반하는 예산결산과 재무결산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즉, 중앙재정정보시스템(DBAS, 100)의 회계관리부(150)의 큰 장점 중의 하나는 발생주의 및 복식부기 기반하에 회계결산을 지원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회계관리부(150)는 현금거래시 수입부 및 지출부에 현금거래 내역이 인식되면, 인식된 내역에 따라 예산결산을 수행한다. 비현금거래시 자산 및 부채의 변동과 결산 조정에 따른 분개 내역이 입력되면 이에 따른 예산결산이 수행된다. 게다가, 현금거래와 비현금거래는 동시에 자동으로 분개가 되어 총세입/세출부 및 총계정원장에 반영되며 이는 재무제표작성시에 사용된다. 즉, 회계관리부(150)에서는 발생주의에 근거하여 현금거래 및 비현금거래를 자동분개함으로써, 예산결산과 재무결산의 두 방향(Two-Track)의 결산을 수행한다.
회계관리부(150)는 예산결산과 재무결산의 두 방향의 결산을 수행하며, 수입, 지출, 국유재산, 물품 및 채권 등과 연동된다. 회계관리부(150)는 결산 및 마감을 수행하는 수입, 지출, 자산, 부채, 자금 등 재정관련 업무를 관리하는 단위 정보시스템으로, 발생주의 거래를 인식하도록 거래유형별 자동분개 기능을 확보하고 있다. 이를 위해, 수입 및 지출을 관리하는 자금관리와 국유재산 및 물품을 관리하는 자산관리 등 재정관련 업무와 회계결산은 통합되어 있으며 재정자금 집행과 함께 발생된 거래는 계정별 거래유형을 통해 자동분개 처리되어 재무제표 산출이 가능하다.
또한, 회계관리부(150)는 기존 예산제도하에서의 현금주의 결산과 발생주의 회계제도를 통합한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거래가 발생할 때, 기존 예산제도에서는 현금을 수반한 거래만 결산 대상으로 처리하였으나, 현금이 수반하지 않는 검수 및 인계 시에도 발생주의 관점으로 보았을 때 회계적인 거래로 인식하여 자동분개 처리를 하도록 한다. 자동분개 처리된 결과는 연말 마감작업과 조정분개, 내부거래, 원가계산 등의 결산절차를 거쳐 재무결산보고서를 작성시 사용된다.
회계관리부(150)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자동분개 기능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회계관리부의 자동분개 기능은 재정업무를 수행하는 담당자가 복식부기개념을 모르더라도 정해진 절차에 따른 업무처리를 수행하게 되면 예산과목과 재무계정과목 및 거래유형 분석을 통해 자동적으로 재무회계 방식으로 처리하도록 지원한다. 이러한 회계처리의 결과는 재무결산 장부에 실시간으로 집계되는 구조로 국가재정시스템 전체 업무와 관련되어 있다.
도 10에서, 회계관리부(150)는 원가분류판단기준에 따라 거래발생시 발생주의에 근거하여 원가정보를 실시간으로 자동 분류하고 집계한다. 예를 들어, 거래가 발생시에 DBAS(100)의 회계관리부(150)는 해당 거래를 인식하고 수입과 비용으로 집계 및 분류한다. 회계관리부(150)는 프로그램에서 기인한 직접비는 프로그램 원가에 반영하며, 간접비는 간접비 배분원칙에 따라 해당하는 프로그램에 반영하는 방식으로 전체 원가를 산출한다. 이때, 프로그램 순원가 산출을 위해서 전체원가에서 직접수익은 차감될 필요가 있으며, 비배분 수익과 비배분 원가는 프로그램 순원가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러한 순원가는 재무결산시 반영된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회계관리부(150)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이용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회계관리부(150)는 재정통합정보시스템(10)의 각 서브 시스템들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업무지원시스템(300)에서 제공하는 홈페이지 등을 통해 회계관리부(150)에 접속할 수 있다.
회계관리부(150)는 홈페이지의 결산보고서에 재무제표인 재정상태표, 재정운영표, 순자산변동표와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 필수보충정보, 부석 명세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라 홈페이지(30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대부분의 결산보고서는 중앙재정정보시스템(100)의 회계관리부(150)에서 자동으로 작성이 되며 결산총평과 필수보충정보의 일부 보고서는 결산담당자가 직접 작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결산이 완료되면 재무제표 등의 결산보고서를 조회할 수 있다.
이때, 재정상태표는 자산, 부채, 순자산 항목으로 나누어 조회될 수 있으며, 재정운영표는 재무제표 중 하나로서 원가 계산한 결과는 재정운영표로 표현된다. 재정운영표에는 프로그램총원가와 프로그램수익을 차감한 프로그램순원가가 표시되며, 프로그램총원가에는 간접비 배부금액이 포함된다.
또한, 공통경비와 공통수익은 관리운영비, 비배분비용, 비배분수익으로 나타내진다. 순자산의 변동 내역을 보여주는 순자산변동표는 전년도말 순자산인 기초순자산을 기초금액으로 하여, 당해년도 재정운영결과와 재원조달과 이전, 조정항목을 통해 기말순자산을 계산한다. 회계관리부(150)는 재무제표를 작성한 후, 현금주의 자산부채와 발생주의 자산부채간의 차이 내역을 작성한다. 이때, 회계관리부(150)는 보고대상 기관의 차이와 내부거래 자산부채내역인 국가상호간 채권채무금액, 자산평가에 의한 결산조정항목 및 대상의 차이 등을 확인하여 사용자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재정성과관리부(16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브레인(DBAS), 즉 중앙재정정보시스템(100)의 중요 기능 중 하나는 각 사업에 따른 재정성과를 자율적으로 계획 및 평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사업은 프로그램 예산제도에 따라 기능적으로 일반공공행정, 국방, 교육, 문화 및 관광 등 16개 분야와 하위의 국정운영, 병력운영, 고등교육 등 69개 부문으로 구성된다.
실제 각 정책 추진에 따라 사업을 관리하는 구조로써 프로그램, 단위사업, 세부사업이 있다. 탑다운 방식으로 프로그램, 단위사업, 세부사업 순서로 생성이 되며 상위 그룹은 하위그룹을 포함한다. 프로그램은 정책단위이면서 재정의 기본 책임단위이고 단위사업은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세부 정책단위이다. 세부사업은 단위사업을 구성하는 기본 사업단위이고 실제 업무를 수행하는 단위이다
재정성과관리부(160)는 이러한 각 사업단위에 대한 성과를 관리 및 평가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재정성과관리부(160)는 성과계획관리모듈(161), 성과보고관리모듈(163), 자율평가관리 모듈(165), 심층평가관리모듈(167) 및 성과모니터링모듈(169)을 포함한다.
이때, 성과계획관리모듈(161)은 각 사업별 성과계획서 목차관리, 성과목표체계관리, 단위/세부사업성과계획, 프로그램성과계획, 성과계획서 작성관리 및 성과계획서 검토/확정 기능을 수행한다.
성과보고관리모듈(163)은 각 사업별 성과보고서 목차관리, 단위/세부사업성과보고, 프로그램성과보고, 성과보고서작성관리, 성과보고서검토/확정 기능을 수행한다.
자율평가관리모듈(165)은 각 사업별 자율평가측정기준관리, 자체평가관리, 평가결과확인/점검, 자율평가점검결과조회 기능을 수행한다.
심층평가관리모듈(167)은 각 사업별로 심층평가진행관리 및 심층평가결과조치 기능을 수행한다.
성과모니터링모듈(169)은 각 부처내 성과실적 및 현황조회, 부처별 성과실적 및 현황조회, 중점점검대상 관리 및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한다.
즉, 재정성과관리부(160)는 성과계획관리모듈(161)을 통해 재정사업별로 예산을 편성시 성과목표를 정하고, 성과보고관리모듈(163)을 통해 결산시 목표달성 여부를 측정 및 평가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재정성과관리부(160)를 통해 재정사업에 대해서 단년도, 매 3년 또는 5년마다 성과지표 및 각 지표별 목적의 적정성, 성과목표의 달성 여부를 정밀 점검할 수 있다. 사용자로서 소관부처의 재정책임자(CFO), 프로그램관리자, 단위사업관리자 및/또는 세부사업관리자가 재정성과관리모듈(160)을 통해 자체적으로 해당 사업에 대해서 평가할 수 있으며, 기획재정부의 성과관리담당자가 각 사업별로 성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평가결과는 다음년도 예산편성에 반영될 수 있다.
또한, 재정성과관리부(160)는 재정운용과정상 문제(예를 들어, 국회, 감사원, 언론 등에서 제기된 문제)가 제기된 사업의 운영성과를 자율평가관리모듈(165) 및 심층평가관리모듈(167)을 통해 심층적으로 분석 및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평가 결과는 제도개선 및 예산편성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재정성과관리부(160)는 내부연계시스템을 통해 재정사업관리부(110), 예산관리부(120) 및 회계관리부(150) 등에 연계되어 동작할 수 있으며, 외계연계시스템(400)을 통해 국방통합재정정보시스템, e-IPSES, NTIS, KDI 등의 외부 유관기관과 연계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재정성과관리부(160)를 이용하여 재정사업의 성과목표 및 지표를 관리하고 성과계획서를 작성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획재정부의 성과관리담당자는 재정성과관리부(160)를 통해 성과계획서의 목차를 작성하면, 재정성과관리부(160)는 이를 각 소관부처의 재정책임관에 전달한다. 재정책임관이 재정성과관리부(160)를 통해 각 사업의 임무, 비전, 전략 목표를 작성하면, 재정성과관리부(160)는 이를 프로그램관리자에 전달하고, 프로그램관리자는 해당 사업의 성과 목표를 작성한다. 해당 프로그램의 단위사업관리자는 설정된 성과 목표에 따라 관리 과제의 성과를 계획하고 이를 재정성과관리부(160)에 입력한다. 이후, 프로그램관리자는 관리 과제의 성과계획에 따라 성과목표 및 성과 계획을 작성 및 제출하고, 각 부처의 재정책임자는 부처별 성과계획서를 작성하여 재정성과관리부에 입력한다. 최종적으로 기획재정부의 성과계획담당자는 부처별 성과계획서에 대해서 검토하고, 보완이 필요하면 보완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모두 재정성과관리부(160)를 통하여 수행되며, 각 사용자는 중앙재정정보시스템(100)과 연계된 업무지원시스템(300)의 홈페이지를 통해 재정성과관리부(160)에 접속할 수 있다.
성과보고관리를 수행하는 과정, 각 재정사업에 대한 자율평가 과정 및 특정 재정사업에 대한 심층평가 과정 등도 상술한 성과계획서를 작성하는 과정과 마찬가지로 재정성과관리부(160)의 해당 모듈을 통해 수행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국고관리부(17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국고관리부(170)는 수입모듈(171), 지출모듈(173) 및 자금모듈(175)을 포함한다. 이때, 수입모듈(171)은 징수결의, 고지서발송, 수납정산 등 국고금의 징수, 부과, 납부, 수납 업무와 관련된 수입정보를 처리하고, 지출모듈(173)은 요청관리, 지출원인행위, 지출결의, 관서운영경비, 마감 등의 업무와 관련된 지출정보를 처리하며, 자금모듈(175)은 국고금에 대한 현황을 관리하며, 자금공급을 지원하는 계획업무와 국내차입, 해외차입, 공공자금운용의 조달업무, 기금 여유자금운용, 융자, 국고금운용의 운용업무와 관련된 자금정보를 처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수입이란 법령 또는 계약 등에 의하여 국고금이 세입으로 납입이 되거나 기금에 납입되는 것을 의미한다. 수입은 통상 징수 및 수납을 통해 납입되며, 한 회계연도에 있어서의 국가의 모든 재정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지출의 재원이 되는 현금적 수입을 의미한다.
수입모듈(171)에서 처리하는 요청관리는 세부사업자가 납부자에게 부과할 징수내역을 수입징수관에게 요청하는 업무이며, 결의관리는 수입징수관이 세부사업자가 납부자에게 부과할 징수내역을 확인하여 결정하는 업무이며, 고지관리는 징수결의 승인을 통해 처리된 징수결의서를 대상으로 고지서를 출력하여 납부자에게 발송하는 업무이며, 수납정산은 한국은행으로부터 전송받은 영수 내역을 기준으로 납부자에게 고지한 고지서를 대사하여 정산처리를 하는 업무이며, 과오납반환은 계산착오등의 사유로 실제 금액보다 더 많은 금액을 고지 후 수납되면 차액만큼 납부자에게 반환해주는 업무이며, 마감은 건별 발생된 고지정보와 수납정보로 장부를 생성하여 한국은행 월계대사표와 대사 후 월실적을 확정하는 업무이다.
지출모듈(173)은 예산관리부(120), 자금모듈(175), 자산부채관리부(140), EBPP(131), EFT(133) 등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되어 있다. 지출모듈(173)은 외부연계기관으로서 나라장터, 나라빌, 재외공관시스템, 정부구매카드사, 여비관리시스템, 한국은행, 감사원 등과 외부연계시스템(400)을 통해 연계할 수 있다.
지출모듈(173)은 물품구매, 시설공사, 소모품 구입 등 국고금의 집행 업무를 지원한다. 지출의 첫 번째 유형은 일반지출이라 칭한다. 일반지출은 지출요청, 원인행위, 지출결의 및 계좌이체요구 단계로 진행되며, EFT(133)시스템을 통하여 한국은행의 국고금이 시중은행의 채권자의 계좌로 이체되는 전자자금이체업무로 처리된다.
지출의 두 번째 유형은 대금청구이라 칭한다. 대금청구는 G2B, 나라빌, 사업관리에서 요청되며, 재무관은 지출관리에서 예산배정액 한도 내에서 원인행위를 작성하고 승인한다. 지출관은 지출모듈(173)을 통해 예산배정액 한도 및 자금 한도 내에서 지출결의서를 작성하고 이체지시를 할 수 있다. 이때, 이체 지시된 내역은 DBAS의 EFT(133)를 통해 한국은행의 BOK WIRE 에 의해 한국은행 계좌에서 시중은행 계좌로 이체된다.
이체 이후, 지출모듈(173)은 이체 결과를 납품업자, 재무관 및 지출관에게 통보한다.
자금모듈(175)은 국고금현황에 대해 국고금의 안전재고관리를 위한 국고금 대차대조표 등의 각종 지표를 제공한다. 또한, 자금모듈(175)은 국고금의 효율적인 관리 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현황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은행은 국고 대리점이 전산 입력한 국고금 정보를 전송받아 국고 계정 과목별로 총괄 계리한 후, 일 마감 후 국고금현황에서는 국고금대차대조표 내역을 수신하여 국고금에 대한 각종 지표 자료들을 제공한다. 또한, 자금모듈(175)은 실시간으로 국고금 특별계정의 월계대사표작업과 국고계정의 잔액 조회 등을 통해서 효율적인 국고금관리 활동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중앙재정정보시스템(100)과 통계분석시스템(200)과의 연계관계의 모습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통계분석시스템(200)은 조직 전체의 전략적 관점에서 효율적인 의사결정 지원하기 위해 원천 시스템의 데이터를 추출 및 변환,정제 가공하여 데이터 웨어하우스(EDW, 201)에 적재하고, 각 업무, 주제 및 영역별로 데이터마트(DataMart, 203)를 구성하며, 다양한 분석 및 활용 도구(예를 들어, OLAP(205), EIS(207))를 통하여 사용자의 역할 및 권한에 맞게 정보를 제공해 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데이터 웨어하우스(DW: Data Warehouse, 201)란 조직의 정보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하나의 패러다임으로서, 조직 전체의 전략적 관점에서 효율적인 의사결정 지원하기 위해 원천 시스템의 데이터를 추출 및 가공하여 적재하고 다양한 분석 및 활용 도구를 통하여 사용자의 역할 및 권한에 맞게 정보를 제공해 주는 일련의 과정 및 시스템을 총칭한다. 즉, 데이터웨어하우스(201)에는 중앙재정정보시스템(100, 즉, dBrain)에서 생성된 자료, 외부기관 연계 자료 및 수기입력자료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 마트(203)는 데이터웨어하우스(201)에서 추출/변환/적재된 원천 시스템의 데이터를 예산, 회계, 통합재정, EIS 마트 등의 항목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의미한다.
데이터 마트(203)에 분류 및 저장된 데이터들은 재정분석 및 활용 도구로서 OLAP(205) 및 EIS(207)을 통해 분석된다.
이때, OLAP(205)은 사용자가 정보시스템의 정보에 직접 접근하여 온라인 대화식으로 각종 통계 데이터를 분석하고, 의사결정에 활용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OLAP(205)를 이러한 일련의 작업을 지원하는 정보시스템 또는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사용자는 OLAP(205)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관점, 즉 다양한 각도에서 편리하게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다. 또한, OLAP(205)는 사용자를 위한 다양한 분석기능을 제공한다(피봇, 정렬, 드릴업, 드릴다운, 그래프 등). 또한, 사용자는 OLAP(205) 도구를 사용하여 직접 원하는 비정형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으며, 기존 정형보고서와는 달리 보고서의 생성 및 변경시 전산부서의 의존도가 감소될 수 있다.
EIS(207)는 조직의 상위 관리자 그룹의 정책결정을 지원할 목적으로 구축된 경영진 정보시스템을 의미하며, 조직 내/외의 모든 필요 정보들을 통합하고 요약하여 제공함으로써 경영진들의 빠르고 정확한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EIS(207)는 직관적인 사용자 화면 구성과 그래프, 도표, 문자 등 다양한 형식의 정보를 사용자에 제공한다. 또한, EIS(207)는 데이터를 KPI, 상황정보, 추세정보, 요약정보 위주로 구성하여 조직 내/외부에 광범위한 통합 데이터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도 12를 참조하면, 업무 담당자는 중앙재정정보시스템(100)을 통해 자신의 업무를 처리하며, 연계기관은 실적요약정보를 중앙재정정보시스템(100)에 입력하며, 외부 통계발생기관은 발행한 통계 정보를 중앙재정정보시스템(100)에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지방재정시스템은 지방재정정보를, 지방교육재정시스템은 지방교육재정정보를, 산하기관 또는 공기업 등에서는 실적 요약정보를 중앙재정정보시스템(100)에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유관기관들은 외부연계시스템(400)을 통해 중앙재정정보시스템(100)에 연계 및 접속할 수 있다.
중앙재정정보시스템(100)에서는 중앙재정정보와 외부통계정보를 추출, 변환 및 정제하여 재정통계분석시스템(200)에 1일 1회 적재할 수 있다. 이때, 중앙재정정보시스템(100)은 중앙재정정보 및 외부통계정보를 추출, 변환 및 정제 등의 가공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재정통계분석시스템(200)에 입력할 수 있다.
이후, 재정통계분석시스템(200)에서는 데이터웨어하우스(201), 데이터마트(203), OLAP(205) 및 EIS(207)를 통해 동계 및 분석한 데이터를 재정통합정보시스템(10)의 업무지원시스템(300)의 홈페이지를 통해 국민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재정통계분석시스템(200)은 해당 정보를 분석담당자 및 정책결정권자에게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재정통합정보시스템
100: 중앙재정정보시스템
110: 재정사업관리부 (111: 사업집행모듈, 113: 사업모니터링모듈)
120: 예산관리부 (121: 국가재정운용계획모듈, 123: 예산편성모듈, 125: 예산집행및평가모듈)
130: 국고금관리부 (131: 전자고지수납모듈, 133: 전자자금이체모듈)
140: 자산부채관리부 (141: 종합계획모듈, 143: 등록관리모듈, 145: 관리 및 운용모듈)
150: 회계관리부
160: 재정성과관리부 (161: 성과계획관리모듈, 163: 성과보고관리모듈, 165: 자율평가관리모듈, 167: 심층평가관리모듈, 169: 성과모니터링모듈)
170: 국고관리부 (171: 수입모듈, 173: 지출모듈, 175:자금모듈)
200: 통계분석시스템 (201: 데이터웨어하우스, 203: 데이터마트, 205: OLAP, 207: EIS)
300: 업무지원시스템
400: 외부연계시스템

Claims (15)

  1. 국가재정업무의 전 과정을 통합 및 연계하여 처리하기 위한 중앙재정정보시스템은,
    국가재정사업의 생성, 등록, 집행 및 종료에 이르는 전체 사이클과 관련된 국가재정사업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재정사업관리부;
    상기 국가재정사업정보를 기반으로 단년도 및 중기적 다년도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따른 예산을 편성 및 관리하기 위한 예산관리부;
    상기 국가재정사업정보를 기반으로 전자고지수납 및 전자자금이체를 처리하기 위한 국고금관리부;
    상기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따라 상기 국가재정사업에 대한 국가자금을 조달하고 회계간 자금의 수급 조정 및 여유자금을 운용하기 위한 국고관리부;
    상기 국가재정사업정보를 기반으로 국가재산 및 국유물품의 종합적인 운용을 지원하기 위한 자산부채관리부;
    상기 국가재정사업에서 발생하는 비용에 대해 발생주의 및 복식부기에 기반하는 예산결산과 재무결산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회계관리부; 및
    상기 국가재정사업정보에 따라 성과목표를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성과목표에 대한 달성 여부를 측정하고 평가를 지원하기 위한 재정성과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재정사업관리부, 상기 예산관리부, 상기 국고금관리부, 상기 국고관리부, 상기 자산부채관리부, 상기 회계관리부 및 상기 재정성과관리부 중 하나 이상은 온라인 및/또는 내부 인터페이스로 연동하여 상기 국가재정사업과 관련된 상기 국가재정업무의 전 과정을 통합 및 연계하여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재정정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정사업관리부는,
    상기 국가재정사업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는 사업진행모듈; 및
    상기 국가재정사업정보에 따라 상기 국가재정사업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사업모니터링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사업진행모듈은 상기 예산관리부로 상기 국가재정사업에 대한 예산의 편성 및 배분과 관련된 예산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회계관리부로 상기 국가재정사업의 진행에 따른 결산정보를 요청하는, 중앙재정정보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예산관리부는,
    상기 국가재정사업정보를 기반으로 국가의 상기 국가재정운용계획을 수립 및 처리할 수 있는 국가재정운용계획모듈;
    상기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따른 예산을 편성 및 관리하기 위해 상기 예산정보를 생성 및 전달하는 예산편성모듈; 및
    편성된 상기 예산의 집행 및 평가하기 위한 예산집행및평가모듈을 포함하는, 중앙재정정보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국고금관리부는,
    상기 국가재정사업과 관련하여 상기 온라인 상에서 납세자에 대한 전자고지 및 수납을 위한 전자고지수납모듈; 및
    상기 온라인 상에서 상기 납세자가 납부한 전자자금 이체를 위한 전자자금이체모듈을 포함하는, 중앙재정정보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산부채관리부는,
    상기 국가재정사업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국가재정사업에 대한 종합적인 자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종합계획모듈;
    상기 국가재정사업정보를 기반으로 국가의 자산 및 부채를 등록 관리하기 위한 등록관리 모듈; 및
    상기 국가재정사업정보에 기반하여 국가의 자산을 관리 및 운용하기 위한 관리운용모듈을 포함하는, 중앙재정정보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계관리부는,
    상기 국가재정사업에서 발생하는 비용에 대해 상기 발생주의 및 상기 복식부기에 기반하여 현금거래와 비현금거래를 자동으로 분개하여 총계정원장에 반영하는 자동분계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계관리부는 상기 자동분계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재정사업관리부에서 요청하는 결산정보를 생성 및 전송하는, 중앙재정정보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계관리부는,
    원가분류판단기준에 따라 수입과 지출을 자동분류하여 프로그램 순원가에 반영하는, 중앙재정정보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정성과관리부는,
    상기 국가재정사업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국가재정사업별 성과계획서 목차관리, 성과목표체계관리, 단위 및 세부사업성과계획, 프로그램성과계획, 성과계획서 작성관리 및 성과계획서 검토, 및 성과보고서확정 기능을 수행하는 성과계획관리모듈; 및
    상기 성과계획관리 모듈에서 수행하는 기능들에 대응하여 상기 국가재정사업별 성과보고서 목차관리, 단위 및 세부사업성과보고, 프로그램성과보고, 성과보고서작성관리, 성과보고서검토, 및 성과보고서확정 기능을 수행하는 성과보고관리모듈을 포함하는, 중앙재정정보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재정성과관리부는,
    상기 국가재정사업정보에 대해서 상기 국가재정사업별 자율평가측정기준관리, 자체평가관리, 평가결과확인, 평가결과점검, 자율평가점검결과조회 기능을 수행하는 자율평가관리모듈;
    상기 국가재정사업별로 심층평가진행관리 및 심층평가결과조치 기능을 수행하는 심층평가관리모듈; 및
    각 부처 내 성과실적 및 현황조회, 부처별 성과실적 및 현황조회, 중점점검대상 관리 및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하는 성과모니터링모듈을 더 포함하 는, 중앙재정정보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국고관리부는,
    상기 국가재정사업과 관련된 징수결의, 고지서발송 및/또는 수납정산에 대한 국고금의 징수, 부과, 납부, 수납 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수입모듈;
    상기 국가재정사업과 관련된 요청관리, 지출원인행위, 지출결의, 관서운영경비 및/또는 마감 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지출모듈; 및
    국고금에 대한 현황을 관리하며, 자금공급을 지원하는 계획업무, 국내차입, 해외차입, 공공자금운용의 조달업무, 기금 여유자금운용, 융자, 및 국고금운용의 운용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자금모듈을 포함하는, 중앙재정정보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재정정보시스템은,
    상기 중앙재정정보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접속 및 업무 수행의 편의를 지원하기 위해 온라인을 통해 홈페이지, 전자결재 서버, 사이버교육센터 및 콜센터들을 포함하는 업무지원시스템과 연계되는, 중앙재정정보시스템.
  14. 삭제
  15. 국가재정업무의 전 과정을 통합 및 연계하여 처리하기 위한 중앙재정정보 시스템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는,
    국가재정사업의 생성, 등록, 집행 및 종료에 이르는 전체 사이클과 관련된 국가재정사업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재정사업관리기능;
    상기 국가재정사업정보를 기반으로 단년도 및 중기적 다년도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따른 예산을 편성 및 관리하기 위한 예산관리기능;
    상기 국가재정사업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중앙재정정보시스템의 전자고지수납 및 전자자금이체를 처리하기 위한 국고금관리기능;
    상기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따라 상기 국가재정사업에 대한 국가자금을 조달하고 회계간 자금의 수급 조정 및 여유자금을 운용하기 위한 국고관리기능;
    상기 국가재정사업정보를 기반으로 국가재산 및 국유물품의 종합적인 운용을 지원하기 위한 자산부채관리기능;
    상기 국가재정사업에서 발생하는 비용에 대해 발생주의 및 복식부기에 기반하는 예산결산과 재무결산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회계관리기능; 및
    상기 국가재정사업정보에 따라로 성과목표를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성과목표에 대한 달성 여부를 측정하고 평가를 지원하기 위한 재정성과관리기능을 포함하되,
    컴퓨터에 상기 재정사업관리기능, 상기 예산관리기능, 상기 국고금관리기능, 상기 국고관리기능, 상기 자산부채관리기능, 상기 회계관리기능 및 상기 재정성과관리기능 중 하나 이상은 온라인 및/또는 내부 인터페이스로 연동하여 상기 국가재정사업과 관련된 상기 국가재정업무의 전 과정을 통합 및 연계하여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20046310A 2012-05-02 2012-05-02 재정통합정보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중앙재정정보시스템 KR101182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310A KR101182703B1 (ko) 2012-05-02 2012-05-02 재정통합정보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중앙재정정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310A KR101182703B1 (ko) 2012-05-02 2012-05-02 재정통합정보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중앙재정정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2703B1 true KR101182703B1 (ko) 2012-09-18

Family

ID=47113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6310A KR101182703B1 (ko) 2012-05-02 2012-05-02 재정통합정보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중앙재정정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2703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9033A (ko) * 2014-05-30 2015-12-11 한국정보화진흥원 국가정보화 추진분야 진단장치 및 방법
CN109559089A (zh) * 2018-10-26 2019-04-02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主平台系统的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080612B1 (ko) * 2019-08-19 2020-03-02 농협은행(주) 교육행정 기관을 위한 e교육금고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WO2020091477A1 (ko) * 2018-11-01 2020-05-07 베스핀글로벌 주식회사 지능형 정보시스템 운영 성과 측정 방법
KR102222928B1 (ko) * 2020-01-15 2021-03-04 주식회사 이앤에프어드바이저 재정 추계안 도출 장치, 재정 추계안 도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3191722A (zh) * 2021-04-14 2021-07-30 成都金税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财政产业资金辅助管理系统
CN113724057A (zh) * 2021-08-31 2021-11-30 平安国际智慧城市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大数据的财政预算填报方法、系统、设备及介质
KR20220095804A (ko) * 2020-12-30 2022-07-07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의 회계 감시 시스템, 회계 감시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20230126410A (ko) 2022-02-23 2023-08-3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전해체를 위한 벨크로형 통합사업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240054114A (ko) 2022-10-18 2024-04-25 강인태 인공지능 기반의 예산 및 결산 분석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4088B1 (ko) 2001-11-29 2005-12-08 지에프시스템(주) 정부의 재무관리를 위한 회계처리시스템 및 회계처리방법
KR100983154B1 (ko) 2010-02-24 2010-09-20 주식회사 우리은행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재정관리 시스템 및 erp 시스템을 연계한 세출 이뱅킹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4088B1 (ko) 2001-11-29 2005-12-08 지에프시스템(주) 정부의 재무관리를 위한 회계처리시스템 및 회계처리방법
KR100983154B1 (ko) 2010-02-24 2010-09-20 주식회사 우리은행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재정관리 시스템 및 erp 시스템을 연계한 세출 이뱅킹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321B1 (ko) 2014-05-30 2016-08-19 한국정보화진흥원 국가정보화 추진분야 진단장치 및 방법
KR20150139033A (ko) * 2014-05-30 2015-12-11 한국정보화진흥원 국가정보화 추진분야 진단장치 및 방법
CN109559089A (zh) * 2018-10-26 2019-04-02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主平台系统的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1552862B2 (en) 2018-11-01 2023-01-10 Bespin Global Inc. Method for measuring operation performance of intelligent information system
WO2020091477A1 (ko) * 2018-11-01 2020-05-07 베스핀글로벌 주식회사 지능형 정보시스템 운영 성과 측정 방법
KR20200050298A (ko) * 2018-11-01 2020-05-11 베스핀글로벌 주식회사 지능형 정보시스템 운영 성과 측정 방법
KR102223531B1 (ko) 2018-11-01 2021-03-05 베스핀글로벌 주식회사 지능형 정보시스템 운영 성과 측정 방법
KR102080612B1 (ko) * 2019-08-19 2020-03-02 농협은행(주) 교육행정 기관을 위한 e교육금고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22928B1 (ko) * 2020-01-15 2021-03-04 주식회사 이앤에프어드바이저 재정 추계안 도출 장치, 재정 추계안 도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095804A (ko) * 2020-12-30 2022-07-07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의 회계 감시 시스템, 회계 감시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2539707B1 (ko) 2020-12-30 2023-06-02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의 회계 감시 시스템, 회계 감시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CN113191722A (zh) * 2021-04-14 2021-07-30 成都金税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财政产业资金辅助管理系统
CN113724057A (zh) * 2021-08-31 2021-11-30 平安国际智慧城市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大数据的财政预算填报方法、系统、设备及介质
KR20230126410A (ko) 2022-02-23 2023-08-3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전해체를 위한 벨크로형 통합사업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240054114A (ko) 2022-10-18 2024-04-25 강인태 인공지능 기반의 예산 및 결산 분석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703B1 (ko) 재정통합정보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중앙재정정보시스템
Isa The treasury single account (TSA) as an instrument of financial prudence and management: prospects and problems
Yaker et al. Treasury single account: Concept, design and implementation issues
US200601737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processing, handling, and facilitating a trade credit transaction
US20120290474A1 (en) Payment Network Facilitating Multi-Currency Trade Finance
KR20130029775A (ko) 경제활동 지표 제시 시스템
CN103955855A (zh) 一种集团企业票据池系统
RU2474872C2 (ru) Устройство электронной формы счетоводства и способ записи данных в базу счетов учета, применяемый в нем
KR20080077065A (ko) 예금주가 대출상품을 검토하고 선택할 수 있는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금융 서비스 시스템
Bank Monetary Policy for...
Gorgijevska et al.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creditworthiness of the companies
Coyle Cash flow forecasting and liquidity
Amadi et al. The Treasury Single Account and the search for effective revenue management in Nigeria's oil and gas sector
Bank Monetary Policy for 2020/21
Mohammed et al. Interest-free microfinance in India
US20140297358A1 (en) Eyes on control --- a novel accounting system
Montanjees Government finance statistics in the countries of the former Soviet Union: compilation and methodological issues
Uchenu Treasury Single Account and Fraud in the Nigerian Public Sector; a Theoretical Overview
Jaiswal Financial inclusion through business correspondents in North Bengal: An empirical study
JP2004038614A (ja) 入出金代行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arolova Report on Government Finance Statistics for State-Owned Enterprises Mission
BELLO AN ASSESSMENT OF THE IMPACT OF TREASURY SINGLE ACCOUNT (TSA) ON THE NIGERIAN BANKING INDUSTRY
Lessambo et al. Financial Statements’ Audit
Khaing Effect of Bank Expansion on Performance of Shwe Bank
Wambi Financial accessibility and growth of small scale businesses in busoba sub-county Mbale district in Ugand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